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897A -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897A
KR20220015897A KR1020200175798A KR20200175798A KR20220015897A KR 20220015897 A KR20220015897 A KR 20220015897A KR 1020200175798 A KR1020200175798 A KR 1020200175798A KR 20200175798 A KR20200175798 A KR 20200175798A KR 20220015897 A KR20220015897 A KR 20220015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ser input
signal
processo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래
김의석
이세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US17/322,84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23487B2/en
Priority to CN202110852750.1A priority patent/CN114071831A/zh
Publication of KR2022001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본 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단일 통신 포트 및 단일 통신 포트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단일 통신 포트는 프로세서와 단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LIGH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회로는 사용자 입력 신호(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따라,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다양한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특정 통신 방식에 의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형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통신 방식으로서는 정해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다른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에서는 적외선 통신 모듈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블루투스로 통신하는 외부 장치와는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없다. 만약, 조명 장치에 다양한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부피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신호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단일 통신 포트를 통하여 표준화된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단일 통신 포트 및 상기 단일 통신 포트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통신 포트는 상기 프로세서와 단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된다.
한편, 조명 장치는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및 단일 전원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일 전원 포트로 연결된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보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단일 전원 포트는 상기 보조 전원부와 단일 전원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는 출력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단은 상기 단일 통신 포트 및 상기 단일 전원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단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단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의해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된 신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변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가 조정되면,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조정 결과 신호를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식별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결과 신호를 변환할 수 있고, 상기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색온도를 갖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명 장치의 전체 공급 전류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식별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전체 공급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는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체 공급 전류 및 상기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제2 전류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조명 장치의 단일 통신 포트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단일 통신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조명 장치의 단일 전원 포트로 연결된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상기 조명 장치의 보조 전원부와 상기 단일 전원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단일 전원선을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일 통신 포트 및 상기 단일 전원 포트를 포함하는 출력단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단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의해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된 신호이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변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가 조정되면,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 결과 신호를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결과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색온도를 갖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조명 장치의 전체 공급 전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전체 공급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체 공급 전류 및 상기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제2 전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조명 장치의 제1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장치의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명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발광 소자의 밝기와 제2 발광 소자의 밝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와 발광 제어 모듈이 연결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조명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조명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1000)은 조명 장치(100), 발광 소자(110), 외부 통신 장치(200) 및 원격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등, 전구, LED(Light Emitting Diode)등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및 출력 단자로 구성된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설명에서 조명 장치(100)는 조명 제어 회로 장치 또는 제어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가 발광 소자를 포함하지 않고 제어 회로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조명 장치(100)는 제어 장치의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는 외부 발광 소자와 연결되고 전원 공급 및 제어 동작만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모두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발광 소자(110)는 빛을 출력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10)는 조명 장치(100)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조명 장치(100)와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출력단(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단(170)에 외부 통신 장치(200)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통신 장치(200) 및 원격 제어 장치(300)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통신 장치(200)는 하나의 통신 모듈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통신 모듈만을 외부 통신 장치(200)가 포함하면, 통신 방식에 따라 조명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 통신 장치(200)가 교체될 수 있다. 관련된 설명은 도 12에서 후술한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가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외부 통신 장치(200)는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UWB(Ultra Wide-Band) 모듈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외부 통신 장치(20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동일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외부 통신 장치(200)는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상이한 통신 모듈(예를 들어, Wi-F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통신 장치(20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이더넷 모듈 또는 WiFi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BT 모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복수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 다양한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고유의 통신 방식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300)는 적외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으로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외부 통신 장치(200)는 통신 장치(200)로 기재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110), 프로세서(140), 전원부(150) 및 단일 통신 포트(171)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110)는 빛을 출력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전원을 프로세서(140) 및 발광 소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50)는 발광 소자(11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출력 전류 또는 출력 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단일 통신 포트(171)는 외부 통신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해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단일 통신 포트(171)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전원부(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단일 통신 포트(171)는 프로세서(140)와 단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된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160, 도 3 참조) 및 단일 전원 포트(172,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단일 전원 포트(172)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20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도록 보조 전원부(160)를 제어할 수 있고, 단일 전원 포트(172)는 보조 전원부(160)와 단일 전원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출력단(170, 도 3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출력단(170)은 단일 통신 포트(171, 도 3 참조) 및 단일 전원 포트(17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출력단(170)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고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출력단(170)을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200)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170)은 외부 통신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단일 통신 포트(171) 및 단일 전원 포트(172)는 하나의 포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포트로 구현되는 출력단(170)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조명 장치(100)에서 인식 가능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또는 변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신호 처리된(또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100)와 외부 통신 장치(200)는 단일 통신 포트(171)로 연결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서 이미 신호 처리가 완료된 상태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므로, 단일 통신 포트(171)는 단일 통신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와 단일 통신 포트(171)가 단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통신 라인은 수신선/송신선(RX/TX)을 포함하는 하나의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단일 통신 포트(171)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별도의 신호 처리 동작을 반드시 수행할 필요성이 없을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에서 직접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별도의 자체 전원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통신 장치(2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보조 전원부(160)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100) 및 외부 통신 장치(200)는 조명 장치(100)의 단일 전원 포트(17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단일 전원 포트(172)에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200)에 보조 전원부(160)의 보조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조명 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이미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기 결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된 신호이므로, 조명 장치(100)가 사용자 입력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원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신호는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전원부(150)의 전원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원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전원부(15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전원을 발광 소자(11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신호가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해선 전원(예를 들어, 출력 전류)의 크기를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전원을 변경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 의해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된 신호이고,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프로토콜은 조명 장치(100)에서 인식 가능한 통신 규약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신호는 다양한 통신 방식(예를 들어,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으로 수신된 수 있으나, 조명 장치(100)는 각각의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하지 않으므로, 직전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는 외부 통신 장치(200)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모두 해석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는 기 결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또는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변환될 필요성이 있다. 기 결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변환되면, 사용자 입력 신호가 어떤 통신 방식으로 수신 되었는지 관계 없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분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사용자 입력 신호가 변환되는 동작이 외부 통신 장치(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예비적으로, 프로세서(140)가 신호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 및 도 9에서 후술한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지 않으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변환 요청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고,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해석할 수 없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해야 한다. 변환을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외부 장치에 변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외부 통신 장치(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변환 요청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 요청 신호는 사용자 입력 신호와 관련된 정보 및 기 결정된 프로토콜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수신된 변환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에서 변환이 불가능하다고 식별되면, 외부 통신 장치(200)는 외부 서버에 변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기 결정된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수신된 변환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다시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설명은 도 9에서 후술한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가 조정되면,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조정 결과 신호를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단일 통신 포트(171)를 통해 조명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단일 통신 포트(171)는 프로세서(140)와 단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단일 통신 포트(171) 및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정 결과 신호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 및 변경 밝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조정 결과 신호를 단일 통신 라인 및 단일 통신 포트(171)를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조정 결과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및 도 11에서 후술한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조정 결과 신호를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방식 정보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어떤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에 수신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방식은 적외선 방식, 블루투스 방식 또는 와이파이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결과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될 필요성이 있다.
일 예로, 조정 결과 신호의 변환 동작이 조명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직접 조정 결과 신호를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설명은 도 10에서 후술한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조명 장치(100)가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외부 통신 장치(2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원격 제어 장치(300)에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1에서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 조정 결과 신호의 변환 동작이 외부 통신 장치(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조정 결과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하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수신된 조정 결과 신호를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표준 전원 또는 등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듈에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양방향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오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제품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대기 모드(또는 대기 상태)를 설정하여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제품 고장 및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값을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밝기 및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제품에 대한 신호를 공용화 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아이스퀘어드시)의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RX, TX 각각의 통신선을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방식 또는, RX 및 TX 를 하나의 통신선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USB 등의 커넥터 연결 구조를 통해 정상 동작 조건에서 조명 제어 기능 및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기능은 특정 모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특정 모드는 프로그래머블 모드(Programmable Mode)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모드(Programmable Mode)는 PC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원 생성시 전원 정보 입력 기능, 조명 제품 생산시 출력 전류, 용량 등의 제품 설정 기능, 추가 정보 입력 기능, 입력된 정보 확인 기능(생산 정보 연동, 사용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소프트 웨어 정보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제품 자체 기능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고, 검사용 장비와 연동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밝기 신호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전원 온/오프, 색온도 제어, 통신 에러 확인, 고장 모니터링, 전력 감지, 복합 전원 연결 구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네트워크 제어 및 복합 모듈 신호 제어시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전원을 구성하는 경우 PC와의 연결을 통해 제품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프로세서(140)에 소프트웨어 정보를 주입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조명용 Programmable 전원 및 IOT모듈을 적용한 제품에 기초하여 표준 전원으로 DALI/DMX/RS485/WIFI/BLE/Zigbee 연동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플랫폼, AI Speaker, 원격 제어 장치 및 센서 등이 복합적으로 연동되는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 조명 장치(100) 는 다양한 방식에 대한 연동 및 이에 따른 호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표준 전원 과 다양한 제어방식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전원 및 등기구 개발에 대한 비용절감 및 제품 구성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원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단일 통신 선로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 내부에 다양한 통신 모듈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회로가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외부 통신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 받으므로, 경우에 따라 적절한 외부 통신 장치로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조명 장치(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명 장치(100)의 교체 없이 외부 통신 장치(200)만을 교체하여 조명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조명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110), 스위칭 소자(121,122), 통신 인터페이스(130), 프로세서(140), 전원부(150), 보조 전원부(160), 출력단(170) 및 메모리(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 및 전원부(150)의 동작 중에서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발광 소자(110)는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10)는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110)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111) 1개와 제2 색온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10)는 발광 소자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발광 소자(111)는 제1 색온도를 발광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 소자(111)는 제1 발광 타입의 소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발광 소자(111)는 웜 타입(warm type)의 광원을 발광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웜 타입의 광원은 4000K 미만의 색온도를 갖는 광원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발광 소자(112)는 제2 색온도를 발광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발광 소자(112)는 제2 발광 타입의 소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발광 소자(112)는 콜드 타입(cold type)의 광원을 발광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콜드 타입의 광원은 4000K 이상의 색온도를 갖는 광원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는 기계식 스위치 또는 전자식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는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는 프로세서(140)와 발광 소자(110)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160)는 발광 소자(11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일 때 프로세서(1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발광 소자(11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일 때 발광 소자(11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 받을 준비를 하여야 하며, 조명 장치(100)는 일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10)의 전원이 오프되고 전원부(15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보조 전원부(160)는 통신 인터페이스(130) 또는 프로세서(14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출력단(170)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단(170)은 단일 통신 포트(171) 및 단일 전원 포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통신 포트(171)는 외부 통신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해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 전원 포트(172)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출력단(170)은 LED 양극 출력 단자, LED 음극 출력 단자, 제1 색온도 출력 단자 및 제2 색온도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미도시)는 프로세서(140)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4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미도시)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조명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조명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조명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조명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조명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프로세서(401), 전원부(402), 보조 전원부(403), 제1 출력단(404) 및 제2 출력단(40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제2 출력단(405)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401)는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14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전원부(402)는 도 2에 도시된 전원부(15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보조 전원부(403)는 도 3에 도시된 보조 전원부(16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출력단(404) 및 제2 출력단(405)은 도 3에 도시된 출력단(170)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401)는 전원부(402), 보조 전원부(403), 제1 출력단(404) 및 제2 출력단(405)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401)는 전원부(402)가 제1 출력단(404)을 통해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원부(402)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01)는 보조 전원부(403)가 제2 출력단(405)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 신호를 보조 전원부(403)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출력단(404)은 LED 양극 출력 단자 및 LED 음극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LED 양극 출력 단자 및 LED 음극 출력 단자는 발광 소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출력단(405)은 단일 통신 포트(171) 및 단일 전원 포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통신 포트(171)는 RX/TX(수신 포트/전송 포트)로 구현된 하나의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단일 전원 포트(172)는 보조 전원부(403)로부터 전원을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달하는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되는 전원은 대기 전원이며 직류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발광 소자의 밝기와 제2 발광 소자의 밝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조명 장치(100)의 밝기는 0부터 100까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밝기의 최대값은 조명 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상대적인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값은 0%부터 100%까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발광 소자가 아닌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100)는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 소자(111)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제1 타입의 발광 소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색온도는 웜 톤(warm tone)을 의미할 수 있으며 캘빈값 2500K 내지 3500K 사이의 색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색온도는 콜드 톤(cold tone)을 의미할 수 있으며 캘빈값 5500K 내지 6500K 사이의 색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는 각각 0부터 100까지의 밝기를 출력할 수 있다.
그래프(505)를 참조하면,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각 발광 소자의 밝기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장치(10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의 합산값이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10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가 최대인 경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최소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가 최소인 경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최대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가 조정되면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발광 소자 및 제2 발광 소자와 발광 제어 모듈이 연결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일 실시 예(600)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LED 제어 기어(601) 및 발광 소자 모듈(6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제어 기어(601)는 발광 소자 모듈(606)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보드를 의미할 수 있다. LED 제어 기어(601)는 스위칭 소자(121, 122), 통신 인터페이스(130), 프로세서(140), 전원부(150), 보조 전원부(160) 및 출력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170)은 LED 양극 출력 단자(602), LED 음극 출력 단자(603), 제1 색온도 출력 단자(604) 및 제2 색온도 출력 단자(6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 모듈(606)은 제1 색온도를 가지는 제1 발광 소자(607) 및 제2 색온도를 가지는 제2 발광 소자(6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양극 출력 단자(602)는 제1 발광 소자(607)의 양극(애노드) 및 제2 발광 소자(608)의 양극(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LED 음극 출력 단자(603)는 별도의 발광 소자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LED 음극 출력 단자(603)는 색온도를 조절하지 않는 일반 조명이 연결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아래의 또 다른 실시 예(620)에서 후술한다. 여기서, 제1 색온도 출력 단자(604)는 제1 발광 소자(607)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온도 출력 단자(605)는 제2 발광 소자(608)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610)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일 실시 예(600)와 동일하게 LED 제어 기어(611), 발광 소자 모듈(6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제어 기어(611)는 발광 소자 모듈(615)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보드를 의미할 수 있다. LED 제어 기어(611)는 스위칭 소자(121, 122), 통신 인터페이스(130), 프로세서(140), 전원부(150), 보조 전원부(160) 및 출력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단(170)은 LED 양극 출력 단자(612), 제1 색온도 출력 단자(613) 및 제2 색온도 출력 단자(6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 모듈(615)은 제1 색온도를 가지는 제1 발광 소자(616) 및 제2 색온도를 가지는 제2 발광 소자(6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양극 출력 단자(612)는 제1 발광 소자(616)의 양극(애노드) 및 제2 발광 소자(617)의 양극(애노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온도 출력 단자(613)는 제1 발광 소자(616)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온도 출력 단자(614)는 제2 발광 소자(617)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610)에 따른 LED 제어 기어(611)는 LED 음극 출력 단자(603)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감성 조명에서만 전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반 조명과 감성 조명에 공동으로 이용될 수 있는 LED 제어 기어(601)는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며 감성 조명에만 전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LED 제어 기어(611)는 고장 비율 및 제품 생산 단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표준화된 LED 제어 기어를 이용하면, 일반 조명과 감성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LED 제어 기어 내부의 전류 가변 기능을 이용하면 LED 제어 기어는 다양한 밝기의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LED 제어 기어는 반도체 부품으로 구성되고 전압 또는 전류를 피드백 받을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LED 제어 기어는 외부에서 수신된 밝기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출력 전류(고정된 출력 전류 또는 소프트웨어/외부 저항 등을 사용한 가변 전류)를 발광 소자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LED 제어 기어는 출력 전류를 스위칭 소자에 기초하여 그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색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전류의 총합은 100%인 경우, LED 제어 기어는 발광 소자 각각에 전류를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600)에 따른 LED 제어 기어(601)는 일반 조명(하나의 색온도를 가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과 감성 조명(서로 다른 색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에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620)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LED 제어 기어(601) 및 발광 소자 모듈(6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 모듈(626)은 일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조명이란 하나의 색온도를 갖는 조명을 의미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일 실시 예(600)와 동일한 LED 제어 기어(601)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모듈(606) 이외에 하나의 색온도를 갖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모듈(626)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 모듈(626)은 제1 색온도를 가지는 제1 발광 소자(627)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양극 출력 단자(602)는 제1 발광 소자(627)의 양극(애노드)에 연결되고 LED 음극 출력 단자(603)는 제1 발광 소자(607)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600)와 또 다른 실시 예(620)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는 동일한 LED 제어 기어(601)를 이용하여 복수의 색온도를 표현할 수 있는 발광 소자 모듈 뿐만 아니라 하나의 색온도를 표현할 수 있는 발광 소자 모듈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는 다양한 발광 소자 모듈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110)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색온도를 갖는 제2 발광 소자(11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전체 공급 전류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전체 공급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전체 공급 전류 및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되는 제2 전류를 식별할 수 있고, 제1 스위칭 소자(121)를 제어하여, 제1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할 수 있고, 제2 스위칭 소자(122)를 제어하여, 제2 전류를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제1 사용자 입력 신호)이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모두 조정하고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제2 사용자 입력 신호)이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111)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모두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모두 증가시키도록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색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를 증가시키고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감소시키도록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 소자(111)는 웜 타입의 광원을 발광하는 소자를 의미하며, 제2 발광 소자(112)는 콜드 타입의 광원을 발광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조명 장치(100)의 전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입력은 조명 장치(100)의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여기서,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조명 장치(100)의 전체 색온도를 웜 타입으로 발광하게 제어할 것인지 콜드 타입으로 발광하게 제어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색온도를 변경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조정하여 전체 색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색온도를 웜 타입으로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를 높이고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색온도를 콜드 타입으로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를 낮추고,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높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외부 통신 장치(200)를 통해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이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모두 고려하여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사용자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입력만 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에는 밝기 또는 색온도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명령만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수신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 최근 제공하였던 수치값으로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온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만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조정하고 전체 밝기는 최근 제공하였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밝기는 조도, 디밍(dimming) 등의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밝기(밝기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밝기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모두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은 변경, 변환, 조절 등의 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밝기는 조명 장치(100) 전체의 밝기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 사이의 밝기 비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입력은 색온도를 조정하는 명령으로 웜 타입의 광원과 콜드 타입의 광원 중 어느 광원을 더 비중 있게 발광하게 할 것인지 결정하는 명령일 수 있다. 여기서, 밝기 비율 정보는 제1 발광 소자(111)에서 출력하는 광원의 밝기와 제2 발광 소자(112)에서 출력하는 광원의 밝기 사이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최대 출력이 100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제1 발광 소자(111)의 출력이 10이고 제2 발광 소자(112)의 출력이 40이면 비율 정보는 1:4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체 밝기 및 밝기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와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로 발광하도록 전원을 각 발광 소자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의 밝기에 대응되는 전체 공급 전류를 식별할 수 있고, 획득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전체 공급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밝기에 대응되는 전체 공급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전체 공급 전류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에 분배하여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체 공급 전류가 커질수록 조명 장치(100)의 전체 밝기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전체 밝기에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전체 공급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공급 전류가 100이고 비율 정보(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가 1:4라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에 20을 공급하고 제2 발광 소자(112)에 80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전체 공급 전류 및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되는 제2 전류를 식별할 수 있고, 전체 공급 전류,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범위인지 식별할 수 있고, 전체 공급 전류,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범위 밖인 것으로 식별되면, 조명 장치(100)가 고장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를 결정 또는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전체 공급 전류, 제1 전류(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제2 전류(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되는 전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전류가 정상 범위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류가 정상 범위에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가 고장이 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류가 제1 임계값보다 낮거나 제2 임계값보다 높으면,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전체 공급 전류, 제1 전류 및 제2 전류 각각의 임계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전류가 공급되는 소자 또는 회로에 기초하여 정상 범위를 판단하는 임계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전체 공급 전류 및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색온도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식별된 제1 제어 신호의 파형을 반전시켜 제2 색온도에 대응되는 제2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제어 신호를 제1 발광 소자(111)에 전송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를 제2 발광 소자(11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온도에 대응되는 제1 제어 신호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색온도에 대응되는 제2 제어 신호는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제1 제어 신호의 파형을 획득하고, 획득된 파형을 반전시켜 반전된 제1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반전된 제1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기 결정된 함수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를 반전 시켜 제2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반전 방식은 sin 파형을 cos 형태로 반전시키는 방식, 반전 증폭기를 이용하여 신호의 파형을 변환하는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소자(121)를 통하여, 제1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할 수 있고,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122)를 통하여, 제2 전류를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21)는 도 7의 제1 스위칭 소자(705)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칭 소자(122)는 도7의 제2 스위칭 소자(706)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원부(150)로부터 수신된 전체 출력 전류를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를 이용하여 제1 전류 및 제2 전류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구분된 제1 전류 및 제2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및 제2 발광 소자(112)에 각각 공급하도록 전원부(150) 및 각 스위칭 소자(121,12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스위칭 소자(121) 및 제2 스위칭 소자(122)를 이용하여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LED 양극 출력 단자, LED 음극 출력 단자, 제1 색온도 출력 단자 및 제2 색온도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출력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LED 양극 출력 단자는 제1 발광 소자(111)의 양극(애노드)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양극(애노드)에 연결되고, 제1 색온도 출력 단자는 제1 발광 소자(111)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색온도 출력 단자는 제2 발광 소자(112)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LED 음극 출력 단자는 상기 제2 발광 소자 없이 상기 제1 발광 소자만으로 밝기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출력단(170)은 적색 출력 단자, 녹색 출력 단자 및 청색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LED 양극 출력 단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양극(애노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양극(애노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양극(애노드)에 연결되고, 적색 출력 단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되고, 녹색 출력 단자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되고, 청색 출력 단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음극(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발광 소자(111)및 제2 발광 소자(112)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소자(R-LED), 녹색 발광 소자(G-LED) 및 청색 발광 소자(B-LED) 3개가 발광 소자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보조 전원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조명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면, 보조 전원부(160)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일반 모드와 대기 모드(절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 모드는 발광 소자에서 광원을 발광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발광 소자에서 광원이 발광하지 않는 상태이며 전원 온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프로세서(140)는 전원부(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발광 소자에 전달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프로세서(140)는 전원부(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보조 전원부(160)에서 공급되는 전원만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모드에서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조명 장치(100)의 전원을 온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0) 또는 외부 통신 장치(200)의 전원이 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발광 동작에 기초하여 전체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를 식별하여, 전체 색온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전체 색온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전체 색온도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 장치(10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100) 주변을 촬상하여 전체 색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전체 색온도 또는 비율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전체 색온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전원부(701), 제1 출력단(702), 제2 출력단(702-2), 프로세서(703), 보조 전원부(704), 제1 스위칭 소자(705), 제2 스위칭 소자(706) 및 스위치(707, 70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701), 출력단(702,702-2), 프로세서(703), 보조 전원부(704), 제1 스위칭 소자(705) 및 제2 스위칭 소자(706)는 도 2의 각 구성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단(702)은 LED 양극 출력 단자, LED 음극 출력 단자, 제1 색온도 출력 단자 및 제2 색온도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력단(702-2)은 단일 통신 포트(171) 및 단일 전원 포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통신 포트(171)는 RX/TX(수신 포트/전송 포트)로 구현된 하나의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단일 전원 포트(172)는 보조 전원부(704)로부터 전원을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달하는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되는 전원은 대기 전원이며 직류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출력단(702-2)은 외부 통신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력단(702-2)은 USB (Universal Serial Bus)포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703)는 제2 출력단(702-2)에 포함된 단일 통신 포트(171)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 및 전송할 수 있고, 제2 출력단(702-2)에 포함된 단일 전원 포트(172)를 통하여 보조 전원부(704)의 전원을 외부 통신 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통신 장치(200)는 통신 포트 및 전원 포트를 포함하는 출력단(20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출력단(201)에 포함된 통신 포트를 통하여 조명 장치(100)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단(201)에 포함된 전원 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전원부(701)는 출력단(702)에 포함된 LED 양극 출력 단자, LED 음극 출력 단자, 제1 색온도 출력 단자 및 제2 색온도 출력 단자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701)와 제1 색온도 출력 단자 사이에 제1 스위칭 소자(70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부(701)와 제2 색온도 출력 단자 사이에 제2 스위칭 소자(70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701)는 프로세서(70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701)와 프로세서(703) 사이에 제2 스위칭 소자(706)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부(701)는 제2 스위칭 소자(706)를 통해 프로세서(70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704)는 프로세서(70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전원부(704)는 발광 소자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프로세서(703)에 대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조명 장치(100)는 조명 장치(100)의 전원이 온 되는 명령을 수신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 전원부(704)를 통해 대기 전원만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발광 소자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는 대기 모드일 수 있으며, 대기 모드에서는 전원부(701)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프로세서(703)는 밝기 조정 명령 또는 색온도 조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명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100)는 전원부(701)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707) 및 보조 전원부(704)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70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밝기 및 색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감성 조명(복수의 색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의 활용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일반 조명(색온도 조절이 불가능한 조명)만을 이용하거나, 감성 조명만을 이용하거나, 일반 조명 및 감성 조명을 동시에 이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색온도 타입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외부 통신 장치(200) 로부터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80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S810). 기 결정된 프로토콜은 조명 장치(100)가 신호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 의해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조명 장치(100)에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신호 처리된(또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는 조명 장치(100)에 의해 신호 처리 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조명 장치(100)에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어 있지 않으면(S810-N),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S815). 여기서, 조명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에 기 결정된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메모리(미도시)에 다양한 통신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변환하기 위한 함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어 있지 않으면,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해석할 수 없으므로, 조명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어 있으면(S810-Y),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820).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전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S825). 구체적으로, 조명 장치(100)는 전원부(150)에서 전원을 발광 소자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토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90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S910).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어 있지 않으면(S910-N), 조명 장치(100)는 조명 장치(100) 내부적으로 신호 처리가 가능한지 식별할 수 있다 (S915).
조명 장치(100) 내부적으로 신호 처리가 가능하면(S915-Y),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S920).
조명 장치(100) 내부적으로 신호 처리가 가능하지 않으면(S915-N),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수신된 변환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는 변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하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다시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930).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어 있지 않으면(S910-Y), 조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935).
또한, 조명 장치(100)는 S920 및 S930 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 신호(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93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전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S940). 구체적으로, 조명 장치(100)는 전원부(150)에서 전원을 발광 소자에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은 조명 장치(100), 외부 통신 장치(200) 및 원격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005). 그리고, 사용자 입력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외부 통신 장치(200)는 통신 장치(200)로 기재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또는 변환) 할 수 있다 (S1015).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1020).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02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전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S1030). 그리고,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한 이후 조명 장치(100)는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03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조정 결과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S1040).
외부 통신 장치(200)는 조정 결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정 결과 신호를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또는 변환)할 수 있다 (S1045).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는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S1050). 구현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은 조명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105).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300)는 생성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1110).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또는 변환)할 수 있다 (S111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120).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전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S1125). 그리고,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한 이후 조명 장치(100)는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1130).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조정 결과 신호를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또는 변환)할 수 있다 (S1135). 그리고, 조명 장치(100)는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S1140).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1000)은 조명 장치(100), 외부 통신 장치(200-1, 200-2, 200-3) 및 원격 제어 장치(300-1, 300-2, 30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100)는 발광 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100)는 출력단(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단(170)에 외부 통신 장치(200-1, 200-2, 200-3)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100)는 서로 다른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통신 장치(200-1)은 적외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300-1)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1)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300-1)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1)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2)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300-2)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2)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300-2)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3)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300-3)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통신 장치(200-3)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300-3)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통신 장치(200-3)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조명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조명 장치(100)의 단일 통신 포트(171)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조명 장치(100)의 프로세서(140) 및 단일 통신 포트(171) 사이를 연결하는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S1305),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S1310) 및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 (S13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조명 장치(100)의 단일 전원 포트(172)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200)에 조명 장치(100)의 보조 전원부(160)와 단일 전원 포트 사이를 연결하는 단일 전원선을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단일 통신 포트(171) 및 단일 전원 포트(172)를 포함하는 출력단(170)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고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력단(170)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외부 통신 장치(200)에 의해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된 신호이고, 제어 방법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지 않으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변환 요청 신호를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하는 단계 및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 소자(110)의 밝기가 조정되면,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조정 결과 신호를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외부 통신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조정 결과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 통신 장치(2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110)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색온도를 갖는 제2 발광 소자(1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방법은 조명 장치(100)의 전체 공급 전류를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의 밝기 및 제2 발광 소자(112)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전체 공급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 및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전체 공급 전류 및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되는 제2 전류를 식별하는 단계, 조명 장치(100)의 제1 스위칭 소자(121)를 제어하여, 제1 전류를 제1 발광 소자(111)에 공급하는 단계 및 조명 장치(100)의 제2 스위칭 소자(122)를 제어하여, 제2 전류를 제2 발광 소자(112)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같은 조명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조명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조명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조명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조명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조명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조명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조명 장치 110: 발광 소자
140: 프로세서 150: 전원부
171: 단일 통신 포트

Claims (10)

  1. 조명 장치에 있어서,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단일 통신 포트; 및
    상기 단일 통신 포트로 연결된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통신 포트는,
    상기 프로세서와 단일 통신 라인으로 연결된,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및
    단일 전원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일 전원 포트로 연결된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보조 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일 전원 포트는,
    상기 보조 전원부와 단일 전원선으로 연결된,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출력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은,
    상기 단일 통신 포트 및 상기 단일 전원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출력단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인,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의해 기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된 신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기 결정된 프로토콜로 신호 처리 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변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밝기가 조정되면, 조정 결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정 결과 신호를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 결과 신호를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조정 결과 신호를 상기 단일 통신 라인을 통해 상기 외부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조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색온도를 갖는 제1 발광 소자; 및
    제2 색온도를 갖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명 장치의 전체 공급 전류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밝기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밝기 사이의 비율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전체 공급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체 공급 전류 및 상기 비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제1 전류,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제2 전류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를 상기 제1 발광 소자에 공급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제2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조명 장치.
KR1020200175798A 2020-07-31 2020-12-15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5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22,840 US11523487B2 (en) 2020-07-31 2021-05-17 Ligh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2110852750.1A CN114071831A (zh) 2020-07-31 2021-07-27 照明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94 2020-07-31
KR20200096094 2020-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897A true KR20220015897A (ko) 2022-02-08

Family

ID=8025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98A KR20220015897A (ko) 2020-07-31 2020-12-15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8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3371B (zh) 整合無線暨有線的照明控制系統
AU2014231732B2 (en) Wireless light pairing, dimming and control
JP2017511966A (ja) ワイヤレスおよび送電線照明ペアリング、減光、および制御
TWI435651B (zh) 具有燈光控制裝置的無線燈光控制系統及其方法
TWI530112B (zh) 電力線通訊裝置、電力線通訊系統及其監控電力的方法
CN104660331A (zh) 终端的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终端
WO2013034361A1 (en)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 illuminating device and a secondary controller
US106529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mmanding lighting systems and their associated controls
TWI814946B (zh) 交流電源適配器指示器
WO2019109917A1 (en) Color calibration system for rgb ligh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289863B2 (en) Smart adapter
KR20220015897A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2909A (ko) 조명 시스템, 조명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US11523487B2 (en) Ligh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3193764U (zh) 一种带有指示灯的监控摄像机
US10996276B2 (en) Host illumination of indicators of an AC adapter
CN216217652U (zh) 一种基于rdm协议的舞台灯具管理系统
JP731660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15898A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03683B2 (en) Ligh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M636958U (zh) 無線燈具控制系統
CN213094237U (zh) 一种具备多种控制协议转换电路设备
TW201331735A (zh) 發光裝置控制系統與無線控制方法
CN210321977U (zh) 一种无线套件及其快速构成的无线称重系统
US20220141942A1 (en) Luminaire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umin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