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426A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426A
KR20220016426A KR1020200096349A KR20200096349A KR20220016426A KR 20220016426 A KR20220016426 A KR 20220016426A KR 1020200096349 A KR1020200096349 A KR 1020200096349A KR 20200096349 A KR20200096349 A KR 20200096349A KR 20220016426 A KR20220016426 A KR 2022001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pad
suction tool
image
analysi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9191B1 (en
Inventor
김주현
김무림
이준영
신동빈
신주성
표주현
김범규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191B1/en
Publication of KR2022001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1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7/00Racks for receiving or transporting shoes or shoe parts; Other conve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1/00Shoe machines with conveyors for jacked shoes or for shoes or sho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200/00Machines or method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 A43D2200/10Fully automated machines, i.e. machines working without human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An automated device is disclosed. The automated device includes a transport robot that picks up a shoe sol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moves to a preset second position in the state of picking up the shoe sole, and puts down the shoe sole at the second position. The automa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tandard, direction, etc. of the shoe sol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nd place the shoe sole in a predetermined posture at the second position.

Description

신발 창을 이송하는 자동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본 발명은 신발 창을 자동으로 옮기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ic automa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moving shoe soles.

근래 독일의 신발 제조업체인 아디다스의 스피드 팩토리의 영향으로 해외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신발 제조 업체들은 자국으로의 생산기지 회귀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그 일환으로 국내에서도 산업용 로봇을 활용한 신발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선보였으며 최근에는 이를 발전시켜 사용자에게 맞춤형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신발공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under the influence of Adidas' Speed Factory, a German shoe manufacturer, shoe manufacturers with production bases abroad have been interested in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ies. Automation has been introduced, and research on intelligent shoe factories has been recently developed to provide customized shoes to user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58300호에는 레일을 따라 따라다니면서 신발 창을 운반하는 운송 장치가 나타나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58300 discloses a transport device that carries a shoe sole while following a rail.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5830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58300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신발 창을 기설정된 위치로 옮겨놓는 자동화 장치 및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device and an automated method for moving various types of shoe soles to preset positions.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신발 창을 집어들고, 상기 신발 창을 집어든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신발 창을 내려놓는 이송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robot that picks up a shoe sole disposed at a first position, moves to a preset second position in a state of picking up the shoe sole, and puts down the shoe sole at the second position can do.

본 발명의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1 위치에 대면되는 대기 위치에 흡착 툴을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상기 흡착 툴을 접근시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신발 창에 상기 흡착 툴을 대면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흡착 툴이 상기 신발 창에 대면 접촉되면, 상기 흡착 툴에 상기 신발 창을 흡착시키는 음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흡착 툴에 대한 상기 신발 창의 흡착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흡착 툴에 상기 신발 창이 흡착된 상태이면,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상기 흡착 툴을 움직이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신발 창이 도달하면, 상기 신발 창을 흡착시키던 상기 음압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an adsorption tool in a standby position facing the first position; approaching the suction tool toward the first position to bring the suction tool into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forming a negative pressure for adsorbing the shoe sole to the suction tool when the suction tool is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determining whether the shoe sole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tool; if the shoe sole is adsorbed to the suction tool, moving the suction tool toward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hoe sole reaches the second position, releasing the negative pressure adsorbing the shoe sole; may include.

신발의 창(sole)은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흡착이 불가능한 중앙 돌출부와 구멍이 뚫린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용 툴의 개발이 필요하다.The soles of shoes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is a central protrusion and a hole that cannot be adsorbed depending on the us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dicated tool to solve this problem.

후 공정인 도포 작업의 안정성을 위해서 로봇이 신발 창을 일정한 자세로 컨베이어 라인에 이송시켜 주어야 하므로 창의 전후좌우 구분 및 흡착점, 비틀림 각도의 도출이 필요하다.For the stability of the post-processing application, the robot needs to transfer the shoe sole to the conveyor line in a certain posture, so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window into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dsorption point, and torsion angle.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는 흡착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중앙 돌출부와 구멍의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신발 창을 집어들 수 있는 흡착 툴을 제공할 수 있다.The automa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uction tool capable of picking up a shoe sole regardless of whether a central protrusion and a hole that is difficult to suction are formed in reality.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신발 창의 규격, 방향 등을 자동으로 파악하고, 제2 위치에 기설정된 자세로 신발 창을 올려놓을 수 있다.The autom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tandard, direction, etc. of the shoe so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and place the shoe sole in the second position in a predetermined postur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재질, 다양한 종류의 신발 창을 입력으로 하는 맞춤형 신발 제조 공정에서 설정 자세를 요구하는 공정의 앞에서 신발 창이 해당 설정 자세로 정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soles may be aligned in the corresponding setting postures in front of the process requesting a setting posture in a custom sho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various materials and various types of shoe soles are input.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 및 자동화 방법은 다양한 신발 창의 이송 작업에 적용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utomated device and the automat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ransport operation of various shoe soles.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제어 유니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흡착 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신발 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흡착 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분석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차영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분석부의 제1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분석부의 제2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utomat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dsorption tool.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different types of shoe sole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ction tool.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image, a second image, and a difference image.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utomat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describ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describ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신발의 창은 안창, 중창, 겉창으로 세분화되며 이 중 겉창과 중창은 접착제 도포 작업을 통하여 조립 가능하고, 중창은 갑피와 조립이 가능하다. 지능형 신발공장에서는 고비용, 모델의 변화에 따른 잦은 알고리즘 변경, 외부조건에 의한 노이즈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3D 스캐너 시스템 대신 허용 공차를 만족하여 제작된 3D Mold에 중창을 안착시켜 정도를 확보한 후 3D Mold의 3차원 형상 정보에서 추출한 게이지라인을 기반으로 접착제 도포 작업을 계획하고 있다.The sole of a shoe is subdivided into an insole, a midsole, and an outsole. Among them, the outsole and midsole can be assembled by applying adhesive, and the midsole can be assembled with the upper. In the intelligent shoe factory, instead of the 3D scanner system, which has problems such as high cost, frequent algorithm changes due to model changes, and noise caused by external conditions, the midsole is seated in a 3D mold manufactured by satisfying tolerances to secure precision and then 3D Based on the gauge line extracted from the 3D shape information of the mold, the adhesive application is planned.

신발 창(30) 접착제 도포 작업은 갑피와 창(sole)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신발 완제품의 조립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신발 창(30)의 접착제 도포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접착제 도포 작업 수단으로 진입하는 신발 창(30)의 자세가 기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착제 도포 작업 외의 다양한 신발 제조 공정에서도 신발 창(30)을 설정 자세로 옮겨놓을 수 있는 이송 로봇(101)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The shoe sole 30 adhesive application ope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s in the assembly process of a finished shoe produc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n upper and a sole (sole). In order for the adhesive application operation of the shoe sole 30 to be normally performe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preset position of the shoe sole 30 entering the adhesive application operation means. In various shoe manufacturing processes other than adhesive application, the need for a transport robot 101 capable of moving the shoe sole 30 to a set posture is increasing.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utomated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화 장치(100)에는 다양한 신발 창(30)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 툴(710), 신발 창(30)을 인식하고 흡착점의 도출이 가능한 비젼 시스템, 실제 신발 이송 작업을 위한 로봇 작업 구동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utomation device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tool 710 capable of adsorbing various shoe soles 30 , a vision system that can recognize the shoe sole 30 and deduce an adsorption point, and an actual shoe transfer operation. A method of driving a robot operation for

도 1에 도시된 자동화 장치(100)는 이송 로봇(101), 도포 챔버(50), 건조 챔버(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ed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 transfer robot 101 , an application chamber 50 , and a drying chamber 60 .

이송 로봇(101)은 캐리어(20) 등에 적재된 신발 창(30)을 집어 들어 도포 챔버(50)의 입구에 연결된 컨베이어 라인(51)에 올려놓을 수 있다.The transfer robot 101 may pick up the shoe sole 30 loaded on the carrier 20 or the like and put it on the conveyor line 51 connected to the entrance of the application chamber 50 .

컨베이어 라인(51)에 올려진 신발 창(30)은 컨베이어 라인(51)에 의해 도포 챔버(50)로 입력될 수 있다.The shoe sole 30 mounted on the conveyor line 51 may be input into the application chamber 50 by the conveyor line 51 .

도포 챔버(50)는 신발 창(30)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가 도포된 신발 창(30)은 도포 챔버(50) 또는 다른 챔버에서 다른 부재에 접착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chamber 50 may apply an adhesive to the shoe sole 30 . The shoe sole 30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may be adhered to another member in the application chamber 50 or another chamber.

건조 챔버(60)는 신발 창(30)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킬 수 있다.The drying chamber 60 may dry the adhesive applied to the shoe sole 30 .

이송 로봇(101)은 제1 위치 p1에 배치된 신발 창(30)을 집어들 수 있다. 이송 로봇(101)은 신발 창(30)을 집어든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 위치 p2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로봇(101)은 제2 위치 p2에 신발 창(30)을 내려놓을 수 있다.The transfer robot 101 may pick up the shoe sole 30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 The transfer robot 101 may move to a preset second position p2 while picking up the shoe sole 30 . Then, the transfer robot 101 may put down the shoe sole 30 at the second position p2.

이송 로봇(101)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103)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 유니트(103)는 이송 로봇(10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송 로봇(101)과 별도로 마련되고 이송 로봇(101)의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A control unit 103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robot 101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10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ransfer robot 101 ,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ransfer robot 101 , and may perform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fer robot 101 .

도 2는 제어 유니트(103)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103 .

제어 유니트(103)에는 촬영부(610), 분석부(630), 제어부(650)가 마련될 수 있다. 거시적으로 촬영부(610), 분석부(630), 제어부(650)는 자동화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3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610 , an analysis unit 630 , and a control unit 650 . Macroscopically, the photographing unit 610 , the analyzing unit 630 , and the control unit 650 may be included in the automated device 100 .

촬영부(610)는 제1 위치 p1에 배치된 신발 창(30)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610)는 카메라, 비전, 거리 측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610)는 로봇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로봇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610 may photograph the shoe sole 30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 The photographing unit 610 may include a camera, a vision, a range finder, and the like. The photographing unit 610 may be install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robot, or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robot.

분석부(630)는 촬영부(610)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신발 창(30)의 자세를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may analyze the posture of the shoe sole 30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610 .

제어부(650)는 분석부(630)에서 분석된 신발 창(30)의 제1 자세에 맞춰 이송 로봇(101)에 마련된 흡착 툴(710)의 제2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50 may control the second posture of the adsorption tool 710 provided in the transfer robot 101 according to the first posture of the shoe sole 30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630 .

제어부(650)는 흡착 툴(710)에 신발 창(30)이 로딩되면, 제2 위치로 신발 창(30)을 옮기도록 이송 로봇(101)을 제어할 수 있다. 흡착 툴(710)은 공기의 빨아들이는 음압을 형성해서 신발 창(30)을 흡착하는 방식으로 로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흡착 툴(710)은 신발 창(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핑거를 이용해 신발 창(30)을 그랩하는 방식으로 로딩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hoe sole 30 is loaded in the suction tool 710 , the controller 650 may control the transfer robot 101 to move the shoe sole 30 to the second position. The adsorption tool 710 may perform loading in a manner to adsorb the shoe sole 30 by forming a negative pressure to suck air. Alternatively, the suction tool 710 may perform loading in a manner of grabbing the shoe sole 30 using a plurality of fingers mov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with the shoe sole 30 interposed therebetween.

제어부(650)는 신발 창(30)을 흡착한 흡착 툴(710)이 제2 위치에서 기설정된 언로딩 자세가 되도록 이송 로봇(101)을 제어할 수 있다. 신발 창(30)이 입력되는 접착제 도포 공정 등의 후 공정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신발 창(30)은 사전에 약속된 설정 자세로 후 공정에 입력되는 것이 좋다. 흡착 툴(710)의 언로딩 자세는 신발 창(30)을 제2 위치에 언로딩할 때 신발 창(30)을 설정 자세로 놔두는 흡착 툴(710)의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자세'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좌표축 x축, y축, z축이 형성하는 3차원 공간에서 3차원 위치(좌표) 및 각 축을 기준으로 하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50 may control the transfer robot 101 so that the suction tool 710 that has absorbed the shoe sole 30 is in a preset unloading posture at the second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e sole 30 be input to the post process in a preset posture so that the post process, such as the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in which the shoe sole 30 is input is performed accurately and quickly. The unloading posture of the suction tool 710 may refer to a posture of the suction tool 710 in which the shoe sole 30 is placed in the set posture when the shoe sole 30 is unload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posture'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three-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 and an angle based on each axi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formed by three orthogonal x-axis, y-axis, and z-axis.

제어부(650)는 흡착 툴(710)이 언로딩 자세에서 제2 위치에 신발 창(30)을 언로딩하도록 이송 로봇(101)을 제어할 수 있다. 흡착 툴(710)의 언로딩은 구속 상태를 해제하고 제2 위치에 신발 창(30)을 내려놓거나 놔두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50 may control the transfer robot 101 so that the suction tool 710 unloads the shoe sole 30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unloading posture. The unloading of the suction tool 710 may mean releasing the restraint state and placing or leaving the shoe sole 30 in the second position.

도 3은 흡착 툴(71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신발 창(3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dsorption tool 710 .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different types of shoe soles 30 .

신발 창(30)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에는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를 갖는 2개의 신발창 30a, 30b가 나타나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shoe sole 30 may vary. As an example, two shoe soles 30a and 30b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izes are shown in FIGS. 3 and 4 .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어떤 종류의 신발 창(30)도 집어들 수 있도록 흡착 툴(71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suction tool 710 is formed so that it can pick up any kind of shoe sole 30 regardless of shape or size.

또한, 신발 창(30)에는 각종 기능성 구멍(39)이나 중앙 돌출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 구멍(39)이나 중앙 돌출부(38)는 공기의 음압으로 흡착하기 어려운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기능성 구멍(39)이나 중앙 돌출부(38)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신발 창(30)을 집어들 수 있는 흡착 툴(71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various functional holes 39 or a central protrusion 38 may be formed in the shoe sole 30 . The functional hole 39 or the central protrusion 38 may correspond to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be adsorbed by negative pressure of air. It is desirable to have a suction tool 710 that can pick up the sole 30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a functional aperture 39 or central protrusion 38 .

다양한 크기, 형상을 갖는 신발 창(30)의 특성을 고려하고, 흡착 불가능한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신발 창(30)에서 흡착 지점이 상중하 3종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2개의 점이 흡착 불가 상태이더라도 나머지 1개 점에서라도 흡착이 가능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e sole 30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in which adsorption is impossible, the adsorption point in the shoe sole 30 may be determined as three types of upper, middle, and lower. In this case, even if any two points are in a non-adsorption state, adsorption may be possible at the remaining one point.

일 예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음압을 이용해 신발 창(30)을 흡착하는 흡착 툴(710)이 이송 로봇(101)에 마련될 수 있다.As an example, a suction tool 710 for adsorbing the shoe sole 30 using a negative pressure to suck air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robot 101 .

흡착 툴(710)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패드(711)부, 제2 패드(712)부, 제3 패드(713)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711)부, 제2 패드(712)부, 제3 패드(713)부는 음압을 형성하는 흡착 툴(710)의 말단으로, 신발 창(30)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패드부는 신발 창(30)에 대면 접촉되는 고무 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구멍(39)은 중공 관(719)을 거쳐 음압의 소스가 되는 공압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A first pad 711 unit, a second pad 712 unit, and a third pad 713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uction tool 7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pad 711 unit, the second pad 712 unit, and the third pad 713 unit are distal ends of the suction tool 710 that generate negative pressure, and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 For example, each pad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rubber material that is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 and a configuration for sucking air may be formed in the center. The hole 39 may be connected via a hollow tube 719 to a pneumatic pump that is a source of negative pressure.

신발 창(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발 창(30)이 제1 영역 ①, 제2 영역 ②, 제3 영역 ③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 ①에는 제1 흡착 지점 t1이 설정될 수 있다. 제2 영역 ②에는 제2 흡착 지점 t2가 설정될 수 있다. 제3 영역 ③에는 제3 흡착 지점 t3가 설정될 수 있다.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sole 30 , the shoe sole 3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①, a second region ②, and a third region ③. In this case, a first adsorption point t1 may be set in the first region ①. A second adsorption point t2 may be set in the second region ②. A third adsorption point t3 may be set in the third region ③.

제1 패드(711)는 제1 영역 ①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711)는 제1 흡착 지점 t1에 대면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pad 7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area ①. The first pad 71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first adsorption point t1.

제2 패드(712)는 제2 영역 ②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712)는 제2 흡착 지점 t2에 대면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pad 71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area ②. The second pad 71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econd adsorption point t2.

제3 패드(713)는 제3 영역 ③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드(713)는 제3 흡착 지점 t3에 대면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pad 71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third area 3 . The third pad 71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third adsorption point t3.

제1 패드(711), 제2 패드(712), 제3 패드(713) 중 적어도 하나가 신발 창(30)에 대면 접촉되면, 제1 패드(711), 제2 패드(712), 제3 패드(713) 각각에는 단독으로 신발 창(30)을 흡착하고 들어올릴 수 있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구멍(39), 중앙 돌출부(38) 등으로 인해 2개의 패드가 신발 창(30)에 정상적으로 대면 접촉되지 못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패드만 정상적으로 신발 창(30)에 대면 접촉되면, 이송 로봇(101)은 신발 창(30)을 집어올릴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711 , the second pad 712 , and the third pad 713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 the first pad 711 , the second pad 712 , and the third A negative pressure capable of adsorbing and lifting the shoe sole 30 alone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pads 713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wo pads do not normally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due to the functional hole 39 , the central protrusion 38 , etc., only one pad normally faces the shoe sole 30 . Upon contact, the transfer robot 101 may pick up the shoe sole 30 .

도 5는 흡착 툴(7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ction tool 710 .

흡착 툴(710)의 말단을 형성하는 제1 패드(711), 제2 패드(712), 제3 패드(713)는 음압이 형성되는 중공 관(719)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ad 711 , the second pad 712 , and the third pad 713 forming the distal end of the suction tool 710 may be connected to a hollow tube 719 in which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제1 패드(711), 제2 패드(712), 제3 패드(713)는 신발 창(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ad 711 , the second pad 712 , and the third pad 713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30 .

중공 관(719) 또는 각 패드는 중공 관(719)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을 통해 제1 패드(711), 제2 패드(712), 제3 패드(713)는 흡착 툴(710)에 대면되는 신발 창(30)의 일면의 형상 또는 흡착 지점 간의 높이(흡착 툴과의 거리) 차이에 상관없이 신발 창(30)에 모두 대면 접촉될 수 있다.The hollow tube 719 or each pad may be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a frame supporting the hollow tube 719 . The shape of the first pad 711 , the second pad 712 , and the third pad 713 of the one surface of the shoe sole 30 facing the suction tool 710 through an elastic means such as a spring or the height between the suction point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distance from the suction tool), all of them may be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

도 6은 분석부(630)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차영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630 .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image, a second image, and a difference image.

분석부(630)는 신발 창(30)이 배제된 상태에서 제1 위치를 촬영한 제2 이미지 i2와 촬영부(610)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 i1을 비교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may compare the second image i2 photographed at the first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hoe sole 30 is excluded with the first image i1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610 .

분석부(630)는 제1 이미지 i1과 제2 이미지 i2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여 신발 창(30)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타겟 영역 ta를 추출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may extract the target area 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shoe sole 30 by removing the background from the differenc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image i1 and the second image i2 .

분석부(630)는 타겟 영역 ta에 윤곽선 찾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신발 창(30)의 자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may analyze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shoe sole 30 by applying a contour finding algorithm to the target area ta.

구체적으로, 촬영부(610)에 의해 제1 위치 p1을 촬영한 제1 이미지 i1이 획득될 수 있다(S 810). 촬영부(610)는 신발 창(30)이 배제된 상태에서 제1 위치 p1을 촬영한 제2 이미지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S 830)Specifically, a first image i1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location p1 by the photographing unit 610 may be obtained ( S810 ). The photographing unit 610 may additionally acquire a second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position p1 in a state in which the shoe sole 30 is excluded (S 830).

분석부(630)는 제1 이미지 i1과 제2 이미지 i2를 캘리브레이션해서 두 이미지의 스케일을 동일한 기준으로 맞출 수 있다(s 840). 분석부(630)는 제1 이미지 i1과 제2 이미지 i2를 그레이스케일 변환하고(S 850), 두 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차영상을 획득하며, 차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할 수 있다(S 860). 배경이 제거된 차영상을 이진화하면 신발 창(30)의 모습을 나타내는 타겟 영역 ta만 남게 된다(S 870).The analyzer 630 may calibrate the first image i1 and the second image i2 to adjust the scales of the two images to the same reference (s 840). The analysis unit 630 may grayscale-convert the first image i1 and the second image i2 (S850), obtain a difference image by comparing the two images, and remove the background from the difference image (S860) . When the difference image from which the background is removed is binarized, only the target area ta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he shoe sole 30 remains (S870).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신발 창(30)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타겟 영역 ta가 추출되면, 분석부(630)는 신발 창(30)의 자세를 분석하기 위해 타겟 영역 ta를 대상으로 윤곽선 찾기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S 910).When the target area 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shoe sole 30 included in the first image is extracted, the analysis unit 630 performs a contour finding algorithm on the target area ta to analyze the posture of the shoe sole 30 . It can be applied (S910).

분석부(630)는 타겟 영역 ta를 대상으로 제1 알고리즘과 제2 알고리즘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S 920).The analyzer 630 may apply the first algorithm and the second algorithm together to the target area ta ( S920 ).

제1 알고리즘은 사각형을 이용한 알고리즘으로서, 최소 크기의 외접 사각형을 찾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S 930). 다시 말해, 제1 알고리즘은 타겟 영역 ta에 외접하는 최소 크기의 직사각형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algorithm is an algorithm using a quadrangle, and may include an algorithm for finding a circumscribed quadrangle having a minimum size (S 930). In other words, the first algorithm may generate a rectangle with a minimum size circumscribing the target area ta.

제2 알고리즘은 타겟 영역 ta의 윤곽선을 파악할 수 있다(S 940).The second algorithm may determine the outline of the target area ta (S940).

신발 사이즈 조건이 탐색되고 조건이 만족되면(S 950), 분석부(630)는 제1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생성된 직사각형의 중심 좌표,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S 960). 분석부(630)는 제2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파악된 윤곽선을 이용해 볼록 껍질(convex hull), 무게 중심 좌표, 장축, 전후좌우 구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S 970).When the shoe size condition is found and the condition is satisfied (S950), the analysis unit 630 may extract at least one of the center coordinates and the center axis of the rectangle generat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first algorithm (S960). The analysis unit 630 may extract at least one of a convex hull, a center of gravity coordinate, a long axis, and front/rear/left/right division information using the outline identifi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second algorithm (S970).

분석부(630)는 중심 좌표와 상기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볼록 껍질, 무게 중심 좌표, 장축, 구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발 창(30)의 자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may generate posture information of the shoe sole 30 including at least one of central coordinates and the central axis,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nvex shell,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long axis, and division information.

도 8은 분석부(630)의 제1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분석부(630)의 제2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630 , and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of the analysis unit 630 .

분석부(630)는 외접 사각형 m을 이용하여 산출된 중심 좌표 D1과 중심축 Dx, Dy를 이용해 신발 창(30)의 회전 각도를 분석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may perform a first operation of analyz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hoe sole 30 using the central coordinates D1 and the central axes Dx and Dy calculated using the circumscribed rectangle m.

분석부(630)는 윤곽선 n을 이용해 분석된 신발 창(30)의 전후 정보를 이용해 신발 창(30)의 앞뒤를 구분하고, 신발 창(30)의 좌우 정보를 이용해 신발 창(30)이 왼발용인지 오른발용인지 구분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630 divide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oe sole 30 using the front and rear information of the shoe sole 30 analyzed using the outline n, and the shoe sole 30 is the left foot using the left and right information of the shoe sole 30 . You can tell if it's for a dragon or a right foot.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utomat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자동화 방법은 이송 로봇(101)이 구비된 도 1의 자동화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automa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10 may be performed by the automation apparatus 100 of FIG. 1 provided with the transfer robot 101 .

로봇의 초기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S 510).An initial position of the robot may be set (S510).

제1 위치 p1에 대면되는 대기 위치에 흡착 툴(710)을 배치시킬 수 있다(S 520).The adsorption tool 710 may be disposed at a standby position facing the first position p1 (S520).

제1 위치 p1을 향해 흡착 툴(710)을 접근시켜 제1 위치 p1에 배치된 신발 창(30)에 상기 흡착 툴(710)을 대면 접촉시킬 수 있다(S 530).By approaching the suction tool 710 toward the first position p1, the suction tool 710 may be brought into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p1 (S 530).

흡착 툴(710)이 신발 창(30)에 대면 접촉되면, 흡착 툴(710)에 신발 창(30)을 흡착시키거나 빨아당기는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S 540).When the suction tool 7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hoe sole 30 ,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to adsorb or suck the shoe sole 30 to the suction tool 710 ( S540 ).

흡착 툴(710)에 대한 신발 창(30)의 흡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 550). 일 예로, 제어 유니트(103)는 진공 펌프 또는 중공 관(719)에 설치된 진공 압력 스위치의 신호를 이용해 진공 압력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흡착 성공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 559).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hoe sole 30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tool 710 (S550).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03 may determine whether the adsorption succeeds by analyzing the vacuum pressure using a signal of the vacuum pressure switch installed in the vacuum pump or the hollow tube 719 ( S559 ).

흡착 툴(710)에 신발 창(30)이 흡착된 상태이면, 제2 위치 p2를 향해 흡착툴을 움직일 수 있다(S 560).If the shoe sole 30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tool 710, the adsorption tool may be moved toward the second position p2 (S560).

제2 위치 p2에 신발 창(30)이 도달하면, 신발 창(30)을 흡착시키던 이송 로봇(101)의 음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S 570).When the shoe sole 30 arrives at the second position p2,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transfer robot 101 that has adsorbed the shoe sole 30 may be released (S 570).

제1 위치 p1에 다시 충전된 신발 창(30)을 집기 위해 이송 로봇(101)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킬 수 있다(S 580).In order to pick up the shoe sole 30 charged back to the first position p1, the transfer robot 101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S580).

도 10에 도시된 자동화 방법은 비젼 시스템과 흡착 툴(710)의 기능을 이용한 로봇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 유니트(1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automation method shown in FIG. 10 relates to a robot driving method using the functions of the vision system and the suction tool 710 , and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3 .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자동화 장치(100), 제어 유니트(103) 등) 일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11 may be a device described herein (eg, the automation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103 , etc.).

도 11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11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 a transceiver device TN120 , and a memory TN130 .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 and the lik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TN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and method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ceiver TN12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or method described so far,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20...캐리어 30...신발 창
38...돌출부 39...구멍
50...도포 챔버 51...컨베이어 라인
60...건조 챔버 100...자동화 장치
101...이송 로봇 103...제어 유니트
610...촬영부 630...분석부
650...제어부 710...흡착 툴
711...제1 패드 712...제2 패드
713...제3 패드 719...중공 관
20...Carrier 30...Shoe window
38...Protrusion 39...Hole
50...application chamber 51...conveyor line
60...dry chamber 100...automated device
101...Transfer robot 103...Control unit
610...photography department 630...analysis department
650...control unit 710...suction tool
711...first pad 712...second pad
713...3rd pad 719...hollow tube

Claims (6)

제1 위치에 배치된 신발 창을 집어들고, 상기 신발 창을 집어든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신발 창을 내려놓는 이송 로봇이 구비된 자동화 장치.
An automated device having a transport robot that picks up the shoe so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moves to a second preset position in the state of picking up the shoe sole, and puts the shoe sole down at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신발 창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신발 창의 자세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신발 창의 제1 자세에 맞춰 상기 이송 로봇에 마련된 흡착 툴의 제2 자세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 툴에 상기 신발 창이 로딩되면,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신발 창을 옮기도록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발 창을 흡착한 상기 흡착 툴이 상기 제2 위치에서 기설정된 언로딩 자세가 되도록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 툴이 상기 언로딩 자세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신발 창을 언로딩하도록 상기 이송 로봇을 제어하는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hoe window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posture of the shoe so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rst image taken by the photographing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econd posture of the suction tool provided in the transfer robot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posture of the shoe sole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When the shoe sole is loaded on the suction too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fer robot to move the shoe window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fer robot so that the suction tool adsorbing the shoe sole is in a preset unloading posture at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 unit is an automat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robot so that the suction tool unloads the shoe sole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unloading posture.
제1항에 있어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음압을 이용해 상기 신발 창을 흡착하는 흡착 툴이 상기 이송 로봇에 마련되고,
상기 흡착 툴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패드부, 제2 패드부, 제3 패드부가 마련되며,
상기 신발 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신발 창이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으로 구분될 때,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2 영역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 패드는 상기 제3 영역에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 상기 제2 패드, 상기 제3 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신발 창에 대면 접촉되면, 상기 제1 패드, 상기 제2 패드, 상기 제3 패드 각각에는 단독으로 상기 신발 창을 흡착하고 들어올릴 수 있는 음압이 형성되는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uction tool for adsorbing the shoe sole using negative pressure to suck air is provided in the transfer robot,
The suction tool is provided with a first pad portion, a second pad portion, and a third pad portion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shoe sole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The first pad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area,
The second pad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area,
The third pad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third area,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the second pad, and the third pad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hoe sole, the first pad, the second pad, and the third pad each individually adsorb the shoe sole, An automated device that creates a liftable negative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신발 창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제1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신발 창의 자세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신발 창이 배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를 촬영한 제2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를 비교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의 차이에 해당하는 차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여 상기 신발 창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타겟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타겟 영역에 윤곽선 찾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신발 창의 자세 정보를 분석하는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shoe sol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posture of the shoe sole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re provided,
The analysis unit compares the first image with a second image photographed at the first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hoe sole is excluded,
The analysis unit extracts a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shoe sole by removing the background from the differenc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he analyzing unit applies a contour finding algorithm to the target area to analyze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shoe s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신발 창을 촬영한 제1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신발 창의 자세를 분석하는 분석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신발 창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타겟 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타겟 영역을 대상으로 제1 알고리즘과 제2 알고리즘을 함께 적용하고,
상기 제1 알고리즘은 상기 타겟 영역에 외접하는 최소 크기의 직사각형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알고리즘은 상기 타겟 영역의 윤곽선을 파악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1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생성된 상기 직사각형의 중심 좌표,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2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파악된 상기 윤곽선을 이용해 볼록 껍질(convex hull), 무게 중심 좌표, 장축, 전후좌우 구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중심 좌표와 상기 중심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 껍질, 상기 무게 중심 좌표, 상기 장축, 상기 구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신발 창의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analysis unit is provided for analyzing the posture of the shoe so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rst image taken of the shoe so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analysis unit extracts a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shoe sole included in the first image,
The analysis unit applies the first algorithm and the second algorithm together to the target area,
The first algorithm generates a rectangle of minimum size circumscribed in the target area,
The second algorithm recognizes the outline of the target area,
The analysis unit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central coordinates and the central axis of the rectangle generat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first algorithm,
The analysis unit extracts at least one of a convex hull, a center of gravity coordinate, a long axis, and front-rear left-right division information using the contour line identifi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second algorithm,
The analysis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entral coordinates and the central axis, and the convex shell,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the long axis, and the automatic device for generating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shoe sol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제1 위치에 배치된 신발 창을 집어들고, 상기 신발 창을 집어든 상태에서 기설정된 제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신발 창을 내려놓는 이송 로봇이 구비된 자동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대면되는 대기 위치에 흡착 툴을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상기 흡착 툴을 접근시켜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기 신발 창에 상기 흡착 툴을 대면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흡착 툴이 상기 신발 창에 대면 접촉되면, 상기 흡착 툴에 상기 신발 창을 흡착시키는 음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흡착 툴에 대한 상기 신발 창의 흡착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흡착 툴에 상기 신발 창이 흡착된 상태이면,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상기 흡착 툴을 움직이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신발 창이 도달하면, 상기 신발 창을 흡착시키던 상기 음압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화 방법.
Pick up the shoe sol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move to a preset second position in the state of picking up the shoe sole, and perform by an automation device equipped with a transfer robot that puts the shoe sole down at the second position In the automated method to be,
placing the adsorption tool in a standby position opposite the first position;
approaching the suction tool toward the first position to bring the suction tool into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forming a negative pressure for adsorbing the shoe sole to the suction tool when the suction tool is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shoe sole;
determining whether the shoe sole is adsorbed to the adsorption tool;
if the shoe sole is adsorbed to the suction tool, moving the suction tool toward the second position;
releasing the negative pressure adsorbing the shoe sole when the shoe sole reaches the second position;
An automation method comprising
KR1020200096349A 2020-07-31 2020-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KR102439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49A KR102439191B1 (en) 2020-07-31 2020-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49A KR102439191B1 (en) 2020-07-31 2020-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426A true KR20220016426A (en) 2022-02-09
KR102439191B1 KR102439191B1 (en) 2022-09-01

Family

ID=8026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349A KR102439191B1 (en) 2020-07-31 2020-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19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8049A (en) * 2022-12-23 2023-04-25 福建省中伟体育用品有限公司 High-wear-resistance sports shoe sole material manufacturing equip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6422505A (en) * 2023-06-14 2023-07-14 福建博璋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Automatic sole point-taking spraying equipment and spraying path planning algorithm thereof
CN116473334A (en) * 2023-06-26 2023-07-25 福建博璋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Vamp automatic identification glue spraying equipment and identification algorithm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259A (en) * 2011-11-18 2018-12-1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Automated identification and assembly of shoe parts
KR102058300B1 (en) 2017-11-23 2020-01-22 포우 천 코포레이션 Transport apparatus for conveying shoe so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259A (en) * 2011-11-18 2018-12-1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Automated identification and assembly of shoe parts
KR102058300B1 (en) 2017-11-23 2020-01-22 포우 천 코포레이션 Transport apparatus for conveying shoe so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8049A (en) * 2022-12-23 2023-04-25 福建省中伟体育用品有限公司 High-wear-resistance sports shoe sole material manufacturing equip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6422505A (en) * 2023-06-14 2023-07-14 福建博璋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Automatic sole point-taking spraying equipment and spraying path planning algorithm thereof
CN116473334A (en) * 2023-06-26 2023-07-25 福建博璋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Vamp automatic identification glue spraying equipment and identification algorithm thereof
CN116473334B (en) * 2023-06-26 2023-09-22 福建博璋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Vamp automatic identification glue spraying equipment and identification algorith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191B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1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shoe soles
US108392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8943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asuring apparatus, system, interference determination method, and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US10800033B2 (en) Robot control apparatus, robot control method, robot system, and storage medium
EP3096640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etermination of a shoe bite line by divergence detection
EP2780847B1 (en) Automated identification and assembly of shoe parts
US9126337B2 (en) Robot system having a robot for conveying a workpiece
US94155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up article randomly piled using robot
US9089966B2 (en) Workpiece pick-up apparatus
US5807449A (en) Workpiec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eating same
CN107687855B (en) Robot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and robot
JP2018514875A5 (en)
CN106272424A (en) A kind of industrial robot grasping means based on monocular camera and three-dimensional force sensor
US20190146517A1 (en) Moving apparatus for clean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880950B2 (en) Depression detection device, transfer device, and recess detection method
JP7031540B2 (en) Object recognition devices, manipulators, and mobile robots
CN110315430A (en) Use the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system of robot
JP7188574B2 (en) Suction pad and deformation measuring device
EP3495099B1 (en) Grasping apparatus, grasping determination method and grasping determination program
US11173603B2 (en) Robot system and robot
CN111612837B (en) Material finishing method and material finishing equipment
CN113727817B (e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KR102224944B1 (en) Method for computation buffing route of shoes without soles
JP3242392U (en) autonomous vehicle
WO2022239703A1 (en) Control data creation device and control data cre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