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644A -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 Google Patents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644A
KR20220005644A KR1020227000244A KR20227000244A KR20220005644A KR 20220005644 A KR20220005644 A KR 20220005644A KR 1020227000244 A KR1020227000244 A KR 1020227000244A KR 20227000244 A KR20227000244 A KR 20227000244A KR 20220005644 A KR20220005644 A KR 2022000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cell
base station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542B1 (ko
Inventor
테밍 첸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0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방법 및 시스템은 제1 무선 통신 셀(306)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306)을 제공하는 기지국(124)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815)하는 사용자 장비(110)를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 셀(306)의 코어 네트워크 유형을 나타내는 SIB 내 엔트리의 내용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110)는 제2 무선 통신 셀(304)을 선택(825)하고, 제2 무선 통신 셀(304)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122)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835)한다.

Description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CELL ACCESS RESTRICTION BASED ON A CORE NETWORK TYPE ASSOCIATED WITH A PLMN IDENTIFIE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일부인 기지국은 RAN을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에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다수의 각각의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코어 네트워크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 또는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을 지원하는 5GC(Fif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와 같은 동일한 유형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다수의 기지국의 전송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다수의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우, 다수의 무선 통신 셀의 기본 코어 네트워크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EPC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의 전송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동시에 5GC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다른 기지국의 전송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장비는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고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전원을 켜고 다수의 각각의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검출하면, 사용자 장비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무선 통신 셀 중에서 선택한다. 다른 예는 사용자 장비가 무선 통신 셀에 능동적으로 액세스하고, 무선 통신 셀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기준 또는 성능 임계치를 위반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가 기준을 충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사용자 장비는 종종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SSI)에 의존한다. RSSI에 의존하는 프로세스는 충분한 대역폭을 가진 무선 통신의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공유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의 레이어들과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 사이의 불일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문서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방법 및 시스템은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SIB의 엔트리 내 식별자의 존재(또는 부재)는 무선 통신 셀과 연관된 기본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을 사용자 장비에 표시한다.
식별자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장비는 원하는 기본 코어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원하는 기본 코어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면 (i) 무선 통신이 충분한 대역폭을 유지하도록 보장하고 (ii) 계층 간 경합을 초래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사용자 장비와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에 의해 공유됨)의 레이어들 간의 불일치를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양태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한 후, 사용자 장비는 식별자가 제1 SIB 내의 엔트리에 없다고 결정한다. 식별자가 제1 SIB 내의 엔트리에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는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고,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한다.
다른 양태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다른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고,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식별자가 제1 SIB 내의 엔트리에 존재한다고 결정한다. 식별자가 제1 SIB의 엔트리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는 제1 무선 통신 셀에 대한 액세스를 금지한다.
그러나 다른 양태는 사용자 장비를 설명한다. 사용자 장비는 프로세서 및 셀 액세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셀 액세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게 하고,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게 한다. 명령어의 실행은 또한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식별자가 제1 SIB 내의 엔트리에 없음을 결정하게 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게 한다. 그 후, 명령어의 실행은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세부 사항이 첨부 도면과 아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구성, 객체 및 이점은 아래의 설명, 도면 및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 요약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자세히 설명된 주제를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이 요약은 필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간주되거나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양태의 세부 사항이 아래에 설명된다. 설명 및 도면에서 서로 다른 경우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요소를 표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동작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시나리오의 예시적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의 예시적 레이어를 도시한다.
도 5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예시적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양태와 연관된 신호 및 제어 트랜잭션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양태와 연관된 신호 및 제어 트랜잭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동작 환경
도 1은 UE(111), UE(112) 및 UE(113)로 도시된 다수의 사용자 장비(110)(UE 110)를 포함하는 예시적 환경(100)을 도시한다. 각각의 UE(110)는 무선 링크(131 및 132)로 도시된 무선 통신(무선 링크(130))을 위한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120)(기지국(121, 122, 123 및 124)으로 도시됨)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링크(130, 131 및 132)와 같은 무선 링크는 본 명세서에서 "무선 링크"라고도 하며, 무선 주파수 전송을 포함할 때 제어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UE(110)는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으로 도시되었지만, UE(110)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모뎀, 휴대폰, 게임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미디어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기기, 차량 기반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컴퓨팅 또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기지국(120)(예를 들어,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ode B, E-UTRAN Node B, Evolved Node B, eNodeB, eNB, Next Generation Node B, gNode B, gNB, 등)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스몰 셀, 피코 셀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120)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무선 링크일 수 있는 무선 링크(131 및 132)를 통해 UE(110)와 통신한다. 무선 링크(131 및 132)는 기지국(120)에서 UE(110)로 통신되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다운 링크, UE(110)로부터 기지국(120s)으로 통신되는 다른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업 링크,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링크(130)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 또는 표준을 사용하여 구현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또는 베어러, 또는 3GPP LTE(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 또는 표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무선 링크(130)는 UE(110)에 대해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캐리어 통합에서 통합될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120)으로부터의 다수의 무선 링크(130)는 UE(110)와의 CoMP(Coordinated Multipoint)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20)은 집합적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40)(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5G NR RAN 또는 NR RAN)이다. RAN(140)은 NR RAN(141) 및 E-UTRAN(142)으로 도시된다. NR RAN(141)의 기지국(121 및 123)은 5GC(Fifth-Generation Core)(150)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E-UTRAN(142)의 기지국(122 및 124)은 EPC(Evolved Packet Core)(16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지국(122)은 5GC(150) 및 EPC(160) 네트워크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121 및 123)은 각각 인터페이스(102) 및 인터페이스(104)에서 5GC(150)에 연결된다. 제1 인터페이스(102) 및 제2 인터페이스(104)는 각각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위한 NG2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NG3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기지국(122 및 124)은 각각 106 및 108에서, 제어 평면 시그널링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16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지국(122)이 5GC(150) 및 EPC(160)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180에서, 기지국(122)은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위한 NG2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사용자 평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NG3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150)에 연결된다.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에 추가하여, 기지국(120)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121 및 123)은 112에서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한다. 기지국(122 및 124)은 114에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한다.
5GC(150)는 5G NR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UE(110)의 등록 및 인증, 승인, 모빌리티 관리 등과 같은 제어 평면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스 및 모빌리티 관리 기능(152)(AMF 152)을 포함한다. EPC(160)는 E-UTRA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UE(110)의 등록 및 인증, 승인, 모빌리티 관리 등과 같은 제어 평면 기능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관리 엔터티(162)(MME 162)를 포함한다. AMF(152) 및 MME(162)는 RAN(140)에서 기지국(120)과 통신하고 또한 기지국(120)을 통해 다수의 UE(110)와 통신한다.
동작 환경(100) 내에서, 기지국(121)은 NR RAN(141)과 연관된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할 수 있고, 기지국(123)은 NR RAN(141)과 연관된 다른 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NR RAN(141)의 각 셀은 정의된 지리적 영역을 커버한다. 또한, 기지국(121)과 기지국(123)은 동일한 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예: 5GC 150)에 연결된다.
또한, 동작 환경(100) 내에서, 기지국(122)은 E-UTRAN(142)과 연관된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할 수 있고, 기지국(124)은 E-UTRAN(142)과 연관된 다른 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E- UTRAN(142)는 정의된 지리적 영역을 커버한다. 또한, 기지국(122) 및 기지국(124)은 다른 동일한 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예: EPC(160))에 연결된다.
일부 양태에서, 그리고 3GPP TS 36.331 V15.0.1(2018-01) 섹션 5.2.2.7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 NR RAN(141) 또는 E-UTRAN(142))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로 알려진 식별자를 사용하는 UE(110)에 자신을 식별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기지국(예: 각각의 기지국(121, 122, 123 또는 124))은 각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내의 엔트리를 통해 UE(110)에 각각의 연관된 PLMN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일 수 있다.
예시로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진화함에 따라, PLMN 식별자는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 cellAccessRelatedInfoList-5GC)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는 엔트리에 포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가 5GC(Fif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임을 표시한다. 다른 예시로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진화함에 따라, PLMN 식별자는 3GPP LTE(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 cellAccessRelatedInfoList)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인 엔트리에 포함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가 EPC 네트워크임을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진화함에 따라, PLMN 식별자는 6G(Sixth-Genera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 cellAccessRelatedInfoList-6G)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인 엔트리에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가 6GC(Six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임을 표시한다.
PLMN 식별자는 또한 PLMN과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InfoList 엔트리와 연관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지 않음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InfoList 엔트리는 3GPP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될 수 있고, 네트워크가 5GC 네트워크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예로서, InfoList 엔트리는 5G NR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가 6GC 네트워크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 디바이스
도 2는 다수의 UE(110) 및 기지국(120)의 예시적 디바이스 다이어그램(200)을 도시한다. 다수의 UE(110) 및 기지국(120)은 명확성을 위해 도 2에서 생략된 추가 기능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UE(110)는 NR RAN(141) 및/또는 E-UTRAN(142)에서 기지국(120)과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202), 무선 주파수 프론트 엔드(204)(RF 프론트 엔드(204)), LTE 트랜시버(206), 및 5G NR 트랜시버(208)를 포함한다. UE(110)의 RF 프론트 엔드(204)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LTE 트랜시버(206) 및 5G NR 트랜시버(208)를 안테나(202)에 결합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UE(110)의 안테나(202)는 서로 유사하거나 다르게 구성된 다중 안테나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02) 및 RF 프런트 엔드(204)는 3GPP LTE 및 5G NR 통신 표준에 의해 정의되고 LTE 트랜시버(206) 및/또는 5G NR 트랜시버(208)에 의해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조정 및/또는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안테나(202), RF 프론트 엔드(204), LTE 트랜시버(206) 및/또는 5G NR 트랜시버(208)는 기지국(120)과의 통신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빔포밍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안테나(202) 및 RF 프론트 엔드(204)는 3GPP LTE 및 5G NR 통신 표준에 의해 정의된 서브 기가 헤르츠 대역, 6GHz 미만 대역 및/또는 6GHz 이상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UE(110)는 또한 프로세서(들)(210)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212)(CRM(2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실리콘, 폴리 실리콘, high-K 유전체, 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CRM(212)은 전파 신호를 제외한다. CRM(212)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RAM(SRAM), 동적 RAM(DRAM), 비휘발성 RAM(NV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RM(212)은 또한 셀 액세스 관리자(214) 형태의 실행가능한 코드 및 명령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셀 액세스 관리자(214)는 UE(11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합되거나 그와 분리된 하드웨어 로직 또는 회로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양태에서,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210)는 UE(110)에게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제1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UE(110)와 연관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조건(신호 강도 저하, 중단 또는 간섭 등)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계속될 수 있으며,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에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고,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부터 SIB를 수신하고, SIB 내의 엔트리에서 포함된 PLMN 식별자로부터 기지국이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예: 제2 무선 통신 셀과 연관된 코어 네트워크)가 제1 무선 통신 셀에 의해 지원되는 것과 동일한 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기지국(120)에 대한 디바이스 다이어그램은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기지국에 대응한다. 기지국(120)의 기능은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 또는 디바이스에 걸쳐 분산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방식으로 분산될 수 있다. 기지국(120)은 안테나(252), 무선 주파수 프론트 엔드(254)(RF 프론트 엔드(254)), 하나 이상의 LTE 트랜시버(256), 및/또는 UE(11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5G NR 트랜시버(258)를 포함한다. 기지국(120)의 RF 프론트 엔드(254)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LTE 트랜시버(256) 및 5G NR 트랜시버(258)를 안테나(252)에 결합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기지국(120)의 안테나(252)는 서로 유사하거나 다르게 구성된 다중 안테나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52) 및 RF 프런트 엔드(254)는 3GPP LTE 및 5G NR 통신 표준에 의해 정의되고 LTE 트랜시버(256) 및/또는 5G NR 트랜시버(258)에 의해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조정 및/또는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안테나(252), RF 프론트 엔드(254), LTE 트랜시버(256) 및/또는 5G NR 트랜시버(258)는 UE(110)와의 통신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매시브-MIMO와 같은 빔포밍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20)은 또한 프로세서(들)(260)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262)(CRM(26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60)는 실리콘, 폴리 실리콘, high-K 유전체, 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CRM(262)은 기지국(120)의 디바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가능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정적 RAM(SRAM), 동적 RAM(DRAM), 비휘발성 RAM(NV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RM(262)은 또한 기지국 관리자(264)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지국 관리자(264)는 기지국(12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합되거나 그와 분리된 하드웨어 로직 또는 회로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양태에서, 기지국 관리자(264)는 UE(110)와의 통신 뿐만 아니라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LTE 트랜시버(256) 및 5G NR 트랜시버(258)를 구성한다. 기지국 관리자(264)는 또한 일부 양태에서 PLMN 식별자를 포함하는 엔트리를 갖는 SIB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지국(120)은 Xn 및/또는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266)를 포함하며, 이는 기지국 관리자(264)가 UE(110)와 기지국(120)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해 다른 기지국(120) 간에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한다. 기지국(120)은 기지국 관리자(264)가 코어 네트워크 기능 및 엔터티와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하는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8)를 포함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시나리오(300)의 예시적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비는 도 1의 UE(110)일 수 있고, 도 1의 기지국(121, 122 또는 123)에 연결되어 각각의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21)은 무선 통신 셀(302)(예: 인터페이스(102)를 사용하여 5GC 네트워크(150)에 액세스할 수 있음)을 제공하고, 기지국(122)은 다른 무선 통신 셀(304)(예: 인터페이스(180)를 사용하여 5Gc(150)에 액세스하고 인터페이스(106)를 사용하는 EPC(160)에 액세스할 수 있음), 기지국(124)은 또 다른 무선 통신 셀(306)(인터페이스(108)을 사용하여 EPC(160)에 액세스할 수 있음)을 제공한다.
UE(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SIB에 포함된 엔트리를 통해 무선 통신 셀의 기본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엔트리가 선택된 무선 통신 셀과 연관된 기본 네트워크의 유형이 무선 통신 요구를 충족함을 UE(110)에 표시하는 경우, UE(110)는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엔트리가 선택된 무선 통신 셀과 연관된 기본 네트워크의 유형이 무선 통신 요구를 충족하지 않음을 UE(110)에 표시하는 경우, UE(110)는 무선 통신 셀을 차단하고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각 기지국에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SIB 내의 이러한 엔트리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를 코어 네트워크의 기본 유형과 연관시킬 수 있다.
도 4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양태가 구현되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예시적 레이어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UE(110) 및 기지국(120)은 각각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대응하는 피어 레이어를 참조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대응하는 레이어가 동일한 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예: 5GC 네트워크 또는 EPC 네트워크)와 동기화되지 않는 경우, 경쟁이 존재하여 UE(110)와 기지국(120) 간의 무선 통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UE(110)와 관련하여,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하나 이상의 레이어(예: 피어 레이어)가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일부로서 포함된 하나 이상의 레이어는 UE(110)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셀 선택 기법을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은 사용자 평면(402) 및 제어 평면(404)을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402) 및 제어 평면(404)의 상위 레이어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에서 공통 하위 레이어를 공유한다. UE(110) 또는 기지국(120)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는 레이어에 대해 정의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엔터티로서 각 레이어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UE(110)는 PDCP를 사용하여 기지국(120)의 피어 PDCP 엔터티와 통신하기 위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터티를 사용한다.
공유 하위 레이어는 물리 레이어(406)(PHY 레이어(406)), 미디어 액세스 제어 레이어(408)(MAC 레이어(408)), 무선 링크 제어 레이어(410)(RLC 레이어(410))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레이어(412)(PDCP 레이어(412))를 포함한다. 물리 레이어(406)는 서로 통신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하드웨어 사양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물리 레이어(406)는 디바이스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을 설정하고, 디바이스간에 통신 자원이 공유되는 방식 등을 관리하는 것을 지원한다.
MAC 레이어(408)는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을 특정한다. 일반적으로, MAC 레이어(408)는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비트로 인코딩되고 디코딩되는 방식을 제공한다.
RLC 레이어(410)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상위 레이어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RLC 레이어(410)는 오류 정정, 패킷 분할 및 재조립, 그리고 승인, 비승인 또는 투명 모드와 같은 다양한 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의 관리를 제공한다.
PDCP 레이어(412)는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상위 레이어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PDCP 레이어(412)는 사용자 평면(402) 및 제어 평면(404) 데이터, 헤더 압축,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제공한다.
PDCP 레이어(412) 위에서, 무선 네트워크 스택은 사용자 평면 스택(402) 및 제어 평면 스택(404)으로 분할된다. 사용자 평면(402) 레이어는 선택적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 레이어(414)(SDAP 레이어(414)), 인터넷 프로토콜 레이어(416)(IP 레이어(416)), 전송 제어 프로토콜/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레이어(418)(TCP/UDP 레이어(418), 및데이터를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420)을 포함한다. 선택적 SDAP 레이어(414)는 5G NR 네트워크에 존재하고, 각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흐름을 매핑하고, 각 패킷 데이터 세션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에 QoS 흐름 ID를 마킹한다. IP 레이어(416)는 애플리케이션(420)으로부터의 데이터가 목적지 노드로 전송되는 방식을 특정한다. TCP/UDP 레이어(418)는 애플리케이션(420)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TCP 또는 UDP를 사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전송되도록 의도된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 노드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 평면(402)은 또한 웹 브라우징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소셜 미디어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IP 패킷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평면(404)은 무선 자원 제어 레이어(422)(RRC 레이어(422)) 및 비접근층 레이어(424)(NAS 레이어(424))을 포함한다. RRC 레이어(422)는 연결 및 무선 베어러를 설정 및 해제하고,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하고,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RRC 레이어(422)는 3GPP LTE 액세스를 지원하지만, 비-3GPP LTE 액세스(예: Wi-Fi)는 지원하지 않는다. NAS 레이어(424)은 3GPP LTE 액세스 및 비-3GPP LTE 액세스를 지원한다.
UE(110)에서, 무선 네트워크 스택(400)의 사용자 평면(402) 및 제어 평면(404) 모두의 각 레이어는 기지국(120), 코어 네트워크 엔터티 또는 기능 및/또는 원격 서비스에서 대응하는 피어 레이어 또는 엔터티와 인터렉션하여, NR RAN(141) 또는 E-UTRAN(142)에서 UE(110)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및 제어 동작을 지원한다.
예시적 방법들
예시적 방법(500 및 60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방법 블록이 설명되는 순서는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설명된 방법 블록 중 임의의 수를 임의의 순서로 결합하거나 건너 뛰어 방법 또는 대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컴포넌트, 모듈, 방법 및 동작 중 임의의 것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예를 들어, 고정 논리 회로), 수동 프로세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방법의 일부 동작은 컴퓨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해 로컬 및/또는 원격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구현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함수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은 FPGA(Entry-programmable Gate Arrays),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SP(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s), SoC(System-on-a-chip),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 와 같은(제한이 아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 방법(500)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비는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코드 및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210)를 통해 방법을 수행하는 도 1, 2 및 3의 UE(110)일 수 있다.
동작 502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무선 통신 셀(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6))을 선택한다.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전원을 켜는 동안 제1 무선 통신 셀의 선택을 트리거링할 수 있고, 제1 무선 통신 셀은 사용자 장비가 전원을 켜는 동안 검출한 각각의 기지국(예: 기지국(121, 123, 122))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무선 통신 셀(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2, 304, 및 306) 중 하나 일 수 있다.
동작 504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SIB를 수신한다. 제1 기지국은 예를 들어 PBCH(Physical Broadcasting Channel)를 사용하여 제1 SIB를 능동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동작 506에서, 사용자 장비는 식별자(예를 들어, 제1 기지국과 연관된 PLMN 식별자)가 제1 SIB의 엔트리에 없다고 결정한다. 일부 경우에, 엔트리는 제1 무선 통신 셀에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5GC(5 세대 코어) 네트워크임을 표시하는 InfoList에 대응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 엔트리는 제1 무선 통신 셀에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EPC 네트워크임을 표시하는 다른 InfoList에 대응할 수 있다. 식별자의 부재를 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210)가 NAS 레이어(424) 및 RRC 레이어(422)에 대응하는 셀 액세스 관리자(214)에 포함된 레이어 내에 포함된 코드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506에서,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일 수 있다.
동작 508에서, 식별자가 제1 SIB의 엔트리에 없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는 제2 무선 통신 셀(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2))을 선택하고,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2)을 제공하는 기지국(121))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한다.
예시적 방법(500)은 (i) 제2 시스템 정보 블록의 엔트리에 제2 PLMN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ii) 사용자 장비와 제2 기지국 간의 연결을 개시하기 위해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추가 동작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원하는 기본 코어 네트워크를 가진 무선 통신 셀을 선택했음을 확인할 때까지 추가 무선 통신 셀(제1 및 제2 무선 통신 셀을 넘어)에 대해 계속 "검색"할 수 있다.
예시적 방법(500)은 다른 유형의 기본 코어 네트워크의 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셀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비-제한적인 예로서 및 예시적 방법(500)의 일부로서, 제1 무선 통신 셀은 기본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고, 제2 무선 통신 셀은 기본 5GC(Ff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제2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1 무선 통신 셀 또는 제2 무선 통신 셀은 기본 6GC(6세대 코어)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도 6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하나 이상의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 방법(600)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비는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코드 및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210)를 통해 방법을 수행하는 도 1, 2 및 3의 UE(110)일 수 있다.
동작 602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무선 통신 셀(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6))을 선택한다.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의 전원을 켜는 동안 제1 무선 통신 셀의 선택을 트리거링할 수 있고, 제1 무선 통신 셀은 사용자 장비가 전원을 켜는 동안 검출한 각각의 기지국(예: 기지국(121, 123, 122))에 의해 제공된 다수의 무선 통신 셀(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2, 304, 및 306) 중 하나 일 수 있다.
동작 604에서, 사용자 장비는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SIB를 수신한다. 제1 기지국은 예를 들어 PBCH(Physical Broadcasting Channel)를 사용하여 제1 SIB를 능동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동작 606에서, 사용자 장비는 식별자(예를 들어, 제1 기지국과 연관된 PLMN 식별자)가 SIB의 엔트리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한다. 일부 경우에, 엔트리는 코어 네트워크가 EPC 네트워크임을 표시하는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할 수 있다. 식별자가 SIB의 엔트리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210)가 NAS 레이어(424) 및 RRC 레이어(422)에 대응하는 셀 액세스 관리자(214)에 포함된 코드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606에서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일 수 있다. 동작 608에서, 식별자가 SIB의 엔트리 내에 존재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 장비는 제1 무선 통신 셀에 대한 액세스를 금지한다.
예시적 방법(600)은 (i)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고 (ii)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추가 동작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시적 방법(600)은 다른 유형의 기본 코어 네트워크의 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셀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비-제한적인 예로서 및 예시적 방법(600)의 일부로서, 제1 무선 통신 셀은 기본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인 기본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을 가질 수 있고, 제2 무선 통신 셀은 EPC 네트워크가 아닌 기본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을 가질 수 있다.
방법(500 및 600)의 순열은 무선 통신 셀을 "스위칭"하도록 지시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동작을 증강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강된 동작은 사용자 장비가 무선 통신의 효율성 또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무선 통신 조건을 검출하고 이전의 무선 통신 셀과 동일한 유형의 기본 코어 네트워크를 갖는 무선 통신 셀을 검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방법(500 및 600)의 동작이 설명되는 순서는 제한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았으며, 설명된 동작 중 임의의 수를 임의의 순서로 또는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일부로서 추가 결정 기준과 결합할 수 있다.
예시적 시그널링 및 제어 트랜잭션
도 7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양태와 연관된 신호 및 제어 트랜잭션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수의 시나리오가 가능하지만, 도 7은 사용자 장비(110)가 도 3의 무선 통신 셀(302)과 같은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기 위해 전원을 켜는 맥락에서 도시된다. 시그널링 및 제어 트랜잭션은 UE(110)의 RRC 레이어(422)과 NAS 레이어(424) 간의 정보 교환을 포함한다.
705에서, NAS 레이어(424)(예: NAS 레이어(424)을 포함하는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20))는 기지국(121)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셀(302)을 선택한다. 710에서, NAS 레이어(424)는 RRC 레이어(422)에 선택 트리거 정보를 전송한다. 715에서, RRC 레이어(422)는 기지국(121)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SIB를 수신한다.
720에서, RRC 레이어(422)은 SIB로부터 유도되는 엔트리(예: InfoList 엔트리)를 NAS 레이어(424)으로 전송한다. 엔트리의 내용에 기초하여, NAS 레이어(424)은 725에서, 무선 통신 셀(302)의 선택을 확인한다. 725에서, 무선 통신 셀(302)의 선택을 확인하는 것은 엔트리 내의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통신 셀(302)과 연관된 PLMN 식별자의 존재 또는 부재)를 UE(110)의 일부인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CRM(212)) 내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의 리스팅)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730에서, NAS 레이어(424)는 RRC 레이어(422)에 연결(attach) 트리거 정보를 전송한다. 735에서, RRC 레이어(422)는 UE(110)가 기지국(121)에 대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양태와 연관된 신호 및 제어 트랜잭션의 예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장비의 다수의 시나리오가 가능하지만, 도 8은 UE(110)가 도 3의 무선 통신 셀(306 및 304) 사이에서 선택하는 무선 통신 셀 선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110)의 맥락에서 도시된다. 시그널링 및 제어 트랜잭션은 사용자 장비(110)의 RRC 레이어(422)과 NAS 레이어(424) 간의 정보 교환을 포함한다.
805에서, NAS 레이어(424)(예: NAS 레이어(424)을 포함하는 셀 액세스 관리자(214)의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20))는 기지국(124)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무선 통신 셀(306)을 선택한다. 810에서, NAS 레이어(424)는 RRC 레이어(422)에 선택 트리거 정보를 전송한다. 815에서, RRC 레이어(422)는 기지국(124)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제1 SIB를 수신한다.
820에서, RRC 레이어(422)은 제1 SIB로부터 유도되는 제1 엔트리(예: InfoList 엔트리)를 NAS 레이어(424)으로 전송한다. 제1 엔트리의 내용(무선 통신 셀(306)이 EPC(160)에 액세스할 수 있지만 5GC(150)에는 액세스할 수 없음을 나타냄)에 기초하여, 825에서, NAS 레이어(424)는 제2 무선 통신 셀, 예를 들어 기지국(122)에 의해 제공된 무선 통신 셀(304)을 선택하기로 결정한다. 825에서, 제2 무선 통신 셀(304)을 선택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제1 엔트리의 데이터(예를 들어, 제1 무선 통신 셀(306)과 연관된 PLMN 식별자의 존재 또는 부재)를 UE(110)의 일부인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CRM(212)) 내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의 리스팅)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830에서, NAS 레이어(424)는 재선택 트리거 정보를 RRC 레이어(422)에 전송한다. 835에서, RRC 레이어(422)는 기지국(122)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제2 SIB를 수신한다.
840에서, RRC 레이어(422)는 제2 SIB로부터 유도된 제2 엔트리(예: 다른 InfoList 엔트리)를 NAS 레이어(424)에 전송한다. 845에서, NAS 레이어(424)는 제2 무선 통신 셀(304)의 선택을 확인한다. 845에서, 제2 무선 통신 셀(304)의 선택을 확인하는 것은 제2 엔트리의 데이터(예를 들어, 제2 무선 통신 셀(304)과 연관된 PLMN 식별자의 존재 또는 부재)를 UE(110)의 일부인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CRM(212)) 내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의 리스팅)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850에서, NAS 레이어(424)는 RRC 레이어(422)에 연결(attach) 트리거 정보를 전송한다. RRC 레이어(422)는 UE(110)가 855에서 기지국(122)에 대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 동작의 양태들이 구성 및/또는 방법에 특정적인 언어로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주제는 기술된 특정 구성 또는 방법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특정 구성 및 방법은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의 예시적 구현예로서 개시되었고, 다른 균등한 구성 및 방법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다양한 상이한 양태들이 설명되고, 각 설명된 양태는 독립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설명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들
예 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는 단계;
식별자가 상기 제1 SIB의 엔트리에 없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상기 제1 SIB의 엔트리에 없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2: 예 1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인, 방법.
예 3: 예 2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을 표시하는, 방법.
예 4: 예 3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5GC(Fif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임을 표시하는, 방법.
예 5: 예 3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3GPP LTE(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5GC(Fifth-Generation Core)임을 표시하는, 방법.
예 6: 예 3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3GPP LTE(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EPC(Evolved Packet Core)임을 표시하는, 방법.
예 7: 예 3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6세대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6G 코어(6GC) 네트워크임을 표시하는, 방법.
예 8: 예 3에 있어서, 상기 엔트리는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이 6GC(Six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임을 표시하는, 방법.
예 9: 예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은 3GPP LTE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액세스 가능하고, 5GC(Fifth-Generation Core)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방법.
예 10: 예 1에 있어서, 상기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인, 방법.
예 1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는 단계;
식별자가 상기 제1 SIB의 엔트리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가 상기 제1 SIB의 엔트리 내에 존재한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에 대한 액세스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12: 예 11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식별자인, 방법.
예 13: 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인, 방법.
예 14: 예 13에 있어서, 상기 제1 SIB 내의 엔트리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에 의해 지원되고 상기 제1 기지국이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을 나타내는, 방법.
예 15: 예 14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은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 또는 5GC(Fif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인, 방법.
예 16: 예 14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은 6GC(Sixth-Generation Core) 네트워크인, 방법.
예 17: 예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1 무선 통신 셀에 액세스를 금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18: 예 17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이 연결되는 코어 네트워크의 유형은 EPC(Evolved Packed Core) 네트워크가 아닌 것인, 방법.
예 19: 사용자 장비로서,
프로세서; 및
셀 액세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셀 액세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게 하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게 하고;
식별자 상기 제1 SIB의 엔트리에 없다고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식별자가 상기 제1 SIB의 엔트리에 없다고 결정함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SIB를 수신하게 하는, 사용자 장비.
예 20: 예 19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비접근층(NAS, Non-Access Stratum) 레이어 및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Resource Control) 레이어에 포함되는, 사용자 장비.

Claims (13)

  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SIB는 제1 엔트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엔트리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과 연관된 제1 PLMN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들의 목록에서 상기 제1 PLMN 식별자의 부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들의 목록에서 상기 제1 PLMN 식별자의 부재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SIB는 제2 엔트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엔트리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과 연관된 제2 PLMN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들의 목록에서 상기 제2 PLMN 식별자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들의 목록에서 상기 제2 PLMN 식별자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 message)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을 제공하는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PLMN 식별자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에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의 제1 유형과도 연관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엔트리는 3GPP LTE(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제1 유형이 5GC(Fifth-Generation Core)임을 표시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PLMN 식별자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셀에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의 제2 유형과도 연관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엔트리는 3GPP LTE(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연관된 InfoList 엔트리에 대응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제2 유형이 EPC(Evolved Packet Core)임을 표시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은 3GPP LTE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액세스 가능한 것인,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인,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셀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원 켬에 대한 응답인,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SIB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인, 방법.
  10. 사용자 장비로서,
    프로세서; 및
    셀 액세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셀 액세스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사용자 장비.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비접근층(NAS, Non-Access Stratum) 레이어 및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Resource Control) 레이어에 포함되는, 사용자 장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PLMN 식별자들의 목록은 가입자 식별 모듈(SIM) 내에 저장되는, 사용자 장비.
  13.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00244A 2018-02-14 2019-02-14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KR102502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30811P 2018-02-14 2018-02-14
US62/630,811 2018-02-14
KR1020207023316A KR20200110374A (ko) 2018-02-14 2019-02-14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PCT/US2019/018020 WO2019161061A1 (en) 2018-02-14 2019-02-14 Cell access restriction based on a core network type associated with a plmn identif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16A Division KR20200110374A (ko) 2018-02-14 2019-02-14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644A true KR20220005644A (ko) 2022-01-13
KR102502542B1 KR102502542B1 (ko) 2023-02-21

Family

ID=655298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16A KR20200110374A (ko) 2018-02-14 2019-02-14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KR1020227000244A KR102502542B1 (ko) 2018-02-14 2019-02-14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316A KR20200110374A (ko) 2018-02-14 2019-02-14 셀 액세스 관련 정보를 사용한 사용자 장비 동작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5907B2 (ko)
EP (1) EP3741158B1 (ko)
JP (2) JP2021514127A (ko)
KR (2) KR20200110374A (ko)
BR (1) BR112020016407A2 (ko)
WO (1) WO2019161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5907B2 (en) 2018-02-14 2021-09-07 Google Llc User equipment behavior using cell access related information
WO2020032845A1 (en) * 2018-08-07 2020-0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ments to cgi reporting in multi-connectivity
US11528760B2 (en) * 2018-08-08 2022-1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global identification report procedure for new radio cells without SIB1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1868B1 (en) * 1999-07-30 2004-05-25 Curitel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mong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950419B1 (en) * 1999-10-28 2005-09-27 Utstarcom, Inc. Method for interfacing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t least one core network
KR20030015531A (ko) * 2001-08-16 2003-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단말기의 셀 선택 개선 방법
KR100922982B1 (ko) * 2005-01-27 2009-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공유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의 네트워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10508761A (ja) 2006-10-30 2010-03-18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いてトラッキングエリア更新およびセル再選択を実施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1282508B (zh) * 2007-04-03 201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核心网运营商系统中系统信息传输方法、设备和系统
US9713148B2 (en) * 2012-08-02 2017-07-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O2014042468A2 (ko) * 2012-09-13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의 획득을 위한 운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686736B2 (en) * 2014-01-17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to improve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
EP3120515B1 (en) 2014-03-17 2020-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end-to-end data protection
KR102176921B1 (ko) * 2014-05-16 2020-1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06581B1 (ko) 2016-04-20 2020-05-04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시스템 정보 프로비저닝 및 경량 접속 시그널링
CN110521242B (zh) * 2017-02-03 2022-05-1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解析eps和5gs之间的系统信息
JP6951458B2 (ja) * 2017-03-20 2021-10-20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システム情報を伝送する方法、基地局及び端末
US11012929B2 (en) * 2017-07-13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support of different core networks
CN109392056B (zh) 2017-08-03 2020-10-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终端接入核心网的方法、基站及终端
KR102381065B1 (ko) 2017-09-27 2022-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165022B (zh) * 2017-09-28 2022-08-1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编码plmn的方法、解码plmn的方法及其设备
US11115907B2 (en) 2018-02-14 2021-09-07 Google Llc User equipment behavior using cell access related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10789* *
3GPP R2-171428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1158C0 (en) 2023-06-07
WO2019161061A1 (en) 2019-08-22
JP2021514127A (ja) 2021-06-03
KR20200110374A (ko) 2020-09-23
BR112020016407A2 (pt) 2020-12-15
US20200359302A1 (en) 2020-11-12
EP3741158A1 (en) 2020-11-25
EP3741158B1 (en) 2023-06-07
KR102502542B1 (ko) 2023-02-21
JP2023052334A (ja) 2023-04-11
US11115907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169B2 (en) Preventing inadvertent idle mode in multi-node connectivity environments
US10708969B2 (en) Dual connectivity capability modification
US11864195B2 (en) Peer-to-peer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grant
EP3831159B1 (en)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lection by user equipment in an inactive mode at a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US11452128B2 (en) Method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5G NR system
JP2023052334A (ja) Plmn識別子に関連付けられたコアネットワークタイプに基づくセルアクセス制限
US20210120468A1 (en) Enabling 5G NR Non-Standalone E-UTRAN Dual-Connectivity via Roaming
US10779348B2 (en) Cellular-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network interface
EP4329373A2 (en)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US20230319930A1 (en) Adaptive Selection of a Network Access Mode by a User Equipment
EP3127367B1 (en) Ran signaled bitmap splitting for roaming and non-roaming users
US202401554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emergenc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155547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