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049A - Fire alarm device - Google Patents
Fire alarm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2049A KR20220012049A KR1020200091100A KR20200091100A KR20220012049A KR 20220012049 A KR20220012049 A KR 20220012049A KR 1020200091100 A KR1020200091100 A KR 1020200091100A KR 20200091100 A KR20200091100 A KR 20200091100A KR 20220012049 A KR20220012049 A KR 202200120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warning
- controller
- detectors
- s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경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경우와 같이 독립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에서의 신호에 의하여 화재 발생 장소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재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wa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warning device configured to accurately notify the location of a fire by a signal from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an independent space as in the case of an apartment house. .
모든 건축물에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되고 이에 따른 경고장치도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재 감지 장치는 독립된 공간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건물의 층에 따라서 또는 건물에서 정해진 면적에 따라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예를 살펴보면, 정해진 면적을 기준으로 하거나 각각의 층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정해진 면적 내에는 다수의 독립 공간(12,14,16)이 존재할 수 있다.Fire detectors are installed in all buildings, and warning devic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ly. However,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device is not based on an independent space, but is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a floor of a building or an area determined in a building. Here,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로 다수의 독립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6a,6b,6c)는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발신함(4) 및 건물 내에 설치되는 하나의 메인 화재수신기(2)에 직렬로 연결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재감지기(6a,6b,6c) 중에서 어느 하나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화재감지신호(전압 강하)가 발생하고 이러한 전압 강하는 회로를 통하여 발신함(4) 및 메인 화재수신기(2)에 전달된다. 여기서 발신함(4)이라고 함은,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형 건물에서는 발신함의 설비를 갖추고 있기도 하고 다른 이름으로 속보함으로 불리는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대표하여 발심함(4)이라고 칭하기로 하는데, 이는 상술한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nd for economic reasons, a plurality of
이러한 전압강하는 발신함(4) 및 메인화재수신기(2)에 설치된 부품(예를 들면 PCB에 설치된 부분)에 의하여 감지된다. 이렇게 화재 신호를 감지한 메인화재수신기(2)는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고음은 메인화재수신기(2) 뿐만 아니라 발신함(4)에 설치된 것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감지장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구역(면적) 내에서는 단독 공간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어떠한 공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는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This voltage drop is sensed by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그리고 각각의 발신함(4) 및 메인 화재수신기(2)는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화재의 발생 등을 외부에 알리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경우, 각각의 화재감지기(6a,6b,6c)에서 감지되는 신호가 발신함(4) 및 메인 화재수신기(2)에 전달되기는 하지만, 각각의 독립된 공간(12,14,16) 중에서 어디로부터의 신호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발신함(4) 및 메인 화재수신기(2)에서 발생하는 경고음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고음에 의해서도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장소가 어디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및 경고 등과 관련된 종래의 시스템에 의하면, 건물 내부에서 문제가 발생한 공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ystem related to fire detection and warning, etc.,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a space in which a problem occurs inside a build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부분이 어디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화재 경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warning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where a portion detected by a fire detector is loc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에서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발신함을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경비를 최대한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화재 경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to provide a fire warning device configured to make the overall cost as rational as possible by using the outgoing box installed on each floor in a building.
본 발명 화재 경고장치는, 다수의 독립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 상기 다수의 화재감지기에서의 화재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메인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화재감지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경고등과, 그리고 화재감지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경고등을 점등을 제어하는 서브컨트롤러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발신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서브컨트롤러는 화재감지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기에 대응하는 경고등을 점등시킴으로써, 발신함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독립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warn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a main controller receiving fire detection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ors; And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going boxes each having a plurality of warning ligh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e detectors, and a sub-controller for controlling lighting of the warning lights based on the signals of the fire detectors. And based on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the sub-controller turns on a warn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fire detector that generated the fire detection signal, so that the independent space where the fire occurre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ransmitter.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발신함은 제1경고음 발생기와 제2경고음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제2경고음 발생기는 해당하는 서브컨트롤러와 연결된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1경고음 발생기와는 상이한 경고음을 발생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ding box further includes a first beep sound generator and a second beep sound generator, and the second beep sound generator is different from the first beep sound generator based on a fire detection signal of a fire detector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ub-controller. A beep sounds.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건물 내에서 특정 층 또는 특정 영역내에서 설치된 발신함에는, 같은 층 내부의 구획된 다수의 독립 공간에 대응하는 다수의 화재감지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서브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서브컨트롤러는 어느 하나의 독립된 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를 표시하는 대응하는 경고등을 점등(점멸)시킴으로써, 다수의 독립 공간 중에서 실제 화제가 발생한 지역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signal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partitioned within the same floor is transmitted to an outgoing box installed in a specific floor or a specific area within a building. A sub-controller that detects is installed. Such a sub-controller can accurately display an area where an actual fire has occurred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by turning on (flickering) a corresponding warning lamp indicating a fire that has occurred in any one independent space.
그리고 이와 같은 시각적인 방법 이외에도, 서브컨트롤러는 제1경고음 발생기와는 다른 경고음을 발생하는 제2경고음 발생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다른 모든 발신함에서는 동일한 경고음이 제1경고음 발생기를 통하여 발생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해당 층(또는 지역)의 발신함에서는 별도의 상이한 경고음을 제2경고음 발생기를 통하여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청각적인 신호에 의하여 화재발생 지역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such a visual method, the sub-controller controls a second beep sound generator that generates a different beep sound from the first beep sound generator. Therefore,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the same warning sound i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warning tone generator in all other transmission boxes, and a separate, different warning sound is generated by the second warning tone generator in the transmission box on the floor (or area) where the fire occurred. is generated throug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dvantage of not getting close to the fire area by the audible signal.
도 1은 종래의 화재 감지장치를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 감지장치를 예시한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fire detection device;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ir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 2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도 2에는 본 발명의 화재감지장치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메인 컨트롤러(2)는 건물 전체에서 문제(화재 감지 또는 단락 등)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1개소에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컨트롤러(2)는 그 외에도 건물 전체의 컨트롤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화재감지와 관련된 것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함(20)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거나 면적에 따라서 한 층에서도 다수 개 설치될 있고, 해당하는 층에 있는 다수의 화재감지기(32,34,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 exemplarily shows a fir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 the
그리고 각각의 발신함(20) 내부에는 하나의 서브컨트롤러(22)가 설치되고, 각각의 서브컨트롤러(22)는 해당층에 설치된 화재감지기(32,34,36)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층에서 별도의 독립공간(Ra,Rb,Rc)에 각각 설치된 화재감지기(32,34,36)는 해당층의 서브컨트롤러(22)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가 이상(화재의 감지 또는 단선 등)을 감지하면 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one
이와 같은 서브컨트롤러(22)는 발신함(20)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각층에 1개씩 설치될 수도 있고, 각층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각층에서도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내에 있는 다수의 서브컨트롤러(22)는 메인 컨트롤러(2)와도 신호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 발신함(20)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컨트롤러(22)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재감지기(32,34,36) 중에서 어떠한 것이 동작하였는가를 판단함으로써, 각각의 독립 공간(Ra,Rb,Rc) 중에서 어느 영역에 이상이 발생하였는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착안하고 있다. Such a
각각의 발신함(20) 내부에는, 다수의 화재감지기(32,34,36)에서 오는 전기적 신호(화재 감지신호 또는 단락을 의미하는 신호 등)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컨트롤러(22)와, 상기 서브컨트롤러(22)에 의하여 동작하는 다수의 경고등(24;24a,24b,24c) 및 경고음 발생기(26;26a,26b)가 설치되어 있다. 경고등(24)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화재감지시(32,34,36)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32,34 또는 36)가 이상을 감지하면, 그 화재감지기(32)에 대응하는 경고등(24a,24b 또는 24c)이 점등(점멸)하게 된다. A sub-controller that receives electrical signals (such as a fire detection signal or a signal indicating a short circuit) from a plurality of
그리고 경고음 발생기(26)는 상이한 경고음을 생성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1경고음 발생기(26a)는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화재를 인식한 메인컨트롤러(2)에서의 신호에 의하여 다른 모든 화재감지기(32)에 설치되어 동일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으로, 화재 발생시 건물 전체에 울리는 동일한 경고음을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nd the
제2경고음 발생기(26b)는 제1경고음 발생기(26a)와는 다른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하는 발신함(20)이 관장하는 영역내에서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에 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 발신함(20)이 커버하는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기(32)가 화재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가 서브컨트롤러(22)에 도달하면, 제2경고음 발생기(26b)가 동작함으로써 실제 화재가 발생한 지역이 해당 발신함(20)이 커버하는 지역 내에 있다는 것을 청각으로 알릴 수 있는 것이다. The second
다음에는 본 발명의 화재 경보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하나의 건물 내에는, 위에서 언급한 하나의 메인컨트롤러(2)와 다수의 발신함(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발신함(20)에 설치된 서브컨트롤러(22)는 각각 독립 공간(Ra,Rb,Rc)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32,34,36)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화재감지기(32,34,36)는 메인컨트롤러(2)와도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메인컨트롤러(2)에는 경고등 및 경고음이 발생하는 것은 종래의 것과 동일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메인컨트롤러(2)와 다수개의 서브컨트롤러(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메인컨트롤러(2)의 신호에 의하여 서브컨트롤러(20)의 제1경고음 발생기(26a)가 동작하게 되는 것도 종래의 구동과 동일하다. Nex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e ala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ne building, one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32)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신호가 메인컨트롤러(2) 및 서브컨트롤러(22)로 전달된다. 화재감지기(32)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화재감지기(32)는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고, 서브컨트롤러(22)는 이러한 전압 강하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감지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즉,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32)와 연결된 서브컨트롤러(22) 및 메인컨트롤러(2)에서 이와 같은 전압강하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인지한다. 그리고 메인컨트롤러(2)는 그 자체의 경고등 및 경고음 발생기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서브컨트롤러(22)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1경고음 발생기(26a)를 동작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Looking at the characteristic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따라서 건물 내에 있는 모든 발신함(20)에 설치된 제1경고음 발생기(26a)가 동작하는데, 이는 모두 동일한 소리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경고음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발신함(20)에 설치된 별도의 경고등이 점등(점멸)하는 것도 종래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비록 경고등 및 경고음이 울리더라도 어디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 Accordingly, the first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고음 및 경고등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장소를 알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32)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면 발신함(20)에 설치된 서브컨트롤러(22)는 이를 인지하게 되고,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서브컨트롤러(22)는 해당하는 화재감지기(32)에 대응하는 경고등(24a)을 점등(점멸)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신함(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경고등(24)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실제 화재 발생 장소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function of knowing the exact place where the fire occurred by the warning sound and the warning light. When a voltage drop occurs in any one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청각적으로도 유용한 화재 현장 유도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32)에서의 화재 신호(전압 강하)를 인식한 서브컨트롤러(22)는 제2경고음 발생기(26b)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제2경고음 발생기(26b)는 제1경고음 발생기(26a)와는 다른 형태의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종래와 동일하게 건물 내의 모든 발신함(20)의 제1경고등 발생기(26a)가 동작하는 것과 동시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발신함(20)에 설치된 제2경고등 발생기(26b)가 같이 동작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ful fire site induction function aurally. The sub-controller 22 recognizing the fire signal (voltage drop) from any one of the
즉, 실제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있는 발신함(20)의 제2경고음 발생기(26b)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또는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제1경고음 발생기(26a)만 동작함에 비하여 실제 화재가 발생한 층(또는 지역)의 발신함(20)에서는 제2경고음 발생기(26b)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한 건물 내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층(또는 지역)의 화재 경고음이 더 발생하기 때문에, 거주자는 청각으로도 어느 지역 또는 몇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대략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각으로 대략적인 방향성을 알 수 있다는 점은 실제 화재 발생시 대피해야 할 방향을 손쉽게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피해 예방에 아주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발신함(20)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컨트롤러(22)에 의하여 실제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지역을 다수의 경고등(24)에 의한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욱이 실제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경고음(제2경고음 발생기)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방향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시각으로 제공하고, 화재 발생 부분을 청각으로 대략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안전상 상당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고 생각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ct area where the actual fire occurred by the sub-controller 22 installed inside eac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이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Within the basic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is natural for the purpose of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Act.
20 ..... 발신함
22 ..... 서브컨트롤러
24 ..... 경고등
26 ..... 경고음 발생기
32, 34, 36 ..... 화재감지기20 ..... Outgoing
22 ..... Sub-controller
24 ..... warning light
26 ..... beep generator
32, 34, 36 ..... fire detector
Claims (2)
상기 다수의 화재감지기(32,34,36)에서의 화재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메인컨트롤러(2);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화재감지기(32,34,36)에 대응하는 다수의 경고등(24a,24b,24c)과, 그리고 화재감지기(32,34,36)의 신호에 기초하여 경고등(24a,24b,24c)을 점등을 제어하는 서브컨트롤러(22)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발신함(20)으로 구성되고;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서브컨트롤러(22)는 화재감지신호를 발생한 화재감지기(32,34,36)에 대응하는 경고등(24a,24b,24c)을 점등시킴으로써, 발신함(20)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독립공간(Ra,Rb,Rc)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고장치.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32, 34, 36)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Ra, Rb, Rc);
a main controller (2) receiving fire detection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ors (32, 34, 36); and
A plurality of warning lights 24a, 24b, 24c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e detectors 32, 34, 36, and warning lights 24a, 24b, and 24c based on the signals of the fire detectors 32, 34, 36 consists of a plurality of outgoing boxes 20, each having a sub-controller 22 for controlling lighting;
Based on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the sub-controller 22 turns on the warning lights 24a, 24b, and 24c corresponding to the fire detectors 32, 34, 36 that have generated the fire detection signal, thereby sending the message box 20. Fire wa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dependent space (Ra, Rb, Rc) where the fire occurred through the
The fire alar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box (20) further comprises a first beep sound generator (26a) and a second beep sound generator (26b), wherein the second beep sound generator (26b)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ub-controller (22). A fire warning device that generates a different warning sound from the first warning sound generator 26a based on the fire detection signals of the detectors 32, 34 and 3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100A KR20220012049A (en) | 2020-07-22 | 2020-07-22 | Fire alarm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100A KR20220012049A (en) | 2020-07-22 | 2020-07-22 | Fire alarm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049A true KR20220012049A (en) | 2022-02-03 |
Family
ID=8026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1100A KR20220012049A (en) | 2020-07-22 | 2020-07-22 | Fire alarm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12049A (en) |
-
2020
- 2020-07-22 KR KR1020200091100A patent/KR2022001204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6427B1 (en) | Alarm | |
KR101911371B1 (en) | Function Extension Type Fire Detector | |
KR101818066B1 (en) | LED lamp system having disaster warning and training function | |
JP2008084309A (en) | Alarm device and alarm system | |
KR101984624B1 (en) | Assistance fire alarm system | |
KR20240035963A (en) | Fire receiver capable of preventing non-fire alarm | |
JP6253951B2 (en) | Alarm | |
KR102140896B1 (en) | Warning bell of fire protection system able to self block based a problem occurs | |
KR20220012049A (en) | Fire alarm device | |
JP2019023799A (en) | Alarm system | |
JP5016945B2 (en) | Fire alarm system | |
KR102140895B1 (en) | System for fire detection having a warning bell able to self block | |
KR102112691B1 (en) | System for detecting fire | |
US10311688B1 (en) | System for alerting and guiding rescue personnel to a building | |
NZ505693A (en) | Alarm responsive to environmental stimuli such as smoke , alarm communicable with other external devices via a fourth terminal | |
KR100661753B1 (en) | wireless fire alarm apparatus for short distance | |
AU763877B2 (en) | Improvement to smoke alarms | |
KR20190000154A (en) | Light control system | |
JP7061495B2 (en) | Fire receiver, line discriminator and fire alarm system | |
KR20220105865A (en) | Fire transmitter with easy detector installation | |
JP3148262U (en) | Alarm | |
KR20050070655A (en) | Emergency exit guide system | |
JP5932265B2 (en) | Alarm system | |
JP5897973B2 (en) | Fire alarm system | |
JP6473030B2 (en) | Alarm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