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948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948A
KR20220004948A KR1020217011136A KR20217011136A KR20220004948A KR 20220004948 A KR20220004948 A KR 20220004948A KR 1020217011136 A KR1020217011136 A KR 1020217011136A KR 20217011136 A KR20217011136 A KR 20217011136A KR 20220004948 A KR20220004948 A KR 2022000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oor
refrigerator
storage
storage dra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1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6063B1 (en
Inventor
지안 우
슈 조우
자오준 훼이
주오웨이 이
지쭌 펭
후이 안
이 후앙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가오 디자인 &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614894.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865181A/en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가오 디자인 &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가오 디자인 &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은 저장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복수개가 있는 개구; 상기 복수의 개구는 각각 다른 측면에 설치되고,상기 저장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임의의 하나를 따라 인출 될 수 있는 저장 서랍;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공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저장 서랍을 저장 챔버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있는 개구에서 저장 서랍을 인출하여 음식을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음식을 냉장고의 다른 측면에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기에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a home appliance, comprising: a hou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s, the plurality of sides defining a storage chamber; an opening having a plurality;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different sides, The storage draw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can be drawn out alo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disclos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torage drawer in the storage chamber, the user can pick and place food by withdrawing the storage drawer from the ope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user can pick and place foo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rigerator. This makes food pick-and-place convenient and improves the user experience.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2020년 6월 30일 자로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2010614894.9이고 발명의 명칭이 "냉장고"인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The present invention claims the priority of the patent application filed with the 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China on June 30, 2020 with the application number 202010614894.9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refrigerator".

본 발명은 가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home appliance technology, for example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저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일종의 냉동 기기로써 일상 생활에서 음식이나 기타 물품을 보존하는 데 사용되는 가전 제품이다. 사람들은 일상 생활에서 음식이나 기타 물품을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고 음식을 꺼낼려 할때 냉장고를 열어 냉장고 일측에서 음식을 꺼낸다.A refrigerator is a kind of refrigeration device that maintains a constant low temperature, and is a household appliance used to preserve food and other items in daily life. People have to keep food and other items in the refrigerator in their daily life, and when they want to take out the food, they open the refrigerator and take out the food from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관련 기술에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at least the following problems exist in the related ar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식은 냉장고 일측에서만 가져갈 수 있으므로 음식을 가져 가서 놓기에는 불편하다.Food can only be taken from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so it is inconvenient to bring and place food.

개시된 실시 예들의 일부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갖기 위해, 간단한 요약이 아래에 설치된다. 요약은 일반적인 설명이 아니며 핵심/중요한 구성 요소를 결정하거나 이러한 실시 예의 보호 범위를 설명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곡 역할을한다.In order to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some aspect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a brief summary is installed below. This summary is not a general description and is not intended to determine key/critical components or delineat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se embodiments, and serves as a prelud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의 일측에서만 음식을 픽앤 플레이스 할 수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to solve the problem that food can be picked and placed only on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일부 실시 예에서,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은 저장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복수개가 있는 개구; 상기 복수의 개구는 각각 다른 측면에 설치되고,상기 저장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임의의 하나를 따라 인출 될 수 있는 저장 서랍;를 포함하는 냉장고이다.In some embodiments, a hou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s, the plurality of sides defining a storage chamber; a plurality of openings;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different sides, The storage draw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can be drawn out alo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a refrigerator including a.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있다.The refrigerator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technical effects.

사용자는 저장 서랍을 저장 챔버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있는 개구에서 저장 서랍을 인출하여 음식을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음식을 냉장고의 다른 측면에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기에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By installing the storage drawer in the storage chamber, the user can pick and place food by pulling out the storage drawer from the ope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pick and place foo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rigerator. convenience and improve the user experience.

위의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응용 프로그램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다.The above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illustrative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application.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첨부 된 도면에 의해 예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예시적인 설명 및 도면은 실시 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요소는 유사한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은 축척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밀봉 도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개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흡착 스트립 및 흡착 개스킷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 서랍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된 핸들 및 관통 홈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신축 구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냉동 유닛의 설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 챔버의 상부 측벽 구조의 개략도이다.
One or mor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these illustrative descriptions and drawings do not constitute a limitation on the embodiments, in which elem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as like elements, the drawings being limited to scale. does not constitute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refrigerato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refrigerato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first sealing doo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n opening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n adsorption strip and an adsorption gasket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torage drawe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andle and a through groove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tretchable structure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refrigerato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refrigerato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refrigerato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refrigeration unit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pper sidewall structure of a storage chambe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에 대한보다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현을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다. 다음의 기술적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시된 실시 예들의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세부 사항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 사항없이,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여전히 구현 될 수있다. 다른 경우에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 및 장치를 단순화하여 표시 할 수 있다.In order to help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and technical conten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us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technical description, numerous details are used in order to provid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without these details, one or more embodiments may still be implemented. In other cas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shown simplified to simplify the drawing.

본 발명의 실시 예들 및 전술 한 도면들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제1"및 "제2"라는 용어는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시퀀스 또는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 된 데이터는 여기에 설명 된 본 개시 내용의 실시 예의 목적을 위해 적절한 상황 하에서 상호 교환 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또한, "포함하는"및 "갖는"이라는 용어 및 이들의 모든 변형은 비 독점적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egoing drawings,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similar objects, and are not necessari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sequence or sequenc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data used in this manner may be interchanged under appropriate circumstances for the purpos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herein. Also, the terms “comprising” and “having” and all variations thereof are intended to include non-exclusive inclus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부", "하부", "내부", "중간", "외부", "전면", "후면"등의 용어는 방향에 따른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또는 도면에 표시된 위치 위치 관계. 이러한 용어는 주로 본 개시의 실시 예 및 그 실시 예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표시된 장치, 요소 또는 구성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한다는 것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어 중 일부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 외에 다른 의미를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이라는 용어는 어떤 경우에 특정 부착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들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 될 수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upper", "lower", "inner", "middle", "outer", "front", and "rear" indicate a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 direction. Or the positional positional relationship shown in the drawing. These terms are mainly used to better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ir embodiments, and are not used to limit that the indicated device, element, or component must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or be constructed and operated in a particular orientation. . Also, some of the above terms may be used to indicate other meanings other than a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the term "on" may b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attachment relationship or connection relationship in some case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pecific meanings of these term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또한 "설치", "연결"및 "고정"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구조 일 수 있다.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 연결 일 수 있다. 직접 연결이거나 중간 또는 두 장치를 통한 간접 연결 일 수 있다.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 간의 내부 통신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술 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 될 수있다.Also, the terms "installed," "connected," and "fixed"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For example, “connection” may be a fixed connection, a detachable connection, or an integral structure. It can be a mechan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 connection. It can be a direct connection or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te or two devices. It is a component or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pecific meanings of the above-described term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복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plurality” means two or mo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문자 "/"는 선행 및 후속 오브젝트가 "또는"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의미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 indicates that the preceding and subsequent objects are in a "or" relationship. For example, A/B means A or B.

용어 "및/또는"은 객체를 설명하는 일종의 연관 관계로, 세 가지 유형의 관계가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와 B를 의미한다.The term “and/or” is a kind of association that describes an object, meaning that there can be three types of relationship. For example, A and/or B means A or B or A and B.

상충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실시 예와 실시 예의 특징은 서로 결합 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f not in conflict, the embodi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도 1-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에서 냉장고는 하우징(100), 개구(200) 및 저장 서랍(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측면은 저장 챔버(400)를 한정한다. 개구(200)는 다수를 가지며, 복수의 개구(200)는 각각 다른 측면에 설치된다. 저장 서랍(300)은 저장 챔버(400)에 설치되고. 복수의 개구(20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출될 수 있다.1 to 5 , in some embodiments, the refrigerator includes a housing 100 , an opening 200 , and a storage drawer 300 . The housing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ides, the plurality of sides defining a storage chamber 400 . The opening 200 has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2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different sides. The storage drawer 30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400 . It may be withdrawn alo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20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냉장고를 이용하면 저장 서랍(300)을 저장 챔버(400)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다른 측면에 있는 개구(200)에서 저장 서랍(300)을 인출하여 음식을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음식을 냉장고의 다른 측면에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기에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When using the refrigerator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drawer 30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400 , so that the user withdraws the storage drawer 300 from the opening 200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 This allows the user to pick and place foo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rigerator, making the food pick and place convenient and enhance the user experience.

선택적으로, 냉장고는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를 더 포함한다. 제1 밀봉 도어(110)는 저장 서랍(300)과 연결되어 저장 서랍(300)과 인출 될 수 있거나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챔버(400)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제2 밀봉 도어(110)는 저장 서랍(300)과 연결되어 저장 서랍(300)과 인출 될 수 있거나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하우징(100)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챔버(400)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측면의 개구(200)는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에 의해 밀폐되어 저장 챔버(400) 내부의 냉 손실을 줄인다. 사용자가 저장 챔버(400) 내의 저장 서랍(300)으로부터 음식을 픽앤 플레이스 할려고 할때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을 열리므로써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에 의해 폐쇄된 개구(200)를 열 수 있도록 개방 되고 개구(200)에서 음식을 픽앤 플레이스 할 수 있기에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first sealing door 110 and a second sealing door 120 . The first sealing do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300 to be withdrawn from the storage drawer 300 or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and open upside down along the housing 100 , and the storage chamber 400 . ) to close the opening. The second sealing do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300 to be withdrawn from the storage drawer 300 or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and open upside down along the housing 100 , and the storage chamber 400 . ) to close the opening.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200 of the side of the housing 100 is sealed b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to reduce the cooling loss inside the storage chamber 400 . When the user is about to pick and place food from the storage drawer 300 in the storage chamber 400 ,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opened by opening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Alternatively, since the opening 200 closed by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opened and food can be picked and placed in the opening 200, the food pick-and-place is convenient and the user experience is improved.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와 하우징(100)은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는 하우징(100)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 있으며, 이는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한다.Optionall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nd the housing 100 are connected by a hinge. In this wa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opened upside down along the housing 100 , which facilitates food pick and place.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는 모두 직사각형 판형 구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Optionall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have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In this way, the production of the first sealed door 110 and the second sealed door 120 is easy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선택적으로, 개구(200)는 직사각형 개구(200)이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가 개구(200)를 밀봉하는 것이 편리하여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한다.Optionally, the opening 200 is a rectangular opening 200 . As described above, it is convenient for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to seal the opening 200,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pick and place food.

선택적으로, 저장 챔버(400)를 향하는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의 측벽에는 각각 돌출부(1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가 개구(200)를 폐쇄 할 ‹š 돌출부(130)를 개구(200)에 매립하여 제1 밀봉 도어(110), 제2 밀봉 도어(120)과 개구 사이의 틈새을 줄일 수 있어 제 1 밀봉 도어 (110)와 제 2 밀봉 도어 (120)의 밀봉 효과를 강화한다. Optionally, the protrusions 1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sidewalls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facing the storage chamber 400 . In this wa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buried in the opening 200 with the ‹š protrusion 130 to close the opening 200, the first sealing door 110, the second sealing The gap between the door 120 and the opening can be reduced, thereby enhancing the seal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선택적으로, 돌출부(130)는 환형 돌출 구조이며,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의 측벽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부(130)가 개구(200)에 더욱 밀착 될 수 있으며,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의 밀봉 효과를 강화한다.Optionally, the protrusion 130 has an annular protrusion structure, and is circumferentially installed on the sidewall edges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In this way, the protrusion 130 can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opening 200 , and the seal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enhanced.

선택적으로, 돌출부(130)는 보온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챔버(400)의 냉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보온 효과를 강화한다.Optionally, the protrusions 130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oling loss of the storage chamber 400 , and enhance the warm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선택적으로,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개구(200)에 오목 홈(21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측벽에 설치된 돌출부(130)를 오목 홈(210)에 매립하고, 제1 밀봉 도어(110), 제2 밀봉 도어(120)과 개구(200) 사이의 틈새를 매립 할 수 있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밀봉 효과를 강화한다.Optionally, a concave groove 21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200 of the housing 10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30 .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130 installed on the sidewalls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embedded in the concave groove 210 , and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embedded in the concave groove 210 . The gap between the opening 200 and the opening 200 can be filled, thereby enhancing the seal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선택적으로, 오목 홈(210)는 환형 오목 홈 구조를 가지며 개구(200)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형 돌기부(130)가 환형 홈에 더 잘 매립되고,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 및 개구(200) 사이의 틈새가 감소되고,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의 밀봉 효과를 강화한다. Optionally, the concave groove 210 has an annular concave groove structure and is circumferentially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200 . In this way, the annular projection 130 is better embedded in the annular groove, the gap between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nd the opening 200 is reduced, and the first sealing door ( 110) and enhances the sealing effect of the second sealing door 120.

선택적으로, 흡입 스트립(131)이 돌출부(13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흡입 스트립(131)에 의해 개구(200)에서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가 흡착되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밀봉 효과선택적으로, 흡입 바(131)에 대응하는 흡입 개스킷(211)이 오목 홈(210)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착 스트립(131)의 흡착이 편리하게되고 흡착 개스킷(211)과 흡착 스트립(131)가 흡착 된 후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가장자리를 밀봉하고 제1 밀봉 도어 110과 제2 밀봉 도어(120)의 밀봉 효과를 강화한다Optionally, a suction strip 131 is installed on the protrusion 130 . In this wa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adsorbed in the opening 200 by the suction strip 131 , so that the seal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Optionally, a suction gasket 211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bar 131 is installed in the concave groove 210 . In this way, the adsorption of the adsorption strip 131 is convenient, and after the adsorption gasket 211 and the adsorption strip 131 are adsorbed, the edges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sealed, Strengthen the seal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선택적으로, 흡착 스트립(131) 및 흡착 와셔(211)는 모두 고무 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고무 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흡착 스트립(131)과 흡착 개스킷(211)은 흡착 효과와 탄성이 우수하며,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밀봉 효과를 강화하면서 완충 효과도 발휘할 수 있고 밀폐 된 도어가 닫힐 때 하우징(100)에 대한 충격을 줄이고 밀폐 된 도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Optionally, both the suction strip 131 and the suction washer 211 are made of a rubber magnetic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adsorption strip 131 and the adsorption gasket 211 made of the magnetic rubber material have excellent adsorption effect and elasticity, and have a cushioning effect while strengthening the seal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It can also exert an impact on the housing 100 when the sealed door is closed and extend the life of the sealed door.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 모두는 저장 챔버(400)를 향하는 측벽에 보온층(140)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챔버(400)의 냉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의 보온 효과를 강화한다.Optionall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provided with the insulating layer 140 on the side wall facing the storage chamber 400 .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oling loss of the storage chamber 400 , and enhance the warming effect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선택적으로, 보온층(140)은 폴리 우레탄 폼층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폴리 우레탄 폼 층은 더 나은 보온 효과와 더 낮은 비용을 갖는다.Optionally, the insulating layer 140 is a polyurethane foam layer. In this way, the polyurethane foam layer has better thermal insulation effect and lower cost.

도 6-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부 선택적 실시 예에서, 저장 서랍(300)은 보관함(310) 및 보온판(320)을 포함한다. 보관함(310)은 보관 챔버(400)에 설치되며, 복수의 개구(20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출 될 수 있으며, 보온판(320)은 보관함(310)의 인출 방향의 일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냉장이 필요한 식품을 보관함(310)에 넣을 수 있고 보온판(320)은 보관함(310)의 냉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보관함(310)은 복수의 개구(200)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출 될 수 있기에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6-8 ,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storage drawer 300 includes a storage box 310 and a warming plate 320 . The storage box 31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400 , and may be withdrawn alo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200 , and the thermal insulation plate 320 is installed at one en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storage box 310 . In this way, the user can put the food that needs refrigeration in the storage box 310, the heating plate 320 can reduce the refrigeration loss of the storage box 310, and the storage box 310 can op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200. It can be withdrawn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food pick-and-place and improves the user experience.

선택적으로, 핸들(321)이 보온판(320)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핸들(321)을 통해 보온판(320)을 인출/밀어 넣은 후 보관함(310)을 인출/밀어 넣는 것이 편리하여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the handle 321 is installed on the heating plate 320 . In this way,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take out/push the heating plate 320 through the handle 321 and then to take out/push the storage box 310,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pick and place food and improve the user experience.

선택적으로, 핸들(321)는 보관함(3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온판(32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321)의 작동이 편리하게 한다.Optionally, the handle 32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eating plate 32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orage box 310 .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321 is convenient.

선택적으로, 미끄럼 방지 슬리브(322)가 핸들(32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핸들(321)이 저온 저장 챔버(400)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인출 될 때, 물방울이 핸들(321)의 표면에 응축 될 것이며 미끄럼 방지 슬리브(322)의 제공은 표면의 마찰을 증가시켜서 핸들(321)의 작동을 편리하게 한다.Optionally, an anti-skid sleeve 322 is installed on the handle 321 . In this way, when the handle 321 is withdrawn from the cold storage chamber 400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ater droplets will condense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321 and the provision of the anti-slip sleeve 322 increases the friction of the surface, so that the handle ( 321) makes the operation convenient.

선택적으로, 미끄럼 방지 슬리브(322)는 고무 슬리브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무 슬리브의 미끄럼 방지 효과가 더 우수하고 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Optionally, the anti-skid sleeve 322 is a rubber sleeve. In this way, the anti-skid effect of the rubber sleeve is better and can be obtained easily,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선택적으로, 핸들(321)에 대응하는 관통 홈(150)이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온판(320)에 구비 된 핸들(321)는 제1 밀봉 도어(110)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에 설치된 관통 홈(150)을 관통한다. 핸들(321)을 조작하여 저장 서랍(300)을 인출하면,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도 인출 될 수 있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a through groove 150 corresponding to the handle 321 is installed in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321 provided in the heat insulating plate 320 pass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150 installed in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When the storage drawer 300 is pulled out by manipulating the handle 321,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also be pulled out, which makes food pick and place convenient and improves the user experience. .

선택적으로, 밀봉 개스킷(151)은 보온판(320)을 향하는 관통 홈(15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핸들(321)이 관통 홈(150)을 통과 할 때 핸들(321)이 개스킷(151)과 결합되어 관통 홈(150)을 밀봉하여 저장 공간(400)의 냉 손실을 줄인다.Optionally, the sealing gasket 15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hrough groove 150 facing the heat insulating plate 320 . As such, when the handle 321 pass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150 , the handle 321 is combined with the gasket 151 to seal the through groove 150 to reduce the cooling loss of the storage space 400 .

선택적으로, 밀봉 개스킷(151)은 환형 밀봉 개스킷(151)이고 보온판(320)을 향하는 관통 홈(150)의 가장자리를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개스킷(151)의 밀봉 효과가 향상되고, 저장 챔버(400)의 냉 손실을 줄인다.Optionally, the sealing gasket 151 is an annular sealing gasket 151 and surrounds the edge of the through groove 150 facing the insulating plate 320 . In this way, the sealing effect of the sealing gasket 151 is improved, and the cold loss of the storage chamber 400 is reduced.

선택적으로, 보온판(320)에서 돌출 된 핸들(321)의 길이는 관통 홈(150)의 깊이보다 크다. 이와 같이 핸들(321)이 관통 홈(150)을 통과 한 후,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의 일부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핸들(321)을 조작하여 저장 서랍(300)를 인출/밀어 내기가 편리하다.Optionally, the length of the handle 321 protruding from the heating plate 320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through groove 150 . As such, after the handle 321 pass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150 , a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protrudes so that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321 to store the drawer. It is convenient to withdraw/pull out (300).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 및 저장 서랍(300)은 신축 구조(500)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가 인출 될 수 있면,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는 신축 구조(500)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는 지지력을 잃고 넘어져서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nd the storage drawer 300 are connected by a telescoping structure 500 . In this way, when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withdrawn,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attached to the telescopic structure 500 . supported b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loses support and falls over to facilitate food pick-and-place and improve user experience.

선택적으로, 신축 구조(500)는 수납부(510) 및 신축부(520)를 포함한다. 수납부(510)는 저장 서랍(300)의 측벽에 설치되고, 신축부(520)의 일단은 수납부(510)에 신축 설치되고, 타단은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가 인출 될 수 있면 이에 연결된 신축부(520)가 수납부(510) 밖으로 연장되고, 제1 밀봉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기 도어(120)가 밀려 들어가고, 연결된 신축부(520)가 수납부(510)로 후퇴되어 제1 밀폐 부(110) 및/또는 제2 밀봉 도어(120)가 신축부(520)에 의해 지지되어 밀봉 된 도어(110) 및/또는 제2 밀봉 된 도어(120)가지지를 잃지 않도록 낙하하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the stretchable structure 500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510 and a stretchable part 520 . The receiving unit 510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drawer 300 , one end of the telescopic unit 520 is telescopical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510 , and the other end is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unit. It is connected to the door 120 . In this way, when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withdrawn, the telescopic part 520 connected thereto extends out of the receiving part 510, and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 or the second sealing unit door 120 is pushed in, and the connected telescopic part 520 is retracted to the receiving part 510 so that the first sealing part 110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 520) and falling so as not to lose support of the sealed door 110 and/or the second sealed door 120, facilitates food pick-and-place and improves user experience.

선택적으로, 수납부(510), 신축부(520) 및 저장 서랍(300)의 수평 방향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신축부(520)에 연결된 저장 서랍(300)을 반대 방향으로 인출 할 수있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에 편리하다.Optionally,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ceiving unit 510 , the telescoping unit 520 , and the storage drawer 300 are all the same. In this way, the storage drawer 300 connected to the telescopic part 520 can be with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ch is convenient for food pick and place.

선택적으로, 수납부(510)는 원형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축부(520)가 수납부(510)에서 연장 또는 수축하는 것이 편리하다.Optionally, the receiving portion 510 has a circular cylindrical structure. In this way, it is convenient for the stretchable portion 520 to extend or contract in the receiving portion 510 .

선택적으로, 신축부(520)은 원형 관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축부(520)의 질량은 더 가볍고, 수납부(510)에서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Optionally, the stretchable portion 520 has a circular tubular structure. In this way, the mass of the stretchable portion 520 is lighter, and can be extended or contracted in the receiving portion 510 .

도 9-도1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부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밀봉 도어(110)는 저장 서랍(300)에 연결되고 저장 서랍(300)과 함께 인출 될 수 있고, 제2 밀봉 도어(120)는 하우징(100)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 있다.이와 같이, 제1 밀봉 문(110)은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을 위한 저장 서랍(300)과 함께 인출 될 수 있으며, 제2 밀봉 도어(120)는 제2 밀봉 문(120)에 의해 폐쇄된 개구(200)에서 음식물을 열 수 있도록 뒤집혀서 열릴 수 있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를 편리하게 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9-11 ,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irst sealed door 11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300 and can be withdrawn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300 , and the second sealed door 110 . 120 can be turned over along the housing 100 to be opened. In this way, the first sealing door 110 can b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300 for food pick and place,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It can be turned over to open the food from the opening 200 closed by the second sealing door 120 ,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pick and place food and improve the user experience.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는 신축 구조(500)를 통해 저장 서랍(300)에 연결되고, 제2 밀봉 도어(120)는 힌지를 통해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는 저장 서랍(300)과 함께 인출될 수 있고, 제2 밀봉 도어(120)는 뒤집혀서 열릴 수있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에 편리하다.Optionally, the first sealing door 11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300 through the telescoping structure 500 ,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through a hing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aling door 110 can b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30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opened upside down, which is convenient for food pick and place.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는 모두 저장 서랍(300)에 연결되고 저장 서랍(300)과 함께 인출 될 수있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는 저장 서랍(300)과 함께 인출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밀봉 도어(110) 또는 제2 밀봉에 대응하는 개구(200)에서 저장 서랍(300)을 선택적으로 저장 서랍(300)을 인출 하여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하기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300 and can b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300 . As suc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may be withdrawn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300 , and the user may use the first sealing door 110 or the opening 2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ealing. By selectively drawing out the storage drawer 300 from the storage drawer 300, the user experience is improved to pick and place food.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는 모두 신축 구조(500)를 통해 저장 서랍(3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저장 서랍(300)을 이용하여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를 모두 인출 할 수있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에 편리하다.Optionall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300 via the telescoping structure 500 . As described above,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pulled out using the storage drawer 300, which is convenient for food pick and place.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는 모두 하우징(100)에 연결되고 하우징(100)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있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를 돌려서 개방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밀봉 도어(110) 또는 제2 밀봉 도어(120)를 선택적으로 열고 해당 개구(200)에서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하기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Optionall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and can be turned over and opened along the housing 100 . In this way,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opened by turning, and the user selectively opens the first sealing door 110 or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nd the corresponding opening 200 . Improve the user experience for food pick-and-place.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도어(110) 및 제2 밀봉 도어(120)는 모두 힌지를 통해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밀봉 도어(110)와 제2 밀봉 도어(120)를 모두 돌려서 열 수있어 음식물 픽앤 플레이스에 편리하다.Optionall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via a hinge. In this way, both the first sealing door 110 and the second sealing door 120 can be opened by turning, which is convenient for food pick and place.

도 12-도 1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부 선택적 실시 예에서, 냉장고는 저장 챔버(400)의 상부 측벽에 설치 된 냉동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저장 챔버(400)에 위치한 저장 서랍(300)이 저장 챔버(400)의 상부 측벽을 향하므로 냉동부(600)가 저장 챔버(400)의 상부 측벽에 설치되어 냉장 에너지를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냉동부(600)에 의해 소산되어 저장 서랍(300)내 식품에 직접 작용하기에 냉장 용량의 손실을 줄일 수있을뿐만 아니라, 냉동부(6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12 to 13 , in some optional embodiments,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refrigeration unit 600 installed on an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hamber 40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orage drawer 300 located in the storage chamber 400 faces the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hamber 400 , the refrigeration unit 6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hamber 400 to conveniently save refrigeration energy. In addition, since it is dissipated by the freezing unit 600 and acts directly on the food in the storage drawer 300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ss of refrigeration capacity, as well as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freezing unit 600 and reduce costs.

선택적으로, 냉동부(600)는 냉장고의 냉장 시스템과 연통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의 냉동 시스템의 냉매는 냉동부(600)로 전달되고, 냉동부(600)의 냉매는 증발하여 열을 흡수하여 저장 공간(400)의 열을 많이 빼앗아 저장 챔버(400)의 온도를 유지하고 식품을 냉장한다.Optionally, the freezing unit 600 communicates with a refrigeration system of the refrigerator. In this way, the refrigerant of the refrigeration system of the refrigerator is transferred to the refrigerating unit 600 , and the refrigerant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evaporates and absorbs heat to take a lot of heat from the storage space 400 ,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400 . and refrigerate food.

선택적으로, 냉동부(600)는 증발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발기는 냉동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며 쉽게 구할 수있어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Optionally, the refrigerating unit 600 is an evaporator. In this way, the evaporator is a commonly used component in the refrigeration process and is readily available, reducing production costs.

선택적으로, 저장 챔버(400)의 상부 측벽에는 열교환 홈(410)이 제공되고, 열교환 홈(410)에는 냉동부(6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동부(600)의 설치가 용이하고, 저장 챔버(400) 내부의 공기가 냉동부(600)와 열교환하기에 편리하며, 저장 챔버(400) 내부의 환경은 냉각에 편리하다.Optionally, a heat exchange groove 410 is provided on an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hamber 400 , and a refrigeration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 In this way, the installation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is easy, the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400 is convenient for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ting unit 600 , and the environment inside the storage chamber 400 is convenient for cooling.

선택적으로, 냉동 유닛(600)은 구불 구불 한 파이프 라인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 비용을 절감하면서, 열교환 홈(410)에서 복사되는 냉동부(600)의 면적이 넓어지고, 냉동부(600)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저장 챔버(400) 내부 환경의 온도 강하가 가속화된다.Optionally, the refrigeration unit 600 has a serpentine pipeline structure. In this way, while reducing production costs, the area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radiated from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is increase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is improv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orage chamber 400 is increased. The descent is accelerated.

선택적으로, 열교환 홈(410)는 직사각형이고, 상부 측벽에는 단열 패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교환 홈(410)의 냉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Optionally,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is rectangular, and an insulating pa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wall. In this way, the cooling loss of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can be reduced.

선택적으로, 팬(411)은 열교환 홈(410)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411)의 설치는 열교환 홈(410)의 기류의 흐름을 가속화 할 수있어 열교환 홈(410)에 설치된 냉동부(600)의 냉각 용량이 저장 챔버(400)로 더 빨리 소실되도록하고, 냉동부(600)의 열교환 효과를 강화한다.Optionally, the fan 411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 In this way, the installation of the fan 411 can accelerate the flow of the airflow in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so that the cooling capacity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is dissipated to the storage chamber 400 more quickly. and to enhance the heat exchange effect of the refrigeration unit 600 .

선택적으로, 팬(411)은 원심 팬(411)이다. 이와 같이, 원심 팬(411)은 팬(411)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기류를 흡입 한 후 팬(411)의 원주 방향으로 기류를 불어 넣어 저장 공간(400)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로 복사 할 수있다. 열 교환 홈(410)은 공기 흐름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복사 된 공기 흐름은 열 교환 탱크(410)에 설치된 냉동부(600)와 열을 교환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냉 에너지의 전도를 가속화하며 저장 챔버(400) 내부의 환경 온도 하강이 가속화 된다.Optionally, the fan 411 is a centrifugal fan 411 . In this way, the centrifugal fan 411 sucks the airflow from the fan 411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n blows the airflow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n 411 to suck the air in the storage space 400 and copy it to the inside. .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increases the speed of the air flow. The radiated air flow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tion unit 600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 tank 410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accelerate the conduction of cold energy. and the temperature drop of the environment inside the storage chamber 400 is accelerated.

선택적으로, 원심 팬(411)은 냉동부(600)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원심 팬(411)에 의해 송풍되는 기류와 냉동부(600)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냉동부(60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저장 챔버(400) 내부 환경의 온도 하강이 가속화 된다.Optionally, the centrifugal fan 41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 As such,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flow blown by the centrifugal fan 411 and the refrigerating unit 600 is increased,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refrigerating unit 600 is improved, and the temperature drop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torage chamber 400 is accelerated.

선택적으로, 복수의 공기 통로(412)가 열교환 오목 홈(410)의 가장자리에 제공되고, 복수의 공기 통로(412)는 열교환 오목 홈(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원심 팬(411)에 의해 송풍 된 공기 흐름은 열교환 홈(410)의 가장자리에있는 공기 통로(412)를 따라 분배되어 공기 분배 면적이 넓어지고 냉 에너지의 전도를 가속화하며 저장 챔버(400) 내부의 환경 온도 하강이 가속화 된다Optionally, a plurality of air passages 412 ar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 concave groove 410 , and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412 radiate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 concave groove 410 . In this way, the air flow blown by the centrifugal fan 411 is distributed along the air passage 412 at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to increase the air distribution area, accelerate the conduction of the cooling energy, and the storage chamber 400 . The internal environmental temperature drop is accelerated

선택적으로, 복수의 공기 통로(412)는 모두 저장 공동(400)의 상부 측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원심 팬(411)에 의해 송풍 된 공기 흐름은 열교환 홈(410)의 가장자리에있는 공기 통로(412)를 따라 분배되고, 공기 흐름은 저장 공(400)의 상부 측벽을 따라 분배되어 냉 에너지의 전도를 가속화하며 저장 챔버(400) 내부의 환경 온도 하강이 가속화 된다Optionally,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412 are all installed in the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avity 400 . In this way, the air flow blown by the centrifugal fan 411 is distributed along the air passage 412 at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 groove 410, and the air flow is distributed along the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hole 400 to distribute the cooling energy. Accelerate the conduction of the storage chamber 4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environment inside the storage chamber 400 is accelerated.

위의 설명 및 도면은 당업자가 이를 실시 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완전히 예시한다. 다른 실시 예는 구조적 및 기타 변경을 포함 할 수있다. 예제는 가능한 변경 사항만을 나타냅니다. 명시 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한 개별 구성 요소 및 기능은 선택 사항이며 작업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의 부분 및 특징은 다른 실시 예의 부분 및 특징에 포함되거나 대체 될 수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 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 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fully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m. Other embodiments may include structural and other changes. The examples represent only possible changes. Individual components and features are optional, and the order of operations can be changed unless explicitly required. Portions and features of some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or substituted for parts and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하우징 110: 제1 밀봉 도어 120: 제2 밀봉 도어
130: 돌출부 131: 흡착 스트립 140: 보온층
150: 관통 홈 151: 밀봉 개스킷 200: 개구
210: 오목 홈 211: 흡착 와셔 300: 저장 서랍
310: 보관함 320: 보온판 321: 핸들
322: 미끄럼 방지 커버 400: 저장 챔버 410: 열교환 홈
411: 팬 412: 공기 통로 500: 신축 구조
510: 수납부 520: 신축부 600: 냉동부
100: housing 110: first sealing door 120: second sealing door
130: protrusion 131: adsorption strip 140: insulating layer
150: through groove 151: sealing gasket 200: opening
210: recessed groove 211: suction washer 300: storage drawer
310: storage box 320: warming plate 321: handle
322: non-slip cover 400: storage chamber 410: heat exchange groove
411: fan 412: air passage 500: telescopic structure
510: accommodating unit 520: stretchable unit 600: refrigeration unit

Claims (10)

복수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은 저장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
복수개가 있는 개구; 상기 복수의 개구는 각각 다른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임의의 하나를 따라 인출 될 수 있는 저장 서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hous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ides, the plurality of sides defining a storage chamber;
a plurality of openings;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different sides,
a storage drawer installed within the storage chamber and withdrawable alo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저장 서랍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 서랍과 함께 인출 될 수 있거나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챔버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 도어;
상기 저장 서랍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 서랍과 함께 인출 될 수 있거나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뒤집혀서 열릴 수 있으며, 상기 저장 챔버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 도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ealing door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and capable of being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or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to be opened upside down along the housing, the first sealing door being configured to close an opening of the storage chamber;
a second sealing door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and capable of being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or being connected to the housing to be opened upside down along the housing, the second sealing door being configured to close an opening of the storage chamber;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저장 서랍은,
상기 저장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인출 될 수 있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인출 방향 일단에 설치되는 보온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torage drawer,
a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withdrawable alo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a heating plat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torage box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보온판에는 핸들이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handle.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도어 및/또는 제2 밀봉 도어에는 상기 핸들에 대응하는 관통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aling door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is provided with a through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핸들가 상기 보온판으로부터 돌출 된 길이는 상기 관통 홈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A length in which the handle protrudes from the heating plate is greater than a depth of the through groove.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도어 및/또는 상기 제2 밀봉 도어는 상기 저장 서랍과 신축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ealing door and/or the second sealing door are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in a telescopic structure.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저장 서랍의 측벽에 설치되는 수납부;
일단은 수납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 단부는 제1 밀봉 도어 및/또는 제2 밀봉 도어와 연결되는 신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a receiving unit installed on a side wall of the storage drawer;
One end is telescopical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the other end is a telescop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sealing door and / or the second sealing do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도어는 상기 저장 서랍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 서랍과 함께 인출 될 수 있고,
상기 제2 밀봉 도어는 상기 하우징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ealing door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rawer and can be drawn out together with the storage drawer,
The second sealing doo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is open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housing.
제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챔버의 상부 측벽에 설치되는 냉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refriger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sidewall of the storage chambe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KR1020217011136A 2020-06-30 2020-11-12 refrigerator KR10250606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14894.9A CN113865181A (en) 2020-06-30 2020-06-30 Refrigerator with a door
CN202010614894.9 2020-06-30
PCT/CN2020/128385 WO2022000932A1 (en) 2020-06-30 2020-11-1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948A true KR20220004948A (en) 2022-01-12
KR102506063B1 KR102506063B1 (en) 2023-03-03

Family

ID=7903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136A KR102506063B1 (en) 2020-06-30 2020-11-12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6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1432A1 (en) * 1981-04-15 1983-04-14 Simon Danzer GmbH & Co Fabrik für Organisationsmittel, 8201 Halfing Filing cabinet
CN1391645A (en) * 1999-09-13 2003-01-15 应用工程设计有限公司 Cold-storage appliance
KR20110040572A (en) * 2009-10-14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in refriferator for kitchen furniture
CN102121778A (en) * 2011-01-20 2011-07-13 张英利 Freezing and refrigeration apparatus
KR20150009258A (en) * 2013-07-16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Storage having a couple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1432A1 (en) * 1981-04-15 1983-04-14 Simon Danzer GmbH & Co Fabrik für Organisationsmittel, 8201 Halfing Filing cabinet
CN1391645A (en) * 1999-09-13 2003-01-15 应用工程设计有限公司 Cold-storage appliance
KR20110040572A (en) * 2009-10-14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Built-in refriferator for kitchen furniture
CN102121778A (en) * 2011-01-20 2011-07-13 张英利 Freezing and refrigeration apparatus
KR20150009258A (en) * 2013-07-16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Storage having a couple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063B1 (en)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81936B2 (en) Refrigerator
JP2010038528A (en) Refrigerator
US9417006B2 (en) Frame and refrigerating apparatus
WO2013154305A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4375595A1 (en) Refrigerator
KR20220004948A (en) Refrigerator
WO2011142128A1 (en) Refrigerator
WO2022000932A1 (en) Refrigerator
JP2000105058A (en) Refrigerator
JP2011038716A (en) Refrigerator
US11324315B2 (en) Refrigerator
CN204268591U (en) The refrigerating box of air-conditioner and the indoor set of air-conditioner
JP5952805B2 (en) Cold beverage dispenser
TW576911B (en) Cooler cover structure of refrigerator
JP5441517B2 (en) Cooling storage
CN212081738U (en) Refrigerating appliance
WO2020173355A1 (en) Refrigerator having blower transversely disposed besides and downstream of evaporator
JP2009216378A (en) Household electric refrigerator
CN107339844B (en) Wall hanging refrigerator
JP5689641B2 (en) refrigerator
KR101031132B1 (en) Refrigerator
KR200379303Y1 (en) Cooling structure
KR100563348B1 (en) Back side a cooling device of drawer room for Kimchi refrigerator
CN220153025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11650915U (en) Drawer type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