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971A -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 Google Patents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971A
KR20220005971A KR1020210011078A KR20210011078A KR20220005971A KR 20220005971 A KR20220005971 A KR 20220005971A KR 1020210011078 A KR1020210011078 A KR 1020210011078A KR 20210011078 A KR20210011078 A KR 20210011078A KR 20220005971 A KR20220005971 A KR 2022000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terminal
agent she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중화
Original Assignee
(주)파이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터코리아 filed Critical (주)파이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1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971A/en
Publication of KR2022000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Abstract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fire in a concentric plu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comprises: a base unit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storage spaces;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and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medium sheet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ase part; and a cap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and per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 insertion pin of the plu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by performing an insertion operation of the plug of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Description

자동 소화 콘센트{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본 발명은 자동 소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진압하고 방지하는 자동 소화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for suppressing and preventing fire.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ric plug) 즉, 소켓(socket)과 같은 전원 연결장치는 각종 전자 제품의 플러그(plug)의 삽입핀이 삽입되어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한다.In general, in a power connection device such as a concentric plug, that is, a socket, an insertion pin of a plug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s inserted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이러한 전원 연결장치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만을 구비하여 하나의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어 각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탭(multi-tap) 형태를 갖고 있다.Such a power connector is provided with only one plug insertion hole to supply power to on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as well as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holes for supplying power to one or mor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on hole. It has a (multi-tap) form.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이러한 콘센트는 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주지만 화재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Accordingly, these outlets, which are essential to home or office, provide a lot of convenience to life, but act as a cause of fire.

즉, 먼저 등에 의해 트래킹(tracking) 현상, 접속 불량이나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해 섬광, 발열 또는 아크의 발생으로 인해 화재를 유발하게 된다.That is, the fire is caused by flashing, heat generation, or arc generation due to a tracking phenomenon, poor connection or poor contact.

전기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누전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To prevent fires caused by electricity,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s are installed in homes and offices.

하지만, 이러한 누전 차단기는 콘센트 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미 콘센트에서 발화가 발생하여 다른 가연성 물질로 불길이 번진 경우에는 콘센트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된다.However, such an earth leakage breaker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outlet, and when the fire has already occurred at the outlet and the fire spreads with other combustible materials, even if the power applied to the outlet is cut off, the fire cannot be prevented from spreading.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9-0079183호(공개일자 2009년 07월 21일)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09-0079183 (published on July 21, 2009)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콘센트 내에서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fire in the outle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자동 소화 콘센트는 분할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어 장착되는 접속 단자,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는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제 시트 및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있고,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의 삽입핀과 상기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실행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base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storage spaces, a connection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mounted therein, and the storage of the base portion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ounted in the groove and coupled to the base portion,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lug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is made to include a cap portion that per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do.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재 시트는 상기 접속 단자와 직접 접해 있을 수 있다.The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소화 약제 시트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접속 단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수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and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may be located in different storage spaces with the connection terminals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접속 단자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may be position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on the opposite side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접속 단자를 중심으로 하여 동일 편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as the center.

소화 약제 시트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동일한 수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xtinguishing agent sheets, and the plurality of extinguishing agent sheets may be located in the same storage space.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접속 단자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from opposite sides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interposed therebetween.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제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t least one storage space.

상기 접속 단자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접속부 및 두 개의 단자 접속부 사이의 상기 몸체의 부분에 위치하는 전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단자 접속부는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의 상기 몸체의 제1 측에 위치하는 제1 단자편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인 상기 몸체의 제2 측에 위치하고 가운데에 빈 구멍을 구하는 제2 단자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body extending in a first horizontal direction,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respective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a wire connection portion located in a portion of the body between the two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 wherein each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s positioned on a first side of the body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and on a second side of the body opposite to the first side. It may include a second terminal piece that is positioned and has a hollow hole in the middle.

상기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제1 단자편과 상기 제2 단자편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접해 있을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piece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상기 소화 약제 시트는 제1 소화 약제 시트와 제2 소화 약제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제2 단자편에 직접 접해 있고 상기 빈 구멍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제2 소화 약제 시트는 상기 제1 단자편에 직접 접해 있을 수 있다.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may include a first extinguishing agent sheet and a second extinguishing agent sheet, the first extinguishing agent shee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iece and covering the hollow hole, the second extinguishing agent sheet The shee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iece.

상기 소화 약제 시트는 제1 소화 약제 시트와 제2 소화 약제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소화 약제 시트와 상기 제2 소화 약제 시트는 모두 상기 제1 단자편에 직접 접해 있거나 제2 단자편에 직접 접해 있고 상기 빈 구멍을 덮고 있을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ay include a firs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and a second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wherein both the firs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and the second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iece or a second terminal piece directly abutting and covering the hollow hole.

상기 제1 소화 약제 시트와 상기 제2 소화 약제 시트는 서로 다른 수납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and the second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ay be located in different storage spaces.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콘센트 내에서 불꽃을 소화하는 소화 약제 시트가 위치하므로, 콘센트에서의 화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for extinguishing the flame is located in the outlet,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outlet can be prevented.

또한, 소화 약제 시트가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접속 단자 근처에 위치하므로, 신속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located near the connection terminal with a high risk of fire occurrence, rapid fire suppression can be achieved.

또한, 소화 약제 시트가 접속 단자에 직접 접해 있으므로, 소화 약제 시트의 반응성이 크게 향상되고, 소화 약제 시트의 동작에 의해 배출되는 소화 물질은 신속하게 접속 단자로 접근하므로 콘센트의 화재 방지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the reactivity of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greatly improved,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quickly approaches the connection terminal, so the fire prevention effect of the outlet is further improved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접속 단자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와 (c)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베이스부의 사시도로서, 하나의 수납홈에는 접속 단자가 수납되어 있고 나머지 수납홈에는 접속 단자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서 베이스부에 소화 약제 시트가 위치하는 다양한 예 중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 내지 (d)는 각각 I-I 선과 II-II 선을 따라 잘랐을 때, A-A, B-B, C-C, D-D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서 베이스부에 소화 약제 시트가 위치하는 다양한 예 중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 내지 (d)는 각각 I-I 선과 II-II 선을 따라 잘랐을 때, A-A, B-B, C-C, D-D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서 베이스부에 소화 약제 시트가 위치하는 다양한 예 중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 내지 (d)는 각각 I-I 선과 II-II 선을 따라 잘랐을 때, A-A, B-B, C-C, D-D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of a connection terminal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and (c) are side views in different directions.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ortion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terminal is accommodated in one accommodating groove and a connection terminal is not accommodated in the other accommodating groov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one of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located in the base part in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and (b) to (d) are cross-sectional views obtained when viewed in AA, BB, CC, and DD directions when cut along lines II and II-II, respectively.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located in the base part in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to (d) are each II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btained when looking in the AA, BB, CC, and DD directions when cut along the line and II-II.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various examples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located in the base part in the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to (d) are each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btained when looking in the AA, BB, CC, and DD directions when cut along the II and II-II lin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it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 소화 콘센트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utlet, and more specifically,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예의 콘센트는 벽과 같은 설치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outlet of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a buried outlet that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 an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a wa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면, 본 예의 콘센트(1)는 커버(10), 커버(10)에 결합되는 캡부(20), 캡부(20)에 결합되는 접지 단자(30), 캡부(20)에 결합되는 지지부(40), 캡부(20)에 결합되는 안전판(50), 캡부(20)에 결합되는 베이스부(60), 베이스부(60)에 결합되는 접속 단자(70) 및 베이스부(6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消火) 약제 시트(80)를 구비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outlet 1 of this example includes a cover 10 , a cap unit 20 coupled to the cover 10 , a ground terminal 30 coupled to the cap unit 20 , and a cap unit. The support part 40 coupled to the 20, the safety plate 50 coupled to the cap part 20, the base part 60 coupled to the cap part 20, the connection terminal 70 coupled to the base part 60, and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coupled to the base portion 60 may be provided.

커버(10)는 콘센트(1)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수행하며, 주로 플라스틱 등을 함유할 수 있다.The cover 10 serves as a cover to protect the outlet 1, and may mainly contain plastic or the like.

이러한 커버(10)은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plug)의 삽입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10 may include at least one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an insertion pin of a plug of an electric/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캡부(20)는 커버(2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베이스부(6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부(20)는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면, 플러그의 삽입핀과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실행할 수 있다.The cap part 2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 , and may also be coupled to the base part 60 . For this reason, when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lug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is made, the cap part 20 may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이러한 캡부(20)는 커버(10)와 동일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This cap portion 20 may contain the same material as the cover 10 .

이러한 캡부(20)는 커버(20)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결합부(21)와 테두리부(10)에 에워싸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22) 및 수용홈(22)의 제1 면(예, 하부면)에서 제1 높이 방향(예, 아래쪽 방향), 즉 베이스부(6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기(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p portion 20 includes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22 surrounded by the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20 and the edge portion 10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2 ( 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2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in the first height direction (eg, down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60 may be provided.

결합부(21)는 수용홈(22)을 에워싸고 있고 캡부(20)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테두리 부분일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1 surrounds the receiving groove 22 and may be an edge part constituting the edge of the cap part 20 .

이러한 결합부(21)는 커버(10)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커버(1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미도시) 등과의 결합에 의해 커버(1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The coupling part 21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0 by coupling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not shown)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10 . do.

이러한 결합부(21)에 의해 캡부(20)는 안전하게 커버(10)와 결합될 수 있다.By the coupling part 21 , the cap part 20 may be safely coupled to the cover 10 .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22)은 커버(10)의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고 결합부(21)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22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lug insertion hole of the cover 10 ,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oupling part 21 .

따라서, 각 수용홈(22)은 측면 및 측면에 연결되어 하부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Accordingly, each receiving groove 22 has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하부면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미도시)를 구비하여, 커버(10)의 플러그 삽입부를 관통한 플러그의 삽입핀은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어, 해당 전기전자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has a plug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plug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passing through the plug insertion portion of the cover 10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have.

본 예에서, 수용홈(22)의 개수는 두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number of the receiving grooves 22 is two, but is not limited thereto.

결합돌기(23)는 인접하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두 수용홈(22)의 사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막대 형태로 돌출 되어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23 protrudes in the form of a rod in the downward direction between the two receiving grooves 22 that are adjacently arranged side by side.

이러한 결합돌기(23)은 주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위치에 따라 두께가 달라 평면 지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These coupling protrusions 23 may have a mainly circular planar shape, and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depending on the location, so that the size of the planar diameter may vary.

이러한 결합돌기(23)의 두께 변화로 인해, 결합돌기(23)에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Due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 , it is possible to safely maintain a coupling state with other component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23 .

접지 단자(30)는 전도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플러그에 있는 접지선과 연결되어 본 예의 콘센트(1)치의 전위를 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지 단자(30)로 인해, 감전으로 인한 인명피해의 발생이 감소하고,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역시 줄이 들게 된다.The grounding terminal 30 may contain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ing wire in the plug to ground the potential of the outlet 1 of this example. Due to the grounding terminal 30 , the occurrence of casualties due to electric shock is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fire due to electric leakage is also reduced.

이러한 접지 단자(30)는 가운데 부분에 캡부(20)의 결합돌기(23)에 삽입되는 삽입구(H301)와 각 수용홈(22)의 하부면에 돌출된 결합 돌기(24)에 삽입되는 삽입구(H302)를 갖는 본체(31) 및 본체(31)에서 제1 높이 방향과 다른 제2 높이 방향(에, 위쪽 방향)으로 벤딩(bending)된 후, 즉 절곡된 후 돌출되어 각 수용홈(22)에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되어 수용홈(22)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접지편(32)을 구비할 수 있다.The ground terminal 30 has an insertion hole (H301)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23 of the cap part 20 in the middle portion and an insertion hol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2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each receiving groove 22 ( H302) in the main body 31 and the main body 31 in a second height direction (e, upwar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height direction after bending (bending), that is, after being bent and protruding to each receiving groove (22)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unding pieces 32 that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22 is exposed.

따라서, 각 접지편(32)은 해당 수용홈(2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수용홈(22)에 삽입된 플러그의 노출된 접지선과 접촉될 수 있다.Accordingly, each ground piece 3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 2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xposed ground wire of the plu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2 .

지지부(40)는 본 예의 콘센트(1)를 원하는 벽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support part 40 is for fixing and installing the outlet 1 of this example to a desired wall surface.

이러한 지지부(40)는 접지 단자(30)와 안전판(5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접지 단자(30)와 안전판(50)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40)는 자신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접지 단자(30)와 안전판(50)의 위치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support part 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30 and the safety plate 50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30 and the safety plate 50 . Accordingly, the support part 40 can safely fix the positions of the ground terminal 30 and the safety plate 50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따라서, 지지부(40)는 대략 해당 방향, 즉 콘센트(1)의 연장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제1 수평 방향(X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캡부(20)의 하부면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결합돌기(23, 24)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구(H41)를 구비하는 본체(41) 및 본체(41)의 양 단에 각각 벤딩되게 위치하고 체결구(H42)를 구비한 체결부(42)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part 40 is approximately extend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at i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length of the outlet 1,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art 20 ( 23 and 24) can be provided with a main body 41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H41 and a fastening part 42 having a fastener H42 positioned to be bent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41, respectively. have.

여기서, 제1 수평 방향(X1)은 제1 높이 방향 및 제2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may be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he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height direction.

따라서, 사용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를 체결구(H42)에 삽입하여 본 예의 콘센트(1)를 원하는 위치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install the outlet 1 of this example on the wall at a desired position by insert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to the fastener H42.

본 예의 콘센트(1)를 구조물의 벽면과 같은 설치장소에 고정 부착시키는 경우, 설치장소에는 콘센트(1)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이 구비되고, 이 설치 공간에는 콘센트(1)에 결합되는 전원선이 인출될 수 있다. When the outlet (1) of this example is fixedly attached to an installation place such as a wall of a structure, an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outlet (1) is provided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power line coupled to the outlet (1) in this installation space This can be withdrawn.

따라서, 작업자는 설치 공간에 인출된 전원선을 콘센트(1)의 접속 단자(70)에 연결한 후, 체결구(H42)에 볼트(bolt)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시켜 안전하게 해당 설치 공간에 콘센트(1)를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onnects the power wire drawn out in the installation space to the connection terminal 70 of the outlet 1, and then fastens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to the fastener H42 to safely connect the outlet to the installation space. (1) can be installed.

안전판(5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지지부(40)와 접속 단자(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afety plate 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art 4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70 , as previously described.

이러한 안전판(50)은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접지 단자(30)와 접속 단자(7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을 차단하여, 전기적인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safety plate 50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may provide electrical safety by electrically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terminal 3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7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이러한 안전판(50)은 베이스부(60)의 상부의 평면 형상에 기초한 판상 형태로 이루어져 베이스부(60)의 상단에 위치하여 베이스부(6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The safety plate 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ased on the planar shap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60 and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60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60 .

따라서, 베이스부(60)의 상부에 삽입되어 안전판(50) 하부에 위치하는 접속 단자(70)와 안전판(50) 상부에 위치하는 접지 단자(30)를 완전하게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접지 단자(30)와 접속 단자(7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connection terminal 70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60 and positioned under the safety plate 50 and the ground terminal 30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plate 50 are completely electrically separated, and the ground terminal ( 3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70 is completely cut off.

이러한 안전판(50)은 캡부(10)와의 간격 조절을 위해 제2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간격 조정 돌기(미도시), 지지부재(40)가 안착되는 안착홈(미도시), 그리고 캡부(20)의 결합돌기(23)의 삽입 등을 위한 복수 개의 삽입구(H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afety plate 50 includes a plurality of spacing adjusting protrusions (not shown) protruding in the second height direction for adjusting the distance from the cap part 10, a seat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support member 40 is seated, and a cap part ( 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H50) for the inser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 (23).

본 예에서 서로 구조가 동일한 한 쌍의 접속 단자(70)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70 having the same structure may be provided.

각 접속 단자(70)는 전원선과 연결되고, 캡부(20)의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후 캡부(20)의 수용홈(2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핀과 접촉될 수 있다. Each connection terminal 70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of the cap portion 20, and then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22 of the cap portion 20 Can be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have.

따라서, 콘센트(1)에 플러그를 삽입한 전기전자 제품은 플러그의 삽입핀을 통해 콘센트(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plug inserted into the outlet 1 may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outlet 1 through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이러한 접속 단자(70)는 전체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70 is entire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3A to 3C .

예를 들어, 제1 수평 방향(X1)으로 연장되어 있는 몸체(71), 제1 수평 방향(X1)으로의 몸체(7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접속부(72) 및 두 개의 단자 접속부(72)의 사이의 몸체(71) 부분(예를 들어, 가운데 부분)에서 제1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선 연결부(73)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71 extending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72 and two terminal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71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A wire connection part 73 protruding in the first height direction from the body 71 part (eg, the middle part) between the 72 may be provided.

몸체(71)는 정해진 길이와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71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각 단자 접속부(72)는 몸체(7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을 구비할 수 있다.Each terminal connection part 72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a second terminal strip 7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body 71 interposed therebetween.

제1 단자편(721)는 제1 수평 방향(X1)과 교차하고 몸체(71)의 폭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수평 방향(X2)으로의 제1 측(예, 전면측)(이하에서, 제2 수평 방향(X2)으로의 제1 측을 '제1 측'이라 함)(S11)에서 끊김없이 아래쪽 방향으로 밴딩되어 제1 수평 방향(X1)으로 뻗어 있다.The first terminal piece 721 intersects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and has a first side (eg, front side)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extending along the width of the body 71 (hereinafter, The first sid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 S11 ), the first side is continuously bent downward and extends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

또한, 제2 단자편(722)는 제2 수평 방향(X2)으로의 제2 측, 즉 몸체(71)의 제1 측(S11)의 반대편 측(예, 후면측)(이하에서, 제2 수평 방향(X2)으로의 제2 측을 '제2 측'이라 함)(S12)에서 끊김없이 아래쪽 방향으로 밴딩되어 제1 수평 방향(X1)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is disposed on the second side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that is, the opposite side (eg, the rear side) of the first side S11 of the body 71 (hereinafter, the second The second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nd may be continuously bent downward in S12 and extend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벤딩 동작에 의해,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은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Due to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may protrude downward.

제2 수평 방향(X2) 역시 제1 높이 방향 및 제2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may also be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he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height direction.

동일한 단자 접속부(72)에서, 제1 수평 방향(X1)으로 연장된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각 일측은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몸체(71)의 제1 측(S11) 및 제2 측(S12)에서 각각 연장되어 몸체(21)의 폭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반면,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타측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In the same terminal connection part 72 , each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extending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body 71 facing each other. While extending from the side S11 and the second side S12 and spaced apart by the width of the body 21,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are coupled to each other .

이로 인해, 각 단자 접속부(72)에서,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고 있는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 사이에는 빈 구멍이 존재하고, 이 구멍은 플러그의 삽입핀이 삽입되는 삽입공(H72)을 형성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n each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2, there is an empty hol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facing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is hole is a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is inserted. An insertion hole H72 may be formed.

본 예에서, 각 단자 접속부(72)에서, 제1 단자편(721)와 제2 단자편(722)에서, 몸체(21)를 사이에 두고 제1 단자편(721)와 제2 단자편(722)이 서로 이격되어 분리되어 있는 단부는 '내측 단부'라 하고,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단부는 '외측 단부'라 한다. In this example, in each terminal connection portion 72, in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with the body 2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1 ( An end at which the 722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an 'inner end', and an end at which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an 'outer end'.

따라서, 플러그의 각 삽입핀은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에 의해 에워싸여져 인접한 제1 단자편(721) 및 제2 단자편(722)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insertion pin of the plug is surrounded by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djacent first terminal piece 721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 have.

이때, 제1 단자편(721)은 가운데 부분에 빈 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외측 단부 부분이 절곡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태인 반면, 제2 단자편(722)은 가운데 부분에 제2 단자편(722)을 완전히 관통하고 있고 제2 단자편(722)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는 빈 구멍(H722)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in which the outer end portion without an empty hole in the center portion is bent, whereas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has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in the center portion. ) and may have a hollow hole H722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

빈 구멍(H722)은 제2 단자편(722)의 외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원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hollow hole H722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ut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and has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rectangl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n oval shape.

이로 인해, 제1 단자편(721)의 면적은 제2 단자편(721)의 면적보다 크고, 이들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 사이의 면적 차이는 제2 단자편(722)에 형성된 구멍(H722)의 형성 면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area of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terminal piece 721, and the difference in area between these first terminal pieces 721 and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is the second terminal piece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area of the hole H722 formed in the 722 .

전선 연결부(73)는 몸체(71)의 제2 측(S12)에 제1 수평 방향(X1)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단자편(722) 사이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2 단자편(722)과 이격되어 있다.The wire connection part 73 is located between two second terminal pieces 722 spaced apart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on the second side S12 of the body 71, and adjacent to the second terminal pieces 722 is separated from

따라서, 전선 연결부(73)는 대략 몸체(71)의 제2 측(S12)의 가운데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ire connection part 73 may be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ide S12 of the body 71 .

이러한 전선 연결부(73) 역시 몸체(21)의 해당 제2 측(S12)에서 끊김없이 아래쪽 방향으로 벤딩된 부분일 수 있고, 일부분이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The wire connection portion 73 may also be a portion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out interruption from the corresponding second side S12 of the body 21, and a portion may be separated and spaced apart.

몸체(71)의 제1 측(S11)에 각각 위치하여 제1 수평 방향(X1)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단자편(721) 사이에는 전선 연결부(73)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71)의 제1 측(S11)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제2 단자편(721)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The wire connection part 73 may not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second terminal pieces 721 respectively located on the first side S11 of the body 71 and spaced apart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 Accordingly, an empty space may exist between the two second terminal pieces 72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S11 of the body 71 .

베이스부(60)는 접속 단자(70)가 내장되어 위치하는 부분이다.The base part 60 is a part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70 is embedded.

베이스부(60)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측부와 하부는 막혀 있을 수 있다.The base portion 6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nar shape, an upper portion may be open, and a sid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may be closed.

따라서, 본 예의 베이스부(60)는 정해진 높이를 갖고 베이스부(60)의 외벽을 형성하는 측벽(61)과 측벽(61)으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 개의 격벽(62)을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se portion 60 of this example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cludes a side wall 61 forming an outer wall of the base portion 60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62 dividing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ide wall 61 . can

이러한 격벽(62)에 의해, 베이스부(60)은 베이스부(60)의 내부 공간이 분할되어 한 쌍의 접속 단자(70)가 각각 수납되는 수납홈, 예를 들어,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부(60)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므로, 베이스부(60)를 제조할 때 소모되는 재료의 양이 절감된다.By the partition wall 62 , the base portion 60 is divid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60 to receive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70 , for example, a first accommodation groove H61 . )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62), and also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the base part (60), the amount of material consumed when manufacturing the base part (60) is reduced.

또한, 베이스부(60)는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 사이의 부분에 캡부(20)의 결합돌기(23)가 삽입되는 캡부(20)와의 결합을 실시하는 삽입구(H6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60 is a portion between the first receiving groove (H6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62) to perform the coupling with the cap portion 20 into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23 of the cap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60) may be provided.

제1 수납홈(H61) 및 제2 수납홈(H62)은 이미 기술한 각 접속 단자(7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과 크기가 정해질 수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H6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H6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viously described shape of each connection terminal 70 ,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에는 각각 삽입공(H72)이 위치하는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부분[즉,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외측 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납공간(예, 제1 및 제2 삽입공 수납공간)(H601, H602),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나머지 부분[즉, 제1 단자편(721)과 제2 단자편(722)의 내측 부분]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납공간(예, 제1 및 제2 단자편 수납공간)(H603, H604) 및 전선 연결부(723)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전선연결부 수납공간(H605)을 구비할 수 있다.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that is, the first terminal strip ( 721)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into which the receiving spaces (eg,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 receiving spaces) (H601 and H602) are inserted,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and the seco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erminal strip 722 (that is, the inner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and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eg, first and second terminal strip storage space) (H603, H604) and the wire connection portion 723 may be provided with a wire connection portion receiving space (H605)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은 전선연결부 수납공간(H605)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수평 방향(X1)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두 개의 삽입공 수납공간(H601, H602)과 두 개의 단자편 수납공간(H603, H604)을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접속 단자(70)를 수납하기 위해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 각각의 수납공간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1 and 4,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H6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H62) are locat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with the wire connection part accommodation space (H605) as the center. Two insertion hole accommodating spaces H601 and H602 and two terminal piece accommodating spaces H603 and H604 may be provided. However,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terminal 70, the number of each of the accommodating spac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H6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H62 may be changed as needed.

제1 수평 방향(X1)을 따라서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의 해당 수납공간(H601-H605)에 수납되는 각 접속 단자(70)는 복수 번 절곡된 판 스프링(90)에 의해 안정하게 전원선과 연결되며 해당 수납홈(H61, H62)에 수용될 수 있다.Each connection terminal 70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s H601-H605 of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H6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H62 along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X1 is a leaf spring ( 90) is stab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H61, H62).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콘센트(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래킹 현상, 접속 및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한, 섬광이나 아크가 발생하거나 발열로 인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소화하여 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to prevent a fire occurring inside the outlet 1, and to be more specific, a flash or arc caused by a tracking phenomenon, poor connection and contact, etc. This is to prevent the spread of a fire by extinguishing a flame caused by heat generation.

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접속 단자(70)가 각각 수납되는 제1 수납홈(H101)과 제2 수납홈(H102)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에 내장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embedded in at least one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H10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102)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70 is accommodated, respectively.

이때, 해당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각 소화 약제 시트(80)는 인접한 접속 단자(70)의 부분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may b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acent connection terminal 70 .

이러한 소화 약제 시트(80)는 수납되는 수납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크기는 상이할 수 있고, 이러한 크기 차이를 제외하면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have different siz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to be accommodated, and all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this size difference.

예를 들어, 각 소화 약제 시트(80)는 불꽃이나 섬광을 소화시키는 소화 약제와 이 소화 약제를 둘러싸고 있는 폴리머의 외피를 구비한 복수 개의 마이크로 캡슐 및 복수 개의 마이크로 캡슐과 결합되어 있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소화 약제는 플루오르화 케톤을 함유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contains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having an extinguishing agent for extinguishing flames or flashes, a polymer shell surround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an epoxy resin bonded to the plurality of microcapsules. can do. In this case, the extinguishing agent may contain a fluorinated ketone.

이러한 소화 약제 시트(80)는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은 고도의 효율적인 소화제로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이 파손되고 그 속에 내장되어 있는 고체 상태의 소화 약제가 기화되어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a highly efficient fire extinguishing agent that does not destroy the ozone layer, and the microcapsule is damaged by the heat applied,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n the solid state embedded therein is vaporized to perform a fire extinguishing function.

이러한 소화 약제 시트(80)의 작동 온도는 대략 8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is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approximately 80 degrees to 180 degrees.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본 예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제1 수납홈(H61)과 제2 수납홈(H62)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는 접속 단자(70)와 직접 접촉하게 위치하므로, 소화 약제 시트(80)는 각 수납홈(H61, H62)에 형성된 수납 공간(H601-H605)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As already describe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of this example is locat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H6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62), respectively, so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spaces (H601-H605) formed in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H61, H62).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소화 약제 시트(80)는 복수 개의 수납홈(H61, H62)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H61, H62).

이로 인해, 소화 약제 시트(80)는 각 수납홈(H61, H62)의 제1 및 제2 단자편 수납공간(H601, H602)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iece receiving spaces H601 and H602 of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H61 and H62.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각 수납홈(H61, H62)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소화 약제 시트, 예, 제1 소화 약제 시트(80)와 제2 소화 약제 시트(80)는 서로 다른 단자편 수납공간(H603, H604)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 to 7, in each receiving groove (H61, H62), two differen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for example, the firs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nd the second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re They may be respectively located in different terminal strip accommodating spaces H603 and H604.

도 5에 도시한 예에서, 서로 다른 단자편 수납공간(H603, H604)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자편(721, 722)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접속 단자(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 the two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80 respectively located in different terminal strip receiving spaces H603 and H604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different types of terminal strips 721 and 722 . For this reason, two differen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80 may be position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interposed therebetween.

즉, 제1 단자편 수납공간(H603)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소화 약제 시트(80)는 제2 단자편(722)에 접하게 위치하는 반면, 제2 단자편 수납공간(H604)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소화 약제 시트(80)는 제1 단자편(721)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positioned in the first terminal strip accommodating space H603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strip 722, while the seco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

하지만, 도 6에 도시한 예에서, 해당 수납홈(H71 또는 H72)의 서로 다른 단자편 수납공간(H603, H604)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접속 단자(70)를 중심으로 하여 동일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 개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동일하게 제1 단자편(721)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소화 약제 시트(80)는 모두 제1 단자편(721)과 접하게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제2 단자편(722)과 모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Howe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two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80 respectively located in different terminal piece storage spaces H603 and H604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H71 or H7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70 . can be located on the same side. For this reason, the two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80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in the same manner. In FIG. 6 ,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all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iece 721 , but otherwise, all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

콘센트(1)에서 접속 단자(70)에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촉이나 접속 불량과 같은 물리적인 결합이나 아크나 섬광과 같은 전기적인 결합으로 인한 불꽃 발생이나 발열 발생은 대부분 접속 단자(70)나 접속 단자(70)와 인접해 있는 부분에서 발생하게 된다.Since the power line is connected from the outlet (1) to the connection terminal (70), the occurrence of sparks or heat generation due to physical coupling such as contact or poor connection or electrical coupling such as arc or flashing occurs mostly at the connection terminal (70) It is generat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ion terminal 70 .

따라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불꽃 발생이나 발열 발생의 위험이 높은 접속 단자(70)가 위치하는 수납홈(H61, H62) 중 적어도 하나에 소화 약제 시트(80)가 위치하므로, 접속 단자(70)가 위치하지 않는 다른 부분에 소화 약제 시트가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소화 약제 시트(80)에 의해 화재 방지 효과는 크게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receiving grooves (H61, H62)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70 with a high risk of spark generation or heat generation is located, as shown in FIGS. 5 to 7, the connection terminal (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located in other parts where 70) is not located, the fire protection effect can be greatly improved b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

또한, 접속 단자(70)는 구리와 같이 열전도성이 큰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콘센트(1) 내에서 발열 동작이 발생할 경우, 접속 단자(70)의 온도는 급격이 상승하여 접속 단자(70)에서의 발화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70 contains a conductive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and when a heat generating operation occurs in the outlet 1 , the temperature of the connection terminal 70 rises rapidly and the connection terminal 70 ), the risk of ignition is greatly increased.

하지만,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이러한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접속 단자(70)와 직접 접해 있으므로, 접속 단자(70)의 상태, 예, 발열이나 불꽃 발생에 따라 신속하게 반응하여 신속화 불꽃 진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S. 5 and 7 ,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of this exampl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having a high risk of such a fire, so the state of the connection terminal 70, for example, heat generation or spark generation It can react quickly according to this to exert the effect of rapid fire extinguishing.

따라서, 소화 약제 시트(80)가 접속 단자(70)와 직접 접하지 않고 접속 단자(70)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콘센트에 비해, 화재 발생율이 크게 감소하며, 콘센트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의 소화율은 크게 증가한다.Therefor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and compared to the outle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70, the rate of fire is greatly reduced, and the extinguishing rate when a fire occurs within the outlet is greatly increases

또한, 본 예에서, 소화 약제 시트(80)는 발열로 인한 온도 상승이 급격이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70)와 접해 있으므로, 접속 단자(70)와 접해있는 소화 약제 시트(80) 부분의 온도 변화에 따라 소화 약제 시트(80)의 기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xample,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where the temperature rise due to heat generation is made rapidl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Accordingly, the vaporization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can be made quickly.

따라서, 본 예의 콘센트(1)는 소화 약재 시트(8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소화 약재 시트(8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온도 센서 등이 불필요하다.이러한 소화 약제 시트(80)는, 도 5와 도 6에서, 기립된 상태로 해당 수납 공간(H603, H604)에 삽입되어 인접한 해당 단자편(721, 722)과 접해 있다. 이로 인해, 테두리를 구성하는 측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소화 약제 시트(80)의 면부(즉, 평면 또는 저면)가 해당 단자편(721, 722)과 접할 수 있다.Therefore, the outlet 1 of this example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nd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controll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operates or not is unnecessary. Such an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5 and 6 ,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s H603 and H604 in an upright state and are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corresponding terminal pieces 721 and 722 . For this reason, the face part (that is, a flat surface or a bottom 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which has an area wider than the side surface which comprises the edge can contact the corresponding terminal pieces 721 and 722.

이와 같이, 소화 약제 시트(80)가 기립 상태로 해당 수납 공간(H603, H604)에 삽입된 형태 장착되는 경우, 베이스부(60)에 접속 단자(70)가 이미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공간에 소화 약제 시트(80)의 삽입 공정을 통해 소화 약제 시트(80)의 장착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 약제 시트(80)의 삽입 공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mounted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s H603 and H604 in an upright stat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placed in the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70 is already coupled to the base unit 60 . The mounting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chemical sheet 80 . Therefore,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소화 약제 시트(80)의 면부가 모든 면이 막혀 있는 제1 단자편(721)과 접해 있을 때, 소화 약제 시트(80)와 제1 단자편(721)과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70)에 발열 등이 발생할 경우, 소화 약제의 반응 속도가 증가하여 신속한 소화 약제의 기화 현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face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with all surfaces block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nd the first terminal strip 721 can be maximized. . Therefore, when heat or the like is generat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70, the reaction rate of the extinguishing agent increases, so that the rapid vaporiza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achieved.

반면 소화 약제 시트(80)의 면부가 가운데 부분에 구멍(H722)을 구비하고 있는 제2 단자편(722)과 접해 있고, 구멍(H722)의 적어도 일부가 소화 약제 시트(80)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소화 약제 시트(80)의 동작으로 소화 약제가 기화될 때, 제2 단자편(722)에 위치하는 이 구멍(H722)을 통해 기화된 소화 약제의 신속한 퍼짐 현상이 이루어져 소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ce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having a hole H722 in the middle, and at least a part of the hole H722 can be covered with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have. In this case, 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vaporiz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the vaporized fire extinguishing agent rapidly spreads through this hole H722 located in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so that the extinguishing effect is further enhanced can be improved

즉, 제2 단자편(722)에 위치하는 구멍(H722)을 관통하여 소화 약제의 분사 영역이 구멍(H722)을 구비하지 않는 제2 단자편(721)의 경우보다 증가하여 소화 약제의 분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소화 약제의 분산과 분사 범위의 증가로 인해, 접속 단자(70)에서 발생하는 불꽃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소화될 수 있다.That is, the injection area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passing through the hole H722 located in the second terminal piece 722 increases compared to the case of the second terminal piece 721 not having the hole H722, so that the dispersion efficiency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increased. This can be improved. Therefore, due to the effective dispers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and the increase of the spraying range,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70 can be extinguished quickly and efficiently.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각 수납홈(H61, H62)에서, 소화 약제 시트(80)는 동일한 수납공간(예, H603)에서 제2 수평 방향(X2)을 따라 본체(7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예, 두 개) 소화 약제 시트는 접속 단자(70)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H61, H62),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in the same storage space (eg, H603) in 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X2) along the main body 71 between each other They can b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ly, a plurality of (eg, two)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may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from opposite sides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런 경우, 동일한 수납공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서로 다른 단자편(721, 722)과 각각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wo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80 positioned in the same storage space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different terminal pieces 721 and 722, respectively.

도 5 및 도 6에서, 소화 약재 시트(80)는 해당 수납홈(H61, H62)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소화 약제 시트(80)는 해당 수납홈(H61, H62)에 장착된 접속 단자(70)의 직접 접하게 위치하고 있다.In Figures 5 and 6,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all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80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H61, H62) are connected terminals 70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H61, H62). located in direct contact with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해당 수납홈(H61, H62)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제 시트(80)는 해당 접속 단자(70)와 직접 접해 있지 않고 해당 접속 단자(7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grooves (H61, H62) as shown in FIGS. 5 and 6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70, but with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 70) and may be located adjacent to it.

다음, 도 7에 도시한 예에서, 각 소화 약제 시트(80)는 해당 수납공간(예, H603, H604)의 내측 하부면, 즉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해당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소화 약제 시트(80)의 면부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Nex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each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located on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eg, H603, H604), that is, on the floor surface.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and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may be loca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소화 약제 시트(80)의 노출된 면부 위에 해당 접속 단자(70)가 위치하지만, 접속 단자(70)와 소화 약제 시트(80)는 접해 있지 않아 빈 공간(S60)이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70 is locat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 but the connection terminal 70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empty space (S60) ) may exist.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접속 단자(70)의 단부는 소화 약제 시트(80)의 노출된 면부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However,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70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exposed surface por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

이러한 경우, 해당 접속 단자(70) 아래에 소화 약제 시트(80)가 위치하므로, 소화 약제 시트(80)는 해당 수납공간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In this case, sinc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located under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70,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does not have a problem of being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또한, 해당 수납공간의 바닥부에서 접속 단자(70) 쪽으로의 소화 약제의 분사 동작이 이루어질 때, 실질적으로 해당 수납공간의 전체 공간으로 소화 약제의 기화로 인해 발생하는 소화 가스의 분사가 이루어져, 소화 범위가 증가하여 소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from the bottom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toward the connection terminal 70, the fire extinguishing gas generated due to vaporiz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ubstantially sprayed into the entire space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Digestive effec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range.

이러한 구조를 갖는 콘센트(1)의 조립을 위해, 작업자는 베이스부(60)에 접속 단자(70)를 장착할 수 있다.For assembling the outlet 1 having this structure, the operator may mount the connection terminal 70 to the base portion 60 .

그런 다음, 베이스부(60)의 해당 수납공간에 접속 단자(70)와 접촉하게 소화 약제 시트(80)를 장착할 수 있다. T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can be mounte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70 in the corresponding receiving space of the base part 60 .

소화 약제 시트(80)가 베이스부(60)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해당 수납공간 내에 소화 약제 시트(80)를 위치시킨 후 접속 단자(70)를 장착할 수 있다.Whe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rt 60 , the connection terminal 70 may be mounted afte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is position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이와 같이. 베이스부(60) 내에 접속 단자(70)와 소화 약제 시트(80)가 장착된 후, 베이스부(60) 상부에 안전판(50)을 위치시키고, 안전판(50)의 안착홈(R50)에 지지부재(40)를 위치시킬 수 있다.like this. After the connection terminal 70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80 are mounted in the base part 60 , the safety plate 50 is positioned on the base part 60 and supported by the seating groove R50 of the safety plate 50 . The member 40 may be positioned.

다음, 캡부(20)의 결합 돌기(23, 24)를 이용하여 캡부(20)의 하부에 접지 단자(30)를 조립할 수 있다.Next, the ground terminal 30 may be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p part 20 using the coupling protrusions 23 and 24 of the cap part 20 .

그런 다음, 접지 단자(30)가 결합된 캡부(20)를 지지부재(40) 위에 위치시킨 후, 결합 돌기(23)와 해당 삽입구(H41, H50, H60)와의 결합 동작에 의해 베이스부(60) 위에 캡부(20)가 결합될 수 있다.Then, after the cap portion 20 to which the ground terminal 30 is coupled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member 40 , the base portion 60 by a coupling operation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23 and the corresponding insertion holes H41 , H50 and H60 ) on the cap portion 20 may be coupled.

그런 다음, 캡부(20) 위에 커버(10)를 결합하여, 콘센트(1)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Then, by combining the cover 10 on the cap portion 20,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outlet (1).

대안적인 예에서, 접지 단자(30)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안전판(50)도 생략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ground terminal 30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safety plate 50 may also be omitted.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mutually incompatible,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콘센트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콘센트 10: 커버
20: 캡부 30: 접지 단자
40: 지지부 50: 안전판
60: 베이스부 70: 접속 단자
80: 소화 약제 시트 71: 몸체
72: 단자 접속부 73: 전선 연결부
721: 제1 단자편 722: 제2 단자편
1: Outlet 10: Cover
20: cap 30: ground terminal
40: support 50: safety plate
60: base 70: connection terminal
80: extinguishing agent sheet 71: body
72: terminal connection 73: wire connection
721: first terminal piece 722: second terminal piece

Claims (4)

분할된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수납홈 내에 수납되어 장착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몸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제1 측에 위치하는 제1 단자편과 상기 제1 측의 반대편인 상기 몸체의 제2 측에 위치하고 가운데에 빈 구멍을 갖는 제2 단자편을 구비하는 단자 접속부 및 두 개의 단자 접속부 사이의 상기 몸체의 부분에 위치하는 전선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단자편의 빈 구멍을 덮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화 약제 시트; 및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있고, 전기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플러그의 삽입핀과 상기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실행하는 캡부
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콘센트.
a base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having a plurality of divided storage spaces;
A body accommodated and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respectively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ody along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ide of the body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 terminal connecting portion having a first terminal piece positioned at and a second terminal piece having a hollow hole in the center and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body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a portion of the body between the two terminal connecting portions. a connection terminal including a wire connection unit located therein;
at least on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mounted o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ase part and covering the empty hole of the second terminal piece; and
The cap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art and per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sertion pin of the plu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by performing an insertion operation of a plug of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compri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약제 시트는 복수 개이고,
상기 소화 약제 시트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단자편에 직접 접해 있는 자동 소화 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a plurality,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 is additionally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pie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수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접속 단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수납공간에 위치하는 자동 소화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ar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s located in different storage spaces with the connection terminal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therebetwee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소화 약제 시트는 동일한 수납공간에 위치하는 자동 소화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 sheets ar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utlets located in the same storage space.
KR1020210011078A 2020-07-07 2021-01-26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KR202200059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078A KR20220005971A (en) 2020-07-07 2021-01-26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56 2020-07-07
KR1020210011078A KR20220005971A (en) 2020-07-07 2021-01-26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56 Division 2020-07-07 2020-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71A true KR20220005971A (en) 2022-01-14

Family

ID=793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078A KR20220005971A (en) 2020-07-07 2021-01-26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97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183A (en) 2009-06-25 2009-07-21 임두만 Recepta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183A (en) 2009-06-25 2009-07-21 임두만 Recepta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917B1 (en) Performance Based Safety Outlet
CA2266561C (en) Thermal-fuse plug-through, plug-in diffuser
CA2182318C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ith ground strap shorting protection
US7554033B1 (en) Environmentally Protected Wiring Device
US20060028316A1 (en) One-shot heat sensing electrical receptacle
US7889480B2 (en) Panelboard
US20020168902A1 (en) Plug socket
CN101133519A (en) Plug connector
ES2215790T3 (en) ARC CAMERA FOR LOW VOLTAGE SWITCHES.
KR20100117578A (en) Heater contact assembly for volatile liquid dispenser
KR20170117809A (en) Fuse having heat-radiating means
JP5010419B2 (en) Wiring connector
KR20220008158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mupti-tap
KR20220005971A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concentric plug
US4176902A (en) Method for fusing male plug at end of power line cord
KR102083420B1 (en) Distribution board
EP1648052A2 (en) A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20080107189A (en) Interior wiring device, electrical appliance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rior wiring using the same
EP1096618B1 (en) Shield connector
KR102180272B1 (en) expand type temperature detecting and current breaking socket
USRE31017E (en) Method for fusing male plug at end of power line cord
EP0814551B1 (en) Contact bar having sockets and a ganged plug-in unit having such a contact bar
KR102593414B1 (en) Multi-tap with fire extinguishing function
JPH0833162A (en) Connections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ion box
US10468806B2 (en) Electrical power outlet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