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607A - A device for incapacitating target drones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incapacitating target dro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5607A KR20220015607A KR1020200095812A KR20200095812A KR20220015607A KR 20220015607 A KR20220015607 A KR 20220015607A KR 1020200095812 A KR1020200095812 A KR 1020200095812A KR 20200095812 A KR20200095812 A KR 20200095812A KR 20220015607 A KR20220015607 A KR 202200156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ne
- neutralization
- target
- unit
- target dro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64C2201/1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1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 B64U2101/16—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for controlling, capturing or immobilising other vehicles
-
- F16B2001/0035—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러용 드론이나 비허가 드론 등의 목표드론을 무력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론몸체의 하부에 연장된 연결부에 무력화부가 장착되되, 자력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무력화부가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접촉되었을 때 목표드론의 프로펠라를 무력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력화장치로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목표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는 목표드론 무력화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neutralizing target drones such as drones for terrorism or unauthorized drones, wherein a neutralizing part is mounted on a connection part extending under the drone body,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magnetic force, and the neutralizing part of the target drone It is a neutralizing device configured to neutralize the target drone's propeller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peller, and it is a target drone neutraliz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and accurately neutralize the target drone.
드론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항공기로서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 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자체 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를 통칭한다. A drone is an aircraft that does not have a pilot on board, and is a collective term for an aircraft that can fly autonomously in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format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route, or that i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 perform a mission according to its own judgment.
드론은 활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장비를 탑재하여 감시, 정찰, 정밀공격무기의 유도, 지질 조사, 건설, 농업, 광업, 보안, 공공안전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중이다. Drones are loaded with various equipment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and are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surveillance, reconnaissance, induction of precision attack weapons, geological investigation, construction, agriculture, mining, security, and public safety.
이러한 드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드론을 활용한 테러 사건도 점차 증가 추세이다. 2019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시설 폭탄테러, 2018년 영국 개트윅공항에 미승인 드론의 활주로 상공 침범 등 드론을 이용한 사건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국가 주요시설에 대한 드론 테러 위험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드론을 무력화하는 기술 시장도 점차 증가 추세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terrorist incidents using drones are also on the rise. As the number of incidents using drones gradually increases, such as the bombing of oil facilities in Saudi Arabia in 2019 and the intrusion of an unauthorized drone over the runway at Gatwick Airport in the UK in 2018, the risk of drone terrorism against major national facilities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market for technologies that disable these drones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현재 다양한 무력화 기술이 존재하고 있으나, 저비용에 효과적으로 불법 드론을 제압하기 위한 기술이 확보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주요 시설에서 해당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lthough various neutralization technologies currently exist, the technology for effectively suppressing illegal drones at low cost has not been secured, and accordingly, the technology has not been actively introduced in various major facilities.
목표드론을 무력화하는 기술은 크게 탐지 기술과 무력화 기술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무력화 기술은 소프트 킬(소프트웨어 방식의 드론 무력화 방식) 및 하드 킬 (하드웨어적 드론 무력화 방식) 방식으로 구분된다. 소프트 킬 방식은 재밍건 등의 전파교란을 통해 드론의 GPS 및 통신을 무력화하거나 드론의 제어권을 탈취하는 방식의 무력화 기술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존재한다.The technology to neutralize the target dron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etection technology and neutralization technology. The dual neutralization technology is divided into soft kill (software-based drone neutralization method) and hard kill (hardware-based drone neutralization method). The soft kill method is a neutralization technology that neutralizes the drone's GPS and communication or takes control of the drone through radio disturbance such as a jamming gun, and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재밍건 등을 이용한 전파교란을 통해 불법 드론을 무력화할 수 있어 다수 드론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파교란에 의해 드론뿐만 아니라 항공기 및 주변 주요시설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활용이 제한적이며, 드론 자율주행기술이 고도화되고, 전파교란 대응기술이 다수 개발됨에 따라 전파교란 방식의 드론 무력화의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It can neutralize illegal drones through jamming guns, etc., so it can effectively respond to multiple drones and has the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However, the use is limited as it can affect not only drones, but also aircraft and surrounding major facilities due to radio wave disturbance. Questions are being raised.
하드 킬 방식은 드론을 직접적으로 파괴/제압하여 무력화하는 방식으로 개별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이 존재한다.The hard kill method is a method of incapacitating a drone by directly destroying/suppressing it, and each method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그물망을 발사하는 드론 무력화 기술은 가장 보편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이며, 비용 효율적이고 활용하기도 쉬우나 지상형의 경우 사정거리 문제로 인해 드론 제압에 한계가 존재하며, 드론 탑재형의 경우 고속 이동하는 드론의 제압 정확성이 매우 낮다.Net-launching drone neutralization technology is the most commonly developed technology, and it is cost-effective and easy to use. The suppression accuracy is very low.
레이저를 이용한 무력화 기술은 현재 군 및 방위산업체에서 활발히 개발 중인 기술로써 정확성이 높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하나, 이를 운영하는 장비가 고가로써 한정된 재원으로 기기를 운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Neutralization technology using laser is a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being actively developed by the military and defense indust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quickly and with high accuracy.
대공화기를 이용한 제압 방식은 효과적인 제압은 가능하나, 민간의 희생자 발생 가능성의 존재 및 군용 무기이므로 민간기관에서 활용이 어려움 점, 비용 문제 등이 존재한다.The suppression method using anti-aircraft weapons can be effective suppression,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civilian casualties and, since it is a military weapon, it is difficult to use in private institutions and there is a problem of cost.
목표드론을 무력화하는 종래기술을 살펴본다.Let's look at the prior art of neutralizing target drones.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30880호에서는, 불법드론을 포획하기 위한 드론 및 이의 장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드론 하부 또는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포획라인으로 구성되어 이를 이용하여 불법드론을 포획하는 기술이다.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0880, a drone for catching illegal drones and equipment thereof are disclosed. Specifically, it is a technology for capturing illegal drones by using a plurality of capture lines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r rear of the drone.
그러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포획라인이 존재하여 이는 포획용 드론 자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드론과 포획용 라인이 일체형으로서 대형 드론의 포획 시 포획용 드론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However, there is a capture line with a vertical length, which is highly likely to affect the stability of the capture drone itself. can give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114337호에서는, 허가 받지 않은 불법드론을 포획하기 위하여 그물망을 이용하는 드론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물망을 발사하는 형식의 드론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As another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14337, relates to a drone capture device using a net to capture unauthorized drones, and to a drone capture device of a type that fires a net.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물망 기반 드론 포획장치를 개선한 형태로서 추가적인 그물망 발사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중형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드론으로만 운용이 가능하며, 그물망의 명중 실패 시 불법 드론의 무력화를 실패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it is an improved form of the generally known net-based drone capture device, it must be equipped with an additional net launch device, so it can be operated only with drones of medium or larger size. have.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비용으로 테러용 드론이나 비허가 드론 등 목표드론을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는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to propose a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and efficiently neutralizing target drones such as terrorist drones and unauthorized drones at low cost.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는, 드론몸체(100); 및 상기 드론몸체(100)에 연결되어 있는 무력화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무력화부(200)는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힐 수 있는 형태이며, 상기 드론몸체(100)와 상기 무력화부(200)는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론몸체(100)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120); 및 상기 제1연결부(120)의 일단에 장착된 제1자석(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connecting
바람직하게는, 무력화부(200)의 일측에 장착된 제2자석(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력화부(200)에서 위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석(240)이 상기 제2연결부(23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it further includ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력화부(200)는, 프레임(220); 및 상기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는 그물망(2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20)은 다수인 상태에서 서로 가로질로 위치되며, 상기 그물망(260)은 격자형태이거나 직선형태일 수 있다.Preferably, the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발사 장비 없이 드론 제압이 가능하고, 그물망 발사 방식은 드론에 그물이 명중되지 못하면 격추에 실패되는 것에 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는 불법 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힐 때에 무력화부가 자동 탈착되는 바, 대상 드론이 무력화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하고, 프로펠라 1개만을 무력화하여도 목표드론의 무력화가 가능함으로 저가의 소형 기체를 활용 가능하다.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rone without additional launch equipment, and the net launch method fails to shoot down if the drone does not hit the net. Since the neutralization part is automatically detached, it can be used continuously until the target drone is incapacitated, and even if only one propeller is neutralized, the target drone can be neutralized, so a low-cost small aircraft can be used.
또한, 소형 기체에 본 기술을 활용할 경우 해당 기체의 추락에 의한 2차 사고의 위험성도 상당히 낮아진다.In addition, if this technology is applied to a small aircraft, the risk of a secondary accident due to the fall of the aircraft is also significantly lowe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에서 다양한 형태의 무력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disabling a target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 embodiment of the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neutralization units in the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는 드론몸체(100) 및 무력화부(200)를 포함한다.The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드론몸체(100)의 하부방향으로 드론몸체(100)에 무력화부(200)가 연결되어 장착된 상태이다.The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는 드론에 무력화부(200)가 장착된 상태의 장치일 수 있다. 즉, 드론몸체(100)에 프로펠라가 장착되고, 프로펠라의 작동으로 드론몸체(100)가 비행하면서 제1연결부(120)에 연결되는 무력화부(200)가 함께 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The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isabling
드론몸체(100)의 하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제1연결부(120)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부(120)는 드론몸체(100)의 하부 중심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제1연결부(120)일 수 있거나, 또는 드론몸체(100)의 하부의 여러 곳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연결부(120)일 수 있다. A first connecting
다수의 제1연결부(120)를 통해 무력화부(200)가 지지되어, 드론몸체(100)의 비행에 따라 무력화부(200)가 지지된 상태에서 비행된다. 따라서, 드론몸체(100)의 균형 비행이 유지되도록 다수의 제1연결부(120)는 드론몸체(100) 하부에서 균일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아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마찬가지로, 무력화부(200)가 장착된 상태의 드론몸체(100)의 균형 비행이 유지되도록, 무력화부(200)가 위치되는 상태 또한 드론몸체(100)의 균형에 맞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드론몸체(100)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무력화부(200)가 장착되는 경우, 드론몸체(100)의 균형 비행 밸런스가 무너져 드론몸체(100)의 비행에 안정성이 담보될 수 없다.Likewise, it is preferable that the
제1연결부(120)의 일단에는 제1자석(14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자석(140)은 후술할 무력화부(200)에 장착된 제2자석(240)과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술할 무력화부(200)에 제2자석(240)이 아닌 금속체(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는데, 후술할 무력화부(200)에 장착된 금속체(미도시)와 제1자석(140)이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체(미도시)는 자석 이외의 금속임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etal body (not shown) other than the
또는, 제1연결부(120)의 일단에 제1자석(140)이 아닌 금속체(미도시)가 장착된 상태에서, 후술할 무력화부(200)에 장착된 제2자석(240)과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금속체(미도시)는 자석 이외의 금속임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a metal body (not shown) other than the
따라서, 비행하는 드론몸체(100)의 균형에 맞게 하나의 제1연결부(120) 또는 다수의 제1연결부(120)의 일단에 각각 제1자석(140)이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무력화부(200)는 상술한 드론몸체(100)와 자력으로 연결됨에 따라, 무력화부(200)가 드론몸체(100)에 연결된 상태로 드론몸체(100)의 비행에 따라 무력화부(200)가 함께 비행된다.As the
무력화부(200)는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접촉됨에 따라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힐 수 있는 형태이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비행 중인 목표드론에 접근하여 무력화부(200)가 목표드론의 프로펠러에 접촉되어 프로펠라와 얽히면서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의 작동을 손상시킴으로써 목표드론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As long as the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프레임(220) 및 이러한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는 그물망(260)을 포함하는 무력화부(200)일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22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위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230)을 더 포함하는 무력화부(200)일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a neutralizing
드론몸체(100)를 따라 비행되는 그물망(260)이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접촉됨과 동시에 얽힐 수 있는 무력화부(200)일 수 있다.The net 260 flying along the
무력화부(2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는 제2자석(240)은 이러한 프레임(220)에 장착된 상태일 수 있으며(도 2 참조), 또는 이러한 프레임(22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위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230)에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도 3 참조).The
상술한 바와 같이, 무력화부(200)에 제2자석(240)이 아닌 금속체(미도시)가 장착되는 경우, 이러한 금속체(미도시)는 프레임(220)에 장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프레임(22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위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230)에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metal body (not shown) other than the
프레임(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220)일 수 있으며, 다수의 프레임(220)끼리 서로 가로질러 결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무력화부(200)가 드론몸체(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드론몸체(100)의 균형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무력화부(200)도 드론몸체(100)의 균형을 맞게 연결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프레임(220)에 장착된 제2자석(240) 또는 금속체와 제1연결부(120)에 장착된 제1자석(140) 또는 금속체가 자력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드론몸체(100)에 무력화부(200)가 연결되는 바, 다수의 제1연결부(120)가 드론몸체(100)의 하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균일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무력화부(200)에 장착되는 다수의 제2자석(240) 또는 금속체(미도시)의 위치는, 드론몸체(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균형 비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력화부(200) 전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장착될 필요가 있다.The
프레임(220)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그물망(260)은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힐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격자형태이거나 직선형태일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천연 섬유, 인조 섬유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드론몸체(100)가 프로펠라 등의 비행수단의 작동에 의해 비행한다. 이에 따라, 드론몸체(100)의 하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120)에 연결된 무력화부(200)도 함께 비행된다.The
드론몸체(100)의 균형 비행을 위해, 드론몸체(100)의 하부에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1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위치될 수 있다.For balanced flight of the
마찬가지로, 제1연결부(120)에 자력으로 연결되는 무력화부(200)에서의 하나 이상의 제2자석(240) 또는 금속체(미도시)도, 비행시 무력화부(200)가 연결된 드론몸체(100)의 균형 비행을 위해, 무력화부(200) 또한 균형있는 상태에서 비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위치될 수 있다.Similarly, at least one
목표드론에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가 접근한다.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무력화부(200)가 접촉되록 목표드론에 접근한다.The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roaches the target drone. The target drone is approached so that the
무력화부(200)가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접촉됨에 따라, 그물망(260)과 목표드론의 프로펠라가 얽히게 된다. 무력화부(200)가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힘에 따라 제1자석과 제2자석 간의 자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제1자석(140)과 제2자석(240), 제1자석(140)과 무력화부(200)의 금속체 또는 제1연결부(120)의 금속체와 제2자석(240)이 분리되면서 무력화부(200)가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힌 상태에서 위치되면서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의 작동에 손상을 가한다. 목표드론을 무력화시킨다.As the
무력화부(200)가 분리된 상태의 드론몸체(100)는 비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무력화부(200)를 장착시킨 후 또 다른 목표드론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비행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는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와 접촉되는 경우에만 무력화부(200)가 분리되는 바, 무력화부(200)의 낭비없이 정확하게 목표드론을 무력화하는 데에만 무력화부(200)가 사용될 수 있다. 목표드론의 무력화의 효율성이 증대된다.In the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bling
나아가, 단순히 드론몸체(100)에 무력화부(200)를 연결시킨 채로 목표드론에 접근하기만 하여 목표드론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바, 단순한 장치로 운영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이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neutralize the target drone by simply approaching the target drone with the
나아가, 드론몸체(100)에 연결된 무력화부(200)가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힘에 따라 드론몸체(100)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드론몸체(100)의 비행이 계속 유지되는 바, 드론몸체(100)를 재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활용이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flight of th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modification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드론몸체
120: 제1연결부
140: 제1자석
200: 무력화부
220: 프레임
230: 제2연결부
240: 제2자석
260: 그물망100: drone body
120: first connection part
140: first magnet
200: neutralization unit
220: frame
230: second connection part
240: second magnet
260: net
Claims (5)
상기 드론몸체(100)에 연결되어 있는 무력화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무력화부(200)는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목표드론의 프로펠라에 얽힐 수 있는 형태이며,
상기 드론몸체(100)와 상기 무력화부(200)는 자력으로 연결되어 있는 목표드론 무력화장치.
Drone body 100; and
It includes a neutralization unit 200 connected to the drone body 100,
The neutralization unit 200 is in a form that can be entangled with the propeller of the target drone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peller of the target drone,
The drone body 100 and the neutralization unit 200 are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상기 드론몸체(100)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120); 및
상기 제1연결부(120)의 일단에 장착된 제1자석(140)을 더 포함하는 목표드론 무력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nnection par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rone body 100; and
Target drone disab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magnet (140) mounted on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120).
상기 무력화부(200)의 일측에 장착된 제2자석(240)을 더 포함하는 목표드론 무력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agnet (240) mounted on one side of the neutralization unit (200).
상기 무력화부(200)에서 위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석(240)이 상기 제2연결부(230)의 일단에 장착되는 목표드론 무력화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230 extending upward from the neutralization part 200,
A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in which the second magnet (240)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0).
상기 무력화부(200)는, 프레임(220); 및 상기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는 그물망(26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20)은 다수인 상태에서 서로 가로질로 위치되며,
상기 그물망(260)은 격자형태이거나 직선형태인 목표드론 무력화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incapacitating unit 200 includes a frame 220; and a mesh 260 supported by the frame 220,
The frame 220 is position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state of the plurality,
The net 260 is a target drone neutralization device in the form of a grid or a straight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812A KR102383936B1 (en) | 2020-07-31 | 2020-07-31 | A device for incapacitating target dr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812A KR102383936B1 (en) | 2020-07-31 | 2020-07-31 | A device for incapacitating target drones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5607A true KR20220015607A (en) | 2022-02-08 |
KR102383936B1 KR102383936B1 (en) | 2022-05-06 |
KR102383936B9 KR102383936B9 (en) | 2024-01-11 |
Family
ID=8025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5812A KR102383936B1 (en) | 2020-07-31 | 2020-07-31 | A device for incapacitating target dro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393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2726A (en) * | 2016-07-27 | 2018-02-06 | 신정훈 | Parcel loading device for drone |
US20180105271A1 (en) * | 2016-10-13 | 2018-04-19 | Dynetics, Inc. | Interceptor Unmanned Aerial System |
WO2020112985A1 (en) * | 2018-11-29 | 2020-06-04 | Saudi Arabian Oil Company | Automation methods for uav perching on pipes |
-
2020
- 2020-07-31 KR KR1020200095812A patent/KR1023839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2726A (en) * | 2016-07-27 | 2018-02-06 | 신정훈 | Parcel loading device for drone |
US20180105271A1 (en) * | 2016-10-13 | 2018-04-19 | Dynetics, Inc. | Interceptor Unmanned Aerial System |
WO2020112985A1 (en) * | 2018-11-29 | 2020-06-04 | Saudi Arabian Oil Company | Automation methods for uav perching on pip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3936B9 (en) | 2024-01-11 |
KR102383936B1 (en) | 2022-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thyamoorthy | A review of security threat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mitigation steps | |
Gross | The new way of war: Is there a duty to use drones | |
Williams | The CIA's covert Predator drone war in Pakistan, 2004–2010: the history of an assassination campaign | |
Sims | The rising drone threat from terrorists | |
RU2565863C2 (en) | Interception of miniature drones | |
Mohan | Cybersecurity in drones | |
Ahmed et al. | The Pulwama-Balakot Crisis | |
Boukhars | Keeping terrorism at bay in Mauritania | |
Nikolić | An innovative response to commercial UAV menace: Anti-UAV falconry | |
KR102383936B1 (en) | A device for incapacitating target drones | |
Solomon | Maritime deception and concealment: concepts for defeating wide-area oceanic surveillance-reconnaissance-strike networks | |
Grant | The Bekaa Valley War | |
Prisznyák | Drones and jails | |
Kasher et al. | Distinguishing drones: An exchange | |
Markham et al. | Precision air warfare and the law of armed conflict | |
RO132093A2 (en) | Process for catching "pirate" drones () using "hunter" drones provided with net-launcher for immobilization | |
DE60121139T2 (en) | DEVICE FOR PROTECTING A ZONE AGAINST ENEMY THREATENING | |
Gusterson | Drone warfare | |
De Boer | Rhodesia’s Approach to Counterinsurgency: A Preference for Killing | |
Postma | Regulating Legal Autonomous Robots in Unconventional Warfare | |
Seredin et al. | Explosive function of safe literal apparatus | |
Green | Conduct of hostilities: air | |
Pimentel | Cyborg insect drones: research, risks, and governance | |
Elliott et al. | Plugging up the gaps: Defending a gunline from novel Loitering munitions | |
Mirkarimi et al. | Countering the tactical UAV thr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