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859A - Flowerpot wih desk calendr - Google Patents

Flowerpot wih desk calend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859A
KR20220015859A KR1020200096436A KR20200096436A KR20220015859A KR 20220015859 A KR20220015859 A KR 20220015859A KR 1020200096436 A KR1020200096436 A KR 1020200096436A KR 20200096436 A KR20200096436 A KR 20200096436A KR 20220015859 A KR20220015859 A KR 20220015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lowerpot
protrusion
calenda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9670B1 (en
Inventor
박예은
Original Assignee
박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은 filed Critical 박예은
Priority to KR102020009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70B1/en
Publication of KR2022001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42D5/045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The flowerpot with the desk calendar, in the flowerpot with the desk calendar, in which a calendar is provided in a desk calendar, includes: a pot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plant and culture soil or water; a pair of cradles which are assembled from both sides of the pot container to mount the pot container so that the pot container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and both sides are formed with flat sides; and a calend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adle and providing date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ower production and sales unit cost and increase commercial property.

Description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FLOWERPOT WIH DESK CALENDR}Flowerpot with desk calendar {FLOWERPOT WIH DESK CALENDR}

본 발명은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책상 및 테이블 위에서 식물을 키우는 동시에 달력을 구비함으로써 쉽게 날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조로서 사용자가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calendar while growing plants on a desk and 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date information, and a simplified structure allows a user to easily assemble and use it It relates to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top calendar.

일반적으로, 화분은 나무, 꽃, 식물 등을 심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고, 인체에 필요한 산소를 배출하면서 사람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내에서 기르는 화분은 일반적으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실내 바닥으로 그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물받이가 마련된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flowerpots ar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n indoor atmosphere by planting trees, flowers, plants, etc., and purifying indoor air by absorbing carbon dioxide emitted in the process of breathing by humans while emitting oxygen necessary for the human body. In general, for pots grown indoors, a container provided with a drip tray is used so tha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pot is not discharged to the indoor floor.

한편,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정화하고, 다양한 가전제품이 사용되는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Meanwhile, recently, as air pollution has become serious, interest in improving indoor air by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home or office where various home appliances are used is increasing.

이러한 실내에서 키우는 꽃 등의 식물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것에 경우 사무실 등의 책상 및 테이블에 배치하여 사용자와 근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키우고 있지만 단순히 식물을 키우기 위한 용기로써의 역할만 제공하고 있다.When plants such as flowers grown indoors are relatively small, they are placed on a desk or table in an office, etc.

한편, 종래에는 탁상용 화분에 있어, 일체화되어 별도의 정리 정돈이 필요 없으며, 사용의 편리성과 책상 위에서 심미감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하는 식생 화분(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7096)'이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in a tabletop pot, it is integrated and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tidying up, and it is a plant pot with a calendar, lighting and pencil sharpener function that can promote ease of use and aesthetics on the desk (Korea Registered Patent 10- 1647096) has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의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하는 식생 화분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plant pot with a conventional calendar, lighting and pencil sharpener function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하는 식생 화분은 식물을 수용하는 화분케이스(100), 연필깎이케이스(200), 달력(300), 조명(310) 및 연필깎이유닛(400) 등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로 편의성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plant pots having a calendar, lighting and pencil sharpener functions include a planter case 100, a pencil sharpener case 200, a calendar 300, a light 310 and a pencil sharpener unit ( 400), etc., are integrated to provide convenience and aesthetics to users.

하지만 상기 종래의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하는 식생 화분의 경우, 화분에 식물을 심어 키울 경우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달력에 표시된 날짜 정보가 가려지게 되어 실제로 사용함에 있어 달력으로써의 기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vegetation pot with the conventional calendar, lighting and pencil sharpener functions, when plants are planted and raised in pots, the dat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alendar is hidden as the plants grow, providing a function as a calendar in actual use.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하기 위한 판매가 역시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가 유지보수 측면에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the production unit price increases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ales price for the user to purchase also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difficult to manage in terms of maintenanc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709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647096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책상 및 테이블 위에서 식물을 키울 수 있고, 식물이 수용되는 화분 외측에 달력을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날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구조로서 분리된 상태로 판매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및 판매단가는 낮추고 상품성은 높일 수 있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grow plants on desks and tables, and to easily check date informa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plant growth by having a calendar on the outside of the pot in which the plants are accommodated.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used by the user directly to reduce the production and sales price and increase marketability even if sold separately with a simplified structur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은, 탁상용 화분에 달력을 구비한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에 있어서,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화분용기; 상기 화분용기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해 상기 화분용기 양측에서 한 쌍이 조립되고, 양측은 평평한 측면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양측 측면에 설치되고, 날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달력;을 포함할 수 있다.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anter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equipped with a calendar in the tabletop flowerpot, for accommodat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flowerpot; A pair of holders are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pot container to mount the pot contain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and both sides are formed with flat sides; and a calend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and configured to provide date information.

또한, 상기 화분용기는, 내부에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상부의 병목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이 작게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병목부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는, 평평한 판형 구조로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상부에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병목부가 관통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화분용기가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중심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절단된 병목홈이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수평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 단부에는 거치대 한 쌍이 조립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체결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를 감싸도록 양측에서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pot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therein, the upper bottleneck has a relatively small space compar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edge protrud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leneck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e cradle is vertically erected as a flat plate-shaped structure, and the lower end thereof includes a side portion supported on the floor; And it is provided so as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inwardly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art, the bottleneck of the pot container is penetrated and the center part is cut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pot container can be caught and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to the lower side by the protrusion A horizontal part having a bottleneck groove is included, and the side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are formed as a pair in an integrated structure, and a protruding fasten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a pair of cradles can be assembl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on the other side A fastening groove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is provided so that the fastening part can be inserted, and it can be assembled from both sides so as to surround the flowerpot container.

또한, 상기 측면부는, 양측 상부가 내측을 향해 기울어져 경사지도록 세워지되, 지면에 대해 95°~ 105°로 경사지도록 세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orti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are built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doedoe, it may be erected to be inclined at 95° to 105° with respect to the ground.

또한, 상기 측면부는, 양측 상부에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art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on both sides to facilitate transport.

또한, 상기 측면부에는, 달력을 설치하기 위한 달력설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달력설치부는, 상기 측면부 양측에 돌출된 거치돌기; 및 상기 달력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돌기에 끼움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돌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달력 상부에는 복수 개가 타공된 거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홀에 상기 거치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면부에 상기 달력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alendar installation portion for installing the calendar, the calendar installation portion, the side projection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ide portion; and a protrusion cover having a fitting hole to be fitted into the cradle protrusion to prevent the calendar from being separated, wherein a plurality of perforated cradle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lendar, and the cradl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By doing so, the calendar can be fixed to the side part.

또한, 상기 거치돌기는, 외주면의 길이방향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톱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커버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 내부에 상기 톱니돌기에 대응하도록 톱니 형상 홈이 형성된 톱니홈이 형성되며, 상기 톱니홈에 상기 톱니돌기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ghing projectio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toothed projection protruding in a sawtooth shape, the projection cover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corresponds to the toothed projection inside the fitting hole A sawtooth groove having a sawtooth-shaped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and the toothed protrusion is caught in the toothed groove in stages.

또한, 상기 거치돌기는, 외주면 테두리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제1홈과 연통하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커버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 내주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홈에 삽입되며고, 상기 제2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커버가 상기 거치돌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ghening projecti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irst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groove, wherein the protrusion cover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nd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wherein the protrusion cover is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by rotation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It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제2홈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된 후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groove so as to be caught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또한, 상기 거치돌기는,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커버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 내주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3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3홈에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전진하면서 삽입되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커버가 상기 거치돌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점차적으로 삽입 위치가 가변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ghening protrusion includes a third groove spiral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and the protrusion cover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the first It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that is fastened while rotating along the third groove, and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it is fastened to be inserted while moving forward by rotation, so that the protrusion cover is gradually inser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may be fixed while being variable.

또한, 상기 제3홈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된 후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groove so that it can be caught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은, 운반 및 설치가 편리하여 책상 및 테이블 위에서 쉽게 식물을 키울 수 있고, 식물이 수용되는 화분 외측에 달력을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날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구조로서 최초 제작 후 판매 시 분리된 상태로 판매하고 구매자가 제품을 받아 직접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판매단가는 낮추고 상품성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tted plant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transport and install, so you can easily grow plants on desks and tables. The date information can be checked, and the simplified structure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production and sales unit cost and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by selling it separately after initial production and allowing the buyer to easily assemble and use the product upon receipt.

도 1은 종래의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하는 식생 화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거치돌기 및 돌기커버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
1 is a side view of a plant pot with a conventional calendar, lighting and pencil sharpener functions.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enlarged views of main parts of the protrusion and protrusion cover of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은 책상 및 테이블 위에서 식물을 키울 수 있고, 식물이 수용되는 화분 외측에 달력을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날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구조로서 분리된 상태로 판매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및 판매단가는 낮추고 상품성은 높일 수 있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w plants on desks and tables, and by providing a calendar outside the flowerpot in which the plant is accommodated, it is not affected by the growth of the plant and dates easily It relates to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that can check information and can reduce production and sales unit prices and increase marketability by allowing users to easily assemble and use them even when sold separately with a simplified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측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a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은 크게 화분용기(100), 거치대(200) 및 달력(30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3 ,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flowerpot container 100 , a cradle 200 , and a calendar 300 .

먼저, 화분용기(100)는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으로, 내부에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상부의 병목부(110)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이 작게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병목부(110)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병목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된 돌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pot container 100 is a part for accommodat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is provided therein, and the upper bottleneck 110 has a relatively space compared to the lower part. Having this small constricted shape, a protrusion 120 protruding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leneck 1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ttleneck 110 .

이때, 상기 화분용기(100)는 상부에 비해 하부가 큰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부에 비해 하부의 부피가 크게 형성되되, 외주면은 구(球) 형상과 같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외주면이 경사진 형태로 측면에서 보면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lowerpot container 100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in which a space with a larger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can be provided.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triangl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an inclined shape.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병목부(110) 상단에 테두리를 따라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병목부(110)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120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long the rim at the top of the bottleneck 110 or a circular b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op of the bottleneck 110 . It may be formed in a shape.

또한, 상기 화분용기(100)는 내부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는 식물의 뿌리 및 줄기 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배양토 또는 물의 채워진 모습을 확인하여 유지관리를 도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화분용기(100) 측면에는 식물을 키우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을 표시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드는 물의 양을 체크하여 다시 공급해야 하는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owerpot container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so that the inside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ppearance of the roots and stems of the plants accommodated therein, as well as to check the appearance of the cultured soil or water to promote maintenance. In this case,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grow a plant may be displayed on the side of the pot container 100 so that the amount of water that decreases over time can be checked to confirm when to supply it again.

다음으로, 거치대(200)는 상기 화분용기(100)가 쓰러지지않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해 부분으로, 상기 화분용기(100) 양측에서 한 쌍이 조립되고, 양측은 평평한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holder 200 is a part for mounting the pot container 10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without falling down, and a pair is assembled from both sides of the pot container 100, and both sides have flat sides can be formed.

상기 거치대(200)는 평평한 판형 구조로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측면부(210) 및 상기 측면부(210) 상부에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화분용기(100)의 병목부(110)가 관통되고 상기 돌출부(120)에 의해 상기 화분용기(100)가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중심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절단된 병목홈(221)이 형성된 수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200 is vertically erected as a flat plate-shaped structur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provided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inwardly to the side portion 210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side portion 210 upper portion, A horizontal part in which the bottleneck groove 221 is formed in which the bottleneck 110 is penetrated and the center part is cut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flowerpot container 100 can be hung and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downward by the protrusion 120 . (220)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측면부(210)와 상기 수평부(220)가 일체화된 구조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220) 단부에는 거치대(200) 한 쌍이 조립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돌출된 체결부(2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체결홈부(240)가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100)를 감싸도록 양측에서 조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part 210 and the horizontal part 220 are formed as a pair in an integrated structure, and a fastening part protruding on one side so that a pair of the cradle 200 can be assembl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220 ( 230 is formed, and a fastening groove 240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the fastening part 230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it can be assembled from both sides to surround the flowerpot container 100 .

상기 측면부(210)는 기본적으로 평평한 사각형의 판형으로서 하부는 바닥 또는 책상에 지지되되, 지지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거치대(200) 중 한쪽의 거치대(200)에 있어 측면부(210)는 양측에 지지되는 다리(211)가 형성되고, 상기 다리(211) 상측으로 평평한 판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art 210 is basically a flat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lower part is supported on a floor or a desk, but the part except for the supported part may be formed in an open shape. That is, in one cradle 200 of the pair of cradles 200 , the side portion 210 may have legs 211 supported on both sides formed, and a flat plat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211 .

이때, 상기 측면부(210)는 양측 상부에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12)는 거치대(200) 한쪽 당 하나가 형성되고 손을 걸거나 잡기 위해 손삽입 공간이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de part 2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12 on both sides to facilitate transport. The handle 212 may be formed in one per side of the cradle 200 and a hand insertion space is provided for hanging or holding a han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부(210)는 양측 상부가 내측을 향해 기울어져 경사지도록 세워지되, 지면에 대해 95°~ 105°로 경사지도록 세워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거치대(200)가 양측에서 결합되어 한 쌍을 이룬 상태로 조립될 경우,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정한 각도로서, 상기 화분용기(100)를 안전하게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4 , the side portions 210 are erected so that both upper portions are inclined inwardly, and may be erected to be inclined at 95° to 105°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is is an angle set so that when the holder 200 is coupled from both sides and assembled in a paired state, it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on the ground. it is for

한편, 상기 수평부(220)는 상기 측면부(210) 상단 내측에 수평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서, 중심부분에 반원으로 절단된 병목홈(221)이 형성되고, 거치대(200) 한 쌍이 조립될 경우 상기 병목홈(221)은 원형으로 개방된 형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part 220 is a horizontally protruding part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ide part 210, a bottleneck groove 221 cut in a semicircle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and when a pair of cradles 200 are assembled, the The bottleneck groove 221 may have a circularly open shape.

한편, 상기 수평부(220) 단부에는 한 쌍의 거치대(200)가 상호간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의 거치대(200)에는 체결부(230)가 타측의 걸치대(200)에는 상기 체결부(23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220, a fastening part 2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radle 200 so that a pair of cradles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part 230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200. A fastening groove 240 for fastening may be formed.

상기 체결부(230)는 상기 수평부(220) 단부 일면에 상기 수평부(220)의 두께보다 좁게 돌출된 형태로 연장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양측 부분은 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part 220 on one end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220, and in this case, both sides may be formed in a more protruding shape.

또한, 상기 체결부(230)를 포함한 수평부(2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테두리 부분만 성형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220 including the fasten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ly the edge portion is molded in an empty form.

한편, 상기 체결홈부(240)는 상기 체결부(2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230)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수평부(220) 내부에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groove 24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art 230 and is a part in which a groove for inserting the fastening part 230 is formed,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inside the horizontal part 220 . have.

즉, 상기 체결부(230)는 수평부(22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체결홈부(240)는 상기 체결부(2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수평부(220) 내부에 형성된 홈으로서, 돌출되거나 홈의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 어느 한 형상 및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at is, the fastening part 230 is protruded from the horizontal part 220 , and the fastening groove part 240 has the horizontal part 22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astening part 230 can be inserted. As a groove formed inside, it is not limited to any one shape and structure as long as it protrudes or the shape of the groove can be made in various ways.

이와 같이, 상기 체결홈부(240)에 상기 체결부(230)가 삽입됨으로써 2개의 각 거치대(200)는 하나의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fastening part 230 into the fastening groove part 240 , each of the two cradles 200 can be assembled into one configuration.

한편, 한 쌍으로 조립된 거치대(200)에 있어 상기 수평부(220)는 한 쌍으로 조립됨에 따라 평평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어, 상기 수평부(220) 공간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물건, 예를 들어, 미니어쳐 인형 또는 캐릭터 인형 등 인테리어 요소가 될 수 있는 소품들을 올려놓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radle 200 assembled as a pair, a flat space may be provided as the horizontal part 220 is assembled as a pair, so that a relatively small object, for example, in the space of the horizontal part 220 For example, it can be used for placing small items that can become interior elements, such as miniature dolls or character dolls.

다음으로, 달력(300)은 상기 거치대(200)의 양측 측면부(210)에 설치되고, 날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Next, the calendar 300 is installed on both side parts 210 of the cradle 200, and is a part for providing date information.

상기 달력(300)은 각 달마다 낱장 형태로 적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거치대(200)에 고정되기 위해 복수 개가 타공된 거치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lendar 300 may be provided to be loaded in the form of a single sheet for each month, and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ding holes 310 to be fixed to the cradle 200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여기서 상기 달력(300)은 날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지만, 날짜 정보 외에 기타 표시정보(스케줄 노트 등)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정보가 표기된 달력이면 어느 형태이든 제한을 두지 않는다.Here, the calendar 300 displays date information, but may include displaying other display information (schedule notes, etc.) in addition to the date information. That is, as long as it is a calendar marked with various information, any form is not limited.

한편, 상기 측면부(210)에는 상기 달력(300)을 설치하기 위한 달력설치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calendar installation unit 213 for installing the calendar 3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210 .

상기 달력설치부(213)는 상기 측면부(210) 양측에 돌출되고 상기 달력(300)의 거치홀(310)에 끼움되기 위한 거치돌기(214) 및 상기 달력(300)이 상기 거치돌기(214)에 끼움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돌기(214)에 끼움되는 끼움홀(219a))이 형성된 돌기커버(2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endar installation part 213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side part 210 and is fitt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214 for being fitted in the mounting hole 310 of the calendar 300 and the calendar 300 is provided with the mounting protrusion 214 . It may include a protrusion cover 219 having a fitting hole (219a) to be fit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214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while being fitted to the cover.

즉, 상기 달력(300) 상부에 타공된 거치홀(310)에 상기 거치돌기(214)가 삽입되고, 상기 거치돌기(214)에 상기 돌기커버(219)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면부(210)에 상기 달력(300)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mounting protrusion 214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10 punch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lendar 300, and the protrusion cover 219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214, so that the side part 210 is The calendar 300 may be fixed.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거치돌기 및 돌기커버의 요부 확대도이다.5 to 7 are enlarged views of main parts of the protrusion and protrusion cover of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돌기(214)는 외주면의 길이방향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톱니돌기(21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커버(219)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219a) 내부에 상기 톱니돌기(215)에 대응하도록 톱니 형상 홈이 형성된 톱니홈(219b)이 형성될 수 있다.5, the roughening projection 214 is formed with a sawtooth projection 215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a sawtooth shape, and the projection cover 219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 a sawtooth groove 219b having a sawtooth-shap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oothed protrusion 215 may be formed inside the fitting hole 219a.

예를 들어, 상기 톱니돌기(215)는 상기 거치돌기(214)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톱니홈(219b)은 상기 나사산 형태의 톱니돌기(215)가 전진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거나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산 형태의 홈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oothed protrusion 2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ughening protrusion 214 , and the toothed groove 219b may be inserted while the screw-shaped toothed protrusion 215 is advanced. It may be a threaded groove formed so that it can be engaged by being screwed or inserted by force fitting.

즉, 상기 톱니홈(219b)에 상기 톱니돌기(215)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될 수 있어 상기 거치돌기(214)에 달력(300)이 끼움된 상태에서 달력(300)의 적층된 두께에 맞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toothed protrusion 215 can be inserted into the sawtooth groove 219b while being caught in stages, so that the calendar 300 is inserted into the roughing protrusion 214 to match the stacked thickness of the calendar 300 . It can be fixed in a tight stat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돌기(214)는 외주면 테두리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1홈(216) 및 상기 제1홈(216)과 연통하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mounting protrusion 214 includes a first groove 216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edg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groove 216 . (217)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돌기커버(219)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219a) 내주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홈(216)에 삽입되며고, 상기 제2홈(217)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19c)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cover 219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219a,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216, and the second groove It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219c fastened to the 217 .

즉, 상기 체결돌기(219c)가 상기 제1홈(216)에 삽입된 후 달력(300)과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홈(217)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커버(219)가 상기 거치돌기(2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219c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216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alendar 300, it is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217 by rotation, so that the protrusion cover 219 is It will be possible to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214 .

이때, 상기 제2홈(217)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219c)가 삽입된 후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17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커버(219)가 상기 거치돌기(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돌기(219c)가 제1홈(216)을 거쳐 제2홈(217)에 체결된 후 걸림돌기(217a)에 걸림됨으로써 돌기커버(219)가 거치돌기(2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 locking protrusion 217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groove 217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219c can be engaged after being insert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cover 219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214 , the fastening protrusion 219c is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217 through the first groove 216 and then to the locking protrusion 217a. By being cau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rusion cover 219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214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돌기(214)는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홈(218)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커버(219)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219a) 내주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3홈(218)을 따라 회전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돌기(219c)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roughening protrusion 214 includes a third groove 218 helical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and the protrusion cover 219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the fitting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219a, and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219c that is fastened while rotating along the third groove 218 .

즉, 상기 체결돌기(219a)가 상기 제3홈(218)에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전진하면서 삽입되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커버(219)가 상기 거치돌기(2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점차적으로 삽입 위치가 가변되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219a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218, it is fastened to be inserted while advancing by rotation, so that the protrusion cover 219 is gradually inser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214. is variable and can be fixed.

이때, 상기 제3홈(218)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219c)가 삽입된 후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18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커버(219)가 상기 거치돌기(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돌기(219c)가 제3홈(218)에 체결된 후 걸림돌기(218a)에 걸림됨으로써 돌기커버(219)가 거치돌기(2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 locking protrusion 218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groove 218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219c can be caught after being insert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cover 219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214, the fastening protrusion 219c is fastened to the third groove 218 and then caught by the protrusion 218a, so that the protrusion cover 219 is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protrusion 214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은 기본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과 유사한 구조로서, 크게 화분용기(100), 거치대(200) 및 달력(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structure similar to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nd is largely a flowerpot It may include a container 100 , a cradle 200 , and a calendar 300 .

따라서,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flowerpot provided with the desk calen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화분용기(10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해 상기 화분용기(100) 양측에서 한 쌍이 조립되고, 일측은 상기 화분용기(100)가 보이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평평한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the holder 200 is assembled from both sides of the pot container 100 to mount the pot container 10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and the pot container 100 is visible on one side. It is opened so that the other side can be formed with a flat side.

즉, 상기 달력(300)은 상기 거치대(200)의 타측 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calendar 300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200 .

이때, 상기 측면부(210)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측면부(210)의 다리(211)는 측면의 프레임부분과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이 하나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part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close to a square, and the leg 211 of the side part 2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ide frame part and a part supported on the floor are connected as one.

이처럼, 상기 측면부(210)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화분용기(100)에 수용된 식물을 보기 용이하도록 이루어지고, 타측은 달력(300)이 설치되어 날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다리(211)는 측면의 프레임과 하나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one side of the side part 210 is opened to make it easy to see the plants accommodated in the flowerpot container 100, and a calendar 30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o provide date information, and the legs 211. has an integrat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frame on the side and can be supported on the floor more stably.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은 운반 및 설치가 편리하여 책상 및 테이블 위에서 쉽게 식물을 키울 수 있고, 식물이 수용되는 화분 외측에 달력을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날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구조로서 최초 제작 후 판매 시 분리된 상태로 판매하고 구매자가 제품을 받아 직접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판매단가는 낮추고 상품성은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transport and install, so you can easily grow a plant on a desk or table, and by having a calendar outside the pot in which the plant is accommodated, the plant The date information can be easily check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growth of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oduct qual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화분용기 110: 병목부
120: 돌출부 200: 거치대
210: 측면부 211: 다리
212: 손잡이 213: 달력설치부
214: 거치돌기 215: 톱니돌기
216: 제1홈 217: 제2홈
217a: 걸림돌기 218: 제3홈
218a: 걸림돌기 219: 돌기커버
219a: 끼움홀 219b: 톱니홈
219c: 체결돌기 220: 수평부
221: 병목홈 230: 체결부
240: 체결홈부 300: 달력
310: 거치홀
100: pot container 110: bottle neck
120: protrusion 200: cradle
210: side part 211: leg
212: handle 213: calendar installation part
214: rough projection 215: sawtooth projection
216: first groove 217: second groove
217a: jamming projection 218: third groove
218a: locking projection 219: projection cover
219a: fitting hole 219b: tooth groove
219c: fastening projection 220: horizontal portion
221: bottleneck groove 230: fastening part
240: fastening groove 300: calendar
310: holding hole

Claims (12)

탁상용 화분에 달력을 구비한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에 있어서,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화분용기;
상기 화분용기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해 상기 화분용기 양측에서 한 쌍이 조립되고, 양측은 평평한 측면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양측 측면에 설치되고, 날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달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In a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equipped with a calendar in the tabletop flowerpot,
flowerpots for hold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A pair of holders are assembled from both sides of the pot container to mount the pot contain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and both sides are formed with flat sides; and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omprising a calenda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adle and providing date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용기는,
내부에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상부의 병목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이 작게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병목부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는,
평평한 판형 구조로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상부에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병목부가 관통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화분용기가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중심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절단된 병목홈이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수평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 단부에는 거치대 한 쌍이 조립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체결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를 감싸도록 양측에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werpot container,
A space for accommodat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is provided inside, and the upper bottleneck has a relatively small space compar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edg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at protrude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leneck,
the cradle,
It is erected vertically as a flat plate-shaped structur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a side part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bottleneck is provided so as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inwardly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art, and the bottleneck of the flowerpot container is penetrated and the center part is cut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planter container can be caught and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downward by the protrusion.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The side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are made as a pair in an integrated structure, and a protruding fasten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a pair of cradles can be assembl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fastening part can be inserted.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from both sides so as to be provided with a groove and surround the flowerpot contain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양측 상부가 내측을 향해 기울어져 경사지도록 세워지되,
지면에 대해 95°~ 105°로 경사지도록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part,
It is erec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both sides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and inclined,
Planter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rected at an angle of 95° to 105° with respect to the grou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양측 상부에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part,
A flowerpot equipped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on both sides to facilitate transpo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달력을 설치하기 위한 달력설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달력설치부는,
상기 측면부 양측에 돌출된 거치돌기; 및
상기 달력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치돌기에 끼움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돌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달력 상부에는 복수 개가 타공된 거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홀에 상기 거치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면부에 상기 달력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ide part,
A calendar installation unit for installing a calendar is provided,
The calendar installation unit,
Cradling project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ide part; and
Containing; and a protrusion cover having a fitting hole to be fitted to the cradle protrusion to prevent the calendar from being separated.
A planter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d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lendar, and the mount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 so that the calendar can be fixed to the side par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는,
외주면의 길이방향 단면이 톱니 형상으로 돌출된 톱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커버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 내부에 상기 톱니돌기에 대응하도록 톱니 형상 홈이 형성된 톱니홈이 형성되며,
상기 톱니홈에 상기 톱니돌기가 단계적으로 걸림되면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radle is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sawtooth protrusion in the shape of a sawtooth,
The protrusion cover,
A serrated groove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and a serrated groov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rrated protrusion inside the fitting hole,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awtooth groove while the sawtooth projections are caught in stag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는,
외주면 테두리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제1홈; 및
상기 제1홈과 연통하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1개의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커버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 내주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홈에 삽입되며고, 상기 제2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홈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커버가 상기 거치돌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radle is
a first groov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t least one second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al edg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groove;
The protrusion cover,
It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nd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Planter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and then fastened to the second groove by rotation so that the protrusion cover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된 후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8. The method of claim 7,
On one side of the second groove,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so that it can be caught after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는,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커버는,
원형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 내주면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3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3홈에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전진하면서 삽입되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커버가 상기 거치돌기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점차적으로 삽입 위치가 가변되면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radle is
It includes a third groove formed in a spiral along the outer peripheral edge,
The protrusion cover,
It is formed in a circular spherical shape,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and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that is fastened while rotating along the third groove,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by being fastened to be inserted while moving forward by rotation, the protrusion cover is not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position is gradually changed and fixe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ixed. Available flowerpot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홈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된 후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10. The method of claim 9,
On one side of the third groove,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so that it can be caught after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탁상용 화분에 달력을 구비한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에 있어서,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화분용기;
상기 화분용기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해 상기 화분용기 양측에서 한 쌍이 조립되고, 일측은 상기 화분용기가 보이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평평한 측면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타측 측면에 설치되고, 날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달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In a flowerpot provided with a desk calendar equipped with a calendar in the tabletop flowerpot,
flowerpots for hold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A pair of holders are assembled from both sides of the flowerpot container to mount the flowerpot contain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one side is open to view the flowerpot container, and the other side has a flat side; and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omprising a; a calenda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and providing date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용기는,
내부에 식물과 배양토 또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상부의 병목부는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이 작게 잘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병목부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평평한 판형 구조로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상부에 내측을 향해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병목부가 관통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화분용기가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중심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절단된 병목홈이 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수평부가 일체화된 구조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 단부에는 거치대 한 쌍이 조립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돌출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체결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화분용기를 감싸도록 양측에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달력이 구비된 화분.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lowerpot container,
A space for accommodating plants and culture soil or water is provided inside, and the upper bottleneck has a relatively small space compared to the lower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leneck is provided at the upper edge portion,
the cradle,
One side is open, the other side is erected vertically as a flat plate-shaped structure, the lower end is a side portion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bottleneck is provided so as to be horizontally connected inwardly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art, and the bottleneck of the flowerpot container is penetrated and the center part is cut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planter container can be caught and mounted without being separated downward by the protrusion.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in which a groove is formed;
The side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are made as a pair in an integrated structure, and a protruding fasten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a pair of cradles can be assembl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fastening part can be inserted. A flowerpot with a desk calend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ssembled from both sides so as to be provided with a groove and surround the flowerpot container.
KR1020200096436A 2020-07-31 2020-07-31 Flowerpot wih desk calendr KR1025196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436A KR102519670B1 (en) 2020-07-31 2020-07-31 Flowerpot wih desk calend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436A KR102519670B1 (en) 2020-07-31 2020-07-31 Flowerpot wih desk calend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859A true KR20220015859A (en) 2022-02-08
KR102519670B1 KR102519670B1 (en) 2023-04-06

Family

ID=8025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436A KR102519670B1 (en) 2020-07-31 2020-07-31 Flowerpot wih desk calend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67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872U (en) * 1998-02-10 1999-09-15 김원철 Street lamp pots with billboards.
KR101439882B1 (en) * 2012-12-06 2014-09-12 한아름 Functional Callender
KR101647096B1 (en) 2015-04-06 2016-08-23 유효진 Plant pot with caledar, pencil sharpener
KR101978437B1 (en) * 2018-12-17 2019-05-14 주식회사 미우사랑 Smart calendar for sterilization function
KR20200062551A (en)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빈크 Desk calendar having seed box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872U (en) * 1998-02-10 1999-09-15 김원철 Street lamp pots with billboards.
KR101439882B1 (en) * 2012-12-06 2014-09-12 한아름 Functional Callender
KR101647096B1 (en) 2015-04-06 2016-08-23 유효진 Plant pot with caledar, pencil sharpener
KR20200062551A (en)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빈크 Desk calendar having seed box
KR101978437B1 (en) * 2018-12-17 2019-05-14 주식회사 미우사랑 Smart calendar for steriliza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670B1 (en)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540A (en) Seedling house
US4236353A (en) Plant growing and display assembly
US4788792A (en) Container apparatus
US6520352B2 (en) Stackable lazy susan having central support column
US5806242A (en) Plant sprouting pot
CA2126631A1 (en) Plant growing apparatus
US7406798B2 (en) Floral arranging vase cover
KR20070114446A (en) A multistage flowerpot
KR20090091500A (en) Flowerpot mat
US6684565B2 (en) Self-standing display device
US20060005467A1 (en) Self contained gardening unit
US20060272209A1 (en) Multi-purpose decorative assembly
KR102519670B1 (en) Flowerpot wih desk calendr
USH824H (en) Plant stem holder
US200602428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Marketing Indoor Flower Bulbs
JP2018191560A (en) Simple hydroponic device for general household
EP0788734A1 (en) Plant sprouting pot
EP0049122B1 (en) A botanical display device
KR200404316Y1 (en) Flowerpot and flowerpot set using thererof
WO2013082191A1 (en) Wall-mountable plant present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6042813A (en) Cultivating vessel and cultivating method
JP2000014260A (en) Outer vessel for flower pot
KR200334016Y1 (en) A flowerpot using an ornamental plant
KR0120126Y1 (en) Flower pots
KR102360500B1 (en) Hanging plant cultiv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