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755A - 차단기 - Google Patents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755A
KR20220006755A KR1020200084537A KR20200084537A KR20220006755A KR 20220006755 A KR20220006755 A KR 20220006755A KR 1020200084537 A KR1020200084537 A KR 1020200084537A KR 20200084537 A KR20200084537 A KR 20200084537A KR 20220006755 A KR20220006755 A KR 2022000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ving member
moving
circuit break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510B1 (ko
KR102469510B9 (ko
Inventor
김평중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평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중 filed Critical 김평중
Priority to KR102020008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5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510B1/ko
Publication of KR10246951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51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인입 측과 인출 측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투입상태 또는 서로 전기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비되고,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 또는 상기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보조스위치부와, 상기 보조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 또는 상기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주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기 {VACUUM INTERRUPTER}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절연 구조로 인해,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복사용 시에도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발전소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승압되고, 초고압 선로를 통하여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력을 강하시켜 2차 변전소 또는 일반적인 각 수용가로 공급한다. 즉,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 수용가까지 공급된다.
이때, 고압 수용가 수배전반의 선로구분, 분기 및 변압기 1차측 등의 송배전 계통상 적합한 위치에설치되어 광범위한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 및 중단하기 위하여 부하개폐기(LBS, Load Break Switch)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하개폐기는 전력회사의 계획에 의해서 또는 불의의 사고로 정전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 일정구간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수용가의 설비와 시스템에서 부하로 의한 전기 사고 및 고장 발생 시 특정지역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신속히 차단시킴으로써, 피해 범위를 최소화하고, 사고 전류가 다른 선로에 파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부하개폐기는 접속부를 개방, 투입 위치로 구동시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부하개폐기는 고압 선로 개폐 등의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소호와 절연을 위하여 가스탱크 내부에 절연 가스가 주입된다.
절연 가스로는 SF6가 주로 사용되는데, SF6는 불연성이므로 화재의 위험이 적고, 옥내 및 옥외의 어느 장소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SF6와 같은 가스는 아크소호를 실시 후 가스탱크 외부의 대기 중으로 누설되는 경우에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높은 지구 온실 효과를 유발하므로,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SF6 가스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규제되는 추세이다.
이에 최근 전력기기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이 중요시되면서 전 세계의 전력기기 시장 흐름이 SF6가스를 사용하여 절연시키는 가스 절연형 부하개폐기에서, 최근에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절연시키고 진공밸브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폴리머(에폭시)절연 부하개폐기로 급격히 변화되고 있다.
종래에 따른 폴리머(에폭시) 절연형 부하개폐기는 기본적인 절연은 에폭시를 사용하며 SF6가스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차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진공밸브가 사용된다.
진공밸브는 차단성능이 뛰어나고 짧은 거리에서 절연성능이 매우 우수한 차단장치이나 진공밸브 내부의 개극거리(스트로크)가 너무 가까워 사용조건에 따라 절연성능의 많은 변화가 발생하며, 개방후에도 2차선로에 잔류 전압이 존재할 수 있다.
진공밸브는 특성상 짧은 거리(159kV: 약 12mm)에서 절연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으로 내부가 이루어졌으며,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하중으로 밀고 있어야 전극이 닿게 되고 전기적 강도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폐기를 개방하더라도 후단의 보수작업시 이상 전압이 흐르거나 절연저하로 인하여 최근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며 이에 대안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진공밸브를 차단부로 이용하는 개폐기에서는 진공밸브 외의 추가적인 절연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184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 스위치부와 보조 스위치부의 이중절연에 의한 극간절연의 향상으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주 스위치부와 보조 스위치부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로드와 커넥터의 연결시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고, 로드와 커넥터의 분리시 필요한 힘 역시 최소화하여, 로드와 커넥터의 연결 또는 분리 시, 로드와 커넥터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최소화 시켜, 결과적으로 로드와 커넥터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소음이 최소화되고, 반복사용 시에도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인입 측과 인출 측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투입상태 또는 서로 전기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 또는 상기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보조스위치부와, 상기 보조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 또는 상기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주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스위치부는, 일측이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어 직선으로 이동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드에 의해 동작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이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로드의 선단과 상기 커넥터의 일부와 접촉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홈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로드의 선단이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모듈과, 상기 이동모듈을 커버하고, 상기 로드 및 이동모듈이 이동할 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은, 일측에 상기 로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1홈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또는 안착홀)이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며,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턱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의해, 중공부가 정의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주 스위치부의 가동 전극과 연결된 연결수단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은, 일측에 상기 제1이동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게 제1내경을 갖는 제1개방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내경 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는 제2개방홀이 형성된 제2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내경은 상기 누름턱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누름턱이 상기 제1개방홀과 제2개방홀 사이의 단턱에 접촉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가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개방홀의 모서리 부분에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드와 상기 제1이동부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 상기 안착홈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로드의 이동구간은, 상기 로드가 상기 제1이동부재와 분리 상태에서, 상기 제1이동부재와 연결되기위해 이동하는 제1이동구간, 상기 로드가 상기 제1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가 상기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2이동구간,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가 접촉하여,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가 함께 이동하는 제3이동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스위치부는 고정 전극과, 상기 제1이동부재 또는 제2이동부재와 연결된 가동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 또는 제2이동부재가 이동하면,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 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고정 전극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모듈은, 중공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로드의 선단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이동모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일측 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1이동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를 상기 스토퍼에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2이동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부재를 상기 스토퍼에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 연동형 절연하우징에 의하면, 절연하우징을 이용한 개폐기 및 차단기를 투입시키고자 할 때 단로기가 먼저 투입되고 나서 주회로가 나중에 투입되는 방식이고,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주회로가 먼저 개방되고 나서 단로기가 개방되는 형태의 특별한 구조로 연동되는 구동방식으로 투입시나 개방시에 단로기의 접점에는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모든 차단과 투입시 전기적 충격은 주회로의 진공밸브가 하게 되어 한 번의 조작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작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상태에서 살펴보면 진공밸브에서 기본절연은 모두 만족시키되 좀더 안전한 절연성 확보를 위하여 단로기에서 추가로 절연성 확보를 하게 됨으로써 정격 절연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개폐기를 개방시키고 정전작업이나 보수작업을 할 경우라도 확실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신뢰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로기 절연을 에어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와 커넥터의 연결시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와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로드와 커넥터의 분리시 필요한 힘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의 분리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이 개방상태에서 투입상태로 전환될 때, 복수의 단계를 거치도록 설계되어, 불확실한 상황에서,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이 투입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즉, 불확실한 상황에서,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이 투입상태로 전환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절연 구조로 인해,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복사용 시에도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로드가 최대치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로드가 제1이동부재의 내측으로 수용되게 1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제1이동부재가 상승되게 로드가 2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 함께 상승되게 로드가 3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로드가 최대치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로드가 제1이동부재의 내측으로 수용되게 1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제1이동부재가 상승되게 로드가 2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 함께 상승되게 로드가 3차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영역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차단기(10)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기(10)는 진공 차단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차단기(10)를 '진공 차단기'로 표현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기(10)는 보조 스위치 일체형 차단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는 인입 측과 인출 측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투입상태 또는 서로 전기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는 하우징(100)과, 주 스위치부(200)와, 보조 스위치부(300)와, 조작부(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주 스위치부(200)와, 보조 스위치부(300)를 커버하며, 상기 주 스위치부(200)와, 보조 스위치부(300)의 절연을 위하여 에폭시 등의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기 주 스위치부(200)는 내부가 진공으로 이루어진 진공밸브(210)와, 상기 진공밸브(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1차측에 전기를 흐르게 하는 1차측 도체(220)와, 저항과 연결되는 도체(230)가 설치된다.
참고로, 전압 검출은 도체(230)와 연결된 저항을 통과한 낮은 전압을 검측한다.
상기 진공밸브(210)는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전극(211)과, 내부 하단에 설치되어 보조 스위치부(3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드되면서 고정전극(211)에 접촉되는 가동전극(212)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 사이에는 주회로(200)가 투입 및 개방될 수 있도록 접촉공간(213)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내벽면에는 진공밸브(210)를 감싸게 되는 진공밸브 소호통(214)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밸브 소호통(214)은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외측 표면에는 에폭시 성형시 진공밸브(2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실리콘 러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외측 표면에는 실리콘 코팅 처리 등을 통해서, 완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밸브(210)의 외측 표면에는 실리콘 포팅(potting)을 통해, 완충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스위치부(300)는 진공밸브(210)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 스위치부(300)는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접촉) 또는 상기 개방상태(비접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보조 스위치부(300)는, 일측이 상기 조작부(400)에 고정되어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는 로드(310)와, 상기 로드(310)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310)의 선단이 삽입되는 홈부(301)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드(310)에 의해 동작하는 커넥터(320, 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재(340)는 상기 커넥터(320,33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310)의 선단(310a)이 상기 홈부(301)에 삽입되면, 상기 로드(310)의 선단(310a)과 상기 커넥터(320,330)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로드(310)의 선단(310a)과 상기 커넥터(320,330)의 일부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의 의미는 로드(310)가 이동하면, 커넥터(320,330)의 일부가 로드(310)와 함께 이동하게 결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40)는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40)는 상기 로드(310)가 커넥터(320,330)의 일부와 연결될 때 필요한 힘과, 상기 로드(310)가 커넥터(320,330)의 일부에서 분리될 때 필요한 힘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는 범위에서 채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재(340)는 볼 형상의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연결부재(340)는 이해를 돕기위해 '볼 부재'로 칭하기로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볼부재'는 연결부재(340)를 의미한다.
상기 로드(310)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311)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홈(311)은 상기 볼부재(340)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로드(310)의 선단에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312)을 형성한다.
상기 제1경사면(312)에 의해 상기 로드(310)의 선단은 홈부(301)로 삽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부재(340)는 상기 제1경사면(312)을 따라 삽입홈(311) 측으로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40)는 상기 홈부(30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40)는 상기 홈부(301)의 내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40)는 상기 홈부(30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부재(340)는 상기 로드(310)의 선단이 홈부(301)에 삽입되면, 외부 요인에 의해 내측으로 모여들게 되고, 볼부재(340)의 일측 단부는 삽입홈(311)에 삽입된다. 그리고 타측 단부는 후술되는 이동모듈(320)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로드(310)와 이동모듈(320)이 볼부재(3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20, 330)는, 상기 로드(310)의 선단이 상기 홈부(301)에 삽입되면, 상기 볼부재(340)에 의해 상기 로드(310)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310)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모듈(3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320, 330)는, 상기 이동모듈(320)을 커버하고, 상기 로드(310) 및 이동모듈(320)이 이동할 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모듈(33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모듈(320)은,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310)의 이동구간은, 상기 로드(310)가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분리 상태(이격 상태)에서,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되기 위해 이동하는 제1이동구간(G1)과, 상기 로드(310)가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321)가 상기 로드(310)와 함께 이동하는 제2이동구간(G2)과,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가 접촉하여, 상기 로드(310)와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가 함께 이동하는 제3이동구간(G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스위치부(200)의 가동전극(212)은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되어, 제1이동부재(321)와 함께 이동하면서, 주 스위치부(200)의 고정전극(21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스위치부(200)의 가동전극(212)은 제2이동부재(326)와 연결되어, 제2이동부재(326)와 함께 이동하면서, 주 스위치부(200)의 고정전극(211) 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321)는, 일측에 상기 로드(310)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1홈부(322)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볼부재(340)가 삽입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323)이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며,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턱(324)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누름턱(324)은 상기 안착홈(323)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321)는 중공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중공은 상기 제1홈부(322)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323)은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외측과 상기 중공을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홈(323)은 제1이동부재(321)의 외측과 연통하는 제1개구(323a)와,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중공과 연통하는 제2개구(323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구(323a) 또는 제2개구(323b)의 직경은 상기 볼부재(3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323)에 삽입된 볼부재(340)가 제1개구(323a) 또는 제2개구(323b)로 이탈되지 않고, 안착홈(323)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개구(323a)의 직경은 상기 볼부재(34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볼부재(3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개구(323b)의 직경은 상기 볼부재(34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부재(340)는 상기 제1개구(323a)를 통해서, 외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323)의 내측에 볼부재(340)는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홈(32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323)은 제1개구(323a)에서 내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 확대되게 형성된 제1경사부(323c) 및 그 내경이 제2개구(323b) 측으로 점차 축소되게 형성된 제2경사부(323d)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경사부(323c)의 경사도는 제2경사부(323d)의 경사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323)은 적어도 일부의 내경이, 상기 볼부재(3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경사부(323c)와 제2경사부(323d)의 경계부(323e)의 직경은 상기 볼부재(3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부(322)의 입구(322a)를 정의하는 제1이동부재(321)의 단부에는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제3경사부(322b)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내주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캐비티(322c)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322c)에는 링 형태의 보조 스프링(322d)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323)은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외경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홈(323)은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외경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323)은 이웃하는 안착홈(323)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부재(340) 역시, 안착홈(232)과 동일하게 총 4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안착홈(232)에 볼부재(34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내측에는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3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325)의 단부에 의해, 정의된 중공부(325a)에는 상기 주 스위치부(200)의 가동 전극(212)과 연결된 연결수단(350)이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내측으로 진입한 로드(310)의 선단(310a)은 상기 연결수단(350)을 가압하고, 결과적으로 연결수단(350)과 연결된 가동 전극(212)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50)은 상기 제1이동부재(321)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50)은 상기 제1이동부재(321)가 승강동작할때, 함께 승강동작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제1이동부재(321)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수단(350)은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상부를 관통하고,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제1이동부재(321)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이동부재(326)는, 중공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이동부재(326)는 일측에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게 제1내경(D1)을 갖는 제1개방홀(32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내경(D1) 보다 작은 제2내경(D2)을 갖는 제2개방홀(3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내경(D2)은 상기 누름턱(324)의 외경(D3)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321)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누름턱(324)이 상기 제1개방홀(327)과 제2개방홀(328) 사이의 제1단턱(329a)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이동부재(321)가 제2이동부재(326)를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드(310)의 이동구간은, 상기 로드(310)가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분리 상태(이격 상태)에서,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되기 위해 이동하는 제1이동구간(G1)과, 상기 로드(310)가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321)가 상기 로드(310)와 함께 이동하는 제2이동구간(G2)과,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가 접촉하여, 상기 로드(310)와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가 함께 이동하는 제3이동구간(G3)을 포함하게 된다.
참고로, 제1이동구간(G1)은 로드가 도 3의 위치에서, 도 5의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이동구간(G2)은 로드가 도 5의 위치에서, 도 7의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이동구간(G3)은 로드가 도 7의 위치에서, 도 9의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구간(G2)은 제1이동부재(321)가 이동하기 전, 상기 제단턱(329a)과 누름턱(324)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재(326)는, 상기 제1개방홀(327)의 모서리 부분에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327a)을 형성한다.
상기 로드(310)와 상기 제1이동부재(321)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볼부재(340)는 상기 제2경사면(327a)에 의해 상기 안착홈(323)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 내측으로 진입되기 전, 상기 볼부재(340)의 중심은 제2경사면(327a) 보다 하측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적으로 일부가 제1이동부재(321)의 외측 방향으로 빠져나와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 내측으로 진입되고,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를 이동시키면, 제1이동부재(321)와 함께 볼부재(340)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제2경사면(327a)과 접촉하면서, 제2경사면(327a)을 따라 서서히 안착홈(323)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경사면(327a)을 통과하면, 내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개방홀(327)의 내벽에 의해 안착홈(323)의 내측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홈(323)의 내측으로 이동된 볼부재(340)는 적어도 일부가 제2개구(323b)를 통과해서, 로드(310)의 삽입홈(311)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볼부재(340)가 안착홈(323)과 삽입홈(311)에 수용되면서, 제1이동부재(321)와 로드(310)는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재(321)와 로드(310)가 결합되면, 제1이동부재(321)와 로드(310)는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321)와 결합된 연결수단(350) 역시, 제1이동부재(321) 및 로드(31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수단(350)과 연결된 가동 전극(212)이 상기 고정 전극(211) 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고정 전극(311)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모듈(330)은, 제1고정부재(331)와 제2고정부재(33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고정부재(331)는 중공(332)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로드(310)의 선단이 통과하는 개구(33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31)는 일측 단부(도면상의 하단)에서,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333)는 상기 연장부(334)의 단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34)의 상단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321)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상세히, 제1이동부재(321)가 로드(310)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제1이동부재(321)의 하단은 상기 연장부(334)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333)의 일측 모서리에는 제3경사면(33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36)는 중공(337)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331)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331)와 함께 상기 이동모듈(3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336)의 내측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338)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38)는 상기 제2이동부재(326)의 상승 시, 제2이동부재(326)의 상단과 접촉하면서, 제2이동부재(326)의 상승 동작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336)의 상단에는 상기 진공밸브 소호통(214)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331)는 상부측 내주면의 내경이 확장되어, 단턱부(3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335)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336)의 하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326)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재(331)의 내경(D4)은, 상기 제2이동부재(326)의 제1개방홀(327)의 제1내경(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 내측으로 진입되기 전, 상기 볼부재(340)의 중심은 제1 고정부재(33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 내측으로 진입되기 전, 상기 볼부재(340)의 중심은 상기 단턱부(335)와 동일한 위치 또는 상기 단턱부(335)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적어도 일부가 제1이동부재(321)의 외측 방향으로 빠져나와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 내측으로 진입되고, 로드(310)가 제1이동부재(321)를 이동시키면, 제1이동부재(321)와 함께 볼부재(340)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제2경사면(327a)과 접촉하면서, 제2경사면(327a)을 따라 서서히 안착홈(323)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경사면(327a)을 통과하면, 내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개방홀(327)의 내벽에 의해 안착홈(323)의 내측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38)와 상기 제1이동부재(321) 사이는, 상기 제1이동부재(321)를 상기 스토퍼(338) 측에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360)이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360)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스토퍼(338)의 하단과 누름턱(324)의 상단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321)를 상기 스토퍼(338)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338)와 상기 제2이동부재(326) 사이는, 상기 제2이동부재(326)를 상기 스토퍼(338) 측에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370)이 삽입된다.
상기 제2이동부재(326)는 외주면에 외경이 확장되어, 제2단턱(329b)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스프링(370)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스토퍼(338)의 하단과 상기 제2단턱(329b)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제2이동부재(321)를 상기 스토퍼(338)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단기(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대기상태에서, 로드(310)는 하강된 상태이다.
그리고, 로드(310)는 이동모듈(320)과 이격된 상태이다.
또한,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는 각각 제1스프링(360)과 제2스프링(370)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하강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는 자중에 의해서도 하강된 상태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볼부재(340)의 중심은 상기 단턱부(335)와 동일한 위치 또는 상기 단턱부(335)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적어도 일부가 제1이동부재(321)의 외측 방향으로 빠져나와있는 상태이다. 즉, 볼부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안착홈(323)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된 가동전극(212) 역시 하강된 상태이며, 따라서 가동전극(212)과 고정전극(211)은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개방상태이다.
이때, 조작부(400)를 통해서, 로드(310)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0)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0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서, 전동 방식으로 조작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400)는 승강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조작부(400)는 로드(310)를 상승시키는 힘을 제공하거나, 로드(310)를 하강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하,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개방상태에서 투입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조작부(400)에 의해 로드(310)는 상승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로드(310)는 상기 제1이동부재(321)와 연결되기 위해 상승한다.
로드(310)가 상승하면, 로드(310)의 선단(310a)은 가장 먼저 제1고정부재(331)의 개구(333)를 통과한다.
그리고, 이어서, 제1이동부재(321)의 입구(322a)를 거쳐, 제1홈부(322)로 진입한다.
그리고, 로드(310)의 선단(310a)이 제1이동부재(321)의 내측면과 접촉하거나, 연결수단(350)가 접촉하면, 제1이동부재(321)가 로드(31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321)가 상승하면, 볼부재(340) 역시, 제1이동부재(321)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제2경사면(327a)과 접촉하면서, 제2경사면(327a)을 따라 서서히 안착홈(323)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경사면(327a)을 통과하면, 내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개방홀(327)의 내벽에 의해 안착홈(323)의 내측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홈(323)의 내측으로 이동된 볼부재(340)는 적어도 일부가 제2개구(323b)를 통과해서, 로드(310)의 삽입홈(311)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볼부재(340)가 안착홈(323)과 삽입홈(311)에 수용되면서, 제1이동부재(321)와 로드(310)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321)는 로드(310)와 함께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360)은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재(321)가 상승하다 보면, 제1이동부재(321)의 누름턱(324)은 상기 제2이동부재(326)의 제1단턱(329a)과 접촉하게 되고, 이때부터 제2이동부재(326)는 제1이동부재(321)와 함께 상승된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370)은 압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재(321)가 상승하면, 연결수단(350) 역시 상승하게 되고, 가동전극(212) 역시 상승하면서, 가동전극(212)의 상측에 배치된 고정전극(211)와 점점 가까워 지게 된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가 상승하다 보면, 상기 제2이동부재(326)의 상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336)의 스토퍼(338)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가동전극(212)은 고정전극(211)과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하,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투입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투입상태에서, 로드(310)는 최대로 상승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가동전극(212)은 고정전극(211)과 접촉된 상태이다.
이때, 조작부(400)는 로드(310)에 하강력을 제공한다.
조작부(400)와 로드(310)가 하강하면,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는 분리되고 점점 멀어진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 역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재(321)와 제2이동부재(326)가 하강하다가, 상기 제2이동부재(326)의 하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331)의 단턱부(335)와 접촉하고, 제2이동부재(326)의 하강동작이 멈춘다. 이때, 제2이동부재(326)는 상기 제2스프링(370)의 밀어내는 힘과,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321)는 계속해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이동부재(321)가 로드(310)와 함께 하강하다가, 제1이동부재(321)의 하단은 제1고정부재(331)의 연장부(334)와 접촉하고, 제1이동부재(321)의 하강동작이 멈춘다.
이때 로드(310)가 계속 하강하면, 볼부재(340)가 로드(310)와 분리되면, 제1이동부재(321)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로드(310)만 계속해서 하강한다.
상세히, 로드(310)가 계속 하강하면 볼부재(340)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경이 확장되는 제2경사면(327a)에 의해 서서히 안착홈(323)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볼부재(340)는 로드(310)의 삽입홈(311)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이동부재(321)와 로드(310)의 연결이 해제되고, 로드(310)만 계속해서 하강한다.
그리고, 로드(310)가 대기상태와 마찬가지로,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하면, 조작부(400)와 로드(310)는 정지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볼부재(340)를 통해서, 가동전극(212)과 로드(310)가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통전이 진행될 수 있는 구조를 갖습니다.
또한, 제2이동부재(326)가 제1고정부재(331)에 의해 하강동작이 제한되면서, 제2이동부재(326)가 로드(310)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또한, 투입행정시 로드(310)의 이동으로 단로기의 1차 결합 후, 볼부재(340)의 걸림 동작으로 분리되어 있던 주회로부가 투입되는 방식이고, 오픈행정시, 로드(310)와 주회로부가 한몸으로 움직이다가, 주회로가 먼저 분리된 후, 단로기부에서 로드(310)가 이탈되는 방식을 갖습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310)와 커넥터(320,330)의 연결시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로드(310)와 커넥터(320,330)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로드(310)와 커넥터(320,330)의 분리시 필요한 힘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의 분리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개방상태에서 투입상태로 전환될 때, 복수의 단계를 거치도록 설계되어, 불확실한 상황에서,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투입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즉, 불확실한 상황에서, 고정전극(211)과 가동전극(212)이 투입상태로 전환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10 : 차단기 100 : 하우징
200 : 주 스위치부 211 : 고정 전극
212 : 가동 전극 300 : 보조 스위치부
310 : 로드 320 : 이동모듈
321 : 제1이동부재 326 : 제2이동부재
330 : 고정모듈 331 : 제1고정부재
336 : 제2고정부재 340 : 연결부재
350 : 연결수단 360 : 제1스프링
370 : 제2스프링 400 : 조작부

Claims (19)

  1. 인입 측과 인출 측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투입상태 또는 서로 전기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 또는 상기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보조스위치부와,
    상기 보조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투입상태 또는 상기 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는 주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스위치부는:
    일측이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어 직선으로 이동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타측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드에 의해 동작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이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로드의 선단과 상기 커넥터의 일부와 접촉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볼 형상으로 구비되는 차단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을 형성하는 차단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선단에는, 모서리 부분에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을 형성하는 차단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홈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배치되는 차단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로드의 선단이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모듈; 및
    상기 이동모듈을 커버하고, 상기 로드 및 이동모듈이 이동할 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차단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일측에 상기 로드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1홈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이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며,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턱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부가 형성되는 차단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의해, 중공부가 정의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주 스위치부의 가동 전극과 연결된 연결수단이 노출되는 차단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모듈은,
    일측에 상기 제1이동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게 제1내경을 갖는 제1개방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내경 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갖는 제2개방홀이 형성된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경은 상기 누름턱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누름턱이 상기 제1개방홀과 제2개방홀 사이의 단턱에 접촉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가 제2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차단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개방홀의 모서리 부분에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을 형성하는 차단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제1이동부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 상기 안착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차단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이동구간은:
    상기 로드가 상기 제1이동부재와 분리 상태에서, 상기 제1이동부재와 연결되기위해 이동하는 제1이동구간;
    상기 로드가 상기 제1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가 상기 로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2이동구간; 및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가 접촉하여, 상기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가 함께 이동하는 제3이동구간을 포함하는 차단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스위치부는 고정 전극과, 상기 제1이동부재 또는 제2이동부재와 연결된 가동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 또는 제2이동부재가 이동하면, 상기 가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 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고정 전극과 접촉하는 차단기.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중공을 형성하고, 일측에 상기 로드의 선단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 및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이동모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일측 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정의되는 차단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차단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1이동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를 상기 스토퍼에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2이동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부재를 상기 스토퍼에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단기.
KR1020200084537A 2020-07-09 2020-07-09 차단기 KR10246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37A KR102469510B1 (ko) 2020-07-09 2020-07-09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37A KR102469510B1 (ko) 2020-07-09 2020-07-09 차단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55A true KR20220006755A (ko) 2022-01-18
KR102469510B1 KR102469510B1 (ko) 2022-11-21
KR102469510B9 KR102469510B9 (ko) 2023-04-12

Family

ID=8005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37A KR102469510B1 (ko) 2020-07-09 2020-07-09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5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1002B1 (fr) * 1993-08-30 1997-05-14 Gec Alsthom T Et D Sa Disjoncteur à haute ou moyenne tension à contacts en bout
KR100718494B1 (ko) 2006-03-20 2007-05-16 동우전기공업(주) 가공용 폴리머 절연 부하개폐기
JP2010277779A (ja) * 2009-05-27 2010-12-09 Toshiba Corp 開閉器
JP2013115014A (ja) * 2011-11-30 2013-06-10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KR20180001753A (ko) * 2016-06-28 2018-01-05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보조스위치 일체형 진공차단기
US20200075275A1 (en) * 2017-05-03 2020-03-05 Tavrida Electric Holding Ag Improved vacuum circuit break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1002B1 (fr) * 1993-08-30 1997-05-14 Gec Alsthom T Et D Sa Disjoncteur à haute ou moyenne tension à contacts en bout
KR100718494B1 (ko) 2006-03-20 2007-05-16 동우전기공업(주) 가공용 폴리머 절연 부하개폐기
JP2010277779A (ja) * 2009-05-27 2010-12-09 Toshiba Corp 開閉器
JP2013115014A (ja) * 2011-11-30 2013-06-10 Toshiba Corp ガス遮断器
KR20180001753A (ko) * 2016-06-28 2018-01-05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보조스위치 일체형 진공차단기
US20200075275A1 (en) * 2017-05-03 2020-03-05 Tavrida Electric Holding Ag Improved vacuum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510B1 (ko) 2022-11-21
KR102469510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2444B1 (en) Gas insulating switchgear
KR101984197B1 (ko) 복합절연 개폐회로
KR20180047430A (ko) 단로기 연동조작형 진공부하개폐기
KR102017210B1 (ko) 접지 부착형 단로기 연동 조작기
KR20220006755A (ko) 차단기
KR102150857B1 (ko) 개폐기의 절연차단구조
KR101966602B1 (ko) 단로부 및 진공밸브 연동형 절연하우징
RU2528613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зъединитель
KR102072330B1 (ko) 단로기 부착형 에폭시절연 부하개폐기
KR102503833B1 (ko) 진공 밸브 연동형 절연 하우징
ATE140100T1 (de) Druckgasschalter
KR102504545B1 (ko) 보조 접점 내장형 절연모듈
KR102343887B1 (ko) 분리형 이중 축을 가진 단로기 연동 절연 하우징
KR101147869B1 (ko) 아크 소호 진공밸브를 구비한 개폐장치
CN113517155A (zh) 一种真空隔离灭弧装置
KR102245966B1 (ko) 단로기 연동형 이중절연 개폐장치
KR102005864B1 (ko) 연면거리 조절 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부하개폐기
KR101801039B1 (ko)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KR102329133B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KR200196865Y1 (ko) 퓨즈내장형 계기용변압기의 개폐장치
CN217306387U (zh) 一种变电运行隔离开关控制装置
CN216849754U (zh) 一种实现开合35kV电缆电容电流的可移动式升降隔离开关
CN210378912U (zh) 断路器中压气阀、动触头拉杆和动端导电筒的装配结构
KR102338613B1 (ko) 파이프형 단로기 연동 개폐기 조작기
CN210272166U (zh) 一种配电控制隔离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