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23A -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23A
KR20220011923A KR1020200090767A KR20200090767A KR20220011923A KR 20220011923 A KR20220011923 A KR 20220011923A KR 1020200090767 A KR1020200090767 A KR 1020200090767A KR 20200090767 A KR20200090767 A KR 20200090767A KR 20220011923 A KR20220011923 A KR 20220011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ase
protruding head
self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1942B1 (en
Inventor
김선주
윤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42B1/en
Publication of KR2022001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tick with a self-sterilization function, comprising: a case including an opening formed in one end thereof and formed to be hollo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storage container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store a sterilization solution; a filling cap formed on one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configured to open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is filled with the sterilization solution and then close the storage container; a transfer unit protruding toward the opening, having a protruding head for execution of a touch function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including an outflow path formed therein to deliver the sterilization solution to the protruding head, and mo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case; and a manipulation lev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other side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case and moving the transfer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Description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isinfectable portable stick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function on behalf of a user's hand.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전염성이 높은 중동 호흡기증후군(MERS), 사스,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발생하면서, 사람들이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감염자의 비말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기 마스크(KF94), 덴탈 마스크 등의 마스크를 착용하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수시로 손이나 소지품을 소독하고 있다. Recently, as viral infections such as the highly contagiou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SARS, and Corona-19 have occurred, people are taking precautions from the penetration of droplets of infected people into the respiratory tract or the mucous membranes of the eyes, nose, and mouth to prevent virus infec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masks such as static masks (KF94) and dental masks are worn, and hands and belongings are frequently disinfected using disinfectants.

이러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무심코 만지는 출입문 손잡이, 공중전화 등에도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외출 중에도 손을 자주 씻고 눈, 코, 입 등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these bacteria and viruses, it is important to wash your hands thoroughly. Because the virus can also be present in door knobs and public phones that we inadvertently touch, it is recommended to wash your hands frequently while going out and avoid touching your eyes, nose, and mouth with your hands as much as possible.

특히, 여러 사람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생활 공간에서 버튼식 도어락, 엘리베이터 버튼, 인터폰 버튼 등과 같이 손가락으로 눌러야만 하는 경우가 빈번이 발생하게 되는데, 소정의 버튼에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있는 경우에 해당 버튼을 눌렀던 손을 통해 감염될 수 있고, 이를 매개로 직접적 접촉 또는 호흡기 전파로 사람간 감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 연구 등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종이보드에서 24시간, 플라스틱과 스트레인레스 스틸에서 2~3일, 구리표면에서 4시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particular, in a living space shared with several people,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you have to press the button with your finger, such as a button-type door lock, an elevator button, an intercom button, etc. When there are bacteria or viruses in a certain button, the button is pressed. Infection can occur through the hand that was pressed, and through direct contact or respiratory transmission through this, the problem of human-to-human infection can occur. According to a study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in the United Sta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onavirus survives for 24 hours on paper board, 2-3 days on plastic and stainless steel, and more than 4 hours on copper surface.

따라서, 아파트, 주상복합빌딩, 상가, 호텔, 빌딩 사무실 등의 공동 생활 공간에서 사용자 손이나 손가락 등의 접촉으로 인해 동작되는 장치 또는 기구들에 대한 오염을 차단하는 여러가지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blocking contamination of devices or instruments operated by a user's hand or finger contact in communal living spaces such as apartments, mixed-use buildings, shopping malls, hotels, and office buildings are being studied.

도 1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내 버튼 접촉으로 인한 감염 방지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infection due to contact with a button in an elevator in gener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에 엘리베이터 버튼을 손가락을 터치(a)하기 전에 손소독제, 일회용 화장지, 일회용 막대 등을 배치해두고,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른 후에 손소독제로 손을 소독(b)하거나, 일회용 막대(d)나 일회용 화장지(c)를 이용해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게 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due to the recent virus, hand sanitizer, disposable toilet paper, disposable rod, etc. are placed before touching (a) the elevator button in the elevator, and after pressing the elevator button Disinfect hands with hand sanitizer (b) or press the elevator button using a disposable stick (d) or disposable toilet paper (c).

손소독제, 일회용 막대, 일회용 화장지 등의 감염 예방 물품들은 용량이나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소모품이므로, 관리자가 매번 엘리베이터 내 감염 예방 물품의 잔량을 체크해야 하고, 수시로 해당 물품을 채워넣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간혹 손소독제가 분실되거나 일회용 막대나 화장지 등이 불필요하게 사용되어 감염 예방 물품의 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Since infection prevention items such as hand sanitizer, disposable rods, and disposable toilet paper are consumables with limited capacity or number, the manager must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infection prevention items in the elevator every time, and not only have to replenish the items from time to time, but also occas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anage infection prevention products because hand sanitizers are lost or disposable sticks or toilet paper are used unnecessarily.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내에 감염 예방 물품을 배치하는 방식 외에도 버튼을 광감지식, RFP 감지식, 초음파 감지식으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버튼 교체로 인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제품을 단시간에 모두 교체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rranging the infection prevention article in the elevator, there is also a method of replacing the button with a light sensing type, RFP sensing type, and ultrasonic sensing typ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money to replace the button, and it is actually difficult to replace all of the previously installed products in a short time.

또한, 바이러스 제거 효과를 가지는 구리 필름, 금속 나노 코팅 부재를 엘리베이터 버튼의 상면에 부착하는 방식도 있지만, 구리 필름이나 금속 나노 코팅 부재는 미생물 제거 또는 억제 효과가 있지만, 단시간에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고, 미처 살균되지 않은 미생물이 남아 있는 경우에 여전히 손으로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attaching a copper film or metal nano-coating member having a virus removal eff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button, but the copper film or metal nano-coating member has the effect of removing or inhibiting microorganisms, but it can completely remove the virus in a short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and can still be infected if there are no microorganisms that have not yet been steriliz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락이나 인터폰 등의 다수의 사용자들이 접촉하는 키패드나 버튼을 터치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터치 이후에 자체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스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touch function on behalf of the user's hand when a keypad or button that a plurality of users, such as an elevator, a door lock, or an intercom, is touched, is tou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stick capable of performing a self-sterilization operation after being touched.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은, 일측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상기 저장 용기를 폐쇄시키는 충진캡;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돌출 헤드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토출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일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end and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orage contain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ase to store a sterilizing solution; a filling cap formed at one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to close the storage container after being opened for filling of the sterilizing solution; A protruding head protruding through the opening to perform a touch func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charging path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to deliver the sterilizing solution to the protruding head is formed therein, a transport unit that moves a set distance; and an operation lev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veying unit and the other sid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move the conveying uni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개폐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헤드를 포함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formed in an opening and closing type at one end of th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p for closing the opening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including the protruding head.

상기 돌출 헤드는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truding hea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unit in a detachable form.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을 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토출로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ump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the pumping ac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is moved to discharge the sterilizing solution through the discharge path.

기 이송부는 내부에 상기 저장 용기에 저장된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순환형 토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 통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순환형 토출로 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순환형 토출로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순환형 토출로에서 상기 살균 용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fer unit has a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for delivering the sterilizing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protruding head therein, is coup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circulates the sterilizing solution through a pumping ac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is moved and first and second pump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to be supplied into the type discharge path, respectively, and configured to move the sterilizing solution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조작 레버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ide groov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the operation lever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ide groov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락이나 인터폰 등의 다수의 사용자가 접촉하는 키패드나 버튼을 사용자의 손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터치 이후에 자체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touch function on behalf of a user's hand on a keypad or button that a plurality of users contact, such as an elevator, a door lock or an intercom, and self-sterilizes after the touch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n action.

도 1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내 버튼 접촉으로 인한 감염 방지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의 일측 끝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펌핑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의 살균 용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에 의한 돌출 헤드의 외부 돌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infection due to contact with a button in an elevator in general.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nd of the case of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umping unit of FIG. 2 .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sterilizing solution of the portable sti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ternally protruding state of the protruding head by the operation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n invention of the same scop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케이스의 일측 끝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펌핑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틱의 살균 용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nd of the case of FIG. 2, and FIG. It is a drawing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umping par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sterilizing solution of the portable sti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100)은 케이스(110), 이송부(140), 조작레버(152), 펌핑부(20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10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the case 110 , the transfer unit 140 , the operation lever 152 , and the pumping unit 200 .

케이스(110)는 소정 길이를 갖으며,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사용자의 손 안에 들어올 수 있는 정도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10)는 사용자가 저장 용기(130) 내 살균 용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 영역이 투명창(도시되지 않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se 1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ase 110 preferably has a length and thickness that can fit in the user's hand. Meanwhile, in the case 110 , a predetermined area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window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terilizing solution in the storage container 13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일측 끝단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개구부(111)를 통해 돌출 헤드(151)가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신하여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케이스(110)의 일측 끝단의 양측에 굴곡부(112)가 형성되고, 굴곡부(112)는 돌출 헤드(151)의 이동에 방해하지 않으면서 케이스(110)로 오염 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3 , an opening 1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ase 110 , and the protruding head 151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11 to perform a touch function in place of the user's finger.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bent portions 1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case 110 , and the bent portions 112 prevent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case 11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protruding head 151 . .

한편, 돌출 헤드(151)를 포함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111)를 폐쇄하는 보호용 캡(115)이 개폐식으로 설치된다. 보호용 캡(115)은 케이스(110)의 일측 끝단에 한쪽이 힌지(116)로 고정되어 돌출 헤드(151)가 외부로 돌출될 때, 돌출 헤드(151)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개방되고, 돌출 헤드(151)가 내부로 삽입될 때 폐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호용 캡(115)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가압에 의해 개구부(11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가압에 의해 개구부(111)를 폐쇄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10 including the protruding head 151 from being polluted, a protective cap 115 for closing the opening 111 is installed in an opening and closing manner. When the protective cap 115 is fixed to one end of the case 110 by a hinge 116 on one side and the protruding head 151 protrudes to the outside, it is open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protruding head 151 and protrudes. The head 151 may be formed in a closed shape when inserted therein. Alternatively, the protective cap 115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into the opening 111 by pressing, and closing the opening 111 by pressing.

저장 용기(130)는 케이스(11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한다. 저장 용기(130)의 일측 끝단에는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저장 용기(130)를 폐쇄시키는 충진캡(131)이 형성된다. 살균 용액은 살균 기능을 가진 액체로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나트륨액, 과산화수소수, 과산화모노황산칼륨, 벤잘코늄염화물, 클로록실레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 네이트 및 이들이 일정량 이상 함유된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3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ase 110 to store the sterilizing solution. A filling cap 131 for closing the storage container 130 after being opened for filling of the sterilizing solu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 Sterilization solution is a liquid with a sterilizing function, and contains ethanol, isopropyl alcohol, hypochlorous acid water,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hydrogen peroxide solution, potassium peroxide monosulfate, benzalkonium chloride, chloroxylenol, chlorhexidine gluconate, and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reof. solution and the like can be used.

이송부(140)는 돌출 헤드(151)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조작레버(152)에 의해 돌출헤드(151)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부(140)는 저장 용기(130)와 연결되어 살균 용액을 돌출 헤드(151)로 전달하는 토출로(145)가 내부에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조작 레버(15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The transfer unit 140 has the protruding head 151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and transfers the protruding head 151 by the operation lever 152 . The transfer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130 and has a discharge path 145 for delivering the sterilizing solution to the protruding head 151 is formed therein, and the operation lever ( 152)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돌출 헤드(151)는 이송부(140)의 끝단에 착탈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교체 가능하고, 살균 용액의 침투가 용이하여 살균 작용을 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건조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 용액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공성 구조는 모세관 효과(capillary effect)를 유도하기 하여 미세관구조, 미세홀구조, 망목구조 및 이들이 결합된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구조를 가진 돌출 헤드(151)는 다공질 실리콘, 우렌탄 폼, 다공성 고무, 스펀지, 부직포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head 15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unit 140 in a form that is easily detachable and replaceable, and has a porous structure that can be dri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erilization action is performed because the penetration of the sterilizing solution is easy.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orous structure for facilitating penetration of the sterilizing solution may be a microtubule structure, a microhole structure, a network structure, and a porous structure combined therewith by inducing a capillary effect. The protruding head 151 having the porous structure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such as porous silicon, urethane foam, porous rubber, sponge, nonwoven fabric, or a mixture thereof.

이러한 돌출헤드(151)는 끝단에 이송부(140)의 끝단이 끼워지는 삽입홈(151a)이 형성되고, 삽입홈(151a)은 이송부(140)의 외주연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The protrusion head 15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151a in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conveying unit 140 is fitted, and the insertion groove 151a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veying unit 140 .

조작 레버(152)는 이송부(140)의 일측면에 연결되면서 케이스(110)의 외부로 소정 길이가 돌출되어 이송부(140)의 이동을 지시한다.The operation lever 15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140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o instruct the transfer unit 140 to move.

터치 기능을 수행하고 복귀될 때마다 돌출 헤드(151)가 살균 용액으로 소독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저장용기(130) 내의 살균 용액이 이송되어 돌출 헤드(151)와 실패율이 없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일, 살균 용액이 체온 등 열기에 의하여 일부 기화되어 토출로(145) 및 저장용기(130) 내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기포들이 살균 용액이 돌출 헤드(151)에 충분히 이송되도록 하거나 돌출 헤드(151)와 접촉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펌핑 기능을 가진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살균 용액 이송 및 토출 기능을 갖도록 한다. In order to disinfect the protruding head 151 with the sterilizing solution each time the touch function is performed and returned,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sterilizing solution in the storage container 130 is transferred and contacted with the protruding head 151 without a failure rate. If the sterilizing solution is partially vaporized by heat such as body temperature to generate bubbles in the discharge path 145 and the storage container 130 , the generated bubbles allow the sterilizing solution to be su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protruding head 151 or the protruding head It may interfere with contact with (151). Therefore, using a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pumping function, it has an efficient sterilizing solution transfer and discharge function.

제1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부(200)는 저장 용기(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조작 레버(152)의 이동시 펌핑 작용을 통하여 압력을 발생시켜 살균 용액을 토출로(145)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4 as a first embodiment, the pump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and generates pressure through a pumping ac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152 is moved to discharge the sterilizing solution. It plays a role of discharging to (145).

이러한 펌핑부(200)는 살균 용액이 일시 저장되는 제1 실린더(210),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 공급을 위한 제1 압축 스프링(220), 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2 압축 스프링(230), 제2 압축 스프링(230)의 케이싱을 위한 제2 실린더(240), 제2 실린더(240) 하부에 위치하여 탄발 지지하는 지지부재(250), 및 제1 실린더(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압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체크밸브(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umping unit 200 includes a first cylinder 210 in which a sterilizing solution is temporarily stored, a first compression spring 220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to supply a sterilizing solution, a second compression spring 230 for opening and closing orifices, The second cylinder 240 for the casing of the second compression spring 230, the support member 250 that is located under the second cylinder 240 to support elastically, and the first cylinder 210 is installed under the inner It comprises a check valve 260 to generate a compressive force in the.

제2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스틱(100)은 순환형 토출로(345), 한 쌍의 펌프(350, 360), 한 쌍의 밸브(370, 380)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살균 용액의 이송 및 접촉을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As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portable stick 100 includes a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345 , a pair of pumps 350 and 360 , and a pair of valves 370 and 380 . can be used to have the function of efficiently transferring and contacting the sterilizing solution.

이송부(140) 내부에는 돌출 헤드(151)와 접촉하는 U자형 구조를 가진 순환형 토출로(345)가 구비된다. 토출로(345)의 일측 끝단에는 제1 펌프(350) 및 제1 밸브(370)로 구성된 제1 펌프(301)가 구비되며, 타측 끝단에는 제1 펌프(360) 및 제1 밸브(380)로 구성된 제2 펌프(302)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및 제2 펌프(301, 302)는 벨로즈형 펌프 구조를 적용할 수가 있다. A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345 having a U-shaped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head 151 is provided inside the transfer unit 140 . A first pump 301 including a first pump 350 and a first valve 37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path 345 , and a first pump 360 and a first valve 380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ath 345 . A second pump 302 consisting of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umps 301 and 302 may have a bellows-type pump structure.

제 1펌프(301)에는 저장용기(130)에서 돌출 헤드(151) 방향으로만 일방향 용액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밸브(370)가 구비되는 반면에, 제2 펌프(302)에는 돌출 헤드(151)에서 저장용기(130) 방향으로만 용액이 이동하도록 하는 제2 밸브(380)가 구비된다. 터치 기능을 위하여 조작 레버(152)를 사용하여 돌출 헤드(151)를 휴대용 스틱 외부로 이송할 때에는 제1 펌프(301) 및 제2 펌프(302)가 팽창하며 동시에 제1 펌프(301) 측에 부착된 제1 밸브(370)는 개방되고, 제2 펌프(302) 측에 부착된 제2 밸브(380) 차단되어 저장용기(130) 내에 있는 살균 용액이 토출로(345)를 통하여 돌출 헤드(151) 쪽으로 이송된다. The first pump 301 is provided with a first valve 370 that allows the solution to move in one direction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head 151 from the storage container 130, while the second pump 302 has the protruding head ( A second valve 380 for allowing the solution to move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in the 151) is provided. When the protruding head 151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stick using the operation lever 152 for the touch function, the first pump 301 and the second pump 302 expand and at the same time to the first pump 301 side. The attached first valve 370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380 attached to the second pump 302 side is blocked so that the sterilizing solution in the storage container 13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th 345 to the protruding head ( 151) is transferred.

반면에, 터치 기능을 수행한 후 조작 레버(152)를 통하여 돌출 헤드(151)의 복귀 시 펌프가 압축되므로 제1 밸브(370)는 차단되고 제2 밸브(380)는 개방되어 토출로(345) 내에 있는 살균용액이 저장용기(130)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30)나 토출로(345) 내에 일부 기포가 있더라도, 순환형 토출로(345)를 통하여 살균용액이 순환되고 이를 통하여 살균용액이 다공질의 돌출 헤드(151)와 접촉하도록 하므로써 살균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ump is compressed when the protruding head 151 is returned through the operation lever 152 after performing the touch function, the first valve 370 is blocked and the second valve 380 is opened to open the discharge path 345 . ) in the sterilization solution moves toward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refore, as shown in FIG. 5 , even if there are some bubbles in the storage container 130 or the discharge path 345 , the sterilizing solution is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345 , and the sterilizing solution is transferred through the porous protruding head. By making contact with (151), the sterilization func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한편, 휴대용 스틱(1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90)을 이송부(140) 주변에 배치하여 터치기능 수행후 돌출헤드(151)를 조작레버(152)의 사용없이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구조를 가진 저장용기(130)의 일부(400)가 볼록 나오도록 블록부(400)를 형성하고, 볼록부(400)와 접촉되도록 케이스(110)에 푸쉬버튼(410)을 설치하여, 푸쉬버튼(410)을 눌러 조작레버(152)에 의한 이송 없이 살균용액 만을 강제적으로 순환형 토출로(345)를 통하여 순환시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볼록부(400) 및 푸쉬버튼(410)은 사용자에 눌려진 이후에 누른 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는 복원력 특성을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볼록부(400)를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하여 유연한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조작레버(152)의 이동에 따라 펌프(301, 302)에서 발생하는 용액의 압력을 완충하여 살균용액의 순환을 돕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the portable stick 100 automatically returns the protruding head 151 without using the operation lever 152 after performing a touch function by arranging the spring 390 around the transfer unit 140 , as shown in FIG. 7 . func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block portion 400 is formed so that a portion 400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having a flexible structure comes out convex, and a push button 410 is installed on the case 1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400 . , by pressing the push button 410 to forcibly circulate only the sterilization solution through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345 without transfer by the operation lever 152, an additional steriliz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if necessary.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convex portion 400 and the push button 410 should have a restoring force characteristic that is restor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ed pressure disappears after being press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4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have a flexible structure, thereby buffering the pressure of the solution generated by the pumps 301 and 302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152, thereby improving the circulation of the sterilizing solution. can help

이러한 휴대용 스틱은 터치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오염원에 접촉된 터치 영역, 즉 돌출 헤드를 휴대용 스틱 내에 미리 구비된 살균 용액을 사용하여 소독할 수 있어, 최소 수시간 이상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기존의 다른 살균방식에 비하여 살균 용액을 이용하여 수십초 내지 수분 이내에 살균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Such a portable stick has a touch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ouch area in contact with the contaminant, that is, the protruding head, can be sterilized using a sterilizing solu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stick in advance, so it is possible to sterilize other existing sterilizations that take at least several hours for a long time. Compared to the sterilization method,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exerted within several tens of seconds to several minutes by using a sterilizing solution.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레버에 의한 돌출 헤드의 외부 돌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o be.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면,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100)은 사용자가 잡기 쉬운 형태의 케이스(110)로 형성되고, 돌출 헤드(151)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편에 스트랩(17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트랩(170)은 사용자의 손목에 거는 형태로서 휴대용 스틱(100)의 분실이나 낙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100 is formed of a case 110 in a shape that is easy for a user to hold, and the strap 170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ding head 151 protrudes. can be installed. The strap 170 is in the form of being hung on the user's wrist and can prevent loss, fall, or damage of the portable stick 100 .

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홈(113)이 형성되고, 조작 레버(152)는 슬라이드 홈(113)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부(140)를 케이스(1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스틱(100)을 손으로 감싸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조작 레버(152)를 'A'방향으로 밀면 돌출 헤드(151)가 외부로 돌출된다. A slide groove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10 , and the operation lever 152 moves along the slide groove 113 to move the transfer unit 140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case 110 .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ion lever 152 with his thumb in the 'A' direction while holding the portable stick 100 by hand, the protruding head 151 protrudes to the outside.

즉, 조작 레버(152)가 제1 방향('A' 방향)으로 움직이면, 조작 레버(152)에 연결된 이송부(140)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 헤드(151)가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반대로 조작 레버(15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면 이송부(140)도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 헤드(151)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조작 레버(152)는 상기에서 설명한 슬라이드 방식 뿐만 아니라 스프링 부재,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peration lever 15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 direction), the transfer unit 1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152 also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protruding head 151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s projected with 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lever 152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transfer unit 140 also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head 151 is inserted into the case 110 . The operation lever 152 may be form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spring member, as well as the slide method described above.

이렇게 돌출 헤드(151)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저장 용기(130)로부터 살균 용액이 이송부(140) 내부의 토출로(145)를 통해 돌출 헤드(151)로 토출되고, 돌출 헤드(151)는 살균 용액에 의해 살균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연스럽게 건조될 수 있다.When the protruding head 151 is inserted into the case 110 in this way, the sterilizing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130 to the protruding head 151 through the discharge path 145 inside the transfer unit 140 , and the protruding head 151 may be sterilized by a sterilizing solution and naturally dri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사용자는 돌출 헤드(151)를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돌출 헤드(151) 자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ser can freely replace the protruding head 151, thereby preventing the protruding head 151 itself from being contaminated due to prolonged use.

한편,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100)은 정전식 버튼이나 터치 패널의 경우에도 정전 터치가 이루어지도록 돌출 헤드(151), 이송부(140), 케이스(110)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패널이나 키패드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할 필요없이 휴대용 스틱(100)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100 , the protruding head 151 , the transfer unit 140 , and the case 11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an electrostatic touch can be performed even in the case of a capacitive button or a touch panel.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a panel or keypad including a capacitive touch screen, the user can perform a desired operation by touching the touch panel using the portable stick 100 without using his/her own fing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휴대용 스틱
110 : 케이스
120 : 광원부
130 : 저장 용기
140 : 이송부
151 : 돌출헤드
152 : 조작레버
100: portable stick
110: case
120: light source unit
130: storage container
140: transfer unit
151: protruding head
152: operation lever

Claims (6)

일측 끝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중공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어 살균 용액을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 용기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 용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된 후 상기 저장 용기를 폐쇄시키는 충진캡;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어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돌출 헤드가 일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 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토출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일측이 상기 이송부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An opening is formed at one end, the case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orage contain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ase to store a sterilizing solution;
a filling cap formed at one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to close the storage container after being opened for filling of the sterilizing solution;
A protruding head protruding into the opening to perform a touch func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charging path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to deliver the sterilizing solution to the protruding head is formed therein, a transport unit that moves a set distance; and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le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move the transfer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개폐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헤드를 포함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Self-disinfectable portable stick formed in an opening and closing type at one end of the case, and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ap for closing the opening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including the protruding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헤드는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head is a portable stick capable of self-steriliz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unit in a detachable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을 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토출로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ump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discharging the sterilizing solution through the discharge path by pumping when the operation lever is 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내부에 상기 저장 용기에 저장된 살균 용액을 상기 돌출 헤드로 전달하는 순환형 토출로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시 펌핑 작용 통하여 상기 살균 용액을 상기 순환형 토출로 내에 공급되도록 상기 순환형 토출로의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순환형 토출로에서 상기 살균 용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A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for delivering the sterilizing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 the protruding head is formed in the transfer unit,
I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to supply the sterilizing solution into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through a pumping action when the operation lever is moved, and the sterilization in the circulation type discharge path A self-disinfectable portable stick comprising first and second pumps for moving the solution in differen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조작 레버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A slide groov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The self-sterilizing portable sti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lever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ide groove.
KR1020200090767A 2020-07-22 2020-07-22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KR102471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67A KR102471942B1 (en) 2020-07-22 2020-07-22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67A KR102471942B1 (en) 2020-07-22 2020-07-22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23A true KR20220011923A (en) 2022-02-03
KR102471942B1 KR102471942B1 (en) 2022-11-29

Family

ID=8026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67A KR102471942B1 (en) 2020-07-22 2020-07-22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9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10A (en) * 2020-12-01 2022-06-08 (주)엠케이산업 Portable hygienic stick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87A (en) * 2004-04-20 2005-10-25 게리 자우어 Liquid container with operative tool
KR20070096404A (en) 2006-03-24 2007-10-02 임장순 Instant sterilization systems for shopping cart with a spray of fog nozzle
JP2012521790A (en) * 2009-03-27 2012-09-20 ファーバー‐カステ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Pen-shaped applicator
KR20130006414U (en) * 2012-04-27 2013-11-06 문종운 Toothbrush having a interdental brush
KR102071449B1 (en) * 2018-10-11 2020-01-30 이종훈 A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function of a sterilization
KR102136482B1 (en) 2019-01-16 2020-07-21 정용교 Ultraviolet sterilization compact
KR102138163B1 (en) 2012-03-21 2020-07-2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Water purifier system using uv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87A (en) * 2004-04-20 2005-10-25 게리 자우어 Liquid container with operative tool
KR20070096404A (en) 2006-03-24 2007-10-02 임장순 Instant sterilization systems for shopping cart with a spray of fog nozzle
JP2012521790A (en) * 2009-03-27 2012-09-20 ファーバー‐カステ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Pen-shaped applicator
KR102138163B1 (en) 2012-03-21 2020-07-2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Water purifier system using uv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20130006414U (en) * 2012-04-27 2013-11-06 문종운 Toothbrush having a interdental brush
KR102071449B1 (en) * 2018-10-11 2020-01-30 이종훈 A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function of a sterilization
KR102136482B1 (en) 2019-01-16 2020-07-21 정용교 Ultraviolet sterilization comp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10A (en) * 2020-12-01 2022-06-08 (주)엠케이산업 Portable hygienic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942B1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0135A1 (en) Combined clean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24743B1 (en) Touch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KR102471942B1 (en)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Kothekar et al. Basic principles of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intensive care and anesthesia and their applications during COVID-19 pandemic
US11759535B2 (en) Wearable decontamination system
JP2018516607A (en) Toothbrush holder with bristle processing liquid dispenser
Ait-ou-Amar et al. Handwashing revisited in dental practice during the COVID-19 outbreak
CA2296152A1 (en) The hygiene controller
KR102218902B1 (en) foot pedal type hand sterilizer
KR200415848Y1 (en) Mouse sterilizer
KR101368976B1 (en) Nasal mucus aspirator
CN116113469A (en) Sterilizing device and protective housing with same
KR20230038435A (en) Door handle with hand sanitizer installed
Chongloi et al. Disinfection of Environmental Surfaces and Articles Used for COVID 19 Patient
WO2021191482A1 (en) Device for handling potentially contaminated objects
KR102449348B1 (en) Portable stick with light sterilization function
AU2021107005A4 (en) Devices incorporating decontamination means therein
KR102185207B1 (en) Disinfecting pen for button touch
KR102472322B1 (en) Portable hygienic stick
Atkins The correct use of soap
WO2021220304A1 (en) Novel self-sanitizing gloves
Balaji et al. Automatic Hand Sanitizing Glove
KR101055217B1 (en) Sterilizer for Mobile Phone
KR20220029259A (en) Portable hand sanitizer dispensor
KR20220077624A (en) Sterilization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