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419A -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 Google Patents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419A
KR20220019419A KR1020200099809A KR20200099809A KR20220019419A KR 20220019419 A KR20220019419 A KR 20220019419A KR 1020200099809 A KR1020200099809 A KR 1020200099809A KR 20200099809 A KR20200099809 A KR 20200099809A KR 20220019419 A KR20220019419 A KR 2022001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light
side opening
forming apparatus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8919B1 (en
Inventor
신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919B1/en
Priority to DE102020135007.4A priority patent/DE102020135007A1/en
Priority to US17/137,143 priority patent/US11592666B2/en
Publication of KR2022001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9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generation unit (PGU) for a head-up display (HUD), which comprises: a circuit boar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 display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sources, and forming an image to be provided for an HUD; and a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deriv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s to the display, and including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to uniformize the intensity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respectively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sources; and a single second funnel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unnels in a form of encompassing the first funnels. Therefore,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s improved.

Description

HUD용 화상형성장치{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Image forming apparatus for HUD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본 발명은 HUD용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퍼널 리플렉터(double funnel reflector)를 포함하는 HUD용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 HU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 HUD including a double funnel reflect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는 자동차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위해 개발된 주행정보 표시장치이다. 주행정보는 화상형성장치(PGU: Picture Generation Unit)에서 이미지의 형태로 형성되어 광학계를 거친 후 차량 전면 유리 또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투광성 반사 스크린(Translucent Reflective Screen)에 투영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PGU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LCD와 이미지를 HUD 내부의 광학계로 투사하기 위해 LCD 후방에 배치되는 BLU(Back Light Unit)을 포함한다. A head-up display (HUD) is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developed for the safe driving of car drivers. Driving informa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mage in a picture generation unit (PGU), passed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then projected onto a translucent reflective screen placed on the vehicle windshield or inside the vehicle and provided to the driver. The PGU includes an LCD that forms an image and a BLU (Back Light Unit) placed behind the LCD to project the image to the optical system inside the HUD.

HUD는 차량 전방이 매우 밝은 주광 환경(daylight environment)에서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는 수준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LCD에서 형성된 이미지는 광학계를 거쳐 이미지의 크기가 확대된 후 차량 전면 유리 또는 투광성 반사 스크린에 투영된다. 최종 투영된 광 이미지의 밝기는 LCD상의 광 이미지의 밝기보다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HUD용 BLU는 매우 높은 광량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HUD must be able to provide a level of image that the driver can discern, even in a daylight environment with very bright front of the vehicle. The image formed on the LCD is projected on the vehicle windshield or translucent reflective screen after the size of the image is enlarged through an optical system. The brightness of the final projected light image will decrease than the brightness of the light image on the LCD. Therefore, compared to a general display, the BLU for the HUD needs to provide a very high amount of light.

일반적으로 HUD용 BLU는 높은 광량(light intensity)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LED를 포함한다. In general, BLU for HUD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to secure high light intensity.

BLU는 다수의 LED로부터의 광이 LCD 후방에 일정한 휘도(light intensity)를 가지고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적절한 광학기구부(optical structure)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또는 특허문헌 000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이러한 광학기구부는 렌즈 어레이(lens array), 퍼널 어레이(funnel array), BEF(Brightness Enhancement Film) 혹은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와 같은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디퓨저(diffuser) 시트 중 일부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이들 구성 요소는 또한 LCD 후방으로 입사되는 광의 확산각도 범위(angular diffusion range)를 유효한 범위 내로 한정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유효한 범위는 광 이미지의 최종적인 투영 위치인 스크린의 광 이미지 영역에 해당한다. The BLU includes an appropriate optical structure so that light from a plurality of LEDs is uniformly irradiated to the rear of the LCD with a constant light intensity. Referring to FIGS. 1, 2 or Patent Document 0001, in general, such an optical mechanism unit is a prism such as a lens array, a funnel array,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BEF), or a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Some of the sheets (prism sheet) and diffuser (diffuser) sheet are combined. These components also serve to limit the angular diffusion range of light incident behind the LCD within an effective range. The effective range here corresponds to the optical image area of the screen, which is the final projection position of the optical image.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렌즈 어레이의 경계면에서 광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퍼널 어레이의 경우 광 손실은 적으나 퍼널 내부의 반사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이 높다. 한편, 광의 확산각도 범위를 제어하고, 광 이용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는 BLU 제조 비용의 상승의 주 요인 중 하나이다. When a lens array is used, optical loss may occur at the interface of the lens array. In the case of the funnel array, the optical loss is small, but the manufacturing cost for forming the reflective coating inside the funnel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prism sheet for controlling the range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and increasing the light use efficiency is one of the main factors of the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LU.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108429호 (2007.4.26)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08429 (January 26, 2007)

본 개시는 HUD에 이미지를 제공하는 PGU의 BLU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BLU의 광원으로부터의 광 이용 효율을 개선하고, BLU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BLU를 포함하는 PGU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is mainly to provide a PGU including a BLU of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BLU of the PGU that provides an image to the HU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of the BLU, and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U. There is a purpos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HUD(Head-Up Display)용 화상형성장치(PGU: Picture Generation Unit)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복수의 광원 전방에 배치되고, HUD에 제공할 이미지(image)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및 회로기판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디스플레이로 유도하되, 디스플레이로 입사되는 광의 광밀도(light intensity)를 균일하게 하는 내부 반사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내부 반사구조는, 복수의 광원에 상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퍼널(first funnel); 및 복수의 제1퍼널을 포괄하는(encompassing) 형태로, 제1퍼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단일한(single) 제2퍼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in a picture generation unit (PGU) for a head-up display (HUD). circuit board including; a display dispos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forming an image to be provided to the HUD; and a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and including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for guiding light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the display, and for uniforming the light intensity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internal reflection The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respectively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single second funnel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unnel in the form of encompassing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또한, 하우징은 이산화티타늄(TiO2) 미세입자가 분산된 플라스틱 소재(plastic material)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plastic material in which titanium dioxide (TiO 2 )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또한, 내부 반사구조는 광 반사율이 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reflectance is 60% or more.

또한, 내부 반사구조의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 및 확산 반사(diffuse reflection) 특성은 TiO2 미세입자의 크기 및 내부 반사구조 내에 포함되는 TiO2 미세입자의 함유율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specular reflection characteristics and diffuse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are controlled based on the size of TiO 2 fine particles and the content of TiO 2 fine particles included in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또한, 내부 반사구조에 정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TiO2 미세입자의 크기는 200 nm 내지 300 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ze of TiO 2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specular reflection properties to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in the range of 200 nm to 300 nm.

또한, 내부 반사구조에 확산 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TiO2 미세입자의 크기는 500 nm 내지 5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ze of TiO 2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diffuse reflection properties to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500 nm to 5 ㎛ range.

또한, 플라스틱 소재는 PC(Polycarbonate)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lastic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PC (Polycarbonate) or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또한, 플라스틱 소재는 하우징을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lastic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pigment that forms the housing in white or a color close to white.

또한, 제1퍼널 각각은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funnel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또한, 제1퍼널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보다 큰 단면크기를 가지는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 및 제1퍼널 입력측 개부부와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1퍼널 광 반사구조를 포함하되, 제1퍼널 광 반사구조의 형상은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에서 광의 광밀도가 균일해지도록 광원의 광 방출패턴(light emission pattern)을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funnel may include an opening on an input side of the first funnel; a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and a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connecting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and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wherein the shape of the first funnel light-reflecting structure is that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light density is uniform in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a light emission pattern.

또한,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rectangula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angular (rectangular).

또한,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tangular.

또한,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광원 측에 가까운 오목한(concave) 모양의 곡선 4개가 4각형 형태로 배치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four concave curves with a central portion close to the light source are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또한,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광원 측으로부터 먼 볼록한(convex) 모양의 곡선 4개가 4각형 형태로 배치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pening on the first funnel input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ar from the light source side, and four convex curves are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또한,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제1확대율(first scaling ratio)에 따라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이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으로 모핑(morphing)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morph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according to a first scaling ratio.

또한, 제1확대율은 일정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nstant value.

또한, 제1확대율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제1프로파일(first profile)을 가져,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광원 측에서 봤을 때 전후방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gnification has a first profile that increases while decreasing, so that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convex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또한, 제1확대율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제2프로파일을 가져,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광원 측에서 봤을 때 전후방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has a second profile that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so that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conca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또한,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에서 출사되는 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준(collimating) 효과를 부여하도록, 제2프로파일은 오목한 포물면을 형성하는 포물선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file is a parabolic profile that forms a concave parabolic surface so as to at least partially impart a collimating eff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opening.

또한, 하우징은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기 위해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는 디스플레이 안착부를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전방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un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o place the display in front of the second funnel output side opening.

또한, 하우징은 디스플레이 안착부와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 사이에 일체로 성형되고, 디스플레이에 입사되는 광의 휘도 얼룩짐(luminance unevenness)을 감소시키는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를 배치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 안착부(diffuser sheet seatin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is integrally molded between the display seating part and the opening on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funnel, and a diffuser sheet seating part for arranging a diffuser sheet that reduces luminance unevenness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heet seating).

또한, 하우징은 외측에 하우징의 후방에 회로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회로기판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ircuit board fastening part for arranging the circuit board at the rear of the housing on the outside.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HUD에 이미지를 제공하는 PGU의 BLU의 구성 요소 중 광학기구부를 이중 퍼널 리플렉터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BLU의 광원으로부터의 광 이용 효율이 개선되고, BLU의 구성이 간소화되며, PGU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forming the optical mechanism par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BLU of the PGU that provides an image to the HUD in a double funnel reflector structure,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from the light source of the BLU is improv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LU is simplified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GU.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HUD 및 화상형성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HUD의 화상형성장치를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구부의 장방향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구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구부인 하우징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반사구조의 광축 구조를 설명하는 장방향 단면도 및 단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vehicle HU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of a general vehicle HUD.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optical mechanis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n optical mechanis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housing which is an optical mechanis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unidirectio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axis structure of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he '...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HUD의 화상형성장치를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of a general vehicle HUD.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HUD(10)는 차량 전면 유리 또는 별도 스크린에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광 이미지를 투영한다. HUD(10)의 광 이미지는 PGU(20)에서 생성되어 HUD(10) 내부의 광학계를 통해 확대 및 투영된다. PGU(20)는 스크린에 투영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LCD(200), LCD(200)를 투과하여 HUD(10)의 광학계로 광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광을 제공하고, LCD(200) 후방에 배치되는 BLU(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HUD 10 projects an optical image to be viewed by the driver on a vehicle windshield or a separate screen. The optical image of the HUD 10 is generated by the PGU 20 , and is enlarged and projected through an optical system inside the HUD 10 . The PGU 20 provides light for projecting the optical image to the optical system of the HUD 10 by passing through the LCD 200, which generates an image to be projected on the screen, and the LCD 200, and is disposed behind the LCD 200 It includes a BLU (30).

BLU(30)는 LCD(200)의 후방에 균일한 분포를 가지고, 적절한 광 확산각도 범위를 가지는 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BLU(30)에 포함되는 광학기구부에 대한 것이다. 광학기구부는 BLU(30)의 하우징(32)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광학기구부는 전방에 LCD(2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LU 30 has a uniform distribution to the rear of the LCD 200 and is formed to irradiate light having an appropriate light diffusion angle rang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optical mechanism included in the BLU (30). The optical mechanism unit may serve as the housing 32 of the BLU 30 . In addition, the optical mechanism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LCD 200 in the front.

일 실시예에 따른 PGU(20)는 BLU(30)및 광이 출사되는 BLU(30)의 전방 영역에 결합되는 LCD(200)를 포함한다. The PGU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LU 30 and an LCD 200 coupled to a front area of the BLU 30 from which light is e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BLU(30)는 복수의 광원(미도시), 일측면 상에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 후방 영역이 회로기판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광학기구부인 하우징(housing, 32), 하우징(32)의 전방 영역에 수용되는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 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BLU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not shown), a circuit board (PCB: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a rear region of the circuit board with one side and It includes a housing (32) which is an optical mechanism to be coupled, and a diffuser sheet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front area of the housing (32).

BLU(30)의 광원은 LED광원일 수 있다. 회로기판은 타측면에 방열구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of the BLU 30 may be an LED light sourc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ircuit boar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구부의 장방향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 optical mechanis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구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n optical mechanis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32)의 내부는 2층 구조인 내부 반사구조(300)로 형성된다. 서술의 편의상 광원 측을 1층, LCD(200) 측을 2층으로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반사구조(300)는 1층에 복수의 제1퍼널(first funnel, 310), 2층에 복수의 제1퍼널(310)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 구조의 제2퍼널(second funnel, 320)이 형성된 이중 퍼널 리플렉터(double-funnel reflector) 형태이다. Referring to FIG. 3 ,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2 is formed of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300 having a two-layer struct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ight source sid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layer, and the LCD 200 sid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layer.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300 formed inside the housing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310 on a first floor and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310 on a second floor. A second funnel 320 of a single structure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funnel reflector.

하우징(32)은 PC(Polycarbonate)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하우징(32)의 소재는 광의 반사를 고려하여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색상이 되도록 안료가 추가될 수 있다. The housing 32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plastic material such as PC (Polycarbonate) or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 pigment may be added to the material of the housing 32 so that it becomes white or a color close to white in consideration of light reflection.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2)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소재는 이산화티타늄(TiO2) 미세입자가 분산된 소재일 수 있다. TiO2 미세입자의 크기 및 플라스틱 소재 내의 TiO2 미세입자의 함유율은 내부 반사구조(300)를 제공하는 하우징(32)의 내측면이 적절한 광 반사율(light reflectance) 및/또는 반사특성(reflection characteristics)을 가지도록 선정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lastic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 material in which titanium dioxide (TiO 2 )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The size of the TiO 2 microparticles and the content of TiO 2 microparticles in the plastic material are determined by the appropriate light reflectance and/or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2 providing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300 . can be selected to have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2)은 TiO2 미세입자가 분산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성형 함으로써 제1 및 제2퍼널(310, 320) 내측면의 광 반사 특성을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32)은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내측면에 광 반사를 위한 별도의 반사 코팅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즉, 내부 반사구조(300)의 광 반사 특성은 TiO2의 미세입자 크기 및 함유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광 반사 특성은 거울면 반사에 해당하는 정반사(regular reflection or specular reflection) 및 반사광이 확산되는 확산 반사(diffuse reflection)를 의미한다. The housing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med to determine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by injection molding of a plastic material in which TiO 2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Accordingly, in the housing 32 , a separate reflective coating for light reflection does not need to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 That is,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reflective structure 300 may be adjusted by the fine particle size and content of TiO 2 . Here,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 means regular reflection or specular reflection corresponding to specular reflection and diffuse reflection through which reflected light is diffused.

TiO2의 미세입자 크기는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크기를 기준으로 TiO2가 포함된 표면의 주된 반사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 즉, 가시광선 파장인 400 내지 700 nm의 절반인 200 내지 350 nm 크기를 기준으로 그 보다 작은 크기, 예컨대 100 nm 이하인 경우에는 정반사 특성이 지배적이고, 그 보다 큰 크기, 예컨대 500 nm 내지 5 ㎛ 범위인 경우에는 확산 반사 특성이 지배적이다.The fine particle size of TiO 2 can distinguish the main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containing TiO 2 based on half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That is, based on the size of 200 to 350 nm, which is half of the wavelength of 400 to 700 nm of visible light, when the size is smaller than that, for example, 100 nm or less, the specular reflection property is dominant, and the larger size, such as 500 nm to 5 μm, is dominant. In the case of , the diffuse reflection characteristic is dominant.

TiO2 미세입자는 200 내지 350 nm 크기로 준비되더라도 미세입자 형성 과정에서 뭉침(aggregate) 등에 의해 단위 입자 크기가 큰 것이 포함될 수 있고, 미세입자 크기의 분포가 넓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2)은 소재에 분산되는 TiO2 미세입자의 크기가 적절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선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제1 및 제2퍼널(310, 320) 내측면의 광 반사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에는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은 체로 거르는 방법(siftin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iO 2 Even if the fine particles are prepared in a size of 200 to 350 nm, those having a large unit particle size may be included due to aggreg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fine particle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size of the fine particles may be widened. The housing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by selecting and using the TiO 2 fine particles dispersed in the material having a size within an appropriate range. there is. For size selection of the fine particles, a sieving method as commonly known may be used.

한편, 일 실시예는 크기가 200 내지 350 nm 범위인 TiO2 미세입자를 이용하되 사출성형 금형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 조정 또는 사출성형 후의 표면 후가공(surface finishing) 등으로 제1 및 제2퍼널 내측면의 광 반사 특성을 조절하는 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퍼널 리플렉터 구조는 TiO2의가 포함된 형태가 아닌, PC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필요에 따라 의도된 표면 조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광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 반사구조를 금속으로 코팅한 형태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TiO 2 fine particles having a size in the range of 200 to 350 nm are used, but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are used to adjust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injection molding mold or to perform surface finishing after injection mold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urface may also be included. On the other hand, the double funnel reflect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a form containing TiO 2 , bu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with a plastic material such as PC or ABS, and is formed to have an intended surface roughness as needed, and light reflection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may be coated with a metal.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하면, LED의 소자면(chip face)으로부터의 광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은 램버시안(Lambertian) 방사 형태를 가진다. 상용 LED 광원은 대부분 LED 소자 내의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혹은 소자 상에 배치되는 렌즈 역할의 마이크로 구조 등에 의해 광의 방사 패턴이 의도된 형태로 조정된다. 즉, LED 광원의 광 방사 패턴은 제조사마다 다른 패턴을 가진다. 예를 들어, LED 광원의 방사 패턴은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열기구 모양(hot air balloon shape), 누에고치 모양(cocoon shape), 원뿔 모양(cone shape), 타원체 모양(ellipsoid shape)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Assuming an ideal case, the light radiation pattern from the chip face of the LED has a Lambertian radiation shape. In most commercial LED light sources, a radiation pattern of light is adjusted to an intended shape by a wave guide in the LED device or a microstructure serving as a lens disposed on the device. That is,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ED light source has a different pattern for each manufacturer. For example,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LED light sourc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hot air balloon shape, a cocoon shape, a cone shape, and an ellipsoid shape. can be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반사구조(300)의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형상은 사용되는 상용 LED광원의 광 방사 패턴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LED광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1퍼널(310) 구조는 LED광원의 광 방사 패턴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of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a commercial LED light source use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310 disposed adjacent to the LED light source may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ED light source.

제1퍼널(310)은 입력측 개구부(input opening, 312), 출력측 개구부(output opening, 314) 및 그 사이의 광 반사구조(light reflector structure, 316)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퍼널도 입력측 개구부, 출력측 개구부 및 그 사이의 광 반사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The first funnel 310 includes an input opening 312 , an output opening 314 , and a light reflector structure 316 therebetween. Similarly, the second funnel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n input-side opening, an output-side opening, and a light reflection structure therebetween.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 각각은 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LED광원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는 대응되는 LED광원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중심은 LED광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LED광원의 출력 사양과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LED광원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HUD(10)에 요구되는 광량과 LCD(200)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s 312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LED light source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is formed to have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corresponding LED light source. The center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LED light source. The output specifications of the LED light source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LED light source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light required for the HUD 10 and the size of the LCD 200 .

복수의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가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은 그 테두리 모양이 제2퍼널 입력측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가 형성하는 외측 형상과 제2퍼널 입력측 개구부는 서로 부드럽게 연결되는 형태이다. The overall shape of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s 314 is formed so that an edge shape thereof corresponds to the second funnel input-side opening. That is, the outer shape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s 314 and the second funnel input-side opening are smooth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는 LCD(200)의 이미지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funnel output side opening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area of the LCD 200 .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외측으로는 디퓨저 시트 안착부(diffuser sheet seating, 350)가 단턱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 시트 안착부(350)의 외측으로는 LCD 안착부(LCD seating, 360)가 형성될 수 있다. A diffuser sheet seating 3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epped portion outside the second funnel output side opening. An LCD seating 36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iffuser seat seating part 350 .

정리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퍼널(310, 320)을 포함하는 이중 퍼널 구조의 내부 반사구조(300)는 LED광원으로부터의 각각의 광을 제1퍼널(310)을 통해 제2퍼널(320)로 유도하며, 복수의 제1퍼널(310)을 통과한 복수의 광은 제2퍼널(320)에서 서로 혼합되고, 디퓨저 시트를 통과한 후 LCD(200)의 후방에 입사된다. In summary,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300 of the double funnel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emits each light from the LED light source through the first funnel 310 . Guided to the second funnel 320 , the plural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310 is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 funnel 320 , and is incident on the rear of the LCD 200 af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sheet .

하우징(32)의 외부에는 하우징(32)와 회로기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 체결부(370)가 형성될 수 있다. A circuit board fastening part 37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32 so that the housing 32 and the circuit board can be coupled.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2)는 내부에 광원 측에 복수의 제1퍼널(310), LCD(200)측에 단일의 제2퍼널(320),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와 LCD(200) 사이에 디퓨저 시트 안착부(350) 및 디퓨저 시트 안착부(350)의 전방에 LCD 안착부(36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32)은 외부에 회로기판 체결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housing 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310 on the light source side, a single second funnel 320 on the LCD 200 side, an opening on the second funnel output side, and the LCD 200 . ) between the diffuser seat seat 350 and the LCD seat 360 in front of the diffuser seat seat 350 . In addition, the housing 32 may include a circuit board fastening part 370 on the outside.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내측면의 가시광선 영역 반사율은 6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내측면은 정반사 표면의 특성 및 확산 반사 표면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eflectance of the visible light region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60% or more. Preferably,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may be formed to include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ular reflective surface and a characteristic of a diffusely reflective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형상은 사용되는 LED광원의 광 방사 패턴과 제1 및 제2퍼널(310, 320) 내측면의 표면 반사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face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 there is.

예컨대 몬테카를로 광학 레이 트레이싱(Monte-Carlo optical ray-tracing) 방법과 같은 전산모사(computational simulation)를 통해 BLU(30)에 요구되는 광 확산각도 범위 및 LCD(200) 이미지 영역에서의 광 균일성(light homogeneity) 등의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 diffusion angle range required for the BLU 30 and the light uniformity in the LCD 200 image area through computational simulation such as a Monte-Carlo optical ray-tracing method. It can be designed to provide performance such as homogeneity).

복수의 LED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제1 및 제2퍼널(310, 320)을 지나며 확산 반사된 광과 정반사 된 광이 혼합되어 광 단면이 LCD(200)와 유사한 직사각형이고 광 강도가 균일한 평면광 형태로 LCD(200) 후방에 입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ED light sources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and the diffusely reflected light and the specularly reflected light are mixed so that the light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similar to that of the LCD 200, and the light intensity is uniform. It may be designed to be incident on the rear of the LCD 200 in the form of light.

일 실시예에 따른 BLU(30)는 광 균일성과 적절한 광 확산 각도 범위 특성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퍼널(310, 320)을 포함하는 이중 퍼널 구조(double-funnel structure) 형태의 내부 반사구조(300)로 형성됨으로써, 프리즘 시트의 필요성이 배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디퓨저 시트만을 포함하는 간소한 구성이 될 수 있다. The BLU 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s an internal reflection in the form of a double-funnel structure including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formed to provide light uniformity and appropriate light diffusion angle range characteristics. By forming the structure 300 , the need for a prism sheet can be eliminated, and as a result, a simple configuration including only the diffuser sheet can be obtained.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장 기본적인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형태는 4각형 형태의 입력측 개구부 및 출력측 개구부와 4각형 단면이 입력측 개구부로부터 출력측 개구부로 확대되며 연장되는 광 반사구조일 것이다. 또한, 최종적으로 이용되는 광의 단면 형태는 LCD(200) 형상에 맞춰 직사각형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ost basic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e a rectangular input side opening, an output side opening, and a light reflection structure in which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extended from the input side opening to the output side opening. would.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nally used light will preferably have a rectangular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CD 200 .

그러나, LED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로부터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에 이르는 광 경로에서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광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유지되지 않는다. LED광원의 형태가 4각형이더라도 이로부터 방사된 광은 각각의 국부적인 광 시작점으로부터 360도 전방향으로 방사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램버시안 방사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However, in the light path from the first funnel input side opening 312 to the second funnel output side opening, light from the LED light source does not maintain a rectangular shape in a light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light travel. This is because even though the shape of the LED light source is a quadrilateral, the light emitted therefrom is emitted in 360 degrees omnidirectionally from each local light starting point to have a Lambertian radiation shape as described above.

램버시안 방사 형태는 광 단면의 밀도가 광의 중심축을 따라 가장 높고 주변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가진다. 예를 들어, 광의 방사 형태는 광원 전방으로의 주 광축(primary optical axis)를 기준으로 ±20도 범위에 발광 강도의 90%가 집중되고, ±60도 범위에 발광 강도의 50%가 포함되는 분포일 수 있다. LED광원 전방 영역에 대한 광 밀도의 3차원 분포는 사용된 LED광원마다 다를 수 있다. The Lambertian radiation type has a Gaussian distribution in which the density of the light cross-section is highest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 and decreases toward the periphery. For example, the emission form of light is a distribution in which 90% of the luminous intensity is concentrated in a range of ±20 degrees with respect to a primary optical axis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and 50% of the intensity is included in a range of ±60 degrees. can be The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 of the light density over the area in front of the LED light source may be different for each LED light source used.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전후방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 및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광 반사구조의 형상은 최종적으로 LCD(200) 이미지 영역에 입사되는 광 균일성을 개선하도록 4각형 단면 형태 이외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shape of the light refl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are finally the LCD 200 image. It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ther tha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light incident on the region.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어,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는 기본적으로 4각형 형태이되, 각 변이 4각형의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광원의 중심 광축에 가까운 오목한(concave) 모양의 곡선 4개가 4각형 형태로 배치된 형상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for example,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may have a basic quadrangular shape, and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each side concave toward the center of the quadrilateral. In other word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may be a shape in which four concave curves with a central portion close to the central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re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도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는 각 변이 오목하게 들어간 정도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와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를 연결하는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의 반사면은 평면이 아닌 제1퍼널(310)의 중심축을 향해 볼록한(convex) 곡면 형태가 될 것이다.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314 may also have a similar shape. However, in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314 , the degree to which each side is concave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 At this time,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connecting the first funnel input side opening 312 and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opening 314 is convex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unnel 310 rather than being flat. ) will be curved.

이와 같은 경우, LED광원으로부터 램버시안 방사 형태를 가지는 3차원 광 패턴은 볼록한 곡면 형태의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의 반사면에 의해 정반사 및 확산 반사됨으로써 제1퍼널 출구측 개구부(314)에서의 균일한 광 밀도를 가지는 광 단면이 원형에서 사각형 단면 형태로 유도될 수 있다. 표면 반사 특성 중 정반사 특성은 전체적인 광 패턴을 결정할 것이고, 확산 반사 특성은 반사광의 퍼짐에 의한 광 밀도 평균화(light intensity averaging)에 기여할 것이다.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light pattern having a Lambertian radiation form from the LED light source is specularly reflected and diffusely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to form the first funnel exit opening 314 . A light cross-section having a uniform light density in ? can be derived from a circular to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Among the surface reflection characteristics, the specular reflection characteristic will determine the overall light pattern, and the diffuse reflection characteristic will contribute to light intensity averaging due to the spread of the reflected light.

제2퍼널(320)의 입력측 개구부는 복수의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들이 형성하는 모양에 대응될 수 있고, 제2퍼널(320)의 출력측 개구부는 LCD(200)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제2퍼널의 광 반사구조는 LCD(200)에 입사되는 광이 LCD(200) 후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반사면이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The input-side opening of the second funnel 320 may correspond to a shape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s 314 , and the output-side opening of the second funnel 32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CD 200 . there is. The light reflective structure of the second funnel may have a concave reflective surface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LCD 20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LCD 200 .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상세한 구조는 사용되는 LED광원의 광 방사 패턴과 제1 및 제2퍼널(310, 320)의 표면 반사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전산 모사를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one example, 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is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face refl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unnels 310 and 320 It can be in various for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can be optimized through computational simulation.

정리하자면, 복수의 원형 단면의 광 패턴을 중첩(superposition)하여 하나의 균일한 사각형 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보다, 복수의 사각형 단면의 광 패턴을 중첩하는 것이 광 패턴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된 단면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제1퍼널(310)에 의해 광의 단면 패턴이 사각형 형태로 유도됨으로써 제2퍼널(320)에서 혼합되는 복수의 광 패턴은 보다 용이하게 광 밀도의 균일성이 확보될 수 있다. In summary, rather than superpositioning a plurality of circular cross-sections of light patterns to form a single uniform rectangular light pattern, overlapp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cross-sections is more effective in securing the uniformity of the light patterns. it will be advantageou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light patterns mixed in the second funnel 320 can more easily achieve uniformity of light density by guiding the cross-sectional pattern of light in a rectangular shape by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310 having such a deformed cross-sectional shape. This can be secur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단면 형상은 기본적으로 4각형 형태이되, 각 변이 4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광원의 중심 광축으로부터 먼 볼록한(convex) 모양의 곡선 4개가 4각형 형태로 배치된 형상일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pening 312 on the first funnel input side is basically a quadrilateral, and each side may be in the form of a curve convex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quadrilateral. In other word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may be a shape in which four convex curves with a central portion distant from the central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re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는 또한 광의 확산각도 범위를 한정하고, 나아가 LCD(200) 후방에 입사되는 광에 지향성 또는 시준(collimating) 효과가 부여되도록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의 전후방 방향으로 특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so limits the light diffusion angle range, and further reflects the first funnel light so that a directivity or collimating effect is imparted to the light incident on the rear side of the LCD 200 . It may be formed to have a specific shap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tructure 316 .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는 제1확대율(first scaling ratio)에 따라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단면 형상이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의 단면 형상으로 모핑(morphing)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핑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단면 형상이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의 단면 형상으로 전후방 방향의 위치에 따른 모양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모양은 4변이 오목한 형태이고,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의 단면 모양이 4각형인 경우,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의 오목한 단면 형상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서서히 펴지고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의 위치에서 직선이 될 수 있다. In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is morphe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314 according to a first scaling ratio. (morphing) can be formed. Here, the morphing means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is change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314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is concave on four sides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314 is quadrangular, the concave cross-section of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ng structure 316 is concave. The shape may gradually expand from the first funnel input side opening 312 toward the front and become a straight line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opening 314 .

이 경우, 제1확대율이 일정하면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의 반사면은 전후방 방향으로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312)의 단면 형상이 일정한 정도로 모핑되며 확대되어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is constant,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ng structure 316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312 is morphed to a certain degree and enlar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확대율이 감소하다 증가하는 제1프로파일(first profile)을 가지는 경우,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는 광원 측에서 봤을 때 전후방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decreases and has a first profile that increases,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may be convex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확대율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제2프로파일(second profile)을 가지는 경우,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는 광원 측에서 봤을 때 전후방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increases and has a second profile that decreases,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프로파일은 포물선 프로파일(parabolic profile)을 가져,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제1퍼널 광 반사구조(316)는 전후방 방향으로 오목한 포물면을 형성함으로써,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에서 출사되는 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준 효과를 부여하거나,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314)에서 출사되는 광의 지향성(directionality)이 강화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profile has a parabolic profile, and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316 formed accordingly forms a concave parabolic surfa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opening 314 of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is formed. The collimating effect may be at least partially applied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 or the directional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opening 314 may be enhanc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반사구조(400)는 복수의 제1퍼널(410) 및 하나의 제2퍼널(420)을 포함하되, 적어도 일부의 제1퍼널(410)은 그 중심 광축이 내부 반사구조(400) 전체의 주 광축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410 and one second funnel 420 , but at least some of the first funnels 410 have a center thereof. The optical axis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optical axis of the entir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400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구부인 하우징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housing which is an optical mechanism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반사구조의 광축 구조를 설명하는 장방향 단면도 및 단방향 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unidirectio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axis structure of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반사구조는 장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퍼널(410) 각각의 중심 광축의 배치 각도가 복수의 제1퍼널(410) 전체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내부 반사구조(400)의 주 광축으로부터 더 큰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tilted) 배치될 수 있다. 5 and 6 , in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entral optical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410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center of the entire plurality of first funnels 410 . As the distance from ,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400 may be tilted at a larger angle from the main optical axis.

통상 디스플레이인 LCD(200)는 장방형이고, 이에 대응하는 BLU(30)도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광원 및 이에 대응 형성되는 제1퍼널(410)은 5개씩인 경우를 예시한다. 중앙의 제1퍼널(410)은 제1퍼널(410)의 중심 광축이 주 광축과 나란히 배치된다. 중앙의 제1퍼널(410)에서 외측으로 배치될수록 제1퍼널(410)의 중심 광축(484, 486)은 주 광축(482)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The LCD 200, which is a typical display,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rresponding BLU 30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an embodiment, a case is exemplified in which the number of light sources and the first funnels 410 corresponding thereto are five. In the central first funnel 410 , the central optical axis of the first funnel 41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ain optical axis. The central optical axes 484 and 486 of the first funnel 410 are formed to be more inclined outward from the main optical axis 482 as they are disposed outward from the central first funnel 410 .

일 실시예에서 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퍼널(410)은 3개씩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단방향으로는 제1퍼널(410)의 중심 광축이 주 광축과 나란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중앙의 제1퍼널(410)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는 제1퍼널(410)의 중심 광축은 주 광축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case is exemplified that there are three first funnels 410 arranged in one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the case where the central optical axis of the first funnel 410 is parallel to the main optical axis is exemplified, but even in this case, the first funnel 410 disposed outside from the central first funnel 410 The central optical axis may be formed to be more inclined outwardly from the main optical axis.

제2퍼널(420)은 복수의 제1퍼널(410)로부터 입사된 광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LCD(200)로 전달되는 광이 적절한 광 발산각도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unnel 4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ight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410 is uniformly mixed and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LCD 200 has an appropriate light divergence angle range.

일 실시예에서 제1퍼널(410) 각각의 중심 광축의 배치 각도 범위는 장방향(long-side direction)으로 ±14도 범위, 단방향(short-side direction)으로 ±6도 범위인 경우를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퍼널(410) 각각의 중심 광축의 배치 위치 범위는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는 평면과 교차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장방향으로 12 mm 이내, 단방향으로 14 mm 이내의 범위인 경우를 예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arrangement angle range of the central optical axis of each of the first funnels 410 is in the range of ±14 degrees in the long-side direction and ±6 degrees in the short-side direction. . In one embodiment, the arrangement position range of the central optical axis of each of the first funnels 410 is within 12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ithin 14 mm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based on the point intersecting the plane o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exemplify

이러한 배치 각도 범위 및 배치 위치 범위는 최종적으로 제2퍼널(420)의 출력측 개구부로부터 LCD(200)로 입사되는 광의 광 확산각도 범위 및 광 균일도를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angle range and arrangement position range may be final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ight diffusion angle range and light uniformity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CD 200 from the output side opening of the second funnel 420 .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중심 광축(482, 484, 486)을 가지는 복수의 제1퍼널(410)을 포함하는 구조는 제1 및 제2퍼널(410, 420)을 포함하는 내부 반사구조(400)의 전후방 방향의 높이를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410 having different central optical axes 482 , 484 , and 486 is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400 including first and second funnels 410 and 420 . ) has the effect of easily reducing the height in the front-rear direction.

포물선의 초점에 단일 광원을 놓고, 포물선을 그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얻어진 포물면(parabolic surface)을 반사면으로 하는 포물면 거울(parabolic mirror)은 광을 전방으로 시준된 형태로 반사한다는 것을 잘 알려져 있다. It is well known that a parabolic mirror with a parabolic surface obtained by placing a single light source at the focal point of the parabola and rotating the parabola about its axis reflects light in a collimated forward fashion.

HUD(10)는 주광(daylight) 하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수준의 높은 광량으로 표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광량을 단일 광원으로 제공하기에는 단일 광원의 높은 수준의 발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광원의 발열을 적절한 수준 이하로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광원이 배열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평면인 회로기판 상에 넓게 배치되고 회로기판에 수직인 방향으로 중심 광축을 가지는 된 복수의 광원들은 단일 포물면에 반사되더라도 시준 특성 혹은 지향성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일 실시예는 복수의 광원들 전방에 형성되는 제1퍼널(410) 각각의 중심 광축을 제1퍼널(410)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기울여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광원들이 그보다 더 후방에 배치된 단일 광원과 유사한 광 방출 패턴(light emission pattern)을 제2퍼널(4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HUD 10 needs to be displayed with a high level of light for easy identification even in daylight. In order to provide such an amount of light as a single light source, a high level of heat generated by the single light source may be a problem. In order to control the heat generation of the light source to an appropriate level or les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may be used. However, it may not be easy to secure collimating characteristics or directivity even i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at are widely disposed on a flat circuit board and have a central optical ax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it board are reflected by a single parabolic plane.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further behind by tilting the central optical axis of each of the first funnels 410 form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funnels 410 are disposed. A light emission pattern similar to a single light source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funnel 420 .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반사구조(400)는 제2퍼널(420)의 포물면 초점 위치보다 전방에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되, 단일 광원이 제2퍼널(420)의 포물면 초점 위치에 배치된 경우와 유사한 광 방출 패턴을 제2퍼널(420)에 제공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퍼널(410)을 포함함으로써 내부 반사구조(400)의 전후 방향 높이가 크게 축소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in front of a parabolic focal position of the second funnel 420 , and a single light source is disposed at a parabolic focal position of the second funnel 420 . By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410 formed to provide the second funnel 420 with a light emission pattern similar to that in the case of the case, the heigh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400 can be greatly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23)

HUD(Head-Up Display)용 화상형성장치(PGU: Picture Generation Unit)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광원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HUD에 제공할 이미지(image)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유도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로 입사되는 상기 광의 광밀도(light intensity)를 균일하게 하는 내부 반사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 반사구조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상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퍼널(first funnel); 및
상기 복수의 제1퍼널을 포괄하는(encompassing) 형태로, 상기 제1퍼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단일한(single) 제2퍼널
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PGU) for a head-up display (HUD),
a circuit board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 display dispos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forming an image to be provided to the HUD; and
A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and including an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for guiding the light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the display, and for uniforming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including,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a plurality of first funnels respectively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single second funnel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unnel in the form of encompassing the plurality of first funnel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이산화티타늄(TiO2) 미세입자가 분산된 플라스틱 소재(plastic material)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화상형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plastic material in which titanium dioxide (TiO 2 ) fine particles are disper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사구조는
광 반사율이 60 % 이상인 화상형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light reflectance of 60% or mo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사구조의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 및 확산 반사(diffuse reflection) 특성은 상기 TiO2 미세입자의 크기 및 상기 내부 반사구조 내에 포함되는 상기 TiO2 미세입자의 함유율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화상형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Specular reflection characteristics and diffuse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are controlled based on the size of the TiO 2 fine particles and the content rate of the TiO 2 fine particles included in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사구조에 상기 정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상기 TiO2 미세입자의 크기는 200 nm 내지 300 nm 범위인 화상형성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ze of the TiO 2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the specular reflection property to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in the range of 200 nm to 300 n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사구조에 상기 확산 반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상기 TiO2 미세입자의 크기는 500 nm 내지 5 ㎛ 범위인 화상형성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ze of the TiO 2 fine particles for imparting the diffuse reflection characteristics to the internal reflection structure is in the range of 500 nm to 5 μ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PC(Polycarbonate)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인 화상형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astic material is
PC (Polycarbonate) or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image forming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상기 하우징을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색상으로 형성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astic material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igment for forming the housing in white or a color close to wh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각각은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funnels has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은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
상기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보다 큰 단면크기를 가지는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 및
상기 제1퍼널 입력측 개부부와 상기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를 연결하는 제1퍼널 광 반사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제1퍼널 광 반사구조의 형상은 상기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에서 상기 광의 광밀도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광원의 광 방출패턴(light emission pattern)을 고려하여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unnel
an opening at the input side of the first funnel;
a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and
a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connecting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and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The shape of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a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light density of the light at the first funnel output side opening is unifor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rectangular)인 화상형성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인 화상형성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상기 광원 측에 가까운 오목한(concave) 모양의 곡선 4개가 4각형 형태로 배치된 형상인 화상형성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entral portion in which four concave curves close to the light source are arranged in a quadrilateral sha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가 상기 광원 측으로부터 먼 볼록한(convex) 모양의 곡선 4개가 4각형 형태로 배치된 형상인 화상형성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four convex curves with a central portion far from the light source are arranged in a quadrilateral sha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제1확대율(first scaling ratio)에 따라 상기 제1퍼널 입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이 상기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단면 형상으로 모핑(morphing)됨으로써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med by morph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input-side open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according to a first scaling ratio.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대율은 일정한 값인 화상형성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is a constant valu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대율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제1프로파일(first profile)을 가져, 상기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상기 광원 측에서 봤을 때 전후방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인 화상형성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has a first profile that increases while decreasing, and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convex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대율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제2프로파일을 가져, 상기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상기 광원 측에서 봤을 때 전후방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인 화상형성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magnification ratio has a second profile that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so that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is conca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viewed from the light source sid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널 광 반사구조는
상기 제1퍼널 출력측 개구부에서 출사되는 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준(collimating)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제2프로파일은 오목한 포물면을 형성하는 포물선 프로파일인 화상형성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funnel light reflection structure
The second profile is a parabolic profile that forms a concave parabolic surface so as to at least partially impart a collimating effect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funnel output-sid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되는 디스플레이 안착부를 상기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의 전방에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unt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to place the display in front of the opening on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funne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부와 상기 제2퍼널 출력측 개구부 사이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입사되는 광의 휘도 얼룩짐(luminance unevenness)을 감소시키는 디퓨저 시트(diffuser sheet)를 배치하기 위한 디퓨저 시트 안착부(diffuser sheet seating)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housing is integrally molded between the display seating part and the second funnel output side opening, and a diffuser sheet seating part for arranging a diffuser sheet that reduces luminance unevenness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Diffuser sheet se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에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상기 회로기판을 배치하기 위한 회로기판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board fastening part for arranging the circuit board at the rear of the housing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HUD(Head Up Display).A head-up display (HUD) compris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2.
KR1020200099809A 2020-08-10 2020-08-10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KR102508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09A KR102508919B1 (en) 2020-08-10 2020-08-10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DE102020135007.4A DE102020135007A1 (en) 2020-08-10 2020-12-29 IMAGE GENERATION UNIT FOR A HEAD-UP DISPLAY
US17/137,143 US11592666B2 (en) 2020-08-10 2020-12-29 Picture generation unit for head-up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09A KR102508919B1 (en) 2020-08-10 2020-08-10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419A true KR20220019419A (en) 2022-02-17
KR102508919B1 KR102508919B1 (en) 2023-03-09

Family

ID=8049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809A KR102508919B1 (en) 2020-08-10 2020-08-10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9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4854A (en) * 2004-10-18 2006-04-27 Sharp Corp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08429A (en) 2005-10-13 2007-04-26 Denso Corp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equipped therewith
KR20130071014A (en) * 2011-12-20 2013-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esin composition for cover bottom of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JP2014107028A (en) * 2012-11-22 2014-06-09 Keiwa Inc Light guide sheet, edge light type backlight unit and laptop computer
KR20150137723A (en) * 2014-05-30 2015-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Head-Up disp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4854A (en) * 2004-10-18 2006-04-27 Sharp Corp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08429A (en) 2005-10-13 2007-04-26 Denso Corp Display device and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equipped therewith
KR20130071014A (en) * 2011-12-20 2013-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esin composition for cover bottom of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JP2014107028A (en) * 2012-11-22 2014-06-09 Keiwa Inc Light guide sheet, edge light type backlight unit and laptop computer
KR20150137723A (en) * 2014-05-30 2015-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Head-Up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919B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8364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vehicle headlamp
KR100787329B1 (en) Light emission source and light emission method using light emission source
JP4858241B2 (en) Lighting unit and lighting device
CA2740054C (en) Light source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06031941A (en) Planar light source unit
TWI474085B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8083593A (en) Display device
JP2010225388A (en) Vehicular signal lighting fixture
CN107797335A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1365864B2 (en) Rear lamp having moving infinity mirror effect
US11592666B2 (en) Picture generation unit for head-up display
JP5447763B2 (en) Vehicle headlamp
JP2020518869A (en) Diffusing lens and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WO2018155676A1 (en) Light-emitting device,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7002725A1 (en) Light-emitting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508919B1 (en)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KR20220019417A (en) Picture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Head-Up Display
KR20210004032A (en) Display appartus and diffuser plate thereof
TWI722799B (en)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004599B2 (en) Light guide plate and flat illumination device
KR20230016075A (en) Picture Generation Device
KR102376090B1 (en) Light apparatus
WO2019039366A1 (en) Light emitting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uminous flux control member
CN220323674U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11033322A (en) Light emitting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flux controll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