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280A -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280A
KR20220018280A KR1020200098586A KR20200098586A KR20220018280A KR 20220018280 A KR20220018280 A KR 20220018280A KR 1020200098586 A KR1020200098586 A KR 1020200098586A KR 20200098586 A KR20200098586 A KR 20200098586A KR 20220018280 A KR20220018280 A KR 2022001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tation
rotation center
central axi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원
오민규
김대웅
권보안
노양환
차현병
조유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280A/ko
Priority to PCT/KR2021/008563 priority patent/WO2022030767A1/ko
Priority to US17/389,903 priority patent/US11852369B2/en
Priority to EP21189977.8A priority patent/EP3950091A1/en
Publication of KR202200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4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롤러장치와 이를 사용한 공기정화기에 대한 것이 개시된다. 롤러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에 롤러(110)가 위치되는데, 상기 롤러(110)의 일단에는 제1회전중심축(114)이 있고, 타단에는 제2회전중심축(136)이 롤러(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이 위치이동됨에 의해 롤러하우징(100)의 제2회전중심공(106)의 내외부로 이동될 수 있어서, 롤러(110)를 롤러하우징(100)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의 선단에는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축소구간(118)이 있어서 제1회전중심공(114)에서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Roller apparatus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에 대한 것이다.
롤러장치는 종이와 같은 이송대상물을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 쌍에 의해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롤러장치에서 이송대상물이 어떤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것인 경우, 롤러의 표면에 오염물질이 묻을 수 있다. 롤러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은 위생상 좋지 않고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만약, 롤러장치가 채용된 제품이 위생관리가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롤러장치의 롤러를 분리해서 세척할 수 있어야 한다. 롤러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롤러장치에서 롤러를 쉽게 분리하고 다시 장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롤러를 롤러장치에서 분리하고 장착하기 위해서는 공구가 필요하거나, 많은 과정을 거쳐야 가능하다.
이는 롤러장치에서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원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여야 하고 롤러 쌍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롤러장치에서 롤러를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특허문헌1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6651호 에서는 롤러의 표면이 손상되었을 때, 교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롤러몸체의 양단에 결합되게 플랜지부를 두고, 이 플랜지부와 롤러몸체 사이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두어서 플랜지부와 롤러몸체가 결합분리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결합홈의 일측은 롤러몸체의 방사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결합홈의 개방된 방향이 특정한 위치에 있어야만 롤러몸체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2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961호에서는 축 또는 롤러의 훼손 시에 훼손된 부품만의 교체를 위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2에서는 체결보울트로 롤러와 척 사이를 결합하고 분리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한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2의 구조는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롤러에는 적용하기 불가능하다. 이는 롤러가 설치된 주변에 다른 부품들이 있어서 공구를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공기정화기는 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정화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주방에서 사용되는 후드장치 역시 공기정화기의 한 종류이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공기정화기인 후드장치는 음식물의 요리 시에 발생하는 연기 등을 실외로 배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반적으로 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필터에 의해 후드장치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오염물질로는 기름 성분, 냄새 성분, 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이 있다.
오염물질 중에서 필터에 흡착되는 기름 성분의 제거에 어려움이 있어서 필터를 수시로 교체할 수 있는 교체형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교체형 필터는 해당 필터를 지지 및 설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도 함께 교체하는 구조이어서 필터가격이 고가일 수 밖에 없고, 필터 교체에 사용자가 어려움을 느끼기때문에 주기적인 필터 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필터 오염이 더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후드장치에서 필터교체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서 권취롤에 필터시트를 권취한 후에 수동 혹은 자동으로 권취롤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는 특허문헌3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162호와 특허문헌4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730호가 있다. 여기서는 공급롤에서 미사용 필터를 공급하고, 회수롤이 사용된 필터가 회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는 사용된 후 회수롤에 권취된 필터가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해당 오염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문제가 되고, 해당 오염물질에 의해 주변의 부품들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665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9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1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7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장치에서 롤러만을 분리하여 유지 및/또는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작업자의 조작 만으로 롤러의 분리 및/또는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 표면중에서 일부 만이 이송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이송대상물 쪽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타입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도 사용된 필터는 손쉽게 배출하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이송을 위한 구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용이하여 다양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적어도 일측 회전중심축이 롤러의 회전중심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 롤러의 길이가 가변되거나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길이가 간단하게 가변되어 롤러의 장착과 분리가 쉽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일측 회전중심축을 가지는 축조립체가 롤러의 회전중심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체 롤러의 길이가 가변되거나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어 롤러의 장착과 분리가 쉽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타측 회전중심축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이 형성되어 롤러의 장착과 분리 시에 회전중심공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좁은 공간에서 롤러의 장착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대상물과 롤러의 접촉이 이송가이드의 롤러개구를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이송대상물과 롤러의 접촉 영역이 최소화되어 이송대상물에 의한 롤러의 오염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대상물에 표면이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와 상기 롤러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축 및 제1회전중심공, 상기 롤러의 타측 단부와 상기 롤러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중심축 및 제2회전중심공,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상기 제2회전중심공의 내외부로 이동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몸체를 구비하는 축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구간과, 상기 회전구간에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조립체는 걸이채널이 형성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형성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걸이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안내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이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몸체와 이동몸체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안내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탄성력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걸이채널은 상기 안내몸체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진입부와 나란히 연장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몸체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과 동심이고 상기 외부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의 외면이나 상기 내부통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핀의 일단은 상기 내부통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통의 내면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하우징에는 상기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는 롤러개구가 형성된 이송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롤러 표면에 이송대상물의 오염물질이 묻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가이드의 롤러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제1회전중심공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1회전중심공이 구비된 롤러하우징, 상기 제1회전중심공과 제2회전중심공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대상물에 표면이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회전중심공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축, 상기 롤러의 타측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공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축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구간과, 상기 회전구간에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조립체는 걸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어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롤러의 일단부에 대해 위치변경되게 구성된 이동몸체와, 상기 걸이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안내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이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몸체와 이동몸체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안내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탄성력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몸체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과 동심이고 상기 외부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내부통과, 일단은 상기 내부통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통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걸이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걸이채널의 걸이부에 걸이핀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하우징에는 상기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는 롤러개구가 형성된 이송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입구와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출구를 가지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팬모듈, 상기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입구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필터시트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모듈,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의 쌍 사이로 상기 필터시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필터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일측 단부가 제1회전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 단부가 제2회전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은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은 제1회전중심공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구간과, 상기 회전구간에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회전중심축은 제2회전중심공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은 상기 제2회전중심공의 내외부로 이동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몸체를 구비하는 축조립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조립체는 걸이채널이 형성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형성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걸이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안내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이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몸체와 이동몸체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안내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탄성력으로 유지한다.
상기 이동몸체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과 동심이고 상기 외부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의 외면이나 상기 내부통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핀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핀의 일단은 상기 내부통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통의 내면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한 공기정화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축과 제2회전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를 롤러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회전중심축 중의 하나가 이동함에 의해 롤러를 롤러하우징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롤러의 유지 및/또는 보수가 간단하게 되는 효 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이동몸체가 별도의 공구없이 작업자가 조작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가락 만으로도 이동몸체를 조작하여 회전중심축의 이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롤러가 설치되는 공간이 좁더라도 작업자가 쉽게 조작하여 롤러의 분리 및/또는 장착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롤러장치가 사용되는 제품, 예를 들면 공기정화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동되는 회전중심축 외에 타측의 회전중심축은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두어서 롤러하우징에 롤러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축소구간에 의해 롤러를 비스듬히 롤러하우징에 장착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롤러장치의 구성을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대상물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가 있고, 이 이송가이드를 통해서 롤러의 일부만이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는 공간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이송대상물에 있는 오염물질이 롤러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롤러장치가 사용되는 제품 내부에 오염물질이 남아 있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서는 롤러장치에 의해 오염된 이송대상물이 이송될 수 있고, 이를 공기정화기 외부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필터를 롤러를 사용하여 공기정화기 외부로 쉽게 보내서 제거할 수 있어 공기정화기 내부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서 사용되는 롤러장치는 이동몸체의 이동에 의해 일측 회전중심축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서 롤러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롤러의 유지보수를 사용자가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대상물인 필터시트의 오염된 부분의 배출 및 필터시트의 이송을 위한 롤러의 세척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서는 필터의 이송을 위한 롤러장치가 상대적으로 소형화되고, 사용자가 롤러를 장착하고 분리하는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롤러의 장착과 분리에 필요한 공간도 줄어들면서 전체 공기정화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외관구조를 보이는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외관구조를 보이는 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상부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덮개부 및 몸체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 채용될 수 있는 롤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롤러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롤러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롤러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롤러와 축조립체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안내몸체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동몸체를 보인 측면도.
도 12의 (a)는 롤러가 종동롤러인 경우의 분해사시도.
도 12의 (b)는 롤러가 구동롤러인 경우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롤러를 롤러하우징에 장착/분리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의 (a)는 롤러의 제2회전중심축이 제2회전중심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의 (b)는 롤러의 제2회전중심축이 제2회전중심공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개시된 공기정화기는 이동 설치 가능하도록 소형화되면서도 별도의 고정 구조물과 결합될 필요없이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성분의 흡착 및 이렇게 기름성분이 흡착된 필터시트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후드장치(portable hood)로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상부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덮개부 및 몸체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몸체하우징(10)과, 팬모듈(30)과, 필터공급모듈(40), 필터이송모듈(50), 절단모듈(60)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하우징(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은 공기정화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몸체하우징(10)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제공되는 박스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전면에는 공기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이라 함은 조리물이 조리되는 방향측 혹은, 정화하고자 하는 공기가 발생되는 방향측의 벽면이 될 수 있다. 상기 공기입구(11)는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전면 중 대부분의 부위가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전면 중 일부만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입구(11)는 전체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슬롯이 형성된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입구(11)가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전면 중 중앙측 부위를 포함하는 일부에만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입구(11)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출구(12)는 상기 몸체하우징(10)의 배면 중 대부분의 부위가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하우징(10)의 배면 중 일부만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출구(12)는 전체가 개방된 개구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슬롯이 형성된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출구(12)는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10)은 상기 공기입구(11)가 형성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상측에 제공되는 상부덮개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출구(12)는 상기 몸체부(2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기출구(12)는 상기 몸체부(2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덮개부(24)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0)에는 필터이송모듈(50)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덮개부(24)에는 필터이송모듈(50)의 다른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부(24)는 상기 몸체부(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상부덮개부(24)를 분리함으로써 공기정화기의 내부 구성요소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덮개부(24)는 상기 몸체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부(20)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몸체부(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덮개부(24)와 몸체부(20)는 락킹부재(21)를 이용하여 서로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재(21)는 실시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이외의 다양한 락킹 구조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전면에는 필터출구(13) 및 필터입구(1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출구(13)는 필터공급모듈(40)에서 나온 필터시트(42)가 몸체하우징(10) 내로부터 몸체하우징(10) 외부로 취출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필터출구(13)는 상기 공기입구(1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필터입구(14)는 상기 필터출구(13)를 통해 몸체하우징(10) 외부로 취출되어 공기입구(11)를 가로막은 필터시트(42)가 몸체하우징(10) 내로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필터입구(104)는 상기 공기입구(11)의 상측에 형성된다.
즉, 필터시트(42)는 몸체하우징(10)의 전면 하측에서 취출되어 상기 공기입구(11)를 가로막은 후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전면 상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입구(14)의 경우 상기 상부덮개부(24)와 몸체부(20) 간의 경계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입구(14)의 일부는 상기 상부덮개부(24)의 저면 전방측 부위를 상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필터입구(14)의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20)의 상면 전방측 부위를 하향 요입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덮개부(24)와 몸체부(20)가 서로 접촉되면 상기 필터입구(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필터입구(14)는 입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필터입구(14)의 확장 구조에 의해 필터시트(42)의 최초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입구(14)의 하측 모서리(몸체부의 상면 전방측 모서리)는 상측 모서리((몸체부의 상면 전방측 모서리)에 비해 더욱 큰 경사 혹은,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필터시트(42)의 급격한 꺽임에 의해 해당 모서리에서 필터시트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필터시트(42)가 찢어지거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출구(13)는 상향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출구(13)의 위치를 최대한 공기입구11)에 인접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필터시트(42)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필터시트(42)의 급격한 꺽임에 의해 야기되는 부하로 필터시트(42)가 찢어지거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의 배면에는 필터배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배출구(15)는 사용 완료되어 절단된 필터시트(42)를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개구 부위이다. 상기 필터배출구(15)는 상기 필터입구(14)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배출구(15)는 필터이송모듈(5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필터입구(14)에 비해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필터입구(14)에 비해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하우징(10)에는 하부덮개부(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부(26)는 상기 몸체부(20)의 하측에 제공되는 부위이며, 이러한 하부덮개부(26) 내에는 상기 필터공급모듈(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부(26)는 상기 몸체부(20)의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덮개부(26)는 상기 몸체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부(20)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몸체부(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하우징(10)에 형성되는 필터출구(13)는 상기 하부덮개부(26)와 상기 몸체부(20) 간의 경계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부(26)와 몸체부(20) 내의 공간은 서로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의 저면은 바닥부(22)로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덮개부(26)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몸체부(20)의 바닥부(22) 저면에 밀착되면서 장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팬모듈(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팬모듈(30)은 공기입구(11)를 통해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공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팬모듈(30)은 상기 몸체하우징(10) 중 몸체부(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팬모듈(30)은 상기 공기입구(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입구(1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모듈(30)은 팬(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32)은 공기 유동을 위한 유로 구조에 따라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시로코팬이나 크로스플로우팬 등의 횡류팬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10)을 이루는 몸체부(20) 내에는 필터부(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공급모듈(40)에서 제공되는 롤타입의 필터시트(42)는 주로 기름성분 및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되는 필터임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필터시트(42)와는 달리 냄새성분을 제거하거나 혹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가 추가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필터부(28)가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28)는 몸체부(20) 내의 공기입구(11)와 공기출구(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8)가 공기입구(11)와 팬모듈(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부(28)는 팬모듈(30)과 공기출구(12)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필터공급모듈(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필터공급모듈(40)은 필터시트(42)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시트(42)는 종이 혹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가 될 수 있으며, 기름성분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공급모듈(40)은 공기입구(11)에 비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몸체하우징(10)을 이루는 하부덮개부(26) 내에 제공되면서 필터출구(13)를 통해 필터시트(42)가 취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공급모듈(40)은 상기 몸체하우징(10)을 이루는 하부덮개부(26) 내에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러(4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롤러(44)는 상기 필터시트(42)가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이송모듈(50)은 상기 필터공급모듈(40)에서 공급된 필터시트(42)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20)와 상부덮개부(24)에는 상기 필터이송모듈(50)을 구성하는 롤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장치로는 상기 몸체부(20)에 구동측 공급롤러(51) 및 구동측 배출롤러(53)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덮개부(24)에는 종동측 공급롤러(52) 및 종동측 배출롤러(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장치에 대해서는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절단모듈(60)이 있다. 상기 절단모듈(60)은 필터시트(42)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단모듈(60)은 상기 필터이송모듈(50)을 이루는 두 배출롤러(53,54)는 두 공급롤러(51,52)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절단모듈(60)은 상기 두 배출롤러(53,54)와 두 공급롤러(5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절단모듈(60)은 상기 두 배출롤러(53,54)에 비해 상기 두 공급롤러(51,52)에 더욱 인접하게 위치되어, 필터시트(42)의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단모듈(60)은 필터시트(42)를 절단하는 커터(62)와, 상기 커터(62)가 설치된 벨트(64), 상기 벨트(64)가 걸어 감아지는 벨트풀리(66), 상기 벨트풀리(66)를 회전시키는 커터구동모터(68)를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몸체하우징(10)의 외부에는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하우징(10)이 공기정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외관을 이루는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별도의 외부케이스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몸체하우징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입구와 대응되게 입구그릴이 있고 상기 공기출구와 대응되게 출구그릴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되고, 상기 상부덮개부 및/또는 하부덮개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분리/결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부케이스에는 입구그릴과 출구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이송모듈(50)에서 사용되는 롤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롤러장치의 외관을 롤러하우징(10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00)은 상기 몸체부(20)나 상부덮개부(24)이거나, 이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00)은 내부에 수납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0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롤러(11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02)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방된 일면도 전체가 개방되지 않고 일부 만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다른 예로서, 상기 수납공간(102)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롤러(11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롤러하우징(100)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20) 및/또는 상부덮개부(24)에 수납공간(102)이 별도로 구획되지 않고 단지 상기 롤러(11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롤러하우징(100)이 일측면으로만 개방되는 수납공간(102)을 가지면, 롤러장치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롤러(110)가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도 5 이후에는 상기 롤러하우징(100)이 하나의 롤러(110)만이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역할을 하는 몸체부(20) 및/또는 상부덮개부(24)에는 동시에 여러 개의 롤러(51,52,53,54)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몸체부(20)에 있는 롤러(51,53)는 이송가이드(56)에 의해 일부만 노출되게 차폐되고, 상기 상부덮개부(24)에 있는 롤러(52,54)는 이송가이드(56')에 의해 일부만 노출되게 차폐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설치된 롤러(1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가이드(150)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일단에는 제1회전중심공(10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은 롤러(110)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은 상기 수납공간(102)의 일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과 마주보게 상기 수납공간(102)의 반대쪽 단부 내면에는 제2회전중심공(106)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중심공(106)도 상기 롤러(110)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은 상기 롤러(110)의 일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2회전중심공(106)은 상기 롤러(110)의 타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110)는 종이, 천, 종이형태의 필터(예를 들면, 필터시트(42)) 등의 이송대상물을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롤러(110)는 일반적으로 2개가 한쌍이 되어 그 사이로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기정화기에서는 롤 타입의 필터에서 풀려나온 필터시트(42)가 롤러(110) 쌍 사이로 통과하도록 이송될 수 있다.
도 5 등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편의 상 하나의 롤러(110)만이 있다. 상기 롤러(110)는 원기둥형상의 롤러몸체(112)를 가진다. 상기 롤러몸체(11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표면이 매끈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롤러몸체(112)의 표면에는 이송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돌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몸체(112)는 다수개로 나누어져 만들어져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롤러몸체(112) 전체가 일체로 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롤러몸체(112)의 일측 단부에는 제1회전중심축(11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은 상기 롤러몸체(1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의 다른 예로서, 상기 롤러몸체(112)와 별개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은 상기 롤러몸체(112)의 일측 단부에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은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제1회전중심공(104)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은 그 외경이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은 롤러몸체(112)에서 연장된 부분의 소정 구간은 일정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의 자유단부 부분은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구간을 회전구간(116)이라고 한다. 상기 회전구간(116)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간(116)을 지나서 있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구간을 축소구간(118)이라 한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에서 상기 회전구간(116)은 롤러(110)의 회전 시에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에 대해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의 축소구간(118)에서는 제1회전중심축(114)의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축소구간(118)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축소구간(118)의 형상은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축소구간(118)은, 롤러(110)를 롤러하우징(100)에 설치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롤러(110)가 롤러하우징(100)에 서 빠져나오는 것,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이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축소구간(118)의 다른 예로서 곡면이 아닌 경사면이 있다. 예를 들면, 제1회전중심축(114)의 선단이 대략 원뿔형상 또는 선단이 잘린 원뿔형상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축소구간(118)은 선단이 잘린 삼각뿔, 선단이 잘린 사각뿔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롤러몸체(112)와 제1회전중심축(114)의 사이에는 접촉단(11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촉단(119)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 입구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단(119)은 롤러몸체(112)가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 쪽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제1회전중심공(104) 입구 가장자리와 롤러몸체(112) 사이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110)의 타측 단부, 즉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이 있는 반대쪽 단부에는 축조립체(1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축조립체(120)는 상기 롤러(110)의 회전중심 역할을 하면서도, 본 실시례에서는 롤러(110) 전체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조립체(120)가 있음으로 해서 전체 롤러(110)의 길이, 보다 정확하게는 롤러(110)의 단부에 있는 회전중심축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롤러(110)가 장착되고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롤러(110)가 롤러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롤러(110)가 롤러하우징(10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축조립체(120)는 안내몸체(1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내몸체(122)는 상기 롤러몸체(112)의 타측 단부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내몸체(122)는 상기 롤러몸체(112)와 별도로 만들어져 고정되거나 롤러몸체(112)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몸체(122)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안내몸체(122)는 다르게는 다각통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안내몸체(122)의 내부에는 안착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123)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140)의 일부가 위치되는 공간이다.
상기 안내몸체(1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채널(1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몸체(130)의 이동 행정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채널(124)은 일단부가 상기 안내몸체(122)의 선단으로 개방된 'J'자 형상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채널(124)이 2개가 대칭으로 상기 안내몸체(122)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채널(124)이 상기 안내몸체(122)의 내외면으로 관통되어 있으나, 다르게는 상기 걸이채널(124)이 'J'자의 홈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몸체(122)의 외면에 걸이채널(124)이 형성되거나 상기 안내몸체(122)의 내면에 걸이채널(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124)은 적어도 3구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핀(138)이 걸이채널(124)로 진입하는 진입부(125), 상기 진입부(125)의 일단부에 대략 직교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25'), 상기 연결부(125')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진입부(125)와 실질적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걸이부(12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부(125")는 상기 진입부(125)보다는 길이가 짧아서 상기 안내몸체(122)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까지만 연장된다. 상기 걸이부(125")에는 걸이핀(138)이 위치되어 걸이부(125")의 끝부분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안내몸체(122)를 따라 이동되게 이동몸체(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130)는 상기 안내몸체(122)를 따라 이동되어 그 선단의 위치가 변경됨에 의해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롤러(110)가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롤러(110)를 롤러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몸체(130)의 외관을 외부통(13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통(132)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외부통(132)의 형상은 다르게는 횡단면이 다각형인 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외부통(132)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안내몸체(122)의 횡단면 형상과 같을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외부통(132)의 내부에는 내부통(134)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외부통(132)과 내부통(134)은 형상은 같다. 상기 외부통(132) 보다 상기 내부통(l34)의 크기가 작다. 상기 외부통(132)과 내부통(134)은 동심으로 된다. 상기 내부통(134)의 선단에는 제2회전중심축(13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은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과 함께 롤러(110)의 회전중심이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이 상기 내부통(134)의 선단에 있으나, 다르게는 상기 외부통(132)의 선단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통(132)의 선단에 제2회전중심축(136)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의 부분은 상기 외부통(13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통(134)은 선단 쪽은 폐쇄되고 후단쪽은 개방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140)의 일단부가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내부통(134)의 외면과 상기 외부통(132)의 내면에 양단이 연결되게 걸이핀(13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핀(138)은 상기 외부통(132)과 내부통(134)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핀(138)은 또한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안내몸체(122)에 설치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걸이핀(138)은 상기 걸이채널(124)의 걸이부(125")에 걸어져서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안내몸체(12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외부통(132)과 내부통(134)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과 상기 걸이채널(124)에 걸어지는 역할을 모두 담당하고 있으나, 이 역할을 별도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통(132)과 내부통(134)을 연결하는 걸이핀과 걸이채널(124)에 걸어지는 걸이핀이 별개로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걸이채널(124)이 홈형상으로 되어서 상기 안내몸체(12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외부통(132)의 내면에 걸이핀(138)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몸체(22)의 내면에 걸이채널(124)이 홈형상으로 있을 때에는 상기 내부통(134)의 외면에 걸이핀(1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몸체(122)의 안착공간(123)과 상기 내부통(134)의 내부에 각각 단부가 지지되게 탄성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안내몸체(122)에 대해 최대한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40)가 상기 이동몸체(130)를 탄성력으로 밀어서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걸이채널(124)의 걸이부(125")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대안적인 실시례로서, 상기 안내몸체(122)에 대해 상기 이동몸체(130)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필요 시에 상기 안내몸체(122)가 상기 롤러몸체(11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140)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걸이채널(124)의 걸이부(125") 끝에 압입되어 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125")에 상기 걸이핀(138)이 압입되어 고정됨에 의해 상기 안내몸체(122)에 대해 상기 이동몸체(130)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130)의 이동이 필요할 때는, 작업자가 힘을 가해서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걸이부(125")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연결부(125')에 걸이핀(138)이 위치되게 하여 이동몸체(130)가 상대적으로 롤러몸체(112) 쪽으로 이동되어 있게 한다.
한편,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롤러(1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롤러(110)의 회전을 위해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이나 제2회전중심축(136)이 구동원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또는 기어가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이나 제2회전중심축(136)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2의 (a)에는 상기 롤러(110)가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 종동롤러인 경우에 상기 이동몸체(130)의 제2회전중심축(136)이 상기 제2회전중심공(106)에 지지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종동롤러인 경우는 구동롤러에 의해 이송대상물이 이송될 때 이송대상물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자유롭게 회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롤러(110)가 종동롤러인 경우는 제1회전중심축(114)이 롤러하우징(100)의 제1회전중심공(104)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회전중심축(136)은 롤러하우징(100)의 제2회전중심공(106)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롤러(110)가 구동롤러인 경우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예를 들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중심축(136')이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3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137)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의 최종 기어로서 중심에 결합공(13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37')은 횡단면이 사각형이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도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바아형태로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이 종동기어의 제2회전중심축(136)과 같은 형태이고 키이(도시되지 않음)를 구동기어(137)의 결합공(137')과 제2회전중심축(136)에 동시에 끼워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의 개방된 면에는 이송가이드(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150)는 상기 롤러(110)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대상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140)와 유사한 구성의 이송가이드가 상기 롤러(110)와 상대되는 롤러 쪽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가이드(150) 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을 통해 이송대상물이 안내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가이드(150)에는 이송대상물과 롤러몸체(112)의 표면이 접촉하도록 롤러개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개구(152)는 직사각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롤러몸체(112)의 일부가 수납공간(102)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개구(152)에는 상기 롤러몸체(112)의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롤러몸체(112)의 표면이 상기 롤러개구(15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롤러몸체(112)의 표면은 상기 롤러개구(152)를 통해 상기 이송가이드(150)의 표면과 같은 위치에 있거나 약간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기 축조립체(120)가 상기 롤러몸체(112)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단부가 상기 안내몸체(122)의 안착공간(1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130)의 내부통(134)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140)의 타단부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걸이핀(138)을 상기 걸이채널(124)의 진입부(125)로 들어가게 한다.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진입부(125)로 들어가면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진입부(125)를 지나서 상기 연결부(125')에 도착하면 상기 이동몸체(130)를 상기 안내몸체(12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연결부(125')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연결부(125')에서 상기 걸이부(125")와 연결된 단부까지 걸이핀(138)이 이동하면, 상기 걸이핀(138)은 상기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125")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걸이부(125")에서 상기 연결부(125')와 연결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더 넓게 되어 있어 상기 걸이부(125")로의 상기 걸이핀(138)의 진입은 더 쉽게 될 수 있다.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걸이부(125")의 선단 끝부분에 위치되어 걸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몸체(130)는 상기 안내몸체(122)에 걸어진 상태가 되고 상기 롤러몸체(112)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걸이핀(138)이 상기 걸이부(125")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130)에 작업자가 힘을 가하면 상기 이동몸체(130)는 상기 안내몸체(12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130)의 이동은 이동몸체(130) 선단에 있는 제2회전중심축(136)의 이동을 만들어 낸다.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의 이동은 롤러(11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게 한다. 상기 롤러(110)의 전체 길이가 변하면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과 제2회전중심공(106)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롤러(110)를 롤러하우징(10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상기 롤러(110)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을,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을 제1회전중심공(104)에 비스듬히 삽입한다. 제1회전중심축(114)을 제1회전중심공(104)에 비스듬히 넣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에 상기 축소구간(118)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축소구간(118)이 곡면 또는 경사면 등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에 제1회전중심축(114)이 비스듬히 삽입되면서도 상대적으로 깊이 들어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130)가 최대한 상기 롤러몸체(112)의 단부 쪽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롤러몸체(112)를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을 중심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몸체(130)에 있는 제2회전중심축(136)이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제2회전중심공(106)의 입구에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이 상기 제2회전중심공(106)의 입구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몸체(130)를 유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130)가 상기 안내몸체(12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회전중심공(106)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104)에 안착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136)은 상기 제2회전중심공(106)에 안착도니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롤러(110)가 롤러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도 14의 (a)에는 제2회전중심축(136)이 제2회전중심공(106)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롤러(110)를 세척이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상기 롤러하우징(100)에서 분리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된 것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130)를 상기 안내몸체(122)를 따라 상기 탄성부재(140)를 압축시키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몸체(130)의 이동으로 상기 이동몸체(130)에 있는 제2회전중심축(136)이 상기 제2회전중심공(107)에서 빠져나오면 상기 롤러몸체(112)를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을 중심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롤러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2)에서 분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제1회전중심공(104)과 제2회전중심공(106)이 있고, 상기 롤러(110)에 제2회전중심축(136)이 있는 축조립체(120)와 제1회전중심축(114)이 있다. 하지만, 이들 회전중심공(104,106)과 회전중심축(114,136)은 현재와 반대의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상기 제1회전중심축(114)과 축조립체(120)가 있고, 상기 롤러(110)에 제1회전중심공(104)과 제2회전중심공(106)이 있는 것이다.
10: 몸체하우징 11: 공기입구
12: 공기출구 13: 필터출구
14: 필터입구 15: 필터배출구
20: 몸체부 21: 락킹부재
22: 바닥부 24: 상부덮개부
26: 하부덮개부 28: 필터부
30: 팬모듈 32: 팬
40: 필터공급모듈 42: 필터시트
44: 권취롤러 50: 필터이송모듈
51: 구동측 공급롤러 52: 종동측 공급롤러
53: 구동측 배출롤러 54: 종동측 배출롤러
60: 절단모듈 62: 커터
64: 벨트 66: 풀리
68: 커터구동모터 100: 롤러하우징
102: 수납공간 104: 제1회전중심공
106: 제2회전중심공 110: 롤러
112: 롤러몸체 114: 제1회전중심축
116: 회전구간 118: 축소구간
119: 접촉단 120: 축조립체
122: 안내몸체 123: 안착공간
124: 걸이채널 125: 진입부
125': 연결부 125": 걸이부
130: 이동몸체 132: 외부통
134: 내부통 136: 제2회전중심축
138: 걸이핀 140: 탄성부재
150: 이송가이드 152: 롤러개구

Claims (22)

  1.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대상물에 표면이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와 상기 롤러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축 및 제1회전중심공;
    상기 롤러의 타측 단부와 상기 롤러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중심축 및 제2회전중심공;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상기 제2회전중심공의 내외부로 이동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몸체를 구비하는 축조립체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구간과, 상기 회전구간에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포함하는 롤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립체는 걸이채널이 형성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형성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걸이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안내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이핀을 포함하는 롤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몸체와 이동몸체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안내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탄성력으로 유지하는 롤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걸이채널은 상기 안내몸체의 선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진입부와 나란히 연장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과 동심이고 상기 외부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의 외면이나 상기 내부통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핀을 포함하는 롤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의 일단은 상기 내부통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통의 내면에 연결되는 롤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하우징에는 상기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는 롤러개구가 형성된 이송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롤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가이드의 롤러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되는 롤러장치.
  10. 일측에 제1회전중심공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1회전중심공이 구비된 롤러하우징;
    상기 제1회전중심공과 제2회전중심공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대상물에 표면이 접촉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회전중심공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1회전중심축;
    상기 롤러의 타측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공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중심이 되는 제2회전중심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축조립체를 포함하는 롤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은 상기 제1회전중심공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구간과, 상기 회전구간에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포함하는 롤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립체는 걸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어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롤러의 일단부에 대해 위치변경되게 구성된 이동몸체와, 상기 걸이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안내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이핀을 포함하는 롤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몸체와 이동몸체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안내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탄성력으로 유지하는 롤러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과 동심이고 상기 외부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내부통과, 일단은 상기 내부통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통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걸이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걸이채널의 걸이부에 걸이핀을 포함하는 롤러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하우징에는 상기 롤러의 일부가 노출되는 롤러개구가 형성된 이송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롤러개구를 통해서만 외부로 노출되는 롤러장치.
  16.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입구와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출구를 가지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팬모듈;
    상기 몸체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입구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필터시트를 공급하는 필터공급모듈;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의 쌍 사이로 상기 필터시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필터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일측 단부가 제1회전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 단부가 제2회전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은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정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중심축은 제1회전중심공의 내면에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구간과, 상기 회전구간에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축소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중심축은 제2회전중심공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은 상기 제2회전중심공의 내외부로 이동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몸체를 구비하는 축조립체에 구비되는 공기정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립체는 걸이채널이 형성되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를 따라 위치가 이동되고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형성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걸이채널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안내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이핀을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몸체와 이동몸체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상기 안내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탄성력으로 유지하는 공기정화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과 동심이고 상기 외부통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회전중심축이 구비되는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의 외면이나 상기 내부통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채널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핀을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의 일단은 상기 내부통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통의 내면에 연결되는 공기정화기.
KR1020200098586A 2020-08-06 2020-08-06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KR20220018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86A KR20220018280A (ko) 2020-08-06 2020-08-06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PCT/KR2021/008563 WO2022030767A1 (ko) 2020-08-06 2021-07-06 공기정화기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US17/389,903 US11852369B2 (en) 2020-08-06 2021-07-30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EP21189977.8A EP3950091A1 (en) 2020-08-06 2021-08-05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86A KR20220018280A (ko) 2020-08-06 2020-08-06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80A true KR20220018280A (ko) 2022-02-15

Family

ID=8032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586A KR20220018280A (ko) 2020-08-06 2020-08-06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2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2332A1 (en) * 2021-05-21 2022-11-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hood
US11946651B2 (en) 2021-03-0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flow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61Y1 (ko) 2006-05-01 2006-07-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축 분리 고정형 롤러
KR20110076651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형 패스라인 롤러
KR101578162B1 (ko) 2014-10-22 2015-12-16 박보람 주방 후드용 필터 조립체
KR101962730B1 (ko) 2018-11-08 2019-03-28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필터 교체가 용이한 공동주택 주방후드 거름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961Y1 (ko) 2006-05-01 2006-07-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축 분리 고정형 롤러
KR20110076651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형 패스라인 롤러
KR101578162B1 (ko) 2014-10-22 2015-12-16 박보람 주방 후드용 필터 조립체
KR101962730B1 (ko) 2018-11-08 2019-03-28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필터 교체가 용이한 공동주택 주방후드 거름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6651B2 (en) 2021-03-08 2024-04-0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flow apparatus
EP4092332A1 (en) * 2021-05-21 2022-11-2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h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537B1 (ko) 공기 청정기
KR20220018280A (ko) 롤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공기정화기
EP3795918B1 (en) Air cleaner
US5217513A (en) Air filter assembly
KR102021391B1 (ko) 공기 청정기
KR100474807B1 (ko) 진공청소기
EP3026169A1 (en) Clothes dryer
KR102339347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KR102480324B1 (ko) 공기정화기
JP6055605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101460481B1 (ko) 모듈형 자동 필터교체 장치
KR101678430B1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US20080047241A1 (en) Air cleaning fan/fan blade
US6666912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809409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100142A (ko) 공기 청정기
EP3950091A1 (en) Air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KR101809408B1 (ko) 공기 청정기
KR101795938B1 (ko) 공기 청정기
KR20220057063A (ko) 공기정화기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101924470B1 (ko) 공기 청정기
JP200423399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清掃手段
CN214259200U (zh) 智能机器人尘盒和扫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