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983A -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983A
KR20220018983A KR1020217041968A KR20217041968A KR20220018983A KR 20220018983 A KR20220018983 A KR 20220018983A KR 1020217041968 A KR1020217041968 A KR 1020217041968A KR 20217041968 A KR20217041968 A KR 20217041968A KR 20220018983 A KR20220018983 A KR 2022001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il
support rail
guide rai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엘. 레인
Original Assignee
스판 테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판 테크 엘엘씨 filed Critical 스판 테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1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69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는 지지 레일 및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과 결합하고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접철식 지지대를 포함한다. 접철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송 경로 내로 확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한다. 관련 방법들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본 출원은 2019년 6월 14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861,633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또한 2017년 5월 19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2/508,700호, 2017년 8월 25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50,023호, 2018년 5월 21일 출원된 국제 출원 제PCT/US18/33665호, 및 2019년 11월 13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6/281,889호와도 관련되며, 상기한 모든 출원의 개시 내용은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개시는 물품 이송 기술, 특히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일반적으로 이송 경로를 따라 물품을 안내하기 위해 컨베이어 체인 또는 벨트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레일을 갖는다. 물품은 레일 사이를 이동하고, 레일은 이송 경로 상에 물품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더 크거나 작은 물품이 이송되거나, 또는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품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이송 경로의 폭이 조절될 필요가 있을 때, 가이드레일은 상황에 맞게 조절되어야 한다.
종래의 가이드레일 조절 시스템은 가이드레일에 부착된 브래킷을 지지하는 확장되는 가이드 로드(guide rod)를 사용한다. 이들 가이드 로드는 또한 컨베이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멀리 그리고 주변 영역 내로 돌출되어 컨베이어의 전체 폭과 차지 공간을 증가시킨다. 강성 로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레일은 또한 외관상 보기 안 좋은데, 로드의 확장된 부분이 컨베이어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이다. 일부는 또한 비용과 복잡성을 가중시킬 수 있는 전동식 조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한계 및 아직 해결해야 하는 다른 문제를 극복하는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지지 레일 및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과 결합하고,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고, 지지 레일에 대해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송 경로에 대해 확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셔틀(shuttle)에 대해 선회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아암(arm)으로 구성된 접철식 지지대(collapsible support)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터는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시버(receiver)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한 쌍의 아암이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한다. 리시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리테이너(retainer) 및/또는 지지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한다.
클램프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클램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이동식 지지대가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클램프를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지지 레일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쐐기(wedge)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레버(le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액추에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및 쐐기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쐐기와 지지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반대 힘의 결과로서 액추에이터와 결합하기 위해 마찰 강화(frictionally-enhanced)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지지 레일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과 결합하고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접철식 지지대를 포함한다. 접철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송 경로 내로 확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추가 양태는 지지 레일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지지 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셔틀을 포함한다. 셔틀은, 위에 있는 셔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 레일과 결합하도록 리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리테이너는 쐐기를 포함한다. 장치는 일단에서 상대적인 선회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아암으로 구성된 접철식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타단에서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셔틀에 연결된다.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는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시버를 포함하는 다. 커넥터는, 한 쌍의 아암이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한다. 레버는 셔틀과 관련된 리테이너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리테이너는, 레버의 작동 상태에서 리테이너와 지지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반대 힘의 결과로서 채널에 결합하기 위해 마찰 강화된다.
본 개시는 또한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가이드레일과 관련된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가이드레일을 이송 경로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리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이동식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이동식 지지대가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기 위해 클램프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하는 단계는 쐐기를 사용하여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하는 단계는 클램프와 관련된 핸들을 위쪽으로 누르는 것과 같이 지지 레일과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클램프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추가 양태는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수동으로 결합시켜 제 1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가이드레일을 지지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 제 2 지지대를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가이드레일을 지지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 제 3 및 제 4 지지대를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레일을 따른 제 1 및 제 2 지지대 사이의 제 1 거리는 지지 레일을 따른 제 3 및 제 4 지지대 사이의 제 2 거리와는 다르다.
본원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개시된 발명의 여러 양태를 도시하고, 본문 설명과 함께 발명의 특정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나의 컨베이어 가이드레일 조절기(adjuster)의 일 실시형태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절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조절기의 상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조절기의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조절기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도 1 내지 도 8의 조절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접철식 가이드레일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9a는 선회 운동을 하도록 지지대(셔틀) 중 하나에 아암을 연결하는 방식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조립된 구성의 상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라인 9C-9C를 따라 취해진, 조립될 때의 도 9a의 배치의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확장 및 수축된 상태의 도 9의 지지대의 상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지지대의 배면도이고;
도 13은 수동 작동을 위해 지지대에 연결하기 위한 셔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셔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자동 작동을 위해 지지대에 연결하기 위한 셔틀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셔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a는 도 15의 셔틀의 부분 상부 단면도이고;
도 17은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 지지대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양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조절 가능한 지지대를 위한 액추에이터의 케이블 형성 부분을 위한 텐셔너(tensioner)를 도시하고;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3은 대안적인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도시하고;
도 24, 도 25, 및 도 26은 다수의 조절기와 관련된 두 개의 대향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7 및 도 28은 확장 가능한 가이드레일의 다양한 양태를 도시하고;
도 29 및 도 30은 지지 레일을 따라 케이블을 안내하는 한 가지 방식을 도시하고,
도 31 및 도 32는 조절기용 지지 레일의 곡선 부분을 따라 무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도시하고;
도 32, 도 33 및 도 34는 본 개시에 따른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을 사용하여 다양한 구역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및
도 35 내지 도 42는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 지지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제 컨베이어를 위한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언급할 것이며, 이들의 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양태를 형성하는 가이드레일 조절기(10)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기(10)는, 이송 경로를 따라 그리고 이송 방향(D)으로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9 참조). 가이드레일(12)은, 유연하거나 접철식일 수 있는(즉, 더 컴팩트한 형태로 접힐 수 있는), 조절기(10)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대(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14)를 포함하는 조절기(10)는 따라서, 조절의 결과로서 횡 방향으로 관련된 컨베이어의 전체 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이송 경로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가이드레일(12)을 확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지대(14)는 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지지대 또는 아암(16, 18) 형태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16, 18)은 수직 방향으로 강성이지만, 커넥터(20)에 의해서와 같이, 이들 내부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16, 18)과 커넥터(20)는 따라서 링키지(2-바 링키지(two bar linkage) 형태일 수 있으마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 있음)를 형성한다.
대향 단부에서, 각각의 아암(16, 18)은 마찰을 줄이거나 제거하고, 또는 지지 또는 베어링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구조 부분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구조는 이송 방향(D)으로 가이드레일(12)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지지 레일(26)과 마찰 가능하게(슬라이딩 또는 롤링에 의해) 결합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볼스터(bolster) 또는 셔틀(22, 24)의 형태를 취한다. 결과적으로, 확립된 이러한 연결 및 상대 이동은 지지대(14)가 이송 방향(D)에 대해 횡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게 한다.
지지대(14)는 또한 가이드레일(12)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는 클립(clip; 20a, 20b)(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을 제공하거나, 상대적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리시버를 커넥터(20)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조절기(10)는 가이드레일(12)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은 높이를 갖고, 매우 낮은 수직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적 커버(28)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도 9에서는 제거됨), 이는 지지 레일(26)에 결합하고 조절기(10)의 가동 부분에 대한 보호 수단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들의 상대 이동과 작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가이드레일을 위한 지지대(14)를 형성하는 아암(16, 18)의 선회식 연결의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16, 18)은 트러니언(trunnion)(16a, 18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의 단부는 커넥터(20) 양쪽의 상부 및 하부 리시버(20c) 내에 수용되고 회전 가능하게 포획된다. 그러나, 간단한 힌지(기계식 핀(pin) 또는 리빙 힌지(living hinge) 포함함)와 같은 대체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지지 레일(26)을 따라 셔틀(22, 24)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면, 커넥터(20) 및 이에 따라 관련된 가이드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인접한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연결에 대해 아암(16, 18)을 선회시키면, 이렇게 형성된 유연한 조인트가 구부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동은 유연한 것으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셔틀(22, 24)을 반대 방향으로(서로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시키면, 아암(16, 18)이 서로(및 커넥터(20))에 대해 구부러지고, 따라서 가이드레일(12)을 수축시킨다.
링키지를 형성하는 아암(16, 18)이 "바닥을 치는"(β=180도 이상) 그리고 잠재적으로 잠긴 위치에 도달하게 하는 것은 (특히 수동과 비교하여 조절기(10)의 작동이 자동일 때)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상태는 이송 방향에 대해 횡으로 돌출되어, 아암(16, 18)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의 최대 굽힘을 규정하는 역할을 하는 돌출부 또는 연장부(20d)를 가이드레일(12) 반대편의 커넥터(20)의 측면에 제공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커넥터(20)의 이러한 돌출부 또는 연장부(20d)는 링키지가 완전히 접힌 위치에서 지지 레일(26)에 결합하는 크기를 갖고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링키지가 바닥을 치고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돌출부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아암(16, 1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제공되거나 심지어 지지 레일(26)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됨으로써, 지지대(14)는 관련 가이드레일(12)에 대한 향상된 수준의 조절성(adjustability)을 생성한다. 조절은 용이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전체 컨베이어 시스템의 차지 공간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4)를 확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커넥터(20)에 의해 지지대(14)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레일(12)은 이송될 다수의 다양한 크기의 물품에 대해 가변 폭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크기의 물품을 이송하고자 할 때, 가이드레일(12)은 이송 방향(D)을 가로지르는 안쪽 또는 내측 방향(I)으로만 이동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2)은 이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그리고 이에 따라 유연한 조인트는, 예를 들어, 도시된 예에서는 5도 이하이고, 아암(16, 18)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경우에는 더 낮을 수 있는 예각(α)을 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아암(16, 18)은 이들 사이의 상대 각도가 더 큰 위치로부터 상대 각도가 감소되거나 더 작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는 이송 경로를 좁히고, 따라서 매우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 배치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더 큰 크기의 물품/물체를 이송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하부 컨베이어에 대해 이송 경로의 폭을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가이드레일(12)은 이송 방향(D)을 가로지르는 바깥쪽 또는 외측 방향(O)으로만 이동할 필요가 있다(그리고 이에 따라 조인트를 구부려서 최대 180도 미만일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연장부 또는 돌출부(20d)의 존재에 의해 제한되는 큰 둔각(β)을 아암(16, 18) 사이에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아암(16, 18)은 이들 사이의 상대 각도가 더 작은 위치로부터 상대 각도가 더 큰 위치로 이동한다. 모든 경우에, 지지 레일(26)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로드 또는 유사한 구조가 없으므로, 배치의 전체 폭은 확장 또는 수축의 결과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횡으로 연장되는 로드 및 대응하는 마운트가 이용되는 경우보다 차지 공간이 더 작을 수 있다.
지지대(14)의 조절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버전에서, 그리고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각각의 셔틀(22, 24)은, 지지 레일(26)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이에 따라 셔틀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리테이너(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리테이너(30)는 클립(32a)과의 스냅-핏 결합(snap-fit engagement)에 의해서와 같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34)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포스트(post, 32)를 포함한다. 레버(34)의 내부는 쐐기(36)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의 위치에서 레일(26)과 결합하지 않고 다른 위치에서 마찰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크기를 갖고 배치된다(도 9에서 위치(34')(자유) 및 위치(34")(유지) 참조) 대향 플레이트(38, 40)는 포스트(32)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패스너(fastener; F)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각각의 플레이트(38, 40)는 지지 레일(26)의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8, 40)는 또한, 아암(16, 18)의 단부를 셔틀(22, 2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아암(16, 18)의 근위 단부에 매달려 있는 대응하는 패스너(예를 들어 키웨이 플러그(keyway plug; 16c); 도 9a, 도 9b 및 도 9c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38a, 40a)을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34)를 사용하여 리테이너(30)를 분리함으로써, 관련된 셔틀(24)은 지지 레일(26)을 따라, 슬라이딩에 의해서와 같이, 자유롭게 앞뒤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지지대(14) 및 이에 따라 관련된 가이드레일(12)을 확장 또는 수축시킨다. 가이드레일(12)의 원하는 확장 또는 수축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리테이너(30)는 지지 레일(26)과의 고정된 결합을 확립하기 위해 재작동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16, 18)에 의해 생성되는 지지대(14)의 접을 수 있는 성질을 고려하여 가이드레일(12)의 원하는 확장 또는 수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셔틀(22, 24) 중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셔틀(22, 24)은 또한 자동화된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쉽게 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잠재적으로 각각의 셔틀(22, 24)은 작동 정도에 따라 지지 레일(26)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여, 아암(16, 18)을 확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는, 유연한 케이블(44)과 같은, 셔틀(22, 24)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44)은 각각의 단부(도 17에 도시된 것 중 하나만이 지지 레일(26)의 일단에 장착되지만, 배치는 본질적으로 지지 레일(26)의 대향 단부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9 참조)에서 풀리(pulley, 46)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는 무한 루프를 형성한다(이는 이하의 설명에서 더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조절기(10)와 관련될 수 있다).
케이블(44)이 무한 경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은, 본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터(50)(예를 들어, 서보모터(servomotor))와 관련될 수 있는, 캡스턴(capstan; 48)과 같은 드라이버 주위에서 연행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44)은 필요에 따라 또는 원하는 경우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턴버클(turnbuckle; 44a)과 같은 텐셔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면, 각각의 플레이트(38, 40)는 케이블(4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리테이너(52)를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52)는 선회 가능한 캠(cam; 54)(도 16에는 하나의 상부 캠만 도시됨) 형태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형태(예를 들어, 셔틀의 대응 표면에 대해 케이블(44)의 일부를 포획하기 위한 플랜지를 갖는 볼트)를 취할 수도 있다. 캠(54)은 패스너(F)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는 포스트(56)의 감소된 직경 단부(56a)에 저널링될(journaled)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그리고 도 16 및 도 16a를 참조하면, 캠(54)은, 케이블에 결합하고 이를 가압하여 플레이트(38, 40)의 마찰 강화 부분(55)(이는 동일하거나 반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플레이트(38)는 도 16에서 플레이트(40)와 형태가 동일하고,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는 마찰 강화 부분(5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확대된 둥근 내면(54a)을 포함하고, 자유 단부(54b)는 유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한 촉각 결합을 위해 구성된다. 잠기거나 폐쇄된 상태에서 캠(54)에 결합하고 이를 고정함으로써, 케이블(도 16a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됨)에 결합하기 위해, 스냅-핏 결합에서 돌출부(58a)에 결합하기 위한 유연한 레그(leg)를 갖는 제거 가능한 잠금 탭(locking tab; 58)과 같은 잠금 장치(lock)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롤러 또는 풀리(60)는 포스트(56)의 대향하는 감소된 직경 단부(56b)에 회전 가능하게 저널링될 수 있다(캠(54)이 하부 플레이트(40)에 있을 때는 상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54)이 상부 플레이트(38)에 있을 때는 하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44)은 확립된 무한 루프를 고려하여 포워드 런(forward run)과 리턴 런(return run)을 갖는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클램프(캠(54))를 사용하여 하나의 셔틀(22)을 상부 런에 연결하고,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클램프(도 16a에 따른, 플레이트(40) 상의 캠(54))를 사용하여 다른 셔틀(24)을 리턴 런에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작동은 따라서 셔틀(22, 24)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고, 결국은 아암(16, 18)에 의해 생성된 지지대(14)의 조인트를 구부리고 가이드레일(12)을 확장 또는 수축시킨다. 셔틀(22, 24)에 고정되지 않은 케이블(44)의 대안적인 런은 단순히 롤러/풀리(60)와 결합하고, 따라서 상대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6을 계속 참조하면, 각각의 셔틀(22, 24)은 또한 지지 레일(26)과의 마찰이 적은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롤러(62)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62)는, 패스너(64)에 의해 플레이트(38, 40)에 연결되고 지지 레일(26)의 외면에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롤러(62a) 및 지지 레일(26)의 내면에 결합하기 위해 플레이트(38, 40) 내에 저널링된 롤러(62b)를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격된 롤러(62a)는 커버(28)와 결합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 레일(26)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 이송 경로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조절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작동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44)과 같은 커넥터는 회전 가능한 피니언(pinion; 68)에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랙(rack; 66)과 관련될 수 있다. 케이블(44)의 무한 특성 및 상기한 바와 같은 셔틀(22, 24)과의 대응하는 연결을 고려하면, 한 방향으로의 피니언(68)의 작동은 다수의 조절기(10)의 동시 작동을 유발한다. 이는 컨베이어(C)의 횡 방향(T)으로 가이드레일(12)(예시의 목적을 위해 가상 부분에 의해 두 개의 단절된 부분으로 도시됨)을 전진시킨다(컨베이어는,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방향(D)으로 이송 표면(체인 또는 벨트 (B))에 의해 형성된 이송 경로(P)를 가지며, 가이드레일(12)이 횡 방향으로 전진한 결과로서의 감소된 폭 경로(P')를 주목하라). 구체적으로, 피니언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랙이 도 19의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가이드레일 조절기(10)의 셔틀(22)과 케이블(44)의 포워드 런 및 셔틀(24)과의 리턴 런의 연결을 고려하면, 도시된 전진을 유발한다. 피니언(68)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면 반대 운동이 발생한다
컨베이어(C)와 관련된 조절기(10)의 작동은 다시 수동 또는 자동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된 컨베이어(C)에 핸드 휠(hand wheel; 70)이 연결되고 회전되어, 하나 이상의 조절기(10)(기본적으로는, 사용된 액추에이터 장치의 강도에 따라 임의의 수(2, 5, 10, 20 이상)일 수 있는, 하나의 커넥터 또는 케이블(44)에 연결된 수만큼의 조절기)의 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 23은 자동 작동을 위한 모터(72)(예를 들어, 서보모터)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은 이송 경로(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컨베이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조절기(10)를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 지지 시스템의 가능한 배치의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이송 경로를 따라 물품(도시되지 않음)을 안내하기 위한 대향하는 내부 및 외부 가이드레일(12a, 12b)이 도시되어 있다.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 지지대(14a, 14b)는 내부 가이드레일(12a)을 지지하고,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 지지대(14c)는 외부 가이드레일(12b)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물품(또는 이들의 집단)을 수용하기 위해 이송 경로 폭(W)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가이드레일(12a)(가이드레일 지지대(14a, 14b)와 함께) 및 가이드레일(12b)(가이드레일 지지대(14c) 및 존재하는 다른 모든 것과 함께)은 이동할 수 있다. 이송 경로의 폭(W)(도 25에서는 작은 폭(W')이고, 도 26에서는 더 작은 폭(W")으로서, 이는 병이나 캔과 같은 한 줄의 이송되는 물품에 해당할 수 있음)을 넓히거나 좁히기 위해, 이동은 다시 (하나의 제어기에 의해 작동이 조절될 수 있는 관련 모터와 함께) 각각의 지지 레일(26)을 따라 이송 방향(D)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액추에이터(케이블(44) 포함함)를 사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하는 확장 및 수축을 허용하기 위해, 리시버(예를 들어, 클립(20a, 20b))가 둘 중 하나의 조절기(10)마다 가이드레일(12a, 12b)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지만, 다른 조절기에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가이드레일(12)이 감소된 수직 치수(기본적으로 각각 전체 가이드레일 높이의 절반과 동일)를 갖는 레그(12c, 12d)와 같은 부분으로 구성된 확장 가능한 조인트(74)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레그(12c, 12d)는 서로 겹쳐지거나 수직 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고, (가이드레일(12)의 수축 동안 공통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고 가이드레일(12)의 확장 동안 공통 중심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레그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C-형 클램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리시버(7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리시버(76)는 레그(12c, 12d)를 함께 유지하지만, 관련된 가이드레일 부분의 확장 및 수축 동안 이송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레일(12)이, 이송되는 특정 물품을 수용하거나 특정 이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지대(14)를 통해서와 같이 원하는 확장 및 수축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레그(12c, 12d)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곡선일 수 있지만, 확장 가능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직선 부분과 함께 지지대(14)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확장 가능한 조인트(74)가 대향하는 가이드레일(12)이 다른 양만큼 확장 또는 수축하도록 하는 것을 도 28에서도 알 수 있는데, 이는 하나는 내부 곡선과 관련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 곡선과 관련될 때 발생할 수 있다.
하부 컨베이어(C)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케이블(44)과 같은 커넥터를 안내하기 위한 조절기(10)의 중간에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케이블(44)의 상부 및 하부 런에 결합하기 위한 풀리(60)가 장착될 수 있는, 도 13 및 도 14의 수동 셔틀(22 또는 24)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셔틀(22, 24)은 관련된 리테이너((30)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78)은 또한 케이블(44)의 각각의 런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가이드(78a, 78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는 하나의 컨베이어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예를 들어, 다수의 컨베이어로 구성됨)에서 다양한 폭의 구역을 생성하기 위한 다수의 조절기(10)의 가능한 적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컨베이어(C)와 관련된 제 1 일련의 조절기(10a)는 컨베이어의 상류 부분에 더 멀리 이격된 가이드레일(12a, 12b)을 제공하여 제 1 구역(Z1)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제 2 일련의 조절기(10b)는 하류 가이드레일(12e, 12f)을 서로 더 가깝게 배치하여 제 2 구역(Z2)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조절기(10a, 10b)는 수동으로 조절되거나, 다른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상기한 케이블 시스템)와 관련될 수 있다. 나중에,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기(10a, 10b)는 구역(Z1, Z2)을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거나,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Z2)이 구역(Z1)보다 넓어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a-12b)의 재료는 유연하거나 또는 상대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유연한 상호연결부(상기한 조인트(74)를 포함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도시를 위해 개략적인 도면에서 과장된 것이다.
수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이동식 지지대(100) 형태의 조절기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 35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4, 도 35 및 도 36으로부터, 각각의 이동식 지지대(100)는 고정 지지 레일(104)에 결합하기 위한 셔틀(102) 형태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이는 가이드레일 지지 아암(106)에 연결되는 알 수 있다. 셔틀(102)은 클램프(112)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리테이너(110)를 포함하는 몸체(108)를 포함한다. 클램프(112)는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리테이너(11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레버(114)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레버(114)의 이동은 쐐기(116)와 같은 이동식 리테이너를 지지 레일(104)의 대응하는 (외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한다(도 38에서의 레버(114)와 쐐기(116)의 위치를, 개구(Q)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지지 레일(도시되지 않음)에 결합하기 위한 도 39에서의 레버(114')와 쐐기(116')의 상승된 위치와 비교하라).
레버(114)는, 쐐기(116)를 수용하고 레버가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 레일(104)과 결합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리시버(114a)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14)는 리테이너(110)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114b)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쐐기(116)에 의해 생성되지만 손가락 동작을 사용하여 쉽게 해제될 수 있는 외부로 향하는 힘의 결과로서, 적절한 유지력을 생성하고 레버(114)를 작동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을 포함함으로써) 마찰 강화될 수 있다(이를 위해, 핸들(114c), 즉 레버(114)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쐐기(116)가 지지 레일과 결합하도록 하는 것에 주목하라).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식 지지대(100)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지지 아암(118)을 포함하는 각각의 지지 아암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지지대(100)는 지지 레일을 따라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어떠한 리테이너도 포함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아암(106, 118)을 통해 상기한 고정 가능한 지지대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 2 지지대(100)는 개구(Q)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지지 레일(도시되지 않음)과의 마찰이 적은 구름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대(100)에 클램프(112)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련된 지지 레일(104)에 이를 독립적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형태는 각각의 지지대(100)가 각각의 지지 아암(106, 118)과 관련된 리시버(124)의 형태로 도시된 가이드레일 커넥터를 배치하기 위한 위치(예를 들어, 이송 방향으로 서로 가깝거나 더 멀리 떨어진 위치)로 지지 레일(104)을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상기 커넥터(124)는 지지대(100)가 바닥을 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100)가 접힌 상태에서 지지 레일(104)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레일(도시되지 않음)의 상대적 배치는 사용자에 의해, 그리고 동력, 모터 등이 필요하지 않은 수동 방식을 사용하여, 독립적이고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렇지만, 지지대(100)의 로우-프로파일(low-profile) 특성은 유지되며,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외부로 향한 로드 또는 유사한 구조가 없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개시는 임의의 조합으로 다음 항목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1.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지지 레일; 및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셔틀에 대해 선회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아암으로 구성된 접철식 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터는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시버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한 쌍의 아암이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프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클램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가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클램프를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지지 레일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쐐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액추에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및 쐐기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쐐기와 지지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반대 힘의 결과로서 액추에이터에 결합하기 위해 마찰 강화되는,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
13. 지지 레일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과 결합하고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접철식 지지대를 포함하고, 접철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송 경로 내로 확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장치.
14. 지지 레일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지지 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셔틀을 포함하고, 셔틀은, 위에 있는 셔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 레일과 결합하도록 리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쐐기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대적인 선회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아암으로 구성된 접철식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타단에서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셔틀에 연결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터는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시버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한 쌍의 아암이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버는 셔틀과 관련된 리테이너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테이너는, 레버의 작동 상태에서 리테이너와 지지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반대 힘의 결과로서 채널에 결합하기 위해 마찰 강화되는, 장치.
21.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가이드레일과 관련된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단계; 및
가이드레일을 이송 경로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리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이동식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이동식 지지대가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기 위해 클램프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고정하는 단계는 쐐기를 사용하여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고정하는 단계는 지지 레일과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클램프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고정하는 단계는 클램프와 관련된 핸들을 위쪽으로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수동으로 결합시켜 제 1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지지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 제 2 지지대를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지지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 제 3 및 제 4 지지대를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지지 레일을 따른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 사이의 제 1 거리는 지지 레일을 따른 제 3 및 제 4 지지대 사이의 제 2 거리와는 다른, 방법.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념을 예시적으로 제공한다. 설명은 완전한 것이 아니고, 개시된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교시에 비추어 수정 또는 변형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넥터는 유연한 리본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레버 또는 메커니즘이 작동 또는 조절되는 유사한 돌출 부분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셔틀(22, 24)이 지지 레일(26) 상에 놓이고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셔틀은 여전히 셔틀로서 기능하면서 지지 레일(26)의 공동 내에 리세스(recess)될 수도 있다. 셔틀은 또한 예를 들어 아암(16, 18)에 연결되고 지지 레일(26)을 따라 또는 내부에 형성된 공동 내에서 이동하도록 설계된, 길고 유연한 리본과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단수로 기술된 모든 요소는 복수가 될 수 있고(즉, "하나"로 기술된 모든 요소는 하나 이상일 수 있음), 복수의 요소가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요소, 장치,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한 가지 변형의 개시된 특성은 다른 변형, 예를 들어, 치수, 형상,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 사용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는 합리적으로 가능한 한 해당 조건에 근접한 것을 의미하며, 상황이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10% 이상 변하지 않는다. 속 요소(genus element)의 임의의 종 요소(species element)는 해당 속의 임의의 다른 종 요소의 특성 또는 요소를 가질 수 있다.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상기한 구성, 요소 또는 완성 조립체 및 방법 및 이들의 요소, 및 본 발명의 양태의 변형은 임의의 조합으로 서로 결합되고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8)

  1.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지지 레일; 및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셔틀에 대해 선회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아암으로 구성된 접철식 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터는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시버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한 쌍의 아암이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프는,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클램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가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클램프를 해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지지 레일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쐐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액추에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및 쐐기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쐐기와 지지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반대 힘의 결과로서 액추에이터에 결합하기 위해 마찰 강화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핸들을 포함하는 장치.
  13. 지지 레일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컨베이어에 대해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과 결합하고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접철식 지지대를 포함하고, 접철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가이드레일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송 경로 내로 확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는, 지지 레일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장치.
  14. 지지 레일과 관련하여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지지 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셔틀을 포함하고, 셔틀은, 위에 있는 셔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 레일과 결합하도록 리테이너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쐐기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대적인 선회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아암으로 구성된 접철식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타단에서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해 셔틀에 연결되는,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은 커넥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터는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시버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한 쌍의 아암이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레일에 결합하기 위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레버는 셔틀과 관련된 리테이너에 각각 결합하기 위한 채널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테이너는, 레버의 작동 상태에서 리테이너와 지지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반대 힘의 결과로서 채널에 결합하기 위해 마찰 강화되는, 장치.
  21.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가이드레일과 관련된 이동식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고정하는 단계; 및
    가이드레일을 이송 경로를 향해 또는 이로부터 멀리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이동식 지지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이동식 지지대가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기 위해 클램프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고정하는 단계는 쐐기를 사용하여 이동식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고정하는 단계는 지지 레일과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클램프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고정하는 단계는 클램프와 관련된 핸들을 위쪽으로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이송 방향으로 이송 경로를 갖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대를 지지 레일에 수동으로 결합시켜 제 1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하고, 따라서 하나 이상의 물품을 이송 경로를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지지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 제 2 지지대를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지지 레일에 지지하기 위해 제 3 및 제 4 지지대를 수동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지지 레일을 따른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 사이의 제 1 거리는 지지 레일을 따른 제 3 및 제 4 지지대 사이의 제 2 거리와는 다른, 방법.
KR1020217041968A 2019-06-14 2020-06-15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KR20220018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1633P 2019-06-14 2019-06-14
US62/861,633 2019-06-14
PCT/US2020/037707 WO2020252443A1 (en) 2019-06-14 2020-06-15 Manually adjustable conveyor belt guiderail and relate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983A true KR20220018983A (ko) 2022-02-15

Family

ID=7140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968A KR20220018983A (ko) 2019-06-14 2020-06-15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12507B2 (ko)
EP (1) EP3983319A1 (ko)
JP (1) JP2022536070A (ko)
KR (1) KR20220018983A (ko)
AU (1) AU2020290574A1 (ko)
CA (1) CA3140081A1 (ko)
MX (1) MX2021014696A (ko)
SG (1) SG11202112916RA (ko)
WO (1) WO20202524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7012B1 (en) * 2015-11-30 2018-10-02 Span Tech Llc Adjustable conveyor belt guide rail with retractable support
JP7197508B2 (ja) 2017-05-19 2022-12-27 スパン テック エルエルシー 調節可能なコンベヤベルトガイドレールおよび関連方法
EP3578932A1 (de) * 2018-06-07 2019-12-11 Bizerba SE & Co. KG Wäge-fördervorrichtung
MX2023002138A (es) * 2020-08-31 2023-03-16 Span Tech Llc Montaje para riel de guia de banda transportadora ajustable y metodos relacionad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2443A1 (en) 2020-12-17
SG11202112916RA (en) 2021-12-30
US20220250852A1 (en) 2022-08-11
MX2021014696A (es) 2022-01-11
CA3140081A1 (en) 2020-12-17
AU2020290574A1 (en) 2021-12-23
JP2022536070A (ja) 2022-08-12
US11912507B2 (en) 2024-02-27
EP3983319A1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491B1 (ko)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US11639271B2 (en) Mount for adjustable conveyor belt guiderail and related methods
US7647728B2 (en) Sliding doors with cam guides for coplanar closing, particularly for pieces of furniture or similars
MXPA03011506A (es) Mesa plegable.
US7222731B2 (en) Laterally adjustable conveyor
US10787320B2 (en) Device comprising a conveyor
US10087012B1 (en) Adjustable conveyor belt guide rail with retractable support
KR20220018983A (ko)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WO2024059172A1 (en) Mount for adjustable conveyor belt guiderail and related methods
WO2024081607A1 (en) Customizable cover for use with conveyor and related methods
KR20240105453A (ko)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가이드레일용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