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481A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481A
KR20220020481A KR1020200100759A KR20200100759A KR20220020481A KR 20220020481 A KR20220020481 A KR 20220020481A KR 1020200100759 A KR1020200100759 A KR 1020200100759A KR 20200100759 A KR20200100759 A KR 20200100759A KR 20220020481 A KR20220020481 A KR 2022002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nd sanitizer
natural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대
오정석
정유석
조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0010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481A/ko
Publication of KR2022002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알코올 화합물, 글리콜 화합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목단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천연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 프로폴리스,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HAND SANITAZER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균성이 우수한 손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마스크 착용, 손세정과 같은 개인적인 위생 습관에 의해 바이러스의 전파를 상당부분 억제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 대유행시 효과적으로 바이러스의 전파를 빠르고 손쉽게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신종 플루와 같은 바이러스가 유행한 후 각종 손소독제, 손세정제 등의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선보였고, 현재 식약청에서는 손소독제를 의약외품으로, 손세정제는 화장품으로 분류해서 관리하고 있다.
현재 시판되는 일반적인 손소독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염화벤잘코늄, 크레졸, 과산화수소수 중 하나의 소독 성분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소독 성분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보호하기 위한 보습제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토코페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시판되는 손소독제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젤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판되는 손소독제는 주원료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염화벤잘코늄, 크레졸 또는 과산화수소수 등과 같은 소독 성분을 다량 포함하여 알러지, 피부 트러블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피부 질환을 줄이면서, 항균성이 있는 손소독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계피, 후박, 금은화, 연교 및 고삼, 가죽나무, 노간주나무, 노박덩굴, 매실나무, 먼나무, 물푸레나무, 백량금, 생달나무, 석류나무, 오동나무, 함박꽃나무, 할미꽃, 개나리, 산초나무, 자금우 및 인동덩굴이 대장균 등 세균을 억제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에 대해서도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발명자는 목단피, 금은화, 고삼, 계피, 연교, 생강 등의 시중에서 구매가 용이한 물질을 검토 대상으로 선택하고, 추가로 논문 등을 참조하여 프로폴리스도 검토 대상에 추가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평가하였다. 검토 결과,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균성이 우수한 손소독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36151호 (공개일: 2017. 4. 3.)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균성이 우수한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코올 화합물, 글리콜 화합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목단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천연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 프로폴리스,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제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향이 좋고 항균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습성이 우수하다.
도 1 내지 3은 시험예 1의 항균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손소독제 조성물의 항균 시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손소독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제 조성물은 알코올 화합물, 글리콜 화합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다.
알코올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은 주성분으로 조성물에 항균 및 살균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크레졸 및 과산화수소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1개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화합물이며,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1 내지 10 중량부의 글리콜 화합물에 대하여 50 내지 75 중량부, 또는 60 내지 7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알코올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항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글리콜 화합물
글리콜 화합물은 피부 손상을 보호하기 위한 보습제 성분이다. 이때, 상기 글리콜 화합물은 2 내지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화합물은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및 PEG-8(polyethylene glycol-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리콜 화합물은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4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글리콜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알코올 화합물이 항균 또는 살균 활성의 발휘 전에 증발되어 제조된 손소독제의 살균 또는 항균 효과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제조된 손소독제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끈적임이 심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천연 추출물
상기 천연 추출물은 제1 천연 추출물 및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손소독제 조성물은 상기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향이 좋고 항균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습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은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0.8 내지 9 중량부, 0.9 내지 8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또는 1.2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천연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천연 추출물 첨가로 인한 효과인 보습성이 부족하여 손소독제 사용 후 피부 건조함이 발생하거나 조성물의 항균 활성이 부족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천연 추출물의 첨가량 대비 효과가 미비하여 손소독제 비용 상승에 따른 경제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천연 추출물
상기 제1 천연 추출물은 목단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목단피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은 조성물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 및 보습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목단피는 목단(Paeonia suffruticosa Andrews, 모란)의 껍질 또는 뿌리 껍질일 수 있다.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예를 들어, 매그놀롤(magnolol), 이소매그놀롤(isomagnolol), 후노키올(honokiol) 및 마치올(machiol) 등의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0.3 내지 4.5 중량부, 0.5 내지 4 중량부, 또는 0.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목단피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살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손소독제 제조 비용 상승에 따라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생강 추출물>
생강 추출물은 조성물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 및 향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생강 추출물은 생강(ginger)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강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강 추출물은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0.3 내지 4.5 중량부, 0.5 내지 4 중량부, 또는 0.5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생강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살균 효과가 저하되거나 조성물에 이취(異臭)감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손소독제 제조 비용 상승에 따라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0.7 내지 8 중량부, 0.7 내지 5 중량부, 또는 0.8 내지 3 중량부의 제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천연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이들 추출물 첨가로 인한 효과인 보습성이 부족하여 손소독제 사용 후 피부 건조함이 발생하거나 조성물의 항균 활성이 부족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이들 추출물의 첨가량 대비 효과가 미비하여 손소독제 비용 상승에 따른 경제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천연 추출물
상기 제2 천연 추출물은 연교 추출물, 프로폴리스,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이때, 상기 제2 천연 추출물은 조성물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향상시키고, 보습력 및 좋은 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교 추출물의 연교는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연교(連翹, Forsythia suspensa Vah)의 열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피 추출물의 계피는 육계나무(Cinnamomum zelanicum), 또는 계피나무(Cinnamomum cassia)의 껍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육계나무 껍질일 수 있다.
상기 연교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교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제2 천연 추출물은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0.2 내지 3 중량부, 또는 0.4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희석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용제는 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탈이온수, 순수, 초순수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석제는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에 대하여 10 내지 45 중량부, 15 내지 40 중량부, 또는 20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희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일 경우, 손소독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너무 낮아져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첨가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살균소독제 등의 제조를 위해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연마제, 항여드름제, 항고착제(anticaking agent), 항산화제, 결합제, 생물학적 첨가제, 벌크화제, 킬레이트화제, 화학적 첨가제, 착색제, 변성제, 약물 수렴제, 유화제, 방향성 성분, 습윤제, 유백화제, 가소제, 보존제, 추진제, 환원제, 피부 표백제, 피부연화제, 피부 보호제, 발포 촉진제 (foam boosters), 굴수제(hydrotropes), 점착방지제(detackifiers), 및 점도 증가제(수성 및 비수성), 격리제(sequestrants)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살균소독제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액체상, 고체상 및 기체상 중 임의의 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인체 자체 또는 인간이 사용하는 각종 기구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인체에 적용되는 경우, 경구, 비경구 등 임의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인체 자체 또는 각종 기구나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 환제, 캡슐제, 분체제제 등과 같은 경구 투여용 약학 제형, 또는 분무제, 세정제, 겔제, 액제, 크림제, 연고제 등과 같은 외용제 또는 기구 및 장치 적용 가능 제형을 들 수 있다.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병원성 미생물 또는 감염성 균주, 예를 들어 그람 양성균 또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대장균(E.coli), 바실러스 균(Bacillus sp.), 마이크로코커스 균(Micrococcus sp.), 스 테필로코코스 균(Staphylococcus sp.), 엔테로코커스 균(Enterococcus sp.), 살모넬라 균(Salmonella sp.), 클렙시엘라(Klebsiella sp.) 및 슈도모나스 균(Pseudomonas. s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소독제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사스 바이러스 및 코로나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손소독제 조성물은 향이 좋고 항균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습성이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자들은 허준의 동의보감을 참조하여 후보 물질로 계피, 연교 및 생강을 선택하여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항균 물질의 선별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뿌리 껍질, Moutan Root Bark), 금은화(Lonicera japonica),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계피(Cinnamomum zelanicum), 연교(Forsythia suspensa Vah의 열매), 및 생강 각각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한 후, 분쇄물 10g을 90℃의 뜨거운 물 100g에서 1시간 우려내어 각각의 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프로폴리스로 한국양봉농협사의 프로폴리스 원액 100%을 물로 10부피%의 농도로 희석하여 프로폴리스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각 물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희석액의 항균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 균주는 배지(muller hinton broth)를 이용하여, 37℃에서 배양한 후 항균 시험에 사용하였다. 이때, 시험 균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사용하였으며, 각 균주는 미국균주은행(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로부터 분양받았다.
이후 한천 배지(MHB, Muller Hinton agar, Merk Co., 독일)에 상기 각 시험 균주의 배양액의 농도가 105~106 CFU가 되도록 도말하고, 상기 계피, 연교 및 생강 각각의 물추출물 10 ㎕를 지름 0.8 mm 크기의 종이 디스크(paper disk, Advantac, USA)에 적하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상기 물추출물 처리군의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 내지 3에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계피 물추출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비교 사진이고, 도 2는 연교 물추출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비교 사진이며, 도 3은 생강 물추출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비교 사진이다.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무처리군 100 100
목단피 물추출물 0.1 1.6
금은화 물추출물 85.7 85.5
고삼 물추출물 84.1 83.7
계피 물추출물 91.5 86.2
연교 물추출물 85.6 84.0
생강 물추출물 9.3 8.9
프로폴리스 희석액 85.8 86.4
표 1 및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균 및/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인 금은화 물추출물, 고삼 물추출물, 계피 물추출물, 연교 물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희석액은 항균 활성이 부족하고, 목단피 물추출물 및 생강 물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목단피 및 생강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상기 물추출물은 상온 보관시 부패하여, 손소독제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이후 실험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1. 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뿌리 껍질, Moutan Root Bark) 1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 후, 에탄올 10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여 목단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생강 추출물의 제조
생강 1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 후, 에탄올 10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여 생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연교 추출물의 제조
연교(Forsythia suspensa Vah의 열매) 1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 후, 에탄올 10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여 연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금은화 추출물의 제조
금은화(Lonicera japonica) 1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 후, 에탄올 10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여 금은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고삼 추출물의 제조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1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 후, 에탄올 10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여 고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계피 추출물의 제조
계피(Cinnamomum zelanicum) 1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0.5cm 이하가 되도록 분쇄 후, 에탄올 10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및 여과하여 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7 및 비교예 1 내지 4.
표 2 내지 4와 같은 함량의 성분을 혼합하여 손소독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프로폴리스로는 한국양봉농협사의 프로폴리스 원액 100%을 사용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 2 3 4 5 6 7 8 9
글리세린 7 7 7 7 7 7 7 7 7
29 29 29 29 29 29 29 29 29
에탄올 62 62 62 62 62 62 62 62 62
제조예 1의 목단피 추출물 1 - 1 - 1 - 1 - 1
제조예 2의 생강 추출물 - 1 - 1 - 1 - 1 -
제조예 3의 연교 추출물 1 1 - - - - - - -
프로폴리스 - - 1 1 - - - - -
제조예 4의 금은화 추출물 - - - - 1 1 - - -
제조예 5의 고삼 추출물 - - - - - - 1 1 -
제조예 6의 계피 추출물 - - - - - - - - 1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실시예
10 11 12 13 14 15 16 17
글리세린 7 7 7 7 7 6 5 4
29 29 28.5 28 27.5 27 26 25
에탄올 62 62 62 62 62 65 67 69
제조예 1의 목단피 추출물 - 0.5 1.5 2 2.5 1 1 1
제조예 2의 생강 추출물 1 0.5 - - - - - -
제조예 3의 연교 추출물 - - - - - - - -
프로폴리스 - 1 1 1 1 1 1 1
제조예 4의 금은화 추출물 - - - - - - - -
제조예 5의 고삼 추출물 - - - - - - - -
제조예 6의 계피 추출물 1 - - - - - - -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부) 비교예
1 2 3 4
글리세린 - 33 7 7
36 65 31 30
에탄올 62 - 62 62
제조예 1의 목단피 추출물 1 - - -
제조예 2의 생강 추출물 - 1 - -
제조예 3의 연교 추출물 1 1 - 1
총량 100 100 100 100
실험예. 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손소독제를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1) 항균성 평가
각각의 시험 균주는 배지(muller hinton broth)를 이용하여, 37℃에서 배양한 후 항균 시험에 사용하였다. 이때, 시험 균주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을 사용하였으며, 각 균주는 미국균주은행(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로부터 분양받았다.
이후 한천 배지(MHB, Muller Hinton agar, Merk Co., 독일)에 상기 각 시험 균주의 배양액의 농도가 105~106 CFU가 되도록 도말하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손소독제 10 ㎕를 지름 0.8 mm 크기의 종이 디스크(paper disk, Advantac, USA)에 적하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손소독제 처리군의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중 실시예 1의 손소독제 조성물 처리군과 무처리군 사진을 도 4에 나타냈다.
(2) 항바이러스 평가
MDCK(Madin Darby Canine Kidney) 세포를 ATCC (CCL-34)에서 분양 받았다. 이후 96 well microplate에 MDCK 세포를 각 well 당 1X105/well이 되도록 넣고, 배지 EMEM(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 10% FBS)로 배양하였다. MDCK 세포가 monolayer가 되면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또한, H1N1(Human Influenza A) 및 Human Rhinovirus 1(HRV1) 각각을 100 TCID50이 되도록 희석하여 EP 튜브에 담아 두었다. 상기 각 EP 튜브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5mg/ml의 농도로 넣고, 22℃에서 5분 동안 반응 시켰다. 5분 후 상기 반응액을 세척해 놓은 MDCK 세포에 3well씩 각각 접종하고 35℃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ASTM E1052-11에 따라 항바이러스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항바이러스 시험 결과는 log reduction값으로, 1 이상은 90% 이상의 항바이러스성, 2 이상은 99% 이상의 항바이러스성, 3 이상은 99.9% 이상의 항바이러스성, 4 이상은 99.99% 이상의 항바이러스성, 5 이상은 99.999% 이상의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3) 보습성
오너클랜사의 피부수분측정기구인 ENTASCAN을 이용하여 10명의 손의 수분도(초기 수분도, 단위: %)를 측정하였다. 이후 10명의 손바닥에 100원 동전 크기로 손소독제를 올린 후 1분간 손 구석구석에 손소독제를 발랐다. 30초 후, 손소독제 처리 전에 확인하였던 곳과 같은 위치의 수분도(손소독제 처리 후 수분도, 단위: %)를 확인하였으며, 초기 수분도를 기준으로 손소독체 처리 후의 수분도 변화량을 하기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수분도 변화량 = 손소독체 처리 후 수분도-초기 수분도
이때, 수분도 변화량이 20% 이상인 경우 우수, 수분 변화량이 15% 이상 20% 미만인 경우 양호, 수분 변화량이 10% 이상 15% 미만인 경우 보통, 수분 변화량이 10% 미만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4) 피부자극성
10명의 손바닥에 100원 동전 크기로 손소독제를 얹은 후 1분간 손 구석구석에 발랐다. 손소독제 도포 후 10분 이내에 피부가 붉게 되거나 간지러워하는 사람의 수를 확인하였다.
이때, 사람의 수가 0명인 경우 자극 없음으로 우수, 1명 또는 2명인 경우 자극 약간 있음으로 양호, 3명 내지 5명인 경우 보통으로, 6명 이상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5) 발림성
10명의 손바닥에 100원 동전크기로 손소독제를 얹은 후 1분간 손 구석구석에 발랐다. 30초 방치 후 종이조각이 담긴 상자에 손바닥을 대고 눌러 종이조각을 붙인 후, 손을 들어 잔류 종이조각 개수의 평균값에 따라 끈적이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종이조각이 담긴 상자로는 가로 0.2cmX세로 0.2cm가 되도록 종이조각 100장을 잘라 상자에 담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잔류 종이조각이 1장도 없는 경우 우수, 1장 이상 3장 미만일 경우 양호, 3장 이상 7장 미만일 경우 보통, 7장 이상일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6) 저장 안정성(저온)
손소독제 60ml를 투명한 용기에 담고, 5℃ 오븐에 넣어 한달 동안 방치한 후 층분리 또는 색상 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하였다. 층분리 또는 색상 변화가 있으면 불량, 없으면 우수로 평가하였다.
(7) 저장 안정성(고온)
손소독제 60ml를 투명한 용기에 담고, 65℃ 오븐에 넣어 한달 동안 방치한 후 층분리 또는 색상 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하였다. 층분리 또는 색상 변화가 있으면 불량, 없으면 우수로 평가하였다.
항균성 항바이러스 보습성
(수분도
변화량)
피부
자극성
(명)
발림성
(장)
저장 안정성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H1N1 HRV1 저온 고온
무처리군 100 100 - - - - - - -
실시예 1 <0.1 <0.1 3.68 3.53 22 0 2 우수 우수
실시예 2 <0.1 <0.1 3.61 3.4 21 0 2 우수 우수
실시예 3 <0.1 <0.1 3.55 3.41 20 0 2 우수 우수
실시예 4 <0.1 <0.1 3.63 3.40 22 0 2 우수 우수
실시예 5 <0.1 <0.1 3.64 3.46 22 0 2 우수 우수
실시예 6 <0.1 <0.1 3.5 3.44 20 0 2 우수 우수
실시예 7 <0.1 <0.1 3.63 3.48 22 0 2 우수 우수
실시예 8 <0.1 <0.1 3.64 3.45 21 0 2 우수 우수
실시예 9 <0.1 <0.1 3.59 3.42 21 1 2 우수 우수
실시예 10 <0.1 <0.1 3.57 3.45 21 1 2 우수 우수
실시예 11 <0.1 <0.1 3.62 3.43 21 0 2 우수 우수
실시예 12 <0.1 <0.1 3.66 3.47 24 0 2 우수 양호
실시예 13 <0.1 <0.1 3.66 3.48 24 0 2 우수 양호
실시예 14 <0.1 <0.1 3.68 3.51 25 0 2 우수 양호
실시예 15 <0.1 <0.1 3.63 3.45 20 2 3 우수 우수
실시예 16 <0.1 <0.1 3.65 3.48 20 2 3 우수 우수
실시예 17 <0.1 <0.1 3.68 3.50 21 3 4 우수 우수
비교예 1 66.9 71.2 0.6 0.4 0.5 10 0 우수 우수
비교예 2 <0.1 <0.1 2.1 1.8 24 0 30 보통 불량
비교예 3 2.1 1.9 3.11 3.08 17 0 2 우수 우수
비교예 4 2.0 2.2 3.25 3.16 13 0 2 우수 우수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7의 손소독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의 손소독제 조성물보다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보습성, 피부 자극성, 발림성 및 저장 안정성이 우수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글리콜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손에 손소독제를 도포하자마자 에탄올이 증발됨에 따라 항균성 및 항바이러스성이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부족하여 살균 효과를 제대로 보기 힘들었으며, 또한 보습성이 부족하고 피부 자극성이 있었다.
에탄올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는 발림성이 부족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소독제에서 층분리가 발생하여 저장 안정성이 떨어졌다.
또한, 목단피, 생강 등의 천연 추출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3, 및 목단피 및 생강 추출물은 함유하지 않고 연교 추출물만 함유하는 비교예 4는 항균성이 부족하며, 보습력 또한 부족했다.

Claims (5)

  1. 알코올 화합물, 글리콜 화합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목단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천연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 프로폴리스,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50 내지 75 중량부의 알코올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의 글리콜 화합물 및 0.8 내지 9 중량부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0.7 내지 8 중량부의 제1 천연 추출물 및 0.1 내지 5 중량부의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화합물은 글리세린(Glycerin), 1,3-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및 PEG-8(polyethylene glycol-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인, 손소독제 조성물.
KR1020200100759A 2020-08-11 2020-08-1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KR20220020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59A KR20220020481A (ko) 2020-08-11 2020-08-1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59A KR20220020481A (ko) 2020-08-11 2020-08-1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481A true KR20220020481A (ko) 2022-02-21

Family

ID=8047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759A KR20220020481A (ko) 2020-08-11 2020-08-1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04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151A (ko) 2015-09-23 2017-04-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151A (ko) 2015-09-23 2017-04-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e Carvalho et al. Evidence-based studies and perspectives of the use of Brazilian green and red propolis in dentistry
KR20090097406A (ko)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Wieczynsk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cytotoxic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different extracts of propolis from the west Pomeranian region in Poland
CN104523545A (zh) 一种抗菌护肤手消毒液及其制备方法
KR102386693B1 (ko) 매실 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소독제
Pasdaran et al. Natural products as source of new antimicrobial compounds for skin infections
KR101383519B1 (ko) 항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138192B (zh) 抑菌抗炎中药组合物及该组合物制成的洗涤剂
KR101674512B1 (ko) 항균력과 유산균 증식력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Wijayawardhan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 combination of three natural plant extracts and development of a herbal soap.
KR102421688B1 (ko) 치자꽃 추출물, 펠라고니움 그라베올렌스 추출물,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노화방지용 항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0481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KR102411576B1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52009B1 (ko) 비자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또는 살균용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10232723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8211B1 (ko)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CN110652533A (zh) 一种抑菌组合物及其应用
KR102507175B1 (ko) 세이지 추출물, 소목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0990B1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024974A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102553206B1 (ko) 나노화된 벌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