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128A -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128A
KR20220014128A KR1020200093815A KR20200093815A KR20220014128A KR 20220014128 A KR20220014128 A KR 20220014128A KR 1020200093815 A KR1020200093815 A KR 1020200093815A KR 20200093815 A KR20200093815 A KR 20200093815A KR 20220014128 A KR20220014128 A KR 2022001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ube
fixed
coordinato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운
권대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128A/ko
Publication of KR2022001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정관으로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의 양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이 상기 조정관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량인 절단량에 대한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절단량 산출 장치; 및 상기 고정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정관에 상응하는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각각 생성하고, 각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조정관이 촬영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정관 영상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 증강 현실 기법으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justable pipe cutting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건조 과정은 블록이란 구성 단위로 계획되고 제작 및 탑재되어 선박이 건조된다. 즉, 선박은 소블록이 중블록 및 대블록으로 조립되어 도크에서 탑재되어 건조된다.
이런 과정으로 선박이 건조되기 때문에, 내부 배관 역시 블록 단위로 의장 및 탑재되고, 최종 건수시에는 모든 기관이 정상 작동할 수 있는 배관 라인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형 블록을 세부 블록화하여 건조하기 때문에 블록 및 탑재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될 수 있고, 배관 라인 역시 제작 및/또는 설치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배관 라인의 설치 상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모든 배관 라인의 위치를 이동하여 재설치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작업 모순을 없애고 설치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짧은 길이의 배관 피스인 조정관(adjustable pipe)을 제작하여 고정관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배관 라인의 재작업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구조물 블록간의 설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관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작된 조정관에도 오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치수의 여유를 가지도록 조정관을 제작한 후, 설치 현장에서 불필요한 치수만큼 조정관을 절단한 후 각 고정관의 단부에 조정관을 용접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 현장에서 양측 고정관의 정렬 상태, 단부면 형상과 치수에 정확하게 조정관의 양 단부를 절단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작업이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계측 및 조정 작업이 반복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0-0009432호
본 발명은 조정관이 연결될 양측 고정관의 정렬 상태, 단부면 형상과 각 부분의 수치가 정확하게 해석되고, 이에 기반하여 조정관 양 단부의 절단 형상과 절단량에 대한 정보가 증강 현실 기법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조정관 현장 가공시의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단시간 내에 조정관 가공을 완료할 수 있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정관으로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의 양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이 상기 조정관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량인 절단량에 대한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절단량 산출 장치; 및 상기 고정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정관에 상응하는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각각 생성하고, 각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조정관이 촬영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정관 영상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 증강 현실 기법으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는 일대일 매칭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하도록 다수개의 타겟들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조정관 영상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각의 타겟이 상기 절단량의 길이만큼 이동한 위치를 서로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의 끝단이 일치되는 형태로 상기 중첩하여 표시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절단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 영상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각의 타겟에 상응하는 절단량에 관한 정보를 가상의 정보 그래픽으로 생성하여 해당 타겟의 위치에 대응시켜 중첩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절단량 산출 장치는, 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과 상기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위치 좌표를 입력받아 상기 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입력부; 및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조정관의 각 타겟에 대응되는 상기 절단량을 산출하여 상기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 정보에는 각 고정관의 단부면 형상과 이격된 고정관 사이의 정렬 형태와 이격 거리가 인식될 수 있도록, 각 고정관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들 각각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타겟들 상호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와, 서로 다른 고정관에 부착된 타겟들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이격된 고정관 사이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와, 각 고정관에 부착된 타겟들 각각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조정관 정보에는 조정관의 양측 단부면 형상과 조정관의 양측 단부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해석될 수 있도록, 조정관의 양측 단부 영역 각각에 다수개로 부착된 타겟들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각 타겟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와, 각 고정관에 부착된 타겟들 각각의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절단량 산출 장치가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절단량 산출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정관으로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의 양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이 상기 조정관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량인 절단량에 대한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절단량 산출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정관 정보, 상기 조정관 정보 및 상기 절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정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정관에 상응하는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각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조정관을 촬영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조정관 영상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 증강 현실 기법으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는 일대일 매칭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하도록 다수개의 타겟들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조정관 영상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각의 타겟이 상기 절단량의 길이만큼 이동한 위치를 서로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의 끝단이 일치되는 형태가 되도록, 조정관과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관이 연결될 양측 고정관의 정렬 상태, 단부면 형상과 각 부분의 수치가 정확하게 해석되고, 이에 기반하여 조정관 양 단부의 절단 형상과 절단량에 대한 정보가 증강 현실 기법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조정관 현장 가공시의 오차 발생을 방지하고, 단시간 내에 조정관 가공을 완료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형합관을 통한 조정관 제작 및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리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법의 절단량 정보 표시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형합관을 통한 조정관 제작 및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에 대해 조정관(120)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단부면에 플랜지를 각각 설치하고(도 1의 (a)와 (b) 참조), 미리 제작된 조정관(120)의 양 단부를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단부면 형상에 부합하도록 절단 및 사상한 후, 조정관(120)의 각 단부를 대응되는 제1 또는 제2 고정관(110a, 110b)에 설치된 플랜지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도 1의 (c)와 (d) 참조).
예시된 바와 같이, 조정관(120)은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에 플랜지를 개재시켜 용접 고정될 수도 있으나, 플랜지를 제외하고 양측 고정관(110a, 110b)에 직접 용접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설치 현장에서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설치 상태(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정렬 상태, 각 고정관의 단부면 형상과 각 부분의 수치 등)에 부합하도록 조정관(120)의 각 단부를 절단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작업이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계측 및 조정 작업이 반복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 리스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법의 절단량 정보 표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절단량 산출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량 산출 장치(200)는 입력부(202), 분석부(204), 제어부(206) 및 장치 통신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2)는 계측기(230)에 의해 생성된 타겟(130)의 좌표 정보를 입력받아 장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한다.
계측기(230)는 현장에 이미 설치된 각 고정관(110a, 110b, 구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110으로 통칭함)의 단부 영역과, 이격 설치된 고정관(110)을 연결하기 위한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13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고정관(110)의 단부에 플랜지가 부착되어 조정관(120)과 연결될지라도, 고정관의 단부 영역이라는 용어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타겟(130)은 고정관(110)과 조정관(120)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서 1:1 매칭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하도록 각각 다수개씩 부착된다. 타겟(130)은 고정관(110)의 단부면에 해당하는 위치 또는 단부면에서 미리 지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130)을 기준하여 해당 타겟(130)의 위치에서 어느 길이만큼 조정관(120)이 절단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절단량이 산출되며, 타겟들 각각에 대응되는 절단량에 의해 결정된 절단 라인으로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이 절단되었을 때,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은 조정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개의 타겟(130)들 각각은 후술될 증강 처리를 위해 다른 타겟들과 식별가능하도록 유니크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타겟(130)은 금속 재질인 고정관(110) 또는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에 자력(磁力)으로 부착되도록 자석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타겟(130)을 계측하여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계측기(230)는 예를 들어 광파기(광파 거리 측정기, Light Wave Rangefinder), 3D 스캐너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측기(230)가 3D 스캐너인 경우, 입력부(202)는 고정관(110) 및 조정관(120)에 대한 점군 데이터(point cloud data)인 3D 스캔 데이터를 입력받아, 3D 스캔 데이터에서 미리 규정된 형상의 타겟(130)을 인식하며, 인식된 타겟(130)의 특정점(예를 들어, 중심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해당 타겟(130)의 좌표 정보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점군 데이터인 3D 스캔 데이터에서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특정 포인트를 찾아 해당 포인트의 좌표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부(204)는 각 고정관(110) 및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고정관(110)에 대한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120)에 대한 조정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를 기준한 절단량을 산출할 수 있다.
고정관 정보는 예를 들어, 각 고정관(110)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예를 들어, 각 고정관(110)의 단부면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관 정보는 이격하여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에 대해, 제1 고정관(110a)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130)들과 제2 고정관(110a)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130)들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정렬 형태와 이격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정관 정보는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 영역 각각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예를 들어,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면 형상과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에는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분석부(204)는 고정관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관(120)의 각 타겟(130)에 기초한 절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관(110)과 조정관(120)에 각각 대응되도록 부착된 타겟(130)에 대해,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단부 영역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에 대해 해석된 정보와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에 대해 해석된 정보를 비교하면, 조정관(120)에 부착된 각 타겟(130)가 조정관(120)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여야 하는지가 계산될 수 있고, 계산된 이동량이 조정관(120)의 각 타겟(130)를 기준한 절단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각 타겟(130)를 기준하여 산출된 절단량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조정관(120)에 대한 절단 리스트로 생성되어 장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절단 리스트는 예를 들어 호선, 블록, 부재명, 고정관 식별정보(ID), 조정관 식별정보(ID), 고정관의 설치 위치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2)는 입력부(202), 분석부(204), 장치 통신부(208)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208)는 통신망을 통해 작업 현장에 위치된 사용자 단말(220)과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220)로 절단 작업될 조정관(120)에 대한 절단 리스트와, 고정관(110) 및 조정관(120)에 관한 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은 단말 통신부(222), 카메라부(224), 터치 스트린부(226) 및 AR 수행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렛피씨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일 수 있다.
단말 통신부(222)은 사용자 단말(220)에서 수행되는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통신부(222)는 통신망을 통해 절단량 산출 장치(200)에 접속되어, 절단 작업될 조정관(120)에 대한 절단 리스트와, 고정관(110) 및 조정관(120)에 관한 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22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시간 영상 정보 또는 정지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증강 현실 기법으로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가상의 그래픽으로 처리된 각 타겟(130)별 절단량 정보가 표시(도 4 참조)되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부(224)는 현장에 배치된 조정관(120)에 대해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조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현장에 배치된 조정관(120)은 양측 단부에 앞서 계측기(230)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한 상태에서의 타겟(130)들이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터치 스크린부(226)는 사용자 단말(2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사용자 단말의 동작 상황을 표시(예를 들어,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 어플리케이션 차단 메시지 등)하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AR 수행부(228)는 카메라부(224)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영상 정보에서 조정관(120)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각의 타겟(130)을 인식하고, 각 타겟(130)에 상응하도록 절단 리스트에 포함된 절단량 정보가 대응되는 타겟(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정보 그래픽(410)으로 처리되어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실시간 영상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단량 정보는 조정관(120)의 중심 방향을 향하는 화살표와 절단량을 나타내는 숫자를 포함하는 가상의 정보 그래픽(410)으로 처리되어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조정관(120) 영상과 중첩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R 수행부(228)는 고정관 정보에 포함된 각 고정관(110)의 단부면 형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420a, 420b)을 각각 생성하고,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에 포함된 대응되는 각각의 타겟(130)의 위치 좌표를 기준하여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420a, 420b)이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조정관(120) 영상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표시되는 조정관(120) 영상,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420a, 420b) 및 가상의 정보 그래픽(410)을 참조하여, 현장 작업자는 조정관(120)의 표면에 절단 라인을 마킹할 수 있고, 마킹된 절단 라인에 따라 조정관(120)을 절단함으로써 조정관 가공 작업을 쉽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절단량 산출 장치(200)는 고정관(110) 및 조정관(120) 각각에 부착된 다수개의 타겟(130)들 각각에 대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관 정보 및 조정관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관 정보는 예를 들어 고정관 식별정보(ID), 조정관 식별정보(ID), 고정관의 설치 위치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고정관(110)과 조정관(120)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서 1:1 매칭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하도록 각각 다수개씩 부착되며,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는 계측기(23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고정관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각 고정관(110)의 단부면 형상과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정렬 형태와 이격 거리가 해석될 수 있도록, 각 고정관(110)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 제1 고정관(110a)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130)들과 제2 고정관(110a)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130)들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조정관 정보에는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면 형상과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해석될 수 있도록, 조정관(120)의 양측 단부 영역 각각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에 부착된 각 타겟(130)의 좌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520에서, 절단량 산출 장치(200)는 고정관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관(120)의 각 타겟(130)에 기초한 절단량을 산출한다.
고정관(110)과 조정관(120)에 각각 대응되도록 부착된 타겟(130)에 대해, 제1 및 제2 고정관(110a, 110b)의 단부 영역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에 대해 해석된 정보와 조정관(120)의 단부 영역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 타겟(130)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에 대해 해석된 정보를 비교하면, 조정관(120)에 부착된 각 타겟(130)가 조정관(120)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여야 하는지가 계산될 수 있고, 계산된 이동량이 조정관(120)의 각 타겟(130)를 기준한 절단량으로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530에서, 절단량 산출 장치(200)는 조정관(120)에 부착된 각 타겟(130)에 대해 산출된 절단량에 관한 절단 리스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절단 리스트는 예를 들어 고정관 식별정보(ID), 조정관 식별정보(ID), 고정관의 설치 위치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조정관의 가공 작업을 위해 절단량 산출 장치(200)로부터 특정의 고정관(110) 및 조정관(120)에 대한 관 정보와 절단 리스트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관 정보 등은 현장 작업자가 사용자 단말(220)을 이용하여 요청한 것일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절단될 조정관(120)에 대한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실시간 영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20)의 카메라부(224)는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사용자 단말(220)은 실시간 영상 정보의 조정관(120)에 다수개로 부착된 각각의 타겟(130)을 인식하고, 각 타겟(130)에 상응하도록 절단 리스트에 포함된 절단량 정보가 대응되는 타겟(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정보 그래픽(410)으로 처리되어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조정관(120) 영상과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고정관 정보에 포함된 각 고정관(110)의 단부면 형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420a, 420b)을 각각 생성하고,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에 포함된 대응되는 각각의 타겟(130)의 위치 좌표를 기준하여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420a, 420b)이 터치 스크린부(226)를 통해 조정관(120) 영상과 더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 등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110a, 110b : 고정관 120 : 조정관
130 : 타겟 200 : 절단량 산출 장치
202 : 입력부 204 : 분석부
206 : 제어부 208 : 장치 통신부
220 : 사용자 단말 222 : 단말 통신부
224 : 카메라부 226 : 터치 스크린부
228 : AR 수행부 410 : 정보 그래픽
420a, 420b : 고정관 그래픽

Claims (4)

  1.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정관으로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의 양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이 상기 조정관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량인 절단량에 대한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절단량 산출 장치; 및
    상기 고정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정관에 상응하는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각각 생성하고, 각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조정관이 촬영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조정관 영상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 증강 현실 기법으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는 일대일 매칭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하도록 다수개의 타겟들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조정관 영상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각의 타겟이 상기 절단량의 길이만큼 이동한 위치를 서로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의 끝단이 일치되는 형태로 상기 중첩하여 표시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절단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 영상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각의 타겟에 상응하는 절단량에 관한 정보를 가상의 정보 그래픽으로 생성하여 해당 타겟의 위치에 대응시켜 중첩 표시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량 산출 장치는,
    계측기에 의해 계측된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과 상기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위치 좌표를 입력받아 상기 좌표 정보를 저장하는 입력부; 및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조정관의 각 타겟에 대응되는 상기 절단량을 산출하여 상기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관 정보에는 각 고정관의 단부면 형상과 이격된 고정관 사이의 정렬 형태와 이격 거리가 인식될 수 있도록, 각 고정관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타겟들 각각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타겟들 상호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와, 서로 다른 고정관에 부착된 타겟들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이격된 고정관 사이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와, 각 고정관에 부착된 타겟들 각각의 좌표 정보가 포함되고,
    조정관 정보에는 조정관의 양측 단부면 형상과 조정관의 양측 단부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해석될 수 있도록, 조정관의 양측 단부 영역 각각에 다수개로 부착된 타겟들의 좌표 정보를 참조하여 각 타겟간의 상대적 거리와 방향을 해석한 정보와, 각 고정관에 부착된 타겟들 각각의 좌표 정보가 포함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4.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절단량 산출 장치가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에 다수개로 각각 부착된 타겟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관 정보와 조정관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절단량 산출 장치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정관으로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관 정보와 상기 조정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관의 양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 타겟이 상기 조정관의 몸체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이동량인 절단량에 대한 절단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절단량 산출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정관 정보, 상기 조정관 정보 및 상기 절단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정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고정관에 상응하는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각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실시간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조정관을 촬영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조정관 영상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 증강 현실 기법으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고정관과 조정관의 대응되는 단부 영역에는 일대일 매칭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특정하도록 다수개의 타겟들이 각각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조정관 영상의 단부 영역에 부착된 각각의 타겟이 상기 절단량의 길이만큼 이동한 위치를 서로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의 끝단이 일치되는 형태가 되도록, 조정관과 가상의 고정관 그래픽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093815A 2020-07-28 2020-07-28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4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15A KR20220014128A (ko) 2020-07-28 2020-07-28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15A KR20220014128A (ko) 2020-07-28 2020-07-28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28A true KR20220014128A (ko) 2022-02-04

Family

ID=8026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15A KR20220014128A (ko) 2020-07-28 2020-07-28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41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68B1 (ko) 2023-09-19 2023-11-03 주식회사 이안 증강 현실 기반의 배관 용접 포인트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32A (ko) 1998-07-24 2000-02-15 추호석 형상측정법을 이용한 곡관형 조정관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32A (ko) 1998-07-24 2000-02-15 추호석 형상측정법을 이용한 곡관형 조정관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68B1 (ko) 2023-09-19 2023-11-03 주식회사 이안 증강 현실 기반의 배관 용접 포인트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9931B2 (en) Three-dimensional (3-D) coordinate measuring method, 3-D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nd large-structure building method
US66621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user-selectable arbitrary coordinate frame
JP5337805B2 (ja) 局所的位置決定システムとその方法
US108889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verifying one or more safety volumes for a movable mechanical unit
CN108227929B (zh) 基于bim技术的增强现实放样系统及实现方法
JP2020140696A (ja) 掘削機のバケットの位置姿勢を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20086931A (ko) 몸짓 기반 입력 및 타겟 지시용 단일 카메라 시스템
US108243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installation of elements in a construction work
JP2003270719A (ja) 投影方法、投影装置、作業支援方法及び作業支援システム
US11727624B2 (en) Construction visu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1118476A1 (ja) 3次元距離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9503711A (ja) 第2の対象物に対する第1対象物の相対位置を決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対応する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JP2007147522A (ja) 写真計測方法及び写真計測プログラム
JP2017151585A (ja) 管路管理システム及び表示端末
US20060290786A1 (en) Remote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9185253A (ja) 埋設対象物認識方法
KR20220014128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조정관 절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37434B1 (ko) 측량기를 이용한 3차원 건축실물모델링 방법
JPH08254409A (ja) 三次元形状計測解析法
US202201870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projector in a construction site
CN110081861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激光快速测绘系统及测绘方法
JP2020135764A (ja) 立体物のモデリング方法、立体物のモデリング装置、サーバ、3次元モデル作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261411A1 (ja) ロボット教示方法及びロボット作業方法
JPH11183171A (ja) 曲げ管の切断位置設定方法
KR20220020068A (ko) 이미지 인식에 의한 타겟 계측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