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858A -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858A
KR20220013858A KR1020200093399A KR20200093399A KR20220013858A KR 20220013858 A KR20220013858 A KR 20220013858A KR 1020200093399 A KR1020200093399 A KR 1020200093399A KR 20200093399 A KR20200093399 A KR 20200093399A KR 20220013858 A KR20220013858 A KR 20220013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ehicle
display
display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이승환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858A/ko
Priority to US17/381,555 priority patent/US12090847B2/en
Publication of KR20220013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K2370/152
    • B60K2370/52
    • B60K2370/7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고,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 형태의 발전에 따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디스플레이, 윈드쉴드, 윈도우까지 전 영역에 걸쳐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화면 및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 설정과 관련하여, 탑승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내 적용 부품의 위치 정보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고,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는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로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변화 시,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킨다.
프로세서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설정된 제한선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을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차량의 동승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승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전달 받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세서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서는 차량 내 기기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위치가 이동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프로세서는 시선 거리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a) 차량 내 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b)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기기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는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차량 내 기기의 위치로 인식한다.
(c) 단계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확장시킨다.
(c) 단계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설정된 제한선을 기준으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확장을 제어한다.
(c) 단계는 차량 내 기기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그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c) 단계는 시선 거리를 고려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확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또는 스티어링 휠의 차량 내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운전자와 동승자에 대해 각각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주행 상황에 따라 운전자에게 우선 제공되어야 할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변화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사물 위치 판단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의 휴대단말기 추가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상하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BV 내부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UB에서의 실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휴대단말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10)와,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20) 및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는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고,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부(110)는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로 수신한다.
프로세서(130)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변화 시,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킨다.
프로세서(130)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설정된 제한선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동승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승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전달 받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세서(130)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서(130)는 차량 내 기기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위치가 이동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프로세서(130)는 시선 거리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변화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W)에 휴대단말기(D)가 거치되고, 전방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으로 구획된다.
예컨대, 도 2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내 기능 정보(예: 공조기 기능)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내 기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운전 제어권을 운전석에 탑승한 사용자로부터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로 이양함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내 기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차량 내 좌석이 벤치형 시트인 경우, 착좌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확보되며, 스티어 바이 와이어 방식의 경우 스티어링 휠 위치에 대한 자유도가 확보된다.
또한, 조수석 위치로 이동되기 전, 스티어링 휠(W)에 운전석에 탑승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떼어 내고, 스티어링 휠(W)이 조수석 위치로 이동된 후, 스티어링 휠(W)에 조수석에 탑승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가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사물 위치 판단을 도시한다.
카메라/센서(S)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룸미러 부근에 배치되거나, 도 3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 영역에 배치되어 차량 내 사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센서(S)는 휴대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인식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정보 확인에 있어 UWB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드형 센서 또는 스위치(S)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동 주행 상황에서, 휴대단말기의 거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출되는 정보의 내용 및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가 자동적으로 변화된다.
이 때, 각 정보 표출에 대한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H)가 운전석 부근의 스티어링 휠에 부착된 경우, 제1 영역(A1)에는 클러스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A2)에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3 영역(A3)에는 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휴대단말기(H)가 좌에서 우로 그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제1 영역(A1)은 휴대단말기(H)의 위치 정보에 따라 확장된다.
이 때, 제1 영역(A1)의 확장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가상의 중심선까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가상의 중심선을 넘어 클러스터 정보(운전 관련 정보)가 표시될 경우,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에 위치한 휴대단말기(H)가 우에서 좌로 이동됨에 따라, 클러스터 영역이 확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의 휴대단말기 추가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동승자의 휴대단말기(H2)가 추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중 동승자 측 영역(제3 영역, A3)에는 동승자의 휴대단말기(H2)와 연동된 스마트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동승자 측 영역(A3)에는 미디어 조작 화면 및 스마트폰 컨텐츠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출된다.
운전자의 휴대단말기(H1) 및 동승자의 휴대단말기(H2)의 위치에 따라, 각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좌에서 우로, 또한 우에서 좌로 확장될 수 있는데, 이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 확장이 제한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상하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H)의 위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A1, A2, A3)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하 방향(z축) 휴대단말기 위치 이동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영역(A1, A2, A3)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된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에서 전/후/좌/우 이동되는 휴대단말기(H)의 위치 변화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영역(A1, A2, A3)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 제1 위치의 휴대단말기(H)의 위치에 따라, 윈드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 중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에서 제2 위치로 휴대단말기(H)의 위치가 전방 이동됨에 따라, 영상 영역(A1)은 상부로 이동되고, 이동된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테이블(T) 위 제1 위치의 휴대단말기(H)의 위치에 따라, 윈드쉴드 또는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 중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릴렉스를 위한 착좌 자세 변화(후방 리클라이닝 및 시트 후방 이동)에 의해, 테이블(T) 위에서 제2 위치로 휴대단말기(H)의 위치가 후방 이동됨에 따라, 영상 영역(A1)은 상부로 이동되고, 이동된 영상 영역(A1)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는 리클라이닝 시 테이블 및 테이블 위의 휴대단말기로부터 핸드 리치가 멀어짐과, 사용자의 시야가 상방으로 올라감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제어의 실시예이며, 사용자의 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영상 영역(A1)은 상부로 이동되면서 그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BV(Purpose Built Vehicle) 내부 디스플레이의 좌우 영역 이동 및 확장을 도시한다.
PBV, 미래형 차량 형태의 내부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의 위치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PBV 내 2명의 탑승자가 탑승한 상황임을 가정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탑승자의 휴대단말기(H1)와 연동되어, 내부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에 제1 탑승자의 개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제1 탑승자는 휴대단말기(H1)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부 디스플레이 중 개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9의 (d)를 참조하면, 제2 탑승자는 자신의 휴대단말기(H2)를 이용하여 PBV 내부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을 자신의 개인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에서 제1 탑승자의 휴대단말기(H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 탑승자의 개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H1)의 위치 정보 변화에 따라 개인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가 변경됨에 따른 것이다.
예컨대, 제1 탑승자가 리클라이닝 기능을 통해 제1 탑승자의 좌석을 뒤로 젖힘에 따라, 제1 탑승자의 좌석에 배치된 테이블까지의 핸드 리치가 멀어지고, 제1 탑승자의 휴대단말기(H1)가 테이블 위에서 후방 이동됨에 따라, 제1 탑승자의 개인 컨텐츠 영역은 상부로 이동하며, 그 사이즈가 커지게 되며, 사이즈의 변동은 제1 탑승자의 안구로부터 내부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UB에서의 실내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UAM, PVB의 연동을 위한 거점이 되는 HUB의 내부에 실내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각 고객은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거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내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개인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 (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 이동에 따라, 개인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동 및 확장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W)에는 휴대단말기(D)가 거치되고, 전방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으로 구획된다.
예컨대, 도 12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미디어/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3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W)에는 휴대단말기(D)가 거치되고, 전방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제3 영역(A3)으로 구획된다.
예컨대, 도 13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스티어링 휠(W)에서 떼어져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3의 (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2 영역(A2)이 내비게이션 정보 표출 영역으로 고정된 경우, 휴대단말기(D)가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출함을 유지하고, 제3 영역(A3)에 미디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4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은 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A1)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상황에서의 휴대단말기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 위치 변화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사용 컨텐츠 미러링이 수행된다.
도 15의 (a)에서 스티어링 휠(W) 및 휴대단말기(D)가 운전석 쪽에 위치함에 따라, 전방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1 영역(A1)은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A2)은 내비게이션 정보 및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스티어링 휠(W)에서 떼어져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2 영역(A2)은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영역은 차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제3 영역(A3)은 내비게이션 정보 및 클러스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D)가 조수석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영역(A3)에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영역(A1)에는 차량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제2 영역(A2)에는 내비게이션 정보 및 클러스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승자 휴대단말기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를 도시한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가 추가됨에 따라, 제3 영역(A3)에는 동승자의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가 조수석 측에서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영역(A2)에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휴대단말기(D1)가 운전석 측에서 센터페시아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영역(A1)에는 클러스터 정보만이 표시되던 것에서 클러스터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되고, 제2 영역(A2)에 운전자의 휴대단말기(D1)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며, 제3 영역(A3)에는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2 영역(A2)에 대해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출되는 것으로 고정된 경우, 운전자의 휴대단말기(D1)의 위치 이동에도 제2 영역(A2)에는 내비게이션 정보가 계속 표출되고, 제3 영역(A3)은 동승자의 휴대단말기(D2)와 연동된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차량 내 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1810)와,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따라 차량 내 기기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820) 및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S1830)를 포함한다.
S1810 단계는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차량 내 기기의 위치로 인식한다.
S1830 단계는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확장시킨다.
S1830 단계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설정된 제한선을 기준으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확장을 제어한다.
S1830 단계는 차량 내 기기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그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S1830 단계는 시선 거리를 고려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확장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사용자 입력 장치와, 데이터 통신 버스와, 사용자 출력 장치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 및/또는 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소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표출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정보로 수신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 변화 시,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설정된 제한선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을 제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동승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동승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로부터 컨텐츠를 전달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내 기기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시선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9. (a) 차량 내 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 내 기기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스티어링 휠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로 인식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 기설정된 제한선을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확장을 제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변경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량 내 기기가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그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시선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
    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200093399A 2020-07-22 2020-07-27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13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99A KR20220013858A (ko) 2020-07-27 2020-07-27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7/381,555 US12090847B2 (en) 2020-07-22 2021-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99A KR20220013858A (ko) 2020-07-27 2020-07-27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858A true KR20220013858A (ko) 2022-02-04

Family

ID=8026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99A KR20220013858A (ko) 2020-07-22 2020-07-27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3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9842B (zh) 用于在车辆中自动改变座椅位置的调整装置
US11648854B1 (en) Autonomous vehicle adapted for sleeping or resting in a reclined posture
US9073574B2 (en)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interior
CN106476660B (zh) 增强驾驶员可见度的座位调整
US20140343796A1 (en) Detect Driver Persona in a Vehicle
CN108928281B (zh) 具有显示装置的车辆座椅
US11084408B2 (en) Dedicated massage function button for vehicle
CN109507799A (zh) 车载hud显示方法和系统
US7430467B2 (en) Regulating method for a motor vehicle seat
CN109624894A (zh) 一种模式控制方法、装置、设备及汽车
US20210048884A1 (en) Display Method
US120908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11554670B2 (en) Display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display for a dashboard of a vehicle
JP6669017B2 (ja) 車両用操作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13858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1248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096356A1 (en) Method for a user/vehicle interface, and user/vehicle interface
WO2021104617A1 (en)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display units in a vehicle
CN116101021A (zh) 车辆控制方法、车机、主控器及存储介质
CN220363321U (zh) 一种车载自学习座舱和车辆
CN111114439A (zh) 一种汽车后视镜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20220136029A (ko) 차량 스티어링 휠의 위치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6872728A (zh) 一种车载hud抬头显示器个性化功能调节方法
CN114932875A (zh) 针对智能座舱实现多用户识别的系统、方法、装置、处理器及其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681820A (zh) 行驶设备控制方法及装置、行驶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