KR20220021119A -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119A
KR20220021119A KR1020200101528A KR20200101528A KR20220021119A KR 20220021119 A KR20220021119 A KR 20220021119A KR 1020200101528 A KR1020200101528 A KR 1020200101528A KR 20200101528 A KR20200101528 A KR 20200101528A KR 20220021119 A KR20220021119 A KR 2022002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network device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499B1 (ko
Inventor
이지영
이영윤
하슬비
서건
김원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0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연결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WIRELESS NETWORK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NG MEHTOD OF THE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아래 실시예들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와 무선 연결 가능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는 WiFi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선 먼저 IoT 디바이스가 AP(Access Point)에 접속되어야 한다. 하지만, IoT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나 입력 장치가 없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는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비밀번호를 IoT 디바이스에 입력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를 softAP로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AP 접속 정보를 IoT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사용자에게는 친근하지 않고, 사용자는 AP 접속 정보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17579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 및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 방법, 및 출원인: 엘지전자 주식회사)가 있다. 해당 등록특허공보에는 메인 서버와 연결되는 AP와 접속하고 기 설정된 AP 정보 및 기 설정된 인증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되고, AP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기 설정된 AP 정보에 매칭되는 AP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AP 정보에 매칭되는 AP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디바이스를 검색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디바이스로 AP 정보 및 기 설정된 인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측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킨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페어링용 포트를 오픈(open)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를 활성화 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페어링용 포트를 닫고(close) 상기 제1 식별자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기기 정보가 서로 맵핑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은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일 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서버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했을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 및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페어링용 포트가 오픈되고,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는 닫아지고 상기 제1 식별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로 상기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를 통해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결합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SSID로,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식별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식별자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연결한다.
일 측에 따른 통신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서버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했을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에 AP 접속 정보를 번거롭게 입력하지 않아도 IoT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AP에 접속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서버 인증에 성공한 IoT 디바이스만이 AP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AP 접속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것 없이 AP 접속 정보를 IoT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디바이스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디바이스의 등록 및 원격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디바이스의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WiFi 디바이스(110), AP(Access Point)(120), 및 서버(130)가 도시된다.
WiFi 디바이스(110)는 WiFi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WiFi 디바이스(110)는 WiFi 통신 가능한 스마트 가전 또는 스마트 홈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WiFi 디바이스(110)를 이용하기 위해 WiFi 디바이스(110)를 청약할 수 있다. 서버(130)는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에 WiFi 디바이스(110)의 정보를 저장한다. WiFi 디바이스(110)의 정보는,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110)의 타입,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시리얼 번호,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P(120)는 일정 시간 동안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제공한다. 후술하겠지만, AP(120)는 서비스 용도(또는 서비스 접속용)의 SSID도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는, 예를 들어, IoT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비스 용도의 SSID는 히든 SSID와 구분 또는 분리된다.
WiFi 디바이스(110)에는 AP(120)의 히든 SSID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WiFi 디바이스(110)는 히든 SSID를 기초로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 AP(120)는 히든 SSID를 통해 WiFi 디바이스(110)가 접속한 경우, 서버 인증을 통해 AP 정보(또는 AP 접속 정보)를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AP 정보는, 예를 들어, AP(120)의 서비스 제공용 SSID, 비밀번호, WiFi 암호화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로부터 수신한 AP 정보를 이용하여 AP(120)에 접속하고 서버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지정한 AP(120)에만 히든 SSID가 동작하게 할 수 있어, WiFi 디바이스(110)는 원하는 AP(120)에 붙을 수 있고, AP(120)는 서버 인증을 통해 인증된 WiFi 디바이스만 접속을 허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AP(120)는 서버(130)에 AP 정보를 저장하지 않아도 해당 AP 정보를 WiFi 디바이스(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WiFi 디바이스(110)에 AP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도 1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AP(120)는 히든 SSID를 구동(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140). 일례로, AP(120)는 사용자가 AP(120)의 특정 버튼을 누른 경우, 히든 SSID "1234"를 구동(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특정 버튼은, 예를 들어,WPS 버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히든 SSID를 "1234"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AP(120)의 히든 SSID는 "1234"로 제한되지 않는다.
히든 SSID는 평소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사용자가 AP(120)의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일정 시간 동안 나타나거나 동작한다. 일정 시간은, 예를 들어, WPS의 타임아웃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P(120)는 페어링 포트를 open할 수 있다(141). AP(120)에는 페어링을 위한 데몬 프로세스(달리 표현하면, 페어링 데몬)가 있고 히든 SSID가 동작하면 AP(120)는 페어링 포트를 open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히든 SSID로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142). 일례로, WiFi 디바이스(110)는 전원이 on되어 부팅된 경우, 서비스 용도의 SSID가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용도의 SSID가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SSID로 WiFi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용도의 SSID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자신의 메모리에 미리 정의된 히든 SSID "1234"를 스캐닝하고, 히든 SSID "1234"에 대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WiFi 디바이스(110)는 히든 SSID "1234"를 기초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고 스캐닝에 따라 AP(120)를 발견할 수 있으며 히든 SSID "1234"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 AP(120)에는 히든 SSID "1234"가 동작 또는 활성화되어 있어, AP(120)는 WiFi 디바이스(110)가 히든 SSID "1234" 통해 시도한 접속 요청을 허용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open된 페어링 포트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WiFi 디바이스(110)는 서버(130)에 아직 등록된 상태가 아니므로, WiFi 디바이스(110)를 원격으로 제어하지 못한다. 후술하겠지만, WiFi 디바이스(110)는 서버(130)에 등록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WiFi 디바이스(1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에 AP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143). 단계(143)에서, WiFi 디바이스(110)는 자신의 정보를 AP(120)에 전송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의 정보는, 예를 들어, 타입, MAC 주소, 시리얼 번호, 및 모델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P(120)는 서버(130)에 WiFi 디바이스(11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144). 일례로, AP(120)의 페어링 데몬은 WiFi 디바이스(110)의 정보를 서버(130)에 전송하면서 WiFi 디바이스(110)에 대한 인증을 서버(130)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145). 일례로, 서버(130)는 AP(120)로부터 수신한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130-1)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를 통해 WiFi 디바이스(110)가 사용자에 의해 청약된 WiFi 디바이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130-1)에 저장되어 있으면, WiFi 디바이스(110)의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130-1)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WiFi 디바이스(110)의 인증이 실패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에 대한 인증 결과를 AP(120)로 전송할 수 있다(146). 일례로,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에 대한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를 AP(120)의 페어링 데몬으로 전송할 수 있다.
AP(120)는 서버 인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147), 서버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이면 AP 정보를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148). 일례로, AP(120)의 페어링 데몬은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을 나타내면, AP(120)의 서비스 용도의 SSID, 비밀번호, 및 WiFi 암호화 방식을 읽어올 수 있고, 페어링 포트에 접속한 WiFi 디바이스(110)에 AP(120)의 서비스 용도의 SSID, 비밀번호, 및 WiFi 암호화 방식을 전송할 수 있다. WiFi 암호화 방식은, 예를 들어, WEP(Wired Equivalent Policy), WPA(WiFi Protected Access), WPA 2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P(120)는 페어링 포트를 닫을 수 있고(149), 히든 SSID를 종료(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150).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로부터 수신한 AP 정보를 이용하여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151). 일례로,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에 서비스 용도의 SSID를 포함하는 probe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AP(120)로부터 probe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와 인증 절차 및 association 절차를 수행하여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로부터 수신한 AP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WiFi 디바이스(110)는 어떤 요인(예를 들어, 부팅 등)에 의해 AP(120)와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메모리에 저장된 AP 정보를 이용하여 AP(120)에 접속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서버(130)에 등록할 수 있다(152). 일례로,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130)에 WiFi 디바이스(110) 자신을 등록할 수 있다.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가 등록되면 사용자의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pus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53).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WiFi 디바이스(110)는 등록된 상태에 있으므로, WiFi 디바이스(1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단계(145)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서버(130)는 AP(120)로부터 WiFi 디바이스(110)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210). 일례로, 서버(130)는 AP(120)로부터 WiFi 디바이스(110) 정보와 AP(120)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WiFi 디바이스(110) 정보는,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110)의 타입, MAC 주소, 시리얼 번호,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P(120) 정보는, 예를 들어, AP(120)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 및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220), WiFi 디바이스(110)와 AP(120)의 맵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30). 일례로,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디바이스 DB(130-1)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디바이스 DB(130-1) 상에서 WiFi 디바이스(110) 정보와 AP(120) 정보가 맵핑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30)는 단계(220)과 단계(230)에 기반한 인증 결과를 AP(120)로 전송할 수 있다(240). 일례로,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디바이스 DB(130-1)에 저장되어 있고 WiFi 디바이스(110)와 AP(120)가 서로 맵핑되어 있는 경우, 인증 성공을 AP(1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30)는 WiFi 디바이스(110) 정보가 디바이스 DB(130-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및/또는 WiFi 디바이스(110)와 AP(120)가 서로 맵핑되어 있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 실패를 AP(1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의 경우, 서버(130)는 AP(120)와 WiFi 디바이스(110)가 서로 맵핑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WiFi 디바이스(110)가 다른 AP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단계(142)의 일례가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에 probe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310). 이 때, probe 요청 프레임은,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110)에 미리 저장된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AP(120)는 probe 응답 프레임을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320). 일례로, AP(120)는 자신의 히든 SSID가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SSID와 동일하므로, probe 응답 프레임을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P(120)는 probe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값(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을 계산할 수 있다. AP(120)는 계산된 신호 세기값이 일정 세기값 미만이면 probe 응답 프레임을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계산된 신호 세기값이 일정 세기값 이상이면 probe 응답 프레임을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계산된 신호 세기값이 일정 세기값 미만이어도 AP(120)는 probe 응답 프레임을 WiFi 디바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와 결합(associ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330). 단계(330)에서, WiFi 디바이스(110)는 결합 요청 프레임을 AP(120)로 전송할 수 있고, AP(120)로부터 결합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WiFi 디바이스(110)는 probe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값을 계산할 수 있다. WiFi 디바이스(110)는 계산된 신호 세기값이 일정 세기값 미만이면 결합 요청 프레임을 AP(12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계산된 신호 세기값이 일정 세기값 이상이면 결합 요청 프레임을 AP(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계산된 신호 세기값이 일정 세기값 미만이어도 WiFi 디바이스(110)는 결합 요청 프레임을 AP(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의 경우, WiFi 디바이스(110)와 AP(120)는 서로가 근거리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WiFi 디바이스(110)가 다른 AP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WiFi 디바이스의 등록 및 원격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P(120)는 WiFi 디바이스 1(410), WiFi 디바이스 2(420), 및 WiFi 디바이스 3(410) 각각과 연결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44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WiFi 디바이스 1(410), WiFi 디바이스 2(420), 및 WiFi 디바이스 3(41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44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WiFi 디바이스(110)를 구매하여 AP(120)와 연결시키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AP(120)의 커버리지(400) 내에 WiFi 디바이스(110)에 위치시키고 WiFi 디바이스(110)의 전원을 켤 수 있다. 사용자가 WiFi 디바이스(110)에 AP 접속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WiFi 디바이스(110)는 AP(120)에 자동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WiFi 디바이스(110)가 AP(120)에 연결될 수 있고, 서버(130)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44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WiFi 디바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통해 설명할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AP(120)에 해당할 수 있고, 통신 장치는 WiFi 디바이스(11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자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한다(610).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특정 버튼(예를 들어, WPS 버튼)에 대한 입력을 나타낼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는 히든 SSID에 해당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620).
단계(620)의 일례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로부터 probe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 내의 식별자가 활성화된 제1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probe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히든 SSID "1234"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통신 장치로부터 probe 요청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 내의 식별자가 "1234"이면 probe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 내의 식별자가 "1234"가 아니면 probe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probe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통신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620)의 다른 일례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 내의 식별자가 활성화된 제1 식별자와 동일하고 해당 probe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probe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가 probe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후, 통신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결합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620)의 또 다른 일례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 내의 식별자가 활성화된 제1 식별자와 동일한 경우, probe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probe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일 때 결합 요청 프레임을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로부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결합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620)의 또 다른 일례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probe 요청 프레임 내의 식별자가 활성화된 제1 식별자와 동일하고 probe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probe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probe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일 때 결합 요청 프레임을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로부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결합 응답 프레임을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다(630).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서버(130)에 전송하여 서버(130)에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640). 서버(130)는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가 디바이스 DB(130-1)에 등록 또는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자신의 기기 정보와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 자신의 기기 정보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가 등록 또는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와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기기 정보가 서로 맵핑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30)는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가 등록 또는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및 통신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장치가 서로 맵핑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통신 장치에 대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서버(130)로부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 장치에게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650).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는 서비스 용도의 SSID에 해당할 수 있다. 접속 정보는 제2 식별자에 대응되는 비밀번호 및 WiFi 암호화 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장치와 연결한다(660). 단계(660)에 대한 설명에는 단계(151)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단계(6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고, 서버(130)에 기기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등록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킨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페어링용 포트를 오픈(open)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식별자를 활성화 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페어링용 포트를 닫을 수 있고(close) 제1 식별자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6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통해 설명할 통신 장치는 WiFi 디바이스(110)에 해당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AP(12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710). 여기서,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는 상술한 서비스 용도의 SSID에 해당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720).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한다(730). 일례로,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오프된 페어링용 포트로 기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740). 일례로,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정보는 서버(130)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했을 때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한다(750).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7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는 메모리(810) 및 제어부(820)를 포함한다.
제어부(820)는 메모리(810)와 커플링된다.
제어부(820)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82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킨다.
제어부(820)는 제1 식별자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제어부(820)는 통신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에 접속한 경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기기 정보를 서버(130)에 전송하여 서버(130)에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제어부(820)는 서버(130)로부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 장치에게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820)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장치와 연결한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는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802.11a/b/g/n/ac/ax 등),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무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각 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900)는 메모리(910) 및 제어부(920)를 포함한다.
제어부(920)는 메모리(910)와 커플링된다.
제어부(920)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제어부(920)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제어부(920)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에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어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에 접속한 경우,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에게 통신 장치(900)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고,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로부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920)는 접속 정보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무선 네트워크 장치(800)와 연결한다.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 장치(900)는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802.11a/b/g/n/ac/ax 등),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무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안테나 등을 이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각 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9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킨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페어링용 포트를 오픈(open)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를 활성화 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페어링용 포트를 닫고(close) 상기 제1 식별자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기기 정보가 서로 맵핑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결합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결합 요청 프레임은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일 때 전송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Service Set Identifier)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에 대한 입력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9.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정보는 서버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했을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 및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 기기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페어링용 포트가 오픈되고,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는 닫아지고 상기 제1 식별자는 비활성화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로 상기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오픈된 페어링용 포트를 통해 상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신호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결합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히든 SSID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SSID로, 상기 히든 SSID와 다른 SSID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WPS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식별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서 활성화되는,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7.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1 식별자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식별자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통신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에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와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인,
    무선 네트워크 장치.
  19. 통신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커플링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용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 식별자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1 접속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상기 제1 식별자가 활성화되어 있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통신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2 식별자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서버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인증을 성공했을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 상기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제2 접속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인,
    통신 장치.
KR1020200101528A 2020-08-13 2020-08-13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9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28A KR102393499B1 (ko) 2020-08-13 2020-08-13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28A KR102393499B1 (ko) 2020-08-13 2020-08-13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19A true KR20220021119A (ko) 2022-02-22
KR102393499B1 KR102393499B1 (ko) 2022-05-02

Family

ID=8049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28A KR102393499B1 (ko) 2020-08-13 2020-08-13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385A (ko) * 2015-09-30 2018-05-02 시아오미 아이엔씨.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2018121344A (ja) * 2018-02-28 2018-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KR20180102823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385A (ko) * 2015-09-30 2018-05-02 시아오미 아이엔씨. 무선 네트워크 접속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80102823A (ko)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의 무선 라우터 연결을 지원하는 무선 라우터, 전자 장치 및 시스템
JP2018121344A (ja) * 2018-02-28 2018-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499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00110A1 (en) Cloud devic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10506642B2 (en) Method for verifying authenticity, configuring network credentials and cryptographic key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S10904758B2 (en) Secure method for configur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through wireless technologies
US11196752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secure management of data center assets from a mobile device
EP2053887B1 (en) Legacy support for wi-fi protected setup
EP2988534A2 (en) Method of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2978250B1 (e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US9936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iggering applica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EP3592017B1 (en) Credenti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nection, and application (app)
US11765164B2 (en) Server-based setup for connecting a device to a local area network
KR102269417B1 (ko) 멀티 사용자들이 홈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689277B (zh) 一种为设备配置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292007B1 (ko) 단거리 통신을 사용한 네트워크 노드 보안
KR102386456B1 (ko) 전자장치,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93499B1 (ko) 무선 네트워크 장치, 통신 장치, 무선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02999B1 (ko) 일회성 비밀번호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5088A (ko) 단말과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방법
KR20150112655A (ko) 무선 접속 방식 및 서비스 인증 방법, 인쇄 코드 생성 방법 및 단말
KR101604927B1 (ko) Nfc를 이용한 자동 접속 시스템 및 방법
GB2582617A (en) A compu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ibility of data
KR102393497B1 (ko) IoT 서버, 통신 장치,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11737155B2 (en) Communication with a data storage device using an emulated Wi-Fi captive portal
WO2019062385A1 (zh) 无线接入点管理方法及系统
KR101613650B1 (ko) 스마트 기기, 그의 다중 무선중계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856A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