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93A -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93A
KR20220003493A KR1020210192224A KR20210192224A KR20220003493A KR 20220003493 A KR20220003493 A KR 20220003493A KR 1020210192224 A KR1020210192224 A KR 1020210192224A KR 20210192224 A KR20210192224 A KR 20210192224A KR 20220003493 A KR20220003493 A KR 20220003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gas
preset temperature
facility
nitrific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003B1 (ko
Inventor
정상철
전미진
권기욱
전용우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21019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upgrading) 시스템 및 상기 시설물의 온도 조절에 이용되는 열병합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IO GAS}
본 발명은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바이오 가스를 서로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음식물, 축산 분뇨, 슬러지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처리 방안이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대표적인 처리 방안으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생성되는 바이오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방안, 바이오 가스 전용 보일러를 통해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안, 바이오 가스로부터 메탄을 추출하여 도시가스로 연계하거나 수송연료 등으로 사용하는 방안들을 들 수 있다.
이 방안들은 유기성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나, 바이오 가스를 획일화된 이용 방안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어 서로 융합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즉,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전환된 바이오 가스는 여러 방안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활용될 수 있을 뿐이므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활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전환된 바이오 가스를 더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들을 결합한 새로운 활용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이오 가스를 다양한 용도로 실시간적이며 선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바이오 가스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upgrading) 시스템 및 상기 시설물의 온도 조절에 이용되는 열병합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온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upgrading) 시스템 및 상기 시설물의 온도 조절에 이용되는 열병합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이오 가스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바이오 가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시설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시스템(이하 '활용 시스템'이라 지칭한다)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활용 시스템은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이하' 활용 장치'라 지칭한다)(100),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 고질화(upgrading) 시스템(120) 및 열병합 시스템(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활용 장치(100)와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이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된 예가 나타나 있으나, 활용 장치(100)는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의 일부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은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바이오 가스를 획득할 수 있다.
유기성 폐기물에는 음식물, 축산 분뇨, 슬러지(sludg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기성 폐기물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혐기성 소화 공정)을 통해 바이오 가스가 획득될 수 있다. 바이오 가스에는 약 60%~70%의 메탄(CH4), 약 30%~40%의 이산화탄소(CO2), 수분(H2O), 황화수소(H2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은 전처리 과정을 통해 바이오 가스를 정제하여 수분과 황화수소가 제거된(메탄과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바이오 가스(정제된 바이오 가스)를 획득할 수 있다.
고질화 시스템(120)은 바이오 가스 업그레이딩 과정을 통해 '정제된 바이오 가스'로부터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다. 즉, 고질화 시스템(120)은 업그레이딩 과정을 통해 메탄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바이오 가스는 메탄의 함유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값은 업그레이드된 바이오 가스의 활용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열병합 시스템(130)은 정제된 바이오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열병합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산하거나 폐열(waste heat)을 생산할 수 있다. 열병합 시스템(130)에서 생성된 폐열은 시설물(140)의 온도 유지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시설물(140)은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되는 것이 요구되는 시설물일 수 있다. 따라서, 시설물(140)에는 비닐 하우스, 시설 하우스, 축산 시설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주거 공간도 포함될 수 있다.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에 의해 정제된 바이오 가스는 활용 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고질화 시스템(120) 및 열병합 시스템(130)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활용 장치(100)는 활용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모바일, 테블릿 PC, PDA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고질화 시스템(120) 및 열병합 시스템(130) 중에서 '정제된 바이오 가스'가 제공되는 시스템은 시설물(140)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에 따라, 정제된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 시스템(120) 및 열병합 시스템(130)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는 시설물(140)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 시설물(140)에서 축산되는 동물의 종류, 시설물(140)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의사(설정)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활용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활용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활용 장치(100)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용 장치(100)는 수신부(210), 판단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시설물(140)의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시설물(140)의 온도는 시설물(140)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며, 시설물(140)에 설치된 통신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될 수 있다. 시설물(140)의 온도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감지되거나 실시간으로 감지될 수도 있다.
판단부(220)는 시설물(140)의 온도와 해당 시설물(140)의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비교하여,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일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α 내인 경우에,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α는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가변될 수 있다.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 이상이거나 하한을 초과하면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상한 이하이거나 상한 미만인 경우에,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 이하이거나 하한 미만이면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상한 이상이거나 상한 초과인 경우에,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외(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남)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판단부(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바이오 가스(정제된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 시스템(120) 및 열병합 시스템(130, 열병합 발전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 경우에는(S410) 시설물(140)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230)는 정제된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 시스템(120)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0). 다른 예로,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외인 경우에는(S410) 시설물(140)의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230)는 정제된 바이오 가스가 열병합 시스템(130)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3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설물(140)의 온도를 기준으로 바이오 가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바이오 가스를 전기 생성, 냉온수 생성(또는, 냉난방), 연료로의 이용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활용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블록도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은 혐기성 소화조(510), Bio Gas Bag(520) 및 전처리 시스템(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혐기성 소화조(510)에서는 음식물, 축산 분뇨,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어 바이오 가스가 생성되며, 생성된 바이오 가스는 Bio Gas Bag(520)에 포집될 수 있다.
포집된 바이오 가스는 전처리 시스템(530)을 통해 수분과 황화수소가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처리 시스템(530)은 포집된 바이오 가스에 제습 과정과 탈황 과정을 적용하여 수분과 황화수소가 제거된 '정제된 바이오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산성물질이 제거되므로, 배관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정제된 바이오 가스는 밸브 시스템(540)을 통해 고질화 시스템(120) 또는 열병합 시스템(5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 시스템(540)은 바이오 가스 처리 시스템(110)에 연결된 제1벨브(542), 고질화 시스템(120)에 연결된 제2벨브(544) 및, 열병합 시스템(130)에 연결된 제3벨브(5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벨브 시스템(540)의 각 벨브들(542, 544, 546)은 활용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오픈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용 장치(100)는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 경우에, 열병합 시스템(130)에 연결된 제3밸브(546)를 차단하고 고질화 시스템(120)에 연결된 제2밸브(544)를 오픈하여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 시스템(120)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활용 장치(100)는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외인 경우에, 열병합 시스템(130)에 연결된 제3밸브(546)를 오픈하고 고질화 시스템(120)에 연결된 제2밸브(544)를 차단하여 바이오 가스가 열병합 시스템(130)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 경우에, 열병합 시스템(130)의 하위 구성들이 모두 off되며 고질화 시스템(120)의 하위 구성들이 모두 on되어 고질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시설물(14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외인 경우에, 고질화 시스템(120)의 하위 구성들이 모두 off되며, 열병합 시스템(130)의 하위 구성들이 모두 on되어 열병합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고질화 시스템(120)은 압축부(550) 및 고질화부(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축부(550)는 바이오 가스 고질화 과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제된 바이오 가스'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고질화부(560)는 압축된 바이오 가스로부터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메탄 함유 비율을 가지는 바이오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값은 바이오 가스의 용도(도시가스 또는 차량 연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바이오 가스를 차량 연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고질화부(560)는 압축된 바이오 가스를 96 퍼센트 이상의 함유 비율을 가지는 바이오 가스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고질화부(560)는 물을 이용한 흡수법, 화학물질(흡수제)을 이용한 흡수법, 흡착법 및, 막 분리법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바이오 가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업그레이드의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압축된 바이오 가스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 과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열병합 시스템(130)은 열병합 발전기(570) 및 열흡수식 냉동기(5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병합 발전기(570)는 정제된 바이오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전기와 폐열(발전열)을 생성할 수 있다. 시설물(140)의 온도 상승(난방)이 요구되는 경우, 폐열은 송풍기(580)를 통해 시설물(140)에 제공될 수 있다(온풍). 시설물(140)의 온도 하강(냉방)이 요구되는 경우, 폐열은 열흡수식 냉동기(590)를 거쳐 냉풍으로 변환된 후에 송풍기(580)를 통해 시설물(140)에 제공될 수 있다(냉풍).
도 3 및 도 4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및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및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지 않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외인 경우에 상기 바이오 가스가 열병합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이오 가스는,
    소화조로부터 발생된 비정제 가스를 포집하고, 포집된 상기 비정제 가스로부터 수분 및 황화수소를 제거한 후 상기 고질화 시스템 및 상기 열병합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로만 제공되고,
    상기 고질화 시스템은, 정제된 상기 바이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된 고질화부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고질화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valve)를 차단하고 상기 열병합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바이오 가스가 상기 열병합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병합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고질화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를 오픈하여, 상기 바이오 가스가 상기 고질화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질화 시스템은,
    메탄(CH4)의 함유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바이오 가스를 업그레이드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바이오 가스를 활용하는 장치로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설물의 온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지 않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외인 경우에 상기 바이오 가스가 열병합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설물의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에 대응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바이오 가스가 고질화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가스는,
    소화조로부터 발생된 비정제 가스를 포집하고, 포집된 상기 비정제 가스로부터 수분 및 황화수소를 제거한 후 상기 고질화 시스템 및 상기 열병합 시스템 중에서 어느 하나로만 제공되고,
    상기 고질화 시스템은, 정제된 상기 바이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와 연결된 고질화부를 포함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질화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valve)를 차단하고 상기 열병합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바이오 가스가 상기 열병합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병합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고질화 시스템에 연결된 밸브를 오픈하여, 상기 바이오 가스가 상기 고질화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질화 시스템은,
    메탄(CH4)의 함유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바이오 가스를 업그레이드하는, 바이오 가스 활용 장치.
KR1020210192224A 2020-01-07 2021-12-30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KR10250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24A KR102505003B1 (ko) 2020-01-07 2021-12-30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86A KR20210088823A (ko) 2020-01-07 2020-01-07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KR1020210192224A KR102505003B1 (ko) 2020-01-07 2021-12-30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86A Division KR20210088823A (ko) 2020-01-07 2020-01-07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93A true KR20220003493A (ko) 2022-01-10
KR102505003B1 KR102505003B1 (ko) 2023-02-28

Family

ID=768893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86A KR20210088823A (ko) 2020-01-07 2020-01-07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KR1020210192224A KR102505003B1 (ko) 2020-01-07 2021-12-30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86A KR20210088823A (ko) 2020-01-07 2020-01-07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8882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21B1 (ko) * 2011-11-04 2011-12-30 (주)대우건설 바이오가스의 정제/고질화 및 압축 시스템
KR101297821B1 (ko) * 2012-09-21 2013-08-19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방법
KR20170143203A (ko) * 2016-06-21 2017-12-2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순환을 통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장치 및 방법
JP2018145907A (ja) *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東芝 監視制御装置、バイオガス発電制御システム及び発電制御方法
KR101938759B1 (ko) * 2018-02-23 2019-01-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2개의 유량제어부를 이용한 실시간 메탄 농도측정에 의한 바이오가스의 목표 메탄 균일농도 정제를 위한 자동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21B1 (ko) * 2011-11-04 2011-12-30 (주)대우건설 바이오가스의 정제/고질화 및 압축 시스템
KR101297821B1 (ko) * 2012-09-21 2013-08-19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방법
KR20170143203A (ko) * 2016-06-21 2017-12-2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순환을 통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장치 및 방법
JP2018145907A (ja) * 2017-03-07 2018-09-20 株式会社東芝 監視制御装置、バイオガス発電制御システム及び発電制御方法
KR101938759B1 (ko) * 2018-02-23 2019-01-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2개의 유량제어부를 이용한 실시간 메탄 농도측정에 의한 바이오가스의 목표 메탄 균일농도 정제를 위한 자동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823A (ko) 2021-07-15
KR102505003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vist et al. Methane loss from commercially operating biogas upgrading plants
Obileke et al. Anaerobic digestion: Technology for biogas production as a source of renewable energy—A review
US7153427B2 (en) Nitrogen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ing heated air as stripping gas
Li et al. Biomethane production via anaerobic digestion and biomass gasification
NO201611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grading of biogas and hydrogen production from anaerobic fermentation of biological material
Trogisch et al.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different biogas sources: A challenging approach for field trials
KR101442730B1 (ko) 연료전지용 바이오가스 전처리 장치
Davis et al. Social urban metabolism strategies (SUMS) for cities
KR101194168B1 (ko) 바이오가스 및 축열기를 이용한 농업시설의 난방 방법 및 설비
Gandiglio et al. Design and balance-of-plant of a demonstration plant with a solid oxide fuel cell fed by biogas from waste-water and exhaust carbon recycling for algae growth
Pawlak-Kruczek et al. Industrial process description for the recovery of agricultural water from digestate
Milani et al. Energy recovery of the biomass from livestock farms in italy: The case of Modena province
KR101656005B1 (ko)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
Flotats Biogas: perspectives of an old technology
KR20220003493A (ko) 바이오 가스 활용 방법 및 장치
Nahian et al. Prospects and potential of biogas technology in Bangladesh
KR101653362B1 (ko) 막 분리와 엔진 연소기술을 이용한 바이오메탄 및 전기 동시 생산 장치
Wang et al. Simulation of a solar‐biogas hybrid energy system for heating, fuel supply, and power generation
AU2018205165B2 (en) Power-generation system having 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and method for power generation
DK2486169T3 (en) System for clean energy
Liang et al. Pressurised Anaerobic Digestion for Reducing the Costs of Biogas Upgrading
Ikhu-Omoregbe et al. Sewage Plants’ Potential to produce biogas for electricity generation-case study of the three Zimbabwe Municipalities
JP2016169744A (ja) バイオエネルギ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バイオエネルギ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を含む水素ステーション及びバイオエネルギ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並びに、バイオエネルギ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TWI638796B (zh) 可收集沼氣之堆肥裝置
Bambokela Assessing the chemiabsorptive potency of chemical solvents and potential utilization of co2 after biogas upgr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