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742A - 창틀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창틀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742A
KR20220009742A KR1020200088323A KR20200088323A KR20220009742A KR 20220009742 A KR20220009742 A KR 20220009742A KR 1020200088323 A KR1020200088323 A KR 1020200088323A KR 20200088323 A KR20200088323 A KR 20200088323A KR 20220009742 A KR20220009742 A KR 20220009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ir
inlet
outdoor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수
전두용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0008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742A/ko
Publication of KR2022000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는,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며, 정화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실내유입구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실내유입구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틀형 공기조화기{WINDOW FRAME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창틀형 공기조화기로서, 창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창틀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황사나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과 질병 등으로 인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밀폐된 공간 내에 장시간 머물게 되면 내부의 공기 오염에 노출되게 되어 건강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에 창문 등을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 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오염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창틀에 환기장치(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환기장치에서도 정화 또는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대체적으로 공기보다 무거워서 실내의 하부에 정체되며, 실내에서 요리하는 경우 냄새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는 대체적으로 실내의 상부에 정체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실내공기가 효과적으로 정화 또는 환기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41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창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는,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며, 정화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실내유입구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실내유입구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제2 실내유입구,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유입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배출구,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배출구,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공기유로, 및 상기 제2 실내유입구와 실외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에는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공기유로에는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와 제2 공기유로의 교차영역에는 열교환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실내유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내유입구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내배출구는 상기 제2 실내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유로에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 측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향하여 배치된 자외선램프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기팬은 상기 제1 공기유로에서, 상기 실내배출구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열교환소자의 하측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소자는 내부가 상기 제1 공기유로와 연결되는 제1 채널 및 상기 제2 공기유로와 연결되는 제2 채널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실내유입구와 상기 제2 채널이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실외유입구는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실내배출구와 실외배출구는 상기 제2 실내유입구의 상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물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연결된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는 본체가 창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창틀과 창문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정화와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화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됨으로써,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 하부의 공기를 정화 시(청정모드 시) 하측의 제1 실내유입구를 통해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고온의 실내 상부의 공기를 환기 시(환기모드 시) 상측의 제2 실내유입구를 통해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팬이 실내배출구 측이 아닌 열교환소자의 하측에 내장되게 구성됨으로써, 실내배출구에서 직접적으로 급기팬의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아울러 작동소음이 열교환소자의 하측에서 실내배출구 측으로 공기와 함께 나아가는 과정에서 열교환소자에 의해 걸러짐에 따라, 소음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공기유로에서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 측에 자외선램프가 구성됨으로써, 제1 실내유입구와 실외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자외선에 의해 처리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산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해가스 및 악취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필터가 자외선램프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외선램프의 자외선에 의하여 필터의 세균증식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창틀에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창틀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창틀형 공기조화기가 청정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창틀형 공기조화기가 환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창틀형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창틀형 공기조화기에서 상부지지체가 승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창틀에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창틀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A)는 창틀(1)에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창틀(1)의 내부 일측면과 창문(2)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창틀(1)과 창문(2)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창틀형 공기조화기(A)는 본체(M)와, 지지구조물(10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M)는 공기를 조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지지구조물(1000)은 이러한 본체(M)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체(M)는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M)는 청정모드로 가동 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필터(60)링한 후 다시 실내로 급기하도록 구성되며, 환기모드로 가동 시 외부로부터 실외공기를 유입시켜 실내로 급기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M)는 정화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된다.
즉, 본체(M)는 정화 시(청정모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환기 시(환기모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되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서, 제1 실내유입구(11)와 제2 실내유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체(M)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M)는 제1 실내유입구(11), 제2 실내유입구(12), 실외유입구(20), 실내배출구(30), 실외배출구(40), 제1 공기유로(P1), 제2 공기유로(P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실내유입구(11)는 정화 시(청정모드)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제2 실내유입구(12)는 환기 시(환기모드)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이때 제1 실내유입구(11)는 본체(M)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실내유입구(12)는 제1 실내유입구(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대체적으로 공기보다 무거워서 실내의 하부에 정체되는데, 공기조화기(A)의 청정모드 가동 시 본체(M)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실내유입구(11)를 통해 원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실내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실내에서 요리하는 경우 냄새를 포함하는 더운 공기는 대체적으로 실내의 상부에 정체되는데, 공기조화기(A)의 환기모드 가동 시 제1 실내유입구(11)보다 상측에 형성된 제2 실내유입구(12)를 통해 원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실내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유입구(20)는 공기조화기(A)의 환기모드 가동 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실내배출구(30)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부분인데, 즉 청정모드 시에는 실내공기가 실내로 배출(급기)되고, 환기모드 시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급기)된다.
이러한 실내배출구(30)는 제2 실내유입구(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로 인하여,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는 실내의 상부 공간으로 급기될 수 있다. 이는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급기되는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기되는 공기에 의해 사용자는 바람이 부는 것처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경우에 따라서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배출구(30)를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급기되는 공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외배출구(40)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환기모드 시 본체(M)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에는 각각 공기의 유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실내댐퍼(91)와 실외댐퍼(92)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실내댐퍼(91)는 제1 실내유입구(11)를 개폐하고 실외댐퍼(92)는 실외유입구(20)를 개폐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공기유로(P1)는 제1 실내유입구(11) 및 실외유입구(20)와 실내배출구(30)를 연결하는 유로인데, 청정모드 시 제1 실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와, 환기모드 시 실외유입구(20)로부터 유입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기 위해 상측의 실내배출구(30)까지 유동되는 통로이다.
또한, 제2 공기유로(P2)는 제2 실내유입구(12)와 실외배출구(40)를 연결하는 유로인데, 환기모드 시 제2 실내유입구(12)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기 위해 상측의 실외배출구(40)까지 유동되는 통로이다.
이와 같은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는 상호 교차하는 구조로서, 구체적으로 제2 공기유로(P2)가 제1 공기유로(P1)를 가로지르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는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실내배출구(30)와 실외배출구(40)는 제2 실내유입구(12)의 상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유로(P1)에는 급기팬(50)과 필터(60)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급기팬(50)은 제1 공기유로(P1)에서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되지 않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팬(50)은 제1 공기유로(P1)에서 실내배출구(30)의 하측에 위치된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내장될 수 있다.
급기팬(50)을 작동 시 작동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거주자에게 작동소음이 직접적으로 크게 들릴 수 있으며, 반대로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되지 않고 제1 공기유로(P1)에서 실내배출구(30)의 아래에 장착된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내장된 경우에는 실내거주자에게 작동소음이 상대적으로 작게 들리게 된다.
즉,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거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인데 반하여,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실내배출구(30)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되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내장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본체(M)의 케이스에 의해 작동소음이 차단되며, 나아가 작동소음이 실내배출구(3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함께 나아가는 과정에서 열교환소자(80)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소음크기가 최대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60)는 제1 공기유로(P1)에서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60)는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 먼지 등을 걸러내어 실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60)는 제1 공기유로(P1)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는 구조로서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60)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기유로(P2)에는 배기팬(70)이 장착되는데, 일례로서 실외배출구(40)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소자(80)는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의 교차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소자(80)는 환기모드 시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를 유동하는 공기(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상호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서로 상이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하며 서로 열을 교환하도록 하여, 콜드 드래프트와 같은 찬 외기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난방 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소자(80)는 내부가 제1 채널(81)과 제2 채널(82)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81)은 제1 공기유로(P1)와 연결되고, 제2 채널(82)은 제2 공기유로(P2)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채널(81)과 제2 채널(82)이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채널(82)은 제2 실내유입구(12) 측에 배치되어 제2 실내유입구(12)와 연결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1 채널(81)을 통과하는 공기와 제2 채널(82)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각각 제1 공기유로(P1)와 제2 공기유로(P2)를 따라서 유동하면서, 서로 열교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공기유로(P1)에서 제1 실내유입구(11) 및 실외유입구(20) 측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향하여 배치된 자외선램프(U)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자외선램프(U)는 제1 공기유로(P1)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 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정모드 시 제1 실내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환기모드 시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자외선램프(U)가 발산되는 자외선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산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해가스 및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60)는 자외선램프(U)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0)는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60)링하면서 세균이 증식할 수 있고 곰팡이 생성될 수 있는데, 자외선램프(U)의 자외선에 의하여 이와 같은 세균증식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술된 본체(M)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창틀형 공기조화기(A)의 청정모드와 환기모드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틀형 공기조화기(A)에서 청정모드가 가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내유입구(11) 측의 실내댐퍼(91)가 열리고 급기팬(50)이 작동함으로써, 실내의 실내공기가 제1 실내유입구(11)로 유입되어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공기유로(P1)에서는 실내공기가 상승하면서 필터(60)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내배출구(30)를 통해 다시 실내로 급기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RA는 리턴공기(Return Air)이고, SA는 공급공기(Supply Air)이다.
그리고, 창틀형 공기조화기(A)에서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70)이 작동함으로써, 실내의 실내공기가 제2 실내유입구(12)로 유입되어 제2 공기유로(P2)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외배출구(40)를 통해 실외로 배기EA)된다.
아울러 이러한 배기와 함께 급기도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때 급기에 대해 설명하면, 실외유입구(20) 측의 실외댐퍼(92)가 열리고 급기팬(50)이 작동함으로써, 실외의 실외공기가 실외유입구(20)로 유입되어 제1 공기유로(P1)를 통과하는데, 구체적으로 제1 공기유로(P1)에서는 실외공기가 상승하면서 필터(60)와 열교환소자(80)를 통과한 후 상측의 실내배출구(3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OA는 외부공기(Outdoor Air)이고, EA는 배출공기(Exhaust Air)이다.
한편, 상기 지지구조물(1000)은 상술된 본체(M)의 하부에 조립되어, 본체(M)를 받쳐서 상방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구조물(10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연결된 상부지지체(100)와 하부지지체(2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부지지체(100)는 개방된 하부로부터 종방향으로 형성된 중공(100a)을 가지며, 하부지지체(200)는 상부지지체(100)의 중공(100a)에 삽입체결되어 상부지지체(100)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부지지체(100)와 하부지지체(200)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전체 길이(높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지지구조물(1000)의 상부에 조립된 본체(M)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창틀형 공기조화기(A)가 다양한 창틀(1)의 높이에도 호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틀형 공기조화기(A)는 본체(M)가 창틀(1)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창틀(1)과 창문(2)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정화와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화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 개가 구성됨으로써,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 하부의 공기를 정화 시(청정모드 시) 하측의 제1 실내유입구(11)를 통해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고온의 실내 상부의 공기를 환기 시(환기모드 시) 상측의 제2 실내유입구(12)를 통해 실내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기팬(50)이 실내배출구(30) 측이 아닌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 내장되게 구성됨으로써, 실내배출구(30)에서 직접적으로 급기팬(50)의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아울러 작동소음이 열교환소자(80)의 하측에서 실내배출구(30) 측으로 공기와 함께 나아가는 과정에서 열교환소자(80)에 의해 걸러짐에 따라, 소음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공기유로(P1)에서 제1 실내유입구(11) 및 실외유입구(20) 측에 자외선램프(U)가 구성됨으로써, 제1 실내유입구(11)와 실외유입구(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자외선에 의해 처리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고 오염물질을 산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해가스 및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필터(60)가 자외선램프(U)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외선램프(U)의 자외선에 의하여 필터(60)의 세균증식 및 곰팡이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창틀 2 : 창문
A : 공기조화기 M : 본체
11 : 제1 실내유입구 12 : 제2 실내유입구
20 : 실외유입구 30 : 실내배출구
40 : 실외배출구 P1 : 제1 공기유로
P2 : 제2 공기유로 50 : 급기팬
60 : 필터 70 : 배기팬
80 : 열교환소자 81 : 제1 채널
82 : 제2 채널 U : 자외선램프
91 : 실내댐퍼 92 : 실외댐퍼
1000 : 지지구조물 100 : 상부지지체
200 : 하부지지체

Claims (10)

  1. 창틀에 설치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면서 정화시키거나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면서 환기시키도록 구성되며,
    정화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실내유입구와, 환기 시에 실내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다른 하나 이상의 제2 실내유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제2 실내유입구,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유입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배출구,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실외배출구,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와 상기 실내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공기유로, 및 상기 제2 실내유입구와 실외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에는 급기팬과 필터가 장착되고, 상기 제2 공기유로에는 배기팬이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유로와 제2 공기유로의 교차영역에는 열교환소자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실내유입구는 상기 제1 실내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배출구는 상기 제2 실내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유로에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 및 실외유입구 측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향하여 배치된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은 상기 제1 공기유로에서, 상기 실내배출구의 하측에 위치된 상기 열교환소자의 하측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소자는 내부가 상기 제1 공기유로와 연결되는 제1 채널 및 상기 제2 공기유로와 연결되는 제2 채널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실내유입구와 상기 제2 채널이 연결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유입구와 실외유입구는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실내배출구와 실외배출구는 상기 제2 실내유입구의 상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느 지지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조물은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연결된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형 공기조화기.
KR1020200088323A 2020-07-16 2020-07-16 창틀형 공기조화기 KR20220009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23A KR20220009742A (ko) 2020-07-16 2020-07-16 창틀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323A KR20220009742A (ko) 2020-07-16 2020-07-16 창틀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742A true KR20220009742A (ko) 2022-01-25

Family

ID=8004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323A KR20220009742A (ko) 2020-07-16 2020-07-16 창틀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7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80B1 (ko) 2019-05-16 2020-03-27 이승아 창문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80B1 (ko) 2019-05-16 2020-03-27 이승아 창문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0580288B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101250062B1 (ko) 환기장치
EP2072921A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nd humidifying air
KR101973371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0587315B1 (ko) 환기시스템
KR20000056577A (ko) 살균 기능을 가진 공기 조화기
KR20080065190A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105006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394171B1 (ko) 멸균기능을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1904041B1 (ko) 주방급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00056583A (ko) 공기 조화기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1948630B1 (ko) 공기 정화 모듈
KR20210151666A (ko) 멸균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220009742A (ko) 창틀형 공기조화기
JP2005043034A (ja) 換気機能付き空気清浄装置
KR102519505B1 (ko) 공기순환부 내부유입공기의 살균부가 구비된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KR200394917Y1 (ko) 살균 및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한 환기용 흡기유니트
KR100477485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
KR100587313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KR20050010410A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90022639A (ko) 환기장치의 댐퍼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