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797A -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797A
KR20220009797A KR1020200088440A KR20200088440A KR20220009797A KR 20220009797 A KR20220009797 A KR 20220009797A KR 1020200088440 A KR1020200088440 A KR 1020200088440A KR 20200088440 A KR20200088440 A KR 20200088440A KR 20220009797 A KR20220009797 A KR 2022000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user
patient
tas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화
김한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냅스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냅스,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냅스
Priority to KR102020008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797A/ko
Priority to PCT/KR2021/003255 priority patent/WO2022014819A1/ko
Publication of KR2022000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Abstract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지 장애 치료 장치는 출력 모듈;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재생을 위해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인지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인지 태스크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1 치료 세션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리콜 태스크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2 치료 세션을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COGNITIVE DISORDER TREATMENT DEVICE AND COGNITIVE DISORD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인지 장애로 인해 환자뿐만 아니라 그 보호자 또한 환자를 돌보는 등의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지 장애 환자의 경우 가정에서 돌보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이것이 어렵거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다수의 환자가 요양 병원 등의 시설에 맡겨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렇듯 보호자와 같은 주변인이나 사회와의 단절 등으로 인해 환자의 인지 장애 치료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환자에게 과거 기억이나 경험을 회상하게 하거나 가족과 같은 밀접한 관계자의 이미지나 영상 등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감정적으로 자극하여 인지 장애 치료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요양 병원과 같은 곳에 환자인 부모를 맡기는 불편함을 갖는 보호자에게도 자신들의 이미지나 영상 등을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케어한다고 느낌과 동시에 환자를 돌보지 않는다는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과제는, 보호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리콜 태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출력 모듈;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재생을 위해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인지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인지 태스크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1 치료 세션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리콜 태스크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2 치료 세션을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가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반영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사용자에게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치료 세션의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관련된 과거의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콜 태스크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응답을 요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답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된 응답을 평가한 결과를 반영하는 리콜 태스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콜 태스크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평가를 반영하는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호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리콜 태스크를 제공하여 환자의 인지 장애를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기초로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리콜 태스크를 제공하여 환자의 인지 장애 개선 효과나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개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태스크의 제1 구현예 및 제2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유 포인트 및 차감 포인트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 요청 화면 및 업로드 요청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 받은 보호자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재요청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업로드의 요청 및 재요청을 받은 보호자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콜 태스크의 수행과 관련된 순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응답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콜 태스크의 수행과 관련된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리콜 태스크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 및 이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변형예,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표현은 인지 장애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정되지 않는 예를 들어, 치료는 인지 장애의 진행 억제, 인지 장애의 진행 속도 감소, 인지 장애의 진행 정지 및 인지 장애의 개선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태스크(task)"란 표현은 사용자에 의해 달성되어야 할 목표 및/또는 목적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스크는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화된 태스크는 컴퓨터화된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렌더링되고, 사용자는 컴퓨터화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목표 또는 목적에 관해 지시 받을 수 있다. 태스크는 특정의 자극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거나 보류하도록 개인에게 요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션(session)"이란 표현은 사용자가 장치로부터 치료를 받기 위해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시작 및 끝을 갖는 기간(time period)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은 1초, 30초, 1분, 1시간, 12시간, 하루, 일주일, 한 달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시스템은 서버(10), 환자 단말(100) 및 보호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환자 단말(100) 및 보호자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환자 단말(100) 및 보호자 단말(200)은 서버(10)를 통해서 또는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단말(100)은 출력 모듈(1100), 컨트롤러(1200), 메모리(1300), 입력 모듈(1400) 및 통신 모듈(1500)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100)은 연산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100)은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100)은 신체의 어느 일부분에 착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모듈(1100)과 사용자의 눈이 마주보도록 환자 단말(100)이 착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글라스, 스마트 고글 등의 헤드 마운티드 디바이스 또는 헤드 마운티드 디바이스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1100)은 영상이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모듈(1100)은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모듈(1100)이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출력 모듈(1100)은 입력 모듈(14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에 따라 별도의 입력 모듈(1400)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볼륨 조절, 전원 버튼 및 홈 버튼 등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모듈(1400)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력 모듈(1100)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 출력 포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출력 모듈(1100)은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모듈(1100)은 태스크를 시작하기 전의 과정, 인스트럭션, 태스크 수행을 위한 이미지,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모듈(1100)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모듈(1100)은 스피커, 모터, 햅틱 장치, 진동자, 신호 출력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자극을 포함한 다양한 자극을 출력하는 모듈일 수 있다.
컨트롤러(1200)는 환자 단말(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거나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00)는 태스크를 위한 이미지를 출력 모듈(1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으로 컨트롤러(120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반도체 칩,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전자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컨트롤러(1200)는 상술한 하드웨어에 따라 수행되는 논리 프로그램이나 각종 컴퓨터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환자 단말(100)의 동작은 컨트롤러(1200)의 제어를 받아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메모리(130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태스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00)는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적 정보, 태스크와 관련된 정보, 태스크 수행 시 사용자의 응답, 사용자의 태스크 결과), 사용자의 시야 지도와 관련된 데이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Only Memory,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4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400)은 태스크 수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 태스크를 위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태스크가 요청하는 사용자의 응답을 받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400)은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400)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터치 및 드래그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400)은 환자 단말(1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부착된 출력 모듈(1100)을 통해 태스크를 위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 손에 주어진 별도의 모듈로 구성된 입력 모듈(14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태스크를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통신 모듈(1500)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500)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1500)은 사용자의 태스크,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개인화된 피드백을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500)은 유선 및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500)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동 통신 모듈 및 그 외의 다양한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유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환자 단말에 관한 내용은 보호자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2에서 도시하는 환자 단말(100) 및 보호자 단말(200)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은 반드시 해당 구성이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100)의 메모리(1300)가 사용자의 태스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환자 단말(100)과 통신 모듈(1500)을 통해 연결된 서버(10)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인지 장애 치료 시스템은 복수의 환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보호자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S1100)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S1100)는 사용자의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태스크인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S1100)는 환자 단말이 환자에게 인지 태스크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태스크의 제1 구현예 및 제2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구현예로, 인지 태스크는 길찾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환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가상의 도로나 마을 등 가상 현실이 환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환자에게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하라는 태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은 1인칭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영역에는 환자의 태스크 수행을 보조하기 위한 맵이 출력될 수 있다. 길찾기와 더불어 추가적인 인지 태스크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 태스크는 길찾기 도중 특정 물건을 구입하는 등의 일상 생활 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로는, 인지 태스크는 N-back 테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특정 속성(예를 들어, 모양이나 색상 등)을 갖는 비주얼 오브젝트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오브젝트의 속성이 N번째 이전 순서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오브젝트의 속성과 동일한 경우 제1 반응을 요청하고, 상이한 경우 제2 반응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N이 2인 2-back 테스트를 예시한다.
인지 태스크는 전술한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환자의 인지 장애를 치료하거나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태스크일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1200)는 환자에게 환자의 과거 기억이나 경험을 회상하게 하거나 환자와 관련된 인물 등 환자에게 감정적인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인지 장애 치료 또는 인지 능력 향상의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인지 능력 치료를 위해 환자에게 인지 태스크가 제공되나, 환자의 집중도나 흥미 등에 따라 환자가 인지 태스크를 수행하려 하지 않거나 집중하여 인지 태스크를 수행하지 않는 등으로 인해 목표한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환자가 인지 태스크를 수행하는 경우 그 보상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집중도나 흥미 등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인지 장애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환자 단말은 출력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함께 이와 관련된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환자 단말은 과거에 환자가 방문한 장소의 이미지나 영상을 제공하되 상기 장소의 방문 시기 등 상기 이미지나 영상과 관련된 문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의 타입은 객관식이나 주관식 등 제한이 없다. 또한, 환자 단말은 환자에게 상기 문제에 관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은 환자에게 상기 문제에 관한 응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S2100) 및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S2100)는 환자 단말을 통해 환자에게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인지 태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인지 태스크의 리스트 및/또는 환자의 과거 인지 태스크 수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행 결과는 태스크 수행 일자 및 태스크 수행 점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2200)는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접근 권한 유무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인지 태스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태스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환자 단말로 인지 태스크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수신한 인지 태스크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인지 태스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환자 단말로 인지 태스크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인지 태스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단말은 환자의 인지 태스크 결과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인지 태스크 결과는 점수, 정답률, 정답의 개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는, 인지 태스크 결과는 환자의 인지 태스크 수행 여부, 인지 태스크 수행 횟수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접근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접근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인지 태스크 점수에 기초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인지 태스크 점수는 환자가 수행한 인지 태스크 결과를 수치적으로 표현할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인지 태스크 점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환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인지 태스크 점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접근 권한이 없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언락(unlock)하여 환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는 인지 태스크 수행 여부에 기초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가 인지 태스크를 수행한 경우 환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환자가 인지 태스크를 수행한 경우 접근 권한이 없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언락하여 환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는 환자가 시청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청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시청 불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 보호자 정보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업로드 일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가 시청한 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되는 콘텐츠 정보는 환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평가 결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환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환자의 접근 권한 유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가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접근 권한이 존재하는 경우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환자의 접근 권한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환자에게 접근 권한이 부여됐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환자에게 접근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환자 단말로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인 출력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유 포인트 및 차감 포인트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2200)는 인지 태스크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고 환자의 보유 포인트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차감 포인트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인지 태스크 점수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차감 포인트가 할당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2를 비교하면, 콘텐츠 정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되는 차감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감 포인트는 환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거나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포인트일 수 있다. 차감 포인트 및 보유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환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환자의 보유 포인트 및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할당된 차감 포인트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보유 포인트가 상기 차감 포인트 이상인 경우 환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보유 포인트가 상기 차감 포인트 이상인 경우 접근 권한이 없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언락하여 환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보유 포인트는 상기 차감 포인트만큼 차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보유 포인트를 상기 차감 포인트만큼 차감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환자 단말로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환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0) 및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계(S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0)는 환자의 나이, 성별, 고향, 거주 지역,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단계(S3200)는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와 관련성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환자가 경험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벤트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환자 정보를 고려하여 과거 기억이나 경험을 회상하게 하는 등 환자에게 감정적인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인공 신경망, 인공 지능 등을 이용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신경망은 환자 정보를 입력 받아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및 특정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S4100)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S4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S4100)는 서버가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일정 기간 이상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보호자 단말로 상기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S4100)는 환자 단말이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S4100)는 환자 단말이 서버를 통해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S4200)는 보호자 단말이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S4200)는 보호자 단말이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S4200)는 보호자 단말이 서버를 통해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을 위한 화면(이하 "업로드 요청 화면"이라 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로 업로드 요청 화면 및 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은 출력 모듈을 통해 환자에게 업로드 요청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업로드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로드 요청 정보는 업로드를 요청할 보호자에 관한 정보, 업로드를 요청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 및 보호자에게 전송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환자로부터 업로드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 상기 카테고리는 여행, 가족 및 역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업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서버로 업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은 보호자 단말로 업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은 서버를 통해 보호자 단말로 업로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업로드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가 보호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서버는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 요청 화면 및 업로드 요청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업로드 요청 화면은 보호자 선택 영역, 멀티미디어 콘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 및 메시지 작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는 보호자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보호자 중 한 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단말은 업로드를 요청할 보호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업로드를 요청할 보호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보호자 또는 상기 선택된 보호자에 대응되는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환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카테고리 선택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단말은 업로드를 요청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상기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환자는 메시지 작성 영역에 보호자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단말은 보호자에게 전송할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 받은 보호자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서버 또는 환자 단말은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고, 보호자 단말은 서버 또는 환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는, 보호자 단말은 일반적인 메신저 프로그램이나 어플 등 종래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재요청하는 단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보호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S5100),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00) 및 보호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재요청하는 단계(S5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S5100)는 서버 및/또는 환자 단말이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00)는 서버 및/또는 환자 단말이 보호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로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보호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이후에 보호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지 않은 경우 보호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재요청하는 단계는 서버 및/또는 환자 단말이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알림을 재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요청하는 단계는 보호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지 않거나 서버 및/또는 환자 단말이 보호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즉, 보호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서버 및/또는 환자 단말이 보호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재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재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업로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보호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지 않거나 보호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업로드의 요청 및 재요청을 받은 보호자 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서버 또는 환자 단말은 환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한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로부터 환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감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보호자 단말로 상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또는 환자 단말은 보호자 단말로 환자가 감상하지 않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또는 환자 단말은 환자가 감상하지 않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경우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한 경우 서버 또는 환자 단말은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또는 환자 단말은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보호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지 않는 경우 보호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자 단말은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통해 서버 또는 환자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보호자 단말은 일반적인 메신저 프로그램이나 어플 등 종래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통해 서버 또는 환자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한 후 이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함께 이와 관련된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콜 태스크의 수행과 관련된 순서도이다. 여기서, 리콜 태스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문제를 포함한다. 또는, 리콜 태스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문제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문제를 가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리콜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문제에 기초하여 리콜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문제에 기초하여 리콜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송 및 제공된 리콜 태스크에 대하여 환자 단말은 입력 모듈을 통해 환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상기 응답을 서버로 전송하거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환자 단말은 상기 응답을 서버를 통해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상기 응답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응답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의 평가한 결과로 리콜 태스크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리콜 태스크 결과는 리콜 태스크에 대응되는 점수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리콜 태스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 단말은 리콜 태스크 결과를 서버 또는 환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보호자 단말은 서버를 통해 리콜 태스크 결과를 환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응답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환자 단말 또는 서버가 보호자 단말로 환자의 리콜 태스크 수행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한 일 예이다. 보호자 단말은 보호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하여 보호자에게 환자 응답의 평가 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보호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등으로 인해 보호자 단말이 특정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은 그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평가 세션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평가 세션을 제공하는 보호자 단말의 일 예이다. 보호자 단말은 리콜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나 비디오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문제 및 이에 대한 환자의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은 상기 응답의 정오 여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서버 또는 보호자 단말은 상기 정오 여부에 기초하여 리콜 태스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콜 태스크의 수행과 관련된 순서도이다. 도23을 도 20과 비교하면, 보호자 단말은 서버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문제와 함께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정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가 리콜 태스크를 수행한 후 그 응답을 보호자가 평가하지 않고 서버가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문제 및 정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와 관련된 문제 및 상기 문제의 정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문제에 기초하여 리콜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문제에 기초하여 리콜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리콜 태스크는 정답을 더 고려하여 리콜 태스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정답을 고려하여 객관식 문제의 보기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리콜 태스크를 전송하는 단계, 리콜 태스크를 제공하는 단계 및 리콜 태스크에 포함된 문제에 대한 응답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가 이미 정답을 획득하였으므로 상기 응답이 환자 단말로부터 서버로만 전송되어도 그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응답이 보호자 단말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상기 응답을 상기 정답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답 및 환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의 평가한 결과로 리콜 태스크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리콜 태스크 결과는 리콜 태스크에 대응되는 점수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리콜 태스크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리콜 태스크 결과를 환자 단말 및 보호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문제, 정답 등에 기초하여 서버가 리콜 태스크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호자가 리콜 태스크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자 단말은 서버 또는 환자 단말로 리콜 태스크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리콜 태스크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리콜 태스크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리콜 태스크를 평가할 수 있다. 환자 단말은 환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리콜 태스크에 대한 평가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평가 결과는 점수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평가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단말은 서버로 평가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상기 평가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상기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결과는 상기 평가 결과 및 보호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는 상기 평가 결과 및 상기 개수를 일정 비율로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장애 치료 방법은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환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로 분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 및 이의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환자 단말 또는 보호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제공 화면은 각 보호자에 대응되는 단위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영역은 환자의 평가 결과 및 보호자가 업로드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보호자에게는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팅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서버
100: 환자 단말
200: 보호자 단말
1100: 출력 모듈
1200: 컨트롤러
1300: 메모리
1400: 입력 모듈
1500: 통신 모듈

Claims (12)

  1.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출력 모듈;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의 재생을 위해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인지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인지 태스크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1 치료 세션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리콜 태스크를 출력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2 치료 세션을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가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반영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사용자에게 상기 카테고리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치료 세션의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관련된 과거의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콜 태스크는,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응답을 요구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답을 획득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을 획득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응답을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송된 응답을 평가한 결과를 반영하는 리콜 태스크 결과를 획득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치료 세션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콜 태스크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평가를 반영하는 평가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인지 장애 치료 장치.
KR1020200088440A 2020-07-16 2020-07-16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KR20220009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40A KR20220009797A (ko) 2020-07-16 2020-07-16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PCT/KR2021/003255 WO2022014819A1 (ko) 2020-07-16 2021-03-16 인지 훈련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440A KR20220009797A (ko) 2020-07-16 2020-07-16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97A true KR20220009797A (ko) 2022-01-25

Family

ID=7955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440A KR20220009797A (ko) 2020-07-16 2020-07-16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09797A (ko)
WO (1) WO20220148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7281B2 (en) * 2006-12-06 2012-10-16 Microsoft Corporation Memory training via visual journal
JP6254562B2 (ja) * 2014-09-30 2017-12-27 株式会社プローバホールディングス 認知症介護支援システム、認知症介護支援サーバおよび認知症介護支援プログラム
KR101652045B1 (ko) * 2014-10-21 2016-08-29 주식회사 한국첨단기술경영원 맞춤형 회상 콘텐츠 기반의 인지능력향상 시스템
KR102060063B1 (ko) * 2017-11-28 2019-12-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 환자를 위한 인지 훈련 장치
KR102168977B1 (ko) * 2018-07-10 2020-10-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인지재활 훈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819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 et al. Exploring an adverse impact of smartphone overuse on academic performance via health issues: a stimulus-organism-response perspective
Bell et al. Virtual reality as a clinical tool in mental health research and practice
Karekla et al. Best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digital interventions to improve engagement and adherence in chronic illness sufferers
Sahin et al. Second version of google glass as a wearable socio-affective aid: Positive school desirability, high usability,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a sample of children with autism
Daniels et al. Exploratory study examining the at-home feasibility of a wearable tool for social-affective learning in children with autism
Roepke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uperBetter, a smartphone-based/internet-based self-help tool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Serino et al. Viewing a face (especially one's own face) being touched enhances tactile perception on the face
Dunn et al. A novel clinician-orchestrated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distraction during pediatric intravenous procedures in children with hemophili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lliams et al. Web-based depression screening and psychiatric consultation for college students: a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study
Tran et al. What drives young Vietnamese to use mobile health innovations? implications for health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Suggate et al. Screen‐time influences children's mental imagery performance
Horsch et al. Reminders make people adhere better to a self-help sleep intervention
US11710546B2 (en) Evaluation of prescribed devices or services
Blower et al. Children and young people’s concerns and needs relating to their use of health technology to self-manage long-term conditions: a scoping review
US20200118686A1 (en) Distributed network for the secured collection, analysis, and sharing of data across platforms
Schooley et al. Integrated digital patient education at the bedside for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observational study
Capurso et al. Play as a coping strategy?: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eil Digital Health Promotion: A Critical Introduction
Kowatsch et al. Hybrid ubiquitous coaching with a novel combination of mobile and holographic conversational agents targeting adherence to home exercises: four design and evaluation studies
Dequanter et al. Determinants of technology adoption and continued use among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a qualitative study
Venkatakrishnan et al. The effects of auditory, visual, and cognitive distractions on cybersickness in virtual reality
KR20220009797A (ko)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지 장애 치료 방법
Caroppo et al. Cognitive home rehabilitation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by a virtual personal trainer
Hertlein et al. Sext-ual healing: application of the couple and family technology framework to cases of sexual dysfunction
Clark et al.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self-tracking devices, data privacy, and sharing digital data for research purpo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