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624A - 전자 흡연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흡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624A
KR20220012624A KR1020200091626A KR20200091626A KR20220012624A KR 20220012624 A KR20220012624 A KR 20220012624A KR 1020200091626 A KR1020200091626 A KR 1020200091626A KR 20200091626 A KR20200091626 A KR 20200091626A KR 20220012624 A KR20220012624 A KR 2022001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device
cigarette
capacitor
insertion hol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025B1 (ko
Inventor
장성욱
김진완
장희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리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리버
Priority to KR102020009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 H03K3/5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the switching device being a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내부에 구속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외부에 노출되는 기둥 형상의 히팅 프로브(heating probe)를 가지는 하부 흡연 기구; 및 하부 흡연 기기 상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을 통해 히팅 프로브를 둘러싸고 히팅 프로브 주변에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패시터(capacitor)를 가지는 상부 흡연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흡연 기기{ELECTRONIC SMOKING TOOL}
본 발명은, 재충전 밧데리의 방전 전(前), 인쇄회로기판에 재충전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담배 삽입홀에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 상태를 감지하는 전자 흡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장치는, 니코틴을 함유하는 액상형 전자 담배의 액상물을 끓여 사용자에게 액상형 전자 담배로부터 발생된 수증기의 흡입을 유도시키거나, 궐련형 전자 담배의 담배잎을 쪄서(또는 가열시켜) 사용자에게 궐련형 전자 담배로부터 발생되는 니코틴을 함유하는 에어로졸(aerosol)의 흡입을 유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 담배는, 일반 담배 대비 덜 해롭다는 인식 확산, 그리고 일반 담배 대비 담배 냄새가 안난다는 장점, 그리고 공공 장소에서 흡연 금지 등을 이유로 인하여 흡연 장소의 감소에 따라, 담배 시장에서 전자 담배장치와 함께 점진적으로 수요를 넓혀 가고 있다. 이후로, 본 발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자 담배장치는 궐련형 전자 담배에 제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 담배장치는 궐련형 전자 담배의 수용 없이도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에서 자주 파지(把持)되는 때 전자 회로의 오동작으로 궐련형 전자 담배에 불을 붙이기 위한 히터 블레이드를 가끔 가열시킨다. 상기 전자 회로의 오동작은 사용자의 바지 또는 손을 손상시킨다.
또한, 상기 전자 담배장치는 궐련형 전자담배의 수용시 궐련형 전자담배를 인식하기 위해 궐련형 전자담배에 광원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광원 조사 하에 궐련형 전자담배의 광학적 이미지를 확보하는 마이크로렌즈와 궐련형 전자담배에 대한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 이미지로 변환하여 궐련형 전자담배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CMOS 또는 CCD 기반 이미지 검출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마이크로렌즈와, CMOS 또는 CCD 기반 이미지 검출기는 전자 담배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전자 담배장치의 제조 원가를 높게 한다. 한편, 상기 전자 담배장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3141호에 종래기술로써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8-0033141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에서 자주 파지(把持)되는 때에도 전자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시키고, 내부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는데 적합한 전자 흡연 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내부에 구속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외부에 노출되는 기둥 형상의 히팅 프로브(heating probe)를 가지는 하부 흡연 기구; 및 상기 하부 흡연 기기 상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히팅 프로브를 둘러싸고 상기 히팅 프로브 주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패시터(capacitor)를 가지는 상부 흡연 기기를 포함하고, 하부 및 상부 흡연 기기는, 타원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되는 때 마다 상기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흡연 기기는, 하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재충전 밧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내부 회로에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클럭 신호 발생기와, 펄스 신호 발생기와, 전류 구동 조절기와, 디지털 신호 발생기와, 클럭수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 사이에서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커패시터에 전기 전하를 공급하거나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전기 전하를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시간에 따라 일정한 피치와 일정한 높이의 클럭(clock) 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에 상기 클럭 신호를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는,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로부터 클럭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클럭 신호의 피치를 일정한 크기로 변경시켜 펄스 신호를 만들고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에 상기 펄스 신호를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는, 풀업 트랜지스터(pull-up transistor)와 풀다운 트랜지스터(pull-down transistor)를 직렬 연결시킨 씨모스 인버터(CMOS in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펄스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으면서,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 전압으로 상기 펄스 신호 중 낮은 전위를 인가받는 때,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상기 입력 전압으로 상기 펄스 신호 중 상기 낮은 전위보다 더 높은 전위를 인가받는 때,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전류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가, 풀업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직렬 연결시킨 씨모스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때,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후,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후,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전위는 상기 제2 전위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는 때, 상기 클럭수 카운터는,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로부터 제1 전위 또는 제2 전위와 함께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로부터 클럭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고, 상기 제1 전위 또는 제2 전위의 유지시간 동안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의 상기 클럭 신호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는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의 상기 제1 전위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카운터의 클럭 신호의 수를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의 상기 제2 전위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카운터의 클럭 신호의 수를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상기 충전 시간 또는 방전 시간을 상기 커패시터의 동일한 정전 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연 기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외관을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상부측에서 타원 평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옮겨진 상기 담배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부 몸체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일측 내측벽을 따라 굴곡지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제2 전극의 만곡 부분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보다 낮은 전위를 유지하며, 상기 상부 흡연 기기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외부를 향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커패시터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을 가지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히팅 프로브를 제2 전극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서, 상기 내측벽의 둘레 전부를 따라 위치되거나 상기 내측벽의 둘레 일부를 따라 위치되어 상기 히팅 프로브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타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타측 내측벽과 마주하면서 제1 전극과 동일한 개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연 기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부 몸체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상부 흡연 기기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외부를 향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커패시터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재충전 밧데리의 방전 전(前),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내부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되는 때 마다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존재 여부를 반복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서 상기 히팅 프로브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양 전극 사이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를 유전체로 가지거나,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로부터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상기 양 전극 사이에 공기(air)를 유전체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연 기기는, 상기 하부 흡연 기기의 상기 하부 몸체에 알림 센서 또는 알림 모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되는 때 마다 상기 커패시터의 상기 정전 용량을 바탕으로,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전기 신호를 상기 알림 센서 또는 알림 모니터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재충전 밧데리와 인쇄회로기판과 커패시터와 함께 커패시터를 둘러싸서 외부 전기적 영향을 막는 차폐막을 구비하고, 커패시터의 양 전극에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입 상태에서 커패시터의 충전시간 또는 방전시간을 커패시터의 제1 정전용량으로 설정하며, 커패시터의 양 전극으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의 분리 상태에서 커패시터의 충전시간 또는 방전시간을 커패시터의 제2 정전용량으로 설정하고,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차이를 통해 상부 흡연 기기에서 담배 삽입홀에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입 또는 담배 삽입홀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의 분리를 감지하므로, 사용자의 바지 주머니에서 빈번하게 파지(把持)되는 때에도 전자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시키고, 내부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흡연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흡연 기기에서 상부 흡연 기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에서 상부 흡연 기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에서 상부 흡연 기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자 흡연 기기의 하부 흡연 기기에서 인쇄회로기판의 내부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전자 흡연 기기의 이용방법을 설명해주는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흡연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전자 흡연 기기에서 상부 흡연 기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전자 흡연 기기의 하부 흡연 기기에서 인쇄회로기판의 내부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130)는, 하부 흡연 기구(50) 및 상부 흡연 기기(120)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볼 때, 상기 하부 흡연 기구(5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내부에 구속되는 인쇄회로기판(10)과 외부에 노출되는 기둥 형상의 히팅 프로브(heating probe; 40)를 갖는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연결부재(20)를 통해 히팅 프로브(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상부 흡연 기기(120)는, 하부 흡연 기기(50) 상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을 통해 히팅 프로브(40)를 둘러싸고 히팅 프로브(40) 주변에서 인쇄회로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패시터(capacitor; 110)를 갖는다. 여기서, 하부 및 상부 흡연 기기(50, 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및 상부 흡연 기기(50, 120)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도 7의 360)의 삽탈되는 때 마다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 흡연 기기(50)는, 하부 몸체(30)의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재충전 밧데리(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의 내부 회로에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9)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클럭 신호 발생기(1)와, 펄스 신호 발생기(3)와, 전류 구동 조절기(5)와, 디지털 신호 발생기(6)와, 클럭수 카운터(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110)는, 전류 구동 조절기(5) 및 디지털 신호 발생기(6) 사이에서 전류 구동 조절기(5) 및 디지털 신호 발생기(6)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5)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커패시터(110)에 전기 전하를 공급하거나 커패시터(110)로부터 전기 전하를 방출시킨다.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1)는, 인쇄회로기판(10)에서 시간에 따라 일정한 피치와 일정한 높이의 클럭(clock) 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펄스 신호 발생기(3)에 클럭 신호를 연속하여 공급한다.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3)는, 클럭 신호 발생기(1)로부터 클럭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클럭 신호의 피치를 일정한 크기로 변경시켜 펄스 신호를 만들고 전류 구동 조절기(5)에 펄스 신호를 연속하여 공급한다.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5)는, 풀업 트랜지스터(pull-up transistor)와 풀다운 트랜지스터(pull-down transistor)를 직렬 연결시킨 씨모스 인버터(CMOS in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5)는, 펄스 신호 발생기(3)로부터 펄스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으면서,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 전압으로 펄스 신호 중 낮은 전위를 인가받는 때, 커패시터(110)의 충전 시간 동안 커패시터(110)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거나,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 전압으로 펄스 신호 중 낮은 전위보다 더 높은 전위를 인가받는 때, 커패시터(110)의 방전 시간 동안 커패시터(110)로부터 전류를 방출한다.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5)가 풀업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직렬 연결시킨 씨모스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때,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6)는, 전류 구동 조절기(5)를 통해 커패시터(110)의 충전 후, 커패시터(110)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전류 구동 조절기(5)를 통해 커패시터(110)의 방전 후, 커패시터(110)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전위는 제2 전위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6)가 커패시터(110)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커패시터(110)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는 때, 상기 클럭수 카운터(7)는, 디지털 신호 발생기(6)로부터 제1 전위 또는 제2 전위와 함께 클럭 신호 발생기(1)로부터 클럭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고, 제1 전위 또는 제2 전위의 유지시간 동안 클럭 신호 발생기(1)의 클럭 신호의 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6)가 커패시터(110)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커패시터(110)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는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디지털 신호 발생기(6)의 제1 전위에 대응되는 클럭 카운터(7)의 클럭 신호의 수를 커패시터(110)의 충전 시간으로 설정하거나 디지털 신호 발생기(6)의 제2 전위에 대응되는 클럭 카운터(7)의 클럭 신호의 수를 커패시터(110)의 방전 시간으로 설정하고, 커패시터(110)의 충전 시간 또는 방전 시간을 커패시터(110)의 동일한 정전 용량으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내부 프로그램에서 아래의 수식들을 바탕으로,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을 프로세싱한다. 즉, 상기 내부 프로그램은, 커패시터(110)에서 전기 전하를 축적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정전 용량(C)과, 커패시터(110)에서 양 전극(90, 110)에 유지되는 소정 전압(V)과, 커패시터(110)의 양 전극(90, 110)에 축적된 전기 전하(Q)를 바탕으로, 아래의 [수학식 1]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내부 프로그램은, [수학식 1]의 양 단을 시간으로 미분하여 아래의 [수학식 2]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상기 내부 프로그램은, [수학식 2]를 정전 용량(C)에 대해 정리하여 아래의 [수학식 3]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3]을 볼 때, 상기 전류 구동 발생기(5)가 커패시터(110)에 일정한 전류(I)를 흘려서 커패시터(110)를 충전시키거나 커패시터(110)로부터 일정한 전류(I)를 흘려서 커패시터(110)를 방전시키므로, 상기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C)은 커패시터의 양 전극(90, 100)에 유지되는 전압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110)에 일정한 전류(I)를 흘려서 커패시터(110)를 충전(또는 방전)시킬 때, 상기 커패시터(110)의 양 전극(90, 100)에 유지되는 전압을 방전 전압(또는 충전 전압)으로부터 충전 전압(또는 방전 전압)에 도달시키는데 소요되는 충전 시간(또는 방전 시간)은,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C)에 비례한다. 상술한 바를 근거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 커패시터(110)의 충전 시간(또는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커패시터(110)의 정전용량(C)을 설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커패시터(110)의 양 전극(90, 100)에 궐련형 전자 담배(도 7의 360)의 삽입 상태에서 커패시터(110)의 충전시간 또는 방전시간을 커패시터(110)의 제1 정전용량으로 설정하며, 커패시터(110)의 양 전극으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분리 상태에서 커패시터(110)의 충전시간 또는 방전시간을 커패시터(110)의 제2 정전용량으로 설정하고, 커패시터(110)의 정전용량 차이를 통해 상부 흡연 기기(120)에서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삽입 또는 담배 삽입홀(60)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C)을 바탕으로,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전기 신호를 하부 흡연 기기(50)의 하부 몸체(30)에 위치되는 알림 센서 또는 알림 모니터(3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흡연 기기(120)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상부측에서 상부 흡연 기기(120)의 외관을 평면적으로 볼 때, 상부 흡연 기기(120)의 상부측에서 타원 평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옮겨진 담배 삽입홀(60)을 갖는다.
상기 커패시터(110)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의 내부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90), 및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부 흡연 기기(120)에서 상부 몸체(70)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2 전극(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90)은 전극 서포터(80)를 통해 상부 흡연 기기(12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상기 제1 전극(9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30)와 상부 몸체(70)와 전극 서포터(8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1 전극(90)은,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일측 내측벽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도록 담배 삽입홀(60)의 일부 외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극(1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30)와 상부 몸체(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1 전극(90)은, 상부 흡연 기기(12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일측 내측벽을 따라 굴곡지고,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제2 전극(100)의 만곡 부분과 마주한다. 상기 제2 전극(100)은, 제1 전극(90)보다 낮은 전위를 유지하며, 상부 흡연 기기(120)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120)의 외부를 향해 제1 전극(90)과 제2 전극(10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부 흡연 기기(120)의 외부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120)의 커패시터(110)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도면에 미도시)로써, 커패시터는, 상부 흡연 기기의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을 가지며, 상부 흡연 기기의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는 히팅 프로브를 제2 전극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부 흡연 기기의 담배 삽입홀에서, 내측벽의 둘레 전부를 따라 위치되거나 내측벽의 둘레 일부를 따라 위치되어 히팅 프로브(40)를 둘러싼다.
여기서, 상기 상부 흡연 기기는, 상부 흡연 기기의 담배 삽입홀 주변에 위치되어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부 몸체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3 전극(도 3의 100 참조요)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전극은, 상부 흡연 기기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의 외부를 향해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부 흡연 기기의 외부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의 커패시터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도, 상기 제1 전극(90)은,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전체 외측벽을 따라 또는 일부 외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에서 상부 흡연 기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흡연 기기(210)가,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흡연 기기(130)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전자 흡연 기기(210)의 커패시터(19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전자 흡연 기기(130)의 커패시터(11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커패시터(190)는, 상부 흡연 기기(200)의 담배 삽입홀(60)의 내부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160), 및 상부 흡연 기기(200)의 담배 삽입홀(60)의 내부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의 타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2 전극(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160) 및 제2 전극(180)은 전극 서포터들(150, 170)를 통해 상부 흡연 기기(12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상기 제1 전극(160) 및 제2 전극(18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도 1 또는 도 2의 30)와 상부 몸체(70)와 전극 서포터들(150, 17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1 전극(160) 및 제2 전극(180)은,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일측 외측벽 및 타측 외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흡연 기기(200)는, 상부 흡연 기기(200)의 담배 삽입홀(60) 주변에 위치되어 상부 흡연 기기(200)에서 상부 몸체(70)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3 전극(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전극(140)은, 상부 흡연 기기(200)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200)의 외부를 향해 제1 전극(160)과 제2 전극(18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부 흡연 기기(200)의 외부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200)의 커패시터(190)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전극(14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30)와 상부 몸체(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3 전극(140)은 인쇄회로 기판(10)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흡연 기기에서 상부 흡연 기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흡연 기기(340)가,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흡연 기기(130)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전자 흡연 기기(340)의 커패시터(3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전자 흡연 기기(130)의 커패시터(110)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커패시터(320)는, 상부 흡연 기기(330)의 담배 삽입홀(60)의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복수의 제1 전극(240, 290), 및 상부 흡연 기기(330)의 담배 삽입홀(60)의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의 타측 내측벽과 마주하면서 제1 전극(240 또는 290)과 동일한 개수의 제2 전극(260 또는 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들(240, 290) 및 제2 전극들(260, 310)은 전극 서포터들(230, 250, 280, 300)을 통해 상부 흡연 기기(33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상기 제1 전극들(240, 290) 및 제2 전극들(260, 31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도 1 또는 도 2의 30)와 상부 몸체(70)와 전극 서포터들(230, 250, 280, 30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1 전극(240 또는 290) 및 제2 전극(260 또는 310)은,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서 담배 삽입홀(60)의 외측벽에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60)의 외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흡연 기기(330)는, 상부 흡연 기기(330)의 담배 삽입홀(60) 주변에 위치되어 상부 흡연 기기(330)에서 상부 몸체(70)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3 전극(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전극(220)은, 상부 흡연 기기(330)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330)의 외부를 향해 제1 전극(240 또는 290)과 제2 전극(260 또는 310)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부 흡연 기기(330)의 외부로부터 상부 흡연 기기(330)의 커패시터(320)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전극(22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부 몸체(30)와 상부 몸체(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제3 전극(220)은 인쇄회로 기판(10)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전자 흡연 기기의 이용방법을 설명해주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흡연 기기(130)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흡연 기기(130)는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하부 흡연 기기(50)와 상부 흡연 기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흡연 기기(50)와 상부 흡연 기기(12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충분히 설명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흡연 기기(12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가 일 방향(D)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360)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재충전 밧데리(도면에 미도시)의 방전 전(前), 인쇄회로기판(10)의 내부 회로를 사용하여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삽탈되는 때 마다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존재 여부를 반복적으로 감지한다.
이 때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상부 흡연 기기(120)에서 커패시터(110)의 충전 시간(또는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을 추정 또는 설정한다. 상기 커패시터(110)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서 히팅 프로브(4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를 끼운 상태에서, 커패시터(110)의 양 전극(90, 100) 사이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를 유전체로 갖는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110)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36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커패시터(110)의 양 전극(90, 100) 사이에 공기(air)를 유전체로 갖는다.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360)가 공기보다 더 큰 유전율을 가지므로, 상기 커패시터(110)는 공기 대비 궐련형 전자 담배(360)에서 전기 구동 발생기의 일정한 전류를 통해 전기 전하를 많이 축적한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110)는 공기 대비 궐련형 전자 담배(360)에서 정전 용량과 충전 시간, 또는 정전 용량과 방전 시간을 크게 갖는다. 도 8은 X 축에 시간과 Y 축에 정전 용량을 대응시킨 그래프이다. 도 8의 그래프에서, 선택 영역(A)은 커패시터(110)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분리 상태에서 커패시터(110)의 제1 정전 용량(C1)을 가지고, 나머지 영역(B)은 커패시터(110)로부터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삽입 상태에서 커패시터(110)의 제2 정전 용량(C2)을 갖는다.
상기 제1 정전 용량(C1)은 제2 정전 용량(C2)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C1 또는 C2)이 마이크로프로세서(9)를 통해 추정 또는 설정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삽탈되는 때 마다 커패시터(110)의 정전 용량(C1 또는 C2)을 바탕으로, 상부 흡연 기기(120)의 담배 삽입홀(60)에 궐련형 전자 담배(360)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전기 신호를 알림 센서 또는 알림 모니터(350)에 전달할 수 있다.
60; 담배 삽입홀, 70; 상부 몸체
80; 전극 지지체, 90; 제1 전극
100; 제2 전극, 110; 커패시터
120; 상부 흡연 기기

Claims (20)

  1.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내부에 구속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외부에 노출되는 기둥 형상의 히팅 프로브(heating probe)를 가지는 하부 흡연 기구; 및
    상기 하부 흡연 기기 상에 위치되어 담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히팅 프로브를 둘러싸고 상기 히팅 프로브 주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패시터(capacitor)를 가지는 상부 흡연 기기를 포함하고,
    하부 및 상부 흡연 기기는,
    타원 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되는 때 마다 상기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설정하는 전자 흡연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흡연 기기는,
    하부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재충전 밧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내부 회로에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클럭 신호 발생기와, 펄스 신호 발생기와, 전류 구동 조절기와, 디지털 신호 발생기와, 클럭수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 사이에서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 및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커패시터에 전기 전하를 공급하거나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전기 전하를 방출시키는 전자 흡연 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시간에 따라 일정한 피치와 일정한 높이의 클럭(clock) 신호를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에 상기 클럭 신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전자 흡연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는,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로부터 클럭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클럭 신호의 피치를 일정한 크기로 변경시켜 펄스 신호를 만들고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에 상기 펄스 신호를 연속하여 공급하는 전자 흡연 기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는,
    풀업 트랜지스터(pull-up transistor)와 풀다운 트랜지스터(pull-down transistor)를 직렬 연결시킨 씨모스 인버터(CMOS in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펄스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으면서,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 전압으로 상기 펄스 신호 중 낮은 전위를 인가받는 때,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에 상기 입력 전압으로 상기 펄스 신호 중 상기 낮은 전위보다 더 높은 전위를 인가받는 때,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전류를 방출하는 전자 흡연 기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가,
    풀업 트랜지스터와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직렬 연결시킨 씨모스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때,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후,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상기 전류 구동 조절기를 통해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후,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전위는 상기 제2 전위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전자 흡연 기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는 때,
    상기 클럭수 카운터는,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로부터 제1 전위 또는 제2 전위와 함께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로부터 클럭 신호를 연속적으로 공급받고,
    상기 제1 전위 또는 제2 전위의 유지시간 동안 상기 클럭 신호 발생기의 상기 클럭 신호의 수를 카운트하는 전자 흡연 기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가,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1 전위로 출력하거나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전압을 시간에 따라 일정한 레벨의 제2 전위로 출력하는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의 상기 제1 전위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카운터의 클럭 신호의 수를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디지털 신호 발생기의 상기 제2 전위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카운터의 클럭 신호의 수를 상기 커패시터의 방전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상기 충전 시간 또는 방전 시간을 상기 커패시터의 동일한 정전 용량으로 설정하는 전자 흡연 기기.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흡연 기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외관을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상부측에서 타원 평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옮겨진 상기 담배 삽입홀을 가지는 전자 흡연 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부 몸체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흡연 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일측 내측벽을 따라 굴곡지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제2 전극의 만곡 부분과 마주하는 전자 흡연 기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보다 낮은 전위를 유지하며,
    상기 상부 흡연 기기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외부를 향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커패시터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 역할을 하는 전자 흡연 기기.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을 가지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히팅 프로브를 제2 전극으로 가지는 전자 흡연 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서, 상기 내측벽의 둘레 전부를 따라 위치되거나 상기 내측벽의 둘레 일부를 따라 위치되어 상기 히팅 프로브를 둘러싸는 전자 흡연 기기.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타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흡연 기기.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일측 내측벽과 마주하는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의 상기 내부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상기 담배 삽입홀의 타측 내측벽과 마주하면서 제1 전극과 동일한 개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흡연 기기.
  17. 제13 항 또는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흡연 기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흡연 기기에서 상부 몸체의 외측벽을 둘러싸는 제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상부 흡연 기기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외부를 향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파의 방출을 막아주고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커패시터를 향해 주는 전기적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폐막의 역할을 하는 전자 흡연 기기.
  1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재충전 밧데리의 방전 전(前),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내부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되는 때 마다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존재 여부를 반복적으로 감지하는 전자 흡연 기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서 상기 히팅 프로브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양 전극 사이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를 유전체로 가지거나,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로부터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패시터의 상기 양 전극 사이에 공기(air)를 유전체로 가지는 전자 흡연 기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흡연 기기는,
    상기 하부 흡연 기기의 상기 하부 몸체에 알림 센서 또는 알림 모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삽탈되는 때 마다 상기 커패시터의 상기 정전 용량을 바탕으로, 상기 상부 흡연 기기의 상기 담배 삽입홀에 상기 궐련형 전자 담배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전기 신호를 상기 알림 센서 또는 알림 모니터에 전달하는 전자 흡연 기기.

KR1020200091626A 2020-07-23 2020-07-23 전자 흡연 기기 KR10240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626A KR102408025B1 (ko) 2020-07-23 2020-07-23 전자 흡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626A KR102408025B1 (ko) 2020-07-23 2020-07-23 전자 흡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624A true KR20220012624A (ko) 2022-02-04
KR102408025B1 KR102408025B1 (ko) 2022-06-13

Family

ID=8026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626A KR102408025B1 (ko) 2020-07-23 2020-07-23 전자 흡연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625A (ko) * 1995-08-23 1997-03-29 김광호 언밸런스드 클럭을 사용한 센서리스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의 스타트-업 회로
KR20180033141A (ko) 2015-08-14 2018-04-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장치 내의 흡연 물품 식별용 소형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동식 흡연 장치
KR20180045000A (ko) * 2015-09-28 2018-05-03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전자 증기 공급 시스템
KR20180058712A (ko) * 2015-09-24 2018-06-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커패시터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180129637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009677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이엠텍 복수의 히터를 구비하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JP2020054264A (ja) * 2018-10-01 2020-04-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タバコ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625A (ko) * 1995-08-23 1997-03-29 김광호 언밸런스드 클럭을 사용한 센서리스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의 스타트-업 회로
KR20180033141A (ko) 2015-08-14 2018-04-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장치 내의 흡연 물품 식별용 소형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동식 흡연 장치
KR20180058712A (ko) * 2015-09-24 2018-06-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커패시터를 갖춘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180045000A (ko) * 2015-09-28 2018-05-03 니코벤처스 홀딩스 리미티드 전자 증기 공급 시스템
KR20180129637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009677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이엠텍 복수의 히터를 구비하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JP2020054264A (ja) * 2018-10-01 2020-04-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タバコ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025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3918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EP3878295A1 (en) Constant-power burning-prevention electronic cigarett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391760B1 (en) Power supply assembly,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ation system
KR10226700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45281B2 (en) Electrically oper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 rechargeable power supply
US8928277B2 (en) Electronic cigarett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the same
KR20160012110A (ko) 전자 흡연 물품들
EA038197B1 (ru) Блок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управления им
KR20210033980A (ko) 개선된 전력 공급 컨트롤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20210169150A1 (en) Dual Battery Electronic Cigarette
JP2022016273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
CA3079154A1 (en)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device,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TW201917980A (zh) 電池單元、香味吸嚐器、控制電池單元的方法及程式
US11246351B2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JP6864140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KR102408025B1 (ko) 전자 흡연 기기
KR20200054270A (ko) 배터리 유닛, 향미 흡인기, 배터리 유닛을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CN109714992A (zh) 电子蒸汽供应系统
TW202038767A (zh) 氣溶膠產生裝置
US20120006915A1 (en) Electrostatic atomization apparatus
KR10263448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WO2020090438A1 (ja) 微粒子検出器
KR2023016205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CN116868688A (zh) 用于气溶胶产生组件的加热系统和相关联的气溶胶产生组件
KR2023016203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