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480A -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480A
KR20220015480A KR1020220008911A KR20220008911A KR20220015480A KR 20220015480 A KR20220015480 A KR 20220015480A KR 1020220008911 A KR1020220008911 A KR 1020220008911A KR 20220008911 A KR20220008911 A KR 20220008911A KR 20220015480 A KR20220015480 A KR 20220015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solar panel
convergence
shelter structure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to KR102022000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480A/ko
Publication of KR2022001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가 장착되는 쉼터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는 태양광 패널이 상기 쉼터 구조체에 장착되는 각도를 조정하는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shelter having independent electric power system}
본 발명은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지역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 효율이 좋은 소형풍력발전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이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시스템은 연료원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소규모 주민이 거주하는 도서지역에는 유용한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활용가치가 크다.
또한, 도서지역에서는 지역에 따라 산, 바람, 지하수 등이 달리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소형풍력, 태양광 및 양수발전을 통해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하다. 즉, 도서지역 자립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에너지 자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친환경에너지 생산은 기본적으로 소형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고, 부분적으로 양수발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에너지 생산시설 중 태양광 발전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실외의 독립공간으로서 쉼터가 설치되고 있으나,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폭염, 혹한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해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관점은 태양광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전된 전기를 쉼터 구조체의 전기장치에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한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태양광 패널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정화기를 작동시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고, 물분사장치를 작동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융복합 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와,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쉼터 전기장치가 장착되는 쉼터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는 태양광 패널이 상기 쉼터 구조체에 장착되는 각도를 조정하는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전된 전기를 쉼터의 전기장치에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하고,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태양광 패널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정화기를 작동시켜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고, 물분사장치를 작동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융복합 쉼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에 있어서, 태양광패널 회전구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제3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태양광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태양광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태양광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에 있어서 청소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물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또한 후술할 구성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와 명칭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1000)는 구조체(1100) 및 태양광 발전모듈(12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쉼터 구조체(1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쉼터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쉼터 구조체(1100)는 그 목적에 따라 경비초소, 매점, 행사 운영본부, 주거 구조체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쉼터 구조체(1100)는 기둥부(1110), 측벽부(1120), 도어부(1130)를 포함한다. 측벽부(1120)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쉼터 구조체(1100)의 전기장치는 태양광 발전모듈(1200)에 의해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전기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 감시카메라, 조명장치,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 유무선통신모듈, 공기 정화 장치, 에어커튼 및 도어 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모듈(1200)은 쉼터 구조체(1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태양광 발전모듈(1200)은 태양광 패널(1210)과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1220)을 포함한다.
태양광 패널(1210)에는 태양광의 입사광량 검출을 위해 복수 개의 광센서(1211)가 장착될 수 있다.
즉, 광센서(1211)를 이용하여 태양광의 광량을 검출하고, 광량에 따라 태양광 패널(1210)이 쉼터 구조체(1100)에 장착되는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조명장치(1310)는 쉼터 구조체(1100)에 장착된다. 또한, 조명장치(1310)는 쉼터 구조체(1100)의 주변 또는 내부로 빛이 조사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1320)는 쉼터 구조체(1100) 주위로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기 정화장치(1320)는 공기 정화필터(132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330)는 쉼터 구조체(1100)의 내부와 외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장착될 경우, 쉼터 구조체(1100)의 외부에 위치된 사람들에게 날씨정보, 생활정보, 쉼터 이용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감시카메라(1340)는 쉼터 구조체(1100)의 인접 영역을 감시하거나 태양광 패널의 오염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감시카메라(1340)는 태양광 패널(12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쉼터 구조체(1100)에 장착된다.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는 쉼터 구조체(1100)에 대한 태양광 패널의 장착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태양이 이동될 경우 태양광의 입사량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조정한다. 즉, 태양광 패널로 입사되는 광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태양의 이동에 따라 태양광 패널이 장착된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는 유압식 및 기어동력전달방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는 유압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쉼터 구조체(1100)의 기둥부(1110)에 내재되도록 장착된다.
자동도어 구동모듈(미도시)은 쉼터 구조체(1100)의 도어(1130)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구동모터 및 연결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1360)은 쉼터 구조체(1100)의 도어부(1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가 쉼터 구조체(1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공기유입을 차단한다.
또한, 쉼터 구조체(1100)의 기둥부(1110)의 하단부에는 댐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댐핑부는 유체이용에 따른 댐퍼, 탄성부재 댐핑부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은 유체댐핑부로 구현된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내부기둥(1111)과 외부기둥(1112) 사이에는 유체(F)가 채워지고, 외부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될 경우 유체(F)는 유체저장부(1113)로 이동되면서 댐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쉼터 구조체(1100)는 지진에 의한 진동 또는 지반꺼짐 등에 의한 외부변화에 즉각적인 충격이 받지 않고 안전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댐핑부는 견고한 지반공사 없이 쉼터 구조체가 시공될 경우에도 안전하게 쉼터 구조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센서(1211)에 의해 태양광의 광량을 검출하고, 태양의 이동에 따라 광량의 최대화되도록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를 조정한다. 즉, 일측의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를 상승시키고, 타측의 승강모듈(1350)을 하강시켜 태양광 패널(1210)의 각도를 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에 있어서, 태양광패널 회전구동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제3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쉼터(5000)는 도 1에 도시한 쉼터(1000)와 비교하여 회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쉼터(5000)는 구조체(5100) 및 태양광 발전모듈(5200)을 포함한다.
쉼터 구조체(5100)는 기둥부(5110), 측벽부(5120), 상판부(5130) 및 도어부(5140)를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모듈(5200), 조명장치(5310), 공기 정화 장치(5320), 디스플레이장치(5330) 및 감시카메라(53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쉼터의 각 기술구성과 동일하고 자세한 기술구성 및 유기적 결합관계는 전술한 바 생략한다.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5220)은 태양광 발전기의 태양광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태양광 패널로 입사되는 광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태양의 이동에 따라 태양광 패널이 장착된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5220)는 유압식 및 기어동력전달방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5220)은 태양광 패널의 승강과 회동을 위해 승강모듈(5221)과 회동모듈(5222)을 포함한다.
승강모듈(5221)은 태양광 패널(5210)의 하부에 상하좌우에 복수 개가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승강모듈(5221)을 작동시켜 태양광 패널(5210)의 장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회동모듈(522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5210)과 승강모듈(5221)을 지지하는 상판부(5110)를 회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판부(5110)에는 연동기어(5111)가 장착되고, 회동모듈(5222)은 회동모터(5222a)와 회동기어(5222b)를 포함한다. 회동기어(5222b)는 회동모터(5222a)에 결합되고 연동기어(511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회동모터(5222a)의 작동에 의해 상판부(5110)가 회전되고, 상판부(5110)의 회동에 따라 태양광 패널(5210)이 회동된다.
도 7은 태양광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기(2110)는 제1 태양광 패널(2111), 제2 태양광 패널(2112) 및 제3 태양광 패널(211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태양광 패널(2112)과 제3 태양광 패널(2113)은 제1 태양광 패널(2111)을 중심으로 양측에 인출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제2 태양광 패널(2112)과 제3 태양광 패널(2113)은 각각 이동유닛(2112a, 2113a)을 포함한다. 이동유닛(2112a, 2113a)은 모터와 기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태양광 패널(2111)에는 기어부에 대응되는 가이드 기어부(21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태양광 패널(2112)과 제3 태양광 패널(2113)은 각각 기어부가 모터에 의해 가이드 기어부(2111b)를 이동시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강풍 등으로 태양광 패널이 바람의 저항을 저감시킬 경우 제2 태양광 패널(2112)과 제3 태양광 패널(2113)을 제1 태양광 패널(2111)에 겹치도록 이동시키고, 일조량이 클 경우, 제2 태양광 패널(2112)과 제3 태양광 패널(2113)을 제1 태양광 패널(2111)로부터 인출시킨다. 또한, 제2 태양광 패널(2112)과 제3 태양광 패널(2113)은 각각의 이동유닛(2112a, 2113a)에 의해 선택적으로 위치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태양광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기(3110)는 태양광 패널(3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3111)에는 충전유닛(3370)이 장착된다. 충전유닛(1370)은 축전부(도 1에 1400으로 도시함)에 연결되고, 외부 전기기기에 접촉 또는 비 접촉방식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충전유닛(3370)은 드론용 충전기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드론이 주행중에 배터리가 부족할 경우 충전유닛에 안착되고, 접촉 및 비접촉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유닛(C)은 충전을 위한 접촉핀 또는 무선충전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부에 휴대폰 등의 전기기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1은 태양광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에 있어서 청소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기(4110)는 태양광 패널(4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4111)에는 청소유닛(4390)이 장착된다.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4390)은 브러시부(4391), 구동모터(4392), 이동모터(4393), 이동부재(4394), 세척수분사부(4395), 세척수저장부(4396), 배터리부(4397) 및 가이드 프레임(4398)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러시부(4391)는 태양광 패널과 접촉되는 복수의 브러시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브러시는 구동모터(4392)에 연결되어 회동된다.
또한, 이동부재(4394)는 브러시부(4391)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러시부(4391)와 이동모터(4393)에 연결된다. 또한, 이동부재(4394)는 이동모터(4393)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고 가이드 프레임(4398)에 형성된 가이드부(4398a)를 따라 가이드 이동된다.
또한, 세척수분사부(4395)는 세척수저장부(4396)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고, 브러시부(4391)의 전방으로 위치된다.
세척수저장부(4396)는 쉼터의 수도공급부에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4390)은 펌프 및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사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배터리부(4397)는 태양광 패널 인출바디(4112)에 형성된 충전접지(4113)에 접촉되어 태양광 발전기(1110)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태양광 패널(4111)은 클린한 상태가 유지되고, 발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100)는 발전부(110), 제어부(120),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 축전부(140) 및 쉼터 구조체(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쉼터 구조체(150)에는 발전부(110), 제어부(120),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 축전부(140)가 장착된다.
발전부(110)는 태양광 발전기(111)와 풍력 발전기(112)를 포함한다.
풍력 발전기(112)는 쉼터 구조체(150)를 유동되는 자연바람에 따른 공기의 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기(111)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풍력 발전기(112)는 쉼터 구조체(150)를 유동되는 자연바람에 따른 공기의 이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20)는 발전부(110), 축전부(140) 및 쉼터 구조체(150)에 연결되고, 발전부(1100)에서 생성된 전기가 축전부(140) 또는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 및 축전부의 선택적인 작동 및 전기공급을 제어한다.
그리고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는 조명장치(131), 공기 정화 장치(132), 디스플레이장치(133), 감시카메라(134),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136) 및 충전유닛(137)을 포함한다.
또한,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의 각각의 전기장치들은 발전부(110) 또는 축전부(140)를 통해 공급된 전기를 통해 작동된다.
조명장치(131)는 쉼터 구조체 또는 쉼터 구조체의 인근 영역에 빛을 비추기 위한 것이다.
공기 정화 장치(132)는 쉼터 구조체 주위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정화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33)는 쉼터 구조체에 설치되고, 쉼터 구조체의 목적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감시카메라(134)는 쉼터 구조체의 인접영역을 감시한다. 또한 감시카메라(134)는 발전부(110)와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의 상태와 파손원인 등을 감시한다.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는 태양광 발전기의 태양광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태양광 패널로 입사되는 광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태양의 이동에 따라 태양광 패널이 장착된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1350)는 유압식 및 기어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136)은 태양광 발전기의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는 충전유닛(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유닛(137)은 축전부(140)에 연결되고, 외부 전기기기에 접촉 또는 비접촉방식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기기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충전유닛(137)은 드론용 충전기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드론이 주행중에 배터리가 부족할 경우 충전유닛에 안착되고, 접촉 및 비접촉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유닛(137)은 충전을 위한 접촉핀 또는 무선충전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발전부(110)로부터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축전부(1400)에 저장하거나,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13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기의 태양광 패널의 하부에 금속도금층이 형성되고, 금속 도금층을 통해 부식방지되고, 태양광 패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의 물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융복합 쉼터(200)는 발전부(210), 제어부(220),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230), 축전부(240) 및 쉼터 구조체(250)를 포함한다.
또한,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230)는 도 13에 도시한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230)에 비하여 물분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부(210)는 태양광 발전기(211)와 풍력 발전기(212)를 포함한다.
또한,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230)는 조명장치(231), 공기 정화 장치(232), 디스플레이장치(233), 감시카메라(234),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235), 물분사 장치(236),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237) 및 충전유닛(238)을 포함한다.
물분사장치(236)는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여 태양광 패널을 냉각시키거나,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237)에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물분사장치(236)를 공중을 향해 분사할 경우, 공기중의 미세먼지는 분사된 물과 합쳐지고, 지면으로 떨어짐에 따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는 저감된다.
물분사장치(236)는 분사장치(236a), 물저장탱크(236b), 펌프(236c) 및 물공급관(236d)을 포함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236b)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 받을 수도 있고, 빗물을 수용하고 필터링을 거처 정화한 후 펌프(236c)를 통해 물공급관(236d)을 거쳐 분사장치(236a)에 공급한다.
분사장치(236a)는 태양광 패널(211)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태양광 패널(211)은 분사장치(236a)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냉각되고, 발전효율이 증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융복합 쉼터 110: 발전부
120 : 제어부 130 :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
140 : 축전부 150 : 쉼터 구조체

Claims (7)

  1.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기;
    상기 태양광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 및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가 장착되는 쉼터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는 태양광 패널이 상기 쉼터 구조체에 장착되는 각도를 조정하는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에는 태양광의 광량을 검출하는 광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광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이 상기 쉼터 구조체에 장착되는 각도를 조정하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 구동모듈은 상기 태양광 패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모듈과, 상기 태양광 패널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모듈을 포함하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쉼터 구조체는 기둥부, 측벽부 및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기둥부에 내재되도록 장착된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는 상기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은
    상기 태양광 패널과 접촉되는 브러시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된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에 연결되고, 상기 브러시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브러시부에 연결된 이동모터부와,
    상기 이동모터부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가이드 이동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쉼터 구조체 전기장치는 상기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하거나 태양광 패널 청소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장치는
    필터링 물저장탱크와, 상기 필터링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에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KR1020220008911A 2019-02-15 2022-01-21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KR20220015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11A KR20220015480A (ko) 2019-02-15 2022-01-21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014A KR20200099854A (ko) 2019-02-15 2019-02-15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KR1020220008911A KR20220015480A (ko) 2019-02-15 2022-01-21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14A Division KR20200099854A (ko) 2019-02-15 2019-02-15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480A true KR20220015480A (ko) 2022-02-08

Family

ID=722422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14A KR20200099854A (ko) 2019-02-15 2019-02-15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KR1020220008911A KR20220015480A (ko) 2019-02-15 2022-01-21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014A KR20200099854A (ko) 2019-02-15 2019-02-15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998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3555B (zh) * 2020-12-11 2022-09-02 朱水仙 一种具有折叠式太阳能板的公交候车亭结构
KR102507871B1 (ko) * 2022-02-17 2023-03-08 주식회사케이벤처스코리아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공공시설 스마트 제어 시스템
CN114856097B (zh) * 2022-05-19 2024-02-23 山东诚祥节能科技有限公司 建筑屋面保温发电系统及带发电系统的屋面保温方法
CZ309735B6 (cs) 2022-09-23 2023-08-30 AdiZone s.r.o Pilíř zejména pro přístřešk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54A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5480A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CN109058891B (zh) 一种具有清理功能和智能调节工作时间的地埋灯
US20140062188A1 (en) Solar Retrofit Pole
CN106230373A (zh) 一种光伏发电设备
CN206870888U (zh) 一种户外电动车防雨充电桩
KR102214382B1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다기능 구조체
WO2016208969A1 (ko)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200031085A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기능 버스 승강장 시스템
CN109078886B (zh) 一种环保式银行外置摄像头用清洁装置
CN106873640B (zh) 一种光伏发电太阳能板的自动控制装置及其方法
CN208670852U (zh) 一种具有降尘功能的环保型太阳能路灯
KR20220105269A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쉼터
KR20190029071A (ko) 태양광 패널 냉각 시스템
KR101972370B1 (ko) 태양광 조명 방식의 선착장용 어선 인양기
KR200427302Y1 (ko) 다목적 가로등
KR102240152B1 (ko) 하천의 전기시스템
CN211372214U (zh) 一种带有智能充电桩的智慧路灯
CN109747457A (zh) 一种用于新能源动力车的防雨自动清洗的充电装置
CN205811894U (zh) 一种家用防雨型光伏电站
CN210010221U (zh) 一种安防监控装置清洁系统
CN213521762U (zh) 一种光伏发电板安装架
CN213234411U (zh) 洁净能源集装箱房屋
KR20220138769A (ko)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융복합 발전시스템 및 수소 발전시스템
KR20210008115A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다기능 구조체
KR20220105267A (ko)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 다기능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