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582A -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582A
KR20220009582A KR1020200087935A KR20200087935A KR20220009582A KR 20220009582 A KR20220009582 A KR 20220009582A KR 1020200087935 A KR1020200087935 A KR 1020200087935A KR 20200087935 A KR20200087935 A KR 20200087935A KR 20220009582 A KR20220009582 A KR 2022000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cellula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582A/ko
Priority to PCT/KR2021/008751 priority patent/WO2022014956A1/ko
Priority to US17/496,194 priority patent/US20220030531A1/en
Publication of KR2022000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이중 접속(DC: dual connectivity)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이중 접속(DC: dual connectivity)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통신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6기가(6GHz) 이하의 대역(예: 1.8기가(1.8GHz) 대역 또는 3.5기가(3.5GHz) 대역) 또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 (예: 28기가(28GHz) 대역 또는 39기가(GHz)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두 개의 노드들(예: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이중 접속(DC: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노드는 제 1 셀룰러 통신(예: LTE 네트워크)을 통해 접속되는 마스터 노드(MN: master node)와 제 2 셀룰러 통신(예: new radio(NR) 네트워크)을 통해 접속되는 보조 노드(SN: secondary n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마스터 노드 및/또는 보조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과 관련된 정보(예: gap configration)에 기반하여 제 1 셀룰러 통신 및/또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예: SSB(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마스터 노드 및/또는 보조 노드로부터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 1 셀룰러 통신 및/또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마스터 노드 및/또는 보조 노드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동기 신호의 전송 정보(예: 주기, 기간 및/또는 오프셋)와 불일치하는 경우,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제 1 셀룰러 통신 및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측정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정보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과 상기 전송 구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 및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이중 접속(DC: dual connectivity) 환경의 전자 장치에서 마스터 노드 및/또는 보조 노드로부터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동기 신호(예: SSB)의 전송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동기 신호의 전송 정보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주기 및/또는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 및/또는 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류 소모와 패킷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 및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이중 접속(DC) 환경의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정보(예: 배터리 상태, 충전 여부 및/또는 서비스 종류)에 기반하여 마스터 노드 및/또는 보조 노드로부터 수신한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셀룰러 통신 및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이중 접속(DC) 환경의 전자 장치에서 마스터 노드 및/또는 보조 노드로부터 수신한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스케줄 요청(SR: scheduling request)을 위한 구간 정보와 중첩되는 경우, 동기 신호의 전송 정보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주기 및/또는 측정 구간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스케줄 요청 및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100)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보고를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a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일예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구간의 길이의 설정과 관련된 프레임 구성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일예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주기의 설정과 관련된 프레임 구성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설정된 측정 주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케줄 요청 구간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케줄 요청 구간에 기반하여 설정된 측정 주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주기를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을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 및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RFIC)(222), 제 2 RFIC(224), 제 3 RFIC(226), 제 4 RFIC(228), 제 1 radio frequency front end(RFFE)(232), 제 2 RFFE(234), 제 1 안테나 모듈(242), 제 2 안테나 모듈(244), 및 안테나(24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9)는 제 1 네트워크(292)와 제 2 네트워크(29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1에 기재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199)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제 1 RFIC(222), 제 2 RFIC(224), 제 4 RFIC(228), 제 1 RFFE(232), 및 제 2 RFFE(234)는 무선 통신 모듈(19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RFIC(228)는 생략되거나,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1 네트워크(292)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의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레거시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네트워크는 2세대(2G), 3G, 4G, 또는 long term evolution(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레거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네트워크(294)는 3GPP에서 정의하는 5G 네트워크(예: NR(new radio))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제 2 네트워크(294)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 중 다른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이하)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네트워크(294)를 통하여 송신되기로 분류되었던 데이터가, 제 1 네트워크(292)를 통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예: HS-UART(high speed-UART)) 또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express)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를 이용하여 컨트롤 정보와 패킷 데이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센싱 정보, 출력 세기에 대한 정보, RB(resource block) 할당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와, 프로세서(120)(예: application processor)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예: application processor)와 HS-UART 인터페이스 또는 PCIe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및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예: application processor)와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를 이용하여 컨트롤 정보와 패킷 데이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와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는 프로세서(120), 보조 프로세서(123), 또는 통신 모듈(190)과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약 700MHz 내지 약 3GHz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1 안테나 모듈(242))를 통해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1 RFFE(232))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될 수 있다. 제 1 RFIC(222)는 전처리된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송신 시에,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Sub6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RF 신호(이하, 5G Sub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Sub6 RF 신호가 안테나(예: 제 2 안테나 모듈(244))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RFFE(예: 제 2 RFFE(234))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2 RFIC(224)는 전처리된 5G Sub6 RF 신호를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중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5G Above6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RF 신호(이하,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되고 제 3 RFFE(236)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전처리된 5G Above6 R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FE(236)는 제 3 RFIC(22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별개로 또는 적어도 그 일부로서, 제 4 RFIC(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4 RFIC(228)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intermediate) 주파수 대역(예: 약 9GHz ~ 약 11GHz)의 RF 신호(이하, IF 신호)로 변환한 뒤, 상기 IF 신호를 제 3 RFIC(226)로 전달할 수 있다. 제 3 RFIC(226)는 IF 신호를 5G Above6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5G Above6 RF 신호가 안테나(예: 안테나(248))를 통해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고 제 3 RFIC(226)에 의해 IF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제 4 RFIC(228)는 IF 신호를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가 처리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IC(222)와 제 2 RFIC(22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RFFE(232)와 제 2 RFFE(234)는 단일 칩 또는 단일 패키지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 모듈(242) 또는 제 2 안테나 모듈(244)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생략되거나 다른 안테나 모듈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복수의 대역들의 RF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는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프로세서(120)가 제 1 서브스트레이트(예: main PC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서브스트레이트와 별도의 제 2 서브스트레이트(예: sub PCB)의 일부 영역(예: 하면)에 제 3 RFIC(226)가, 다른 일부 영역(예: 상면)에 안테나(248)가 배치되어, 제 3 안테나 모듈(2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RFIC(226)와 안테나(248)를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에 배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전송 선로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되는 고주파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의 신호가 전송 선로에 의해 손실(예: 감쇄)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1)는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품질 또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48)는 빔포밍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3 RFIC(226)는, 예를 들면, 제 3 RFFE(236)의 일부로서, 복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2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238)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Above6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네트워크(294)(예: 5G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292)(예: 레거시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예: stand-alone(SA)),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예: non-stand alone(NSA)). 예를 들면, 5G 네트워크에는 액세스 네트워크(예: 5G radio access network(RAN) 또는 next generation RAN(NG RAN))만 있고, 코어 네트워크(예: next generation core(NGC))는 없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레거시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예: evolved packed core(EPC))의 제어 하에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LTE 프로토콜 정보) 또는 5G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정보(예: new radio(NR) 프로토콜 정보)는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다른 부품(예: 프로세서(120),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또는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4G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100)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100)는, 전자 장치(101), 4G 네트워크(392), 5G 네트워크(394) 및 서버(server)(10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터넷 프로토콜(312),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4G 네트워크(392) 및/또는 5G 네트워크(394)를 통하여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인터넷 프로토콜(312)(예를 들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IP(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서버(108)와 연관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312)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메인 프로세서(예: 도 1의 메인 프로세서(121))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을 이용하여 4G 네트워크(392)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을 이용하여 5G 네트워크(394)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세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108)는 인터넷 프로토콜(32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4G 네트워크(392) 및/또는 5G 네트워크(394)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와 인터넷 프로토콜(322)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8)는 4G 네트워크(392) 또는 5G 네트워크(394) 외부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8)는 4G 네트워크(392) 또는 5G 네트워크(39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 컴퓨팅 서버(또는,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4G 네트워크(392)는 LTE (long term evolution) 기지국(340) 및 EPC(evolved packed core)(342)를 포함할 수 있다. LTE 기지국(340)은 LTE 통신 프로토콜 스택(344)을 포함할 수 있다. EPC(342)는 레거시 NAS (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346)을 포함할 수 있다. 4G 네트워크(392)는 LTE 통신 프로토콜 스택(344) 및 레거시 NAS 프로토콜(34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LTE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5G 네트워크(394)는 NR (new radio) 기지국(350) 및 5GC(5th generation core)(352)를 포함할 수 있다. NR 기지국(350)은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을 포함할 수 있다. 5GC(352)는 5G NAS 프로토콜(356)을 포함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394)는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 및 5G NAS 프로토콜(356)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와 NR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프로토콜 스택(314),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 LTE 통신 프로토콜 스택(344) 및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평면 프로토콜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는 보안 제어, 베어러(bearer)설정, 인증, 등록 또는 이동성 관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평면 프로토콜 및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은 PHY(physical),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Y 레이어는 상위 계층(예를 들어, MAC 레이어)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여 무선 채널로 전송하고,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 및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에 포함된 PHY 레이어는 빔 포밍(beam forming)과 관련된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레이어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무선 채널에 논리적/물리적으로 매핑하고, 오류 정정을 위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LC 레이어는 데이터를 접합(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또는 재조립(reassembly)하고, 데이터의 순서 확인, 재정렬, 또는 중복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레이어는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의 암호화 (ciphering) 및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 프로토콜 스택(316) 및 NR 통신 프로토콜 스택(354)은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AP는 사용자 데이터의 QoS(quality of service)에 기반한 무선 베어러할당을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평면 프로토콜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 및 NAS(non-access stratum)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레이어는 무선 베어러 설정, 페이징(paging), 또는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AS는 인증, 등록, 또는 이동성 관리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4G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A 내지 100B)은, 4G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3GPP 표준의 LTE 기지국(440)(예를 들어, eNB(eNodeB)) 및 4G 통신을 관리하는 EPC(evolved packet core)(4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new radio(NR) 기지국(450)(예를 들어, gNB(gNodeB)) 및 전자 장치(101)의 5G 통신을 관리하는 5GC(5th generation core)(4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은 4G 통신 및/또는 5G 통신을 통해 제어 메시지 (control message)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의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베어러 설정(bearer setup),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는 전자 장치(101)와 코어 네트워크(430)(예를 들어, EPC(442))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4G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LTE 기지국(440), EPC(442))를 이용하여 5G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NR 기지국(450), 5GC(452))와 제어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0A)은 LTE 기지국(440) 및 NR 기지국(450)으로의 무선 통신 듀얼 커넥티비티(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MR-DC)를 제공하고, EPC(442) 또는 5GC(452) 중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4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R-DC 환경에서, LTE 기지국(440) 또는 NR 기지국(450) 중 하나의 기지국은 MN(master node)(410)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SN(secondary node)(420)로 동작할 수 있다. MN(410)은 코어 네트워크(430)에 연결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MN(410)과 SN(42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자원(예를 들어, 통신 채널)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를 서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N(410)은 LTE 기지국(440), SN(420)은 NR 기지국(450), 코어 네트워크(430)는 EPC(44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440) 및 EPC(442)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LTE 기지국(440)과 NR 기지국(450)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는 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EPC(442)는 LTE 기지국(44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5GC(452)는 NR 기지국(45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EPC(442) 또는 5GC(452)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registration)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EPC(442) 또는 5GC(452)는 연동(interworking)하여 전자 장치(101)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정보가 EPC(442) 및 5GC(452)간의 인터페이스(미도시)(예: N26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보고를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01에서, MN(410)(예: LTE 기지국(440))에 캠프 온(camp on)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신호(예: PRACH(physical RACH)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MN(410)로부터 RACH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예: PRACH response)를 수신한 경우, MN(410)(예: LTE 기지국(440))에 접속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와 MN(410)는 동작 503에서,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RRC 연결 요청과 관련된 신호(RRC conncection request)를 MN(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N(410)은 RRC 연결 요청과 관련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RRC 연결 설정과 관련된 신호(RRC connection setup)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RRC 연결 설정과 관련된 신호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 DRB(data radio bearer), MAC(medium access control) 및/또는 PHY(physical) 구성과 관련된 정보(예: RadioResourceConfigDedicat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RRC 연결 설정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01)의 능력(capability)과 관련된 신호를 MN(410)로 전송하여 RRC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101)의 능력과 관련된 신호는 NAS(non access stratum) 계층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이중 접속의 지원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N(410)는 동작 505에서, 전자 장치(101)의 이중 접속을 위해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N(410)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5G 통신을 이용한 이중 접속의 사용이 허용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는 전자 장치(101)가 SN(secondary node)의 역활을 수행하기 위한 5G 네트워크의 성능을 측정 및 보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는 측정 대상과 관련된 정보,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STMC(SS/PBCH block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예: gap configuration)및/또는 주변 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07에서,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MN(4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N(410)은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09에서, MN(101)로부터 수신한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STMC)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 및/또는 주기를 설정(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에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예: gap configuration)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STMC)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 및/또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 및/또는 주변 셀 정보에서 확인된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duration)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서 확인된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에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예: gap configuration)가 포함되는 경우,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STMC)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 및/또는 주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서 확인된 5G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duration)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서 확인된 5G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갱신할 수 있다. 일예로, 5G 네트워크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이 불일치하는 상황은 5G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를 설정하는 노드(예: SN(420))와 5G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노드(예: MN(410))가 상이하며, 두 노드들 사이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과 관련된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발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11에서,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 및/또는 주기에 기반하여 측정한 주변 셀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예: 동기 신호)를 측정하여 MN(410)로 보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N(410)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이중 접속을 위한 SN(420)(예: NR 기지국(450))을 설정할 수 있다. MN(410)은 동작 513에서, SN(420)으로 SN 추가 요청과 관련된 신호(SN addition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 추가 요청과 관련된 신호는 SN(420)으로 이동시킬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bearer)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SN(420)는 MN(410)로부터 요청받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위한 무선 자원(예: 5G 통신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SN(420)는 동작 515에서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를 위한 무선 자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MN(4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MN(410)은 동작 517에서, SN(420)로의 베어러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는 전자 장치(101)과 SN(420)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101)과 SN(420)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는 RACH 설정,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및/또는 5G 통신의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19에서,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MN(4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N(410)은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521에서, MN(410)로부터 제공받은 전자 장치(101)과 SN(420)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SN(420)과의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600), 제 1 통신 회로(610), 제 2 통신 회로(620) 및/또는 메모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0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 및/또는 제 2 통신 회로(620)는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무선 통신 모듈(192)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630)는 도 1의 메모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메모리(13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와 제 2 통신 회로(620)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00), 제 1 통신 회로(610), 및 제 2 통신 회로(620)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600)는 제 1 통신 회로(610) 및/또는 제 2 통신 회로(6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00)는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2 통신 회로(620)와 AP2CP(application processor to communication processor)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2CP 인터페이스는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방식 또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exp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와 제 2 통신 회로(620)는 CP2CP(communication processor to communication processor)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2CP 인터페이스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노드(예: 도 4a의 MN(410))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여, 제 1 노드(예: MN(410))와 제어 메시지 및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여, 제 2 노드(예: SN(420))의 제어 메시지(예: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셀룰러 통신은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또는 LTE-A pro(LTE advanced pro)) 중 어느 하나의 방식 또는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또는 NR) 중 어느 하나의 방식(예: 약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사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노드(예: MN(4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1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2)), RFIC(예: 도 2의 제 1 RFIC(222)) 및/또는 RFFE(예: 도 2의 제 1 RFFE(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주파수 대역(예: 약 700MHz 내지 약 5GHz)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셀룰러 통신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 및 제 1 셀룰러 통신에서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들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회로(620)는 제 2 노드(예: 도 4a의 SN(420))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회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 2 노드(예: SN(420))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셀룰러 통신은 전자 장치(101)가 지원 가능한 다양한 셀룰러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은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5G) 중 어느 하나의 방식(예: 약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 사용)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예: LTE, LTE-A, 또는 LTE-A pro)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노드(예: SN(420))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회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커뮤티케이션 프로세서(예: 도 2의 제 2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14)), RFIC(예: 도 2의 제 3 RFIC(226)) 및/또는 RFFE(예: 도 2의 제 3 RFFE(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회로(620)는 제 2 셀룰러 통신에서 지원하는 제 2 주파수 대역(예: 약 6GHz 이하)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에서 지원하는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예: 약 2.8GHz, 3.5GHz)를 통해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제 2 통신 회로(620)는 제 1 통신 회로(610)에서 수행된 동기 신호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노드(예: SN(420))가 설정된 경우(예: 도 5의 동작 511 내지 519), 제 2 노드(예: SN(420))와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예: 도 5의 동작 521).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이중 접속은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1 셀룰러 통신 및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2 셀룰러 통신의 EN-DC(E-UTRA-NR dual connectivity) 환경,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1 셀룰러 통신 및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2 셀룰러 통신의 NE-DC(NR - E-UTRA dual connectivity) 환경,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1 방식(예: 약 6GHz 이하)을 지원하는 제 1 셀룰러 통신 및 5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2 방식(예: 약 6GHz 이상)을 지원하는 제 2 셀룰러 통신 방식의 NR-DC(NR-NR dual connectivity) 환경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1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셀룰러 통신 및 4세대 이동 통신 방식의 제 2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셀룰러 통신 방식의 DC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 및 제 2 셀룰러 통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예: MN(410))로부터 제 1 셀룰러 통신 및/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무선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무선 연결과 관련된 정보는 제 1 셀룰러 통신 및/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SMTC(SS/PBCH block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예: gap configuration) 및/또는 스케줄 요청과 관련된 정보(예: SR(scheduling reques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 신호는 3GPP 표준 TS 38.331에 정의된 SSB(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SSB를 이용하여 제 2 노드(예: 도 4a의 SN(420))와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SSB를 수신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SSB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physical broadcasting channe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PSS 및/또는 SSS를 측정한 결과(예: SS-RSRP((synchronization signal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제 1 노드(예: MN(410))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1 노드(예: MN(410))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와 관련된 정보(예: measurement object)에 기반하여 제 1 노드(예: MN(410))가 지정한 측정 보고 이벤트가 충족되면 제 1 노드(예: MN(410))로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보고와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가 "B1-NR"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SSB를 측정한 결과가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 측정 보고를 제 1 노드(예: MN(4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MTC는 동기 신호(예: SSB)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로, SSB의 전송 주기(SSB periodicity), SSB가 전송되는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SSB duraiton)의 전송 구간 및/또는 SSB가 전송되는 구간의 시작 지점(SSB offset)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SMTC는 RRC재구성과 관련된 신호(RRCReconfiguration)의 SSB-MTC(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 또는 RRC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RRCConnectionReconfiguration)의 MTC-SSB-NR-r15와 같이 정보 요소(IE: information element)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예: gap configuration)는 동기 신호의 측정을 위한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 제 1 노드(예: MN(4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는, 측정 구간의 시작 위치(offset), 측정 구간의 길이 및/또는 측정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는 RRC 연결 재구성과 관련된 신호(RRCConnectionReconfiguration) 의 MeasGapConfig IE에 포함될 수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 및/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1 통신 회로(610) 및/또는 제 2 통신 회로(62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 1 셀룰러 통신 및/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통해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는 제 1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주기 및/또는 측정 구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 동안 제 1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종료되는 경우, 제 1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재개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주기 및/또는 측정 구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무선 상태(또는 무선 환경)에 의해 제 1 노드가 전송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위한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duration)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subcarrier spacing)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 간격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위치(예: 심볼 위치) 및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부반송파의 길이를 식별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동기 신호의 전송되는 부반송파의 길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는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가 30KHz인 경우, 두 개의 서브 프레임(예: 약 2ms)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통신 회로(610)는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가 실제적으로 전송되는 구간(예: 4개의 OFDM 심볼)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동기 신호가 실제적으로 전송되는 구간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 간격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하거나 동기 신호의 수신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주기(예: SSB periodicity), 동기 신호의 오프셋(예: SSB offset) 및/또는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의 길이(예: SSB dur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 정보는 배터리 잔량, 충전 여부 또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기능의 종류(예: 서비스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통신 회로(610)는 프로세서(600)로부터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복호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또는 구간을 확인(또는, 리드(read))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또는 구간과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이 일치하는 경우,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한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또는 구간과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이 불일치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또는 구간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또는 구간과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이 일치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또는 구간 및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또는 구간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또는 구간과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이 불일치하는 경우,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한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1 주기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된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또는 전자 장치(101)에서 설정한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주기에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제 2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주기는 제 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주기로 수행된 동기 신호의 측정 동작을 통해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제 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 2 주기로 변경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측정에 의한 전자 장치(101)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주기에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을 상대적으로 짧게 조절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중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예: 도 4a의 네트워크 환경(100A))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에 기반한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통신 회로(620)는 비활성 상태(또는, 인액티브 상태, 슬립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통신 회로(620)는 제 1 통신 회로(610)가 주기적으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는 동안 비활성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통신 회로(620)의 비활성 상태는 제 2 통신 회로(620)에 전원이 인가되지만 구동이 제한된 상태 또는 제 2 통신 회로(620)의 전원 공급이 제한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노드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로의 데이터의 송신이 제한될 수 있다. 제 1 노드(예: MN(410))는 제 1 통신 회로(610)에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1)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노드는 제 1 통신 회로(610)가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안 전자 장치(101)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예: ACK 또는 NACK)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 1 노드와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노드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예: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이 종료되면, 제 1 노드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노드는 기준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전자 장치(101)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노드는 전자 장치(101)로 전송한 데이터 중 응답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가 지정된 조건(예: 기준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1 노드의 데이터 재전송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이 종료된 후 제 1 노드에서 재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패킷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60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 1 통신 회로(6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00)는 제 1 통신 회로(610)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주기 및/또는 구간을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및 제 2 통신 회로(620)는 하나의 칩인 제 3 통신 회로(640))로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통신 회로(6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처리 부분(processing part)(642) 및 제 2 통신 회로(6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처리 부분(64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처리 부분(642) 및 제 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652)(예: 도 2의 제 1 RFIC(222)) 및/또는 제 1 RFFE(232))를 이용하여 제 1 노드(예: 도 4a의 MN(410))와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처리 부분(644) 및 제 2 RFIC(654)(예: 도 2의 제 2 RFIC(224)) 및/또는 제 2 RFFE(234))를 이용하여 제 2 노드(예: 도 4a의 SN(420))와 제 2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처리 부분(642)을 이용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00)와 제 3 통신 회로(640)는 단일(single) 칩 또는 단일 패키지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처리 부분(642) 및 제 2 처리 부분(644)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처리 부분(642) 및 제 2 처리 부분(644)은 서로 다른 회로 또는 서로 다른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처리 부분(642) 및 제 2 처리 부분(644)은 논리적(예: 소프트웨어)으로 구분된 부분일 수도 있다. 일예로, 도 6b의 제 1 처리 부분(642)은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제 2 처리 부분(644)은 도 6a의 제 2 통신 회로(620)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a와의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 1 처리 부분(642) 및 제 2 부분(64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통신 회로(640)는 AP2CP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60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2CP 인터페이스는 공유 메모리 방식 또는 PC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1 처리 부분(642)를 이용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2 처리 부분(644) 및 제 2 RFIC(654)는 비활성 상태(또는 인액티브 상태, 슬립 상태)로 동작하므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제 3 통신 회로(640)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1 처리 부분(642));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2 통신 회로(62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2 처리 부분(6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주기(periodicity) 및/또는 구간(durat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 중 상기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일부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스케줄링 요청 주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충전 여부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설정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와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통신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회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하는 동안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또는 NR(new radio)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은, NR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1 처리 부분(642));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2 통신 회로(62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2 처리 부분(6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과 상기 전송 구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7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701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예: 도 4a의 MN(410))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RRC 메시지에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RRC 메시지는 RRC의 재구성과 관련된 제어 메시지(예: RRCreconfiguration 또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동기 신호는 SSB (SS/PBCH block)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701의 '아니오'), 동작 70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예: SMTC)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예로, RRC 메시지는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추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이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주기 및/또는 구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표 1(예: 3GPP TS 36.331 표준) 또는 표 2(예: 3GPP TS 38.331 표준)와 같이, RRC 메시지(예: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또는 RRCReconfiguration)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예: ssb-duration) 및/또는 주기(예: periodicityandoffset)를 확인할 수 있다.
MTC-SSB-NR-r15 ::= SEQUENCE {
periodicityAndOffset-r15 CHOICE {
sf5-r15 INTEGER (0..4),
sf10-r15 INTEGER (0..9),
sf20-r15 INTEGER (0..19),
sf40-r15 INTEGER (0..39),
sf80-r15 INTEGER (0..79),
sf160-r15 INTEGER (0..159)
},
ssb-Duration-r15 ENUMERATED {sf1, sf2, sf3, sf4, sf5 }
}
SSB-MTC information element
SSB-MTC ::= SEQUENCE {
periodicityAndOffset CHOICE {
sf5 INTEGER (0..4),
sf10 INTEGER (0..9),
sf20 INTEGER (0..19),
sf40 INTEGER (0..39),
sf80 INTEGER (0..79),
sf160 INTEGER (0..159)
},
duration ENUMERATED { sf1, sf2, sf3, sf4, sf5 }
}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표 3(예: 3GPP TS 38.331 표준) 또는 표 4(예: 3GPP TS 36.331 표준)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subcarrier spacing)을 확인할 수 있다.
MeasObjectNR ::= SEQUENCE {
ssbFrequency ARFCN-ValueNR OPTIONAL, -- Cond SSBorAssociatedSSB
ssb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OPTIONAL, -- Cond SSBorAssociatedSSB
smtc1 SSB-MTC OPTIONAL, -- Cond SSBorAssociatedSSB
smtc2 SSB-MTC2 OPTIONAL, -- Cond IntraFreqConnected
refFreqCSI-RS ARFCN-ValueNR OPTIONAL, -- Cond CSI-RS
referenceSignalConfig ReferenceSignalConfig,
absThreshSS-BlocksConsolidation ThresholdNR OPTIONAL, -- Need R
absThreshCSI-RS-Consolidation ThresholdNR OPTIONAL, -- Need R
nrofSS-BlocksToAverage INTEGER (2..maxNrofSS-BlocksToAverage) OPTIONAL, -- Need R
nrofCSI-RS-ResourcesToAverage INTEGER (2..maxNrofCSI-RS-ResourcesToAverage) OPTIONAL, -- Need R
quantityConfigIndex INTEGER (1..maxNrofQuantityConfig),
offsetMO Q-OffsetRangeList,
cellsToRemoveList PCI-List OPTIONAL, -- Need N
cellsToAddModList Cells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blackCellsToRemoveList PCI-RangeIndexList OPTIONAL, -- Need N
blackCellsToAddModList SEQUENCE (SIZE (1..maxNrofPCI-Ranges)) OF PCI-RangeElement OPTIONAL, -- Need N
whiteCellsToRemoveList PCI-RangeIndexList OPTIONAL, -- Need N
whiteCellsToAddModList SEQUENCE (SIZE (1..maxNrofPCI-Ranges)) OF PCI-RangeElement OPTIONAL, -- Need N
...,
[[
freqBandIndicatorNR FreqBandIndicatorNR OPTIONAL, -- Need R
measCycleSCell ENUMERATED {sf160, sf256, sf320, sf512, sf640, sf1024, sf1280} OPTIONAL -- Need R
]]
}
MeasObjectNR-r15 ::= SEQUENCE {
carrierFreq-r15 ARFCN-ValueNR-r15,
rs-ConfigSSB-r15 RS-ConfigSSB-NR-r15,
threshRS-Index-r15 ThresholdListNR-r15 OPTIONAL, -- Need OR
maxRS-IndexCellQual-r15 MaxRS-IndexCellQualNR-r15 OPTIONAL, -- Need OR
offsetFreq-r15 Q-OffsetRangeInterRAT DEFAULT 0,
blackCellsToRemoveList-r15 CellIndexList OPTIONAL, -- Need ON
blackCellsToAddModList-r15 CellsToAddModListNR-r15 OPTIONAL, -- Need ON
quantityConfigSet-r15 INTEGER (1.. maxQuantSetsNR-r15),
cellsForWhichToReportSFTD-r15 SEQUENCE (SIZE (1..maxCellSFTD)) OF PhysCellIdNR-r15
OPTIONAL, -- Need OR
...,
[[ cellForWhichToReportCGI-r15 PhysCellIdNR-r15 OPTIONAL, -- Need ON
deriveSSB-IndexFromCell-r15 BOOLEAN OPTIONAL, -- Need ON
ss-RSSI-Measurement-r15 SS-RSSI-Measurement-r15 OPTIONAL, -- Need ON
bandNR-r15 CHOICE {
release NULL,
setup FreqBandIndicatorNR-r15
} OPTIONAL -- Need ON
]]
}
RS-ConfigSSB-NR-r15 ::= SEQUENCE {
measTimingConfig-r15 MTC-SSB-NR-r15,
subcarrierSpacingSSB-r15 ENUMERATED {kHz15, kHz30, kHz120, kHz24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705에서, 제 2 셀룰러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예: ssb duration)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또는 스케줄링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 및/또는 측정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한 경우(예: 동작 705), 동작 707에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에 대한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705에서 설정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또는 측정 주기)이 도래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제 1 노드와의 제 1 셀룰러 통신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동작 주파수를 제 2 셀룰러 통신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로 변경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셀룰러 통신을 통해 제 1 노드로부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예: 동작 701의 '예'), 동작 707에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에 대한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또는 측정 주기)이 도래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일예(72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b의 동작들은 도 7a의 동작 705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7b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구간의 길이의 설정과 관련된 프레임 구성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한 경우(예: 도 7a의 동작 703), 동작 72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심볼 및/또는 서브 프레임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3 또는 표 4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5와 같이, 제 2 셀룰러 통신(예: 3GPP TS 38.213 표준과 관련된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subcarrier spacing)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에서 동기 신호의 시작 심볼 및/또는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는 도 8a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표 5에서 case B에 기재된 {4, 8, 16, 20} + 28*n (n=0, 1)에 기반하여 산출된 시작 심볼(예: 4, 8, 16, 20, 32, 36, 44 및 48)마다 4개의 심볼들(예: OFDM 심볼들)(801)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807)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예: ssb duratio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하나의 서브 프레임(805)은 두 개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슬롯(803)은 14개의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72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심볼 및/또는 서브 프레임의 길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a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B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예: 약 3GHZ ~ 6GHz), 동기 신호들(예: SSB0, SSB1, SSB2, SSB3, SSB4, SSB5, SSB6, 및 SSB7)이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 구간(803)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b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A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15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동기 신호들이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 구간(811)(예: 약 2ms)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b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A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15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예: 약 3GHZ ~ 6GHz), 동기 신호들이 전송되는 네 개의 서브 프레임 구간(813)(예: 약 4ms)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b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B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동기 신호들이 전송되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 구간(815)(예: 약 1ms)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b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C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동기 신호들이 전송되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 구간(817)(예: 약 1ms)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b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C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예: 약 3GHZ ~ 6GHz), 동기 신호들이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 구간(819)(예: 약 2ms)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에서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8a를 참조하면, 표 5의 case B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예: 약 3GHZ ~ 6GHz), 각각의 동기 신호들(예: SSB0, SSB1, SSB2, SSB3, SSB4, SSB5, SSB6, 또는 SSB7)이 전송되는 제 1 개수(예: 약 4개)의 심볼들(예: 약 0.25ms)의 구간(801)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일예(9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의 동작들은 도 7a의 동작 705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9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한 경우(예: 도 7a의 동작 703), 동작 90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1 또는 표 2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확인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관련된 정보(예: ssb-duration)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메시지에 포함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관련된 정보(예: ssb-duration)는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과 관련된 정보(예: sf1, sf2, sf3, sf4 또는 sf5)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은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관련된 정보(예: ssb-duration)가 'sf1'로 설정된 경우,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은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관련된 정보(예: ssb-duration)가 'sf2'로 설정된 경우, 두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3 또는 표 4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확인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0을 참조하면, 표 5의 case B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예: 약 3GHZ ~ 6GHz),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1002) 에 기반하여 설정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 주기(1010)마다 동기 신호들이 전송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 구간(예: 약 2ms)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10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 주기(1010)는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1002)의 배수에 대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90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 중 동기 신호가 검출된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0을 참조하면, 표 5의 case B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이 30KHz이고, 동작 주파수가 3GH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예: 약 3GHZ ~ 6GHz), 두 개의 서브 프레임 구간(예: 약 2ms)으로 설정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1020) 동안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1020) 중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실제적으로 검출한 구간(예: 도 10의 1024)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905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된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0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1020) 중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통해 동기 신호(1010)를 검출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610)는 동기 신호를 검출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구간을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1024)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610)는 갱신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1024)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11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동작들은 도 7a의 동작 703 및 동작 705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1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주기의 설정과 관련된 프레임 구성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10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1 또는 표 2와 같이, RRC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관련된 정보(예: periodicityandoffset)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관련된 정보(예: periodicityandoffset)는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 간격과 관련된 정보(예: sf5, sf10, sf20, sf40, sf80 또는 sf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는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관련된 정보(예: periodicityandoffset)가 'sf5'로 설정된 경우, 다섯 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은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관련된 정보(예: periodicityandoffset)가 'sf10'로 설정된 경우, 열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10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1202)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 구간이 일치하도록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UE gap)(121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13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의 동작들은 도 7a의 동작 703 및 동작 705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3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설정된 측정 주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30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신 회로(610)는 표 1 또는 표 2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예: periodicityandoffset)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303에서,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는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정보, 배터리 잔량, 충전 여부 또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기능의 종류(예: 서비스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305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을 초과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1202)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 구간이 일치하는 제 3 주기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전자 장치(101)의 배터리 잔량이 지정된 잔량 이하이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1202)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 구간이 일치하는 제 4 주기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4 주기는 제 3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전자 장치(101)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예: VoLTE(voice of long term evolution))를 제공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4a를 참조하면, Vo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1400), 제 5 주기(예: 약 40ms 또는 20ms)로 VoLTE와 관련된 데이터(예: VoLTE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data)를 송수신 구간(1402)에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1412)이 VoLTE와 관련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구간(1404)에 포함되는 경우(1410),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1412)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도록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1422)을 설정할 수 있다(1420).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1422)은 VoLTE와 관련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구간(1404)마다 제 5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4b를 참조하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1442)이 VoLTE와 관련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구간(1402)에 포함되는 경우(1440),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1442)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시간 구간이 일치하는 제 6 주기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1452)를 설정할 수 있다(1450). 일예로, 제 6 주기는 VoLTE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1 셀룰러 통신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가 확인되는 경우, 제 2 셀룰러 통신의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제 2 셀룰러 통신에서 정의된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스케줄 요청 구간에 기반하여 측정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15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의 동작들은 도 7a의 동작 705의 상세한 동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일예로, 도 15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케줄 요청 구간에 기반하여 설정된 측정 주기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501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1 또는 표 2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예: periodicityandoffset)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50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스케줄 요청 주기가 중첩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6(예: 3GPP TS36.331 표준)과 같이, RRC 메시지에서 스케줄 요청 주기와 관련된 정보(예: sr-ConfigIndex)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7과 같이, 기 정의된 테이블(예: 3GPP TS36.213 table 10.1.5-1)에서 스케줄 요청 주기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되는 스케줄 요청 주기(예: SR periodicity)를 확인할 수 있다.
SchedulingRequestConfig ::=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sr-PUCCH-ResourceIndex INTEGER (0..2047),
sr-ConfigIndex INTEGER (0..157),
dsr-TransMax ENUMERATED {
n4, n8, n16, n32, n64, spare3, spare2, spare1}
}
}
Figure pat00002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스케줄 요청 주기가 중첩되는 경우(예: 동작 1503의 '예'), 동작 1505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 스케줄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6을 참조하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예: SSB)의 전송 구간(1602)과 스케줄 요청 구간(1612)의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경우(1610),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1632)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예: SSB)의 전송 구간(1602)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지만 스케줄 요청 구간(1612)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 2 셀룰러 통신의 기준 신호의 측정 주기(1634)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와 스케줄 요청 주기가 중첩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1503의 '아니오'), 동작 1507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주기를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17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701에서, 제 1 주기(예: 약 80ms)로 설정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기준 신호의 측정 주기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8(예: 3GPP TS 36.331 또는 TS 38.331 표준)과 같이, RRC 메시지(예: RRCconnectionreconfiguration)에서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예: gapoffset)에 기반하여 제 1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MeasGapConfig ::= CHOICE {
release NULL,
setupSEQUENCE {
gapOffset CHOICE {
gp0 INTEGER (0..39),
gp1 INTEGER (0..79),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1의 동작 1101 내지 동작 1103과 같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제 1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3의 동작 1301 내지 동작 1305과 같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 전자 장치(101)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제 1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5의 동작 1501 내지 동작 1505과 같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및 스케줄 요청 주기에 기반하여 제 1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703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통해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예: NR 셀)이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이 검출되는 않은 경우(예: 동작 1703의 '아니오'), 동작 1705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제 1 주기와 다른 제 2 주기(예: 약 160ms)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주기는 제 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707에서, 제 2 주기로 설정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제 1 주기보다 상대적으로 긴 제 2 주기로 변경함으로써, 동기 신호의 측정에 의한 전자 장치(101)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을 검출한 경우(예: 동작 1703의 '예'),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결과를 제 1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정 구간을 갱신하기 위한 흐름도(1800)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예로, 전자 장치는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 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801에서, 제 1 셀룰러 통신을 제공하는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는 표 8과 같이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구간 및/또는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803에서,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RRC 메시지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 및/또는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1 또는 표 2와 같이, RRC 메시지(예: RRCconnectionreconfiguration)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예: ssb-duration) 및/또는 주기(예: periodicityandoffset)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표 3 또는 표 4와 같이, RRC 메시지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간 간격 정보(subcarrier spacing)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805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801에서 확인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이 동작 1803에서 확인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주기 및 동기 신호이 전송되는 주기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 동작 1805의 '아니오'), 동작 1807에서, 제 2 셀룰러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이 불일치하는 상황은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제 1 노드(예: MN(410))와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를 설정하는 제 2 노드(예: SN(420))가 상이하며, 두 노드들 사이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과 관련된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발생될 수 있다. 일예로, 제 2 노드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제공하는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7의 동작 701 내지 동작 703 또는 도 9의 동작 901 내지 동작 905와 같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또는 구간의 길이)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도 11의 동작 1101 내지 동작 1103 또는 도 13의 동작 1301 내지 동작 1305 또는 도 15의 동작 1501 내지 동작 1505와 같이,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동작 1809에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갱신된 측정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이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갱신된 측정 구간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또는 측정 주기)이 도래하는 경우, 제 1 모드로 전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과 관련된 셀들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무선 통신 모듈(192),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제 3 통신 회로(640))는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과 측정 구간이 일치하는 경우(예: 동작 1805의 '예'), 동작 1811에서,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한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에 기반하여 제 2 셀룰러 통신이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도 6a 또는 도 6b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 방법은,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1 통신 회로(61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1 처리 부분(642))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도 6a의 제 2 통신 회로(620) 또는 도 6b의 제 3 통신 회로(640)의 제 2 처리 부분(64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정보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주기(periodicity) 및/또는 구간(durat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 중 상기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일부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스케줄링 요청 주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충전 여부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설정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와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또는 NR(new radio)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은, NR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주기(periodicity) 및/또는 구간(durat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 중 상기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일부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스케줄링 요청 주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충전 여부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상기 설정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와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회로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하는 동안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또는 NR(new radio)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은, NR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정보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관련된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주기(periodicity) 및/또는 구간(duration)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 중 상기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일부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구간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주기, 스케줄링 요청 주기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 상태, 충전 여부 또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설정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와의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중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또는 NR(new radio)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은, NR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법.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셀룰러 통신 또는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회로는,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을 식별하고,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과 상기 전송 구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전송 구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 구간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측정 구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제 2 셀룰러 통신의 동기 신호의 측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87935A 2020-07-16 2020-07-16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9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35A KR20220009582A (ko) 2020-07-16 2020-07-16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CT/KR2021/008751 WO2022014956A1 (ko) 2020-07-16 2021-07-08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7/496,194 US20220030531A1 (en) 2020-07-16 2021-10-07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ual connectivit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935A KR20220009582A (ko) 2020-07-16 2020-07-16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582A true KR20220009582A (ko) 2022-01-25

Family

ID=7955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935A KR20220009582A (ko) 2020-07-16 2020-07-16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30531A1 (ko)
KR (1) KR20220009582A (ko)
WO (1) WO20220149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922B (zh) * 2017-06-16 2021-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方法、测量配置方法和相关设备
KR20200058070A (ko) * 2018-11-19 202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환경에서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위한 신호 측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59631A (ko) * 2018-11-21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작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3811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0531A1 (en) 2022-01-27
WO2022014956A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1580A (ko) 듀얼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셀룰러 통신 전환 방법
KR20220074117A (ko) 긴급 호를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40694A (ko) 전자 디바이스,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220015702A (ko) 전자 장치 및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변 셀의 간섭을 제거하는 방법
US20220407896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ll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20141919A1 (en) User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s
US20220159562A1 (en) Electronic device for searching a node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US20230345533A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09582A (ko) 이중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57306A (ko) 복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20220117009A (ko) 전자 장치 및 복수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
KR20220103400A (ko) 고조파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51702A (ko) 전자 장치 및 동적 스펙트럼 공유를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132617A (ko)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36253B1 (ko) 통화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230659A1 (ko) 다중 가입자 식별 모듈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41335A (ko) 다중 가입자 식별 모듈(Multi-SIM)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49367A (ko) 복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47084A (ko) 통신 버퍼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1593B1 (ko) 전자 장치 및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 전자 장치에서 전류 소모를 줄이는 방법
US202203125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with communication network by electronic device
KR20220139582A (ko) C-drx를 지원하는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32892A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40061522A (ko)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25433A (ko) Ue 캐퍼빌리티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