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220A -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 Google Patents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220A
KR20220006220A KR1020200083912A KR20200083912A KR20220006220A KR 20220006220 A KR20220006220 A KR 20220006220A KR 1020200083912 A KR1020200083912 A KR 1020200083912A KR 20200083912 A KR20200083912 A KR 20200083912A KR 20220006220 A KR20220006220 A KR 2022000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n
wall
guide rail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균
Original Assignee
김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균 filed Critical 김인균
Priority to KR102020008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220A/ko
Publication of KR2022000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47G1/161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등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액자를 걸 때, 액자의 높낮이 정렬과 수평유지를 조절볼트(16)을 회전시키면, 너트부(1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봉(15)으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의 침핀(20)을 벽지를 관통시키는 간단히 삽입 고정과, 벽지에 고정된 핀하우징에 몸체(10)를 결합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벽에 고정시키는 기능,
또는 승하강봉(15) 상면에는 미도시 한 소형 핀,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시켜 액자(200)가 미끄럼 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Multi-frame hanger for convenient height and horizontal adjustment}
본 발명은 벽면 등에 걸리는 액자의 높낮이와 좌우 수평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능과, 액자걸이를 벽면에 쉽고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가족, 친구 등의 사진과 명화 등을 액자에 넣어 보관과 함께 벽면에 걸어 항상 감상할 수 있도록하고, 또는 장식적 인테리어 기능으로도 많이 걸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단수 또는 복수를 걸게 되면서, 하나의 못에 걸어 지는 경우 수평 유지가 불량하여 어느 한쪽으로 삐뚤어지거나, 복수개의 액자가 걸리는 경우 좌우 액자의 높낮이가 상이하여 시각적으로 불편하고 또한 인테이어 효과를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자를 벽면에 걸 때에는 벽에 못을 박아 걸거나, 또는 최근에 알려진 와이어와 길이 조절장치를 구성한 전용 걸이를 이용하고 있으나, 못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액자 높낮이를 감안하여 벽면에 못을 정확한 위치에 박기가 어렵고, 못질로 인한 못의 휨에 따라 걸림 위치의 높낮이 등이 변경됨으로써 액자를 정확하게 걸 수 없고 또는 복수의 액자들은 높낮이와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미려성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선행기술로 등록 실용신안 제 20-0293585호는 액자 배면에 기억자형상의 걸고리를 고정하고, 액자가 걸리는 벽면에는 걸고리가 삽입되어 걸림과 함께 상면에 요철홈을 형성하여 걸고리가 좌우로 미끄럼되지 않도록 하고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상하와 좌우로 이동할 수 없어 액자의 정렬은 쉽게 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있다.
또다른 등록 실용신안 제 20-0443936호는 액자틀에 판상의 체결판을 고정하고 벽면에는 상기 체결판이 걸림되는 크랭크형상의 걸림판을 구성하여 액자를 쉽게 걸수 있도록 함과 함께 기다란 구성에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나 상하 이동이 불가한 구성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등록 실용신안 제 20-0450104호는 천정 몰딩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액자걸고리를 구성한 클립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꼬임형태의 클립으로 구성한 구성과 등록 실용신안 제 20-0349750호는 상기 와이어를 권선시켜 권선정도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액자의 높낮이만을 조절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를 고정하는 천정부의 마감몰딩은 레일로서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으나, 이러한 몰딩은 건축단계에서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와 천정으로부터 늘어지는 와이어로 인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액자를 거리 위한 못은 콘크리트 벽에 박기가 어렵고 또한 휨 등으로 인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로 등록 특허 제 10-1450470호와 제 10-1374166호의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가 알려진바 있다.
이러한 행거는 몸체부 전면에 걸이봉이 형성되고 이면에는 벽지를 뚫고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침봉을 구성시켜 삽입침봉을 벽체와 사이 벽지 내로 삽입하는 간단한 고정을 이루도록 한 바있으나, 단순히 걸이봉을 구성한 몸체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조절수단을 전혀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로 출원된 특허 출원 제 10-2020-0009899호의 액자 멀티걸이에서는 못의 휨에 따라 걸림 위치의 높낮이 등이 변경됨으로써 액자를 정확하게 걸 수 없고 또한 수평유지의 어려움과 함께 복수 액자들은 서로의 높낮이와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미려성이 상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벽에 고정되는 걸이부 본체에 대각방향으로 구성되는 안내 슬라이드홈을 구성하고 이 안내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안내되는 슬라이드판을 구비시켜 슬라이드판이 대각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판 상면에 얹어진 액자를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높낮이와 수평 및 복수 액자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바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대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으로 하여금 정밀성의 결여를 야기하고 있다.
등록 실용신안 제 20-0450104호 등록 실용신안 제 20-0343617호 등록 특허 제 10-1817898호 등록 특허 제 10-1450470호 등록 특허 제 10-1374166호 본인의 선행출원 특허 제 10-2020-0009899 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벽면 등에 액자를 걸 때, 발생되는 좌우 수평차이로 삐뚤어지는 현상과, 복수 액자를 걸 때에 서로 간 높낮이 차이를 달리함으로써 미려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걸이부 몸체에 좌우로 안내레일을 구성하고 안내레일에서 승하강되는 승하강봉, 그리고 안내레일 하부에서 조절볼트를 관통시켜 승하강봉을 상하로 이동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액자의 좌우 수평과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함과,
상기 걸리부 몸체 이면에 벽면의 벽지를 관통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침핀을 구성함으로서 복잡한 구성을 간단히 개선하고 벽면에 고정과 수평조절이 매우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액자(100)를 벽면에 걸수 있도록 걸고리를 구성하는 액자걸이로 구성되되,
예비용 피스공(11)을 뚫은 몸체(10) 좌우측에 형성된 수직 안내레일(12) 하부측으로 나공(13이 뚫리는 너트부(14)를 구성하는 안내레일(11)과,
상기 안내레일(11)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봉(15), 그리고 안내레일(11)에 구성된 너트부(14)의 나공(13)에 결합되어 승하강 조절되는 조절볼트(16)로 승하강봉(15)을 승하강 조절하도록 구성함과,
상기 몸체(10) 이면에 벽지(100)를 뚫고 관통되는 복수의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이 결합되는 결합홈(17)을 구성하고 몸체(10) 이면부의 결합홈(17)에 끼워져 결합되는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벽면 등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액자를 걸 때, 액자의 높낮이 정렬과 수평유지를 조절볼트(16)을 회전시키면, 너트부(1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봉(15)으로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와,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의 침핀(20)을 벽지를 관통시키는 간단히 삽입 고정과, 벽지에 고정된 핀하우징에 몸체(10)를 결합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벽에 고정하는 효과,
또는 승하강봉(15) 상면에는 미도시 한 소형 핀,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시켜 액자(200)가 미끄럼 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강봉의 이송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하강봉에 의해 액자를 이동시키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의 침핀이 벽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액자에 적용한 실시예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벽면 등에 액자를 걸 때, 발생되는 좌우 수평차이로 삐뚤어지는 현상과, 복수 액자를 걸 때에 서로 간 높낮이 차이를 달리함으로써 미려성이 결여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걸이부 몸체에 좌우로 안내레일을 구성하고 안내레일에서 승하강되는 승하강봉, 그리고 안내레일 하부에서 조절볼트를 관통시켜 승하강봉을 상하로 이동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액자의 좌우 수평과 높낮이를 조절하도록함과,
상기 걸리부 몸체 이면에 벽면의 벽지를 관통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침핀을 구성함으로서 복잡한 구성을 간단히 개선하고 벽면에 고정과 수평조절이 매우 편리하도록 한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면과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강봉의 이송상태의 설명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의 함침핀이 벽지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예비용 피스공(11)을 뚫은 몸체(10) 좌우측에 수직된 안내레일(12)을 구성함과 함께 안내레일(12) 하부측으로 나공(13)이 뚫리는 너트부(14)를 구성하는 안내레일(11)과,
상기 안내레일(11)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봉(15), 그리고 안내레일(11)에 구성된 너트부(14)의 나공(13)에 결합되어 승하강조절되는 조절볼트(16)로 승하강봉(15)을 승하강 조절하도록 구성함과,
상기 몸체(10) 이면에는 벽지(100)를 뚫고 관통되는 복수의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이 결합되는 결합홈(1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되, 상기 몸체(10) 중앙부에 볼트공(18)을 더 뚫어 이면부의 결합홈(17)에 끼워져 결합되는 핀하우징(21)을 미도시 한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결합홈(17)에는 복수의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이 억지끼움으로 이탈이 없으나, 예비적인 볼트결함을 부가하는 것이며, 상기 결합홈(17)과 여기에 결합되는 핀하우징(21)은 원형체로 구성시켜 결합 후 미세한 회전으로 몸체(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10)가 좌우 쏠림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승하강봉(15) 상단면에는 미도시 한 소형 핀,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시켜 액자(200)가 미끄럼 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9는 승하강봉(15)을 밀어내는 조절볼트(16)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홈을 표시한 것이며 100은 벽지이고 110은 벽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 좌우측에 구성된 한쌍의 안내레일(12)에 승하강봉(15)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안내레일(12) 하부측에 구성된 너트부(14)의 뚫린 나공(13)에 조절볼트(16)를 체결시키고 조절볼트(16)의 조절에 따라 조절볼트(16) 상단 홈(19)에 안착되고 안내레일(12)에 끼워진 승하강봉(15)을 상부 또는 하로 이동하도록 한 구성의 몸체(10)로 조립하고,
상기 몸체(10) 이면에 형성된 결합홈(17)에 끼워지는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의 침핀(20)을 액자(20)가 위치될 지점에서 액자(200) 중심부 위치에 벽지(100)를 관통시켜 벽(110)과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압인으로 억지 끼워넣는다.
즉,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핀(20)이 벽지(100)를 관통하도록 압인하여 벽(110)과 사이로 위치되게 삽입함으로써 상기 핀하우징(21)이 건물의 벽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110)에 고정된 핀하우징(21)에 몸체(10)이면에 형성된 결합홈(17)을 압착시켜 결합함으로써 몸체(10)가 벽면에 고정함과 함께 몸체(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전으로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시킨 후에 몸체(10) 중앙부로 뚫린 볼트공(18)에 미도시한 피스를 체결하여 보다 견고성을 유지하게 되며, 또는 피스 체결 없이도 침핀(20)만으로도 견고성을 유지함으로 상기 피스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벽지(100)에 핀하우징(21)이 고정되고 핀하우징(21)에 본 발명의 몸체(10)가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에 구성된 한쌍의 승하강봉(15)에 액자(200) 테두리 하부면이 위치되어 적재되고 올려 줌으로써 액자(200)를 벽에 쉽게 걸 수 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얹어진 액자(200)가 삐뚤어지고 또는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몸체(10) 하부로 노출된 조절볼트(16)을 회전시키면, 너트부(1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이에 의해 안내레일(12)에서 연동되는 승하강봉(15)이 상하로 이동하여 승하강봉(15) 상단면에 올려진 액자(200)의 좌우측 중 선택된 면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되면서 액자(200)를 바로잡고 또는 수평을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봉(15) 상면에는 미도시 한 소형 핀,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시켜 액자(200)가 미끄럼 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몸체(10)를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에 의한 고정과 함께 벽지(100)가 없는 경우 몸체(10) 양측으로 구성된 피스공(11)에 미도시한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시 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면에 복수개의 액자를 걸 때, 복수 액자(200) 들을 상하로 이동시켜 복수 액자(200)의 수평 유지와 높낮이 정렬이 용이하며 그 조절이 쉽고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한 안내레일(12)과 승하강봉(15)의 형상은 도면 표기의 마름모꼴과 달리 돌출레일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에서 액자를 지칭하고 있으나 이와 함께 시계, 걸이용 벽걸이 장식품 등에 구성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피스공 12 : 안내레일
13 : 나공 14 : 너트부 15 : 승하강봉
16 : 조절볼트 17 : 결합홈 18 : 볼트공
20 : 침핀 21 : 핀하우징 200 : 액자

Claims (3)

  1. 액자 걸이에 있어서,
    예비용 피스공(11)을 뚫은 몸체(10) 좌우측에 형성된 수직 안내레일(12) 하부측으로 나공(13이 뚫리는 너트부(14)를 구성하는 안내레일(11)과,

    상기 안내레일(11)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봉(15), 그리고 안내레일(11)에 구성된 너트부(14)의 나공(13)에 결합되어 승하강 조절되는 조절볼트(16)로 승하강봉(15)을 승하강 조절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이면에 벽지(100)를 뚫고 관통되는 복수의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이 결합되는 결합홈(17)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이면부의 결합홈(17)에 끼워져 결합되는 침핀(20)을 구성한 핀하우징(2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KR1020200083912A 2020-07-08 2020-07-08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KR2022000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12A KR20220006220A (ko) 2020-07-08 2020-07-08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12A KR20220006220A (ko) 2020-07-08 2020-07-08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220A true KR20220006220A (ko) 2022-01-17

Family

ID=8005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12A KR20220006220A (ko) 2020-07-08 2020-07-08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22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17Y1 (ko) 2003-07-09 2004-03-03 김비웅 못이 필요 없는 액자걸이 장치
KR200450104Y1 (ko) 2008-12-04 2010-09-03 주식회사 에스디아이엔씨 액자걸이용 클립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817898B1 (ko) 2017-07-04 2018-01-11 김정일 높낮이 조절이 편리한 액자 걸이장치
KR20200009899A (ko) 2018-07-20 2020-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617Y1 (ko) 2003-07-09 2004-03-03 김비웅 못이 필요 없는 액자걸이 장치
KR200450104Y1 (ko) 2008-12-04 2010-09-03 주식회사 에스디아이엔씨 액자걸이용 클립
KR101374166B1 (ko) 2013-07-08 2014-03-13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450470B1 (ko) 2013-08-23 2014-10-15 이우진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817898B1 (ko) 2017-07-04 2018-01-11 김정일 높낮이 조절이 편리한 액자 걸이장치
KR20200009899A (ko) 2018-07-20 2020-0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041B1 (ko) 걸이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걸이 장치
KR101450470B1 (ko)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US20060249645A1 (en) Adjustable wall hanger for pictures and the like
KR200431872Y1 (ko) 조립식 선반
US20150204666A1 (en) Adjustable laser leveling device and method
US2641427A (en) Picture hanger
KR20220006220A (ko) 높낮이와 좌우수평 조절이 편리한 멀티 액자걸이
US8474168B2 (en) Adjustable sign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550152B2 (en) Adjustable spirit level for tile and cabinet installation
KR101364042B1 (ko) 자동문의 도어를 조립설치하기 위한 도어행거
CN208502139U (zh) 一种集成墙面用挂接结构
CN213979929U (zh) 一种钢模板装配用支撑装置
RU122716U1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офиля маячкового для оштукатуривания стен, потолка и стяжки пола (варианты)
KR102538443B1 (ko) 걸이형 주방용 상부장 설치장치
KR20090095276A (ko) 코너 부착형 선반 지지장치
WO2020143008A1 (zh) 置顶架
CN114601313A (zh) 一种可调节的装饰壁挂
KR102160876B1 (ko) 커튼식 화분 및 장식물 걸이
KR102672509B1 (ko) 다단 수평 맞춤기능을 갖는 와이어 걸이 장치
CN104595306B (zh) 安装杆件的三通组件
KR200403402Y1 (ko) 벽면 장식용 판넬
KR20210096444A (ko) 액자 멀티걸이
US20180192773A1 (en) Millwork leveler
CN213030457U (zh) 一种室内装饰装修连接结构
CN204908481U (zh) 一种能够调节高度的画板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