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410A -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410A
KR20220006410A KR1020200084354A KR20200084354A KR20220006410A KR 20220006410 A KR20220006410 A KR 20220006410A KR 1020200084354 A KR1020200084354 A KR 1020200084354A KR 20200084354 A KR20200084354 A KR 20200084354A KR 20220006410 A KR20220006410 A KR 20220006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over
protrusion
cover bod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0189B1 (en
Inventor
김종철
김태림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0008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89B1/en
Publication of KR2022000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4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7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for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ringe cover, and specifically, to a syringe cover which comprises: a cover main body in which a space into which a needle unit is inserted is disposed therein; a coupling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ver main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ain body; and a grip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y and the coupling unit and having one end thereof toward the outside of the cover main body.

Description

주사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세트{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ringe cover.

내부에 약물이 준비된 주사기는 환자에게 처치하기 전까지 무균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무균 상태로 보관된 기존의 주사기 보호 캡을 다시 씌우거나, 약물의 준비에 이용했던 니들(needle)을 제거한 후 새로운 주사기 보호 캡이 씌워져 있는 상태로 포장된 새로운 바늘을 내부에 약물이 준비된 주사기에 새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기존의 주사기 보호 캡을 다시 씌우는 과정을 리캡핑(recapping)이라고 하며, 주사기 니들에 의한 자상 중 3분의 1은 이러한 리캡핑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다.The syringe with the drug inside must be maintained aseptically until the patient is treated. For this, put back the existing syringe protection cap stored in a sterile state, or remove the needle used to prepare the drug, and then insert a new needle packaged with the new syringe protection cap on. It is common to use it after attaching it to a syringe. At this time, the process of putting the existing syringe protection cap back on is called recapping, and one-third of the cuts caused by the syringe needle are occurring in this recapping process.

본 발명의 목적은 리캡핑 과정에서 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ringe cover and a syringe set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stab wounds from occurring in the recapp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는, 내부에 니들 유닛이 삽입되는 공간이 배치되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삽입홀을 구비한 결합부와,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되, 일단이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ring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body in which a space into which a needle unit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hole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ver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body It may include a coupling part, and a holding par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y and the coupling part, and having one end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ver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절곡된 단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end of the grip portion may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일부는 상기 커버본체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over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적어도 일면에,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concavely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t least on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일부는 상기 커버본체와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may increase in width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돌출거리로 돌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protrude at different protrusion di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세트는, 주사기 커버와, 상기 주사기 커버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기 커버에 삽입되는 니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syring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ringe cover, and a syringe body selectively coupled to the syringe cover, disposed in the syringe body, may include a needle unit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사기 커버 및 주사기 세트는, 결합부보다 더 돌출된 절곡부에 의해 주사기의 리캡핑 과정에서 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돌출거리를 갖는 돌출부들에 의한 2단 결합으로, 주사기의 사용 완료 여부에 따라 주사기의 캡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yringe cover and the syringe se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stab wounds from occurring in the recapping process of the syringe by the bent part protruding more than the coupling part. In addition, by the two-stage coupling by the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protrusion distances, the degree of capping of the syringe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yringe is used or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세트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사기 커버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주사기 세트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사기 커버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제1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주사기 세트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사기 커버에 주사기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제2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ring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yringe cover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ring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yringe cover of Figure 5;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in the syring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first fixed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yringe cover in the syringe set of FIG. 7A.
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second fixed state) in the syringe set of Figure 7a, in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yringe cov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each drawing,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case of being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both on and under are formed directly or through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standards for the upper (on) and the lower (und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ring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yringe cover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사기 커버(10)는 주사기(30)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주사기(30)가 외부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주사기 커버(10)는 커버본체(110)와, 결합부(120)와, 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syringe cover 10 covers a portion of the syringe 30, thereby preventing the syringe 30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At this time, the syringe cover 10 may include a cover body 110 , a coupling part 120 , and a gripping part 130 .

커버본체(110)에는 주사기(3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부(N)를 포함하는 니들 유닛(3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니들부(N)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 충격으로 인행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7a 내지 도 7c 참조). 커버본체(110)는 내부에 니들 유닛(3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커버본체(110)는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커버본체(110)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원기둥 형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portion of the syring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body 110 . Specifically,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needle unit 32 including the needle unit (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edle unit (N) from being contaminated by external factors or being damaged by external impact (Fig. 7a to 7c). The cover body 110 may have a space into which the needle unit 32 can be inserted, and in this case, the cover body 1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and a polygonal pillar.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over body 11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will be mainly described.

결합부(120)는 주사기 커버(10)를 주사기(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결합부(120)는 커버본체(110)의 일단에 배치되어, 커버본체(110)와 주사기(30)를 결합시킬 있다. 이때 결합부(120)는 삽입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삽입홀(121)이 구비한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결합부(120) 그 단면이 원형인 기둥 형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upling unit 120 may couple the syringe cover 10 to the syringe 30 . 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unit 120 is disposed on one end of the cover body 110, the cover body 110 and the syringe 30 can be coupled.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 120 may have an insertion hole 121 . The coupling part 12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a polygonal pillar, etc. provided with the insertion hole 121 .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upling part 120 has a circular column shape in cross sec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일 실시예로서, 결합부(120)는 커버본체(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부(120)는 커버본체(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120 may be detachably disposed with the cover body 1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body 110 .

삽입홀(121)은 결합부(1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주사기(30)의 일부는 삽입홀(121)을 통해, 주사기 커버(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홀(121)은 커버본체(110)의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The insertion hole 12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20 , and a portion of the syring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1 . In this case, the insertion hole 121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body 110 .

결합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결합부(120)의 길이방향[중심축(C1)과 평행한 방향 또는 X축 방향)을 따라, 폭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120)의 일부는, 결합부(120)의 다른 부분과 폭이 상이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0 may be changed in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C1 or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0 .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0 may have a different width from other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 120 .

결합부(120)의 삽입단부(122)는 커버본체(110)와 이격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X축 방향)으로 갈수록 폭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단부(122)는 결합부(120)의 단부들 중 니들 유닛(32)이 삽입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삽입단부(122)는 도 2의 -X축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니들 유닛(32)이 삽입이 시작되는 영역의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니들 유닛(32)의 삽입홀(121)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end 122 of the coupling part 120 may increase in width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110 (eg, the -X-axis direction in FIG. 2 ). Here, the insertion end 122 may mean an end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unit 32 is inserted among the ends of the coupling unit 120 .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insertion end 122 may be expanded toward the -X-axis direction of FIG. 2 . As a result, the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needle unit 32 starts to be inserted increases, so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needle unit 32 into the insertion hole 121 .

또한, 삽입홀(121)은 결합부(120)에서 커버본체(110)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단부(122) 및 그 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10)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니들 유닛(32)이 삽입홀(121)에 삽입된 이후 경사진 삽입단부(122)를 따라 이동하여 커버본체(110) 내부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121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in area from the coupling part 120 to the cover body 110 . Accordingly, the insertion end 122 and the inside thereof, as shown in FIG. 3 ,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over body 110 , so that the needle unit 32 is inclin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 It can be guid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body 110 by moving along the insertion end 122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는 삽입홀(12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삽입홀(121)의 중심[예를 들어, 중심축(C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 protrusion. 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insertion hole 121 (eg, the central axis C1 ).

돌출부는 삽입홀(121)의 내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는, 삽입홀(12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부의 양 끝단이 서로 만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되, 복수개의 돌기는 삽입홀(121)의 내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The protrusion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 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have a ring shape exten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so that both ends of the protrusion meet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돌출부는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합부(120)가 제1 돌출부(a1)와, 제2 돌출부(a2)를 구비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provided. As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protrusions is not limited,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upling part 120 will be described mainly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part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part a2 are provided. .

복수개의 돌출부는 삽입홀(121)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a1)와 제2 돌출부(a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a1)는 결합부(120)의 삽입단부(122)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돌출부(a2)는 커버본체(110)에 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a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insertion end 122 of the coupling part 120 , and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over body 110 .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이한 돌출거리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a1)와 제2 돌출부(a2)는 삽입홀(121)의 중심축(C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a1)가 중심축(C1)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거리(r1)와 제2 돌출부(a2)가 중심축(C1)을 향해 돌출된 제2 돌출거리(r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protrude at different protrusion distances.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protrude toward the central axis C1 of the insertion hole 121 .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distance r1 at which the first protrusion a1 protrudes toward the central axis C1 and the second protrusion distance r2 at which the second protrusion a2 protrudes toward the central axis C1 ar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로서, 제2 돌출부(a2)가 제1 돌출부(a1)보다 삽입홀(121)의 중심축(C1)을 향해 더 돌출됨으로써, 제2 돌출거리(r2)는 제1 돌출거리(r1)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출부(a1)의 제1 돌출거리(r1)와 제2 돌출부(a2)의 제2 돌출거리(r2)는 r만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돌출부(a1)와 제2 돌출부(a2)의 돌출거리 차이로 인해, 제1 돌출부(a1)와 제2 돌출부(a2)는 각각, 후술할 니들 유닛(32)의 고정돌기(B)에 상이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s the second protrusion a2 protrudes more toward the central axis C1 of the insertion hole 121 than the first protrusion a1 , the second protrusion distance r2 is the first protrusion distance r1 . ) can be longer than In this case, there may be a difference of r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distance r1 of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distance r2 of the second protrusion a2 .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otrus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a2,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a2 each have a fixing protrusion B of the needle unit 32 to be described later. ) can provide different fixing forces.

제1 돌출부(a1)와 제2 돌출부(a2)는 니들 유닛(32)이 삽입되는 방향을 바라보는 표면(이하, 전면)과, 니들 유닛(32)이 삽입되는 방향 반대측 표면(이하,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second protrusion (a2) have a surface facing the needle unit 32 insertion direction (hereinafter, front),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edle unit 32 is inserted (hereinafter, rear surface). may include

제1 돌출부(a1)의 전면과 후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니들 유닛(32)은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후술할 고정돌기(b)가 제1 돌출부(a1)의 곡면 형상의 전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돌출부(a1)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주사기(30)에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돌출부(a1)에 의해 고정되었던 고정돌기(b)가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제1 돌출부(a1)의 후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돌출부(a1)에 의한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a1 may have curved surfaces. Thereby, when the needle unit 32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xing protrusion (b) to be described later moves along the curved front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1),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a1) can easily pass through. In addition, by applying a force to the syringe 30 in the opposite direction (-X-axis direction) to the insertion, if necessary, the fixing protrusion (b), which was fixed by the first protrusion (a1),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X-axis direction) By moving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1, the fixed state by the first protrusion a1 may be released.

제2 돌출부(a2)의 전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a2)의 후면은 곡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돌출부(a2)의 후면은 평평한 면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니들 유닛(32)이 제1 돌출부(a1)를 지나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더 이동할 때, 고정돌기(b)가 제2 돌출부(a2)의 곡면 형상의 전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돌출부(a2)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이후, 제2 돌출부(a2)를 통과한 고정돌기(b)는 제2 돌출부(a2)의 평평한 후면에 걸림으로써,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재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출부(a2)는 그 전면과 후면이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니들 유닛(32)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30)가 주사기 커버(10)에 삽입된 상태로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not include a curved surface, and for example,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include a flat surface. In this case, when the needle unit 32 moves furth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past the first protrusion a1, the fixing protrusion b moves along the curved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 can easily pass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a2). Thereafter, the fixing protrusion (b) passing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a2) is caught on the flat rea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so that it may not be able to re-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X-axis direction). In this way, the second protrusion (a2) is formed in a different shape on its front and back surfaces, so that the needle unit 32 and the syringe 30 including the same can be completely coupl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

파지부(130)는 주사기 커버(10)를 옮기거나, 주사기 커버(10)를 주사기(30)에 삽입 및 결합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파지부(130)는 커버본체(110) 또는 결합부(1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파지부(130)의 일부는 커버본체(110)에 배치되고, 파지부(130)의 나머지 일부는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grip part 130 may be a part that moves the syringe cover 10 or grips the syringe cover 10 to insert and couple it to the syringe 30 . In this case, the holding part 130 may be disposed on either the cover body 110 or the coupling part 1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art of the gripping part 130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body 110 ,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gripping part 130 may be disposed on the coupling part 120 .

파지부(130)는 절곡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31)는 일 실시예로, 파지부(13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X축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131)는 사용자가 주사기 커버(10)를 사용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grip part 130 may include a bent part 131 . The bent part 131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grip part 130 as an embodiment. In this case, the bent portion 131 may be bent in a direction facing the outside of the cover body 110 (eg, -X-axis direction in FIG. 2 ). In this case, the bent part 131 may be a part gripped by the user to use the syringe cover 10 .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와 결합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 또는 결합부(120) 중 어느 하나와 제1 거리(L1a)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곡부(131)와 커버본체(110) 사이, 또는 절곡부(131)와 결합부(120) 사이에는 연결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The bent part 13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y 110 and the coupling part 120 , and in this case, the bent part 131 is either the cover body 110 or the coupling part 120 and They may be spaced apart by the first distance L1a.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1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nt part 131 and the cover body 110 or between the bent part 131 and the coupling part 120 .

구체적으로, 연결부(132)의 일단은 커버본체(110)와 결합부(1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연결부(132)의 타단은 절곡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132)는 연결부(132)의 일단으로부터, 연결부(132)의 타단을 향해, 커버본체(110)의 길이방향(도 2의 X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도 2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사기(30)가 주사기 커버(10)에 삽입될 때, 절곡부(131)가 니들부(N)의 삽입방향(X축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절곡부(131)는 니들부(N)와 이격되어 니들부(N)와 어긋나도록 배치되고, 이에 의해 주사기(30) 삽입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니들부(N)에 찔리는 것(즉, 자상)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y 110 and the coupling part 12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may be connected to the bent part 131 .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132 is from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towar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FIG. 2) of the cover body 110 (in FIG. 2 -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syringe 30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the bent portion 131 may not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needle portion (N). That is, the bent portion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needle portion (N) and disposed to deviate from the needle portion (N), whereby the user's hand is punctured by the needle portion (N) in the syringe 30 insertion process (that is, , cut) can be prevented.

제1 거리(L1a)는 절곡부(131)가 커버본체(110)와 이격된 거리, 또는 연결부(132)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L1a)는 주사기 커버(10)에 결합되는 주사기(30)의 주사기 본체(31) 또는 니들 유닛(32)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distance L1a may mean a distance at which the bent part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110 or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132 . At this time, the first distance L1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syringe body 31 or the needle unit 32 of the syringe 30 coupled to the syringe cover 10 .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의 길이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커버본체(110)의 중심축(C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 내로 삽입되는 주사기(30) 또는 니들 유닛(3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평행하게 배치된 절곡부(131)로 인해, 사용자는 주사기(30) 및/또는 니들부(N)가 주사기 커버(10) 내로 중심축(C1)과 플랫하게 삽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bent part 131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over body 110 . Specifically, the bent portion 13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cover body 110 or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C1 of the cover body 110 . Accordingly, the bent portion 13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yringe 30 or the needle unit 32 inserted into the cover body 110 . Due to the bent portion 131 disposed in paralle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syringe 30 and/or the needle portion N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to be flat with the central axis C1.

절곡부(131)의 일부는 결합부(120)의 외측으로, 결합부(12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절곡부(131)의 일단은 결합부(120)와 멀어지는 방향(도 2의 -X축 방향)으로, 결합부(12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20)보다 더 돌출되는 절곡부(131)의 일단은, 주사기 커버(10)가 주사기(30)와 결합 시 주사기 본체(31)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된 절곡부(131)의 단부일 수 있다.A portion of the bent part 131 may protrude more than the coupling part 120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art 120 . As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bent part 131 may protrude more than the coupling part 12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art 120 (-X-axis direction in FIG. 2 ). Here, one end of the bent portion 131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coupling portion 120 is the bent portion 131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yringe body 31 when the syringe cover 10 is coupled with the syringe 30 . It can be an end.

구체적으로, 절곡부(131)의 일단이 삽입단부(122)보다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제2 거리(L1b)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니들 유닛(32)이 주사기 커버(10) 내로 삽입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 절곡부(131)의 일단이 니들부(N)보다 주사기 본체(31)에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니들부(N)에 의해 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거리(L1b)는 주사기 커버(10)에 결합되는 주사기(30)의 주사기 본체(31) 또는 니들 유닛(32)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bent portion 131 may protrude further in the opposit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n the insertion end 122 by the second distance L1b. Thereby, when the needle unit 32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one end of the bent portion 131 gripped by the user is dispos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yringe body 31 rather than the needle portion N, so that the needl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eing stabbed by (N). At this time, the second distance L1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r size of the syringe body 31 or the needle unit 32 of the syringe 30 coupled to the syringe cover 10 .

파지부(130)는 그 표면에,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3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131a)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부(130)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파지부(130)로부터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오목부(131a)는 절곡부(131)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목부(131a)는 절곡부(131) 양면에 배치되어, 절곡부(13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도 1의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31a)의 면적은, 이러한 오목부(131a)가 형성된 절곡부(131)의 표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The gripper 130 may have a concave portion 131a concavely formed in a groove shape on its surface. Due to the concave portion 131a , when the user grips the gripper 13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hand from sliding from the gripper 130 . As an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131a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31 . In this case, the concave portion 131a may be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131 to be concav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ent portion 131 (Z-axis direction or -Z-axis direction in FIG. 1 ). . In this case, the area of the concave portion 131a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31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131a is formed.

다른 실시예로서, 오목부(131a)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미끄럼 방지 부재는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때, 미끄럼 방지 부재는 일 예로, 고무판일 수 있다. 이처럼, 오목부(131a) 내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주사기 커버(10) 사용 중, 파지부(13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n anti-slip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31a. In this case, the anti-slip member may apply a frictional force to the gripping user's hand, and in this case, the anti-slip member may be, for example, a rubber plate. As such, by disposing the anti-slip member in the concave portion 131a,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s hand gripping the grip portion 130 from slipping while the syringe cover 10 is in use can be improved.

파지부(130)는 횡돌출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횡돌출부(133)는 절곡부(131)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횡돌출부(133)는 연결부(132)와 연결되는 절곡부(13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횡돌출부(133)는 절곡부(131)의 길이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gripper 130 may include a transverse protrusion 133 . As an embodiment,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may be disposed on the bent portion 131 . Specifically,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bent portion 13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2 . In this case,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131 .

구체적으로, 횡돌출부(133)의 돌출단부 중 일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31)로부터 Z축 "?항으?* 돌출될 수 있으며, 횡돌출부(133)의 둘출단부 중 타단은 절곡부(131)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횡돌출부(133)의 양 돌출단부가 동일한 돌출거리로 돌출됨으로써, 횡돌출부(133)의 양 돌출단부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이때, 횡돌출부(133)는 절곡부(131)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절곡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횡돌출부(133)는 절곡부(131)와 커버본체(110)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본체(110) 내로 삽입되는 니들부(N)가 절곡부(131)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protruding ends of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may protrude from the bent section 131 in the Z-axis “? The other end may protrude in the -Z axis direction from the bent portion 131. In this case, both protruding ends of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protrude the same protrusion distance, so that both protruding ends of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ent part 131 and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bent part 131. In this case, the transverse protrusion ( 133) can shield between the bent part 131 and the cover body 110. Thereby, the needle part N inserted into the cover body 110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bent part 131, so that the user can protect the hands of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지부(130)는 종돌출부(1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gripper 130 may further include a longitudinal protrusion 134 .

종돌출부(134)는 연결부(13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종돌출부(134)는 주사기(30)의 니들 유닛(32)이 주사기 커버(10)에 삽입될 때, 연결부(132)의 단부 중 니들 유닛(32)과 마주보는 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돌출부(134)는 연결부(132)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may be disposed on the connection part 132 . As an embodiment,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is at the end of the needle unit 32 and opposite to the needle unit 32 among the ends of the connection part 132 when the needle unit 32 of the syringe 30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can be placed.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art 132 .

구체적으로, 종돌출부(134)의 돌출단부 중 일단은 연결부(132)로부터 Z축 "?항으?* 돌출되고, 종돌출부(134)의 둘출단부 중 타단은 연결부(132)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종돌출부(134)의 양 돌출단부는 동일한 돌출거리로 돌출됨으로써, 횡돌출부(133)의 양 돌출단부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종돌출부(134)는 연결부(132)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연결부(132)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돌출부(134)는 연결부(132)와 삽입홀(121)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연결부(132)를 파지한 상태로 주사기 커버(1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니들부(N)가 연결부(13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protruding ends of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part 132 in the Z-axis "? In this case, both protruding ends of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protrude the same protrusion distance, so that both protruding ends of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connecting portion 132. In this case,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may shiel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32 and the insertion hole 121. By this, even when the user uses the syringe cover 10 while holding the connection part 132, the needle part N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connection part 132, thereby protecting the user's hand. .

한편, 종돌출부(134)의 돌출거리는 횡돌출부(133)의 돌출거리와 동일하게 돌출됨으로써, 종돌출부(134)는 횡돌출부(133)와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횡돌출부(133)와 종돌출부(134)에 의해, 니들부(N)가 삽입되는 삽입 영역으로부터, 파지부(130)를 완전히 차폐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니들부(N)로 인한 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is the same as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lateral protrusion 133 , so that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may be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 By the transverse protrusion 133 and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34 ,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hield the gripping part 130 from the insertion region into which the needle part N is inserted, thereby preventing cuts caused by the needle part 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사기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yring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yringe cover of Figure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20)는 커버본체(210)와, 결합부(220)와, 파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는 중심축(C2)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주사기(30) 또는 니들 유닛(32)이 삽입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5 and 6 , the syringe cov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body 210 , a coupling part 220 , and a gripping part 230 . At this time, the cover body 210 extends along the central axis (C2), the syringe 30 or the needle unit 32 therein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to be inserted.

결합부(220)는 삽입홀(221)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삽입홀(221)은 상기한 커버본체(21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인 주사기 커버(10)의 결합부(120)와는 달리, 결합부(220)의 삽입단부는 결합부(220)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20 may have an insertion hole 221 , and in this case, the insertion hole 221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inside the cover body 210 . However, unlike the coupling portion 120 of the syringe cover 1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sertion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20 may have a constant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20. .

파지부(230)는 절곡부(231)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절곡부(231)의 적어도 일면에는 오목부(23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곡부(231)가 커버본체(210)로부터 제1 거리(L2a)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절곡부(231)의 일단이 결합부(220)보다 -X축 방향으로 제2 거리(L2b)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인 주사기 커버(10)의 파지부(130)와는 달리, 파지부(230)는 횡돌출부 및/또는 종돌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 gripping part 230 may include a bent part 231 and a connection part 232 , and in this case, a concave part 231a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ent part 231 . In this case, the bent portion 23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210 by a first distance L2a, and one end of the bent portion 231 has a second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than the coupling portion 220 ( It may protrude further by L2b). However, unlike the grip portion 130 of the syringe cover 1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grip portion 230 may not include a transverse protrusion and/or a longitudinal protrusion.

상술한 바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주사기 커버(2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술한 주사기 커버(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xcept for the differences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features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yringe cover 2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syringe cover 10 described above, so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세트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사기 커버에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주사기 세트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사기 커버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1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c는 도 7a의 주사기 세트에 있어서, 주사기가 주사기 커버에 주사기가 삽입되어 고정된 제2 고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yringe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in the syring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fixed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yringe cover in the syringe set of FIG. 7A. And,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fixed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yringe cover in the syringe set of FIG. 7a.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주사기 세트(1)는 주사기 커버(10, 20)와, 주사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사기 커버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10),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2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A to 7C , the syringe set 1 may include the syringe covers 10 and 20 and the syringe 30 . At this time,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syringe cover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yringe co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syringe cov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overlapping description is to be omitted.

주사기(30)는 체내에 물질을 주입하거나, 체내로부터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사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회용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사기(30)는 주사기 본체(31)와, 니들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사기 본체(31)는 내부에, 체내에 주입되기 위한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The syringe 30 may refer to a generally used syringe used for injecting a substance into or discharging a substance from the body, and may include a disposable syringe. In general, the syringe 30 may include a syringe body 31 and a needle unit 32 . In this case, the syringe body 31 may contain a substance to be injected into the body.

니들 유닛(32)은 니들부(N)와, 고정돌기(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니들부(N)는 체내에 직접 삽입되어, 주사기 본체(31) 내에 수용된 물질이 체내로 주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needle unit 32 may include a needle part (N) and a fixing protrusion (b). In this case, the needle part (N) may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dy and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yringe body 31 is injected into the body.

고정돌기(b)는 니들 유닛(32)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b)는 니들 유닛(32)의 외주면으로부터, 니들 유닛(3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는 주사기 본체(31)를 바라보는 표면(이하, 전면)과, 상기한 고정돌기(b)의 전면의 반대측 표면(이하,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돌기(b)의 전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고정돌기(b)의 후면은 상기한 평평한 전면으로부터 니들부(N)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b) may be disposed on the needle unit (32). The fixing protrusion (b)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unit 32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needle unit 32 . In this case, the fixing protrusion (b) may include a surface (hereinafter, front) facing the syringe body 31, and a surface (hereinafter, rear) opposite to the front of the fixing projection (b).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b)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needle part (N) from the flat front surface.

고정돌기(B)는 주사기(30)가 주사기 커버(10)에 삽입될 때, 제1 돌출부(a1) 또는 제2 돌출부(a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B)와 제1 돌출부(a1) 또는 제2 돌출부(a2)에 의해, 주사기(30) 또는 주사기 본체(31)는 주사기 커버(10, 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B) may be fixed by the first protrusion (a1) or the second protrusion (a2) when the syringe 30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 By the fixing protrusion (B) and the first protrusion (a1) or the second protrusion (a2), the syringe 30 or the syringe body 31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yringe covers 10 and 20.

고정돌기(B)는 니들 유닛(32)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돌기(B)는 니들 유닛(3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고정돌기(B)의 양 끝단이 서로 만나는 링 형상일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B)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unit (32). Specifically, the fixing projection (B) is extend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unit (32), both ends of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in a ring shape meeting each other.

고정돌기(B)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재질에 의해, 고정돌기(B)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돌기(B)의 형상이 변형 또는 수축될 수 있고, 이후 고정돌기(B)에 가해진 외력이 감소 또는 제거되는 경우에는, 고정돌기(B)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B)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Due to this elastic material, when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size or more is applied to the fixing projection (B),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deformed or contracted, and then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rojection (B) is reduced or removed In this case, the fixing protrusion (B)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10)에, 주사기(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을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사기(3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커버(10)에 삽입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process in which the syringe 3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yringe co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follows,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yringe 30 is a syring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to be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will be mainly described.

우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30)는 주사기 커버(1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사기(30)는, 니들부(N)가 커버본체(110)의 중심축(C1)과 일직선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주사기(30)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파지부(130) 또는 절곡부(131)를 파지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ure 7a, the syringe 30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syringe cover (10). Specifically, the syringe 30, the needle portion (N) may be plac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central axis (C1) of the cover body (110). In this case, the user may grip the syringe 30 with one hand, and hold the grip portion 130 or the bent portion 131 with the other hand.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곡부(131)를 파지한 상태로, 삽입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니들 유닛(32)을 삽입홀(121)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곡부(131)는 커버본체(110)와 제1 거리(L1a)로 이격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니들부(N)의 삽입 경로에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사기(30)가 주사기 커버(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니들부(N)에 의해 사용자가 손에 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move the needle unit 32 toward the insertion hole 121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eg, the X-axis direction) while holding the bent portion 131 . In this case, the bent part 131 i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110 by the first distance L1a, so that the user's hand may deviate from the insertion path of the needle part N. Thereb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yringe 30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stabbed in the hand by the needle portion N.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결합부(120)보다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절곡부(131)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주사기(30)를 주사기 커버(1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파지한 절곡부(131)의 단부는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주사기(30)의 니들부(N)보다 주사기 본체(31)에 더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한 절곡부(131)의 단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이 니들부(N)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들부(N)에 의해 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user holds the end of the bent portion 131 mor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X-axis direction) than the coupling portion 120 , and inserts the syringe 30 into the syringe cover 10 . can be inserted. In this case, the end of the bent portion 131 gripped by the user is disposed closer to the syringe body 31 than the needle portion N of the syringe 3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X-axis direction), whereby the above-described bent The user's hand gripping the end of the part 131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eedle part 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ab wound from occurring by the needle portion (N).

다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유닛(32)이 주사기 커버(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 유닛(32)이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니들 유닛(32)의 고정돌기(B)가 삽입홀(121)의 내주면에 배치된 제1 돌출부(a1)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1 돌출부(a1)에 의해 고정돌기(b)가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출부(a1)에 의한 가압 및 고정돌기(b)의 탄성에 의해, 고정돌기(b)의 형상이 변형되어, 고정돌기(b)가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제1 돌출부(a1)를 지나 이동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B , the needle unit 32 may be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 Specifically, as the needle unit 32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xing protrusion B of the needle unit 32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toward the first protrusion (a1). can move At this time,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pressed by the first protrusion (a1)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fixing projection (b).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b) is deformed by the pressing by the first protrusion (a1) and the elasticity of the fixing projection (b),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b)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t can move past the protrusion a1.

고정돌기(b)가 제1 돌출부(a1)를 통과한 후, 고정돌기(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돌기(b)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의 후면이 제1 돌출부(a1)의 전면에 접촉 또는 걸림 상태로, 고정돌기(b)가 제1 돌출부(a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사기(30)가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주사기 커버(10)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fixing projection (b) passes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a1),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restor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xing projection (b). In this case, the fixing protrusion b may be fixed by the first protrusion a1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b is in contact with or cau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a1 .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yringe 30 from coming out of the syringe cover 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X-axis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제1 돌출부(a1)의 제1 돌출거리(r1)는 고정돌기(B)의 제3 돌출거리(r3)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가 제1 돌출부(a1)의 끝단에 접촉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제1 고정상태). 이에 따라, 니들 유닛(32)의 외측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주사기(30)에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주사기(30)를 주사기 커버(10)로부터 다시 분리 및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의 주사기(30)를 주사기 커버(10)와 제1 결합상태로 결합시켜 임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이 완료되지 않은 주사기(30)가 외부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distance r1 of the first protrusion a1 may be shorter than the third protrusion distance r3 of the fixing protrusion B.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b) may be fixed by contacting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a1) (first fixing state). Accordingly, there may be a certain play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needle unit (32). In this first fixed state, by applying a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X-axis direction) by the user to the syringe 30, the syringe 30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again from the syringe cover (10). Thereby, the syringe 30 in a state that has not been used can be temporarily stored by combining the syringe cover 10 and the first coupled st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yringe 30 that has not been us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다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30)는 제1 고정상태인 경우보다, 주사기 커버(10) 내로 더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 유닛(32)이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더 삽입됨으로써, 니들 유닛(32)의 고정돌기(b)가 삽입홀(121)의 내주면에 배치된 제2 돌출부(a2)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제2 돌출부(a2) 에 의해 고정돌기(b)가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돌출부(a2)에 의한 가압 및 고정돌기(b)의 탄성에 의해, 고정돌기(b)의 형상이 변형되어, 고정돌기(b)가 삽입방향(X축 방향)으로 제2 돌출부(a2)를 지나 이동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7c , the syringe 30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10 than in the case of the first fixed state. Specifically, as the needle unit 32 is further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fixing protrusion (b) of the needle unit 32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1, the second protrusion (a2) can move towards At this time,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pressed by the second protrusion (a2)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fixing projection (b).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b) is deformed by the pressure by the second protrusion (a2) and the elasticity of the fixing projection (b),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b) is insert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move past the protrusion a2.

고정돌기(b)가 제2 돌출부(a2)를 통과한 후 고정돌기(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돌기(b)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의 평평한 후면이 제2 돌출부(a2)의 평평한 전면과 맞닿음으로써, 고정돌기(b)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사기(30)가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주사기 커버(10)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fixing projection (b) passes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a2), the shape of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restor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xing projection (b). At this time, by abutting the flat rea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b) with the flat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the fixing projection (b) may be fixed.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yringe 30 from coming out of the syringe cover 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X-axis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 제2 돌출부(a2)의 제2 돌출거리(r2)는 고정돌기(b)의 제3 돌출거리(r3)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돌출부(a2)와 니들 유닛(32)의 외측면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b)의 후면이 제2 돌출부(a2)의 전면에 걸림으로써, 주사기(30)가 고정될 수 있다(제2 고정상태). 이러한 제2 고정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주사기(30)에 삽입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제2 돌출부(a2)에 걸려 고정된 고정돌기(b)에 의해, 니들 유닛(32) 주사기(30)를 주사기 커버(10)로부터 다시 분리 및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30)를 주사기 커버(10)와 제2 고정상태로 결합시켜 보관 또는 처리할 수 있다.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otrusion distance r2 of the second protrusion a2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third protrusion distance r3 of the fixing protrusion b, and accordingly, the second protrusion a2 There may be no play betwee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eedle unit 32 . At this time, by hook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b)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a2), the syringe 30 may be fixed (second fixing state). In this second fixed state, even if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syringe 30 in the opposite direction (-X-axis direction), the needle unit ( 32) The syringe 3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syringe cover 10 again and discharged. Thereby, the used syringe 30 can be stored or processed by combining the syringe cover 10 and the second fixed state.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고정상태에서는 주사기(30)가 주사기 커버(10)로부터 다시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30)의 니들부(N)에 의해 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 사용한 주사기(30)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fixed state, since the syringe 30 is not separated from the syringe cover 10 again, it is possible to prevent being stabbed by the needle portion N of the syringe 30 that has been us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econdary infection by the already used syringe 30 .

사용자는 주사기(30)와 주사기 커버(10)의 결합 상태를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고정상태 및 제2 고정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사기(30)의 사용 완료 여부에 따라, 주사기 커버(10)에 의한 주사기(30)의 캡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and couple the syringe 30 and the coupling state of the syringe cover 10 to any one of the first fixed state and the second fix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reby, depending on whether the use of the syringe 30 is completed, the degree of capping of the syringe 30 by the syringe cover 10 can be adjus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사기 커버(10, 20) 및 주사기 세트(1)는, 결합부(120)보다 더 돌출된 절곡부(131)에 의해 주사기(30)의 리캡핑 과정에서 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돌출거리를 갖는 돌출부들에 의한 2단 결합으로, 주사기(30)의 사용 완료 여부에 따라 주사기(30)의 캡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ringe covers 10 and 20 and the syringe se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ringe 30 by the bent portion 131 more protruding than the coupling portion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cuts from occurring during the capping process. In addition, by the two-stage coupling by the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protrusion distances, the degree of capping of the syringe 30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yringe 30 is used or not.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주사기 세트
10: 주사기 커버
110: 커버본체
120: 결합부
130: 파지부
20: 주사기 커버
210: 커버본체
220: 결합부
230: 파지부
30: 주사기
31: 주사기 본체
32: 니들 유닛
1: Syringe set
10: syringe cover
110: cover body
120: coupling part
130: grip part
20: syringe cover
210: cover body
220: coupling part
230: grip part
30: syringe
31: syringe body
32: needle unit

Claims (11)

내부에 니들 유닛이 삽입되는 공간이 배치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삽입홀을 구비한 결합부; 및
상기 커버본체와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되, 일단이 상기 커버본체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주사기 커버
a cover body in which a space into which the needle unit is inserted is disposed;
a coupling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ver body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body; and
Doedo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body and the coupling part, one end of the holding part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ver body; including a syring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절곡된 단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사기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bent end of the grip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ortion, syring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일부는 상기 커버본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주사기 커버.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over body, the syring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적어도 일면에,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주사기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yringe cover having a concave portion concav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일부는 상기 커버본체와 이격된, 주사기 커버.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the syring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본체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는, 주사기 커버.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ncreases in width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cover body, the syringe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주사기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 syringe cover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and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nsertion hol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주사기 커버.
8.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A plurality of the projection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yringe cov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돌출거리로 돌출되는, 주사기 커버.
8. 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A plurality of the projections projecting at different projection distances from each other, the syringe cov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주사기 커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trusion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the syringe cover.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주사기 커버;
상기 주사기 커버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주사기 본체; 및
상기 주사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기 커버에 삽입되는 니들 유닛;을 포함하는, 주사기 세트.
A syringe co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syringe body selectively coupled to the syringe cover; and
A needle unit disposed on the syringe body and inserted into the syringe cover; including, a syringe set.
KR1020200084354A 2020-07-08 2020-07-08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KR102380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54A KR102380189B1 (en) 2020-07-08 2020-07-08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54A KR102380189B1 (en) 2020-07-08 2020-07-08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410A true KR20220006410A (en) 2022-01-17
KR102380189B1 KR102380189B1 (en) 2022-03-29

Family

ID=8005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354A KR102380189B1 (en) 2020-07-08 2020-07-08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89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020A (en) * 1988-06-24 1991-01-15 Shiro Kasuya Needle cap for injector, guide for needle cap and grip for needle cap
JPH079357U (en) * 1993-07-16 1995-02-10 俊吉 黒田 Needle cap
JP2001046501A (en) * 1999-08-09 2001-02-20 Yoshizo Fujimoto Strage cap with detent for syringe needle
KR200376163Y1 (en) 2004-11-18 2005-03-11 방상혁 safety syringe
JP2005152361A (en) * 2003-11-26 2005-06-16 Frontier:Kk Cap for injection needle
KR101699624B1 (en) * 2015-10-19 2017-01-24 김윤일 Removable injection needle safety syringe
KR101815555B1 (en) * 2016-11-11 2018-01-05 조영백 Safety cap for syringe
KR20190053062A (en) * 2017-11-09 2019-05-17 김예원 Needle safety protect system
KR20190142109A (en)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Guard type safety cap syringe to prevent stab injury and reus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020A (en) * 1988-06-24 1991-01-15 Shiro Kasuya Needle cap for injector, guide for needle cap and grip for needle cap
JPH079357U (en) * 1993-07-16 1995-02-10 俊吉 黒田 Needle cap
JP2001046501A (en) * 1999-08-09 2001-02-20 Yoshizo Fujimoto Strage cap with detent for syringe needle
JP2005152361A (en) * 2003-11-26 2005-06-16 Frontier:Kk Cap for injection needle
KR200376163Y1 (en) 2004-11-18 2005-03-11 방상혁 safety syringe
KR101699624B1 (en) * 2015-10-19 2017-01-24 김윤일 Removable injection needle safety syringe
KR101815555B1 (en) * 2016-11-11 2018-01-05 조영백 Safety cap for syringe
KR20190053062A (en) * 2017-11-09 2019-05-17 김예원 Needle safety protect system
KR20190142109A (en)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Guard type safety cap syringe to prevent stab injury and re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189B1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728B1 (en) Cap for injection device
JP4300285B2 (en) Infusion device for single doses of liquids, especially pharmaceutical liquids
CN103974734B (en) For removing the device of transfer member guard shield
US6030366A (en) Syringe guard system for a unit dose syringe
US4767412A (en) Finger guards
TWI746502B (en) Safety syringe
GB2287886A (en) Needle protector
EP2618884B1 (en) Needle tip guard for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CA2178771A1 (en) Prefill Syringe
US20200330676A1 (en) Syringe holder for a medical injector and method of forming a medical injector assembly
KR20000069547A (en) Injection syringe with movable needle protector
AU2002335212B2 (en) Medical needle device with winged shield for erroneous piercing prevention
KR102380189B1 (en) Syringe cover and syringe set comprising the same
US8152781B2 (en) Safeguard cap, injection needle with safeguard cap, and medical device with safeguard cap
KR20200017449A (en) Non-reusable disposable safety syringe
KR102576603B1 (en) Syringe with locking mechanism
US20150238704A1 (en) Needle shield removal tool
US20060100589A1 (en) Syringe safety sleeve
US20220008662A1 (en) Syringe safety cap and safety syringe including the same
KR101869465B1 (en) Syringe needle cap for preventing reuse
JP7341153B2 (en) Shell for housing an injection system with a syringe housed in a safety device.
JP2003334247A (en) Injection needle
WO1992012748A1 (en) Protection of needle points
US20220168511A1 (en) Pen needle
KR200279651Y1 (en) safety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