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481A -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481A
KR20220019481A KR1020200099949A KR20200099949A KR20220019481A KR 20220019481 A KR20220019481 A KR 20220019481A KR 1020200099949 A KR1020200099949 A KR 1020200099949A KR 20200099949 A KR20200099949 A KR 20200099949A KR 20220019481 A KR20220019481 A KR 20220019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ce
present
luminescence
im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준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481A/ko
Publication of KR2022001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5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acquisition of images from more than one imaging mode, e.g. combining MRI and optical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64Fluorescence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동물의 해부된 각각의 장기에 대한 2차원 영상과 해당 장기에 발광 및 형광 조영제를 투여한뒤 촬영한 발광 및 형광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조직 위치를 분석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MODELING METHOD FOR GENERATING 3D FLUORESCENCE AND LUMINESCENCE IMAGES OF EXPERIMENTAL ANIMALS}
본 발명은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형광 및 발광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영상 기술은 자기공명영상, 핵 의학영상, 초음파 영상과 비교하여 높은 민감도를 가지면서도 실시간 영상획득이 가능하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기 때문에 수술 중 암 등의 병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로 평가된다. 더욱이, 최근 들어서 내시경 및 복강경 장비에 근적외선 형광 영상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점차 상업화됨에 따라서, 형광영상을 이용한 시술은 앞으로 환자 시술에 있어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종양 등 질병의 발현, 조기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 시약과 바이오 마커 개발 등 다양한 생리/병리학적 연구를 위하여, 소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생체진단용 형광 영상화 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생체진단용 형광 영상화 장치에서는 피검체 생체 내에서 물질의 이동 및 추적, 생리/병리학적 반응 및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등을 생체 내(in-vivo)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 장비들에서는 실험 대상체 전체(whole body)를 대상으로 형광 단백 물질이나 조영제 등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하고, 광에 의한 형광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피검체로부터 형광신호의 발생과 발생된 형광신호의 수집 등은 조사되는 광의 세기, 검출기의 거리 및 위치등에 의존적이며, 미시적 관찰인 현미경 관찰과는 달리, 관찰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이 넓어지면서 광의 균질도 및 여기 효율 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조사되는 광 세기 분포가 균질하지 않을 경우 같은 생체 형광물질 조건에서도 다른 세기의 형광이 발생하게 되므로 실험오차 및 신호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험 대상체의 생리 병리학적 상태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2차원 영상을 정합하여 3차원 영상으로 모델링하여 형광 및 발광영상 분석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5342호(2016.06.0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형광 및 발광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험동물의 해부된 각각의 장기에 대한 2차원 영상과 해당 장기에 발광 및 형광 조영제를 투여한뒤 촬영한 발광 및 형광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조직 위치를 분석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복수의 방향에서 실험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정합하여 3D 영상으로 모델링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시스템(100)은 해부된 실험동물의 각각의 조직의 크기 및 모양에 대한 실측 데이터와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시스템(100)은 해부된 실험동물의 조직에 발광 또는 형광 물질을 주입하고, 해당 조직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 받는다.
다음으로, 모델링 시스템(100)은 입력받은 실험동물의 각각의 조직의 크기 및 모양에 대한 실측 데이터와 촬영된 영상 및 발광 또는 형광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모델링 시스템(100)은 형광영상과 일반영상 각각의 픽셀 값을 비교하고, 각각의 픽셀 값 중에서 큰 값을 가지는 영상을 선택한다.
즉, 형광이 발현된 부분은 형광색영상 나타나고, 그 이외의 부분은 흑백 영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모델링 시스템(100)은 합성된 3차원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형광 물질이 어떤 조직에서 활성화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조직 위치를 분석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델링 시스템

Claims (1)

  1.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실험동물의 해부된 각각의 장기에 대한 2차원 영상과 해당 장기에 발광 및 형광 조영제를 투여한뒤 촬영한 발광 및 형광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을 생성하는 모델링 방법.
KR1020200099949A 2020-08-10 2020-08-10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KR20220019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49A KR20220019481A (ko) 2020-08-10 2020-08-10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49A KR20220019481A (ko) 2020-08-10 2020-08-10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481A true KR20220019481A (ko) 2022-02-17

Family

ID=8049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49A KR20220019481A (ko) 2020-08-10 2020-08-10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4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0334A1 (en) Pen-type medical fluorescent imaging device and system for aligning multiple fluorescent images using the same
US11583237B2 (en) Method and measuring apparatus for an X-ray fluorescence measurement
US20240057867A1 (en) Nir image-guided targeting
JP6920931B2 (ja) 医療画像処理装置、内視鏡装置、診断支援装置、及び、医療業務支援装置
US86436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iodic body scan differencing
JP630497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13099573A (ja) 蛍光光画像の発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413619B2 (en) Imaging device
US10064556B2 (en) Photoacoustic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of photoacoustic apparatus, and program
US10993621B2 (en) Contact-free physiological monitoring during simultaneo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2005169116A (ja) 融合画像表示方法
US20070238997A1 (en) Ultrasound and fluorescence imaging
EP3641622B1 (en) System for endoscopic imaging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JP201324598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20140051975A1 (en) Multiple heterogeneous imaging systems for clinical and preclinical diagnosis
CN112584740B (zh) 医疗图像处理装置
WO2020040086A1 (ja) 医療画像処理システム
US110767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tracking of bony structures
KR20220019481A (ko) 실험동물에 대한 3차원 형광 및 발광영상 생성을 위한 모델링 방법
US11850022B2 (en) NIR image-guided targeting
US11931008B2 (en) Treatment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gion of interest
KR100869782B1 (ko) 생체광학 영상장치
JP2005058526A (ja) 断層画像撮影方法および装置
KR102141541B1 (ko) 뎁스 맵을 이용한 병변 부피 측정용 내시경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병변 부피 측정 방법
EP36397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