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250A -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 Google Patents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250A
KR20220004250A KR1020200081838A KR20200081838A KR20220004250A KR 20220004250 A KR20220004250 A KR 20220004250A KR 1020200081838 A KR1020200081838 A KR 1020200081838A KR 20200081838 A KR20200081838 A KR 20200081838A KR 20220004250 A KR20220004250 A KR 2022000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mmunication
signal
luminaire
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티넷
Priority to KR102020008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250A/en
Publication of KR2022000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25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power line carrie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integrated wiring device for power and communication using a power plac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signals including identification (ID) for specifying any one luminaire among a plurality of luminaires and data for turning on and off electricity and dimming control;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luminaire; and a power plexe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through one cable or one pipe and outputting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ower and dimming of the luminaire. Therefore, an electric wire and a pipe are constructed as integrated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easily for a branch circuit for a lamp, heating and fire fighting to reduce a construction period and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Description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Device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power plexe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본 발명은 배선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과 전원라인을 하나로 통합하여 전송하고 사용단에서 이를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distribu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device using a power plex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transmit by integrating communication and power lines into one, and to branch and use them at a user end.

근래 삶의 질의 향상과 더불어 조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대의 조명 장치는 단지 스위치로 등을 켜는 것 이상이 요구된다. 즉, 현대의 조명 장치는 실내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거 나, 주변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등 보다 진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people's interest in lighting is increasing. Modern lighting devices require more than just turning on a light with a switch. That is, modern lighting devices are developing into more advanced forms, such as creating various atmospheres according to indoor uses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lluminanc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illuminance.

이렇게 진화되고 있는 조명 장치는 일반적으로 DALI(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통신에 기반하고 있다. DALI 통신 표준은 각각의 조명에 주소를 할당하거나 그룹으로 할당하여 여러 조합의 씬(scene)을 설정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These evolving lighting devices are generally based on DALI (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communication. The DALI communication standard can implement a lighting device that can satisfy user requirements by assigning an address to each lighting or assigning it to a group to set multiple combinations of scenes.

DALI 통신은 두 가닥으로 이루어진 버스(bus)를 이용하여 저전압으로 구동되며, 하나의 DALI 버스당 64개까지의 DALI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DALI communication is driven by a low voltage using a two-stranded bus, and up to 64 DALI interfaces per one DALI bus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DALI 통신은 DALI 인터페이스를 통해 DALI 시스템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DALI 통신으로서 감시되고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상태는 고장 여부, 센서에 의한 화재나 보안상의 문제들이 될 수 있다. DALI communication monitors and controls the status of components connected to the DALI system through the DALI interface. As DALI communication, the status of components that can be monitored and controlled can be faulty, fire caused by sensors, or security issues.

DALI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는 시리얼 데이터 스트림(serial data stream) 형태이고, 주소 부분(address part)과 명령 부분(command part)으로 구성된다. DALI 장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전압레벨을 사용하여 "0" 과 "1"을 표현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하고,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형태로 각각의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일반적으로 DALI 통신은 64개의 주소 설정 및 16개의 그룹 주소 설정이 가능하다. A message used in the DALI system is in the form of a serial data stream and consists of an address part and a command part. The DALI device uses digital data expressing “0” and “1” using two different voltage levels, and communicates using each address in a broadcast form. In general, DALI communication can set 64 addresses and 16 group addresses.

도 1에 이러한 종래의 DALI시스템을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1 is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such a conventional DALI system is disclosed.

도 1의 기술은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95153호(명칭:DALI 통신기반의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 것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조명 제어 장치는 DALI 밸러스트(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ballast, 11), DALI 마스터(12) 및 관리 서버(13)를 포함한다. The technology of FIG. 1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95153 (Name: DALI communicatio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a DALI ballast (Digital Addressable Lighting Interface ballast, 11), a DALI master 12 and a management server 13.

관리 서버(1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ALI 마스터(12)와 유무선 통신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며, 각각의 DALI마스터(1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ALI 밸러스트(11)와 DALI 통신방식에 의하여 연결된다. 관리 서버(13)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ALI 마스터(12)를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하거나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 의 DALI 마스터(12)는 DALI 버스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DALI 밸러스트(11)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거나 관리 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13 is connected to one or more DALI masters 12 by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each DALI master 12 is connected to one or more DALI ballasts 11 by a DALI communication method. The management server 13 can centrally control or manage one or more DALI masters 12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each DALI master 12 is connected to one or more DALI ballasts ( 11) can be controlled or managed in an integrated way.

DALI 버스 전력공급부(14)는 DALI 마스터(12) 및 DALI 밸러스트(11) 사이의 DALI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The DALI bus power supply unit 14 supplies power required for DALI communication between the DALI master 12 and the DALI ballast 11 .

DALI 밸러스트(11)는 DALI 통신을 통하여 DALI 마스터(1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조명장치를 구동하는 제어장치를 말한다. The DALI ballast 11 refers to a control device that drives a lighting device based on a contro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ALI master 12 through DALI communication.

조명장치의 제어 정보는 관리 서버(13)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생성을 위해, 관리 서버(13)에는 키보드 입력장치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생성을 위한 설정값은 사용자 인터페 이스를 통하여 관리 서버(13)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설정값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서버(13)에 접 속된 외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관리 서버(13)에 입력될 수 있다. 외부 클라이언트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값은 마스터 주소, 밸러스트 주소와 함께 제어 정보의 형태로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DALI 마스터(12)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13)와 DALI 마스터(12) 사이의 유 무선 통신은 RS-232, RS-485, USB, Ethernet 또는 RF(Radio Frequency) 형태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일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lighting device may b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3 . In order to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input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management server 13 . A set value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management server 13 through a user interface. Also, the set value may be input to the management server 13 through an external client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3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The external client may include, for exampl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or the like. The se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DALI master 12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form of contro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aster address and ballast addres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ment server 13 and the DALI master 12 may be short-distance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in the form of RS-232, RS-485, USB, Ethernet, or RF (Radio Frequency).

관리 서버(13)로부터 DALI 마스터(12)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는 DALI 마스터(13)가 특정 시간에 따라 DALI 밸러스트(11)를 제어하도록 하는 스케줄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DALI 마스터(12)는 관리 서버(13)로부터 전송 된 스케줄 데이터를 관리하고,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DALI 밸러스트(11)를 동작시키는 제어 메시지를 DALI 밸러 스트(11)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DALI 마스터(12)는 관리 서버(13)로부터 전송된 스케줄 데이터에 따라, 기상 시간에 맞춰 침실의 조도를 높이거나, 일몰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전원을 차단하거나, 사용자의 퇴실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DALI 밸러스트(11)를 제어할 수 있다. DALI 마스터(12)는 이러한 스케줄 데 이터 관리를 위해서 실시간 시간 설정(Real Time Clock, RTC)이 요구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 to the DALI master 12 may include schedule data for allowing the DALI master 13 to control the DALI ballast 11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The DALI master 12 manages the schedul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 , and transmits a control message for operating the DALI ballast 11 according to the schedule data to the DALI ballast 11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chedul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3, the DALI master 12 increases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 according to the wake-up time, turns off the pow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sunset, or schedules after the user leaves the room.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ALI ballast 11 to turn off the power when time elapses. The DALI master 12 may require a real time clock (RTC) to manage such schedule data.

또한, 많은 주택, 사무실 및 산업 영역의 조명 기반 시설들은 조명과 관련된 디밍 회로(dimming circuit)들을 갖추고 있다. 개인의 안락감을 증진시키고, 조명원의 수명을 연장하며,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조명 디밍 제어 들이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many residential, office and industrial lighting infrastructures are equipped with lighting-related dimming circuits. Light dimming controls are being used to enhance personal comfort, extend the life of the light source, and save energ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시스템은 전력과 통신케이블이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 DALI시스템의 전원과 통신을 분리 시공시 불편하고, 인건비와 시공기간 증가에 따른 고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ighting system consists of separate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power and communication of the existing DALI system, and there are problems in that labor costs and high costs are incurred due to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즉, 도 2의 종래의 등기구 배선도를 참고하면, 종래에는 스위치제어단에서 각각의 등기구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별개의 스위치 라인이 전원과 함께 케이블이나 파이프 라인에 포함되어 배관배선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수 만 큼에 해당하는 케이블들이 천정에 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관배선의 수가 많아지므로 이에 따른 공기가 늘어 나고, 시공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wiring diagram of the luminaire of FIG. 2 , in the related art, a separate switch line for on/off control of each luminaire at the switch control stage is included in a cable or pipeline along with a power source for piping, so the number of switches Since the corresponding cables must be wired on the ceiling, the number of piping wiring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air and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즉, 도 2를 참고하면, AC 또는 DC로 제공되는 전원라인과 각각의 스위치(SW1,SW2,SW3,SW4)의 수에 해당하는 라인들이 천정에 배선되어야 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2 , power lines provided as AC or DC and lin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witches SW1 , SW2 , SW3 , SW4 should be wired to the ceiling.

각각의 스위치에서 제공되는 라인은 동일한 라인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등기구로 구성되는 채널(ch1,ch2,ch3,ch4)로 분기될 수 있도록 4개의 분기구에 연결되어야 한다. 도 2에서는 4개의 스위치로 4개의 채 널을 제어하기 위해 4개의 분기구를 사용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The line provided by each switch should be connected to the four branches so that it can branch into channels (ch1, ch2, ch3, ch4) composed of one or more luminaires connected to the same line. In FIG. 2, it is exemplified that 4 branches are used to control 4 channels with 4 switches.

따라서, 각 채널에 해당하는 스위치 라인을 분기구까지 배관배선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각 분기구에서는 해당 스위치라인과 해당 채널을 접속하는 접속점의 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배관배선이 복잡해지고, 공기가 늘어나며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witch line corresponding to each channel must be piped to the branch, and the number of connection points connecting the switch line and the corresponding channel in each branch increases, so the piping wiring becomes complicated, the air is increased, and the costs will arise.

또한, 기존은 전원은 스타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별 등기구별 디밍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DALI 통신배관/배선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ower source uses a star method, a separate DALI communication pipe/wiring is required to control dimming for each individual luminai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와 통신 라인을 통합하여 배관배선하고 사용단에서 이를 분배하여 전원과 디밍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is problem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a power plexer capable of integrat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lines for piping wiring and distributing them at the end of use to control power and dimming functions. do it hostilely

또한, 본 발명은 전기와 통신 라인을 통합하여 배관배선하고 사용단에서 이를 분배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할수 있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ntegrated power and communication wiring using a power plexer that integrates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lines for pipe wiring and distributes them at the end of use to control the on/off of power.

또한, 본 발명은 전기와 통신라인을 입력받아 이를 기구적인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각 등기구별로 분배할 수 있는 부스바를 제공할 수 있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 으로 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a power plexer that can receiv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lines and provide busbars that can be distributed to each luminaire using a mechanical fastening method. The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은 부스바로 입력되는 전기와 통신라인이 배치된 제1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상기전기와 통신라인을 입력받아 이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제어신호를 다시 제1 공간으로 출력하여 각 등기구별로 제 공하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lines in a plane located outside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lines input to the busbar are arranged,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hat is circuit-processed again to the first space. Therefor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device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the power plexer provided for each luminair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는 다수의 등기구에서 어느 하나의 등기구를 특정하기 위한 ID(identification)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하는 신 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로 전송받아 상기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플렉서를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The device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the power plex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ncludes an ID (identification) for specifying any one luminaire from a plurality of luminaires and a new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electricity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call,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luminaire, and a power plexer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through one cable or pipe and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and dimming of the luminaire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이러한 파워플렉서는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을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분배하는 부스바, 및 상기 부스바의 외측에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제어 신호를 상기 각각의 등기구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Such a power plexer receives the signals of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in a plane positioned outside the bus bar and the bus bar for distributing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mechanically, and processes them in a circu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circuit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to the respective lighting fixtures.

또한, 부스바는 둘 이상의 전원라인과 둘 이상의 통신라인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일단에접속되고 타단은 제2커넥터가 접속되는 도전물질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로바와, 상기 각각의 가로바와 전기적 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신호를 하나 이상의 제3 커넥터로 전달하는 도전 물질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세로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connector to which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wo or more communication lines are connected, and at least one transverse ba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connected to one end and a secon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each of the abov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one or more vertical bar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first connector to one or more third connectors.

또한, 상기 제3커넥터와 접속되는 상기 도전물질의 일측에 상기 각각의 도전물질과 상기 제어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In addition, a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of the conductive materials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is included on one side of the conductive material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is electric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한편, 제어회로부는 입력받은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으로부터 ID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와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부 스바로부터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을 전기적으로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전원라인을 온오 프제어하여 전기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원스위칭부와, 등기구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디밍통신부와, 상기 인입부의 통신라인으로부터 ID와 전기 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온오프제 어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디밍통신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figure the control circuit unit to read the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ID and electricity from the received power line and communication line, and output the power on/off control signal and the dimming control signal to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At least one inlet for receiving an electrical input of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from the bus bar, and at least one power switching unit for controlling on/off control of the power line of the inlet to output an electric on/off control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At least one dimming communication unit for outputting a dim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imming, and reads the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ID and electricity from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inlet unit, and turns on the power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off-control and outputs a signal to control the dimming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그리고, 다수의 등기구에서 어느 하나의 등기구를 특정하기 위한 ID와 전기의 온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로 전송받아 상기 등기구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면, 통 신라인을 이용하여 전원 제어를 간단한 시공으로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an ID for specify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s and electric on/off data, a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the lighting fixtu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are combined into one If a power plexer that is transmitted through a cable or pipe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luminaire is included, power control using a communication line can be solved with simple construction.

이때도, 파워플렉서는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을 기구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의 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전원제어신호를 상기 각각의 등기 구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부스바는 둘 이상의 전원라인과 둘 이상의 통신라인이 접 속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속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속신호를 각각의 제 1 도전물질에 의하여 접속되는 제2커넥터, 및 상기 각각의 제1 도전물질과 기구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1커넥 터의 접속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2 도전물질에 의하여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하여야 한다.At this time, the power plexer also receives a bus bar that mechanically connects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and receives the signals of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in a plane located outside the bus bar, and processes the power control circuitry. and a control circuit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to each of the lighting devices, wherein the bus bar is configured to bypass a first connector to which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wo or more communication lines are connected, and a connection signal of the first connector a second connec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first connector by each first conductive material, and a second connector which is mechanically fastened with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 to output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first connector, respectively 2 It shall include at least one third connector connected by a conductive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의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에 의하면 전선과 배관이 일체로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전등, 전열, 소방 분기회로로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공기가 짧고, 시공비가 적게 든다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evice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the power plex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is simple because the electric wire and the pipe are integrally constructed, and since it is easy to use as a light, electric heat, and fire-fighting branch circuit,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short. has the effect that it costs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전원의 온오프와 및/또는 디밍제어를 각각 별도로 또는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integrated power and communication wiring using a power ple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off and/or dimming control of the power supply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or integrated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 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 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 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and “devic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or software can be implemented a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The term “and/or”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mbinations possible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or the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as well as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 combination of all possible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 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n addition,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 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 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부스바"는 하나의 파이프나 케이블로 전송되는 전기와 통신라인을 기구적으로 분배하여 하나 이상의 등기구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입력신호의 기구적 분배장치를 의미한다. "Bus bar" means a mechanical distribution device for input signals configured to mechanically distribut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lines transmitted through one pipe or cable and transmit them to one or more luminaires.

"제어회로부"는 상기 부스바에서 기구적으로 분배된 신호를 회로부품들을 이용하여 이를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동작되는 회로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장치들을 통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스바에서 업로드받은 신호를 처 리하여 전기 또는 디밍제어신호를 다시 부스바로 다운로드하도록 동작된다. The "control circuit unit" collectively refers to devices electrically connecting circuit components operated to process and output the signal mechanically distributed from the bus bar using circuit compon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perated to process the signal uploaded from the busbar and download the electric or dimming control signal back to the busbar.

"파워 플렉스"는 하나의 케이스내에 상기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가 위치한 평면과 다른 평면에 제어회로를 실장하고 입력되는 신호와 출력되는 신호는 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의미한다."Power flex" means a device in which the bus bar and the control circuit are mounted in a plane different from the one on which the bus bar is located in one case, and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connected by a connect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파워플렉서의 사용실시예이고, 도 4는 파워플렉서의 확대 도면이다. 3 is an example of using a power plexer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wer plex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는 신호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공통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여 ID별로 구별되는 등기구의 전원 또는 디밍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파워플렉서를 사용하고자 하는 등기구의 인근에 설치하여 해당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apparatus for integrated power and communication wiring using a power ple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line in common through one cable or pipe, and processes the transmitted signal to be distinguished by ID.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luminaire by installing it in the vicinity of the luminaire to use the power plexer that outputs the power of the luminaire or a control signal for dimming control.

이를 위하여 AC 또는 DC로 전송되는 전원라인(P1,P2)과 통신라인으로 사용되는 DATA Line(D1,D2;이하 통신라인이라 함)으로 구성되는 신호라인이 하나의 케이블(또는 파이프)(220)를 통하여 파워플렉스(200)로 전송되게 구 성한다. To this end, a signal line composed of power lines (P1, P2) transmitted as AC or DC and DATA lines (D1, D2;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lines) used as communication lines is a single cable (or pipe) 220 . It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power flex 200 through

여기서 본 발명은 등기구의 개수와 관계없이 전원제어와 통신에 필요한 4개의 라인(전원라인2, 통신라인2)을 전송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채널의 수에 해당하는 라인을 배선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wire the lin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hannels as in the prior art, because four lines (power line 2, communication line 2) necessary for power control and communication are transmitt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luminaires. .

특히, 통신라인은 2개의 라인이 필요한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등기구에서 사용되는 규격인 DALI 통신과 클럭과데이터라인으로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I2C 버스 라인을 구축할 때 필요한 라인 개수이므 로, 이보다 줄거나 늘어나는 것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In particular, it is explained that two lines are required for the communication line, but this is the number of lines required to construct an I2C bus lin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specifying addresses with DALI communication and clock and data lines, which are standards used in luminair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decrease or increase.

즉, 본 발명은 공통되는 전원라인과 데이터 통신라인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라인수로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개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concept for building a facility with a minimum number of lines using a common power line and data communication line.

종래의 기술인 도 2를 참고하면, 공통되는 라인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채널마다 해당 스위치 라인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최소 스위치의 갯수에 해당하는 라인을 구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한편, 통신라인도 통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2개 라인(D1,D2)을 설정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라인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which is a prior art, it can be seen that since a common line is not used and each channel must b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witch line, a line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number of switches must be built.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wo lines D1 and D2 are set for normal data transmis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using one or more lines.

이는 본 발명이 전원라인수나 통신 라인수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을 하나의 파이프에 삽입하여 각각의 등기구에 연결된 파워플렉스로 전달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haracterized in the number of power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but in that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are inserted into one pipe and delivered to the power flex connected to each luminaire.

도 3을 참고하면, 4개의 라인을 이용하여 64개의 등기구(CH1~CH64)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결국 4개의 전송라인을 이용하고, 4개의 라인에 대한 접속점만 필요하게 되므로, 배선할 라인의 수도 줄어들고,파월플렉스(200)도 4개 라인에 대한 신호처리만 행하면 되므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a case in which 64 light fixtures CH1 to CH64 can be controlled using 4 lines is shown. In the end, since 4 transmission lines are used and only connection points for 4 lines are required, The number of lines to be wired is also reduced, and the Powell Flex 200 can be configured simply because it is only necessary to process signals for four lines.

따라서, 하나의 케이블(220)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라인(P1,P2)과 통신라인(D1,D2)을 파워플렉스(200)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부재에 의하여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ower lines P1 and P2 and the communication lines D1 and D2 transmitted through one cable 220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y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ower flex 200 .

도 9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워플렉서와 연결되는 커넥터의 예시도를 참고하면, 각 케이블(220,230,240,250)의 종단에는 접속부재로 제2 형상의 커넥터(221,231,241,251)가 접속되고, 파워플렉스(200) 에는 이와 접속될 수 있는 제1 형상의 커넥터(201,202,203,204)로 상호 접속되게 구성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xemplary diagram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wer ple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the second shape of the connector 221,231, 241,251 as a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cable 220, 230, 240, 250, and the power flex It can be seen that at 200, it is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with connectors 201, 202, 203, and 204 of a first shape that can be connected thereto.

여기서, 제1 형상과 제2 형상의 커넥터로 칭한 것은 이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커넥터 접속부재로 사용된다는 의미이며 어느 하나에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the connectors of the first shape and the second shape means that they are combined and used as on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and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can be formed in either one.

통신 라인(D1,D2에는 다수의 등기구(CH1~CH64)에서 어느 하나의 등기구를 특정하기 위한 ID(identifition)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lines D1 and D2 may include an ID (identification) for specify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amps CH1 to CH64, and electric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도 10의 통신라인의 신호 구성도를 참고하면 헤더부에 각 등기구를 특정하기 위한 ID Part와 각 등기구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온오프데이터와, 그리고 필요한 경우 디밍제어신호를 포함하는 DATA Part로 구성하고 데 이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sig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line of FIG. 10, the header part includes an ID Part for specifying each lamp, power on/off data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each lamp, and, if necessary, a DATA Part including a dimming control signal. It can be configured and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in a data-streaming manner.

참고로 도 3의 64CH의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ID Part를 6 비트(bit)로 구성하면 64개 채널의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For reference, in order to control the luminaire of 64CH of FIG. 3, if the ID part is configured with 6 bit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uminaire of 64 channels.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라인(D1,D2)은 스위치 제어부나 별도의 관리서버, 게이트 웨이 등을 통하여 해당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 제어를 위한 신호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lines (D1, D2)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a signal for power and dimming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luminaire is configured through a switch control unit,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a gateway, or the like.

파워플렉서(200)는 통신라인(D1,D2)과 전원라인(P1,p2)을 하나의 케이블(220)로 전송받아 해당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The power plexer 20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mmunication lines D1 and D2 and the power lines P1 and p2 through one cable 220 and out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and dimming of the corresponding luminaire.

이를 위하여 파워플렉스(200)는 전원라인(P1,P2)과 통신라인(D1,D2)을 커넥터를 통하여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분배하는 부스바(210)와 부스바(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전원라인(P1,P2)과 통신라인(D1,D2)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제어신호를 각각의 등기구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To this end, the power flex 200 is located outside the bus bar 210 and the bus bar 210 for distributing by mechanically connecting the power lines (P1, P2) and the communication lines (D1, D2) through a connector. Includes a control circuit unit 110 that receives the signals of the power lines (P1, P2) and the communication lines (D1, D2) in the plane and outputs the power control signal and the dimming control signal that are circuit-processed to each luminaire configure to do

또한, 부스바(210)는 둘 이상의 전원라인(P1,P2)과 둘 이상의 통신라인(D1,D2)이 접속되는 제1 형상의 커넥터1(201)과, 커넥터1(201)의 접속신호를 바이패스시키도록 커넥터1(201)의 접속신호를 각각의 제1 도전물질에 의 하여 접속되는 제1 형상의 커넥터2(202)와, 상기 각각의 제1 도전물질과 기구적으로 체결되어 커넥터1(201)의 접속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2 도전물질에 의하여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3(203,20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s bar 210 receives the connection signal of the connector 1 201 and the connector 1 201 of a first shape to which two or more power lines P1 and P2 and two or more communication lines D1 and D2 are connected. Connector 2 (202) of a first shape connected by respective first conductive materials to the connection signal of connector 1 (201) to bypass, and connector 1 by mechanically fastening with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materials One or more connectors 3 (203, 204) connected by a second conductive material each outputting a connection signal of 201 may be included.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플렉스가 하나의 인입커넥터와 이를 다른 파워플렉스로 바이패스하는 출력커넥터,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제어커넥터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ower flex consists of one inlet connector, an output connector that bypasses it to another power flex, and two control connectors for controlling the luminaire.

본 실시예에서는 인입커넥터로 201번의 커넥터로, 출력커넥터로 203번 커넥터를 제어커넥터로 202번, 204번 커넥터를 사용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connector No. 201 is used as an inlet connector, connector No. 203 is used as an output connector, and connectors No. 202 and 204 are used as control connectors.

도 6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부스바의 배선도를 참고하면, 부스바(210)는 인입되는 신호를 또 다른 부스바로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기구적인 접속 또는 단락을 통하여 필요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 성되는 세로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Referring to the wiring diagram of the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 the bus bar 210 connects a horizontal bar connecting an incoming signal to another bus bar and a necessary signal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 or short circuit with the horizontal bar. It consists of a vertical bar that is configured to be extracted.

이러한 가로바(212)와 세로바(211)는 동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바람직하게는 가로바와 세로바를 공간상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하고 접속부위를 또 다른 접속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접속하거나 또는 접속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가로바와 세로바 중 어느 한쪽 또는 동시에 접속부분을 근접되는 방향으로 돌출시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호 체결하여 신호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Of course, these horizontal bars 212 and vertical bars 211 must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Preferably, the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using another connection member. In this way, either one of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or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part is protruded in a direction to be mutually connected or to be connected, and the signal can be extracted by mutually fastening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도면을 참고하면, 신호를 인출하기 위한 막대 바 형태의 세로바(211)가 6개-편의상 제1 내지 제6 세로바라 함-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 세로바의 양단에는 대략 "ㄷ"자 형태의 접속부재(211a)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six vertical bars 211 in the form of bar bars for extracting signals - First to sixth vertical bars for convenience -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both ends of each vertical bar, approximately "c" A ruler-shaped connecting member 211a may be coupled.

이러한 접속부재(211a)는 후술하는 제어회로부(110)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출력받는 단자로 상호 접속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절곡편 -예를 들면 "ㄷ"자 형태-을 구성하여 일단부의 절곡편은 세로바에 전기적으로 직접 또는 나 사(211d)에 의하여 접속되고 타단의 절곡편은 제어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직접 또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된다.일례로 도 6을 참고하면, 접속부재(211a)는 대략 'ㄷ'자 형태로 양단부에 절곡편을 구성하고, 각각의 절곡편에 는 가로바와 세로바 또는 제어회로부와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나사홀(211b,211c)을 구비하고, 체결부재(211d)로 체결되게 한다. The connecting member 211a is configured with a bent piece at both ends—for example, a “C” shape—so that it can be interconnected to a terminal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bent piece at one end is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directly or by means of a screw 211d, and the bent piece of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part directly or by a fastening member. (211a) constitutes a bent piece at both ends in an approximately 'C' shape, and each bent piece has screw holes 211b and 211c for firmly fastening it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or a control circuit unit and a screw. ) and to be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211d).

본 발명에서는 제1 세로바 및 제2 세로바를 각각 전원 인입단(P1,P2)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나머지 4개의 제3 내지 제6의 세로바는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와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를 각 등기구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단으 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vertical bar and the second vertical bar are used as power inlet terminals P1 and P2, respectively, and the remaining four third to sixth vertical bars are a power on/off control signal and a signal for dimming control. It is explained as using as an output terminal for transmission to each luminaire.

가로바(212)는 인입되는 신호를 또 다른 부스바로 연결함과 동시에 세로바와 기구적으로 접속되어 해당 신호를 세로바 또는 제어회로부(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horizontal bar 212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incoming signal to another bus bar and at the same time be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vertical bar or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

도 6을 참고하면, 가로바(212)는 전원라인(P1,P2)과 통신라인(D1,D2)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막대 바 형태로 4개-편의상 제1 내지 제4 가로바라 함-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6 , four horizontal bars 212 are in the form of bars for supplying signals to the power lines P1 and P2 and the communication lines D1 and D2 - first to fourth horizontal bars for convenience- constant installed at a distance.

전원라인(P1,P2)으로 사용되는 제3 및 제4가로바는 세로바와 직접 접촉되도록구성하고, 통신라인(D1,D2)으로 사용되는 제1 및 제2 가로바의 양단 또는 일단에는 대략 "ㄷ"자 형태의 접속부재(211a)가 접속될 수 있다.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bars used as the power lines (P1, P2) are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vertical bars, and both ends or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used as the communication lines (D1, D2) are approximately “ A C-shaped connecting member 211a may be connected.

세로바의 접속부재와 동일하게 가로바에 접속된 접속부재도 제어회로부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Similarly to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vertical bar,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is also us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본 발명에서는 전원라인은 가로바와 세로바를 직접 집촉시켜 구성하고 통신라인은 별도의 접속부재에 의하여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line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verge the horizontal bar and the vertical bar, and the communication lin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and described as an embodiment thereof.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reveal the

본 발명은 부스바의 구조를 인입단에서 공급되는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은 부스바의 상부에 위치한 가로바로 구성하고 필요한 신호는 그 하부에 위치한 세로바에서 상기 가로바와 직접접촉 또는 접속부재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busbar consists of a power line and a communication line supplied from the inlet end with a horizontal bar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sbar, and a necessary signal is obtained from the vertical bar located below the busbar by using a direct contact with the horizontal bar or a connection member. characterized by processing.

또한, 이러한 가로바와 세로바의 명명도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가로바와 세로바로 지칭한 것이지 반드시 가로바의 하부에 세로바를 구성하고, 신호의 공급은 가로바를 통하여 한다는 내용들은 필요에 따라 그 표현이 달라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names of these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are also referred to as horizontal bars and vertical bars based on FIG. 6 , but the content that the vertical bar is necessarily formed under the horizontal bar and that the signal is supplied through the horizontal bar is expressed as needed. Of course, this may vary.

보다 구체적으로, 부스바로 인입되는 통신라인(D1,D2)과 접속되는 제1,2 가로바는 그 출력단의 일측에 접속부재(211a)가 결합되어 그 일단에 제어회로부(110)로 전송하기 위한 D1접촉부(215b)와 D2접촉부(215a)를 구성하고, 전원라인(P1,P2)과 접속되는 제3 및 제4 가로바는 세로바와 직접 나사로 체결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s D1 and D2 introduced into the busbar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utpu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and the connecting member 211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for transmission to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bars that constitute the D1 contact portion 215b and the D2 contact portion 215a and are connected to the power lines P1 and P2 are directly screwed to the vertical bar.

상기 제3,4 가로바와 직접 나사로 체결된 제1,2 세로바는 그 양단에 P1접촉부(213b)와 P2접촉부(213a)를 구성하여 제어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directly screwed to the third and fourth horizontal bars constitute a P1 contact portion 213b and a P2 contact portion 213a at both ends thereof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unit.

각 가로바와 세로바의 양단은 커넥터접촉부(211e)를 구성하여 접속되는 커넥터를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라인(D1,D2)으로 사용되는 제3.4가로바와 접속되는 제 및 제2 세로바에는 상술한 커넥터접촉부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Both ends of each horizontal bar and vertical bar constitute a connector contact portion 211e so that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to which they are connecte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bars may not constitute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contact portion.

즉, 제어회로부로 신호를 공급하거나 출력받아야 하는 세로바는 그 일단에 커넥터접촉부를 구성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여야 해당 등기구로 관련 신호를 커넥터 접속에 의하여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the vertical bar that needs to supply or receive a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needs to configure a connector contact part at one end to enabl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o that the relevan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luminaire by connector connection.

또한, 제3 내지 제6 세로바의 양단에는 제어회로부(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211a)가구성되고, 각각 등기구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P1출력접촉부(214a)와 P2 출력접촉부(214b), 그리고 등기구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제어신호를 출력받기 위한 D1출력접촉부(214c)와 D2출력접촉부(214d)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third to sixth vertical bars, a connection member 211a for connec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is configured, respectively, to output a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power of the luminaire A P1 output contact 214a and a P2 output contact 214b for this, and a D1 output contact 214c and a D2 output contact 214d for receiving a dim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mming of the luminaire are formed.

이러한 부스바(210)는 인입되는 신호 중 필요한 신호를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제어회로부(110)로 전송하면 제어회로부(110)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처리하여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와 디밍 제어신호를 부스바로 다시 출력하여 커 넥터에 의하여 각 등기구로 전송되도록 구성한다. The busbar 210 mechanically connects necessary signals among incoming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processes these signals and transmits the power on/off control signal and the dimming control signal to the bus bar. It is output again and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each luminaire by a connector.

본 발명에서는 부스바는 케이스 내에 탑재되어 커넥터를 포함한 신호라인의 기구적 접속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것이므로, 제어회로부에서 처리한 신호를 다시 부스바로 출력하여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 나, 제어회로부에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부스바나 제어회로부에 각각 외부 신호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제어회로부(110)는 부스바(210)에서 기구적인 접촉을 통하여 신호를 입력받아, 등기구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회로부품들로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s bar is mount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mechanically connect the signal line including the connector, th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circuit unit is output again to the bus bar and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but the control circuit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terminal unit for connecting a connector to the , and, if necessary, to configure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xternal signal in each bus bar or control circuit unit. It can be composed of circuit parts to receive a signal through contact and output a signal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luminaire.

바람직하게는 제어회로부(11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하고 부스바(210)의 각 접속부재(211a)에의하여 필요한 신호를 인입받아 전기적으로 회로 부품들을 연결하여 해당 신호를 처리한 다음, 다시 부스바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Preferably,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is composed of a PCB (PRINTED CIRCUIT BOARD), receives a necessary signal by each connection member 211a of the bus bar 21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circuit components to process the signal. , configure to output again to the busbar.

즉, 제어회로부(110)는 인입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으로부터 ID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제어부(111)에서 판독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와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reads the ID and electricity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from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input from the inlet unit 120 from the control unit 111, and powers on/off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control signal and the dimming control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130 .

이를 위하여, 제어회로부(110)는 인입부(120)의 전원 인입부인 P1인입부(121), P2인입부(122)부터 인입되는 전원라인을 온오프제어하여 해당 등기구의 전원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부(130) 중 P1출력부(131)와 P2출력부 (132)를 통하여 출력하는 전원스위칭부(112)와, 등기구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디밍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밍 통신부(113)와, 인입부(211)의 D1인입부(123)와 D2인입부(124)의 통신라인으로부터 ID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 제어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전원스위칭부(112)를 온오프제어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해당하는 디밍통신부(113)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controls on/off the power line introduced from the P1 inlet 121 and P2 inlet 122, which are the power inlets of the inlet 120, to turn on/off the power on/off contro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luminaire. Of the output unit 130, the power switching unit 112 outputting through the P1 output unit 131 and the P2 output unit 132, and the dimming communication unit 113 for outputting a dim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mming of the lamp and , reads the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of the ID and electricity from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D1 inlet 123 and the D2 inlet 124 of the inlet 211, and the power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 112) is configured to include on-off control, and a control unit 111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mming communication unit 113 corresponding to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제어부(111)와 연결된 제2전원스위칭부(114)와 제2 디밍통신부(115)를 추가하면 또 하나의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outputting a power control signal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e luminaire, adding a second power switching unit 114 and a second dimming communication unit 115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1 also One luminaire can be controlled.

이런 식으로 전원스위칭부와 디밍통신부를 추가하면, 필요한 등기구 만큼 제어할 수 있다.By adding the power switching unit and the dimming communication uni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trol as many luminaires as necessary.

한편, 도 7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한 부스바의 배선도를 참고하면, 세로바 중 제어회로부와 접촉되어 신호가 출력되는 제3 내지 제6세로바는 도 6에서와 같이 막대바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간단한 구조 로 구성하기 위하여 막대바로 연결되게 하지 않고 서로 분리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wiring diagram of the bus bar 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FIG. 7 , the third to sixth vertical bars contacting the control circuit part and outputting signals among the vertical bars ar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by the bar bars as in FIG. 6 . However, in order to construct a simple structure,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bar.

즉, 제3 내지 제6세로바는 접속부재와 커넥터접촉부를 형성할 정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막대바로 구성하고, 각각 독립되게 조립되어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third to sixth vertical bars may be configured as a bar corresponding to a size sufficient to form a connecting member and a connector contact portion, and may be assembled and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이러한 부스바와 제어회로부는 접속부재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면서 조립된다.The bus bar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are assembled whil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도 8의 부스바에 제어회로부를 결합한 상태의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면, 부스바(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부스바(210)의 가로바나 세로바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ㄷ"자 형태의 접속부재(211a)의 상부에 제어회 로부(110)를 탑재하고, 나사(116)와 같은 체결부재(116)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체결한다. Referr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tate in which the control circuit unit is coupled to the bus bar of FIG. 8 , a “c” shap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and vertical bar of the bus bar 210 in a plane positioned outside the bus bar 210 , respectively. The control circuit part 11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211a in the form of a connection member 211a and fasten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a fastening member 116 such as a screw 116 .

이를 위하여 접속부재(211a)는 일단부에 체결홀(211b)을 구성하고, 제어회로부(110)의 각 인입부(120)와 출력부(130)에서 접속부재(211a)와 접촉되는 부위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동박(120a)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관통홀 (120b)을 형성하고, 부스바(210)의 각 접속부재(211a)의 일단부와 이에 대응되는 제어회로부(110)의 동박(120 a)을 위치하게 한 다음, 체결부재(116)로 체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면 된다. To this end, the connecting member 211a constitutes a fastening hole 211b at one end,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member 211a in each of the inlet portions 120 and the output portion 130 of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is electric. A copper foil 120a through which a can pass is formed, a through hole 120b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one end of each connection member 211a of the bus bar 210 and the copper foil of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corresponding thereto ( 120 a) is positioned, and then it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116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등기구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하고 디밍제어를 위하여 4개의 공통라인을 입력받아서 신호처리한 다음 각 등기구별로 4개의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등기구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디밍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of the luminaire is turned on and off, and for dimming control, four common lines are received and signal processed, and then four signals are output for each luminaire to control the power of the luminaire or dimming. that you can control.

한편, 제어회로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통상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를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output from the control circuit unit 110 and the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mming may use a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for supplying power to a luminaire in general.

도 11의 SMPS와 파워플렉서의 연결 구성도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파워플렉스(200)에서 제공되는 전원온오프신호와 디밍제어신호가 SMPS(310)로 출력되면, SMPS(310)는 각각의 등기구(3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온오프 신호와 디밍제어신호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the diagram illustrat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MPS and the power plexer of FIG. 11 , when the power on-off signal and the dimm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ower flex 200 are output to the SMPS 310 , the SMPS 310 is Outputs a power on/off signal and a dim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luminaire 300 .

그러나, 이러한 SMPS(310)는 통상 등기구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파워플렉스(200) 내주에 구성할 수도있고, 별도의 전원장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 However, this SMPS 31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a normal light fixture, but may be configur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power flex 200 or may be used as a separate power supply.

SMPS를 외부에 구성할 때는 등공통점 즉 공통 전원라인은 파워플렉스의 제어회로부에 공급하지 않고 부스바에서 직접 등기구로 접속되게 하는 것이 파워플렉스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When configuring the SMPS externally, the common point, that is, the common power line is not supplied to the control circuit part of the Powerflex, but is directly connected from the busbar to the lighting fixture,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flex.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입력받아 전원의 온오프만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ar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only the on/off of the power can be simply controlled.

즉, 다수의 등기구에서 어느 하나의 등기구를 특정하기 위한 ID와 전기의 온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과,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 이프로 전송받아 상기 등기구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플렉서로 구성하면 간단한 시공으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at is, in a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s,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an ID for specifying any one lighting fixture and electrical on/off data, a power supply line supplied to the lighting fixture, and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are combined into one Of course, if the power plexer is transmitted through a cable or pipe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luminaire, the power can be controlled by simple construction.

이때도 파원플렉스의 모든 구성은 동일하게 하고, 단지 접속되는 커넥터에서 전원 온오프 제어라인만 기구적으로 접속되게 하면, 전원 제어 또는 전원제어와 디밍제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Even at this time, if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POWERFlex are the same and only the power on/off control line is mechanically connected from the connector to which it is conn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ontrol or power control and dimming control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다수의 등기구에서 어느 하나의 등기구를 특정하기 위한 ID(identification)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 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라인;
상기 등기구에 공급되는 전원라인;및
상기 통신라인과 전원라인을 하나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로 전송받아 상기 등기구의 전원과 디밍을 제어하기 위 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플렉서;
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플렉서는
둘 이상의 전원라인과 둘 이상의 통신라인이 접속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일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2커넥터가 접속되는 도전물질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로바, 및 상기 각각의 가로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신호를 하나 이상의 제3 커넥터로 전달하는 도전 물질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세로바를 포함하 여 구성하여 상기 둘 이상의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을 기구적으로 접속하여 분배하는 부스바;및
상기 부스바의 외측에 위치하는 평면내에서 상기 부스바에서 분배된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의 신호를 입력받아 이 를 회로적으로 처리한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제어신호를 상기 부스바로 다시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를 포함하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ID (identification) for specifying any one luminaire in a plurality of luminaires and electric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a power line supplied to the luminaire; and
a power plexe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through a single cable or pipe and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power and dimming of the luminaire;
including,
The power plexer
A first connector to which two or more power lines and two or more communication lines are connected, and at least one transverse ba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o which the first connector is connected to one end and a second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each of the transverse bars and electrical a bus bar connected to and including one or more vertical bar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transmitting the signal of the first connector to one or more third connectors to mechanically connect and distribute the two or more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and
A control circuit unit that receives signals of power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distributed from the busbars in a plane positioned outside the busbars and outputs the power control signals and dimming control signals that are circuitly processed to the busbars again ;
A device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a power plexer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와 접속되는 상기 도전물질의 일측에 상기 각각의 도전물질과 상기 제어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접 속하는 접속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of the conductive materials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to one side of the conductive material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and the control circuit unit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a power plexer electric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회로적으로 처리한 전원제어신호와 디밍제어신호를 다시 상기 부스바로 출력하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 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circuit unit
An apparatus for integrated power and communication wiring using a power plexer that outputs the circuit-processed power control signal and dimming control signal back to the bus bar.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회로부는
입력받은 전원라인과 통신라인으로부터 ID와 전기의 온오프 및 디밍제어데이터를 판독하고, 해당 ID로 지정된 등기구에 전원온오프 제어신호와 디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ircuit unit
For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ed wiring using a power plexer that reads ID and electricity on/off and dimming control data from the input power line and communication line, and outputs a power on/off control signal and dimming control signal to the luminaire designated by the ID Device.
KR1020200081838A 2020-07-03 2020-07-03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KR202200042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38A KR20220004250A (en) 2020-07-03 2020-07-03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38A KR20220004250A (en) 2020-07-03 2020-07-03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250A true KR20220004250A (en) 2022-01-11

Family

ID=7935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38A KR20220004250A (en) 2020-07-03 2020-07-03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2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380B2 (en) Power over ethernet exit signage
US7671544B2 (en) System and architecture for controlling lighting through a low-voltage bus
CN101507357B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a split enclosure
US20090066266A1 (en) Integrated power and control unit for a solid-state lighting device
EP0319235A2 (en) Communication and energy control system for houses
JP6054125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LED lighting device
JP2011519144A (en) Multiple configurable lighting and energy control systems and modules
US20130202301A1 (en) Illumination System
WO2005114916A2 (en) Ac powered self organizing wireless node
US79900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atrical lighting
US10182510B2 (en) Automation module for building automation
KR101433190B1 (en)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KR20220004250A (en)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KR101444900B1 (en)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JP2007020014A (en) Wiring system
US2002002246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terminals in a wireless network
KR20160089002A (en) Power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wiring apparatus using power plexer
WO2018129578A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RU2009147311A (en) ELECTRIC POWER REGULATION SYSTEM IN A BUILDING
CN105210243A (en) Wireless connector node and system
US11043806B2 (en) DC low voltage power distribution unit and system for a power grid
CN213581778U (en) Intelligent switch circuit, intelligent switch control system and intelligent switch
US11889608B1 (en) Wireless smart dimmer for track lighting
FI118939B (en) Electrical switchgear
AU2021106493A4 (en) Power over ethernet led light fix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