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477A - Smart cabinet - Google Patents

Smart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477A
KR20220008477A KR1020200086583A KR20200086583A KR20220008477A KR 20220008477 A KR20220008477 A KR 20220008477A KR 1020200086583 A KR1020200086583 A KR 1020200086583A KR 20200086583 A KR20200086583 A KR 20200086583A KR 20220008477 A KR20220008477 A KR 2022000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storage space
do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종선
안현수
Original Assignee
(주)태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태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8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477A/en
Publication of KR2022000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4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cabinet. One aspect of the smart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ing in which a storage space in which an article is accommodated is defined; a door which opens and clos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locking unit for locking or releasing a lock so that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is not opened or closed; an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for unlocking the door by the lock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to lock or unlock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whether a user is normally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mart cabinet configured to enable more efficient and detailed management.

Description

스마트 캐비닛{SMART CABINET}Smart Cabinet {SMART CABINET}

본 발명은 스마트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binet.

캐비닛이란, 각종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회사나 학교와 같은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된다. 최근에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캐비닛의 개폐 및 물품의 출납을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를 인증하여 캐비닛의 개폐 및 물품의 출납을 관리하는 수준이므로, 보다 사용자별 권한 레벨에 따른 세분화된 관리 및 구체적인 물품의 출납에 대한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발생한다.The cabinet is for storing various items, and is used in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companies and schools. Recently, in order to enhance security, a technique for managing opening/closing of a cabinet and putting in/out of articles has been disclosed. However, since this prior art is a level of manag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binet and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by simply authenticating the us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manage detailed management and specific goods in and out according to the permission level for each user.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84371호(명칭: 위험물 보관함)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2084371 (Name: Dangerous goods storage box)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90142호(명칭: 의약품 수량 감지 트레이를 구비한 의약품 캐비넷)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890142 (Name: Medicine cabinet with tray for detecting the quantity of medicin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6994호(명칭: 총기 관리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726994 (Name: Firearms Management System) 일본 공개특허 제2019-049200호(명칭: 시정 기능이 있는 캐비닛의 개폐체 장치)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9-049200 (Title: Open/close device of cabinet with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권한 레벨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구체적으로 세분화된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캐비닛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cabinet configured to enable more efficient and detailed management according to a user's authority leve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캐비닛의 일 양태는,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내부에 정의되는 케이싱; 상기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여닫히는 도어;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의 여닫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그거나 잠금의 해제를 수행하는 잠금 유닛; 상기 잠금 유닛에 의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유닛; 및 상기 인증 유닛에 의한 사용자의 정상 인증 여부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잠금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smart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sing in which a storage space in which an article is accommodated is defin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locking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to prev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for unlocking the door by the lock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to lock or unlock the door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is normally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감지 유닛;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출납을 감지하는 제2감지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인증 유닛에 의하여 인증된 인증 정보, 상기 제1감지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납 공간의 개폐 정보 및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물품의 출납 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인증 정보, 개폐 정보 및 출납이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잠금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second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storage space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unit, and item 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a database in which it is store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update and sto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withdrawal/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납 공간은, 사용자별로 부여된 권한 레벨에 따라서 물품의 출납이 허용되는 다수개의 인가 영역 및 제한되는 비인가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어부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에서 물품의 출납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감지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uthorized areas and restricted non-authorized areas in which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is allow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uthority granted to each user,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by the authenticated user.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detects that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has occurred in the non-approved area,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 정보, 개폐 정보 및 출납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송신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경고 메세지를 송신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deposit and 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or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authenticated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감지 유닛은, 상기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감지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ing unit senses the weight of the item stored in the area, and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weight of the item stored in the non-approved area by the second sensing unit. If it is detect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인증된 사용자 및 상기 수납 공간의 외부로 인출되는 물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촬영 유닛이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기저장된 사용자 및 물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대비하여 사용자 및 물품을 식별한 후 사용자 및 물품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송신한다.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f an authenticated user and an item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the photographing Afte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article in comparison with the still image or moving picture taken by the unit and the pre-stored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f the user and item,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the item is transmitted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시각적 및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경고 알람을 생성하는 알람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유닛이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기저장된 사용자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대비하여도 사용자의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 유닛이 경고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An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alarm by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ble means,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till image or moving pictur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pre-stored user's still image If the user cannot be identified even in comparison with the video or video, the alarm unit is controlled to generate a warning alarm.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기 전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의 감소값과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의 증가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이벤트가 취소된 것으로 판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duction value of the weight of the item stored in the non-approved area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before the door is closed and the value of the item stored in any one of the area. If the weight increase is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been cancel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 유닛에 의하여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비인가 영역과 물품의 중량이 증가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경우에는,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상기 비인가 영역 및 물품의 중량이 증가된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에 송신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경고 메세지를 송신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any one of the non-approved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sensed to be reduc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sensed to be increased, In this case, information on any one of the non-approved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reduced and the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increased is transmitted to a preset administrator terminal or a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authenticated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캐비닛에서는, 캐비닛의 수납 공간이 사용자별로 부여된 권한 레벨에 따라서 물품의 출납이 선택적으로 허용되는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 레벨을 넘어서는 영역에서의 물품의 출납이 확인되면,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각종 후속 조치를 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착오나 실수에 의하여 선반의 상면으로부터의 물품의 이격 또는/및 안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를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부여된 권한에 따른 세분화된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의 착오나 실수에 따른 오판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In the smart cabin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cabinet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the putting in and out of items are selectively allowed according to the authority level granted to each user, and in the area exceeding the authority level granted to the user. When the delivery of goods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and various follow-up actions are taken. 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paration and/or seating of the artic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is sequentially made due to a user's error or mistake, it is determined that this event does not occu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granula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authority granted to the user is possible, in particular, by preventing the user's error or erroneous judgment due to the mistake, more accurate managemen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캐비닛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캐비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캐비닛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캐비닛(1)은, 케이싱(100), 도어(200), 잠금 유닛(300), 인증 유닛(400) 및 제어 유닛(5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 캐비닛(1)이, 제1 및 제2감지 유닛(610)(620), 촬영 유닛(700) 및 알람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smart cabin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ing 100 , a door 200 , a locking unit 300 , an authentication unit 400 , and a control unit 500 . do.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mart cabinet 1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610 and 620 , a photographing unit 700 , and an alarm unit 800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100S)이 정의된다. 상기 수납 공간(100S)은 물품이 수납되는 곳으로,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100)이 전면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의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상기 수납 공간(100S)이 정의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n accommodation space 100S is defined inside the casing 100 . The accommodating space 100S is a place where items are stored, and for example, the housing 10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so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100S is defined in the interior of the casing 100 . can be

상기 수납 공간(100S)은, 사용자별로 부여된 권한 레벨에 따라서 물품의 출납이 선택적으로 허용되는 다수개의 영역, 실질적으로 인가 영역 및 비인가 영역으로 구획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100S)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하로 이격되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선반(110)에 의하여 상기 수납 공간(100S)이 다수개의 상기 인가 영역 및 비인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선반(1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수납 공간(100S)의 일부가 각각의 인가 영역 또는 비인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다수개의 상기 영역은, 사용자의 권한 레벨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인가 영역 또는 비인가 영역으로 정의될 것이다.The storage space 100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 which items are selectively allowed in and out according to the level of authority granted to each user, and is substantially divided into an authorized area and an unauthorized area. For example, the storage space 100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pplied areas and non-applied areas by a plurality of shelves 110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00S. can That is,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00S between the two adjacent shelves 110 may be divided into each applied area or non-applied area. Practically, the plurality of regions may be relatively defined as an authorized region or a non-authorized region according to the user's authority level.

상기 도어(200)는, 상기 수납 공간(100S)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여닫힌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이드-스윙 방식으로 여닫힘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100S)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200 is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00S. For example, the door 200 may b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asing 100 and open and close in a side-swing manner,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100S.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300)은, 상기 수납 공간(100S)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200)의 여닫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그거나 잠금의 해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 유닛(300)으로는, 상기 도어(200)가 닫힌 상태, 즉 상기 수납 공간(100S)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0)의 열림을 차단하는 도어 레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 unit 300 locks or unlocks the 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100S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0 is not performed. For example, as the locking unit 300 , a door latch that blocks the opening of the doo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0 is clos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space 100S is shielded, may be used. can

상기 인증 유닛(400)은, 상기 잠금 유닛(300)에 의한 상기 도어(200)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인증 유닛(400)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증 유닛(400)이, 제1 및 제2인증 유닛(410)(42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인증 유닛(410)은,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서 기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수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인증 유닛(420)은, 사용자가 소지한 NFC 태그에 저장된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 및 NFC 리더가 구비되는 테블릿 컴퓨터가 상기 제1 및 제2인증 유닛(410)(420)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unit 40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o unlock the door 200 by the lock unit 300 . The authentication unit 40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in various ways. In this embodiment, the authentication unit 400 includes first and second authentication units 410 and 420 . For example, the first authentication unit 410 may receive an ID and password from a user and perform user authentication only when the ID and password are stored in the same manner. In addition,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420 may receive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carried by the user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or example, a tablet computer equipped with a display for receiving information in a touch method and an NFC reader may b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authentication units 410 and 420 .

다음으로, 상기 제1감지 유닛(610)은, 상기 도어(200)의 개폐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감지 유닛(610)으로는, 주지된 도어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Next, the first sensing unit 610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0 . For example, a well-known door switch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first sensing unit 610 .

그리고 상기 제2감지 유닛(620)은, 상기 수납 공간(100S)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출납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감지 유닛(620)이, 상기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감지 유닛(620)으로는, 실질적으로 상기 영역의 바닥면을 정의하는 상기 선반(110)의 상면에 안착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nsing unit 620 detects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00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unit 620 detects the weight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area. For example, as the second sensing unit 620 , a load cell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articl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10 substantially def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gion may be used.

한편, 상기 제어 유닛(500)은,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한 사용자의 정상 인증 여부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100S)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도어(2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잠금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 유닛(500)은,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정상 인증된 경우에만 상기 도어(200)의 잠금 해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잠금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500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200 to open or close the storage space 100S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is normally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nit 300 .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 unit 300 to unlock the door 200 only when the user is normally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

상기 제어 유닛(500)은, 데이터 베이스() 및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하여 인증된 인증 정보, 상기 제1감지 유닛(61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납 공간(100S)의 개폐 정보 및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감지된 물품의 출납 이력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20)는, 인증 정보, 개폐 정보 및 출납이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10)에 각각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잠금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database ( ) and a control unit 520 . In the database ( ),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storage space 100S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610 , and the second sensing unit 620 . The deposit and 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of the goods detected by the is stor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20 updates and sto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deposit and 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in the database 510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ck unit 300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520)가, 인증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에서 물품의 출납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감지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부여된 권한을 벗어난 영역에서 물품을 출납하는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상황, 즉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감지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620 detects that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has occurred in the non-authorized area by the authenticated user, the controller 5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520 determines that an abnormal situation, that is,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deposits and withdraws goods from an area outside the granted authority. Practically,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620 detects that the weight of the article accommodated in the non-approved area is reduced, the controller 520 may determine that an event has occurred.

그리고 상기 제어부(5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510)에 갱신되어 저장된 인증 정보, 개폐 정보 및 출납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910)에 송신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920)에 경고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20)는, 사용자가 인증을 받은 후 인가되지 않은 영역에서 물품을 출납하면, 관리자가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9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단순히 인증된 사용자의 착오나 실수로 인하여 이벤트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정정할 수 있도록 인증된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920)에 이벤트의 발생할 경고하는 경고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520 transmits the updated and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510, open/close information, and 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910 or a user terminal of an authenticated user. A warning message may be sent to 920 . That is, when a user withdraws an item from an unauthorized area after receiving authentication, the controller 520 may transmit rela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910 so that the manager can take a follow-up action.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520 may simply cause an event due to an error or mistake of the authenticated user, a warning message warn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o the user terminal 920 of the authenticated user so that the user can correct it. can be sent.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0)가 닫히기 전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의 감소값과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의 증가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20)가 이벤트가 취소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그 권한 레벨에 따라서 물품의 출납이 허용되지 아니한 상기 비인증 영역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 실질적으로, 상기 비인증 영역의 바닥면을 정의하는 상기 선반(110)의 상면에 안착된 물품을 들어올리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 실질적으로 그 바닥면을 정의하는 상기 선반(110)의 상면에 재안착시키는 경우에는 이벤트가 취소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520)는, 실질적으로,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이 상기 수납 공간(100S)의 외부로 인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벤트의 발생을 취소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before the door 200 is closed, the reduction value of the weight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non-applied area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and the value of the item stored in any one of the area When the weight increase is the same, the controller 520 determines that the event is cancel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unauthorized area, substantially, in order to withdraw an item from the unauthorized area where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is not permitted to deposit and withdraw the item according to the authority level. Even if the user lifts the item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10 that defines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authenticated area, the user recognizes 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10 substantially defines the bottom surface of any one of the areas. In case of resetting to , the event is judged to have been canceled. That is, the control unit 520 substantially cancel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when the article stored in the non-approved area is not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00S.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비인가 영역과 물품의 중량이 증가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경우에는,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상기 비인가 영역과 물품의 중량이 증가된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910)에 송신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920)에 경고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이 설정된 원래의 상기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상기 사용자 단말(920)에 수신된 경고 메세지로부터 들어올린 물품을 설정된 원래의 상기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20 may be configured to, if any one of the non-applied area sensed that the weight of the item is decrea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and the area sensed that the weight of the item has been increa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is different, ,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ny one of the non-approved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reduced and the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increased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910 or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920 of the authenticated user can send Accordingly, the manager may confirm that the article stored in the non-approved area has been moved to an area other than the original set area. In addition, the user may move the item lifted from the warning message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920 owned by the user to the set original area.

한편, 상기 촬영 유닛(700)은, 인증된 사용자 및 상기 수납 공간(100S)의 외부로 인출되는 물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인증 유닛(410)(420)으로 테블릿 컴퓨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테블릿 컴퓨터에 구비되는 카메라가 상기 촬영 유닛(700)으로 동작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촬영 유닛(700)으로, 상기 케이싱(100) 또는/및 도어(200)에 설치되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700 capture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f an authenticated user and an item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00S. For example, when a tablet computer is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authentication units 410 and 420 , a camera included in the tablet computer may operate as the photographing unit 700 . Of course, as the photographing unit 700 , a camera installed in the casing 100 and/or the door 200 may be used.

다음으로, 상기 알람 유닛(800)은, 시각적 및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경고 알람을 생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인증 유닛(410)(420)으로 테블릿 컴퓨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테블릿 컴퓨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또는/및 스피커가 상기 알람 유닛(800)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알람 유닛(800)으로, 상기 케이싱(100) 또는/및 도어(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또는/및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Next, the alarm unit 800 generates a warning alarm by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ble means. When a tablet computer is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authentication units 410 and 420 , a display and/or a speaker provided in the tablet computer may operate as the alarm unit 800 . As another example, as the alarm unit 800 , a display and/or a speaker installed in the casing 100 and/or the door 200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제어부(5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촬영 유닛(700)이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기저장된 사용자 및 물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대비하여 사용자 및 물품을 식별한 후 사용자 및 물품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910)에 송신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어느 사용자가 허가되지 아니한 물품을 상기 수납 공간(100S)으로부터 인출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520 compares the still image or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700 and the pre-stored still image or video of the user and article, and then identifies the user and the item, and then the user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article to the manager terminal 910 . Accordingly, the manager may take a follow-up action by checking which user has withdrawn an unauthorized item from the storage space 100S.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촬영 유닛(700)이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기저장된 사용자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대비하여도 사용자의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 유닛(800)이 경고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20)는,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자가 부당한 방법으로 인증하여 상기 수납 공간(100S)의 외부로 물품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이 사실을 시각적 또는/및 청각적 수단으로 전파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후속 조치를 위하여 경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20, when the user's identification is impossible even in comparison with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700 and the user's pre-stored still image or moving image, the alarm unit 800 warns Control to generate an alarm. That is, the control unit 520, when a person other than the registered user authenticates by an unreasonable method and withdraws an article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00S, by disseminating this fact through visual and/or audible means, more A warning can be given for active follow-up.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be done.

100: 케이싱 110S: 수납 공간
120: 선반 200: 도어
300: 잠금 유닛 400: 인증 유닛
410: 제1인증 유닛 420: 제2인증 유닛
500: 제어 유닛 510: 데이터베이스
520: 제어부 610: 제1감지 유닛
620: 제2감지 유닛 700: 촬영 유닛
800: 알람 유닛
100: casing 110S: storage space
120: shelf 200: door
300: lock unit 400: authentication unit
410: first authentication unit 420: second authentication unit
500: control unit 510: database
520: control unit 610: first sensing unit
620: second sensing unit 700: photographing unit
800: alarm unit

Claims (9)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100S)이 내부에 정의되는 케이싱(100);
상기 수납 공간(100S)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여닫히는 도어(200);
상기 수납 공간(100S)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200)의 여닫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그거나 잠금의 해제를 수행하는 잠금 유닛(300);
상기 잠금 유닛(300)에 의한 상기 도어(200)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유닛(400); 및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한 사용자의 정상 인증 여부에 따라서 상기 수납 공간(100S)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도어(2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수행되도록 상기 잠금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500); 을 포함하는 스마트 캐비닛.
a casing 100 in which a storage space 100S in which an article is accommodated is defined;
a door 200 that opens and closes selectivel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00S;
a locking unit 30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100S so as not to open or close the door 200;
an authentication unit 400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o unlock the door 200 by the lock unit 300; and
Contro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300 to lock or unlock the door 200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00S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is normally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unit 500; A smart cabinet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감지 유닛(610); 및
상기 수납 공간(100S)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출납을 감지하는 제2감지 유닛(62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500)은,
상기 인증 유닛(400)에 의하여 인증된 인증 정보, 상기 제1감지 유닛(61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납 공간(100S)의 개폐 정보 및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감지된 물품의 출납 이력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510); 및
인증 정보, 개폐 정보 및 출납이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510)에 각각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잠금 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20); 를 포함하는 스마트 캐비닛.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sensing unit 610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0; and
a second sensing unit 620 for sensing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00S;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500,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400 ,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storage space 100S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610 , and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 a database 510 in which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and
a control unit 520 for updating and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in the database 510,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300; A smart cabinet that includ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100S)은, 사용자별로 부여된 권한 레벨에 따라서 물품의 출납이 허용되는 다수개의 인가 영역 및 제한되는 비인가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어부(520)는, 인증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에서 물품의 출납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감지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캐비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rage space 100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uthorized areas and limited non-authorized areas in which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is allow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uthority granted to each user,
The control unit 5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620 detects that the deposit and withdrawal of goods has occurred in the unauthorized area by the authenticated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 정보, 개폐 정보 및 출납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910)에 송신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920)에 경고 메세지를 송신하는 스마트 캐비닛.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5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pening/closing information, and deposit/withdrawal history information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910 or a smart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920 of the authenticated user cabi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 유닛(620)은, 상기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감지되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캐비닛.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ensing unit 620 detects the weight of the item stored in the area,
When the control unit 520 detects that the weight of the item stored in the non-approved area is reduc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the smart cabinet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제 5 항에 있어서,
인증된 사용자 및 상기 수납 공간(100S)의 외부로 인출되는 물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유닛(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촬영 유닛(700)이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기저장된 사용자 및 물품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대비하여 사용자 및 물품을 식별한 후 사용자 및 물품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910)에 송신하는 스마트 캐비닛.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hotographing unit 700 for photographing a still image or video of an authenticated user and an item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00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520 compares the still image or video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700 and the pre-stored still image or video of the user and article to identify the user and article, and then A smart cabinet tha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n item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910).
제 6 항에 있어서,
시각적 및 청각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경고 알람을 생성하는 알람 유닛(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촬영 유닛(700)이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기저장된 사용자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대비하여도 사용자의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 유닛(800)이 경고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캐비닛.
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800 for generating a warning alarm by at least one of visual and audible means,
The control unit 520, when the user's identification is impossible even in comparison with the still image or moving picture captured by the shooting unit 700 and the user's pre-stored still image or moving image, the alarm unit 800 generates a warning alarm. A smart cabinet that controls to cre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도어(200)가 닫히기 전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비인가 영역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의 감소값과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의 증가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이벤트가 취소된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캐비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52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eduction in the weight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non-approved area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before the door 200 is closed and the value of the item stored in any one of the area. If the weight increase is the same, the smart cabinet determines that the event has been cancel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제2감지 유닛(620)에 의하여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비인가 영역과 물품의 중량이 증가된 것으로 감지된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경우에는, 물품의 중량이 감소된 상기 비인가 영역 및 물품의 중량이 증가된 상기 영역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기설정된 관리자 단말(910)에 송신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920)에 경고 메세지를 송신하는 스마트 캐비닛.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520 is configured to, when any one of the non-approved area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620 as a decrease in the weight of the item and the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item is detected as increased, is different, A smar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ny one of the non-approved area in which the weight is reduced and the area in which the weight of the article is increased to a preset manager terminal 910 or a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920 of an authenticated user cabinet.
KR1020200086583A 2020-07-14 2020-07-14 Smart cabinet KR202200084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83A KR20220008477A (en) 2020-07-14 2020-07-14 Smart cabi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83A KR20220008477A (en) 2020-07-14 2020-07-14 Smart cabi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477A true KR20220008477A (en) 2022-01-21

Family

ID=8005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583A KR20220008477A (en) 2020-07-14 2020-07-14 Smart cabi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8477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994B1 (en) 2015-05-29 2017-04-17 주식회사비엠테크 Guns Management System
KR101890142B1 (en) 2017-08-30 2018-08-21 주식회사 씨유엠앤비 Ampoule and Vial Medicine Receiving Cabinet having Tray of Sensing the number of Ampoule and Vial Medicine
JP2019049200A (en) 2018-12-28 2019-03-28 株式会社イトーキ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abinet with locking function
KR102084371B1 (en) 2019-09-23 2020-03-03 이인진 Safety cabinet for dangerous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994B1 (en) 2015-05-29 2017-04-17 주식회사비엠테크 Guns Management System
KR101890142B1 (en) 2017-08-30 2018-08-21 주식회사 씨유엠앤비 Ampoule and Vial Medicine Receiving Cabinet having Tray of Sensing the number of Ampoule and Vial Medicine
JP2019049200A (en) 2018-12-28 2019-03-28 株式会社イトーキ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abinet with locking function
KR102084371B1 (en) 2019-09-23 2020-03-03 이인진 Safety cabinet for dangerous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5110B2 (en) Lock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depositing and removing an object in/from said device
US20180091503A1 (en) Networked storage system and method
JP5064663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KR101716745B1 (en) System for electronic locker management
WO2013098910A1 (en) Room entry/exit administration system
US20090282461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utomated media library
KR20080006702A (en) Custody box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e
JP5456572B2 (en) Important material management device
JP5938286B2 (en) Key management apparatus and key management system
KR20220008477A (en) Smart cabinet
JP5628589B2 (en) Goods storage device
KR102076352B1 (en) Cash box managmenet system using user terminal
JP2000225052A (en) Home delivery locker device and home delivery locker system
JP2000145219A (en) Lock management system
JP7385858B2 (en) Storage systems and containment equipment
JP2005150925A (en) Security system
JP2009249821A (en) Key management system
JP5159284B2 (en) Important goods take-out management system
JP4647408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JP2006144384A (en) Security enhanced room entry management system
KR102514101B1 (en) Security system for operating safe deposit boxes
JP5096682B2 (en) Furniture-linked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US202301753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a locked container between vaults
JP7183318B2 (en) Storage management device
JP6496222B2 (en) Room lock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