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733A - 조립형 마스크 - Google Patents

조립형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733A
KR20220018733A KR1020200099174A KR20200099174A KR20220018733A KR 20220018733 A KR20220018733 A KR 20220018733A KR 1020200099174 A KR1020200099174 A KR 1020200099174A KR 20200099174 A KR20200099174 A KR 20200099174A KR 20220018733 A KR20220018733 A KR 20220018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mask body
mas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290B1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20009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2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 유입 모듈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의 양단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조립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형 마스크{ASSEMBLY TYPE MASK}
본 발명은 조립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스크 본체와 탈착 가능한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를 갖는 조립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독감, 감기 및 코로나 19와 같이 호흡기 질환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감염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필터링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비닐에 포장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비닐을 뜯은 이후부터 마스크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관리되어 오염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사람들은 마스크를 한 번 사용한 후, 새로운 마스크를 재구매해야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마스크 구입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하고, 마스크를 한번만 쓰고 버리므로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마스크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9-0138151호(2019.12.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스크 본체와 탈착 가능한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를 갖는 조립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 유입 모듈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의 양단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조립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는,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며, 제1 필터가 구비된 흡입 필터부; 및 일단부는 상기 흡입 필터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부로 유입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제1 전동부가 구비된 흡입 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 흡입 필터부 및 흡입 전동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공기 배출 모듈부는, 일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전동부가 구비된 배출 전동부; 상기 배출 전동부와 연결되며, 제2 필터가 구비된 배출 필터부; 및 상기 배출 필터부와 연결되며,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 필터부를 경유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의 단부에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와 대응되는 결합 돌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와 결합 돌기홈은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 돌출부와 결합 돌기홈은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가 결합되며, 사용자의 턱, 입 및 코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진 하부 마스크 부재와, 상기 하부 마스크 부재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코, 눈 및 이마를 덮도록 이루어진 상부 마스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고정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마스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는 마스크 본체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립형 마스크의 세척 및 세정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마스크 본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형 마스크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조립형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도록 이루어진 흡입 전동부와, 마스크 본체 내부의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배출 전동부가 구비됨에 따라 마스크 본체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마스크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모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 모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에 고정 밴드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마스크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모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 모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본체에 고정 밴드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형 마스크(1000)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바이러스 등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형 마스크(1000)는 마스크 본체(100), 공기 유입 모듈부(200), 공기 배출 모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100)는 조립형 마스크(1000)의 외형을 이루며,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는 하부 마스크 부재(110)와 상부 마스크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마스크 부재(110)는 사용자의 턱, 입을 비롯한 코의 하부측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마스크 부재(110)에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가 삽입 결합되는 제1 삽입 결합부(111)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가 삽입 결합되는 제2 삽입 결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 결합부(111)와 공기 유입 모듈부(200)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자석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는 등 제1 삽입 결합부(111)와 공기 유입 모듈부(200)의 결합 방식은 특정한 결합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삽입 결합부(112)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의 결합 방식 역시, 제1 삽입 결합부(111)와 공기 유입 모듈부(200)의 결합 방식과 동일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부 마스크 부재(120)는 하부 마스크 부재(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 마스크 부재(120)는 사용자의 코 상부측, 눈 및 이마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부 마스크 부재(120)는 하부 마스크 부재(11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상부 마스크 부재(120)를 하부 마스크 부재(11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마스크 부재(120)와 하부 마스크 부재(110)의 결합 방식은 예를 들어 벨크로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접착 테이프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는 등, 상부 마스크 부재(120)와 하부 마스크 부재(110)의 결합 방식은 특정 결합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00)는 앞서 설명된 탈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 마스크 부재(110)와 상부 마스크 부재(120)로 구분되지 않고, 하부 마스크 부재(110)와 상부 마스크 부재(120)가 일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마스크 본체(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외부 공기는 마스크 본체(100)를 직접 관통하여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100)는 투명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부 마스크 부재(12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 시야 확보에 지장이 없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00)의 테두리(101)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조립형 마스크(1000)를 착용함에 있어, 거부감 및 피부 트러블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마스크 본체(100)의 테두리 부위를 실리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립형 마스크(1000) 착용에 대한 거부감 및 피부 트러블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유입 모듈부(200)는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부(111)에 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기 유입 모듈부(200)는 공기 흡입부(210), 흡입 필터부(220) 및 흡입 전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흡입부(210), 흡입 필터부(220) 및 흡입 전동부(23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연결된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 흡입부(210), 흡입 필터부(220) 및 흡입 전동부(230)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210), 흡입 필터부(220) 및 흡입 전동부(230)는 예를 들어 철사와 같이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연결된 관의 형태를 이루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흡입부(210)에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홀(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유입홀(211)을 통해 외부 공기는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210)는 흡입 필터부(2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 흡입부(210)와 흡입 필터부(220)는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입 필터부(220)의 내부에는 제1 필터(2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필터(221)는 공기 흡입부(210)로 유입되어 마스크 본체(100)로 이동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필터(221)는 예를 들어, 미세 먼지 등을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입 전동부(230)는 흡입 필터부(2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흡입 전동부(230)와 흡입 필터부(220)는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흡입 전동부(230)는 외부 공기를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흡입 전동부(230)는 예를 들어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제1 전동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흡입 전동부(230)는 공기 유입홀(211)을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흡입 필터부(220)를 거쳐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전동부(231)의 회전 속도는 사용자에게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1 전동부(231)의 회전 속도를, 강, 중, 약으로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흡입 전동부(230)에는 제1 전동부(23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흡입부(210), 흡입 필터부(220) 및 흡입 전동부(230)가 하나의 관 형태로 연결 형성되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는 공기 흡입부(210), 흡입 필터부(220) 및 흡입 전동부(230)의 각 구성이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예를 들어 흡입 필터부(220)를 교체할 경우, 사용자는 간편하게 흡입 필터부(220)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공기 배출 모듈부(300)는 마스크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부(112)에 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기 배출 모듈부(300)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한 쌍을 이룬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 모듈부(300)는 배출 전동부(330), 배출 필터부(320) 및 공기 배출부(310)를 포함하며, 이러한 배출 전동부(330), 배출 필터부(320) 및 공기 배출부(31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연결된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 전동부(330), 배출 필터부(320) 및 공기 배출부(310)는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배출 전동부(330)는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출 전동부(330)는 예를 들어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제2 전동부(3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 전동부(330)에는 제2 전동부(33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출 필터부(320)는 배출 전동부(33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출 필터부(320)는 배출 전동부(33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배출 필터부(320)의 내부에는 제2 필터(321)가 구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한 상태에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310)는 배출 필터부(32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 배출부(310)는 배출 필터부(32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 배출부(310)에는 복수개의 공기 배출홀(311)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 전동부(330)의 작동에 의해 마스크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배출홀(3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 모듈부(300)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하나의 연결된 관의 형태를 이루는 공기 배출 모듈부(300)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결합되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의 양단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흡입부(210)의 단부에는 결합 돌출부(212)가 형성되고, 공기 배출부(310)의 단부에는 결합 돌출부(212)와 대응되는 결합 돌기홈(312)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212)를 결합 돌기홈(312)에 삽입한 형태로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돌출부(212)에는 자석부재(213)가 구비되어, 결합 돌출부(212)와 결합 돌기홈(312)은 자석 결합을 통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의 양단부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의 양단부를 사용자의 목 뒤부분에서 연결된 형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조립형 마스크(1000)는 고정 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밴드부(400)는 마스크 본체(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밴드부(400)는 사용자의 얼굴에 마스크 본체(100)가 안정적으로 착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 밴드부(400)의 소재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겨울철에는 털실 등의 따듯한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 밴드부(400)를 이용하고, 여름철에는 메시망 형태의 시원한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 밴드부(40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계절에 따라 따듯한 소재 또한 시원한 소재의 고정 밴드부(4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밴드부(400)에는 공기 유입 모듈부(200)와 공기 배출 모듈부(300)의 단부측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홀(410)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형 마스크(10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형 마스크(1000)의 세척 및 세정 작업이 간편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마스크 본체
101: 테두리
110: 하부 마스크 부재
111: 제1 삽입 결합부
112: 제2 삽입 결합부
120: 상부 마스크 부재
200: 공기 유입 모듈부
210: 공기 흡입부
211: 공기 유입홀
212: 결합 돌출부
213: 자석부재
220: 흡입 필터부
221: 제1 필터
230: 흡입 전동부
231: 제1 전동부
300: 공기 배출 모듈부
310: 공기 배출부
311: 공기 배출홀
312: 결합 돌기홈
320: 배출 필터부
321: 제2 필터
330: 배출 전동부
331: 제2 전동부
400: 고정 밴드부
410: 거치홀
1000: 조립형 마스크

Claims (7)

  1. 사용자의 안면을 감싸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 유입 모듈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 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의 양단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조립형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는,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며, 제1 필터가 구비된 흡입 필터부; 및
    일단부는 상기 흡입 필터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부로 유입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제1 전동부가 구비된 흡입 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 흡입 필터부 및 흡입 전동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공기 배출 모듈부는,
    일단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전동부가 구비된 배출 전동부;
    상기 배출 전동부와 연결되며, 제2 필터가 구비된 배출 필터부; 및
    상기 배출 필터부와 연결되며,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 필터부를 경유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의 단부에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와 대응되는 결합 돌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와 결합 돌기홈은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 돌출부와 결합 돌기홈은 자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공기 유입 모듈부와 공기 배출 모듈부가 결합되며, 사용자의 턱, 입 및 코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진 하부 마스크 부재와,
    상기 하부 마스크 부재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코, 눈 및 이마를 덮도록 이루어진 상부 마스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고정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마스크.
KR1020200099174A 2020-08-07 2020-08-07 조립형 마스크 KR10240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74A KR102405290B1 (ko) 2020-08-07 2020-08-07 조립형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74A KR102405290B1 (ko) 2020-08-07 2020-08-07 조립형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733A true KR20220018733A (ko) 2022-02-15
KR102405290B1 KR102405290B1 (ko) 2022-06-07

Family

ID=8032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74A KR102405290B1 (ko) 2020-08-07 2020-08-07 조립형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2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93U (ko) * 2008-10-01 2010-04-09 박세현 공기 순환식 방독면
KR20110007565A (ko) * 2009-07-16 2011-01-24 홍완기 코, 입 분리형 마스크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8151A (ko) 2018-06-04 2019-12-12 최재완 웨어러블 광촉매 살균마스크
KR20200061424A (ko) * 2018-11-23 2020-06-03 (주)써보레 2채널 공기공급 구조를 가지는 전동식 호흡 보호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93U (ko) * 2008-10-01 2010-04-09 박세현 공기 순환식 방독면
KR20110007565A (ko) * 2009-07-16 2011-01-24 홍완기 코, 입 분리형 마스크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8151A (ko) 2018-06-04 2019-12-12 최재완 웨어러블 광촉매 살균마스크
KR20200061424A (ko) * 2018-11-23 2020-06-03 (주)써보레 2채널 공기공급 구조를 가지는 전동식 호흡 보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290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5878A1 (en) Half facepiece
KR101943033B1 (ko) 수술용 마스크
US20140261428A1 (en) Respiratory Filter Device
TW201350167A (zh) 呼吸裝置
ITMI931122A1 (it) Maschera protettiva respiratoria con interfono
KR102284062B1 (ko) 탄발 지지프레임을 갖는 마스크
KR20160111349A (ko) 습기배출밸브를 구비한 스포츠용 미세먼지 여과 마스크
KR102283754B1 (ko) 부품 교체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405290B1 (ko) 조립형 마스크
TWM555232U (zh) 電動送風式口罩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066861B1 (ko) 미세먼지 제거 안경
KR20200114249A (ko) 청정에어 블러워형 마스크
US20230191166A1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CN212014557U (zh) 多功能周流式一体防护罩
CN212160237U (zh) 一种防水雾vr眼镜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CN106924905A (zh) 可穿戴呼吸装置
JP7491618B2 (ja) 通風装置および装着物セット
CN111317215A (zh) 风淋防护帽
TW202144048A (zh) 口罩用通氣裝置
CN211832956U (zh) 一种头戴式防护罩
KR102586380B1 (ko) 마스크 및 이에 사용되는 실리콘 구조체
JP6788878B1 (ja) マスク周辺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