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811A -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공간 관계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공간 관계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811A
KR20220020811A KR1020217040191A KR20217040191A KR20220020811A KR 20220020811 A KR20220020811 A KR 20220020811A KR 1020217040191 A KR1020217040191 A KR 1020217040191A KR 20217040191 A KR20217040191 A KR 20217040191A KR 20220020811 A KR20220020811 A KR 20220020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transmission
uplink
transmission
base station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란 베누고팔
얀 저우
톈양 바이
정호 류
준이 리
타오 루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 제어 채널들 및 SRS 에 대한 공간 관계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방법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기지국으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공간 관계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 년 6 월 14 일에 출원된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PATIAL RELATION INDIC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861,882호 및 2020 년 2 월 4 일에 출원된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PATIAL RELATION INDIC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16/781,784호의 이점을 청구하며, 이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빔들을 활용하는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전화 통신,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여러 원격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를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 및 시간 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TD-SCDMA)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심지어 글로벌 레벨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텔레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예시의 텔레통신 표준은 5G 뉴 라디오 (New Radio; NR) 이다. 5G NR 은 레이턴시, 신뢰성, 보안성, 스케일러빌리티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 (IoT)) 와 연관된 새로운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에 의해 공표된 연속적인 모바일 브로드밴드 진화의 일부이다. 5G NR 은 강화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eMBB),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 (mMTC), 및 초 신뢰성 저 레이턴시 통신 (URLLC) 과 연관된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5G NR 의 일부 양태들은 4G 롱텀 에볼루션 (Long Term Evolution; LTE) 표준에 기초할 수도 있다. 5G NR 기술에서의 추가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들 개선들은 또한 다른 멀티-액세스 기술들 및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텔레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한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간략한 개요가 이하에 제시된다. 이 개요는 모든 고려된 양태들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며, 모든 양태들의 핵심적인 또는 결정적인 엘리먼트들을 식별하지도 않고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들의 범위를 기술하지도 않도록 의도된다. 그의 유일한 목적은 나중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두로서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부 개념들을 간략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장치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또한, 기지국으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장치가 제공된다.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사용자 장비 (UE) 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한다. 예시적인 장치는 또한,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을 구성하지 않았을 때,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한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이하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청구항에 특별히 적시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기재한다. 그러나, 이들 특징들은, 다양한 양태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몇몇만을 나타내고, 이 설명은 모든 그러한 양태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 는 각각 제 1 5G/NR 프레임, 5G/NR 서브프레임 내의 DL 채널들, 제 2 5G/NR 프레임, 및 5G/NR 프레임 내의 UL 채널들의 예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3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UE) 의 일 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른, 기지국과 UE 사이의 예시적인 통신 흐름이다.
도 5 내지 도 9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른,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10 은 예시적인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수단들/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한 개념적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 는 예시적인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수단들/컴포넌트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한 개념적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이다.
도 14 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하기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여러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도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여러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개념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시들에 있어서, 널리 공지된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원격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양태들이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들 장치 및 방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며, 여러 블록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 (일괄하여, "엘리먼트들" 로서 지칭됨) 에 의해 첨부 도면들에 예시될 것이다. 이들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예로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 (GPU들),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 (CPU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감소된 명령 세트 컴퓨팅 (RISC) 프로세서들, 시스템 온 칩 (SoC),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인코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 (read-only memory; 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광학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전술한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조합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형태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및/또는 저장 디스크를 포함하고 전파 신호들을 배제하고 송신 매체들을 배제하도록, 명시적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기계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및 "기계 판독가능 메모리" 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네트워크 (100) 의 일 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또한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로 지칭됨) 은 기지국들 (102), UE들 (104), 진화된 패킷 코어 (EPC) (160), 및 다른 코어 네트워크 (190) (예를 들어, 5GC (5G Core)) 를 포함한다. 기지국들 (102) 은 매크로셀들 (고 전력 셀룰러 기지국) 및/또는 소형 셀들 (저 전력 셀룰러 기지국)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매크로셀들은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소형 셀들은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및 마이크로 셀들을 포함한다.
4G LTE 를 위해 구성된 기지국들 (102)(총괄하여 진화된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E-UTRAN) 로 지칭됨) 은 백홀 링크들 (132)(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을 통해 EPC (160) 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5G NR 을 위해 구성된 기지국 (102) (차세대 RAN (NG-RAN) 으로 총칭됨) 은 제 2 백홀 링크 (184) 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190) 와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다른 기능들에 추가하여, 기지국들 (102) 은 하기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무선 채널 암호화 및 해독, 무결성 보호, 헤더 압축, 이동성 제어 기능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이중 접속성), 셀간 간섭 조정, 접속 설정 및 해제,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들을 위한 분산, NAS 노드 선택, 동기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공유,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가입자 및 장비 추적, RAN 정보 관리 (RIM), 페이징, 포지셔닝 및 경고 메시지의 전달. 기지국들 (102) 은 제 3 백홀 링크들 (134) (예컨대, X2 인터페이스) 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EPC (160) 또는 코어 네트워크 (190)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제 3 백홀 링크들 (134) 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UE들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각각은 개별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중첩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셀 (102') 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기지국들 (102) 의 커버리지 영역 (110) 과 중첩하는 커버리지 영역 (110') 을 가질 수도 있다. 소형 셀과 매크로셀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이종 네트워크로 알려질 수도 있다. 이종 네트워크는 또한, CSG (closed subscriber group) 로 알려진 제한된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홈 진화된 노드 B들 (eNB들) (HeNB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과 UE들 (104) 간의 통신 링크들 (120) 은 UE (104) 로부터 기지국 (102) 으로의 업링크 (UL) (역방향 링크로도 지칭됨)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 (102) 으로부터 UE (104) 로의 다운링크 (DL) (순방향 링크로도 지칭됨)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한 MIMO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통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UE들 (104) 은, 각각의 방향에서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 총 Yx MHz (x개 컴포넌트 캐리어들) 까지의 캐리어 집성에서 할당된 캐리어 당 Y MHz (예컨대, 5, 10, 15, 20, 100, 400 등의 MHz) 까지의 대역폭의 스펙트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캐리어들은 서로 인접할 수도 있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캐리어들의 할당은 DL 및 UL 에 대해 비대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에 대한 것보다 DL 에 대해 더 많거나 또는 적은 캐리어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및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는 프라이머리 셀 (PCell) 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는 세컨더리 셀 (SCell)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소정의 UE들 (104) 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 (device-to-device; D2D) 통신 링크 (158) 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D2D 통신 링크 (158) 는 DL/UL WWAN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도 있다. D2D 통신 링크 (158) 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채널들, 예컨대 물리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 (PSBCH), 물리 사이드링크 발견 채널 (PSDCH),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 (PSSCH), 및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 (PSCCH) 을 사용할 수도 있다. D2D 통신은 예를 들어 FlashLinQ, WiMedia, Bluetooth, ZigBee, IEEE 802.11 표준에 기초한 Wi-Fi, LTE 또는 NR 과 같은 다양한 무선 D2D 통신 시스템들을 통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시스템은 5 GHz 의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 링크들 (154) 을 통해 Wi-Fi 스테이션들 (STA들) (152) 과 통신하는 Wi-Fi 액세스 포인트 (AP) (15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할 때, STA (152) / AP (150) 는 채널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통신하기 전에 CCA (clear channel assessment) 를 수행할 수도 있다.
소형 셀 (102') 은 허가 및/또는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경우, 소형 셀 (102') 은 NR 을 채용하고, Wi-Fi AP (150) 에 의해 사용되는 바와 동일한 5 GHz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의 LTE 를 채용하는 소형 셀 (102')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커버리지를 부스팅하고 및/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은, 소형 셀 (102') 이든 또는 대형 셀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 이든, eNB, g노드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기지국을 포함하고 및/또는 이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gNB (180) 와 같은 일부 기지국들은, 전형적인 서브 6 GHz 스펙트럼에서, UE (104) 와 통신하는 밀리미터 파 (mmW) 주파수들 및/또는 근 mmW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gNB (180) 가 mmW 또는 근 mmW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때, gNB (180) 는 mmW 기지국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극단적 고 주파수 (extremely high frequency; EHF) 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의 RF 의 일부이다. EHF 는 30 GHz 내지 300 GHz 의 범위 및 1 밀리미터와 10 밀리미터 사이의 파장을 가진다. 대역에서의 무선 파들은 밀리미터 파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근접 mmW 는 10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 3 GHz 의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 초 고주파수 (SHF) 대역은 3 GHz 내지 30 GHz 사이로 확장되고, 또한 센티미터 파로서 지칭된다. mmW/근 mmW 무선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3 GHz 내지 300 GHz) 을 사용하는 통신은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갖는다. mmW 기지국 (180) 은 극단적으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보상하기 위해 UE (104) 로 빔포밍 (182) 을 활용할 수도 있다. 기지국(180) 및 UE (104) 는 빔포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안테나 엘리먼트들, 안테나 패널들, 및/또는 안테나 어레이들과 같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80) 은 빔포밍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송신 방향 (182') 으로 UE (104) 에 송신할 수도 있다. UE (104) 는 하나 이상의 수신 방향 (182'') 으로 기지국 (180) 으로부터 빔포밍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UE (104) 는 또한 빔포밍된 신호를 하나 이상의 송신 방향으로 기지국 (180) 에 송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80) 은 하나 이상의 수신 방향들로 UE (104) 로부터 빔포밍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80) / UE (104) 은 기지국 (180) / UE (104) 각각에 대한 최상의 수신 및 송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 (180) 에 대한 송신 및 수신 방향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UE (104) 에 대한 송신 및 수신 방향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EPC (160) 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MME) (162), 다른 MME들 (164), 서빙 게이트웨이 (166),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게이트웨이 (168),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센터 (BM-SC) (170),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DN) 게이트웨이 (17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ME (162) 는 홈 가입자 서버 (HSS) (174) 와 통신할 수도 있다. MME (162) 는 UE들 (104) 과 EPC (16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 (162) 는 베어러 (bearer)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인터넷 프로토콜 (IP) 패킷들은 서빙 게이트웨이 (166) 를 통해 전송되고, 서빙 게이트웨이 (166) 그 자체는 PDN 게이트웨이 (172) 에 접속된다. PDN 게이트웨이 (172) 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그리고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 (172) 및 BM-SC (170) 는 IP 서비스 (176) 에 접속된다. IP 서비스 (176) 는,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PS 스트리밍 서비스,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BM-SC (170) 는 MBMS 사용자 서비스 프로비저닝 및 전달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BM-SC (170) 는 콘텐츠 제공자 MBMS 송신을 위한 엔트리 포인트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에서의 MBMS 베어러 서비스들을 인가 및 개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MBMS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MBMS 게이트웨이 (168) 는 특정 서비스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MBSFN) 영역에 속하는 기지국들 (102) 에 MBMS 트래픽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세션 관리 (시작/정지) 와 eMBMS 관련 과금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 (190) 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 (192), 다른 AMF (193), 세션 관리 기능 (SMF) (194) 및 사용자 평면 기능 (UPF) (19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AMF (192) 는 UDM (Unified Data Management) (196) 과 통신중일 수도 있다. AMF (192) 는 UE들 (104) 과 코어 네트워크 (19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AMF (192) 는 QoS 흐름 및 세션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인터넷 프로토콜 (IP) 패킷은 UPF (195) 를 통해 전송된다. UPF (195) 는 UE IP 어드레스 할당 그리고 다른 기능들을 제공한다. UPF (195) 는 IP 서비스들 (197) 에 접속된다. IP 서비스 (197) 는,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PS 스트리밍 서비스, 및/또는 다른 IP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gNB, 노드 B, 진화된 노드 B (eN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 서비스 세트 (ESS), 송수신 포인트 (TRP), 또는 일부 다른 적당한 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및/또는 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 (102) 은 액세스 포인트를 UE (104) 에 대한 EPC (160) 또는 코어 네트워크 (190) 에 제공한다. UE들 (104) 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전화, 랩탑,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스마트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 전기 미터, 가스 펌프, 대형 또는 소형 주방 가전기기, 건강관리 디바이스, 임플란트, 센서/액추에이터,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들 (104) 중 일부는 IoT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파킹 미터, 가스 펌프, 토스터, 차량들, 심장 모니터 등) 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 (104) 는 또한, 스테이션,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기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특정 양태들에서, UE (104) 는 업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SRS 에 대한 디폴트 공간 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무선 통신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1 에서, UE (104) 는,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UE 공간 관계 컴포넌트 (19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 공간 관계 컴포넌트 (198) 는 또한 기지국으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특정 양태들에서, 기지국 (180) 은 업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SRS 에 대한 디폴트 공간 관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통해 무선 통신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1 에서, 기지국 (180) 은 사용자 장비 (UE) 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송신 구성 표시 (TCI) 컴포넌트 (199)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지국 TCI 컴포넌트 (199) 는 또한,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을 구성하지 않았을 때,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간 관계" 라는 용어는 UE 측 정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TCI" 라는 용어는 기지국 측 정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예들에서, 용어 "공간 관계" 및 "TCI" 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업링크 통신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은 다운링크 통신들 및/또는 사이드링크 통신들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다음의 설명은 5G/NR 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은 업링크 제어 채널들 및/또는 SRS 에 대한 디폴트 공간 관계가 통신들을 개선할 수도 있는, LTE, LTE-A, CDMA, GSM 및 다른 무선 기술들과 같이, 다른 유사한 영역들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효율적인 빔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2a 는 5G/NR 프레임 구조 내의 제 1 서브프레임의 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200) 이다. 도 2b 는 5G/NR 서브프레임 내의 DL 채널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230) 이다. 도 2c 는 5G/NR 프레임 구조 내의 제 2 서브프레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250) 이다. 도 2d 는 5G/NR 서브프레임 내의 UL 채널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 (280) 이다. 5G/NR 프레임 구조는 특정 서브캐리어 세트 (캐리어 시스템 대역폭) 에 대해, 서브캐리어 세트 내의 서브프레임이 DL 또는 UL 에 대해 전용인 FDD 일 수도 있거나, 또는 특정 서브 캐리어 세트 (캐리어 시스템 대역폭) 에 대해, 서브캐리어 세트 내의 서브프레임은 DL 및 UL 양자에 전용인 TDD 일 수도 있다. 도 2a, 도 2c 에 의해 제공된 예에서, 5G/NR 프레임 구조는 TDD 인 것으로 가정하고, 서브프레임 4 는 슬롯 포맷 28 (대부분 DL) 로 구성되며, 여기서 D 는 DL 이고, U 는 UL 이며, X 는 DL/UL 사이에서 사용하기에 유연하며, 서브프레임 3 은 슬롯 포맷 34 (대부분 UL) 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들 (3, 4) 은 각각 슬롯 포맷들 (34, 28) 로 도시되지만, 임의의 특정 서브프레임은 다양한 이용가능한 슬롯 포맷들 0-61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슬롯 포맷들 0, 1 은 각각 모두 DL, UL 이다. 다른 슬롯 포맷들 2-61 은 DL, UL 및 유연성 심볼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UE들은 수신된 슬롯 포맷 표시자 (slot format indicator; SFI) 를 통해 슬롯 포맷으로 (DL 제어 정보 (DCI) 을 통해 동적으로,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정적/정적으로) 구성된다. 아래 설명은 TDD 인 5G/NR 프레임 구조에도 적용됨을 유의한다.
다른 무선 통신 기술들은 상이한 프레임 구조 및/또는 상이한 채널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프레임 (10 ms) 은 10 개의 동일하게 사이징된 서브 프레임들 (1 ms) 로 분할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시간 슬롯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들은 또한, 7, 4, 또는 2 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미니-슬롯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슬롯은 슬롯 구성에 의존하여 7 개 또는 14 개 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롯 구성 0 에 대해, 각각의 슬롯은 14 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슬롯 구성 1 에 대해, 각각의 슬롯은 7 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DL 상의 심볼들은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OFDM (CP-OFDM) 심볼들일 수도 있다. UL 상의 심볼들은 CP-OFDM 심볼들 (높은 스루풋 시나리오들에 대해)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DFT) 확산 OFDM (DFT-s-OFDM) 심볼들 (또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심볼들로서 칭함)(전력 제한된 시나리오들에 대해; 단일 스트림 송신으로 제한됨) 일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들의 수는 슬롯 구성 및 뉴머롤로지에 기초한다. 슬롯 구성 0 에 대해, 상이한 뉴머롤로지들 μ (0 내지 5) 은 서브프레임 당 각각 1, 2, 4, 8, 16 및 32 슬롯들을 허용한다. 슬롯 구성 1 에 대해, 상이한 뉴머롤로지들 (0 내지 2) 은 서브프레임 당 각각, 2, 4 및 8 슬롯들을 허용한다. 따라서, 슬롯 구성 0 및 뉴머롤로지 μ 에 대해, 14 개의 심볼들/슬롯 및 2μ 슬롯들/서브프레임이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 및 심볼 길이/지속기간은 뉴머롤로지의 함수이다. 서브캐리어 간격은 2μ*15kHz 와 동일할 수도 있고, 여기서 μ 는 뉴머롤로지 0 내지 5 이다. 이와 같이, 뉴머롤로지 μ=0 는 15kHz 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며, 뉴머롤로지 μ=5 는 480kHz 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다. 심볼 길이/지속기간은 서브캐리어 간격과 반비례 관계이다. 도 2a 내지 도 2d 는 슬롯 당 14 개의 심볼들을 갖는 슬롯 구성 0 및 서브 프레임 당 4 개의 슬롯들을 갖는 뉴머롤로지 μ=2 의 예를 제공한다. 슬롯 지속시간은 0.25 ms 이고, 서브캐리어 간격은 60 kHz 이고 심볼 지속시간은 대략 16.67 μs 이다.
리소스 그리드는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시간 슬롯은, 12개의 연속적인 서브 캐리어들을 확장하는 리소스 블록 (RB) (물리 RB들 (PRB들) 로서도 또한 지칭됨) 을 포함한다. 리소스 그리드는 다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들 (RE 들) 로 분할된다. 각각의 RE 에 의해 반송된 비트들의 수는 변조 스킴에 의존한다.
도 2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RE들 중 일부는 UE 를 위한 레퍼런스 (파일럿) 신호들 (RS) 을 반송한다. RS 는 UE 에서 채널 추정을 위해 복조 RS (DM-RS)(하나의 특정 구성에 대해 Rx 로서 표시됨, 여기서 100x 는 포트 번호이지만, 다른 DM-RS 구성들이 가능함) 및 채널 상태 정보 레퍼런스 신호들 (CSI-RS) 을 포함할 수도 있다. RS 는 또한 빔 측정 RS (BRS), 빔 리파인먼트 RS (BRRS) 및 페이즈 추적 RS (PT-R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b 는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내의 다양한 DL 채널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은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엘리먼트들 (CCE들) 내의 DCI 를 반송하고, 각각의 CCE 는 9 개의 RE 그룹들 (REG들) 을 포함하고, 각각의 REG 는 OFDM 심볼에서 4 개의 연속하는 RE들을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 (PSS) 는 프레임의 특정 서브프레임들의 심볼 2 내에 있을 수도 있다. PSS 는 서브프레임/심볼 타이밍 및 물리 계층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해 UE (104) 에 의해 사용된다. 2차 동기화 신호 (SSS) 는 프레임의 특정 서브프레임들의 심볼 4 내에 있을 수도 있다. SSS 는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 그룹 번호 및 무선 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 UE 에 의해 사용된다. 물리 계층 아이덴티티 및 물리 계층 셀 아이덴티티 그룹 번호에 기초하여, UE 는 물리 셀 식별자 (PCI) 를 결정할 수 있다. PCI 에 기초하여, UE 는 전술된 DM-RS 의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정보 블록 (MIB) 을 반송하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은 동기화 신호 (SS)/PBCH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PSS 및 SSS 와 논리적으로 그룹화될 수도 있다. MIB 는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 및 시스템 대역폭에 다수의 RB들을 제공한다.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은 사용자 데이터, 시스템 정보 블록 (SIB) 들과 같은 PBCH 를 통해 송신되지 않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들을 반송한다.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RE 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을 위해 DM-RS (하나의 특정 구성에 대해서는 R 로 표시되지만, 다른 DM-RS 구성이 가능함) 를 반송한다. UE 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에 대해 DM-RS 및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에 대해 DM-RS 를 송신할 수도 있다. PUSCH DM-RS 는 PUSCH 의 처음 1 개 또는 2 개의 심볼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PUCCH DM-RS 는 짧거나 긴 PUCCH들이 송신되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그리고 사용된 특정 PUCCH 포맷에 의존하여 상이한 구성들로 송신될 수도 있다. UE 는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SRS 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SRS 는 콤 (comb)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UE 는 콤들 중 하나의 콤 상에서 SRS 를 송신할 수도 있다. SRS 는, UL 상에서 주파수 의존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하도록 채널 품질 추정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d 는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내의 다양한 UL 채널들의 일 예를 도시한다. PUCCH 는 하나의 구성에 표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도 있다. PUCCH 는 업링크 제어 정보 (UCI), 이를테면 스케줄링 요청, 채널 품질 표시자 (CQI),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 (PMI), 랭크 표시자 (RI), 및 HARQ ACK/NACK 피드백을 반송한다. PUSCH 는 데이터를 반송하고, 버퍼 상태 보고 (BSR), 전력 헤드룸 보고 (PHR), 및/또는 UCI 를 반송하는데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 (350) 와 통신하는 기지국 (31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DL 에서, EPC (160) 로부터의 IP 패킷들이 제어기/프로세서 (375)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계층 3 및 계층 2 기능성을 구현한다. 계층 3 은 무선 리소스 제어 (RRC) 계층을 포함하고 계층 2 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 (SDAP)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 (RLC)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을 포함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MIB, SIB) 의 브로드캐스팅, RRC 접속 제어 (예를 들어, RRC 접속 페이징, RRC 접속 확립, RRC 접속 수정 및 RRC 접속 해제), 무선 액세스 기술 (RAT) 간 이동성, 및 UE 측정 보고를 위한 측정 구성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 해제, 보안 (암호화, 복호화,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및 핸드오버 지원 기능들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패킷 데이터 유닛 (PDU) 들의 전송, ARQ 를 통한 에러 정정,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 (SDU) 의 연접 (concatenation), 세그먼테이션, 및 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 의 리세그먼테이션, 및 RLC 데이터 PDU들의 리오더링 (reordering) 과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맵핑, 전송 블록 (TB)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보고, HARQ 를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송신 (TX) 프로세서 (316) 및 수신 (RX) 프로세서 (370)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 1 기능성을 구현한다. 물리 (PH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1 은 전송 채널상의 에러 검출, 전송 채널의 순방향 에러 정정 (FEC) 코딩/디코딩, 인터리빙, 레이트 매칭, 물리적 채널상으로의 맵핑, 물리적 채널들의 변조/복조, 및 MIMO 안테나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316) 는 다양한 변조 방식들 (예를 들어, 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PSK (M-phase-shift keying), M-QAM (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에 기초하여 신호 컨스텔레이션들로의 맵핑을 핸들링한다. 그 후, 코딩되고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트림은 그 후 OFDM 서브캐리어로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레퍼런스 신호 (예컨대, 파일럿) 로 멀티플렉싱되며, 그 후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발생하기 위해 고속 푸리에 역변환 (IFFT) 을 이용하여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OFDM 스트림은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되어 다수의 공간적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채널 추정기 (374) 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코딩 및 변조 스킴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UE (350) 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 및/또는 채널 상태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별개의 송신기 (318TX) 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 (320)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 (318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E (350) 에서, 각각의 수신기 (354RX) 는 그 각각의 안테나 (352)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354RX) 는 RF 캐리어 상에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 (RX) 프로세서 (356) 에 제공한다. TX 프로세서 (368) 및 RX 프로세서 (356)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 1 기능성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 (356) 는 UE (350) 에 지정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해 그 정보에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UE (350) 에 대해 예정되면, 그것들은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RX 프로세서 (356) 에 의해 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RX 프로세서 (356) 는 고속 푸리어 변환 (FFT) 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레퍼런스 신호는, 기지국 (310) 에 의해 송신되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콘스텔레이션 지점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되고 복조된다. 이들 소프트 판정 (soft decision) 들은 채널 추정기 (358) 에 의해 컴퓨팅된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소프트 판정들은 그 후 기지국 (310) 에 의해 물리 채널 상에서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구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 후,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계층 3 및 계층 2 기능성을 구현하는 제어기/프로세서 (359) 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360)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360)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재어셈블리, 암호 해독, 헤더 압축해제, 및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EPC (160) 로부터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이용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기지국 (310) 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 (359) 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MIB, SIB들) 포착, RRC 접속들, 및 측정 리포팅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및 보안성 (암호화, 암호해독,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들의 전송, ARQ 를 통한 에러 정정, RLC SDU들의 연접, 세그먼트화, 및 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간의 맵핑, TB들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의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리포팅, HARQ 를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기지국 (310) 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신호 또는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추정기 (358) 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스킴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TX 프로세서 (368)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368) 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별도의 송신기들 (354TX) 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 (352)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송신기 (354TX) 는 송신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L 송신은 UE (350) 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 (310) 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 (318RX) 는 그 개개의 안테나 (320) 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 (318RX) 는 RF 캐리어 상에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RX 프로세서 (370) 에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376) 와 연관될 수 있다. 메모리 (376) 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UL 에서,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재어셈블리, 암호 해독, 헤더 압축해제, 및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EPC (350) 로부터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로부터의 IP 패킷들이 EPC (160) 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375) 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이용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의 UE 공간 관계 컴포넌트 (198) 와 관련하여 양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의 기지국 TCI 컴포넌트 (199) 와 관련하여 양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기술들은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빔이 기지국에 의해 명시적으로 구성되지 않을 때) UE 가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간 관계 정보는 업링크 송신물 (예를 들어, PUCCH 및/또는 SRS) 에 대한 옵션적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 UE 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명시적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으로부터의 공간 관계 정보의 명시적 구성의 부재 시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은 UE 가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UE 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규칙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 그 후, UE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할 수도 있다.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구성 없이 UE 가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무선 리소스들의 더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UE 와 기지국 사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도 4 는 본원에 제시된 것과 같이, 기지국 (402) 과 UE (404) 사이의 예시적인 무선 통신 (400) 을 도시한다. 기지국 (402)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도 1 의 기지국 (102/180) 및/또는 도 3 의 기지국 (310)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UE (404)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도 1 의 UE (104) 및/또는 도 3 의 UE (350)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의 무선 통신 (400) 은 하나의 UE (404) 와 통신하는 하나의 기지국 (402) 을 포함하지만,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임의의 적합한 양의 UE들 및/또는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고, 및/또는 UE (404) 는 임의의 적합한 양의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UE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 (402) 과 UE (404) 사이의 송신물들 중 일부는 업링크 송신물들 및 다운링크 송신물들로서 설명되지만, 다른 예들에서, 송신물들 중 임의의 것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이드링크 송신물들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 (402) 및 UE (404) 는 통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402) 은 UE (404) 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송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 (예를 들어, PDSCH)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DCCH) 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 (402) 은 다운링크 송신물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412)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송신한다. UE (404) 는 기지국 (402) 으로부터 다운링크 송신물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빔 (414) 을 통해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수신할 수도 있다.
420 에서, UE (404) 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404) 는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SRS, 및/또는 스케줄링 요청 (SR) 을 송신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시된 예에서,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은 기지국 (402) 에 의해 구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간 관계 정보는 PUCCH 및/또는 SRS 에 대한 옵션적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RRC 에서 (예를 들어, "PUCCH-config" 및/또는 "SRS-config" 를 통해) UE (404) 에 대해 기지국 (402) 에 의해 명시적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들은 UE 가 각각의 업링크 송신물에 대한 명시적 구성 없이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430 에서, UE (404) 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 (404) 는 기지국 (402) 으로부터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빔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빔 (414) 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440 에서, 기지국 (402) 은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 (402) 은 UE (404) 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빔 (412) 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30 에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한 후에, UE (404) 는 기지국 (402) 에 의해 수신되는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송신한다. 도시된 예에서, UE (404) 는 업링크 송신물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결정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예를 들어, 빔 (452))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송신한다. 기지국 (402) 은 UE (404) 으로부터 업링크 송신물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빔 (454) 을 통해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 (402) 은 440 에서 빔 (454) 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시적인 무선 통신 (400) 은 430 에서, UE (404) 가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것 및 440 에서, 기지국 (402) 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것을 도시하지만, 상대적 타이밍은 예시적이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예를 들어, 430 에서) UE (404) 가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결정을 수행하기 전에 (예를 들어, 440 에서) 모니터링할 빔의 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는 한편, 다른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예를 들어, 430 에서) UE (404) 가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결정을 수행한 후에 (예를 들어, 440 에서) 모니터링할 빔의 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할 수도 있는 빔 대응성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404) 가 빔 대응성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을 때,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빔 (41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에 대해 UE (404) 에 의해 사용되는 위상 오프셋들 및/또는 이득들은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위상 오프셋들 및/또는 이득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 (예를 들어, PDSCH) 일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UE (404) 는 430 에서,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송신 구성 표시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함으로써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404)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 중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 중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440 에서,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 식별자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 (454) 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402) 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 중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 중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임계 주기 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임계 주기 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물이 UE (404) 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UE (404)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물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ACK 신호를 기지국 (402) 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물의 송신과 ACK 신호의 수신 사이에 지연 (예를 들어, 송신들/신호들의 디코딩, 프로세싱 등을 위한 추가적인 시간 더하기 라운드 트립 시간) 이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UE (404) 는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기 및/또는 상기 빔을 사용하여 송신하기 전에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 임계 주기를 대기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402) 은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 및/또는 모니터링하기 전에 임계 주기를 대기할 수도 있다. 선택 및/또는 송신 전에 UE 와 연관된 임계 주기는 선택 및/또는 모니터링 전에 기지국 대기와 연관된 임계 주기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DCCH) 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430 에서, PDCCH 및/또는 DCI 를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리소스들 및/또는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특정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와 연관된 빔을 선택함으로써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UE (404)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은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RRC 시그널링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 - 제어 엘리먼트 (MAC-CE) 를 통해 특정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수신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440 에서,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 (454) 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UE (404)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은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 (402) 은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CE 를 통해 특정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시된 예는, 430 에서, UE (404) 가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수신한 후에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고 설명하지만,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수신하기 전에 및/또는 수신하지 않고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CORESET 가 구성될 수도 있고, UE (404) 는, 430 에서, 최저 CORESET ID 와 연관된 수신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CORESET 구성을 제공하는 다운링크 송신물은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일 수도 있고 및/또는 기지국 (402) 으로부터 UE (404) 로의 임의의 다른 선행하는 다운링크 송신물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CORESET 이 UE (404) 에 대해 구성되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할 수도 있고, 그 후, 이에 따라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404) 가 CORESET 이 구성된다고 결정하면, UE (404) 는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UE (404) 가 CORESET 가 구성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UE (404) 는 PDSCH 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430 에서, DCI 에서 표시된 빔을 선택함으로써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402) 은 440 에서, DCI 에서 표시된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 (450) 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 (454) 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복수의 송신-수신 포인트들 (TRP들)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UE (404) 는 430 에서, 각각의 다운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하는 빔들에 기초하여 TRP들 각각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452) 을 결정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402) 은, 440 에서, 대응하는 다운링크 빔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물 (410) 을 UE (404) 에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빔 (412)) 에 기초하여 TRP들 각각에 대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시된 예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지만,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업링크 송신물의 타입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404) 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SRS 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및 SR 을 송신하기 위한 제 3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및/또는 제 3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은 동일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일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및 제 3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중 적어도 하나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들 중 다른 하나와 상이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빔 대응성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UE (404) 는 기지국 (402) 으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404) 는 기지국 (402) 으로부터,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및/또는 DCI 시그널링을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후, UE (404) 는 복수의 후속 업링크 송신물들을 송신하기 위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업링크 송신 빔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구성되지 않을 때, UE (404) 는 각각의 업링크 송신물들 각각에 대한 시그널링을 수신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 가능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9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들의 흐름도들이다. 방법들은 UE (예를 들어, UE (104), UE (350), UE (404), UE (1350); 장치 (1002/1002'); 메모리 (360)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전체 UE (350) 또는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 (359) 와 같은 UE (35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옵션적인 양태들은 파선으로 예시된다. 도 5 내지 도 9 의 예시적인 흐름도들은 (예를 들어, 업링크 빔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구성되지 않을 때)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해 빠르고 효율적인 빔 선택을 수행하는 UE 를 용이하게 하며, 이는 UE와 기지국 사이의 감소된 오버헤드 시그널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라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500) 이다. 502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43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한 공간 관계 정보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빔) 는 옵션적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서 UE 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명시적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으로부터의 공간 관계 정보의 명시적인 구성의 부재 시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빔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지 않음), UE 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암시적으로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UE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상기 빔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복수의 TRP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각각의 TRP 에 대해, UE 는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하는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503 에서, UE 는 도 4 의 403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CORESET 이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는 CORESET 이 구성되는지 여부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UE 는 CORESET 이 구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는 CORESET 이 구성될 때 최저 CORESET 식별자에 대응하는 CORESET을 사용할 수도 있고, CORESET 이 구성되지 않을 때 PDSCH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504 에서, UE 는 상이한 업링크 송신물들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개별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SRS 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및 SR 을 송신하기 위한 제 3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각각의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일 수도 있다.
506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업링크 송신물 (45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컴포넌트 (1006)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업링크 송신물은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SRS, 또는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9 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9 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도 5 의 502 를 구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라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600) 이다. 도 6 의 예에서, UE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하도록, 빔 대응성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다.
602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다운링크 송신물 (4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004)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의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604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43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 (예를 들어, 다운링크 공유 채널) 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CI 상태 식별자 컴포넌트 (1008) 및/또는 공유 채널 빔 컴포넌트 (1010) 는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606 에서, UE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CI 상태 식별자 컴포넌트 (1008)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608 에서, UE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CI 상태 식별자 컴포넌트 (1008)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610 에서, UE 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채널 빔 컴포넌트 (1010) 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라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700) 이다. 도 7 의 예에서, UE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하도록, 빔 대응성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다.
702 에서, UE 는 도 4 의 다운링크 송신물 (4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RRC 또는 MAC-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특정 CORESET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004) 는 특정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의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704 에서, UE는, 예를 들어, 도 4 의 43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012) 는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UE (404)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은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라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800) 이다. 도 8 의 예에서, UE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하도록, 빔 대응성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다.
802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다운링크 송신물 (4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DCI 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004) 는 기지국으로부터 DCI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804 에서, UE는, 예를 들어, 도 4 의 43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DCI 에서 표시된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CI 핸들링 컴포넌트 (1014) 는 DCI 에서 표시된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DCI 는 (예를 들어, DCI 가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있고 대응하는 TCI 상태 정보를 반송할 때) TCI 상태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다. 일부 이러한 예들에서, TCI 상태 정보가 UE 에 이용가능할 때, UE 는 TCI 상태 정보와 QCL 될 수도 있는 그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어느 수신 빔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에서, RRC 에서 "tci-PresentInDCI" 파라미터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옵션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는 DCI 가 스케줄링된 공유 채널의 TCI 상태 정보를 반송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TCI 상태들은 하나 이상의 DL 레퍼런스 신호들 및 대응하는 QCL (준 코-로케이션) 타입과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QCL 타입 D 는 수신 빔 파라미터들에 관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UE 는 DCI 에 의해 구성된 다운링크 빔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9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교시들에 따라 설명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900) 이다. 902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다운링크 송신물 (4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경우,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004) 는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의 수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는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및/또는 DCI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904 에서, UE 는 예를 들어, 도 4 의 43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속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016) 는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0 은 기지국 (1050) 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장치 (1002) 에서의 상이한 수단들/컴포넌트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적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 (1000) 이다. 장치 (1002) 는 UE 또는 UE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장치 (1002) 는 수신 컴포넌트 (1004), 송신 컴포넌트 (1006), TCI 상태 식별자 컴포넌트 (1008), 공유 채널 빔 컴포넌트 (1010),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012), DCI 핸들링 컴포넌트 (1014),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016), 및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를 포함한다. 기지국 (1050) 은 도 1 의 기지국 (102/180), 도 3 의 기지국 (310), 도 4 의 기지국 (402), 및/또는 도 13/14 의 장치 (1302/1302') 에 대해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컴포넌트 (1004) 는 예를 들어, 기지국 (1050) 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들/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시지/정보는 수신 컴포넌트 (1004) 를 통해 수신되고,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추가 프로세싱 및/또는 사용을 위해 장치 (1002)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004) 는 (예를 들어, 602, 702, 802, 및/또는 902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다운링크 공유 채널, CORESET, DCI 시그널링, 디폴트 공간 관계 정보, MAC-CE 시그널링, 및/또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신 컴포넌트 (1006) 는 예를 들어, 기지국 (1050) 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들/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컴포넌트 (1006) 는 (예를 들어, 506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CI 상태 식별자 컴포넌트 (1008) 는 (예를 들어, 604, 606 및/또는 608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고 및/또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공유 채널 빔 컴포넌트 (1010) 는 (예를 들어, 604 및/또는 6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012) 는 (예를 들어, 70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CORESET과 연관된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UE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한다.
DCI 핸들링 컴포넌트 (1014) 는 (예를 들어, 80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DCI 에서 표시된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016) 는 (예를 들어, 90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속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는 (예를 들어, 502 및/또는 50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는 TCI 상태 식별자 컴포넌트 (1008), 공유 채널 빔 컴포넌트 (1010),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012), DCI 핸들링 컴포넌트 (1014), 및/또는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016) 에 의해 제공된 빔 표시를 사용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결정 컴포넌트 (1018) 는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 타입 (예를 들어, SRS, 업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SR (예를 들어, 50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음) 에 대한 각각의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수도 있다.
장치는 도 5 내지 도 9 의 전술된 흐름도들에서 알고리즘의 블록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5 내지 도 9 의 전술된 흐름도들에서 각각의 블록은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장치는 그러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은 진술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고, 진술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도 11 은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을 채용하는 장치 (1002')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1100) 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일반적으로 버스 (1124) 에 의해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124) 는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124) 는 프로세서 (1104), 컴포넌트들 (1004,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1018)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시킨다. 버스 (1124) 는 또한 여러 다른 회로들, 예컨대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절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으며, 이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트랜시버 (1110)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1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120) 에 커플링된다. 트랜시버 (1110) 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트랜시버 (11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12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1114), 구체적으로 수신 컴포넌트 (1004) 에 제공한다. 또한, 트랜시버 (111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114), 구체적으로는 송신 컴포넌트 (1006)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120) 에 적용될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104)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1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 (11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위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1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컴포넌트들 (1004, 1006, 1008, 1010, 1012, 1014, 1016, 1018)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컴포넌트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106) 에 상주/저장된, 프로세서 (11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프로세서 (1104)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UE (35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메모리 (360) 및/또는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전체 UE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의 UE (350) 를 참조).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02/1002') 는,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 및 기지국으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하고,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상기 빔에 대응할 수도 있다고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규칙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은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CORESET 과 연관된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RRC 시그널링 또는 MAC-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DCI 에 표시된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다운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하는 빔에 기초하여 복수의 TRP 의 각각의 TRP 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 SRS 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 및/또는 SR 을 송신하기 위한 제 3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기지국으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속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002/1002') 는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및 DCI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 언급된 수단은 상술한 수단에 의해 인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02) 의 상술한 컴포넌트들, 및/또는 장치 (1002') 의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 (1114) 은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서, 하나의 구성에서,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 (368), RX 프로세서 (356), 및 제어기/프로세서 (359) 일 수도 있다.
도 12 은 무선 통신의 방법의 흐름도 (1200) 이다. 방법은 기지국 (예를 들어, 102/180, 기지국 (310), 기지국 (402), 기지국 (1050); 장치 (1302/1302’), 메모리 (376)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전체 기지국 (310) 또는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 (375) 와 같은 기지국 (31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옵션적인 양태들은 파선으로 예시된다. 도 12 의 예시적인 흐름도 (1200) 는 (예를 들어, 업링크 빔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구성되지 않을 때)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해 UE 에 의한 빠르고 효율적인 업링크 빔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예를 들어, 기지국과 UE 사이의 오버헤드 시그널링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선된 셀 커버리지를 초래할 수도 있다.
1202 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4 의 다운링크 송신물 (4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UE 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컴포넌트 (1306) 는 다운링크 송신물의 송신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 CORESET, DCI 시그널링, 및/또는 디폴트 공간 관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CE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1204 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4 의 44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 선택 컴포넌트 (1308) 는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선택된 빔의 파라미터들은 다운링크 빔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일 수도 있고, 기지국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206 에서,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공유 채널 핸들링 컴포넌트 (1310)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1208 에서, 기지국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공유 채널 핸들링 컴포넌트 (1310)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1210 에서, 기지국은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공유 채널 핸들링 컴포넌트 (1310) 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은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기지국은 특정 CORESET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212 에서, 기지국은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312) 는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UE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특정 CORESET 는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CE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CORESET 식별자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도 있고, 기지국은 DCI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214 에서, 기지국은 DCI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CI 핸들링 컴포넌트 (1314) 는 DCI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1216 에서, 기지국은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해 개별 빔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빔 선택 컴포넌트 (1308) 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빔, SRS 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빔, 및 SR 을 수신하기 위한 제 3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예에서, 빔들 중 2 이상은 동일한 빔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은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기지국은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218 에서, 기지국은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업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316) 는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빔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1220 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4 의 업링크 송신물 (450) 및 빔 (454)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304) 는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술된 것과 같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한 공간 관계 정보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빔) 는 옵션적 파라미터일 수도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UE 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명시적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으로부터의 공간 관계 정보의 명시적인 구성의 부재 시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빔이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지 않음), UE 는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암시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3 은 UE (1350) 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장치 (1302) 에서의 상이한 수단들/컴포넌트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적 데이터 흐름 다이어그램 (1300) 이다. 장치 (1302) 는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장치 (1302) 는 수신 컴포넌트 (1304), 송신 컴포넌트 (1306), 빔 선택 컴포넌트 (1308), 다운링크 공유 채널 핸들링 컴포넌트 (1310),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312), DCI 핸들링 컴포넌트 (1314), 및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316) 를 포함한다. UE (1350) 는 도 1 의 UE (104), 도 3 의 UE (350), 도 4 의 UE (404), 및/또는 도 10/11 의 장치 (1002/1002') 에 대해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 컴포넌트 (1304) 는 예를 들어, UE (1350) 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들/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시지/정보는 수신 컴포넌트 (1304) 를 통해 수신되고,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추가 프로세싱 및/또는 사용을 위해 장치 (1302)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컴포넌트 (1304) 는 (예를 들어, 122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 빔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스테이션에 의해 구성되지 않을 때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송신된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신 컴포넌트 (1306) 는 예를 들어, UE (1350) 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들/메시지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컴포넌트 (1306) 는 (예를 들어, 1202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고,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고, RRC 시그널링 또는 MAC-CE 시그널링을 통해 CORESET 식별자를 송신하고, DCI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및/또는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또는 DCI 시그널링을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빔 선택 컴포넌트 (1308) 는 (예를 들어, 1204 및/또는 1216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고 및/또는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개별 빔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공유 채널 핸들링 컴포넌트 (1310) 는 (예를 들어, 1206, 1208, 및/또는 12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고,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특정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고, 및/또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ORESET 핸들링 컴포넌트 (1312) 는 (예를 들어, 1212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CORESET 과 연관된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CI 핸들링 컴포넌트 (1314) 는 (예를 들어, 1214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DCI 에서 표시된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공간 관계 정보 핸들링 컴포넌트 (1316) 는 (예를 들어, 1218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업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장치는 도 12 의 전술된 흐름도에서 알고리즘의 블록들의 각각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2 의 전술된 흐름도에서 각각의 블록은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장치는 그러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들은 진술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특정적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고, 진술된 프로세스들/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한 구현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도 14 은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을 채용하는 장치 (1302') 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 예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1400) 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버스 (1424) 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 (1424) 는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 (1424) 는 프로세서 (1404), 컴포넌트들 (1304, 1306, 1308, 1310, 1312, 1314, 1316),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406) 에 의해 표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시킨다. 버스 (1424) 는 또한, 타이밍 소스, 주변기기, 전압 레귤레이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시킬 수도 있고, 이들은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트랜시버 (1410) 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트랜시버 (14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420) 에 결합된다. 트랜시버 (1410) 는 송신 매체 상으로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트랜시버 (1410)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42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1414), 구체적으로 수신 컴포넌트 (1304) 에 제공한다. 또한, 트랜시버 (1410) 는 프로세싱 시스템 (1414), 구체적으로는 송신 컴포넌트 (1306)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1420) 에 적용될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406)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404)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14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406) 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한,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프로세서 (1404) 에 의해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하여 위에 설명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406) 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 (1404) 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컴포넌트들 (1304, 1306, 1308, 1310, 1312, 1314, 1316)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서 (1404) 에서 실행되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1406) 에 상주/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프로세서 (1404) 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기지국 (310)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메모리 (376) 및/또는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전체 기지국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의 기지국 (310) 참조).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02/1302') 는 UE 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수단, 및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선택된 빔의 파라미터들은 다운링크 빔에 대응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CORESET 과 연관된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RRC 또는 MAC-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DCI 에서 표시된 빔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복수의 TRP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의 TRP 에 대해,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의 선택은 대응하는 다운링크 빔에 기초한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빔을 선택하는 수단, 및 SRS 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빔에 기초하여 복수의 업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 (1302/1302') 는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및 DCI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UE 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 언급된 수단은 상술한 수단에 의해 인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02) 의 상술한 컴포넌트들, 및/또는 장치 (1302') 의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 (1414) 은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성에서, 전술된 수단은 전술된 수단에 의해 열거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TX 프로세서 (316), RX 프로세서 (370), 및 제어기/프로세서 (375) 일 수도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흐름도들에서 블록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위는 예시의 접근법들의 예시임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흐름도들에서 블록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위는 재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일부 블록들은 조합될 수도 있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블록들의 엘리먼트들을 샘플 순서로 제시하며,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위로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이며 제한 없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 또는 교시의 양태들과 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은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에서, 실시예 1 의 방법은 UE 가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빔에 대응한다.
실시예 3 에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규칙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4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가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5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가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6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가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7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규칙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가 최저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와 연관된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8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CORESET 이 UE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9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CORESET 이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0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UE 에서, RRC 또는 MAC-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1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규칙에 기초하여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가 DCI 에서 표시된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2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UE 가 복수의 TRP들과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TRP 에 대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응하는 빔에 기초한다.
실시예 13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이 업링크 제어 채널, SRS 또는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4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가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실시예는 SRS 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5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이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과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6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후속 업링크 송신물들에 대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17 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및 DCI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18 은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이다.
실시예 19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시스템 또는 장치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과 전자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이다.
실시예 20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하나에서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다.
실시예 21 은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UE 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에서, 실시예 21 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선택된 빔의 파라미터들은 다운링크 빔에 대응한다.
실시예 23 에서, 실시예 21 또는 실시예 22 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고, 선택된 빔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4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고, 선택된 빔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TCI 상태들의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5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고, 선택된 빔이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6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최저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와 연관된 빔에 기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7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CORESET 이 UE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8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CORESET 이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29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RRC 또는 MAC-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30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가 DCI 에서 표시된 빔에 기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31에서, 예 21 내지 예 3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기지국이 복수의 TRP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TRP 에 대해,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다운링크 빔에 기초한다.
실시예 32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이 업링크 제어 채널, SRS 또는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33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가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실시예는 SRS 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34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제 1 빔이 제 2 빔과 동일한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35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다운링크 송신물이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실시예는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업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36 에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및 DCI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UE 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37 은 실시예 2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이다.
실시예 38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시스템 또는 장치로 하여금, 실시예 2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과 전자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이다.
실시예 39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36 중 어느 하나에서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손쉽게 분명해질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보여진 양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언어 청구항과 부합하는 전체 범위가 부여되야 하고,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그렇게 언급되지 않았으면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단어 "예시적인" 은 본 명세서에서 "예, 인스턴스,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가 반드시 다른 양태들에 비해 유리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명확하게 달리 서술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 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과 같은 조합들은 A, B, 및/또는 C 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A 의 배수들, B 의 배수들, 또는 C 의 배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과 같은 조합들은 A만, B만, C만,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와 B 와 C 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임의의 그러한 조합들은 A, B, 또는 C 의 하나 이상의 멤버 또는 멤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나중에 공지되게 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명백히 통합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떤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공중에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단어들 "모듈", "메커니즘", "엘리먼트", "디바이스" 등은 단어 "수단" 을 대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그 엘리먼트가 어구 "위한 수단" 을 사용하여 분명히 인용되지 않는다면 기능식 (means plus function) 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0)

  1.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기지국에 의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은 업링크 제어 채널,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또는 스케줄링 요청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SRS 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 는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이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빔에 대응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상기 빔에 대응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최저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와 연관된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 은 상기 UE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상기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 은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상기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빔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빔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송신 구성 표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빔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송신 구성 표시 (TCI) 상태들의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상기 빔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에서 표시된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UE 는 복수의 송신-수신 포인트들 (TRP들) 과 통신하고, 각각의 TRP 에 대해,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대응하는 상기 빔에 기초하는, UE 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4. 제 1 사용자 장비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이 구성되지 않을 때,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고; 그리고
    기지국으로,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UE 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 (UE) 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을 구성하지 않았을 때, 상기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은 업링크 제어 채널,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또는 스케줄링 요청 (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제 1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SRS 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은 상기 제 2 빔과 동일한,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선택된 상기 빔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다운링크 빔에 대응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최저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식별자를 갖는 CORESET 와 연관된 빔에 기초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 은 상기 UE 에 의해 최종 모니터링된 슬롯에서 상기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 은 구성된 CORESET들의 세트 중에서 상기 최저 CORESET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 (RRC)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엘리먼트 (MAC-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CORESET 에 대한 CORESET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고, 선택된 상기 빔은 상기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활성화된 송신 구성 표시 (TCI) 상태들의 최저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고, 선택된 상기 빔은 상기 다운링크 공유 채널과 연관된 송신 구성 표시 (TCI) 상태들의 TCI 상태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고, 선택된 상기 빔은 임계 주기 이후에 최종 성공적으로 수신된 다운링크 공유 채널 빔에 대응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에서 표시된 상기 빔에 기초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송신-수신 포인트들 (TRP들) 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각각의 TRP 에 대해,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상기 빔을 선택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상기 다운링크 빔에 기초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2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송신물은 상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디폴트 업링크 공간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업링크 송신물들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링할 빔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의 방법.
  30.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 (UE) 로, 다운링크 빔 상에서 다운링크 송신물을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물에 대해 업링크 송신 빔을 구성하지 않았을 때, 상기 UE 로부터, 디폴트 업링크 송신 빔 상에서 상기 업링크 송신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217040191A 2019-06-14 2020-05-13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공간 관계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20220020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1882P 2019-06-14 2019-06-14
US62/861,882 2019-06-14
US16/781,784 US10897752B2 (en) 2019-06-14 2020-02-04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patial relation indic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16/781,784 2020-02-04
PCT/US2020/032746 WO2020251718A1 (en) 2019-06-14 2020-05-13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patial relation indic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11A true KR20220020811A (ko) 2022-02-21

Family

ID=7374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191A KR20220020811A (ko) 2019-06-14 2020-05-13 업링크 제어 채널 및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들에 대한 공간 관계 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897752B2 (ko)
EP (1) EP3984142A1 (ko)
JP (1) JP2022536339A (ko)
KR (1) KR20220020811A (ko)
CN (1) CN113940023A (ko)
AU (1) AU2020292176A1 (ko)
BR (1) BR112021024388A2 (ko)
SG (1) SG11202112615UA (ko)
WO (1) WO2020251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3809B (zh) * 2018-01-11 2023-07-21 富士通株式会社 上行信号发送方法、上行信号接收方法、装置和系统
WO2021083359A1 (en) * 2019-11-01 2021-05-06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fault spatial rel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S11943777B2 (en) * 2019-12-20 2024-03-2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default uplink (UL)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state
US11824613B2 (en) * 2020-03-26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beam downlink and uplink wireless system
US11515927B2 (en) * 2020-10-30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with backtracking and dithering
CN116848934A (zh) * 2021-01-14 2023-10-03 苹果公司 用于增强的直接辅小区激活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3515A2 (en) * 2016-05-11 2024-03-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US10779273B2 (en) * 2017-03-10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NR uplink transmit beam selection based on PDCCH/PDSCH receive beams
EP3621211A4 (en) * 2017-05-01 2020-10-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DURE
US10506587B2 (en) * 2017-05-26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indication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11277301B2 (en) * 2017-09-07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beam management
JP7087065B2 (ja) * 2017-09-07 2022-06-20 ペキン シャオミ モバイル ソフトウェ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アップリンクビーム管理
US20190103908A1 (en) * 2017-10-02 2019-04-04 Mediatek Inc. Method for Uplink Beam Ind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CN116112050A (zh) * 2017-11-17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配置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45106A1 (en) 2021-02-11
AU2020292176A1 (en) 2021-12-23
SG11202112615UA (en) 2021-12-30
WO2020251718A9 (en) 2021-04-22
EP3984142A1 (en) 2022-04-20
US20200396731A1 (en) 2020-12-17
WO2020251718A1 (en) 2020-12-17
JP2022536339A (ja) 2022-08-15
US10897752B2 (en) 2021-01-19
CN113940023A (zh) 2022-01-14
BR112021024388A2 (pt)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008B2 (en) Determination rule of PDSCH scheduled slot with PDCCH repetition
US20210250935A1 (en) Signaling-overhead reduction with resource grouping
US10973044B1 (en) Default spatial relation for SRS/PUCCH
US10897752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patial relation indic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11330617B2 (en) Scheduling threshold report for multi-transmit/receive points
WO202123626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cl assumptions for cross carrier multiple dci
US10827440B2 (en) Indication of potential NR UL transmission in NE-DC
US11617136B2 (en) Non-terrestrial network power control based on HARQ retransmission on or off
US11476984B2 (en) Flexible spectrum usage with carrier aggregation
WO20212232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 component carrier-based beam update
WO2021155589A1 (en) User equipment capability on report related to uplink beam selection
US11601937B2 (en) Gap enhancement for flexible symbols
US11791971B2 (en) Component carrier group based bandwidth part switching
US20210112434A1 (en) Preconfigured gaps for measurements based on configured bwps
US11405809B2 (en) Radio link monitoring reference signals for UEs that do not support CSI-RS based radio link monitoring
US11671995B2 (en)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based HARQ-ACK feedback generation
US20230276510A1 (en) Assisted connectivity
US20220116892A1 (en) Uplink spatial filter and power control for joint channel estimation across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s
US20230135803A1 (en) Management of uplink signal transmission repetitions in a user equipment (ue) configured with one or more portions of a frequency band
WO2021253267A1 (en) Method to handle out of local area data network servic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