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03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03A
KR20220011903A KR1020200090728A KR20200090728A KR20220011903A KR 20220011903 A KR20220011903 A KR 20220011903A KR 1020200090728 A KR1020200090728 A KR 1020200090728A KR 20200090728 A KR20200090728 A KR 20200090728A KR 20220011903 A KR20220011903 A KR 2022001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shing water
tub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김주식
염대선
이준호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903A/ko
Priority to PCT/KR2021/007811 priority patent/WO202201949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03A/ko
Priority to US18/090,001 priority patent/US202301442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터브와 연통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워터탱크는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저장부로서, 세척수 유출 개구를 포함하는 저장부,
저장부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격벽, 내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외기 유입공, 저장부와 외기 유입공을 연결하는 유로 및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에어 포켓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개시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워터탱크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분사 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끝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식기 세척기에는 급수되는 세척수를 섬프로 전달하는 워터탱크가 마련된다. 이러한 워터탱크는 세척에 사용되는 물을 미리 저장하여 상수도의 차가운 물을 실내 상온에 해당하는 온도로 세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A/S 과정에서 식기세척기를 눕히게 될 경우 워터탱크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내부 압력 유지를 위해 워터탱크에 형성되는 외기 유입공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워터탱크 내에서 급수되는 유량을 감지하는 플로 미터(flow meter) 및 이에 결합된 PCB는 일체로 융착된 탱크 내에서 별도 분리가 되지 않게끔 수용되어 있다. 만일 PCB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워터탱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비스 시 워터탱크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내부의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워터탱크 내부의 PCB센서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내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갖는 경사 리브로서, 그 하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격벽과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세척수가 상기 경사 리브의 상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 마련되는 자유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자유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기울어진다.
또한, 상기 격벽과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세척수의 수면이 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에어 포켓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외부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터브 연결공, 상기 워터탱크의 좌측 하부에 마련되는 외기 유입공 및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터브 연결공 및 상기 외기 유입공을 연결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기 유입공이 우측 하부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터탱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경사 리브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의 일부를 가둘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넘친 세척수가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간섭하도록, 상기 터브 연결공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는 물넘침 방지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회전 시 상기 터브연결공과 상기 외기유입공 사이에서 상기 세척수가 집수 되도록 마련되는 집수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수 리브는 상기 터브 연결공으로부터 상기 워터탱크의 측부로 연장되는 제1벽, 상기 제1벽과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2벽, 상기 제2벽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연결공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회전 시 상기 집수 리브에 집수되지 않은 세척수가 상기 외기 유입공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수 리브와 상기 외기 유입공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출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는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체크하도록 마련되는 플로미터(flow meter), 상기 플로미터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대응되고 상기 플로미터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갖는 제2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는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일 단부에 후크를 포함하는 폴딩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폴딩플랜지가 상기 플로미터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플로미터는 임펠러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과 연결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전선걸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PCB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면에서 돌출되는 가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체크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플로미터(flow meter), 상기 플로미터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로서, 상기 플로미터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폴딩플랜지를 갖는 제2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플로미터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플랜지는 상기 제2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일 단부에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로미터는 임펠러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과 연결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전선걸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저장부로서, 세척수 유출 개구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격벽, 내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외기 유입공, 상기 저장부와 상기 외기 유입공을 연결하는 유로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에어 포켓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격벽과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서 상기 세척수 유출 개구를 형성하는 자유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연장부 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에어 포켓이 형성되도록 경사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압을 이용해 워터탱크가 기울어졌을 때 세척수가 저장부 밖으로 넘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만일 저장부 밖으로 세척수가 넘친 경우에도, 외기유입공을 통해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폴딩 플랜지를 형성하여 식기세척기 외부에서 PCB만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비용 및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탱크가 터브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탱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탱크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D부분에 플로미터가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로 미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탱크에서 폴딩 플랜지가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폴딩 플랜지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폴딩 플랜지가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폴딩 플랜지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구(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 5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 52, 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 52, 5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52)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바스켓(52)은 중간 가이드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바스켓(51)은 하부 가이드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랙(13a) 및 하부 가이드랙(13b)은 터브(12)의 개구(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측면(12d)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12) 측면(12d)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은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바스켓(53)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랙 어셈블리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도 있다. 다만,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도 1 내지 도 3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터브(12)의 크기에 따라 상부 바스켓(53)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납용기는 중간 바스켓(52)과 하부 바스켓(51)으로만 구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7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인 세척실(C)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C)은 터브(12)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섬프(70)는 터브(12)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유닛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바스켓(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분사유닛(41)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분사유닛(42)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바스켓(5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분사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유닛(41)은 제1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분사유닛(42)은 제2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3분사유닛(43)은 제3회전축(4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분사유닛(41)은 제2분사유닛(42)과 제3분사유닛(43)과 달리 하면(12b) 일측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1분사유닛(41)은 고정된 노즐에 의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 하도록 마련되고, 제1분사유닛(41)의 노즐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실(C)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측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는 홀더에 의해 레일 상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분사유닛(43)은 상부 바스켓(53) 및 중간 바스켓(52), 하부 바스켓(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2분사유닛(42)은 중간 바스켓(52) 및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분사유닛(41)은 제2분사유닛(42) 및 제3분사유닛(43)과 달리 터브(12)의 하면(12b)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분사유닛(41)은 섬프(7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70)에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으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3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30)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순환 펌프(30)와 연결되는 교번 장치(80)를 통해 제1분사유닛(41)으로 공급되거나 덕트(9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2분사유닛(42) 또는 제3분사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프(70)에 저수된 세척수 또는 외부에서 식기세척기(1)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순환 펌프(30)에 의해 교번 장치(80)로 유동될 수 있다.
교번 장치(80)는 제1분사유닛(41)과 연결되는 커넥터(81)를 통해 제1분사유닛(41)에 세척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덕트(90)와 연결되는 유로(62)를 통해 덕트(90)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교번 장치(80)는 커넥터(81)와 덕트(90) 중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 아래에 배치되는 기계실(L)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81)의 적어도 일부와 유로(62)는 세척실(C)의 하측에 마련되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넥터(81)의 적어도 일부와 유로(62)는 터브(12)의 하면(12b)보다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수는 커넥터(81)와 유로(62)를 통해 세척실(C) 내부에 배치되는 제1분사유닛(41)과 덕트(90)로 유동될 수 있다. 세척수는 덕트(90)를 통해 제2분사유닛(42)과 제3분사유닛(43)으로 유동될 수 있다.
기계실(L)에는 상술한 순환 펌프(30), 섬프(70), 교번 장치(80)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급수 호스(미도시)와 배수 호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12)는 측면(12d)에 형성되는 연결홀(12e)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홀(12e)은 후술할 워터 탱크(100)의 터브연결공(24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 탱크가 터브(12)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 탱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 탱크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워터 탱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터브(1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워터 탱크(100)는 터브(12)의 측면(12d)에 장착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섬프(70)와 연결되어 섬프(70)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 이에 관련한 구체적인 연결 관계는 도시하지 않았다.
워터 탱크(100)는 기본적으로 식기세척기(1) 내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플로미터(110, flow 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워터 탱크(100)의 외주면에는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폴딩플랜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최근에는 에너지 절감 이슈로 인하여 워터 탱크(100)에 더욱 많은 기능이 추가 되고 있다. 워터 탱크(100)는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미리 저장하여 상수도의 차가운 물을 실내 상온과 같은 온도로 만들 수 있다.
세척수는 일정 시간 동안 워터 탱크(100)의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척수의 온도(약 15
Figure pat00001
는 상온(약 23
Figure pat00002
과 비슷해진다. 따라서, 별도로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는 복수의 케이스(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300)는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300)는 서로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300)는 서로 결합되어 워터 탱크(1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제2케이스(300)와 대응되게 마련되어 워터 탱크(100) 내부의 복수의 유로(231, 232, 233, 234) 및 저장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300)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의 구조는 대부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케이스(200)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나, 제2케이스(300)에도 동일한 구조가 마련되어 동일한 도면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는 터브(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케이스(200)는 터브(12)의 측면(12d)에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케이스(300)는 제1케이스(200)와 결합되어 제1케이스(200)보다 터브(12)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에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 시키거나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유입공(25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기유입공(250)은 제2케이스(30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케이스(200)는 공기를 터브(12)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터브(12)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터브연결공(24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연결공(240)은 터브(12)의 측면(12d)에 형성되는 연결홀(12e)에 연결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누수없이 워터 탱크(100)와 터브(12)의 측면(12d)을 연결하는 캡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재(180)는 워터 탱크(100)의 터브연결공(240) 및 터브(12)의 연결홀(12e)에 장착되어 실링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케이스(200)에는 워터 탱크(100)를 터브(12)의 측면(12d)에 결합시키기 위한 터브 고정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 고정부(12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 고정부(120)를 통해서 워터 탱크(100)를 터브(12)의 측면(12d)에 고정할 수 있다.
터브 고정부(120)는 제1터브 고정부(120), 제2터브 고정부(120), 제3터브 고정부(120) 및 제4터브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터브 고정부(120) 내지 제4터브 고정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터브 고정부(120) 내지 제4터브 고정부(120)는 워터 탱크(100)에 4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터브 고정부(120)의 개수는 제1케이스(200)의 크기, 터브(12)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결합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90)는 워터 탱크(100)의 제1케이스(200) 및 제2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제1터브 고정부(120)에 삽입되어 터브(12)와 워터 탱크(100) 간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저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급수부(131)를 통해 연수된 세척수가 저장부(210)로 유입될 수 있다. 저장부(210)로 유입된 세척수는 저장부(210) 내부에 저장되어 상온으로 유지됨에 따라 세척수를 가열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제1케이스(200) 하단부(281b)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도록 마련되는 급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급수부(131)로부터 유입된 물이 연수장치(미도시)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연수장치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워터 탱크(100)는 하단부(281b)에 형성되며 연수장치(미도시)로부터 연수된 세척수가 저장부(210)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연수유입부(134) 및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섬프(70)로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섬프연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세척이 끝난 세척수가 배수펌프(미도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섬프(70)와 연결되는 섬프배수연결부(136)와, 섬프배수연결부(136)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수호스연결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워터 탱크(100)는 별도로 마련되는 연수장치(미도시)의 이온 교환을 위해 저장부(210)로부터 세척수가 유동하는 재생수투입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플로미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미터(110)는 급수부(131)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체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로미터(110)에 관한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워터 탱크(100)는 복수의 리브(150, Ri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터 탱크(100)의 저장부(210)에 복수의 리브(15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50)는 급수부(131)에서 저장부(21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수가 균일하게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장부(210) 내에 차오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수가 워터 탱크(100)에 가하는 압력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어, 워터 탱크(100)의 배부름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탱크(100)는 애프터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눕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 탱크(100)는 좌측 하부에 마련된 외기유입공(250)의 위치가 우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세척수유동홀(212)이 외기유입공(25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는 복수의 유로(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터 탱크(100)는 제1유로(231), 제2유로(232), 제3유로(233) 및 제4유로(2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워터 탱크(100)가 세워진 원래의 상태를 제1상태로, 서비스를 위해 워터 탱크(100)가 도 5와 같이 회전되어 눕혀진 상태를 제2상태로 명명한다.
워터 탱크(100)는 제1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231)는 세척수가 급수부(131)로 유입되어 연수장치연결부(133)로 유출되도록 마련된다. 유로벽(236)은 제1유로(231)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231)에는 플로미터(110)가 설치되어 급수부(131)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의 제1유로(231)는 워터 탱크(100)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231)는 유입되는 물의 유동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워터 탱크(100)의 제1유로(231)상에는 에어 브레이크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유로(231)를 형성하는 유로벽(236)에 에어 브레이크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연수장치연결부(133)로 유출된 세척수는, 연수장치에서 연수 과정을 거쳐 연수유입부(134)를 통해 저장부(210)로 유입된다. 연수장치(미도시)는 이온화 수지 필터가 장착된 연수통(미도시)과, 소금과 같은 물질이 들어있어 연수통에 장착된 이온화 수지 필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재생통(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수장치에서 연수되어 워터 탱크(10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제1상태에서, 연수유입부(134)와 섬프연결부(135)를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세척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리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50)는 저장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리브는 사선으로 배치되는 제1리브(151)와, 제1리브(151)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리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151)와 제2리브(152)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50)는 워터 탱크(100) 내부의 저장부(210)에서 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유입된 세척수는 저장부(210)에서 경사 리브(220) 와 접할 때까지 차오를 수 있다. 이 때, 경사리브(220)는 그 하부에 에어포켓(P)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 리브(220) 는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리브(22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워터 탱크(100)는 제2유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232)는 저장부(210)로부터 넘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리브(220)의 일 측에 세척수유동홀(212)이 마련되어 저장부(210)로부터 경사리브(220)의 상부로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는 제2유로(232)를 따라 저장부(210)로부터 터브연결공(240)을 통해 터브(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제2유로(232)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232)는 저장부(210), 터브연결공(240), 외기유입공(250)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브(12) 내부의 압력 및 워터 탱크(100)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된 공간에 물이 차오르는 것이 아니어서 저항 없이 세척수가 워터 탱크(100) 내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제3유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유로(233)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연수장치(미도시)를 재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3유로(233)는 저장부(210)와 재생수투입부(13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는 제2워터플로우벽(235)을 통해 제3유로(233)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워터 탱크(100)는 제4유로(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유로(237)는 배수유로(62)로 마련될 수 있다. 제4유로(237)는 섬프배수연결부(136)와 배수호스연결부(137)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유로(237)는 세척이 끝난 세척수가 배수펌프(미도시)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기유입공(250)은 제1상태를 기준으로 워터 탱크(100)의 좌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세척수유동홀(212)은 워터 탱크(100)의 우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외기유입공(250)의 위치는 세척수유동홀(21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수유동홀(212)이 워터 탱크(100)의 좌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면 외기유입공(250)의 위치는 워터 탱크(100)의 우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가 제2상태일 때,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수유동홀(212)을 통해 제2유로(232)로 유동할 수 있다. 세척수유동홀(212)과 외기유입공(250)의 위치를 워터 탱크(100) 내에서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세척수유동홀(212)을 통해 넘친 세척수의 유동 경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외기유입공(25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2유로(232)상에 다수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는 경사리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리브(220)는 저장부(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격벽(211)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11)은 저장부(210)의 일 측면(12d)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격벽(211)은 제1유로(231)를 형성하는 유로벽(236)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격벽(211)은 저장부(210)의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리브(220)는 연장부(221) 및 자유단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리브(220)는 격벽(211)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221)는 경사리브(220)에서 격벽(211)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자유단부(222)는 연장부(221)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자유단부(222)의 측부에 세척수유동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유동홀(212)을 통해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가 경사 리브(220) 의 상부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저장부(210)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경사리브(220)와 접할 때까지 저장부(210) 내에서 차오를 수 있다. 세척수의 수면이 경사리브(220)에 접할 때의 수위를 저장부만수위(F)라 명명한다.
경사리브(220)는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리브(220) 는 연장부(221)가 자유단부(222)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세척수가 차오르면서 저장부만수위(F)까지 도달했을 때, 경사리브(220)의 연장부(221)와 격벽(211) 및 세척수의 수면이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폐공간에는 에어포켓(P)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포켓(P)에 의해 경사리브(220) 하부의 세척수는 저장부만수위(F) 이상으로 높아질 수 없게 된다.
이후 세척수가 저장부만수위(F)까지 차오른 이후에 추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세척수유동홀(212)을 통해 경사리브(220)의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수유동홀(212)은 제2유로(232)를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저장부(210)와 터브연결공(240)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리브(220)의 경사각(θ)은 10도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경사리브(220)가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θ)을 갖는 경우, 격벽(211)과 경사리브(220) 및 수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포켓(P)의 면적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저장부(210)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세척수의 저장량을 일정 정도 이상 확보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경사 리브(220) 의 경사각(θ)은 10도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경사 리브(220) 하부에 형성되는 에어포켓(P)은, 워터 탱크(100)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세척수유동홀(212)을 통과하는 것을 일정 수준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포켓(P)의 압력을 이용하여 만수위 상태일 때 워터 탱크(100)가 기울어져도 세척수가 저장부(21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간섭하여 세척수의 넘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수가 제2로를 따라 외기유입공(250)으로 유출될 확률을 낮추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의 에어 브레이크 홀(160)은 제1유로(23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브레이크 홀(160)은 제1유로(231)를 형성하는 유로벽(236)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브레이크 홀(160)은 유로벽(236)의 절곡부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절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유속증가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속증가부재(170)는 제1유로(231)에 설치되어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유속증가부재(170)는 유로벽(236)에 결합되어 제1유로(231)의 단면적을 축소시켜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복수의 가이드부(161, 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161, 162)는 에어 브레이크 홀(160)을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161, 162)는 제1가이드부(161) 및 제2가이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61)는 제1유로(231)를 형성하는 유로벽(236)에 형성되고 제1경사로 마련된다. 제1경사는 대략 지면에 수직한 각도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62)는 제1가이드부(161)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경사로 형성되어 물을 제2유로(232)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62)는 제1가이드부(161) 보다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62)는 에어 브레이크 홀(16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워터 탱크(100)는 저장부(210)로부터 넘친 물이 터브(12)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2유로(232)를 형성하는 제1워터플로우벽(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워터플로우벽(234)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유로(231)를 형성하는 유로벽(236)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2유로(232)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벽(236)은 제1워터플로우벽(234)의 높이만큼 절개되는 플로우홈(23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워터플로우벽(234)은 제1케이스(200)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방이라 함은 제1케이스(200)에서 터브(12)를 향하는 방향이다.
세척수는 제1워터플로우벽(234)과 플로우홈(236a)을 통해 제2유로(232)를 유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210)에서 넘쳐 흐른 세척수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유동홀(212)을 통해 경사 리브의 상부로 유동할 수 있고 제1워터플로우벽(234)과 플로우홈(236a)을 통해 워터 탱크(100)의 측부로 유동할 수 있다. 측부로 유동된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워터 탱크(100)로부터 터브연결공(24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세척기(1)의 서비스를 위해 워터 탱크(100)가 제2상태로 회전되었을 때 세척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8을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는 서비스를 위해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유동홀(212)이 상부에 위치하고 외기유입공(250)이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2상태라 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애프터서비스를 위해 워터 탱크(1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식기세척기(1)의 도어(11)가 바닥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워터 탱크(100)가 회전하는 경우 외기유입공(250)이 워터 탱크(10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척수가 유출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서비스를 위해 도 5와 같이 외기유입공(250)이 워터 탱크(100)의 우측 하부에 위치되도록 워터 탱크(100)를 눕힌 제2상태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워터 탱크(100)가 제2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는 경사리브(220)에 의해 외기유입공(250)으로의 유출이 1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리브(220)가 저장부(210)의 측면(12d)을 형성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회전 시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의 일부를 가둘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에어포켓(P)은 워터 탱크(100)의 회전 시 세척수의 수면을 따라 함께 이동함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유동홀(212)로 흐르는 것을 일정 수준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포켓(P)의 압력으로 세척수가 제2유로(232)를 유동하는 1차적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세척수유동홀(212)이 마련됨에 따라 세척수가 제2유로(232)로 유동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제2유로(232)를 따라 유동하는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외기유입공(250)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여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물넘침방지리브(26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넘침방지리브(260)는 제2유로(232)의 단부(281b)에 형성될 수 있다. 물넘침방지리브(260)는 워터 탱크(100)가 제1상태인 경우 세척수를 터브연결공(24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워터 탱크(100)가 제2상태인 경우 물넘침방지리브(260)는 세척수가 더 이상 외기유입공(250)과 인접한 측으로 넘칠 수 없게끔 세척수가 제2유로(232)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간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물넘침방지리브(260)는 터브연결공(240)의 외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넘침방지리브(260)는 워터 탱크(100)가 제2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중력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세척수의 유동을 간섭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집수리브(27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리브(270)는 터브연결공(240)과 외기유입공(2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리브(270)는 워터 탱크(100)가 제2상태일 때 물넘침방지리브(260)를 넘어온 세척수를 집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수리브(270)는 제1벽(271), 제2벽(272) 및 제3벽(2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벽(271)은 터브연결공(240)으로부터 워터 탱크(100)의 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벽(272)은 제1벽(271)과 연결되어 워터 탱크(100)의 제1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벽(273)은 제2벽(272)과 연결되어 워터 탱크(100)의 제1상태를 기준으로 터브연결공(240)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벽(271)과 제2벽(272) 및 제3벽(273) 사이에는 집수공간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집수될 수 있다.
워터 탱크(100)는 복수의 유출방지리브(281, 282, 28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출방지리브(281, 282, 283)는 집수리브(270)와 외기유입공(250)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유출방지리브(281, 282, 283)는 워터 탱크(100)의 회전 시 집수리브(270)에 집수되지 않고 집수리브(270) 밖으로 넘친 세척수가 외기유입공(250)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유출방지리브(281, 282, 283)는 연결부(281a) 및 단부(28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81a)는 워터 탱크(100)의 내측벽(201)과 연결되거나 워터 탱크(100)의 내측벽(201)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부(281b)는 연결부(281a)의 일 단에 형성되어 공기가 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한 유출방지리브(281, 282, 283)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62)를 지그재그로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공기는 통하되 세척수는 통과하기 어렵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유출방지리브(281, 282, 283)는 워터 탱크(100)의 제1상태를 기준으로 단부(281b)가 연결부(281a) 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는 제2워터플로우벽(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워터플로우벽(235)은 워터 탱크(100)의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워터플로우벽(235)은 저장부(2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제3유로(233)로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수장치(미도시)는 급수부(131)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함유된 중금속 및 금속성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하도록 마련된다. 연수장치(미도시)는 세척수를 세척력이 우수한 연수로 바꾸어 준다. 그러나 이러한 연수장치(미도시) 내부의 이온교환 수지는 세척수에 함유된 금속성 이온을 흡착하면서 그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성 이온의 흡착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수투입부(132)로 물을 공급하여 이온 교환 함으로써 연수장치(미도시)의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켜 연수화 능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라 함은 이온교환수지에 함유된 금속성 이온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연수반응이 지속됨에 따라 고갈되는 이온교환수지의 이온을 이온교환반응에 의해 환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워터플로우벽(235)을 통해 연수장치(미도시)의 재생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제1케이스(200)와 제2케이스(300)의 내면이 함께 상술한 각각의 구조들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케이스(200)의 내면에만 상술한 구조가 마련되고, 제2케이스(300)의 내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제1케이스(200)를 덮음으로써 워터 탱크(100)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제2케이스(300)의 내면에만 상술한 구조가 마련되고, 제1케이스(200)의 내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제2케이스(300)를 덮음으로써 워터 탱크(100)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애프터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식기세척기(1)가 회전함에 따라 워터 탱크(100)가 회전해도 워터 탱크(100)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식기세척기(1) 주변의 물품들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어 소비자의 서비스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D부분에 플로미터가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로 미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워터 탱크(100)는 플로미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미터(110)는 제1케이스(200)의 플로미터설치부(140)에 안착될 수 있다. 플로미터설치부(140)는 플로미터(110)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14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미터(110)는 제1유로(231)상에 설치되어 급수부(131)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체크하도록 마련된다.
플로미터(110)는 임펠러(113), 바디(111) 및 PCB(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1)는 제1유로(231)를 형성하며 공급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유로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1)는 PCB(112)가 장착되는 PCB장착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B(11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PCB고정돌기(111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CB(112)는 바디(1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PCB장착부(111b)는 바디(1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PCB(112)는 바디(111)의 상면에 장착되어 일부가 워터 탱크(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PCB(11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임펠러(113)는 바디(1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임펠러(113)는 제1케이스(200)의 임펠러장착부(141)에 장착될 수 있다. 임펠러(113)는 자석안착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13)는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임펠러(113)에 장착된 자석(미도시)을 통해 PCB(112)에 임펠러(113)의 회전수에 관한 신호를 전달하여 유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워터 탱크에서 폴딩 플랜지가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폴딩 플랜지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200)에 장착된 플로미터(110)를 제2케이스(300)가 커버할 수 있다. 제2케이스(300)는 제1케이스(200)에 수용된 플로미터(1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케이스(300)는 플로미터(110)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300)는 폴딩플랜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플랜지(320)는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된다. 폴딩플랜지(320)는 제2케이스(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폴딩플랜지(320)는 후크(3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321)는 폴딩플랜지(32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321)는 커버부(310)에 결합되어 폴딩플랜지(320)가 플로미터(11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폴딩플랜지(320)는 후크(3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호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21)는 폴딩플랜지(320)가 폴딩된 경우 PCB(112)와 제2케이스(300) 사이의 이격된 공간 일부를 커버하여 PCB(112)를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폴딩플랜지(320)는 폴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323)는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폴딩플랜지(320)가 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10)는 후크삽입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플랜지(320)가 폴딩된 상태일 때 후크(321)는 후크삽입홀(3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케이스(300)는 커버부(310)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개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330)는 제2케이스(3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30)를 통해, 플로미터(110)의 PCB(11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부(330)로 노출된 PCB(112)와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스(300)는 개방부(330)와 연결되는 전선걸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걸이부(340)는 제2케이스(3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선걸이부(340)는 개방부(330)로부터 워터 탱크(100)의 하부를 향해 절개될 수 있다.
개방부(330)와 전선걸이부(340) 사이에는 전선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홈(350)은 제2케이스(300)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홈(350)을 통해 PCB(112)와 연결되는 전선의 위치가 가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걸이부(340)는 PCB(112)와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300)는 가드(3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360)는 PCB(112)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케이스(300)의 외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폴딩 플랜지가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폴딩 플랜지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폴딩플랜지(320)의 후크(321)는 연결부(321b) 및 걸림부(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21b)는 대략 제2케이스(300)의 두께만큼 폴딩플랜지(32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321a)는 연결부(321b)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21a)는 커버부(310)의 후크삽입홀(311)을 통과하여 폴딩플랜지(320)가 폴딩된 상태에서 커버부(310)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후크(321)는 평면부(32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321c)는 걸림부(321a)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 탱크(100)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구조이다. 후크(321)가 평면부(321c)를 가짐으로써, 후크(321)를 사출 성형하는 금형이 상하빼기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별도의 슬라이드 코어가 필요하지 않고 금형을 상, 하로만 분리하여 내부 사출물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금형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로미터(110)의 PCB(112)는 워터 탱크(100)의 내부에 함께 융착되어, 불량이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PCB(112)만 별도로 교체할 수 없고 워터 탱크(100) 전부를 교체하여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워터 탱크(100)에 폴딩플랜지(32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엔지니어가 선택적으로 폴딩플랜지(320)와 커버부(3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 외부에서 간단한 공구를 이용해 폴딩플랜지(320)의 후크(321)를 커버부(310)에서 빼내면 PCB(112)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PCB(112)만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수리 비용 또는 서비스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12; 터브
70; 섬프
100; 워터탱크
200; 제1케이스
210; 저장부
211; 격벽
212; 세척수유동홀
220; 경사리브
221; 연장부
222; 자유단부
240; 터브연결공
250; 외기유입공
110; 플로미터
300; 제2케이스
310; 커버부
320; 폴딩플랜지
321; 후크

Claims (20)

  1.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내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갖는 경사 리브로서, 그 하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격벽과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기 세척수가 상기 경사 리브의 상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 마련되는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자유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기울어지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세척수의 수면이 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에어 포켓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외부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벽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터브 연결공;
    상기 워터탱크의 좌측 하부에 마련되는 외기 유입공; 및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터브 연결공 및 상기 외기 유입공을 연결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공이 우측 하부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워터탱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경사 리브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의 일부를 가둘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넘친 세척수가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간섭하도록, 상기 터브 연결공의 외곽을 따라 연장되는 물넘침 방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회전 시 상기 터브연결공과 상기 외기유입공 사이에서 상기 세척수가 집수 되도록 마련되는 집수 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리브는
    상기 터브 연결공으로부터 상기 워터탱크의 측부로 연장되는 제1벽;
    상기 제1벽과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2벽;
    상기 제2벽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연결공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벽;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회전 시 상기 집수 리브에 집수되지 않은 세척수가 상기 외기 유입공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집수 리브와 상기 외기 유입공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출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탱크는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체크하도록 마련되는 플로미터(flow meter);
    상기 플로미터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대응되고 상기 플로미터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갖는 제2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일 단부에 후크를 포함하는 폴딩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폴딩플랜지가 상기 플로미터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미터는
    임펠러를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과 연결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 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전선걸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PCB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면에서 돌출되는 가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체크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플로미터(flow meter);
    상기 플로미터가 수용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로서, 상기 플로미터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폴딩플랜지를 갖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플로미터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플랜지는 상기 제2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일 단부에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미터는
    임펠러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과 연결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하도록 절개 형성되는 전선걸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워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탱크는
    세척수를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저장부로서, 세척수 유출 개구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일 측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격벽;
    내부 압력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외기 유입공;
    상기 저장부와 상기 외기 유입공을 연결하는 유로;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세척수의 수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에어 포켓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격벽과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 단에서 상기 세척수 유출 개구를 형성하는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00090728A 2020-06-22 2020-07-22 식기 세척기 KR20220011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28A KR20220011903A (ko) 2020-07-22 2020-07-22 식기 세척기
PCT/KR2021/007811 WO2022019493A1 (ko) 2020-07-22 2021-06-22 식기 세척기
US18/090,001 US20230144208A1 (en) 2020-06-22 2022-12-2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28A KR20220011903A (ko) 2020-07-22 2020-07-22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03A true KR20220011903A (ko) 2022-02-03

Family

ID=7972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28A KR20220011903A (ko) 2020-06-22 2020-07-22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44208A1 (ko)
KR (1) KR20220011903A (ko)
WO (1) WO20220194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130B1 (ko) * 2004-05-2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100772230B1 (ko) * 2006-09-2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급수방법
KR102125724B1 (ko) * 2013-09-10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440475B1 (ko) * 2018-01-16 2022-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의 구동방법
IT201800007257A1 (it) * 2018-07-17 2018-10-17 Dispositivo distributore di acqua per un elettrodomestico di lavagg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4208A1 (en) 2023-05-11
WO2022019493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25209B (zh) 用于洗碗机的水箱和具有其的洗碗机
US9510725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25724B1 (ko)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CN101103892B (zh) 洗碗机
US20080149148A1 (en) Sump of dishwasher
KR20080028521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US20230148829A1 (en) Dishwasher
KR102487867B1 (ko) 식기세척기
JP2008513092A (ja) 食器洗い機
CN101164489B (zh) 洗碗机的水槽
US7730897B2 (en) Dishwasher
KR20220011903A (ko) 식기 세척기
US20230165429A1 (en) Dishwasher
US12016508B2 (en)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S2555655T3 (es) Método de control del funcionamiento de una máquina para lavar y máquina para lavar asociada
KR100640797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US7896975B2 (en) Sump assembly and dish washer using the same
CN211432777U (zh) 一种洗碗机
CN211432776U (zh) 一种洗碗机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US20080163901A1 (en) Sump of Dish Washer
CN100413453C (zh) 洗碗机的贮槽结构
KR20210102598A (ko) 식기 세척기
KR100772229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