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944A -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944A
KR20220004944A KR1020210192063A KR20210192063A KR20220004944A KR 20220004944 A KR20220004944 A KR 20220004944A KR 1020210192063 A KR1020210192063 A KR 1020210192063A KR 20210192063 A KR20210192063 A KR 20210192063A KR 20220004944 A KR20220004944 A KR 2022000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heat
stopper
heat insulating
insula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상범
안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단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단열
Priority to KR102021019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944A/en
Publication of KR2022000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944A/en
Priority to KR1020230042060A priority patent/KR202300651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1Connecting; Fastening of roof covering supported by the roof structure with interposition of a insulat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08Connecting; Fastening for double roof covering or overroof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 first heat insulating par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an insulating base part, and a sealing part is disposed on a stopper part installed on the insulating base part.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may be improved through a second heat insulating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and the sealing part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Description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Insula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al insulation system in whic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최근 첨단 단열공법을 이용하여 열 손실을 저감시킴으로써 종래의 건축물에 비하여 75~90% 이상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가 있는 건축물로서의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a passive house as a building that can save more than 75 to 90% of energy compared to a conventional building by reducing heat loss by using an advanced insulation method is increasing.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은 세파 볼트 또는 세파 타이와 같은 폼 타이를 사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유지 고정된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것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를 구성하게 된다.In general, concrete building structures use form ties such as Sepa bolts or Sepa tie at regular intervals by installing fixed inner and outer formwork, pouring concrete in the space between them, and curing the concrete wall and slab. will constitute

이러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단열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및 외단열 시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the construction of such a concrete building structure, internal and 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s using insulating plates are widely used.

내단열 시공법은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가 단열 없이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므로 단열성이 열등하여 내부 결로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The insulation-resistant constr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being easy to construct and relatively inexpensive, but the concrete structure itself is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out insulation, so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rone to internal condensation due to poor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한편, 외단열 시공법은 단열성이 우수하여 내부 결로 현상이 없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무기재인 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유기 발포단열판재의 부착성이 열등하므로 부착이 곤란하여 시공이 쉽지 않고 공사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internal dew condensation and the energy saving effect is excellent due to th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y, but the adhesion of the organic foam insulation board to the inorganic concrete wall is inferior, so it is difficult to attach it, and the construction is not easy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not eas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st a lo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883호(2015.01.06. 등록, 발명의 명칭: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81883 (registration on Jan. 6, 2015, title of invention: dry exterior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단열부의 외측에 제2단열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키며, 제1단열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since the second insulating par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further reduced, and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can be improved. To provide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본체를 커버하는 단열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제1단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스토퍼부 상에 밀폐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제1단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부보다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단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heat-insulating base unit covering a building body; disposing at least one stopper part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forming a first insulating part on the insulating base part; disposing a sealing part on the stopper part to cover the stopper part; a second insula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first insulating part;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thermal ins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상측에 외장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osing the exterior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 상에 밀폐부를 배치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밀폐부와 상기 외장부 사이에 매개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arranging the closure on the stopper part, the step of arranging an intermediate part between the closure part and the exterior par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본체를 커버하는 단열베이스부;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스토퍼부; 상기 단열베이스부와 마주보며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부 상에 설치되는 밀폐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를 마주보며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제1단열부; 및 상기 제1단열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부보다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2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base portion covering the building body; at least one stopper part installed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a sealing part disposed facing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and installed on the stopper part; and a first heat insulating part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opper parts and disposed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facing the sealing part; and a second insula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aling part and having a heat transfer coefficient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은, 제1단열부의 외측에 제2단열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at insula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further reducing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into the building because the second insulation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first insulation portion.

또한, 제2단열부를 통해 열 및 공기를 수용하고, 밀폐된 영역에서 상기 제1단열부보다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heat and air are accommodated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part, an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in an enclosed area, thereby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의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ilding in which an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2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of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connected, other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s well as when the films, regions, and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ly connect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film, a region, a component, etc. are electrically connected, not only the case where the film, a region, a component, etc. ar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other films, regions, components, etc. are interposed therebetween. Indirect electrical connection is also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의 유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ilding in which an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n enlarged front 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2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path of h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은 단열베이스부(10), 스토퍼부(20), 제1단열부(30), 제2단열부(40), 밀폐부(50), 매개부(60), 외장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 the heat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insulation base portion 10 , a stopper portion 20 , a first insulation portion 30 , a second insulation portion 40 , and sealing. It may include a part 50 , an intermediate part 60 , and an exterior part 7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는 건물 본체를 커버하는 것으로, 단열베이스부(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building body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은 외단열(outside insulation)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외단열'이라 함은, 외벽, 지붕 등의 외주 부위를 단열할 때 단열재를 해당 부위의 주요 구조체 외기 측에 넣는 단열 방법을 의미한다. The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n outside insulation method, where 'external insulation' means, when insulating an outer peripheral portion such as an outer wall, a roof, etc. It means the insulation method that puts in the outside air side.

즉, 제1단열부(30)를 단열베이스부(10)의 외측에 배치함으로 인하여 단열성이 우수하여 내부 결로 현상이 없고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at is, by arrang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on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base part 10,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y is excellent, there is no internal dew condensation, and energy saving is possible.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는 건물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붕 구조체를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건물 본체의 측벽부에 배치되며 측벽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1 and 2, the insulating b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body, and forms a roof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t is arranged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improv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side wall part are possibl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는 단열 시스템의 가장 하측(도 4 기준)에 배치되는 것으로, 단열 시스템의 구조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concre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insulating b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based on FIG. 4 ) of the insulating system, and is made of a concrete material to maintain the structural shape of the insulating system. can be formed wi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 상에는 뒤에 설명할 스토퍼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단열베이스부(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A stopper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the heat insulating base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topper part 20 is disposed,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토퍼부(20) 상에는 뒤에 설명할 밀폐부(50)가 배치되며, 밀폐부(50)와 단열베이스부(10), 밀폐부(50)와 제1단열부(30)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2 to 4 , a sealing part 5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stopper part 20 , and the sealing part 50 and the insulating base part 10 , the sealing part 50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are disposed. 3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spaced apart.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열베이스부(10)의 하측(도 2 기준) 또는 단열베이스부(10)와 제1단열부(30) 사이에는 단열 물질이 코팅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 low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base 10 (based on FIG. 2 ) or between the heat insulating base 10 and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re coat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re possible, of course.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0)는 단열베이스부(1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2 to 4 , the stopper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nd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20)는 단열베이스부(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90도로 단열베이스부(10)와 수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stopper part 2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and specifically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by 90 degrees.

스토퍼부(20)가 단열베이스부(10)와 수직으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뒤에 설명할 밀폐부(50)와 단열베이스부(10)가 평행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도록 하고, 밀폐부(50)와 제1단열부(30)가 평행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도록 하여, 밀폐부(50)와 제1단열부(30) 사이에 공기 및 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2단열부(40)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stopper part 20 is vertically disposed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the sealing part 50 and the insulating base part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aling part 50 and the first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providing a flow path of air and heat between the sealing part 50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may be formed so that the insulating part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부(20)의 길이 방향 축이 단열베이스부(10)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topper part 20 forming an acute or obtuse angle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re possible.

스토퍼부(20)는 단열베이스부(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20)가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밀폐부(50)를 하측(도 4 기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topper unit 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ulating base unit 10 , whereby the stopper unit 20 may be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base unit 10 , and the sealing unit 50 may be moved to the lower side (Fig. 4) has the effect of stably supporting i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밀폐부(50)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2 , since at least one stopper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re is an effect of uniformly distributing and supporting the load of the sealing part 50 at at least one or more poi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0)는 단열베이스부(10)의 상측(도 3 기준)에서 밀폐부(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철근(steel reinforcement)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opper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inforcing bar (steel reinforcement) that can secure rigidity so as to support the sealing part 50 from the upper side (refer to FIG. 3) of the insulating base part 10. can be formed.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i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within the technical idea in which rigidity can be secured.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이상의 스토퍼부(20)를 연결하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토퍼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이상의 스토퍼부(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스토퍼브릿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 상의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bridge that connects two or more stopper units 20 and can secure rigidity. Two or more stopper parts 20 and a stopper bridge connecting them may partition an area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단열베이스부(10) 상에서 영역을 달리하여 제1단열부(30), 제2단열부(40)의 규모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user can set the scales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differently by changing the area o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

이에 더하여 단열베이스부(10) 상에서 복수의 스토퍼부(20)와 스토퍼브릿지로 형성되는 제1영역과 다른 스토퍼부(20)와 스토퍼브릿지로 인해 형성되는 제2영역 사이에서의 제1단열부(3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 first insulating part ( 30) can block the movement.

이에 더하여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베이스부(10)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우 및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물 본체의 측벽에서 단열베이스부(1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배치되는 경우에 제1단열부(30)를 배치함에 있어, 제1단열부(30)가 미리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insulating base 10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insulating base 10 on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body is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dispos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from deviate from a preset area.

스토퍼부(20)와 스토퍼브릿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되며, 스토퍼부(20)가 단열베이스부(10) 상에서 연장 형성되고 서로 다른 스토퍼부(20)가 연결되어 단열베이스부(10)를 구획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The stopper unit 20 and the stopper bridge may be independently formed and conn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grally forme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o be connected to partition the insulating base unit 10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0)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상하 방향) 크기는 뒤에 설명할 제1단열부(3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2 to 4 , the size of the stopper part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large.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20)의 상단부(도 3 기준)에 밀폐부(50)가 배치되는 경우, 밀폐부(50)가 하측(도 3 기준)으로 내려오지 않고, 제1단열부(30)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스토퍼부(20)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밀폐부(50)와 제1단열부(30) 사이에 제2단열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For this reason, when the sealing part 50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based on FIG. 3) of the stopper part 20, the sealing part 50 does not come down to the lower side (based on FIG. 3),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It may be installed on the stopper part 2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 50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

제2단열부(40)는 제1단열부(30)보다 공기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단열부(30)는 제2단열부(40)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달 계수가 낮게 형성되고, 제1단열부(30)에 더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air content tha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has a relatively low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 and, in addition to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제2단열부(40)를 통해 공기를 수용함으로 인하여 단열 시스템의 외측에서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키고, 제1단열부(30)와 함께, 단열 시스템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accommodating air through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system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further reduced, and together with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sulating system can be improved. It work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열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단열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2 to 4 ,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r more stopper parts 20 an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can be 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열부(30)는 단열베이스부(10)의 외측에 스프레이 폼(spray foam)방식으로 분사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ayed on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base part 10 in a spray foam method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제1단열부(30)가 스프레이 폼 방식으로 분사되어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단열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고, 접합부 등이 요구되지 않아,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sprayed and formed in a spray foam method, external heat insul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a joint part is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열부(30)는 우레탄폼이나 스티렌폼 등의 접착력을 갖는 뿜칠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spray-type material having adhesive strength, such as urethane foam or styrene foam.

또한, 제1단열부(30)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polyisocyanurate foam, PIR)이 충전되어 경화에 의해 사각 판상의 성형체로 형성될 수 있고, 페놀폼(PF) 등 단열 성능과 화재 안정성 등이 우수한 다양한 단열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filled with polyisocyanurate foam (PIR) and can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plate-shaped molded body by curing, and has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such as phenolic foam (PF) and fire stability. Of course, various excellent insulating materials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열부(30)는, EPS(발포폴리스타이렌, expanded polystyrene), XPS, 열반사단열재, 우레탄폼 단열재, 진공단열재, 암면, 글라스울, 미네랄 울, 무기섬유, 에어로겔, 유리상 단열재, 섬유상 단열재 또는 퍼라이트 소재일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열재가 부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PS (expanded polystyrene), XPS, heat reflective insulating material, urethane foam insulating material, vacuum insulating material, rock wool, glass wool, mineral wool, inorganic It may be a fiber, airgel, glass-like insulating material, fibrous insulating material, or perlite material,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forming in a form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insulating materials are attached are possible.

본 명세서에서 '뿜칠(spray coating)'이라 함은, 도료, 도장법의 하나로서 스프레이 도장, 분무 도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압축 공기에 의해 제1단열부(30)를 형성하는 물질을 안개 상태의 미립자로 하여 도장면, 즉 단열베이스부(10)에 분무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spray coating' means spray painting or spray painting as one of the paints and coating methods. Specifically, the material forming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by compressed air is sprayed onto the painted surface, that is,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s fine particles in a mist state.

뿜칠형 재질로 제1단열부(30)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건조 시간이 단축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전체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rying time is shorten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of the spray-type material, and thus the overall construction time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hortened.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열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열부(30)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은 단열베이스부(10)와 접촉되고, 타측(도 3 기준 상측)은 밀폐부(5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3 and 4 ,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or more stopper parts 20 .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lower side in FIG. 3 ) is in contact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and the other side (upper side in FIG. 3 ) faces the sealing part 50 .

복수의 스토퍼부(20)로 형성되는 영역에 제1단열부(30)가 수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토퍼부(20)로 인하여 형성되는 제1영역과, 제1영역과 근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스토퍼부(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영역의 내측에 제1단열부(3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미리 설정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may be accommodated in an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20 , and a first area formed by the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2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rea and is Since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region formed by the stopper part 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leaving the preset region.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스토퍼부(20)로 인하여 단열베이스부(10) 상에서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에 제1단열부(30)의 양을 달리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can be adjusted differently in a plurality of regions partitioned o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due to the stopper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단열부(30)는 밀폐부(50)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 사이에 제2단열부(40)가 형성 및 배치될 수 있고, 제2단열부(40)에서 독립적으로 단열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may face the sealing part 50 and may be spaced apart, thereby forming and disposing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aling part 50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insulate from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 and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hea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이에 더하여 제1단열부(30)에서 열이 발산되도, 밀폐부(50)와 제1단열부(3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열부(40)로 인하여 외부로의 열전달을 억제하며,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heat is dissipated from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heat transfer to the outside is suppressed due to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 50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heat insulatio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erformanc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열부(30)는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제2단열부(40)와 접촉하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일면을 따라 소정 곡률 반경을 가지며 돌출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며,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2 to 4 ,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form height and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is formed flat, but limited to this Rather than doing so, a protrusion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s formed along the one surface, and the height may be different.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제1단열부(30)의 높이를 달리하여, 단열베이스부(10) 상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의 단열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is, the operator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djust the insulation performance at a preset position on the insulation base portion 10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first insulation portion 30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단열부(40)는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 사이에 형성, 배치되는 것으로, 여기서 제2단열부(40)는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가 이격 배치됨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2 to 4 ,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aling part 50 , wherein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The part 40 may mean a space area formed by the spaced apart arrangement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aling part 50 .

제2단열부(40)는 제1단열부(30)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달 계수가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 함량이 제1단열부(30)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단열부(30)에 더하여 단열 시스템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may have a relatively low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 and specifically, the air content may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on system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0)가 단열베이스부(10)와 소정 각도, 구체적으로 90도를 이루며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스토퍼부(20) 상에 판(plate) 형상의 밀폐부(5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단열베이스부(10)와 밀폐부(5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be orthogonal to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t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90 degrees, and a plate-shaped sealing part on the stopper part 20 . Due to the arrangement of (50),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50 can be formed uniformly.

복수의 스토퍼부(20)로 인하여 단열베이스부(1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단열베이스부(10), 밀폐부(50), 스토퍼부(20)로 인하여 밀폐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Due to the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20, the insulating base portion 10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region, and the closed region may be formed due to the insulating base portion 10, the sealing portion 50, and the stopper portion 20. have.

밀폐 영역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공기의 함량이 제1단열부(30)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제2단열부(4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formation of the sealed reg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40 having a relatively larger content of ai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30 .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제1단열부(30)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여전히 제1단열부(30)의 상면(도 3 기준)은 밀폐부(50)의 하면(도 3 기준)과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 사이에 제2단열부(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part 30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based on FIG. 3 ) is still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art 50 ( 3 )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insulating part 4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aling part 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 스토퍼부(20), 밀폐부(50)로 인하여 형성되는 밀폐 영역에 제2단열부(4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공기의 함량이 제1단열부(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열전달 계수가 제1단열부(30)에 비해 작은 제2단열부(40)가 형성되는 구간에서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in the sealed area formed by the insulating base part 10, the stopper part 20, and the sealing par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tent is the firs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inside the building to the outside an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s further increased in the section where the second heat insulating section 40 is formed, which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heat insulating section 30 and has a smaller heat transfer coefficient compared to the first heat insulating section 30. has the effect of reducing i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50)는 단열베이스부(10)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으로, 스토퍼부(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2 to 4 , the sealing par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 face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topper part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베이스부(10)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50)는 스토퍼부(20)의 상측(도 3 기준)에 위치 고정되며 설치될 수 있다.The sealing par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Specifically, the sealing part 50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fixed to an upper side (refer to FIG. 3 ) of the stopper part 20 .

이로 인하여 밀폐부(50)와 단열베이스부(10) 사이는 소정 간격, 구체적으로 스토퍼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만큼 이격되고, 단열베이스부(10), 스토퍼부(20)와 함께 소정 부피를 가지는 영역을 밀폐시킬 수 있다. Due to this, the sealing part 50 and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pecifically, by a heigh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pper part 20, and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nd the stopper part 20. It is possible to seal the area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ogether with.

이러한 밀폐 영역에는 제1단열부(30), 제2단열부(40)가 서로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단열부(40)가 제1단열부(30)보다 공기 함량이 많게 형성되고 열전달 계수가 제1단열부(3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ealed area. In additi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may have a larger air content than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nd may have a smaller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

다시 말하여 밀폐 영역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공기에 의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sealed region is formed,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y air may be improved.

이에 더하여 제1단열부(30)의 상측(도 3 기준)과 밀폐부(50)의 하측(도 3 기준)은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 사이에는 제2단열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refer to FIG. 3 )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lower side (refer to FIG. 3 ) of the sealing part 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do not contact each other. A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aling part 50 .

제2단열부(4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1단열부(30)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is formed,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can be reduced, and a flow path can be provided so that the heat emitted from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에 더하여 제2단열부(40)는 공기를 함유하고 있어, 제1단열부(30)에서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제1단열부(30), 건물 본체로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 전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contains air, preventing heat transfer from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to the outside, and heat inflows from the outside into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the building bod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entire building by preventing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단열부(40)가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 사이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건물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3 and 4 ,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and the sealing part 50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ilding. ca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부(60)는 밀폐부(5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밀폐부(50)와 뒤에 설명할 외장부(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2 to 4 , the intermediate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closure part 50 , and is located between the closure part 50 and the exterior part 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laced.

매개부(60)는 밀폐부(50)와 외장부(70)에 각각 접촉하며, 밀폐부(50)와 외장부(7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part 60 may contact the sealing part 50 and the exterior part 70, respectively, and may connect the sealing part 50 and the exterior part 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부(60)에는 방수 필름이 코팅될 수 있으며,빗물 등으로 인하여 밀폐부(50) 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매개부(6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매개부(60) 상에서 빗물 등 수분이 유동되며 건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termediate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ated with a waterproof film,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sealing part 50 due to rainwater or the like. Due to the 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art 60 , moisture such as rainwater flows on the intermediate part 60 ,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부(60)는 타이벡(tyvek)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벡은 합성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으로서, 분지가 적고 결정성이 높다.The intermediate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yvek. Tyvek is a synthetic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with little branching and high crystallin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부(60)가 타이벡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외장부(70)의 내측에서 건물 내부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intermediate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yvek,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inside the building inside the exterior part 70 .

이에 더하여 외부의 찬공기 침투를 막을 수 있고,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 단열 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cold air from the outside, and to prevent the warm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thermal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이에 더하여 타이벡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다.In addition, Tyvek is a high-density polyethylen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can be recycled.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부(70)는 밀폐부(5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밀폐부(50)의 상측(도 3 기준)에 배치될 수 있다. 외장부(70)는 단열 시스템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2 to 4 , the exterior par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losure part 50 , and is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based on FIG. 3 ) of the closure part 50 . can The exterior part 70 may form the exterior of a thermal insulation system.

외장부(70)로 인하여 단열 시스템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external part 70, the heat insulation system has an effect that can protect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이하, '시공 방법'이라 한다.)은 단열베이스부(10)를 형성하는 단계(S10), 스토퍼부(20)를 단열베이스부(10) 상에 배치하는 단계(S20), 제1단열부(30)를 형성하는 단계(S30), 스토퍼부(20) 상에 밀폐부(50)를 배치하는 단계(S40), 밀폐부(50) 상에 매개부(60)를 배치하는 단계(S50), 매개부(60) 상에 외장부를 배치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 construc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base part 10 (S10), the stopper part Disposing (20) on the heat insulating base unit 10 (S20), forming the first insulating unit 30 (S30), disposing the sealing unit 50 on the stopper unit 20 (S40), arranging the intermediate part 60 on the sealing part 50 (S50), may include a step of arranging the exterior part on the intermediate part 60 (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베이스부(10)를 형성하는 단계(S10)는, 건물 본체를 커버하도록 건물 본체의 상측에 단열베이스부(10)를 배치할 수 있다. 단열베이스부(10)는 단열 시스템의 구조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p ( S10 ) of forming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body to cover the building body. The heat insulation base part 10 may be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to maintain the structural shape of the heat insulation system.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스토퍼부(20)를 배치하는 단계(S20)에서는,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스토퍼부(20)를 설치하는 것으로, 스토퍼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단열베이스부(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In the step (S20) of arranging the stopper unit 20 on the insulating base unit 10, the stopper unit 20 is installed on the insulating base unit 10, and the stopper unit 20 includes at least one an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10 .

도 2,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부(20) 상에는 밀폐부(50)가 배치되고, 스토퍼부(20)가 단열베이스부(10)와 소정 각도, 구체적으로 수직을 이루며 배치됨으로 인하여 단열베이스부(10)와 밀폐부(50)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제1단열부(30)가 단열베이스부(10)와 밀폐부(50) 사이에 위치하면서, 밀폐부(5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2 and 5 , the sealing part 50 is disposed on the stopper part 20 , and the stopper part 2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specifically, perpendicular to the insulating base part 10 . The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50 may be spaced apart facing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50, and the sealing part 5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에 더하여 단열베이스부(10), 스토퍼부(20), 밀폐부(50)로 인하여 밀폐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 영역에는 제2단열부(40)가 배치될 수 있고, 밀폐 영역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단열부(30)보다 상대적으로 공기 함량이 많은 제2단열부(4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 closed area is formed due to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the stopper part 20, and the sealing part 50,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may be disposed in the sealed area, and the sealing area is formed. Due to this,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having a relatively higher air content tha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may be improved.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단열베이스부(10)와 밀폐부(50)가 이격 배치되고, 단열베이스부(10)와 밀폐부(50) 사이에 제2단열부(40)가 형성, 배치됨으로 인하여, 제2단열부(40)를 통해 열 및 공기를 수용할 수 있고, 건물 본체와 외부 사이에서의 열(H) 및 공기 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and 4, the insulating base portion 10 and the sealing part 50 are spaced a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is formed betwee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50, Due to the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receive heat and air through the second heat insulating part 40 , and block heat (H) and air transfer between the building body and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이로 인하여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1단열부(3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can be reduced, and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can be improved.

도 5를 참조하면,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제1단열부(30)를 형성하는 단계(S30)는,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제1단열부(30)를 배치하는 것으로, 단열베이스부(10)의 외측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tep of forming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S30 ) is to arrange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It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base portion (10).

제1단열부(30)는 단열베이스부(10)의 외측에 스프레이 폼 방식으로 분사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열부(30)가 스프레이 폼 방식으로 분사됨으로 인하여, 외단열 방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제1단열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합부 등의 부가적인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sprayed on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in a spray foam method, an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ince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sprayed in the spray foam method, the external heat insulation method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no additional configuration such as a joint for fixing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is required, so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즉, 뿜칠형 재질로 제1단열부(30)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건조 시간도 단축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전체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drying time is also shorten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of the spray-type material,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verall construction time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hortened.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50)를 배치하는 단계(S40)는, 스토퍼부(20) 상에 밀폐부(50)를 배치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밀폐부(50)가 스토퍼부(20)를 커버할 수 있다.2 and 5 , the step of disposing the sealing par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40 ) is to arrange the sealing part 50 on the stopper part 20 , thereby The sealing part 50 may cover the stopper part 20 .

밀폐부(50)가 미리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스토퍼부(20)의 상측(도 3 기준)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단열베이스부(10)와 밀폐부(50)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단열베이스부(10) 상에 제1단열부(30)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Because the sealing part 5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based on FIG. 3) of the stopper part 20 formed at a preset height, the heat insulation base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5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may be disposed on the insulating base part 10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에 더하여 단열베이스부(10)와 스토퍼부(20)를 밀폐부(50)가 커버함으로써 밀폐 영역이 형성되고, 밀폐 영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제1단열부(30)보다 공기 함량이 많고,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단열부(30)와 함께 단열 시스템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this, a sealed area is formed by covering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and the stopper part 20 by the sealing part 50, and the air cont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in the sealed area, an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As is formed relatively small,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together with the first thermal insulation part 30 .

제1단열부(30)는 일면(도 3 기준 하면)이 단열베이스부(10)와 접촉되고, 타면(도 3 기준 상면)이 밀폐부(50)와 이격 배치되며, 제1단열부(30)와 밀폐부(50) 사이에 제2단열부(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has one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FIG. 3 ) in contact with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10 , and the oth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FIG. 3 ) is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part 50 , and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 and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4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50).

공기 함량이 제1단열부(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고, 제1단열부(30)보다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단열부(40)로 인하여 공기 및 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1단열부(3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 path for air and heat due to the second insulating part 40 having a relatively large air content compared to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than the first insulating part 30,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30 .

도 5를 참조하면, 밀폐부(50)를 배치하는 단계(S40) 이후에, 밀폐부(50)의 상측에 매개부(60)를 배치할 수 있다. 매개부(6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밀폐부(50)와 외장부(70)에 각각 접촉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fter the step of disposing the sealing part 50 ( S40 ), the intermediate part 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art 50 .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intermediate part 60 , the sealing part 50 and the exterior part 70 may be contact-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개부(60)의 상, 하면(도 3 기준)에는 방수 필름이 코팅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빗물 등이 밀폐부(5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매개부(60) 상에서 빗물 등 수분이 유동되며 건물 외부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waterproof film may be co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ased on FIG. 3) of the intermediate part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preventing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aling part 50 side, Moisture such as rainwater flows on the intermediate unit 60 and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도 5를 참조하면, 외장부를 배치하는 단계(S60)에서는 외장부(70)를 밀폐부(50)의 상측, 구체적으로 밀폐부(50) 상에 배치되는 매개부(60)의 상측에 배치할 수 있다. 외장부(70)로 인하여 단열 시스템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이물질로부터 단열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step of disposing the exterior part ( S60 ), the exterior part 7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osure part 50 , specif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part 60 disposed on the closure part 50 . can Due to the exterior part 70, the exterior of the insulation system may be formed, and the insulation system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s and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제1단열부(30)의 외측에 제1단열부(30)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달 계수가 작고, 공기 함량이 많은 제2단열부(4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ins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thermal insulation unit 40 having a relatively sm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a large air content than the first insulating unit 30 on the outside of the first insulating unit 30 .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또한, 제2단열부(40)를 통해 열 및 공기를 수용하고, 외측에서 내측,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하여 단열 시스템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thermal insulation system by receiving heat and air through the second thermal insulation unit 40 and preventing heat transf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illustrative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1: 단열 시스템 5: 건물 본체
H: 열 10: 단열베이스부
20: 스토퍼부 30: 제1단열부
40: 제2단열부 50: 밀폐부
60: 매개부 70: 외장부
1: Insulation system 5: Building body
H: row 10: insulating base part
20: stopper part 30: first insulating part
40: second insulating part 50: sealing part
60: intermediate part 70: exterior part

Claims (4)

건물 본체를 커버하는 단열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복수 개의 스토퍼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제1단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스토퍼부 상에 밀폐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와 상기 제1단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부보다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단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베이스부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건물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붕 구조체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스토퍼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단열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
forming an insulating base unit covering the building body;
disposing a plurality of stopper parts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forming a first insulating part on the insulating base part;
disposing a sealing part on the stopper part so as to cover the stopper part;
a second heat insula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 and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and having a heat transfer coefficient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part is formed;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body to form a roof structure,
A plurality of the stopper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ulating base par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heat ins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상측에 외장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hermal insul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disposing an exterior part on the upper side of the seal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 상에 밀폐부를 배치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밀폐부와 상기 외장부 사이에 매개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열 시스템의 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disposing the sealing part on the stopper part, disposing an intermediate part between the sealing part and the exterior part;
건물의 본체를 커버하는 단열베이스부;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스토퍼부;
상기 단열베이스부와 마주보며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부 상에 설치되는 밀폐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스토퍼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를 마주보며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제1단열부; 및
상기 제1단열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단열부보다 열전달 계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2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베이스부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건물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붕 구조체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상기 스토퍼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단열베이스부 상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단열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시스템.
an insulating base unit covering the body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stopper parts installed on the insulating base part;
a sealing part disposed to face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and installed on the stopper part; and
a first heat insulating part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opper parts and disposed on the heat insulating base part facing the sealing part;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aling part and having a heat transfer coefficient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ulating part;
The insulating base portion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body to form a roof structure,
A plurality of the stopper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ulating base part,
The heat ins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 insulating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KR1020210192063A 2019-08-13 2021-12-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2000494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063A KR20220004944A (en) 2019-08-13 2021-12-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230042060A KR20230065197A (en) 2019-08-13 2023-03-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39A KR20210019830A (en) 2019-08-13 2019-08-13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210192063A KR20220004944A (en) 2019-08-13 2021-12-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39A Division KR20210019830A (en) 2019-08-13 2019-08-13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060A Division KR20230065197A (en) 2019-08-13 2023-03-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944A true KR20220004944A (en) 2022-01-12

Family

ID=746883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39A KR20210019830A (en) 2019-08-13 2019-08-13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210192063A KR20220004944A (en) 2019-08-13 2021-12-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230042060A KR20230065197A (en) 2019-08-13 2023-03-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39A KR20210019830A (en) 2019-08-13 2019-08-13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060A KR20230065197A (en) 2019-08-13 2023-03-30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1983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36A1 (en)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197A (en) 2023-05-11
KR20210019830A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827B1 (en) Roof outside insulation waterproof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710410B1 (en) Heat Insulat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30065197A (en)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2652839A1 (en) Insulation system for cement walls
US20050279039A1 (en) Earth coupled geo-thermal energy free building
US6735914B2 (en) Load bearing wall
KR102239566B1 (en) Waterproofing structure
US6920729B2 (en) Composite wall tie
JP5319401B2 (en) Column base protection structure
US20130227900A1 (en) Insulating Member for Building Construction
WO2020118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ulating an intermodal container
KR102551911B1 (en) Insulation system using Foam-type insulat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insulation system
KR100994446B1 (en) Covering method of structure using knockdown panel and knockdown panel
KR101471468B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arapet
US10279992B2 (en) Thermally insulated reservoir
KR101571847B1 (en) Floor structure of modular unit and modular unit of using it
KR101306620B1 (en) Slim shape air vent
JP4746781B2 (en) Exterior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s
KR100469124B1 (en) Partition wall for a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60846Y1 (en) Compounded insulation panel of concrete wall for condensation proof
JP2602828Y2 (en) Ventil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JP2008240288A (en) Vent structure in external heat insulation structure
KR200349415Y1 (en) Compounded insulation panel of concrete wall or slab for condensation proof
JP3962673B2 (en) Outer insulation precast plate and outer insulation wall
JP3149019B2 (en) Unit bas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