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865A -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865A
KR20220005865A KR1020200083554A KR20200083554A KR20220005865A KR 20220005865 A KR20220005865 A KR 20220005865A KR 1020200083554 A KR1020200083554 A KR 1020200083554A KR 20200083554 A KR20200083554 A KR 20200083554A KR 20220005865 A KR20220005865 A KR 20220005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music
information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401B1 (en
Inventor
길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큐브에듀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01B1/en
Publication of KR2022000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11Wireless transmission, e.g. of music parameters or control data by radio, infrared or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technique capable of enabling children or the like to create simple music with a simple arrangement of blocks, and share the same with other users so that both coding and music composition lear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sic data generation tool and playback device comprises: a block unit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first memory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to return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and a playback tool including a plurality of insert units which can insert and accommodate the block unit, information reading units which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contact areas of the insertion units with the block unit to transmit the external signal for each contact area and receive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xternal signal,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plurality of first data including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nsertion units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s, a music generating unit which generates second data, which is music data, by using the plurality of first data when receiving the plurality of first data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and a playback unit which plays and outputs the second data, generated by the music generating unit, through a preset music playback program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Therefore, various and rich music data can be created very intuitively.

Description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Music data generation tool and playback device

본 발명은 도구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고 재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판 형의 도구에 큐브 형태 등의 블록을 배치 시, 배치된 블록의 종류 및 배치 형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음계 및 음길이 등을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 어린이 등이 블록의 간단한 배치로 간단한 음악을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타 유저들과 공유하여 코딩 및 음악 작곡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music data using a tool. Specifically, when a block such as a cube is placed on a plate-type tool, the musical scale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rrangement shape of the placed block. A technology for generating music data including sound length, etc., so that children, etc. can produce simple music with a simple arrangement of blocks, and share it with other users to learn coding and music composition at the same time is about

배치형 완구 및 도구 등은, 접근성이 좋고, 비교적 낮은 난이도의 학습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유아 등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구이다. 배치형 완구는 일정한 영역에 큐브나 판 형태의 유닛들을 배치하고, 배치된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규칙에 따라서 놀이나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Placement-type toys and tools, etc., are tools that children and infants can easily access because they have good accessibility and require relatively low level of learning ability. Placement-type toys arrange cube or plate-shaped units in a certain area, and play or learn according to various rul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form.

이러한 배치형 완구는 유아나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고, 배치된 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의미 등의 결과가 도출되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 등에게 매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자 배치, 알파벳 블록, 블록 조립형 학습 장치 등이 일반적으로 배치형 완구로서 시판되고 있다.These arrangement-type toy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magination of infants or children, and results such as meaning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form, so that they are us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for infants and children. For example, letter arrangement, alphabet blocks, block assembly type learning apparatus, etc. are generally marketed as arrangement type toys.

최근에는 Io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베이스 판에 다양한 전자 기능을 탑재하고, 유닛을 배치 시 이에 대한 결과 등을 데이터로 생성하여, 유저 단말이나 도구 자체에서 결과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형 완구 및 도구는 배치되는 유닛에 따라서 일정한 결과만을 도출할 수 있고, 문자나 도형 학습에만 치우쳐 있는 문제가 있다. In recent year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there is a technology that can reproduce or use the result data in the user terminal or the tool itself by mounting various electronic functions on the base plate and generating the results as data when the unit is placed.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However, these arrangement-type toys and tools can only derive certain results according to the units to be arrang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biased only in character or figure learning.

한편, 음악 학습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악기를 구입하거나, 스마트폰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피아노 건반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이를 온라인 컨텐츠에 접목하여 유저가 학습하게 하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악 학습은 악기의 연주 방법에 제한되어 있고, 악기의 연주 방법에 대한 학습 난이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music learning, in general, a technique for purchasing a musical instrument or virtually realizing a piano keyboard in an appl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and grafting it to online content so that a user learns is generally used. Such music learning is limited to a method of playing an instrum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rning difficulty of the method of playing an instrument is high.

이러한 배치형 완구와 음악 학습을 결합한 기술은, 유저의 상상력 자극, 코딩 학습을 통한 이성적 학습 및 음악 학습을 통한 감성적 학습이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최근 이러한 배치형 완구와 음악 학습의 결합을 위한 기술 개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002226호에서는, 조립 가능한 블록을 조립 시, 블록의 결합 높이에 따라서 음계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블록 자체에 음계 등을 부여하여, 블록의 조립에 따라서 멜로디를 구현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combines these placement-type toys and music learning can enable all of the user's imagination stimulation, rational learning through coding learning,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music learning. A movement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aking place. Representatively, in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02226, when assembling an assembling block, the length of the scal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mbined height of the block, a scale is given to the block itself, and a melody is realized according to the assembly of the block. A technique that can be regenerated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블록 자체에 음계가 설정되어 있고 복잡하게 블록을 적층 조립해야만 음높이 및 음길이를 구현할 수 있어 유아 등이 직관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악기에 대응되는 음색을 구현할 수 없어, 풍부한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since the scale is set in the block itself and the pitch and length can be realized only by stacking and assembling the blocks in a complex man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for infants and the like to intuitively learn. 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tones corresponding to various musical instruments, it is very difficult to generate rich music data.

이에 본 발명은, 단순한 유닛 배치만으로 음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 등이 매우 직관적으로 쉽게 음악을 작곡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에 따른 음악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체험하게 하여, 코딩 학습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music data to be generated only by simple unit arrangement, so that infants and the like can learn to compose music very intuitively and easily, and to experience the music data gene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arrangement, cod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can experience learning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유닛의 배치만으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음길이 역시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한편, 자신이 생성한 음악을 장치뿐 아니라 스마트폰 등에서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유저의 음악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치 학습을 경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timbre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to be realized only by arrangement of the units, the sound length can be intuitively controlled, and the music created by the user can be reproduced not only on the device but also on the smartphone, and other user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can experience batch learning using music data from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블록 식별 정보를 리턴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 및 상기 블록 유닛을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블록 유닛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접촉 영역마다 상기 외부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외부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블록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독출부, 상기 정보 독출부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상기 정보 독출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부, 상기 정보 송출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악 생성부, 및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재생 도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housing and a first memory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returning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an external signal. a block unit comprising;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units capable of inserting and accommodating the block unit, installed in each contact area of the insertion unit with the block unit to transmit the external signal for each contact area, and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xternal signal An information reading unit for receiving,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ting first data including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ser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data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When receiving 1 data, a music generating unit generating second data that is music data using the first data, and playing the second data generated by the music generating unit through a preset music reproduc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a playback tool including a playback unit for output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블록 식별 정보는, 적어도 악기 종류를 식별하여 블록 유닛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음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at least a type of musical instrument so that different tones are implemented for each type of block unit.

상기 삽입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축 및 제2축이 형성하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는 각 격자의 제1축 및 제2축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생성부는, 상기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계가 높아지고, 상기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후순위의 음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ertion unit is arranged in a lattice form formed by first and second ax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axis coordinates of each grid, and the music generating unit includes: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second data such that a musical scale increases whenever the unit coordinates of the first axis rise, and a lower order of sounds is determined whenever the unit coordinates of the second axis rise.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시작 시, 재생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로부터 상기 재생 시작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yback tool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the playback tools to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connects the playback parts between the connected playback tools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and the playback part includes the second When data reproduction starts, a reproduction star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reproduction star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production unit of the reproduction tool connected in the first axis direction to the reproduction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When receiving , it is preferable to reproduce and output the second data.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완료 시, 재생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2축 방향으로 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에서 상기 재생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yback tool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that connects the playback tools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and connects the playback parts between the connected playback tools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and the playback part includes: When data reproduction is completed, a reproduction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reproduction unit of the reproduction tool connected with a lower priority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production unit of the reproduction tool connected with the previous priority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When the reproduc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it is preferable to reproduce and output the second data.

상기 블록 유닛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연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사이즈가 적어도 둘 이상의 삽입부를 서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연결 정보를 리턴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housing in which an upp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unit, a connection coupl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the length size of which is set to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insertion portions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 a connection block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including a second memory that returns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상기 정보 독출부는, 상기 연결 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 블록으로부터 외부 신호 송출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정보 송출부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송출부는,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음악 생성부에 송출하고, 상기 음악 생성부는, 제2 데이터를 생성 시, 제1 데이터들 중 동일한 연결 정보를 갖는 제1 데이터를 하나의 음으로 결합함으로써, 음 길이를 단위 좌표에 기설정된 단위 길이의 복수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nnection block is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ignal transmission is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block,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ncluded in the first data and transmitted to the music generating unit, the music generating unit, when generating the second data, by combining the first data having the same connection information among the first data into one sound, the sound length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a plurality of times the unit length preset in the unit coordinates.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yback tool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를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상기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하기 위한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도출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효과 출력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 시 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의 효과 출력부를 구동하는 효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second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playback tool analyzes th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the first data and analyzes the first data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for der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for generating second data by the music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ffect control unit for driving an effect output unit of the inser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from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악기의 종류를 식별 정보로 갖는 블록 유닛을 재생 도구의 삽입부에 삽입 배치 시, 삽입부의 행과 열에 따라서 음의 순서 및 음 높이, 그리고 음색이 결정되고, 이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즉, 블록 유닛을 복잡하게 조작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배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아 등이 매우 직관적으로 쉽게 음악을 작곡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에 따른 음악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체험하게 하여, 코딩 학습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lock unit having the type of musical instrumen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insertion unit of the playback tool, the order, pitch, and tone of the ton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ws and columns of the insertion unit, and through this, the music data will create In other words, because the block unit needs to be plac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complicated manipulation, infants and the like can learn to compose music very intuitively and easily, and experience the music data gene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perience coding learning at the same time.

또한, 유닛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고, 재생 도구의 결합 등을 통해 음악 데이터의 길이 확장 및 악기의 협연이 가능하여, 매우 다양한 음악 데이터를 쉽게 생성할 수 있고, 연결 블록을 이용하여 음길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매우 직관적으로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tone of various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unit, an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ength of music data and perform musical instrument collaboration through combination of playback tools, etc.,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 wide variety of music data, It can be used to implement various sound lengths, so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reate various and rich music data very intuitively.

한편, 스마트폰을 통해 생성한 음악을 구현하고, 타 유저의 음악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 유닛의 배치를 가이드받을 수 있어, 배치형 완구를 통한 음악 컨텐츠의 이용성이 크게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music generated through a smartphone can be implemented and the arrangement of block units can be guided by using music data of other users,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expanding the usability of music content through arrangement-type toy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블록 유닛의 설치 예 및 재생 도구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재생 도구의 연결에 따라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재생 도구의 연결을 위한 재생 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블록의 구성 및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연결 블록을 통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유저 단말과의 연동 및 이를 위한 재생 도구의 추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a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block unit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produc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in which music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low in which music data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a playback tool;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layback tool for connection of the playback tool;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example of a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of generating music data through a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a playback tool for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various methods may be employed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bove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lthough some components are omitted, or excessively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explain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rawings are the technical features and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is not limite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lurality of drawings will be simultaneously referenced and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one technical feature or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블록 유닛의 설치 예 및 재생 도구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재생 도구의 연결에 따라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재생 도구의 연결을 위한 재생 도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블록의 구성 및 설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연결 블록을 통한 음악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유저 단말과의 연동 및 이를 위한 재생 도구의 추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a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lock unit installation example and a reproduc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low of generating music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playback tool for connecting the playback tool,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of a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for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a flow in which music data is generated through a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또는 일부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는, 블록 유닛(10)와 재생 도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유닛(10)는 제1 하우징(11) 및 제1 메모리(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재생 도구(20)는 도 1의 (b) 및 도 2 및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구성으로서 삽입부(21), 정보 독출부(22), 정보 송출부(23), 음악 생성부(24), 재생부(25), 스피커(26), 통신부(291), 정보 분석부(292), 효과 제어부(293) 및 효과 출력부(294) 중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the above drawings together or in part with reference to them,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a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mposed of a block unit 10 and a reproducing tool 20 . The block unit 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rst housing 11 and a first memory 12, and the reproduction tool 20 is detailed as shown in Figs. 1 (b) and 2 and 9, etc. The configuration includes an inserting unit 21 , an information reading unit 22 ,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3 , a music generating unit 24 , a reproducing unit 25 , a speaker 26 , a communication unit 291 , and an information analyzing unit 292 . ), the effect control unit 293 and the effect output unit 294,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configuration.

이때, 각 구성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그 기능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컴퓨팅 장치는 재생 도구(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component is composed of one or more hardware, and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computing devices according to its function. The corresponding computing device is a component included in the playback tool 20 and is as shown in FIG. 11 . 11,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 a power circuit 11500 ,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an SRAM, a DRAM, a ROM, a flash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input/output subsystem 11400 .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11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11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11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1,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ar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음악 데이터는, 디지털 피아노 등에 적용되는 사운드 제너레이터나 프로그램에 의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음계, 음표 및 음색 등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이해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usic data is a data stream configured to reproduce music by a sound generator or program applied to a digital piano, etc., and will be understood as data including contents such as scales, notes, and tones.

블록 유닛(10)은 도 1의 (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에 삽입 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은 금속제, 플라스틱제,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악기 표시(13)가 마킹될 수 있다. 이때 악기 표시(13)는 해당 블록 유닛을 삽입 시 어떤 악기의 음색이 재생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타, 피아노, 바이올린 등을 식별할 수 있는 모양이 마킹되거나, 문자가 마킹될 수 있다. The block unit 10 includes a first housing 11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insertion part 21 as shown in FIG. 1 (a) and the like. The first housing 1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wood, and the like, and a musical instrument mark 13 may be marked on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instrument mark 13 is for identifying whether a tone of an instrument is reproduced when the corresponding block unit is inserted. For example, a shape that can identify a guitar, a piano, a violin, etc. is marked, or a character is marked. can

제1 메모리(12)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블록 식별 정보를 외부 신호에 반응하여 리턴(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제1 메모리(12)는 외부 신호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양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신호가 전자기장 인식 신호인 경우, 제1 메모리(12)는 특정 전자기장을 갖는 자성체 등으로 구성되며, 블록 식별 정보는 해당 자성체의 전자기장의 크기로 대체되고, 이 경우 정보 독출부는 리턴되는 전자기장의 크기를 통해서 블록 식별 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The first memory 12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returning (transmitting)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external signal in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mory 1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exampl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xternal signal.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signal is an electromagnetic field recognition signal, the first memory 12 is composed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electromagnetic field, etc., and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placed with the siz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material, an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reader returns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ad through the siz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제1 메모리(12)는 NFC 등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나 제1 하우징(11)의 외면 중 삽입부(21)에 삽입되는 외면의 일부에 프린팅된 2차원 코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독출부(12)에서 송출되는 외부 신호는 NFC 통신 모듈에 의한 정보 요청 신호나, 2차원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2차원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등 특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 리더기의 인식 시 해당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코드를 의미한다. The first memory 12 is also composed of a memory capable of recognizing information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NFC or a two-dimensional code print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21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1 . can be In this case, the extern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reader 12 may be understood as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by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or a reader signal for recognizing a two-dimensional code. A two-dimensional code refers to any code that stores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barcodes and QR codes and can recognize the corresponding signal when an external reader recognizes it.

즉 제1 메모리(12)는 외부 신호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식 또는 외부의 리더기 신호에 따라서 반사되는 신호를 서로 다르게 하도록 하는 방식 등 그 어떤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록 유닛(10)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고, 상술한 악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이면 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 블록 식별 정보는 적어도 악기 종류 등 음색을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식별하여 블록 유닛(10)의 종류, 즉 음악 데이터 생성 시 서로 다른 음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rst memory 12 may use any method, such as a method of actively generating and providing a signal by an external signal, or a method of differentiating reflected signals according to an external reader signal. This is beca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block unit 10 does not require much data, and only data capable of identifying the above-described musical instrument is sufficie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ferably information that identifies at least a tone such as a type of instrument to be able to distinguish the type of the block unit 10 , that is, different tones when generating music data.

블록 유닛(10)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서는 큐브(Cube) 형태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을 것이고, 블록 유닛(10)의 형태에 따라서 블록 유닛을 특정 영역, 즉 삽입부(21)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 시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할 것이고, 삽입부(21)의 형태 역시 이에 대응되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block unit 10 is illustrated as having an outer shape of a cube shape in the drawings, but the shape will not be limited. If the configuration is such that it is fixed when dispos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art 21, any shape may be possible, and the shape of the insertion part 21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corresponding to this.

삽입부(21)는 특정 영역마다 형성되어 블록 유닛(10)을 삽입 수용하여 고정고, 블록 유닛(1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일종의 슬롯(Slot)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삽입부(21)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축 및 제2축이 형성하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및 제2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삽입부(21)를 식별 시 해당 직교 좌표계가 형성하는 좌표로서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21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slot which is formed for each specific area to insert and receive the block unit 10 and fix it, an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block unit 10 .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ertion part 21 may be implemented to b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formed by first and second ax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are configur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when the insertion unit 21 is identifi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identifiable as coordinates formed by the corresponding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정보 독출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는 구성이다. 정보 독출부(22)는 제1 메모리(12)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해야 하기 때문에, 삽입부(21)가 형성된 영역들 중, 블록 유닛(10)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is configured to read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memory 12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needs to rea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memory 12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is installed in each contact area with the block unit 10 among the regions in which the insertion unit 21 is formed.

정보 독출부(22)는 접촉 영역마다 외부 신호를 송출하는데, 이때 인접한 접촉 영역과의 외부 신호 송수신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의 최하면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외부 신호는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 직진성을 갖는 것이 상기의 오류 발생의 최소화를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transmits an external signal for each contact area.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of external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with an adjacent contact area, as shown in FIG. may, but will not be limited to.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signal is broadcast,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straightness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the above error.

정보 독출부(22)는 상술한 제1 메모리(12)의 종류에 따라서 전자기장 신호, 리더기 신호 등 다양한 외부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제1 메모리(12)의 반응에 따른 반사 신호 또는 리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의 (a)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신호(S1)가 송출되면 제1 메모리(12)에 의하여 반응 또는 리턴되는 신호(S2)가 발생되고 정보 독출부(22)는 해당 신호(S2)를 수신한다. 이때 S2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것이다.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generates and transmits various external signals such as an electromagnetic field signal and a reader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memory 12 described above, and receives a reflected signal or a return signal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the first memory 12 . It performs the receiving function. That is, as shown in FIGS. 1A and 2 , when an external signal S1 is transmitted, a signal S2 that is reacted or returned by the first memory 12 is generated and the information reader 22 is A corresponding signal S2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S2 signal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한편 정보 송출부(23)는 정보 독출부(22)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정보 독출부(22)에 대응되는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음악 생성부(24)에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정보 독출부(22)에 대응되는 삽입부(21)는 정보 독출부(22)가 설치된 영역의 삽입부(21)를 의미하는 것으로,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는 상술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3 transmits first data including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ng unit 21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to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 ) to transmit the function. In this case, the insertion unit 21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means the insertion unit 21 of the region where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is install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21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ordinate information. It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이때 좌표 정보는 정보 독출부(22) 및 삽입부(21)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정보 송출부(23)에 저장되어 있고, 해당 식별 정보마다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독출부(22)의 시리얼 넘버가 저장되고, 제품 제조 시 해당 시리얼 넘버별로 좌표 정보가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좌표 정보는, 도 1의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삽입부(21)마다 단위 좌표가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1의 (b)에서는 가장 왼쪽 아래의 좌표를 원점(0, 0)으로 하고 y축, 즉 제1축마다 상승되는 경우 (0, 1), (0, 2) 등으로 좌표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x축, 즉 제2축마다 상승되는 경우 (1, 0), (2, 0) 등으로 좌표가 설정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as for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and the insertion unit 21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3 , and may be matched and stored for each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rial number of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is stored, and coordinate information is preset for each serial number when manufacturing a product. In additi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unit coordinates are increased for each insertion unit 21 as shown in FIG. 1(b) and the like. That is, for example, in (b) of FIG. 1, when the lower left coordinate is the origin (0, 0) and the y-axis, that is, when it rises for every first axis, (0, 1), (0, 2), etc. Coordinates may be set. On the other hand, the coordinates are set to (1, 0), (2, 0), etc. when the x-axis increases every second axis.

즉 제1 데이터에는, 블록 식별 정보 및 좌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때 음악 생성부(24)는 정보 송출부(23)로부터 복수의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the first data may includ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uses the first data to receive the plurality of first data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3 to obtain the first data that is music data. 2 It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data.

즉 제1 데이터는 블록 유닛(10)이 삽입부(21)에 삽입되어 리턴 신호(S2)가 감지되는 경우 생성되며, 이때 유저가 재생 도구(20)에 존재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음악 생성부(24)가 생성된 제1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data is generated when the block unit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21 and the return signal S2 is sensed, and 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an input means such as a control panel that may exist in the playback tool 20 . When a control command to perform a function of generating music data is inputted through the controller,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collects the generated first data to generate the second data.

이때 구체적으로 제2 데이터가 생성되는 흐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는 각 격자의 제1축 및 제2축으로 식별될 수 있는 좌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음악 생성부(24)는,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계가 높아지고,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후순위의 음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flow in which the second data is specifically generated is shown in FIG. 3 .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21 may include coordinates that can be identified as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of each grid. In this case,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is a unit of the first axis. Each time the coordinates rise, the scale increases, and whenever the unit coordinates of the second axis rise, the lower order of the notes is determined, so that the second data may be generated.

즉 도 3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5음계 구조에 있어서 y축, 즉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하는 경우 도, 레, 미, 솔, 라 등으로 음계가 높아지게 될 것이며, x축, 즉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순위가 후순위로 설정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각 좌표는 라1, 미2, 레3, 미4, 미5, 솔6, 솔7, 미8로 설정되며, 1 내지 8은 음순위가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도 3의 5선지에 각각 음표 및 음계가 설정되면서 제2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이다. That is, referr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3 , when the unit coordinates of the y-axis, that is, the first axis, in the pentatonic structure rise, the scale will increase in do, re, mi, sol, and la, and the x-axis, that is, the second axis. Whenever the unit coordinates of the 2nd axis rise, the negative order will be set as the lower order. Referring to FIG. 3 based on this, each coordinate is set to Ra 1, Mi 2, Re 3, Mi 4, Mi 5, Sol 6, Sol 7, Mi 8, and 1 to 8 will be negative orders. Based on this, the second data is generated while notes and scales are set respectively on the five lines of FIG. 3 .

이때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각 음순위, 즉 제2축에 대한 단위 좌표는 단위 음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1) 하나 당 8분음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단위 음길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재생 도구(20)의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한 유저의 입력에 의해서도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each note order, that is, unit coordinates for the second axis may be configured to have a unit note length, in this case, for example, 8 per one insert 21 as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be configured to be a diaphragm, and the unit note length may be variously changed, which may also be changed by a user input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control panel of the playback tool 20 described above.

재생부(25)는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sound generator 또는 음원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 등 다양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재생부(25)는 상술한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유저로부터 재생 입력을 수신 시, 내장된 스피커(26) 등을 통해서 음악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The reproduction unit 25 reproduces and outputs the second data generated by the music generation unit through a preset music reproduc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and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type of music data. Alternatively, various music reproduction programs, such as a program for sound source reproduction, may be used. The playback unit 25 outputs music data through the built-in speaker 26 or the like when receiving a playback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the aforementioned control panel.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악기의 종류를 식별 정보로 갖는 블록 유닛(10)을 재생 도구(20)의 삽입부에 삽입 배치 시, 삽입부(21)의 행과 열에 따라서 음의 순서 및 음 높이, 그리고 음색이 자연스럽게 결정되고, 이를 통해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즉, 블록 유닛(10)을 복잡하게 조작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배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유아 등이 매우 직관적으로 쉽게 음악을 작곡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에 따른 음악 데이터의 생성 알고리즘을 체험하게 하여, 코딩 학습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lock unit 10 having the type of musical instrumen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of the playback tool 20, the order and pitch of the notes according to the rows and columns of the insertion unit 21, Then, the tone is naturally determined, and music data is generated through this. In other words, since the block unit 10 is simply arrang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complicated manipulation, children and the like can learn to compose music very intuitively and easily, and experience the music data gener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perience coding learning at the same time.

한편, 재생 도구(20)의 특성 상 매우 짧은 음악 데이터만이 생성되거나, 단음만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4 내지 6과 같이 재생 도구(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재생 도구(20)의 측면에는, 제1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25)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28)를 포함하고, 이와 동일하게, 제2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20)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20) 사이의 재생부(25)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27)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8) 및 제2 연결부(27)는 예를 들어 자성을 갖는 전극 등으로 구성되어, 재생 도구(20)를 연결 시 자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back tool 20, only very short music data can be generated or only a single sound can be implemen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playback tool 20 can be connected as shown in FIGS. can do. That is, referring to FIG. 6 , on the side surface of the playback tool 20, the playback too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is possible between the playback units 25 between the connected playback tools. 1 connection unit 28 is included, and in the same way, the reproduction tools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and data can be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reproduction units 25 between the connected reproduction tools 20 A second connecting portion 27 for connecting may be included. The first connection part 28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7 are composed of, for example, magnetic electrodes, etc., so that they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sm when the playback tool 20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the same time. can be implemented.

이때 재생부(25)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8)에 의하여 다른 재생부(25)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감지한 상태에서, 해당 재생 도구(20)의 블록 유닛(10)의 삽입에 따라서 음악 생성부(24)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의 재생 시작 시, 재생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연결부(28)에 전송한다. 이때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재생 도구(20-3)의 재생부(25)는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된 재생 도구(20)의 재생부(25)로부터 재생 시작 신호를 수신 시, 제2 데이터를 함께 재생(200)하여 출력되도록 한다.At this ti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reproducing unit 25 detects that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another reproducing unit 25 is possibl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28, and blocks the corresponding reproducing tool 20.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data generated by the music generation unit 24 is start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unit 10 , a reproduction star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28 . In this case, when the reproducing unit 25 of the reproducing tools 20 - 3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receives a reproduction start signal from the reproducing unit 25 of the reproducing tool 20 connected in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second data to be output by playing (200) together.

즉 서로 제1축으로 연결된 경우, 연결된 재생 도구(20, 20-3)의 재생부(25)가 동시에 각 제2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데, 이 경우, 일종의 협연과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재생 도구(20)에는 기타 음색으로 구현된 특정 제2 데이터가 재생되고, 재생 도구(20-3)에는 피아노 음색으로 구현된 특정 제2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이다. 동일한 음색으로도 단음이 아닌 화음의 구현 역시 가능할 것이다.That is, whe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xis, the reproducing units 25 of the connected reproducing tools 20 and 20 - 3 reproduce each second data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a function such as a kind of collaboration can be implemented. That is, the specific second data embodied in the guitar tone is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 tool 20 , and the specific second data implemented in the piano tone is reproduced in the reproduction tool 20-3 . Even with the same tone,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a chord rather than a single not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으로 재생 도구(20)들이 서로 연결되어 제2 연결부(27)에 의하여 다른 재생부(25)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감지한 상태에서, 재생부(25)는 제2 데이터의 재생 완료 시, 재생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연결부(27)에 전송한다. 이때, 제2축 방향으로 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20-1. 20-2 순)의 재생부(25)는, 제2축 방향으로 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20, 20-1 순)의 재생부(25)에서 재생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 in a state in which it is sensed that the playback tool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axis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another playback part 25 is possibl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7 , the playback unit ( 25), upon completion of reproduction of the second data, generates a reproduction comple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27 . In this case, the reproducing unit 25 of the reproducing tools 20-1. 20-2 connected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with a lower priority is the reproducing unit 25 of the reproducing tools 20 and 20-1 connected with the previous priority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When the reproduc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in (25), the second data may be reproduced and output.

즉 제2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음순서를 결정하는데, 재생 도구(20)를 서로 제2축으로 연결 시, 일종의 음길이를 확장하는 개념의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즉, 재생 도구(20)의 재생이 완료되면 즉시 재생 도구(20-1)의 재생이 시작되고, 이와 동일하게 재생 도구(20-2)의 재생이 컨트롤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보다 긴 음악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긴 음악을 구현함에 있어서 재생 도구(20) 사이의 결합이라는 매우 직관적인 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학습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second axis determines the sound order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playback tool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second axis, a function of extending the sound length is implemented. That is,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reproduction tool 20 is completed, the reproduction of the reproduction tool 20-1 starts immediately, and the reproduction of the reproduction tool 20-2 is controlled in the same wa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reproduce longer music. In implementing long music, a very intuitive method of coupling between the playback tools 20 can be used, so there is an effect that learning tailored to children's eye level can be per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삽입부(21)는 예를 들어 8분음표 등의 음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음악 데이터에 따라서 4분음표 등 긴 길이의 음악 데이터를 생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재생 도구(20)에서 다양한 길이의 음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one insertion unit 21 may have, for example, a note length such as an eighth note, in this case, it may be desired to generate long-length music data such as a quarter note according to the music data. That 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ounds of various lengths in one reproduction tool 20 .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에는, 도 7의 (a),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블록 유닛(10)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이는 특정한 결합 구조가 아닌, 연결 블록(30)이 설치될 수 있는 단순한 형태로서, 연결 블록(30)이 도 7의 (b)와 같은 구조인 경우 블록 유닛(10)의 상면 형상 자체가 상부 결합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자성 결합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부 결합부는 자성을 갖는 물질이 배치된 영역으로 이해될 것이다. 연결 블록(30)에는 상술한 상부 결합부에 대응되는 연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연결 결합부는 상술한 상부 결합부의 형태 또는 연결 방식에 상응하는 홈, 가이드 홈, 자성체 등으로 이해될 것이다. To this end, the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lock 30 as shown in (a) and (b) of FIG. 7 . That is, an upp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unit 10 described above, which is not a specific coupling structure, but a simple form in which the connection block 30 can be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block 30 is shown in FIG. 7 (b) In the case of the same structure,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upper surface shape of the block unit 10 itself corresponds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when implemented by magnetic coupling, etc., the upper coupling portion will be understood as a region in which a magnetic material is disposed. The connection block 30 is formed with a connection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upper coupling por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coupling portion will be understood as a groove, a guide groove, a magnetic material, etc. corresponding to the shape or connec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upper coupling portion.

연결 블록(30)의 외형인 제2 하우징의 길이 사이즈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삽입부(21)를 서로 제2축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제2 하우징 내부에는 연결 블록(30)의 구성으로서 외부 신호에 의하여 연결 정보를 리턴하는 제2 메모리(3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메모리(31)의 종류, 신호 리턴 방식, 외부 신호의 종류 등은 상술한 제1 메모리(1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여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The length size of the second housing, which is the outer shape of the connection block 30 , is set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insertion parts 2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B . Meanwhile, a second memory 31 that returns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as a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lock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The type of the second memory 31, the signal return method, the type of the external signal, etc.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memory 12, and thus will be omitted.

이 경우, 정보 독출부(22)는, 연결 블록(30)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 신호(S1)에 따라서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블록 식별 정보와 함께 연결 정보를 정보 송출부(23)에 전송할 수 있다. 연결 블록(30)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블록 식별 정보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22 may receive conn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signal S1 when the connection block 30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3 ) can be sent to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onnection block 30 . Since thi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정보 송출부(23)는 연결 정보가 존재 시 제1 데이터에 이를 포함시켜 음악 생성부(24)에 전송하게 되며, 음악 생성부(24)는 제2 데이터를 생성 시, 제1 데이터들 중 동일한 연결 정보를 갖는 제1 데이터를 하나의 음으로 결합함으로써, 음 길이를 단위 좌표에 기설정된 단위 길이의 복수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connection information exists,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23 includes it in the first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 and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generates the second data, the same among the first data. By combining the first data hav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to one sound,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sound length to be a plurality of times the unit length preset in the unit coordinates.

즉, 연결 정보가 존재하게 되면, 어느 하나 이상의 음길이가 되도록 음표가 설정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때 연결 정보가 동일한 음끼리 서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정보(C1, C2)가 존재하는 음들을 서로 같은 연결 정보(C1, C2)끼리 결합함으로써, 4분음표가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 블록(30)의 사이즈에 따라서 더 긴 음표가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connection information exists, it is recognized that notes are set to have one or more note lengths, and in this case, notes having the same connection informatio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8 . Referring to FIG. 8 , it can be confirmed that a quarter note is realized by combining the notes hav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C1 and C2 with the same connection information C1 and C2 . Longer notes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nection block 30 .

한편 재생 도구(20)의 구조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more diverse contents can be experienced using the structure of the playback tool 20 , and such a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

재생 도구(20)의 구성으로 상술한 통신부(291)는,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 가능하게 하거나 외부로부터 제2 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부(20)는 유저 단말(40)과 연결되는 경우, 유저 단말(40)에서 구현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제2 데이터를 유저 단말(40)에 전송할 수 있다. 유저 단말(40)은 제2 데이터를 수신 시, 제2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서 구현되는 재생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하여 제2 데이터를 유저 단말(40)에서도 재생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91 described above as a configuration of the playback tool 20 includes a function of enabling the second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r receiving the second data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40 , it may receive the second data request signal through an interface im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40 , and in this case, the second data to the user terminal 40 . can be transmitted When receiving the second data, the user terminal 40 may implement a reproduction program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second data through an interface so that the second data can be reproduced even in the user terminal 40 .

한편, 이와 반대로, 통신부(291)는 유저 단말(40)의 요청(입력)에 따라 유저 단말(40)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정보 분석부(292)는, 제2 데이터를 수신 시 이를 복수의 제1 데이터로 분할 분석하게 되며,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서, 제2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데이터와 동일하게 음악 생성부(24)에 의하여 생성하기 위한 삽입부(21)들의 식별 정보를 도출하게 된다. Meanwhile, on the contrary, the communication unit 291 may receive the second data from the user terminal 40 according to a request (input) of the user terminal 40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 first,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292 divides and analyzes the second data into a plurality of first data when receiving the second data, and according to the analyzed first data, the second data is received.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ng units 21 to be generated by the music generating unit 24 is derived.

이때 각 삽입부(21)에는,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삽입부(21)에 시각적 효과, 예를 들어 점멸 신호나 점등 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 출력부(294)가 설치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 제어부(293)는, 정보 분석부(292)를 통해 분석된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를 수신 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21)의 효과 출력부(294)를 구동하여 효과를 출력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each insertion unit 21 may be provided with an effect output unit 294 installed for each contact area to output a visual effect, for example, a flashing signal or a lighting signal, to the insertion unit 21 , and this Whe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21 analyzed through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292, the effect control unit 293 drives the effect output unit 294 of the insertion unit 2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o output the effect.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작성한 제2 데이터를 유저 단말(40)을 통해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한 뒤 유저 단말(40)에서 재생 도구(20)에 이를 전달하고, 재생 도구(20)에서는 다른 사람이 생성한 제2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블록을 어디에 삽입해야 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효과 출력부(294)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 배치형 완구를 통한 음악 컨텐츠의 이용성 및 활용성이 크게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for example, second data written by another person is downloaded onlin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 and the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40 to the playback tool 20 , and the playback tool 20 uses the other person In order to implement the generated second data, it can be intuitively implemented through the effect output unit 294 as to which block should be inserted and where, the effect of greatly expanding the usability and usability of music content through the arrangement-type toy. there is

이때 각 음색의 구현 역시 그대로 따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효과 출력부(294)는 다양한 패턴(점멸 방식, 색깔)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정보 분석부(292)는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서 삽입부(21)의 식별 정보뿐 아니라 블록 식별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를 도출하여 효과 제어부(293)에 전송할 수 있다. 효과 제어부(293)는 이 경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21)의 효과 출력부(294)를 블록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be able to follow the implementation of each tone as it is, the effect output unit 294 may be implemented to output various patterns (flickering method, color), an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292 is According to the first data, the same data as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21 may be derived and transmitted to the effect control unit 293 . In this case, the effect control unit 293 controls the effect output unit 294 of the insertion unit 2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driven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without a particularly opposing description may be embedded, so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more. In addi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블록 식별 정보를 리턴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블록 유닛; 및
상기 블록 유닛을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블록 유닛과의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접촉 영역마다 상기 외부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외부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블록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독출부, 상기 정보 독출부로부터 독출된 블록 식별 정보 및 상기 정보 독출부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송출하는 정보 송출부, 상기 정보 송출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악 생성부, 및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제2 데이터를 외부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음악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재생 도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a block unit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first memory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to return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units capable of inserting and accommodating the block unit are installed in each contact area of the insertion unit with the block unit to transmit the external signal for each contact area and receive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external signal an information reading unit,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ransmitting first data including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ser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data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When receiving data, a music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second data that is music data by using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generated by the music generating unit are reproduced and output through a preset music reproduc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a reproducing tool including a reproducing unit; A music data creation tool and playback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식별 정보는,
적어도 악기 종류를 식별하여 블록 유닛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음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t least a type of musical instrument to realize different tones for each type of block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제1축 및 제2축이 형성하는 격자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는 각 격자의 제1축 및 제2축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음악 생성부는,
상기 제1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음계가 높아지고, 상기 제2축의 단위 좌표가 상승시마다 후순위의 음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unit is arranged in a grid shape formed by first and second ax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includes coordinates of the first and second axes of each grid,
The music generator,
The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usical scale increases whenever the unit coordinates of the first axis rise, and a lower order of sound is determined whenever the unit coordinates of the second axis rises, thereby generating the second dat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시작 시, 재생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로부터 상기 재생 시작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ayback tool is
and a first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playback tools to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for connecting the playback parts between the connected playback tools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The playback unit,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data starts, a reproduction star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The reproducing unit of the reproducing tool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xis direction,
and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second data when the reproduction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production unit of the reproduction tool connected in the first axis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재생 도구끼리 서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된 재생 도구 사이의 재생부 사이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재생 완료 시, 재생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연결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2축 방향으로 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는,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전순위 연결된 재생 도구의 재생부에서 상기 재생 완료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2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layback tool is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playback tools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and for connecting the playback parts between the connected playback tools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The playback unit,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data is completed, a reproduction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 reproducing unit of the reproducing tool connected to the second axis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and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second data when the reproduction comple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reproduction unit of the reproduction tool connected in the second axis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유닛의 상부에는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연결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사이즈가 적어도 둘 이상의 삽입부를 서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설정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에 의하여 연결 정보를 리턴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n upp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unit,
A second housing having a connection coupl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the length size of which is set to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insertion portions to each other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to receive an external signal.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block including a second memory for returning connection information by th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독출부는,
상기 연결 블록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 블록으로부터 외부 신호 송출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정보 송출부에 전송하고,
상기 정보 송출부는,
상기 연결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하여 상기 음악 생성부에 송출하고,
상기 음악 생성부는,
제2 데이터를 생성 시, 제1 데이터들 중 동일한 연결 정보를 갖는 제1 데이터를 하나의 음으로 결합함으로써, 음 길이를 단위 좌표에 기설정된 단위 길이의 복수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nformation reading unit,
When the connection block is installed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ransmission of an extern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nection block,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r,
The information sending unit,
transmit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music generator including the first data;
The music generator,
When generating the second data, by combining the first data having the same connection information among the first data into one sound, the sound length is determined to be a plurality of times the unit length preset in the unit coordinates. Tools and playback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ayback tool is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data to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unit,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도구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를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된 제1 데이터에 따라 제2 데이터를 상기 음악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하기 위한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도출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접촉 영역마다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시각적 효과를 출력하는 효과 출력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 시 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삽입부의 효과 출력부를 구동하는 효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데이터 생성 도구 및 재생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second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The playback tool is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second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to a plurality of the first data and der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for generating the second data by the music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nalyzed first data; An effect output unit installed for each contact area of the insertion unit to output a visual effect to the insertion unit, and an effect of driving an effect output unit of the inser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ertion unit from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A music data generating tool and re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KR1020200083554A 2020-07-07 2020-07-07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KR102391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4A KR102391401B1 (en) 2020-07-07 2020-07-07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54A KR102391401B1 (en) 2020-07-07 2020-07-07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65A true KR20220005865A (en) 2022-01-14
KR102391401B1 KR102391401B1 (en) 2022-04-27

Family

ID=7934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54A KR102391401B1 (en) 2020-07-07 2020-07-07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4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871A (en) *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Sound output device
US6525252B1 (en) * 1999-06-09 2003-02-25 Innoplay Aps Device for composing and arranging music
KR20190059522A (en)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Music block and 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5252B1 (en) * 1999-06-09 2003-02-25 Innoplay Aps Device for composing and arranging music
JP2001228871A (en) * 2000-02-17 2001-08-24 Taito Corp Sound output device
KR20190059522A (en) *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아이원솔루션 Music block and 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401B1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21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rogrammable computerized interactors
JP5464684B2 (e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auxiliary panel
Fiebrink Real-time human interaction with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for mus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CN105536266B (en) Th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intelligent building blocks game device, intelligent building blocks are played
Wang et al. E-Block: A tangible programming tool with graphical blocks
Kaltenbrunner et al. The TUIO 2.0 protocol: An abstraction framework for tangible interactive surfaces
CN105700808A (en) Music 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2391401B1 (en) Music data generating device and play device using thereof
CN112581922A (en) System for non-contact musical instrument
KR102004098B1 (en) Connected block type piano keyboar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0919602B1 (en) A EDUCATION ROBOT USING A RFID AND RF, IrDA COMMUNICATION FOR LEARNING MULTI LANGUAGES AND OBJECT RECOGNITION
Pajankar Arduino Made Simple: With Interactive Projects
KR102044516B1 (en) Smart block system,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94569A (en) E-book having viewer function of coordinate detection type about book
Jin et al. Formal Semantics for Music Notation Control Flow
KR20230072866A (en) A device that generates artistic content via micro:bit
Wünschiers Computational Biology
Goel et al. Computer Fundamentals and Programming in C (RMK)
KR102403633B1 (en) Digital piano with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mugic sheet compatibility and mutual recognition
JP2005182540A (en) Input device, and toy using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2213354B1 (en) Saypen to provide coding training by pairing with robot and method of the same
Zadel Graphical performance software in contexts: explorations with different strokes
Bolanakis Microcontroller Prototypes with Arduino and a 3D Printer: Learn, Program, Manufacture
KR102458619B1 (en) Card board including card slot for disposition command card
ECHTLER The TUIO 2.0 Protocol: An Abstraction Framework for Tangible Interactive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