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818A -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 Google Patents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818A
KR20220018818A KR1020200099383A KR20200099383A KR20220018818A KR 20220018818 A KR20220018818 A KR 20220018818A KR 1020200099383 A KR1020200099383 A KR 1020200099383A KR 20200099383 A KR20200099383 A KR 20200099383A KR 20220018818 A KR20220018818 A KR 2022001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eedback information
chang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7379B1 (en
Inventor
조일현
박혜정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79B1/en
Publication of KR2022001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video clas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a user pupil.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change in the user pupil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by tracking a user pupil size with an eye tracker; determining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a user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termediate feedback to the user who is learning.

Description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및 방법{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본 발명은 영상 수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지각한 난이도를 판별하고, 사용자가 지각한 난이도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lass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clas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fficulty perceived by a user based on a change in the user's pupil,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perceived difficulty. it's about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영상 수업을 이용하는 비대면 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Due to the corona crisis, non-face-to-face education using video classes is spreading.

종래의 영상 수업 시스템은 수업에 포함된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해답을 문제 단위로 분석하여 피드백하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video teaching system, the answers written by the user to the problems included in the class were analyzed and fed back in units of problems.

그러나, 종래의 영상 수업 시스템이 사용하는 문제 단위의 분석은 다중 요소 및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는 복합 문제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문제의 어떤 요소에 대하여 어려워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mplex problem requiring multiple elements and background knowledge, the problem unit analysis used by the conventional video teaching system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analyze which element of the problem the user is having difficulty with.

또한, 사용자는 학습 중의 찰나의 인지적 변화에 대한 성찰을 스스로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flect on the instantaneous cognitive change during learning by himself/herself.

따라서, 문제의 요소 별 분석 및 사용자의 학습 중의 변화에 따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analysis by element of a problem and an analysis according to a change during user's learn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공 크기 및 시선 경로에 따라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여 사용자 및 강의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중인 사용자에 대한 중간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mediate feedback to a user in learning by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lecturer by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pupil size and gaze path.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성찰하기 어려운 문제 풀이중의 변화를 강의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시선 경로에 따른 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강의자가 사용자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that supports the lecturer to derive the user's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by providing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gaze path so that the lecturer can grasp the change in problem solving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lf-reflect. to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은 아이 트래커로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추적하여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a user's pupi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racking the user's pupil size with an eye tracker to collect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의 상기 난이도를 판별하는 단계는, LHIPA(low/high index of pupilary activity)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fficulty of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s pupi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a low/high index of pupilary activity (LHIPA) index. c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의 빈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강의자에게 제공할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viding step of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pupil change of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lecturer based on the change in the frequency of singularit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ca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의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문제를 마킹하는 단계; 및 마킹한 문제 및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자가 상기 사용자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of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s pupi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marking a probl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and generating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lecturer to derive the user's individual supplementary points based on the marked problem and the user's gaze information at a time point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의 강의 피드백 정보는, 마킹한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요소들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s pupi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arked problem,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Each of the elements can be displayed separat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의 제공하는 단계는, 문제 별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viding of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pupil change of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probl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은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추적하여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아이 트래커; 및 상기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수업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image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ye tracker for generating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by tracking a user's pupil size; and a class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es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의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LHIPA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The class management server of the video cla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LHIPA index.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의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의 빈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강의자에게 제공할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lass management server of the video cla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lecturer based on a change in the frequency of singularit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의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문제를 마킹하고, 마킹한 문제 및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자가 상기 사용자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lass management server of the video cla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marks a probl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and the marked problem and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lecturer to derive the user's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gaze information at the viewpoi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의 상기 강의 피드백 정보는, 마킹한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요소들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arked problem, and classifies each of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의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문제 별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lass management server of the video cla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probl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동공 크기 및 시선 경로에 따라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여 사용자 및 강의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중인 사용자에 대한 중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lecturer by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pupil size and gaze path,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mediate feedback to the user who is learn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스로 성찰하기 어려운 문제 풀이중의 변화를 강의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시선 경로에 따른 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강의자가 사용자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gaze path so that the lecturer can grasp the change in problem solving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flect on himself, the lecturer can derive the user's individual complementarity. can suppo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이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이 강의자에게 제공하는 강의 피드백 정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이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user's pupil.
3 is an example of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provided to a lecturer by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process of generating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by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a change in a user's pup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수업 시스템은 수업하는 강의자(112)의 단말(110), 영상 수업에 참여한 사용자(122)들 각각에 대응하는 카메라(121) 및 단말(120)들과 수업 관리 서버(10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자(112)는 교수, 강사, 선생님과 같이 영상 수업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사람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영상 수업에 참여하여 수업을 받는 학생일 수 있다.The video class system may be composed of a terminal 110 of the lecturer 112 in class, a camera 121 and terminals 12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s 122 participating in the video class, and a class management server 100 . have. For example, the lecturer 112 may be a person who conducts a class in a video class, such as a professor, a lecturer, or a teacher. In addition, the users may b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video class and receive the class.

수업 관리 서버(100)는 프로세서 및 통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기는 단말(110), 및 단말(120)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컴퓨터,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출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학습 관련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카메라(121)를 내장하거나, 카메라(12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관련 정보는 수업 내용, 또는 수업과 관련된 문제일 수 있다. 또한, 학습 관련 정보에는 사용자(122)가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한 후에 표시되는 문제의 해답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be configured with a processor and a communicator. In this case, the communicator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10 and the terminals 120 .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be a computer or a server that outputs a screen to a plurality of displays. Also, the terminal 120 includes a screen and a processor for outputting content including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may have a built-in camera 121 or be connected to the camera 121 . For example, th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may be a class content or a class-related issue. In addition, th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swer to a problem displayed after the user 122 inputs an answer to the problem.

수업 관리 서버(100)는 강의자(112)의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학습 관련 정보를 단말(120)들에 전송하여 단말(120)들이 각각 학습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nsmit th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of the lecturer 112 to the terminals 120 so that the terminals 120 respectively display th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카메라(121)는 사용자(122)의 양안 시차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카메라(121)가 측정한 사용자(122)의 양안 시차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동작을 식별함으로써,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122)가 주시하고 있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에 연결되거나, 단말(110)에 내장된 아이 트래커는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추적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용자(122)의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아이 트래커로부터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The camera 121 may measure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user 122 .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identifies the user's eye motion based on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user 122 measured by the camera 121 , thereby locating the user 122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0 . can be estimated. In addition, the eye tracker connected to the terminal 110 or built in the terminal 110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pupil size change of the user 122 over time by tracking the pupil siz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receive and collect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from the eye tracker.

다음으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단말(12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면을 기초로 사용자(122)가 화면 상에서 주시하고 있는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Next,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identify an element that the user 122 is watching on the screen base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1 .

그 다음으로 수업 관리 서버(10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122)가 주사하고 있는 위치 및 사용자(122)가 주사하고 있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요소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시선 경로(scanpath)를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학습 관련 정보는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문제일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을 주시한 시간, 및 사용자(122)가 요소들 각각을 주시한 순서를 추적할 수 있다.Next,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refers to an elem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ocation at which the user 122 is scanning and the location at which the user 122 is scanning, which changes over time, and the user's scanpath ) can be traced. For example, th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0 may be a problem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ments. 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ck the time the user 122 looked at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roblem, and the order in which the user 122 looked at each of the elements.

다음으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LHIPA(low/high index of pupilary activity) 지표에 기초하여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HIPA 지표는 동공 변화의 저주파수 대 고주파수 비율(low/ high frequency ratio of pupil oscillation)인

Figure pat00001
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Next,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based on a low/high index of pupilary activity (LHIPA) index. For example, the LHIPA indicator is the low/high frequency ratio of pupil oscillation.
Figure pat0000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그 다음으로,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강의자(112), 또는 사용자(122)에게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and provide it to the lecturer 112 or the user 122 .

예를 들어,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의 빈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강의자(112)에게 제공할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업 관리 서버(100)는 LHIPA 지표를 통하여 산출되는 특이점 빈도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lecturer 112 based on a change in the frequency of singularit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 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monitor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 Specifically,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monitor whether the singularity frequency calculated through the LHIPA index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문제의 특정 요소로 인하여 사용자(122)의 지각된 난이도가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문제를 마킹할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마킹한 문제 및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시점에서의 사용자(122)의 시선 정보를 기초로 강의자(112)가 사용자(122)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가 생성하여 단말(110)로 전송하는 강의 피드백 정보는, 마킹한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요소들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한 정보일 수 있다.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the perceived difficulty of the user 122 may change due to a specific element of the problem. Accordingly,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mark a probl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At this tim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supports the lecturer 112 to derive the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of the user 122 based on the gaze information of the user 122 at the time when the frequency of the marked problem and singularity is changed. You can creat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hen, 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for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arked problem, and the analysis result It may be information displayed by dividing each of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

또한,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 문제 자체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자(122)의 지각된 난이도가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문제 유형 정보와 학습자 지원 정보를 매핑하여 사용자(122)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does not change, the perceived difficulty of the user 122 may chang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itself. Accordingly,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122 by mapping the problem type information and the learner support information.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학습이 종료된 후, 문제 별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기초하여 사용자(122)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122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problem after the learning is finish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은 사용자(122)의 동공 크기 및 시선 경로에 따라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여 사용자(122) 및 강의자(112)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중인 사용자(122)에 대한 중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122 and the lecturer 112 by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according to the pupil size and the gaze path of the user 122 .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mediate feedback to the learning user 122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은 사용자(122)가 스스로 성찰하기 어려운 문제 풀이중의 변화를 강의자(112)가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122)의 시선 경로에 따른 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강의자(112)가 사용자(122)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aze path of the user 122 so that the lecturer 112 can grasp a change in solving a problem that is difficult for the user 122 to reflect on by himself/herself. By providing,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ecturer 112 to derive the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of the user 122 .

따라서, 영상 수업 시스템은 사용자(122)로 하여금 적극적인 인지적 과정을 요구하며 다양한 유형의 문제해결을 포함하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업 시스템은 복합 요소를 포함하는 문제 해결을 요하는 고난이도의 CBT, IBT 대비 과정에서 효율적 개별화 처방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video instructional system requires the user 122 to take an active cognitive process and can be used for tests including various types of problem solving. For example, the video instructional system can play a role for effective individualized prescription in high-level CBT and IBT preparation courses that require problem-solving that includes complex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이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는 과정의 일례이다.2 is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user's pupil.

카메라(121)는 사용자(122)가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문제(210)에서 주시하고 있는 위치 및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여 수업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amera 121 may measure the location and pupil size that the user 122 is looking at in the problem 210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0 and transmit it to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문제(210)에서 주시하고 있는 위치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경로를 추적하여 시선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선 경로 정보는 문제(210)를 구성하는 요소 1(211), 요소2(212), 및 다른 요소들 각각을 주시한 시간, 및 사용자(122)가 요소 1(211), 요소2(212), 및 다른 요소들을 주시한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gaze path information by tracking the gaze path of the us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that the user 122 is looking at in the problem 210 . At this time, the gaze path information includes the time at which each of the elements 1 211 , 2 212 , and other elements constituting the problem 210 was observed, and the user 122 , the elements 1 211 and 2 ( 212), and the order in which other elements are looked at.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시선 경로 및 동공 크기의 변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LHIPA 지표(220)를 산출하여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by calculating the LHIPA index 220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gaze path and the pupil size.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수업 관리 서버(100)는 LHIPA 지표를 통하여 산출되는 특이점 빈도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문제(210)를 마킹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onitors whether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alculated through the LHIPA index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the problem 210 is marked can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이 강의자에게 제공하는 강의 피드백 정보의 일례이다.3 is an example of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provided to a lecturer by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강의자(112)의 단말(110)로 전송되어 강의자(112)에게 제공되는 강의 피드백 정보는 수업 관리 서버(100)가 마킹한 문제(300), 및 문제(300)을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을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한 정보일 수 있다.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0 of the lecturer 112 and provided to the lecturer 112 is the problem 300 marked by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and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roblem 300 to the user. (122) may be information classifi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perceived learning difficulty.

구체적으로, 수업 관리 서버(100)는 시선 경로에 따라 사용자(122)가 주시한 요소들의 순서(311,312,313,321,320,322)를 강의 피드백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include the order (311, 312, 313, 321, 320, 322) of the elements observed by the user 122 according to the gaze path in 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또한, 수업 관리 서버(100)는 요소들 각각의 LHIPA 지표에서 High의 비율이 높은지, 아니면 Low의 비율이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High의 비율이 높은 요소들(310)과 Low의 비율이 높은 요소들(32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 ratio of High in the LHIPA index of each of the elements is high or whether the ratio of Low is high.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display elements 310 having a high ratio of High and elements 320 having a high ratio of Low to different colors.

또한,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요소들 각각을 주시한 시간에 따라 요소들에 표시한 원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122)가 오래 주시한 요소를 강의자(112)가 인지하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generates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ize of a circle marked on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time that the user 122 looked at each of the elements, so that the user 122 watched the elements for a long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ssist the lecturer 112 to recogniz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이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의 일례이다.4 is an example of a process of generating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by the video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121)는 사용자(122)가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문제 1(411)에서 주시하고 있는 위치 및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여 수업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문제 1(411)에서 주시하고 있는 위치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경로를 추적하여 시선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선 경로 정보는 문제 1(411)를 구성하는 요소 1(412), 요소2(413), 및 다른 요소들 각각을 주시한 시간, 및 사용자(122)가 요소 1(412), 요소2(413), 및 다른 요소들을 주시한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시선 경로 및 동공 크기의 변화에 따라 LHIPA 지표를 산출하여 사용자(122)가 문제 1(411)에 대하여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The camera 121 may measure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the pupil that the user 122 is looking at in Problem 1 411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0 and transmit it to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 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gaze path information by tracking the gaze path of the us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that the user 122 is looking at in Problem 1 (411). At this time, the gaze path information includes a time at which each of the elements 1 ( 412 ), 2 ( 413 ), and other elements constituting the problem 1 ( 411 ) was looked at, and the user 122 , the elements 1 ( 412 ) and 2 (413), and the order in which other element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for the first question 411 by calculating the LHIPA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gaze path and the pupil size.

사용자가 문제1(411)에 대한 답변을 입력한 경우, 단말(120)은 문제 2(421)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1)는 사용자(122)가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문제 2(421)에서 주시하고 있는 위치 및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여 수업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122)가 문제 2(421)에서 주시하고 있는 위치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경로를 추적하여 시선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선 경로 정보는 문제 2(421)를 구성하는 요소 1(422), 요소2(423), 및 다른 요소들 각각을 주시한 시간, 및 사용자(122)가 요소 1(422), 요소2(423), 및 다른 요소들을 주시한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시선 경로 및 동공 크기의 변화에 따라 LHIPA 지표를 산출하여 사용자(122)가 문제 2(421)에 대하여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n answer to question 1 ( 411 ), the terminal 120 may display question 2 ( 421 ) on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camera 121 may measure the location and the pupil size that the user 122 is looking at in question 2 421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0 , and transmit it to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 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generate gaze path information by tracking the gaze path of the use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 that the user 122 is looking at in question 2 (421). At this time, the gaze path information includes the time at which each of the elements 1 422 , 2 423 , and other elements constituting the problem 2 421 was observed, and the user 122 , the element 1 422 and the element 2 (423), and the order in which other element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for the second question 421 by calculating the LHIPA index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gaze path and the pupil size.

사용자(122)의 학습이 종료된 경우, 수업 관리 서버(100)는 문제 별로 산출한 LHIPA 지표(430)를 이용하여 문제 별로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업 관리 서버(100)는 문제 별로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사용자(122)가 강한 문제 유형, 및 사용자(122)가 약한 문제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122)의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learning of the user 122 is finished,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identify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for each problem by using the LHIPA index 430 calculated for each problem.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provides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type in which the user 122 is strong and the problem type in which the user 122 is weak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for each problem. It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20 of the user 122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a change in a user's pup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510)에서 아이 트래커는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추적하여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업 관리 서버(100)는 카메라(121)가 측정한 사용자(122)의 양안 시차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동작을 식별함으로써,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122)가 주시하고 있는 위치를 추정하여 사용자의 시선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In step 510 , the eye tracker may collect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by tracking the pupil siz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identifies the user's eye motion based on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user 122 measured by the camera 121 , thereby locating the user 122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120 . It is possible to track the user's gaze path by estimating .

단계(52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단계(510)에서 수집된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수업 관리 서버(100)는 LHIPA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할 수 있다.In step 520 ,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510 . In this case,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LHIPA index.

단계(53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단계(520)에서 판별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 빈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step 530 ,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monitor the singularity frequency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determined in step 520 .

단계(54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LHIPA 지표를 통하여 산출되는 특이점 빈도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이점의 빈도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유지되는 경우, 수업 관리 서버(100)는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570)을 수행할 수 있다.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수업 관리 서버(100)는 단계(550)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540 ,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check whether the singularity frequency calculated through the LHIPA index has changed.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determine that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has not changed and perform step 570 .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perform step 550 .

단계(55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문제를 마킹할 수 있다. In step 550,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y mark a probl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단계(56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단계(550)에서 마킹한 문제 및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시점에서의 사용자(122)의 시선 정보를 기초로 강의자(112)가 사용자(122)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560,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determines that the lecturer 112 is the user 122 based on the gaze information of the user 122 at the time when the frequency of the problem and singularity marked in step 550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generat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support the drawing of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단계(57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문제 유형 정보와 학습자 지원 정보를 매핑하거나, 문제 별로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기초하여 사용자(122)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570,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maps the problem type information and the learner support information, or generates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122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for each problem. can

단계(580)에서 수업 관리 서버(100)는 단계(560)에서 생성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강의자(112)의 단말(110)로 전송하고, 단계(570)에서 생성한 학습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122)의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580, the class management server 100 transmits 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560 to the terminal 110 of the lecturer 112, and transmits the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570 to the user 122 )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20 of the.

본 발명은 사용자(122)의 동공 크기 및 시선 경로에 따라 사용자(122)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여 사용자(122) 및 강의자(112)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중인 사용자(122)에 대한 중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o the user 122 and the lecturer 112 by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122 according to the pupil size and the gaze path of the user 122, thereby providing the user 122 in learning. Interim feedback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122)가 스스로 성찰하기 어려운 문제 풀이중의 변화를 강의자(112)가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122)의 시선 경로에 따른 강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강의자(112)가 사용자(122)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aze path of the user 122 so that the lecturer 112 can grasp the change in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user 122 is difficult to reflect on by himself. (122) can be supported to derive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수업 시스템은 사용자(122)로 하여금 적극적인 인지적 과정을 요구하며 다양한 유형의 문제해결을 포함하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수업 시스템은 복합 요소를 포함하는 문제 해결을 요하는 고난이도의 CBT, IBT 대비 과정에서 효율적 개별화 처방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video instruction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user 122 to take an active cognitive process and can be used for tests including various types of problem solving. For example, the video instructional system can play a role for effective individualized prescription in high-level CBT and IBT preparation courses that require problem-solving that includes complex elemen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수업 시스템 또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tea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feedback in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user's pupil change is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optical reading media, digital storage media, etc. .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mplementations may be implemented for processing by,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eg, a programmable processor, computer, or number of computers,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eg,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computer readable available medium) as a computer program tangibly embodied in it. A computer program, such as the compute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as a standalone program or in a module, component, subroutine, or computing environment.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as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processed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t one site or to be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Processors suitable for processing a computer program include, by way of example, both general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In general,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either read-only memory or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Elements of a comput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executes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memory devices that store instructions and data. In general, a computer may include, receive data from, transmit data to, or both,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for example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may be combined to become Information carriers suitable for embody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ar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for exampl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DVD (Digital Video Disk),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n optical disk, ROM (Read Only Memory), RAM (RAM) ,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the like. Processors and memories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lud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may include any computer storage medium.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descriptions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particular embodiments of particular inventions.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claimed as such,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the claimed combination being a sub-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act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construed that all acts shown must be performed or that such act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obtain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devic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device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have to understand that you ca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수업 관리 서버
110: 단말
112: 강의자
120: 단말
121: 카메라
122: 사용자
100: class management server
110: terminal
112: lecturer
120: terminal
121: camera
122: user

Claims (13)

아이 트래커로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추적하여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collecting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by tracking the user's pupil size with an eye tracker;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user's pupi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이도를 판별하는 단계는,
LHIPA(low/high index of pupilary activity)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fficulty is,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a user's pupil for determining a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a low/high index of pupilary activity (LHIPA) inde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의 빈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강의자에게 제공할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viding step is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pupil change of a user for generating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 lecturer based on a change in the frequency of singularit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문제를 마킹하는 단계; 및
마킹한 문제 및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자가 상기 사용자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viding step is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marking a probl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is changed; and
Generating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for supporting the lecturer to derive the user's individual complementary points based on the marked problem and the user's gaz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user's pupil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피드백 정보는,
마킹한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요소들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user's pupils by analyzing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arked problem, and displaying each of the element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문제 별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동공 변화에 기초한 피드백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viding step is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a change in a user's pupil for generating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problem.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is recorded. 사용자의 동공 크기를 추적하여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생성하는 아이 트래커; 및
상기 동공 크기 변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수업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an eye tracker that tracks the user's pupil size to generat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and
Class management server that determines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pupil size change information, and generates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video instruction system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LHIPA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판별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lass management server,
A video instructional system that determines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based on the LHIPA index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따른 특이점의 빈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강의자에게 제공할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lass management server,
A video teaching system for generating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 lecturer based on a change in the frequency of singularities according to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문제를 마킹하고, 마킹한 문제 및 상기 특이점의 빈도가 변화한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의자가 상기 사용자의 개별적 보완점을 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강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lass management server,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a problem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is marked, and based on the marked problem and the user's gaze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frequency of the singularity changes, the lecturer A video instructional system that generates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to support drawing up complementary point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피드백 정보는,
마킹한 문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요소들 각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ecture feedback information,
A video teaching system that analyzes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arked problem, and displays each of the element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업 관리 서버는,
문제 별로 사용자가 지각한 학습 난이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학습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수업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lass management server,
A video instructional system for generating learning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learning difficulty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problem.
KR1020200099383A 2020-08-07 2020-08-07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KR102507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83A KR102507379B1 (en) 2020-08-07 2020-08-07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83A KR102507379B1 (en) 2020-08-07 2020-08-07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18A true KR20220018818A (en) 2022-02-15
KR102507379B1 KR102507379B1 (en) 2023-03-07

Family

ID=8032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83A KR102507379B1 (en) 2020-08-07 2020-08-07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3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839A (en) * 2011-12-20 2013-07-22 두산동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sed cotent
KR101847446B1 (en) * 2016-12-27 2018-04-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eye-tracking base on cognition data network
KR20200001798A (en) * 2018-06-28 2020-01-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Learning value decision method to determine learning value of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839A (en) * 2011-12-20 2013-07-22 두산동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sed cotent
KR101847446B1 (en) * 2016-12-27 2018-04-1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eye-tracking base on cognition data network
KR20200001798A (en) * 2018-06-28 2020-01-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Learning value decision method to determine learning value of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379B1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emdag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eye tracking research on multimedia learning
Violante et al. Virtual interactive e‐learning application: An evaluation of the student satisfaction
Kori et al. Supporting reflection i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Yang et al. Tracking learners' visual attention during a multimedia presentation in a real classroom
Spanjers et al. Explaining the segmentation effect in learning from animations: The role of pausing and temporal cueing
Hogan et al. Representation in teaching: Inferences from research of expert and novice teachers
US20060257834A1 (en) Quantitative EEG as an identifier of learning modality
Zhang et al. A complete system for analysis of video lecture based on eye tracking
Van Nuland et al. E‐learning, dual‐task, and cognitive load: The anatomy of a failed experiment
Ong et al. Self-instructional module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A study on information retention among trainee teachers
Cao et al. Understand learning style by eye tracking in slide video learning
KR20220018782A (en)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attention of video lessons
Su et al. Let eyes tell: experimental research on university library signage system and users' wayfinding behavior
Faisal et al. Towards a reference model for sensor-supported learning systems
Sinha et al. Determinants of learning anatomy in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a scoping review
Nikolaeva et al. Newest web-technologies for studying and diagnosing individual abilities of learners
Ivanović et al. Integration of eye tracking technologies and methods in an e-learning system
Koning et al. Investigating the role of hand perspective in learning from procedural animations
KR102507379B1 (en) Video less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information based on changes in pupils
Cheon et al. Exploring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a reverse modality effect in multimedia instruction
Ujbanyi et al. Pilot application of eye-tracking to analyze a computer exam test
Kim et al. Towards Automatic Recognition of Perceived Level of Understanding on Online Lectures using Earables
Bacca-Acosta et al. Work-In-Progress—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Learning about Trademark Registration i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Divjak et al. Learning outcomes in mathematics: Case study of their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y using e-learning
KR1026605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ixed-learning monitoring based on sens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