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09A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09A
KR20220011309A KR1020200090029A KR20200090029A KR20220011309A KR 20220011309 A KR20220011309 A KR 20220011309A KR 1020200090029 A KR1020200090029 A KR 1020200090029A KR 20200090029 A KR20200090029 A KR 20200090029A KR 20220011309 A KR20220011309 A KR 20220011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tact
male
bus ba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희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309A/ko
Publication of KR2022001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고전압 커넥터가 제공된다. 고전압 커넥터는, 제1 버스 바와 제2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압 커넥터로, 제1 버스 바에 고정되는 메일 커넥터, 및 제2 버스 바에 고정되며, 메일 커넥터에 체결되는 피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되, 메일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버스 바를 관통하며, 그 외측면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 구조체와, 볼트 구조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버스 바와 접촉하는 제1 콘택 슬리브와, 볼트 구조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콘택 슬리브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콘택을 포함하고, 탄성 콘택은 볼트 구조체를 향해 돌출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들이 설치되며, 이들은 케이블(예를 들어, 버스 바(bus bar))와 그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통해 전원 또는 다른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넥터는 전원과 장치 사이, 장치와 장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생산됨에 따라 고전압 커넥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고전압 커넥터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제1 버스 바와 제2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압 커넥터로, 제1 버스 바에 고정되는 메일 커넥터, 및 제2 버스 바에 고정되며, 메일 커넥터에 체결되는 피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되, 메일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버스 바를 관통하며, 그 외측면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 구조체와, 볼트 구조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버스 바와 접촉하는 제1 콘택 슬리브와, 볼트 구조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콘택 슬리브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콘택을 포함하고, 탄성 콘택은 볼트 구조체를 향해 돌출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 콘택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고리부와, 제1 고리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격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 고리부와, 제1 고리부와 제2 고리부를 연결하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콘택 슬리브는, 제1 콘택 슬리브의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슬리브 트렌치를 포함하고, 탄성 콘택은 슬리브 트렌치 내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콘택 슬리브는, 그 상면이 제1 버스 바와 접촉하며, 제1 두께를 갖는 제1 메일 슬리브와, 제1 메일 슬리브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2 두께를 갖는 제2 메일 슬리브와, 제1 메일 슬리브와 제2 메일 슬리브를 연결하며, 제1 두께 및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갖는 제3 메일 슬리브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 콘택은 제1 메일 슬리브의 하면, 제2 메일 슬리브의 상면 및 제3 메일 슬리브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 구조체는, 제1 버스 바를 관통하는 관통부와, 관통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관통부보다 큰 폭을 갖는 돌림부와, 관통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외측면이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부와, 볼트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볼트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핀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는, 돌림부의 외주면을 덮는 제1 절연 캡핑과, 핀부의 외주면을 덮는 제2 절연 캡핑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는, 제1 버스 바의 상면을 덮는 제1 메일 하우징과, 제1 버스 바의 하면 및 제1 콘택 슬리브의 측면을 덮고, 제1 메일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2 메일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메일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버스 바와 접촉하며, 그 내측면에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 콘택 슬리브와, 제2 콘택 슬리브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피메일 하우징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될 때, 볼트 구조체의 제1 나사산은 제2 콘택 슬리브의 제2 나사산과 체결되고, 탄성 접촉부는 제2 콘택 슬리브의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콘택 슬리브는, 제1 두께를 갖는 제1 메일 슬리브와, 제1 메일 슬리브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메일 슬리브를 포함하고, 제2 콘택 슬리브는, 제3 두께를 갖는 제1 피메일 슬리브와, 제1 피메일 슬리브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며 제3 두께보다 작은 제4 두께를 갖는 제2 피메일 슬리브를 포함하고,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될 때, 제1 메일 슬리브의 하면은 제1 피메일 슬리브의 상면과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될 때, 탄성 접촉부는 제1 피메일 슬리브의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메일 커넥터는, 제2 피메일 슬리브의 외주면을 덮는 절연 캡핑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제2 콘택 슬리브(240)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콘택(150)을 구비하므로,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콘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피메일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 및 피메일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100) 및 피메일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메일 커넥터(100)는 제1 버스 바(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커넥터(100)는 제1 버스 바(1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버스 바(1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성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버스 바(10)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버스 바(flexible bus ba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메일 커넥터(200)는 제2 버스 바(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메일 커넥터(200)는 제2 버스 바(2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버스 바(2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성 케이블일 수 있다. 제2 버스 바(20)는 예를 들어, 전기(전자) 장치 내의 모듈(module)에 고정되는 버스 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커넥터(100)는 일 방향(D)으로 이동되어 피메일 커넥터(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제1 버스 바(10)와 제2 버스 바(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는 자동차용 배터리 내의 서로 다른 모듈들을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탄성 콘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피메일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 및 피메일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참고적으로, 도 6 및 도 7에서, 제1 버스 바(10)는 복수의 도전체들(10a, 10b, 10c, 10d, 10e)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메일 커넥터(100)는 메일 하우징(110, 120), 볼트 구조체(130), 제1 콘택 슬리브(140), 탄성 콘택(150), 제1 절연 캡핑(180) 및 제2 절연 캡핑(19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일 하우징(110, 120)은 제1 버스 바(1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메일 하우징(110, 120)은 제1 버스 바(10)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볼트 구조체(130), 제1 콘택 슬리브(140) 및 탄성 콘택(15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메일 하우징(110, 12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메일 커넥터(1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하우징(110, 120)은 서로 별개로 형성되는 제1 메일 하우징(110) 및 제2 메일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일 하우징(110)은 제1 버스 바(10)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2 메일 하우징(120)은 제1 버스 바(10)의 하면을 덮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메일 하우징(110)과 제2 메일 하우징(120)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일 하우징(110)은 그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체결 돌기(110P)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메일 하우징(120)은 체결 돌기(110P)에 대응되는 체결 홈(120P)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기(110P)가 체결 홈(120P)에 체결됨으로써, 제1 메일 하우징(110)과 제2 메일 하우징(120)은 제1 버스 바(10)에 고정될 수 있다.
볼트 구조체(130)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어 제1 버스 바(1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 바(10)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버스 바 홀(10H)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구조체(130)는 버스 바 홀(1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 구조체(130)는 그 외측면에 제1 나사산(130T)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볼트 구조체(130)는 후술되는 피메일 커넥터(200)의 제2 콘택 슬리브(24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산(130T)은 후술되는 제2 콘택 슬리브(240)의 제2 나사산(240T)과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 구조체(130)는 관통부(134), 돌림부(132), 볼트부(136) 및 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34)는 제1 버스 바(1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부(134)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어 버스 바 홀(1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돌림부(132)는 관통부(134)의 상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림부(132)는 제1 버스 바(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볼트 구조체(130)는 돌림부(132)를 통해 후술되는 제2 콘택 슬리브(24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돌림부(132)에 돌림힘을 가하여 볼트 구조체(130)와 제2 콘택 슬리브(240)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림부(132)의 폭은 관통부(134)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돌림부(132)는 볼트 구조체(130)가 버스 바 홀(10H) 내에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볼트부(136)는 관통부(134)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부(136)는 제2 메일 하우징(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볼트 구조체(130)는 볼트부(136)를 통해 후술되는 제2 콘택 슬리브(24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부(136)는 그 외측면에 제1 나사산(130T)을 포함할 수 있다.
핀부(138)는 볼트부(136)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부(138)는 제2 메일 하우징(120)의 하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핀부(138)의 폭은 볼트부(136)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 구조체(130)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버스 바(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부(134)의 측면은 버스 바 홀(10H)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 구조체(130)는 제1 버스 바(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 구조체(130)는 제1 메일 하우징(110)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일 하우징(110)은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일 하우징 홀(110H)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구조체(130)는 제1 메일 하우징 홀(11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 구조물일 수 있다. 제1 콘택 슬리브(140)는 볼트 구조체(13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1 슬리브 홀(140H)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구조체(1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슬리브 홀(14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볼트부(136)는 제1 콘택 슬리브(1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콘택 슬리브(140)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버스 바(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택 슬리브(140)의 상면은 제1 버스 바(1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제1 버스 바(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메일 하우징(120)은 제1 콘택 슬리브(140)의 측면 및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일 하우징(120)은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일 하우징 홀(120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제2 메일 하우징 홀(120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일 방향(D)에서 변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두께란, 일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제1 메일 슬리브(142), 제2 메일 슬리브(144) 및 제3 메일 슬리브(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일 슬리브(142)는 제1 버스 바(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일 슬리브(142)의 상면은 제1 버스 바(1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메일 슬리브(142)의 내측면은 볼트 구조체(13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일 슬리브(142)와 볼트 구조체(130) 사이에 제1 수용 공간(140H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메일 슬리브(142)는 제1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메일 슬리브(144)는 제1 메일 슬리브(142)의 하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일 슬리브(144)는 제1 메일 슬리브(142)의 하부로부터 일 방향(D)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메일 슬리브(144)의 내측면은 볼트 구조체(13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메일 슬리브(144)와 볼트 구조체(130) 사이에 제2 수용 공간(140H2)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메일 슬리브(144)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수용 공간(140H2)의 폭은 제1 수용 공간(140H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3 메일 슬리브(146)는 제2 메일 슬리브(144)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메일 슬리브(144)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어 제1 메일 슬리브(142)와 제2 메일 슬리브(144)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메일 슬리브(146)는 상기 제2 두께보다 큰 제3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메일 슬리브(146)는 제2 메일 슬리브(144)의 내측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탄성 콘택(150)은 제1 콘택 슬리브(14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콘택(150)은 볼트 구조체(13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콘택(150)은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형 구조물일 수 있다. 탄성 콘택(150)은 볼트 구조체(130)를 향해 돌출되는 탄성 접촉부(150C)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콘택(150)은 제1 고리부(150U), 제2 고리부(150L) 및 복수의 탄성 접촉부(150C)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리부(150U)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리부(150L)는 제1 고리부(150U)로부터 일 방향(D)으로 이격되며,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탄성 접촉부(150C)는 제1 고리부(150U)와 제2 고리부(150L)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탄성 접촉부(150C)는 하며, 중심축(AX)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성 콘택(150)은 열린 고리형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콘택(150)은 절개부(150X)를 포함하는 고리형 구조물일 수 있다. 이는, 탄성 콘택(150)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상의 특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콘택(150)은 도전 물질을 포함하며, 제1 콘택 슬리브(14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콘택(150)은 제1 버스 바(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택 슬리브(140)의 내측면은 슬리브 트렌치(140t)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콘택(150)은 슬리브 트렌치(140t) 내에 배치되어 제1 콘택 슬리브(140)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리브 트렌치(140t)는 제1 메일 슬리브(142)의 하면, 제2 메일 슬리브(144)의 내측면 및 제3 메일 슬리브(146)의 상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고리부(150U)는 제1 메일 슬리브(142)의 하면 및 제2 메일 슬리브(144)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고리부(150U)는 제2 메일 슬리브(144)의 내측면 및 제3 메일 슬리브(146)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절연 캡핑(18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메일 커넥터(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 캡핑(180)은 돌림부(132)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 캡핑(180)은 외부로부터 메일 커넥터(100)의 상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절연 캡핑(19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메일 커넥터(10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 캡핑(190)은 핀부(138)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 캡핑(190)은 외부로부터 메일 커넥터(100)의 하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피메일 커넥터(200)는 피메일 하우징(210), 제2 콘택 슬리브(240) 및 제3 절연 캡핑(280)을 포함할 수 있다.
피메일 하우징(210)은 제2 버스 바(2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피메일 하우징(210)은 제2 버스 바(20)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제2 콘택 슬리브(24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하우징(21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피메일 커넥터(2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메일 하우징(210)은 연장부(212) 및 원통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12)는 제2 버스 바(20)의 상면, 측면 및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원통부(214)는 후술되는 제2 콘택 슬리브(240)를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부(214)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피메일 하우징 홀(210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콘택 슬리브(240)는 피메일 하우징 홀(210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메일 하우징(210)은 실장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216)는 예를 들어, 연장부(212)의 하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실장부(216)는 피메일 하우징(210)이 실장되는 모듈 등에 피메일 하우징(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콘택 슬리브(240)는 도전 물질을 포함하며, 제2 버스 바(2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콘택 슬리브(240)의 외측면은 제2 버스 바(2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제2 버스 바(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볼트 구조체(130)는 제2 콘택 슬리브(24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일 방향(D)으로 연장되는 제2 슬리브 홀(240H)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볼트 구조체(130)는 일 방향(D)으로 이동되어 제2 슬리브 홀(24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콘택 슬리브(240)는 그 내측면에 제2 나사산(240T)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산(240T)은 볼트 구조체(130)의 제1 나사산(130T)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1 나사산(130T)을 포함하는 볼트 구조체(130)는 제2 나사산(240T)을 포함하는 제2 콘택 슬리브(24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일 방향(D)에서 변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두께란, 일 방향(D)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제1 피메일 슬리브(244), 제2 피메일 슬리브(242) 및 제3 피메일 슬리브(2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메일 슬리브(244)는 제2 버스 바(2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외측면은 제2 버스 바(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외측면은 피메일 하우징(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피메일 슬리브(244)와 피메일 하우징(210) 사이에 제3 수용 공간(210H2)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피메일 슬리브(244)는 제4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피메일 슬리브(242)는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상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메일 슬리브(242)는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상부로부터 일 방향(D)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피메일 슬리브(242)의 외측면은 피메일 하우징(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메일 슬리브(242)와 피메일 하우징(210) 사이에 제4 수용 공간(210H1)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피메일 슬리브(242)는 상기 제4 두께보다 작은 제5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수용 공간(210H1)의 폭은 제3 수용 공간(210H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3 피메일 슬리브(246)는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피메일 슬리브(246)는 제2 버스 바(2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피메일 슬리브(246)는 상기 제4 두께보다 큰 제6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피메일 슬리브(246)는 제2 콘택 슬리브(240)가 제2 버스 바(20) 내에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피메일 슬리브(246)의 상면은 제2 버스 바(2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1 콘택 슬리브(140)는 제2 콘택 슬리브(240)와 피메일 하우징(2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일 슬리브(144) 및 제3 메일 슬리브(146)는 제3 수용 공간(210H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메일 슬리브(142)는 제4 수용 공간(210H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2 콘택 슬리브(240)는 볼트 구조체(130)와 제1 콘택 슬리브(1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메일 슬리브(242)는 제1 수용 공간(140H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피메일 슬리브(244)는 제2 수용 공간(140H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1 콘택 슬리브(140)와 제2 콘택 슬리브(240)는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메일 슬리브(142)의 하면은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콘택 슬리브(140)와 접촉하는 제1 버스 바(10) 및 제2 콘택 슬리브(240)와 접촉하는 제2 버스 바(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탄성 콘택(150)은 제2 콘택 슬리브(240)와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접촉부(150C)는 제1 피메일 슬리브(244)의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3 절연 캡핑(28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피메일 커넥터(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절연 캡핑(280)은 제2 피메일 슬리브(242)의 외주면을 덮을 수 있다. 제3 절연 캡핑(280)은 외부로부터 피메일 커넥터(200)의 상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1 콘택 슬리브(140)와 제2 콘택 슬리브(240)의 접촉에 더해 탄성 콘택(150)과 제2 콘택 슬리브(240)의 탄성적 접촉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것처럼, 탄성 접촉부(150C)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탄성 콘택(150)은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2 콘택 슬리브(240)와의 다접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 고전압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에서, 메일 커넥터(100A, 100B)는 제1 버스 바(10)의 양단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스 바(10)의 일단에 제1 메일 커넥터(100A)가 고정될 수 있고, 제1 버스 바(10)의 타단에 제2 메일 커넥터(100B)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메일 커넥터(100A) 및 제2 메일 커넥터(100B)는 각각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상술한 메일 커넥터(10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메일 커넥터(100A)는 제2 버스 바(20)에 고정된 제1 피메일 커넥터(200A)와 체결될 수 있고, 제2 메일 커넥터(100B)는 제3 버스 바(30)에 고정된 제2 피메일 커넥터(200B)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버스 바(10)는 제2 버스 바(20)와 제3 버스 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제1 버스 바 20: 제2 버스 바
30: 제3 버스 바 100/100A/100B: 메일 커넥터
110/120: 메일 하우징 130: 볼트 구조체
140: 제1 콘택 슬리브 150: 탄성 콘택
180: 제1 절연 캡핑 190: 제2 절연 캡핑
200/200A/200B: 피메일 커넥터 210: 피메일 하우징
240: 제2 콘택 슬리브 280: 제3 절연 캡핑
D: 제1 방향

Claims (13)

  1. 제1 버스 바와 제2 버스 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압 커넥터로,
    상기 제1 버스 바에 고정되는 메일 커넥터; 및
    상기 제2 버스 바에 고정되며, 상기 메일 커넥터에 체결되는 피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메일 커넥터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버스 바를 관통하며, 그 외측면에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 구조체와,
    상기 볼트 구조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버스 바와 접촉하는 제1 콘택 슬리브와,
    상기 볼트 구조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콘택 슬리브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콘택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콘택은 상기 볼트 구조체를 향해 돌출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콘택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고리부와,
    상기 제1 고리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 고리부와,
    상기 제1 고리부와 상기 제2 고리부를 연결하며, 상기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상기 탄성 접촉부들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 슬리브는, 상기 제1 콘택 슬리브의 내측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슬리브 트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콘택은 상기 슬리브 트렌치 내에 배치되는 고전압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 슬리브는,
    그 상면이 상기 제1 버스 바와 접촉하며, 제1 두께를 갖는 제1 메일 슬리브와,
    상기 제1 메일 슬리브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2 두께를 갖는 제2 메일 슬리브와,
    상기 제1 메일 슬리브와 상기 제2 메일 슬리브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두께 및 상기 제2 두께보다 작은 제3 두께를 갖는 제3 메일 슬리브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콘택은 상기 제1 메일 슬리브의 하면, 상기 제2 메일 슬리브의 상면 및 상기 제3 메일 슬리브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구조체는,
    상기 제1 버스 바를 관통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관통부보다 큰 폭을 갖는 돌림부와,
    상기 관통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그 외측면이 상기 제1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볼트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핀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는,
    상기 돌림부의 외주면을 덮는 제1 절연 캡핑과,
    상기 핀부의 외주면을 덮는 제2 절연 캡핑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는,
    상기 제1 버스 바의 상면을 덮는 제1 메일 하우징과,
    상기 제1 버스 바의 하면 및 상기 제1 콘택 슬리브의 측면을 덮고, 상기 제1 메일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2 메일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버스 바와 접촉하며, 그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 콘택 슬리브와,
    상기 제2 콘택 슬리브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피메일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될 때,
    상기 볼트 구조체의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제2 콘택 슬리브의 상기 제2 나사산과 체결되고,
    상기 탄성 접촉부는 상기 제2 콘택 슬리브의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고전압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 슬리브는, 제1 두께를 갖는 제1 메일 슬리브와, 상기 제1 메일 슬리브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메일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콘택 슬리브는, 제3 두께를 갖는 제1 피메일 슬리브와, 상기 제1 피메일 슬리브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3 두께보다 작은 제4 두께를 갖는 제2 피메일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될 때, 상기 제1 메일 슬리브의 하면은 상기 제1 피메일 슬리브의 상면과 접촉하는 고전압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와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체결될 때, 상기 탄성 접촉부는 상기 제1 피메일 슬리브의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고전압 커넥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상기 제2 피메일 슬리브의 외주면을 덮는 절연 캡핑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200090029A 2020-07-21 2020-07-21 고전압 커넥터 KR20220011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29A KR20220011309A (ko) 2020-07-21 2020-07-21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29A KR20220011309A (ko) 2020-07-21 2020-07-21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09A true KR20220011309A (ko) 2022-01-28

Family

ID=8005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29A KR20220011309A (ko) 2020-07-21 2020-07-21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0580B1 (en) Connector assembly
EP2463965B1 (en) Connector
US7413478B2 (en) Electric contact for contacting a protecting conductor with conductive housing
US10811821B2 (en) Connector device
EP2355260B1 (en) Connector
US9847612B2 (en) Connector
US20110204715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6695632B2 (en) Shield connector
US20140154906A1 (en) Connector for Preventing Unlocking
US7766675B2 (en) Connector
JP2016538687A (ja) プラグコネクタ
US11646522B2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20220052466A1 (en) Terminal block
JP4974153B2 (ja) シールド端末処理構造
KR100800790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드커넥터
KR20170041082A (ko)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US7967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ing and mounting a high amperage single pole connector
KR102463691B1 (ko) 커넥터
KR101479078B1 (ko) 커넥터
KR20220011309A (ko) 고전압 커넥터
JP4976185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1496574B1 (ko) 자동차 분야에서 고전압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장치
KR102284391B1 (ko) 고압 전력용 커넥터
CN217087067U (zh) 连接器转接装置和连接器组件
CN215732269U (zh) 连接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