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55A -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 Google Patents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55A
KR20220011355A KR1020200090140A KR20200090140A KR20220011355A KR 20220011355 A KR20220011355 A KR 20220011355A KR 1020200090140 A KR1020200090140 A KR 1020200090140A KR 20200090140 A KR20200090140 A KR 20200090140A KR 20220011355 A KR20220011355 A KR 2022001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main body
ball
measur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567B1 (ko
Inventor
박순백
Original Assignee
박순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백 filed Critical 박순백
Priority to KR102020009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5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6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more than one pendul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G01C2009/107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sphe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폭 방향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폭 방향 안내홈에 볼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좌,우 경사도를 측정하는 좌,우 경사측정부;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 일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길이방향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안내홈에 볼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를 측정하는 전,후 경사측정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에 수용된 볼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에 수용된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상기 볼의 이동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에 구비되는 좌,우 경사측정부와 전,후 경사측정부를 통해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 및 좌,우 경사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볼의 이동 방향과 볼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쉽게 파악함으로써 퍼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Golf Equipment For Slope Measurement}
본 발명은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골프장 그린의 경사도와 경사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린 경사 정도에 따른 퍼팅 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중 골프는 골퍼가 별도의 기구, 예로서 골프클럽이나 퍼터를 손에 들고 하는 운동이며, 골프에 있어서는 골퍼가 그린의 경사도 등에 적절히 대응하여 자세를 잡고 샷을 하여야만 원하는 거리와 방향으로 볼을 보낼 수 있는 것으로 골퍼가 경사도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그린 위에서 볼을 홀컵에 넣기 위해서는 퍼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볼이 그린 위를 굴러 홀컵에 보내지게 되므로 그린의 경사각을 어떻게 읽고 볼을 어떤 방향으로 그리고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가격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린의 경사각을 골퍼 스스로가 판별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아 퍼팅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즉, 그린은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우러져 있으므로 골퍼 스스로가 육안으로 높고 낮은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 일로써, 착시현상에 의하여 경사각을 잘못 판단하여 퍼팅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다. 퍼팅 시 대략적으로나마 어느 쪽이 높고 낮은가만 확인될 수 있다면 퍼팅 시 볼의 방향성 및 거리에 따른 실수는 최소화될 수 있으나 주변 환경에 따른 착시현상에 의하여 실수를 저지르게 되는 것으로 스코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1980호에서는 소정 크기의 원형의 오목한 일정 곡율 반경을 가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판사이의 중공에 놓이게 되는 마이크로볼의 위치에 의해 그린의 경사를 파악하게 되는 마이크로볼을 이용한 그린경사 측정 마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곡률반경을 갖는 오목한 구면 바닥을 형성하는 투명플라스틱 몸체 내부에 마이크로볼을 수용하여 경사에 의해 마이크로볼이 이동하도록 하며, 투명몸체의 상판에는 5mm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마이크로 볼의 이동정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금속의 볼마커 상면에 마이크로 볼이 내장된 플라스틱 몸체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마이크로볼의 무게가 약하다 보니 플라스틱 몸체의 오목한 구면의 전체 바닥을 너무 쉽게 굴러다니게 되어 그린 경사도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린의 경사 방향은 파악되더라도 경사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이 안 되어 어느 정도의 강도로 골프공을 쳐야 하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21980호(공개일 2009.03.04)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4251호(등록일 2003.11.1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 및 좌,우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하게 됨으로써 퍼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제조의 용이성과 제조 비용을 낮춤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휴대의 용이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는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폭 방향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폭 방향 안내홈에 볼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좌,우 경사도를 측정하는 좌,우 경사측정부;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 일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길이방향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안내홈에 볼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를 측정하는 전,후 경사측정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에 수용된 볼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에 수용된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상기 볼의 이동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바닥면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바닥면은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기울기를 갖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안내홈 바닥의 중앙에서 좌,우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단계적인 경사각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적인 경사각은 상기 안내홈 바닥의 중앙 0도를 기준으로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점차적으로 1도씩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내홈 바닥의 중앙 0도에서 일측 가장자리 끝이 이루는 각도는 3도∼6도 각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홈의 바닥에는 중앙 부분과, 상기 경사각이 1도씩 증가하는 부분에 미세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볼이 상기 미세홈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홈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컬러의 도료가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1도씩 증가하는 경사각 또는 미세홈에 대응하여 눈금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와 수평을 이루는 일 측면에 상기 골프공의 일부를 지지시켜 상기 골프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골프공의 일부 구면에 대응하는 만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폭 방향 안내홈의 단턱에 결합되는 제 1 캡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길이방향 안내홈의 단턱에 결합되는 제 2 캡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가 홀컵을 향하여 홀컵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본체의 방향과 중심을 나타내는 기준선이 표기되는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준선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홈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컬러의 도료가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에 구비되는 좌,우 경사측정부와 전,후 경사측정부를 통해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 및 좌,우 경사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볼의 이동 방향과 볼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쉽게 파악함으로써 퍼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저면에 표시된 기준선을 통해 골프공의 퍼팅 방향성을 파악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른 착시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퍼팅 시 볼의 방향성 및 퍼팅 강도에 따른 실수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쓰리퍼팅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휴대의 용이성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공정 및 제조단가를 줄임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에서 그린의 기울기에 따른 볼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로서, 캡이 좌,우 경사측정부와 전,후 경사측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에서 본체의 저면에 기준선이 표기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를 골프 퍼팅 그린에 놓고 그린의 경사방향 및 경사도를 파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의 저면에 표시된 기준선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퍼팅 방향성을 파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의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는 본체(110), 좌,우 경사측정부(120), 전,후 경사측정부(130), 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10)는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형태를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형상은 직사각,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일면에는 골프공(B)의 일부 구면에 대응하는 만곡홈(111)이 형성된다. 만곡홈(111)은 골프공의 일부를 지지시켜 골프공이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본체(110)는 그린에 밀착되도록 적당한 무게를 갖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10)의 상면에는 일측에 골프장 그린의 좌,우 경사도를 측정하는 좌,우 경사측정부(120)가 구비되고,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일측에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를 측정하는 전,후 경사측정부(130)가 구비된다.
좌,우 경사측정부(120)는 본체(1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폭 방향 안내홈(121)이 형성되고, 폭 방향 안내홈(121)에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볼(123)이 삽입된다.
그리고, 전,후 경사측정부(130)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길이방향 안내홈(13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안내홈(131)에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볼(133)이 삽입된다.
여기서,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안내홈(121)과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안내홈(131)은 각각 볼(123, 133)이 원활이 굴러다니도록 모서리 및 코너 부분이 R가공되어 곡면을 이룬다.
또한,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안내홈(121)의 바닥면과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안내홈(131)의 바닥면은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기울기를 갖는다.
도 3의 A-A'선 단면에 도시된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안내홈(121) 바닥면 기울기와 도 4의 B-B'선 단면에 도시된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안내홈(131) 바닥면 기울기는 각각 안내홈(121,131) 바닥의 중앙에서 좌,우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단계적인 경사각이 주어지는데, 단계적인 경사각은 안내홈(121,131) 바닥의 중앙 0도를 기준으로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점차적으로 1도씩 증가한다. 즉, 안내홈(121,131) 바닥의 중앙 0도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1도 경사, 2도 경사, 3도 경사, 4도 경사 등으로 1도씩 상향 경사지는 기울기를 가진다. 이때, 안내홈(121,131) 바닥의 중앙 0도에서 일측 가장자리 끝이 이루는 경사각도는 3도∼6도 각도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4도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안내홈(121,131) 바닥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1도씩 상향 경사지는 면을 연결하면 소정크기 원의 곡률반경을 갖게 된다.
그리고, 안내홈(121,131)의 바닥에는 중앙 부분과, 좌, 우 양측으로 경사각이 1도씩 증가하는 부분에 각각 미세홈(122,132)이 형성된다.
미세홈(122,132)은 본체(110)의 기울기에 따라 볼(123,133)이 미세홈(122,132)에 위치하게 하여 볼(123,133)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또한, 본체(110)의 상면에는 좌,우 경사측정부(120)와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1도씩 증가하는 경사각 또는 미세홈(122,132)에 대응하여 눈금(미도시)이 표기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의 평평한 상태에서는 안내홈(121,131) 바닥 중앙 0도 위치의 미세홈(122,132),에 위치하던 볼(123,133)이 본체(110)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이동하여 멈추는 미세홈(122,132)의 위치를 통해 볼(123,133)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린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고 본체(110)가 전,후 방향으로 1도 기울기일 경우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볼(133)이 이동하여 1도 경사 위치의 미세홈(132)에 위치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3도 기울기일 경우 볼(133)이 이동하여 3도 경사 위치의 미세(132)홈에 위치하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4도 기울기일 경우 볼(133)이 이동하여 4도 경사 위치의 미세홈(132)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볼(133)의 미세홈 위치를 통해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이처럼,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하게 되면 골프공(B)을 얼마나 더 세게 또는 더 약하게 쳐야하는지 퍼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는 전,후 경사측정부(130)를 도시하여 그린의 전,후 기울기 정도를 파악하는 설명하였으나. 좌,우 경사측정부(120)도 동일한 방법으로 그린의 좌,우 기울기 정도를 파악한다.
캡(140)은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안내홈(121)에 수용된 볼(123)과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안내홈(131)에 수용된 볼(133)이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볼(123,133)의 이동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캡(140)은 일 실시형태의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안내홈(121)과,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안내홈(131)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본체(110) 상면 테두리 즉, 좌,우 경사측정부(120)와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외측을 따라 단턱(112)을 형성하고, 단턱(112)에 캡(140)이 끼움 고정되어 본체(110)의 상면과 평평한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캡(140)은 다른 실시 형태의 예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안내홈(121)의 상단 테두리와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안내홈(13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단턱(112)이 형성되고, 캡(140)은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볼(123)이 이탈되지 않도록 폭 방향 안내홈(121)의 단턱에 결합되는 제 1 캡(140a)과,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볼(133)이 이탈되지 않도록 길이방향 안내홈(131)의 단턱에 결합되는 제 2 캡(140b)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저면에는 본체(110)가 그린 위에 놓일 때 홀컵(H)을 향하여 홀컵(H) 중심의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본체(110)의 방향과 중심을 나타내는 기준선(150)이 표기된다.
기준선(150)은 본체(110)의 저면 상에서 중심을 가로지르는 선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본체(110)의 중심을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홈은 V홈, U홈, ┖┚홈 형태의 것일 수 있으며, 홈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컬러의 도료가 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골프 경기 중에 자신의 호주머니나 가방 등에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를 휴대하고 있다가 골프 퍼팅 그린에서 골프공(B)을 홀컵(H) 속에 퍼터로 넣기 전에 휴대하고 있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를 꺼내어 해당 퍼팅 그린 위에 놓는다.
그린 위에 놓인 본체(110)는 그린의 경사진 면을 따라 기울어지게 되며, 본체(110)의 기울기에 따라 본체(110)에 구비된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볼(123)과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볼(133)이 각각 본체(110)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굴러가 기울기 0이 되는 지점의 미세홈(122,132)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체(11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좌,우 경사측정부(120)의 볼(123)이 좌측으로 굴러가 기울기 0이 되는 지점의 미세홈(122)에 위치하게 되고, 본체(11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 전,후 경사측정부(130)의 볼(133)이 전방으로 굴러가 기울기 0이 되는 지점의 미세홈(13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볼(123,133)이 멈춘 미세홈(122,132)의 위치를 통해 그린의 경사도와 경사방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로부터 파악된 그린의 경사도 및 경사방향을 이용하여 퍼팅 시 골프공(B)의 퍼팅강도를 파악한다.
이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를 뒤집어서 본체(110)의 저면에 표시된 기준선(150)이 홀컵(H)을 향하여 홀컵(H)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골프공(B)에 표시된 안내선(L)이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의 기준선(150)과 일치하게 하여 골프공(B)의 방향성을 파악한다. 이때, 기준선을 이용하여 볼을 정렬하는 것이 일반 볼마크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것보다 정렬이 훨씬 쉽고 정확하다.
그리고,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를 해당 골프 퍼팅 그린 상에서 제거하고, 퍼터를 이용하여 골프공(B)의 안내선 방향으로 퍼팅한다. 즉,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100)로부터 파악된 그린의 경사도 및 경사방향을 이용하여 퍼팅 시 골프공(B)의 퍼팅강도를 조절하고, 기준선(150)을 통해 확보된 골프공(B)의 퍼팅 방향을 향해 퍼팅하여 골프공(B)을 홀컵(H) 속에 넣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되는 좌,우 경사측정부와 전,후 경사측정부를 통해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 및 좌,우 경사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볼의 이동 방향과 볼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그린 기울기의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퍼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저면에 표시된 기준선을 통해 골프공의 퍼팅 방향성을 파악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른 착시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퍼팅 시 볼의 방향성 및 퍼팅 강도에 따른 실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휴대의 용이성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공정 및 제조단가를 줄임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골프용구 110: 본체
111: 만곡홈 112: 단턱
120: 좌,우 경사측정부 121: 폭 방향 안내홈
122: 미세홈 123: 볼
130: 전,후 경사측정부 131: 길이방향 안내홈
132: 미세홈 133: 볼
140: 캡
150: 기준선

Claims (12)

  1. 골프장의 그린에 맞닿도록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폭 방향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폭 방향 안내홈에 볼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좌,우 경사도를 측정하는 좌,우 경사측정부;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 일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길이방향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방향 안내홈에 볼을 수용하여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골프장 그린의 전,후 경사도를 측정하는 전,후 경사측정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에 수용된 볼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에 수용된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상기 볼의 이동이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내부가 투시되는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바닥면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바닥면은 각각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지는 기울기를 갖되, 상기 기울기는 상기 안내홈 바닥의 중앙에서 좌,우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단계적인 경사각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인 경사각은 상기 안내홈 바닥의 중앙 0도를 기준으로 가장자리를 향해 갈수록 점차적으로 1도씩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 바닥의 중앙 0도에서 일측 가장자리 끝이 이루는 각도는 3도∼6도 각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바닥에는 중앙 부분과, 상기 경사각이 1도씩 증가하는 부분에 미세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볼이 상기 미세홈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볼의 이동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홈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컬러의 도료가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1도씩 증가하는 경사각 또는 미세홈에 대응하여 눈금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와 수평을 이루는 일 측면에 상기 골프공의 일부를 지지시켜 상기 골프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골프공의 일부 구면에 대응하는 만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단턱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을 동시에 커버하며, 상기 본체의 상면과 평평한 동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안내홈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각각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상기 좌,우 경사측정부의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폭 방향 안내홈의 단턱에 결합되는 제 1 캡과, 상기 전,후 경사측정부의 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길이방향 안내홈의 단턱에 결합되는 제 2 캡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가 홀컵을 향하여 홀컵의 중앙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본체의 방향과 중심을 나타내는 기준선이 표기되는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홈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컬러의 도료가 도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KR1020200090140A 2020-07-21 2020-07-21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KR102413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40A KR102413567B1 (ko) 2020-07-21 2020-07-21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40A KR102413567B1 (ko) 2020-07-21 2020-07-21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55A true KR20220011355A (ko) 2022-01-28
KR102413567B1 KR102413567B1 (ko) 2022-06-24

Family

ID=8005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40A KR102413567B1 (ko) 2020-07-21 2020-07-21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5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51Y1 (ko) 2003-08-06 2003-11-22 이종현 골프장의 그린 경사 측정기
JP3127129U (ja) * 2006-08-18 2006-11-24 秀明 小祝 ボールマーカ
KR20090021980A (ko) 2007-08-29 2009-03-04 김대성 마이크로볼을 이용한 그린경사 측정 마커
KR20100060062A (ko) * 2008-11-27 2010-06-07 김태은 골프공 마커
KR101853306B1 (ko) * 2016-12-01 2018-04-30 주식회사 매트로 골프공 마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129B2 (ja) * 1995-09-07 2001-01-22 帝人株式会社 微多孔性シート状物、人工皮革用基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51Y1 (ko) 2003-08-06 2003-11-22 이종현 골프장의 그린 경사 측정기
JP3127129U (ja) * 2006-08-18 2006-11-24 秀明 小祝 ボールマーカ
KR20090021980A (ko) 2007-08-29 2009-03-04 김대성 마이크로볼을 이용한 그린경사 측정 마커
KR20100060062A (ko) * 2008-11-27 2010-06-07 김태은 골프공 마커
KR101853306B1 (ko) * 2016-12-01 2018-04-30 주식회사 매트로 골프공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567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1195B2 (en) Golf ball
US7927226B1 (en) Golf putter having alignment apparatus
US6004223A (en) Golfball stencil
US4441716A (en) Golf ball including alignment markings and golf ball marking device
US9227116B2 (en) Golf putter
US20100130299A1 (en) Visual Aid
US5209470A (en) Golf green slope reading method
CA2736389A1 (en) Golf ball marking stencil and method of use
US9630080B1 (en) Putter alignment apparatus
US6769999B1 (en) Reuseable directional golf tee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50145A (ko) 표시를 포함하는 골프공
US5409212A (en) Combination ball mark repair tool and golf green slope indicator
WO2011126561A1 (en) Golf putt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ining to use a putter
US6974395B1 (en) Golf club and ball marking and alignment device
KR102413567B1 (ko)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US20190255401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US5411253A (en) Putting training method
KR20220020222A (ko) 전,후 좌,우 경사도 측정이 가능한 골프 볼마커 및 이의 사용 방법
US20070213140A1 (en) Golf putter and system incorporating that putter
KR20220001762A (ko) 경사도 측정 골프용구
KR20110042041A (ko) 골프장 그린 경사 측정기
US20060258477A1 (en) Putting practice device and its method of use
KR200488297Y1 (ko) 볼 마커 겸용 골프 볼 라이너
US20050085310A1 (en) Golf ball marking system and method
US5540090A (en) Head balancing fix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