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90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905A
KR20220005905A KR1020200083651A KR20200083651A KR20220005905A KR 20220005905 A KR20220005905 A KR 20220005905A KR 1020200083651 A KR1020200083651 A KR 1020200083651A KR 20200083651 A KR20200083651 A KR 20200083651A KR 20220005905 A KR20220005905 A KR 20220005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door
panel
brack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905A/ko
Priority to CN202180049731.3A priority patent/CN115918258A/zh
Priority to EP21838309.9A priority patent/EP4152891A4/en
Priority to PCT/KR2021/008033 priority patent/WO2022010146A1/ko
Publication of KR2022000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05A/ko
Priority to US18/066,177 priority patent/US2023011987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24C15/045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being dismountable, e.g. giving access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 H05B6/763Microwave radiation seals for do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 바디,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을 상기 도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패널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이 상기 도어 바디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수용공간은 외부에 노출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조립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써 조리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의 예로는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 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 바디;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을 상기 도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패널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이 상기 도어 바디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수용공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바디; 및 상기 브라켓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멍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브라켓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결합구멍의 일부를 형성하는 결합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구부러진 패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결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체결공간에 대응되고,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은 하단에서 절곡되는 체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체결 플랜지에 대응되고, 상기 체결 플랜지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상기 도어 바디의 저면과 상기 체결 플랜지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기판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케이스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패널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패널 브라켓이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기판 케이스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케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리세스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바디;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을 상기 도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 바디에 후크결합되는 패널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로서, 상기 도어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도어 바디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패널 브라켓과 함께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해 개방되며,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전방에서 상기 기판 케이스를 커버할 수 있다.
도어 패널은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된 도어 바디의 수용공간을 커버하고 도어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되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제작 및 수리 등을 위하여 사용자는 도어 패널을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수용공간 및 인쇄회로기판에 접근할 수 있다.
도어 패널의 프론트 패널은 도어의 외관을 구성하고 사용자는 도어 패널을 쉽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디자인의 도어 패널들을 교체함으로써 도어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및 기판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패널 브라켓 및 도어 바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저면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도어 바디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결합구멍에 삽입된 후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어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체결부재가 관통홀 및 체결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패널 브라켓과 도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패널 브라켓과 도어 바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도어에서 지시선 A-A' 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게,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주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10)과, 제1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1)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12) 및 제2 하우징(12)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 대상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은 외부 하우징으로, 제2 하우징(12)은 내부 하우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2)은 조리기기(1)의 본체(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좌우 방향(Y)으로 장변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12)은 조리기기(1)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대상을 조리실(1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제1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실(11) 하측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의 내부에는 조리기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대상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선반(30)이 조리실(11)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1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선반(30)이 다양한 높이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Z)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하 방향(Z)은 수직 방향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고, 상하 방향(Z)이 수직 방향이라고 지칭될 때 좌우 방향(Y)은 수평 방향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대상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원(6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60)은 선반(30)에 위치하는 조리대상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대상은 선반(30) 없이 조리실(11)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가열원(60)은 조리실(11)의 하면에 위치한 조리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60)은 조리실(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가열원(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60)은 조리실(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가열원(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원(5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대상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가열원(4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대상 내부로 조사되어 조리대상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대상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열원(40)은 기계실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열원(40)은 기계실에서 조리실(11)의 하면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조리실(11)의 하면을 통과하여 선반(30)으로 조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대상을 가열하기 위하여 제1 가열원(50)과 제2 가열원(40)은 히터나 마그네트론과 다른 가열 방식을 가지는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히터나 마그네트론이 아닌 다른 가열원을 포함하는 제3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및 기판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패널 브라켓 및 도어 바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저면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도어 바디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도어(100)는 조리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00)는 도어(100)의 하단에 마련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힌지(23)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23)는 제1 하우징(10) 또는 제2 하우징(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0)는 하부가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도어(10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됨에 따라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12)의 개구는 개방될 수 있고, 도어(100)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됨에 따라 제1 하우징(10) 및 제2 하우징(12)의 개구는 폐쇄될 수 있다.
도어(100)가 조리실(11)을 폐쇄할 경우 사용자가 조리실(11)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시창(22)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22)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재질을 포함하는 투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투시창(22)은 몇 겹의 투시부재가 층을 이룸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00)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다이얼을 회전시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얼 입력부(101a)와, 사용자가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입력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입력부(101a)와 터치 입력부(101b)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입력부(101)는 도어 패널(110)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10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01b)는 표시부(102)와 별개로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터치 입력부(101b)와 표시부(1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102)에서 표시하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어(100)는 복수의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입력부(101)와 표시부(102)를 제어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3)은 조리기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전장품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03)은 도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2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110)과, 도어(100)의 상면, 하면,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바디(120)와, 도어 바디(120)의 후방에서 도어 바디(120)이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쵸크 프레임(130)과, 도어 바디(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어 바디(120)의 상하좌우 에지에 결합하여 도어(100)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에지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120)는 도어 바디(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122)와, 플레이트부(122)의 상하좌우 모서리 측에 위치되는 플랜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23)는 도어(100)의 상하면 및 좌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3)에는 도어(100)의 핸들(13)이 형성될 수 있다.
대략 플레이트부(122)의 중앙에는 개구 형상의 절개창(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창(122b)은 투시창(22)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창(122b)은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투시부재에 의해 매워질 수도 있고, 투시창(22)이 생략되는 경우 플레이트부(122)가 평판의 형상을 갖도록 절개창(122b)은 생략될 수 있다.
도어 바디(120)는 도어 패널(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122)에 형성되고, 플레이트부(122)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멍(125) 및 체결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120)는 플레이트부(122)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개방되며, 인쇄회로기판(10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21)을 형성하는 리세스(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플레이트부(122) 및 플랜지부(123)에 의해 둘러 쌓여 형성되는 도어 바디(1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조리실(11)로 공급되는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쵸크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 방향(X)에서 바라본 쵸크 프레임(13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쵸크 프레임(130)의 상하좌우 모서리에는 조리실(1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고주파가 외부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쵸크(Choke) 구조(131)가 형성될 수 있다.
쵸크 프레임(130)의 대략 중앙에는 투시창(22)을 구성하는 투시부(130a)가 마련될 수 있다. 투시부(130a)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100)의 힌지(23)는 쵸크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조리기기(1)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제2 가열원(40)이 생략되는 경우, 쵸크 프레임(130)은 생략될 수 있다.
도어(100)는 도어 바디(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도어 바디(120)에 결합되는 에지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지 프레임(140)은 도어 바디(120)의 플랜지부(123)에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23)의 내면에는 복수의 후크(123a,도 11 참고)가 돌출될 수 있고, 에지 프레임(140)의 모서리에는 플랜지부(123)의 후크(123a)와 대응되는 후크홈(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홈(141)에 후크(123a)가 후크결합 됨에 따라 에지 프레임(140)은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대략 에지 프레임(140)의 중앙에는 투시창(22)을 구성하는 개구 형상의 절개창(140a)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창(140a)의 내측에는 투시부(130a)를 포함한 쵸크 프레임(1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지 프레임(140)은 절개창(140a)이 생략된 판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절개창(140a)이 유리,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인 투시부재에 의하여 매워질 수도 있다.
도어(100)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10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21)을 커버하며, 입력부(101)가 마련되는 도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도어 바디(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도어 바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도어(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1)과, 프론트 패널(111)을 도어 바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패널 브라켓(1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1)은 도어(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1)의 전면 상에 다이얼 입력부(101a)와 터치 입력부(101b)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1)의 후면에는 입력부(101)의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03)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커넥터(104)가 고정될 수 있다. 입력부(101)는 커넥터(10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101)는 커넥터(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1)의 대략 중심에는 투시창(22)을 구성하고, 유리,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투시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투시부(111a)는 투시부(111a)가 아닌 프론트 패널(111)의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시부(111a)는 생략될 수 있다.
패널 브라켓(112)은 바깥쪽 경계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얇은 판 형상인 브라켓 바디(113)와, 브라켓 바디(113)로부터 돌출되고 도어 바디(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브라켓 바디(113)에 연결되는 조각이 형성되도록 브라켓 바디(113)를 절개한 후, 브라켓 바디(113)로부터 절개된 상기 조각을 후방을 향하도록 구부림으로써 결합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14)는 도어 바디(120)에 후크결합된다고 볼 수 있다.
패널 브라켓(112)은 프론트 패널(11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바디(113)는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하여 프론트 패널(111)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라켓 바디(113)를 프론트 패널(111)의 후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크류 체결, 용접 등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패널 브라켓(112)은 브라켓 바디(113)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 형상의 절개창(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창(113a)은 투시창(22)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창(113a)은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투시부재에 의해 매워질 수도 있다.
결합돌기(114)는 브라켓 바디(113)의 후면으로부터 도어 바디(12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결합돌기(114)가 브라켓 바디(113)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고, 제1 방향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상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14)는 브라켓 바디(113)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114)는 브라켓 바디(113)의 후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4a)와, 돌출부(114a)의 일단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14)는 후크부(114b)와 브라켓 바디(113) 사이 또는 후크부(114b)와 프론트 패널(11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14c)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격 공간(114c)은 결합돌기(114)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패널 브라켓(112)의 후크부(114b)가 연장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은 전방에서 도어(100)를 바라볼 때 우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제2 방향은 전방에서 도어(100)를 바라볼 때 좌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방향은 전방에서 도어(100)를 바라볼 때 상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되거나 전방에서 도어(100)를 바라볼 때 하방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후크부(114b)가 연장되는 방향은 Y축과 나란하거나 Z축과 나란할 수 있다.
결합돌기(114)는 도어 바디(120)의 결합구멍(125)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114)가 결합구멍(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110)이 도어 바디(12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도어 패널(110)은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결합돌기(114)가 결합구멍(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110)이 도어 바디(120)에 대해 후크부(114b)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도어 패널(110)은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 브라켓(112)이 도어 바디(12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패널 브라켓(112)은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 브라켓(112)이 슬라이딩 될 때, 패널 브라켓(112)에 고정되는 프론트 패널(111)은 패널 브라켓(112)과 함께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14)가 결합구멍(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플레이트부(122)의 일부분이 결합돌기(114)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 공간(114c)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이격 공간(114c)에 삽입되는 플레이트부(122)의 일부분을 결합턱(125a)이라고 할 수 있다. 결합턱(125a)은 결합구멍(125)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격 공간(114c)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턱(125a)은 플레이트부(122)의 다른 부분에 비해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턱(125a)은 플레이트부(122)의 다른 부분과 동일하거나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결합턱(125a)은 이격 공간(114c)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턱(125a)이 돌출부(114a)와 후크부(144b)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 공간(114c)에 삽입됨에 따라, 도어 패널(110)은 도어 패널(110)을 전방으로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어 바디(1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도어 바디(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114)는 프론트 패널(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도어 패널(110)이 도어 바디(120)에 결합 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어의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패널 브라켓(112)은 브라켓 바디(113)의 하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체결 플랜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플랜지(115)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127)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홀(115a)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플랜지(115)는 복수의 체결 플랜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120)의 체결홈(126)은 체결 플랜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 브라켓(112)이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때 체결 플랜지(115)는 체결홈(126)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 플랜지(115)가 체결홈(126)에 삽입된 채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체결홈(126)은 체결 플랜지(115)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체결홈(126)의 폭과 체결 플랜지(115)의 폭이라 함은 패널 브라켓(112)과 도어 바디(120)가 나란하게 정렬될 때 체결홈(126)과 체결 플랜지(115) 각각의 Y축 방향 길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114)가 결합구멍(125)에 삽입될 때 체결 플랜지(115) 역시 체결홈(126)에 삽입될 수 있고, 결합돌기(114)가 결합구멍(125)에 삽입된 채로 Y축과 나란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체결 플랜지(115) 역시 체결홈(126)에 삽입된 채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바디(120)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127)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홀(124)을 포함할 수 있고, 결합돌기(114)가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결합턱(125a)에 고정될 때 체결 플랜지(115)의 체결홀(115a)은 도어 바디(120)의 관통홀(1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24)은 도어(100)의 하면에 해당되는 도어 바디(120)의 저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3)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24)은 플랜지부(123)를 관통할 수 있다.
패널 브라켓(112)이 슬라이딩 됨에 따라 체결홀(115a)과 관통홀(124)은 서로 마주보게 될 수 있고, 체결부재(127)는 체결홀(115a)과 관통홀(124)을 관통하면서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고, 체결홀(115a)과 관통홀(124)을 관통한 체결부재(127)는 패널 브라켓(112)을 도어 바디(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체결부재(127)가 도어 바디(120)의 저면과 체결 플랜지(115)를 관통함에 따라 패널 브라켓(112)은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27)는 스크류, 핀 등을 포함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124) 및 체결부재(127)는 상대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도어(100)의 저면에 형성되게 되므로 도어(100)의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체결 플랜지(115), 체결홈(126), 관통홀(124)이 도어(1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체결 플랜지(115), 체결홈(126), 관통홀(124)은 도어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랜지(115)는 브라켓 바디(113)의 상단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고, 관통홀(124)은 도어(100)의 상면에 해당되는 도어 바디(120)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3)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후크부(114b)가 연장되는 방향이고 도어 패널(110)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은 Z축과 나란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랜지(115)는 브라켓 바디(113)의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절곡될 수 있고, 관통홀(124)은 도어(100)의 측면에 해당되는 도어 바디(120)의 측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플랜지(115)는 대응되는 체결홈(1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어(100)는 인쇄회로기판(103)이 내부에 배치되고, 리세스(122a)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기판 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3)은 기판 케이스(15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수용공간(121)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는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3)은 개구를 통과하여 기판 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03)이 내부에 배치된 기판 케이스(150)는 수용공간(121)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는 조리실(11)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인쇄회로기판(103)을 보호하는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의 후면에는 기판 케이스(150)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03)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 등이 기판 케이스(15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인출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는 패널 브라켓(112)의 후방에 배치되고, 패널 브라켓(11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 케이스(150)는 양측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턱(151)을 포함할 수 있고, 패널 브라켓(112)은 복수의 삽입턱(151)에 대응되도록 브라켓 바디(113)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삽입턱(151)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 레일(11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일(116)은 삽입턱(1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153)가 삽입턱(151) 및 고정 레일(116)을 관통하며 패널 브라켓(112)에 체결됨에 따라 기판 케이스(150)는 패널 브라켓(112)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53)는 스크류, 핀 등을 포함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패널 브라켓(112)은 브라켓 바디(113)에 형성되고 개구 형상을 가지는 절개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1)에 부착된 커넥터(140)는 절개부(113b)를 통과하여 기판 케이스(150)의 내부에 수용된 인쇄회로기판(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는 절개부(113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 케이스(150)는 절개부(113b)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판 케이스(150)의 개구 내부에 위치되도록 브라켓 바디(11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부(113b)는 기판 케이스(15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턱(151)에 대응되는 한 쌍의 고정 레일(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부(113b)는 복수의 절개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는 리세스(12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케이스(150)가 결합된 도어 패널(110)이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때 기판 케이스(150)는 리세스(122a)에 삽입될 수 있다. 리세스(122a)의 좌우 방향(Y) 길이는 기판 케이스(150)의 좌우 방향(Y)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기판 케이스(150)는 리세스(122a)에 삽입된 채로 도어 패널(110)과 함께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 케이스(150)가 패널 브라켓(112)에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별다른 작업을 부가하지 않고도 도어 패널(110)을 도어 바디(120)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103)을 수용공간(121)에서 꺼낼 수 있게 되므로, 제작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기판 케이스(150)는 수용공간(121)에 삽입된 채로 스크류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스크류, 핀 등을 포함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는 기판 케이스(150)를 관통하며 도어 바디(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레일(116)은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판 케이스(150)와 고정 레일(116)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21)은 직접 수용공간(121)에 수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결합구멍에 삽입된 후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도어 패널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어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에 있어서 체결부재가 관통홀 및 체결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는 인쇄회로기판(103)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도시된 기판 케이스(150)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03)이 배치됨은 당연하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도어 패널(110)을 도어 바디(120)에 조립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어 패널(110)은 인쇄회로기판(103)이 수용된 기판 케이스(150)가 패널 브라켓(112)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판 케이스(150)는 패널 브라켓(112)에 결합되지 않고 리세스(122a)에 수용된 상태로 마련되거나, 기판 케이스(150) 없이 인쇄회로기판(103)이 리세스(122a) 내에 배치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50)가 패널 브라켓(112)에 결합된 경우, 기판 케이스(150)가 패널 브라켓(112)에 결합되지 않고 리세스(122a)에 수용된 상태로 마련되는 경우, 기판 케이스(150) 없이 인쇄회로기판(103)이 리세스(122a) 내에 배치된 경우 모두는 도어 패널(110)의 조립 및 분리를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과정을 공통적으로 거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결합돌기(114)와 체결 플랜지(115)가 도어 바디(120)를 향하도록 도어 바디(120)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14)는 도어 바디(120)의 결합구멍(125)을 마주하도록 정렬되고, 체결 플랜지(115)는 체결홈(126)을 마주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패널(110)을 도어 바디(120)를 향해 이동시키면 결합돌기(114)는 결합구멍(125)에 삽입되고, 체결 플랜지(115)는 체결홈(12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도어 패널(110)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어 패널(110)의 일부는 결합구멍(125) 및 체결홈(126)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114)가 결합구멍(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110)을 도어 바디(12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14)가 결합턱(125a)에 고정될 수 있고, 체결 플랜지(115)의 체결홀(115a)은 도어 바디(120)의 관통홀(124)과 마주하게 될 수 있다.
체결부재(127)는 관통홀(124)과 체결홀(115a)을 관통하여 도어 바디(120)에 체결될 수 있고, 도어 패널(110)과 도어 바디(120)의 결합은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함에 따라, 도어 패널(110)은 도어 바디(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이 도어 바디(120)에 결합됨에 따라 수용공간(121)은 프론트 패널(111)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고, 도어 패널(110)이 도어 바디(120)에서 분리됨에 따라 수용공간(121)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려운 도어 분해 작업을 하지 않고도 도어 패널만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용공간(121)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03)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03)이 수용된 기판 케이스(150)가 도어 패널(110)에 결합된 경우 도어 패널(110)의 분리와 동시에 기판 케이스(150)를 수용공간(121)으로부터 꺼낼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103)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도어(100)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도어 패널(110)만을 교체함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100)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패널 브라켓과 도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패널 브라켓과 도어 바디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도어에서 지시선 A-A'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200)는 결합돌기(214) 및 결합구멍(225)을 포함한 일부 구성에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100)와 차이가 있을 뿐 이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도어(1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패널 브라켓(212)의 브라켓 바디(213)의 후방으로 결합돌기(214)가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214)는 구부러진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214)는 브라켓 바디(213)에 대해 기울어진 한 쌍의 경사패널부(214b)로서 한 쌍의 경사패널부(214b) 각각의 일단은 브라켓 바디(213)와 연결되는 한 쌍의 경사패널부(214b)와, 한 쌍의 경사패널부(214b) 각각의 타단과 연결되고 브라켓 바디(213)로부터 이격되는 평면패널부(214c)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패널부(214c)는 브라켓 바디(213)와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214)는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결공간(214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경사패널부(214b)와 평면패널부(214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도어 바디(220)는 체결공간(214a)에 대응되고 체결공간(214a)에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돌기(22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구멍(225)과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229)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 홈(229) 각각은 결합구멍(225)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홈(229)에 의해 절개되어 한 쌍의 가이드 홈(229)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222) 일부분이 가이드돌기(228)에 해당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228)는 가이드 홈(229)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패널(210)을 도어 바디(220)를 향해 이동시키면 결합돌기(214)는 결합구멍(225)에 삽입되고, 체결 플랜지(215)는 체결홈(22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패널 브라켓(212)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결합돌기(214)는 결합구멍(225)에 삽입되고, 체결 플랜지(215)는 체결홈(226)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214)가 결합구멍(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 브라켓(212)이 도어 바디(22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어 바디(220)의 가이드돌기(228)는 체결공간(214a)에 삽입될 수 있고, 결합돌기(214)는 가이드 홈(229)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 브라켓(212)이 도어 바디(220)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한 쌍의 경사패널부(214b) 각각은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대응되는 가이드 홈(229)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도어 바디의 저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223)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체결 플랜지(215)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도어 바디(220)에 체결될 수 있고, 도어 패널(210)과 도어 바디(220)의 결합은 완료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함에 따라, 도어 패널(210)은 도어 바디(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어 패널(210)이 도어 바디(220)에 결합됨에 따라 수용공간(221)은 프론트 패널(미도시)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고, 도어 패널(210)이 도어 바디(220)에서 분리됨에 따라 수용공간(221)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려운 도어 분해 작업을 하지 않고도 도어 패널만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된 기판 케이스가 도어 패널에 결합된 경우 도어 패널의 분리와 동시에 기판 케이스를 수용공간으로부터 꺼낼 수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도어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도어 패널만을 교체함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조리기기
2; 본체
11; 조리실
30; 선반
50; 제1 가열원
40; 제2 가열원
60; 가열원
100, 200; 도어
103; 인쇄회로기판
110; 도어 패널
111; 프론트 패널
112, 212; 패널 브라켓
114, 214; 결합돌기
120, 220; 도어 바디
121, 221; 수용공간
125, 225; 결합구멍
228; 가이드돌기
229; 가이드홈
130; 쵸크 프레임
140; 에지 프레임
140a; 절개창
150; 기판 케이스

Claims (20)

  1.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 바디;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을 상기 도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패널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이 상기 도어 바디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수용공간은 외부에 노출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바디; 및
    상기 브라켓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구멍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브라켓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결합구멍의 일부를 형성하는 결합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구부러진 패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방향으로 개방되는 체결공간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체결공간에 대응되고,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홈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체결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하단에서 절곡되는 체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체결 플랜지에 대응되고, 상기 체결 플랜지가 삽입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체결부재가 상기 도어 바디의 저면과 상기 체결 플랜지를 관통함에 따라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기판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케이스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패널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패널 브라켓이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리세스에 수용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기판 케이스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 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케이스에 체결되는 조리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리세스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 바디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절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바디;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도어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을 상기 도어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도어 바디에 후크결합되는 패널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도어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로서, 상기 도어 바디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도어 바디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패널 브라켓과 함께 슬라이딩 되는 조리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을 향해 개방되며,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전방에서 상기 기판 케이스를 커버하는 조리기기.
KR1020200083651A 2020-07-07 2020-07-07 조리기기 KR20220005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51A KR20220005905A (ko) 2020-07-07 2020-07-07 조리기기
CN202180049731.3A CN115918258A (zh) 2020-07-07 2021-06-25 烹饪器具
EP21838309.9A EP4152891A4 (en) 2020-07-07 2021-06-25 COOKING APPLIANCE
PCT/KR2021/008033 WO2022010146A1 (ko) 2020-07-07 2021-06-25 조리기기
US18/066,177 US20230119872A1 (en) 2020-07-07 2022-12-14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51A KR20220005905A (ko) 2020-07-07 2020-07-07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05A true KR20220005905A (ko) 2022-01-14

Family

ID=7934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51A KR20220005905A (ko) 2020-07-07 2020-07-0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19872A1 (ko)
EP (1) EP4152891A4 (ko)
KR (1) KR20220005905A (ko)
CN (1) CN115918258A (ko)
WO (1) WO2022010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1505S1 (en) * 2021-04-29 2024-04-09 Breville Pty Limited Ov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820B1 (ko) * 1999-09-29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렌지
EP1120606B1 (en) * 2000-01-24 2006-03-29 Sharp Kabushiki Kaisha Cooking apparatus
KR100385188B1 (ko) * 2000-02-14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JP2007327675A (ja) * 2006-06-07 2007-12-20 Hitachi Appliances Inc 電子レンジ
US8941041B2 (en) * 2006-09-01 2015-01-27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system
KR101677334B1 (ko) *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KR102342090B1 (ko) * 2017-04-28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146A1 (ko) 2022-01-13
US20230119872A1 (en) 2023-04-20
EP4152891A1 (en) 2023-03-22
EP4152891A4 (en) 2023-11-15
CN115918258A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4100B1 (en) Door for microwave oven
US10551070B2 (en) Home appliance
KR20220005905A (ko) 조리기기
US6940057B2 (en) Microwave oven
EP2816290A1 (en) Heating cooker
EP2527746B1 (en) Control panel for a microwave oven
KR100717454B1 (ko) 오븐 및 오븐의 제어 장치
US20220322501A1 (en) Cooking apparatus
RU2258328C1 (ru) Дверь для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US20210199305A1 (en) Heating cooking device
US6759638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ng door and cooking cavity
KR100959979B1 (ko) 컨트롤패널
US20240060651A1 (en) Cooking appliance
EP4284119A1 (en) Cooking device
EP1377132A2 (en) Microwave oven, more particularly a microwave having a customizable control panel
KR20220136024A (ko) 조리기기
KR20050008084A (ko) 전자레인지 컨트롤판넬 어셈블리의 접지구조
EP1389893B1 (en) Microwave oven and more particularly a door for a microwave oven
KR200386429Y1 (ko) 전자레인지
KR20240014993A (ko) 조리 기기
KR20210121713A (ko) 드로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050005023A (ko) 전자레인지의 케비티어셈블리
KR100813720B1 (ko) 오븐의 제어 장치
KR200189548Y1 (ko) 전자렌지
CN114207359A (zh) 加热烹调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