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28U -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 Google Patents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28U
KR20220002628U KR2020210001316U KR20210001316U KR20220002628U KR 20220002628 U KR20220002628 U KR 20220002628U KR 2020210001316 U KR2020210001316 U KR 2020210001316U KR 20210001316 U KR20210001316 U KR 20210001316U KR 20220002628 U KR20220002628 U KR 20220002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oove
protrusion
inner container
sputte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희
위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210001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628U/en
Publication of KR20220002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2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65D51/24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ocated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고안의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내용기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외용기; 상기 내용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화장품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화장품 수용 공간의 내주면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 홈들을 구비하는 내용기; 및 양단이 상기 삽입 홈들 중 서로 마주하는 삽입 홈들에 삽입될 수 있는 스페출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inn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with an open top;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inner container receiving space, having a cosmetic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and a sputterer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insertion grooves.

Description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REFILLABLE COSMETIC CONTAINER}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화장품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액상이나 크림 타입 화장품은 용기에 담아서 판매되는게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화장품 용기와 그 용기 안에 채워진 화장품 내용물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cosmetics, but liquid or cream-type cosmetics are generally sold in containers. In general, cosmetics refer to a combination of a cosmetic container and the cosmetic contents filled in the container.

화장품은 상업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화장품 내용물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화장품 내용물을 담아내는 화장품 용기도 중요할 수 있다. 즉, 화장품 용기의 기능성도 중요하지만 화장품 용기의 미감도 매우 중요시되므로 화장품 용기는 기능적으로도 정밀하지만 외관도 고급스럽고 미려할 수 있다. For cosmetics, the quality of the cosmetic contents is important for commercial success, but the cosmetic container that contains the cosmetic contents can also be important. That is, since the functionality of the cosmetic container is important, but the aesthetics of the cosmetic container is also very important, the cosmetic container can be functionally precise but also luxurious and beautiful in appearance.

이러한 고급스럽고 미려한 화장품 용기는 제조비용이 고가이므로, 화장품 전체 가격에서 화장품 용기가 차지하는 가격 비중이 올라가서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하고 그 비용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된다. 게다가 화장품을 다 쓰면 화장품 용기는 버려진다. 화장품 용기도 사용하고 나면 폐기물이므로 처리 비용도 들어가고, 처리 과정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Since these luxurious and beautiful cosmetic containers are expensive to manufacture, the price share of cosmetic containers in the total price of cosmetics rises, which is disadvantageous in pric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and the cost is ultimately passed on to consumers. In addition, the cosmetic container is thrown away when the cosmetics are used up. Cosmetic containers are also wastes after they are used, so treatment costs are incurred, and since they pollute the environment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they can become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따라서 고품질의 화장품 용기를 한 번 쓰고 버리기에는 생산 비용 측면에서도, 화장품 제조회사의 제품 경쟁력 측면에서도,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소비자 이익 측면에서도 불리하므로 반복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리필 용기가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it is unfavorable in terms of production cost, product competitiveness of cosmetic manufacturer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nsumer benefits to use and discard high-quality cosmetic containers once, so cosmetic refillable containers that can be reused repeatedly are being continuously developed. .

이러한 화장품 리필 용기는 대부분 외용기와 내용기로 이루어져 내용기만 계속 교체하면서 사용하도록 된 것이 일반적인데, 조작이 어렵고 구조가 복잡해져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Most of these cosmetic refill containers consist of an outer container and an inner container, so that only the inner container is continuously replaced and used is common, bu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외용기에 결합되는 내용기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that can easily replace only the inner container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내용기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외용기; 상기 내용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화장품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화장품 수용 공간의 내주면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 홈들을 구비하는 내용기; 및 양단이 상기 삽입 홈들 중 서로 마주하는 삽입 홈들에 삽입될 수 있는 스페출러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inner container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inner container receiving space, having a cosmetic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and a sputterer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insertion grooves.

구체적으로, 상기 외용기는 상기 내용기 수용 공간의 내주면의 일부에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는 외주면의 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결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receiving space, and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an be provided with a concave-shaped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protrusion. have.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내용기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홈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홈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upling groove includes a first groove extending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group;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it may include a second groove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ent group.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홈부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rotrusion.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홈부의 하단에 위치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홈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용기가 하강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홈부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내용기가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을 지나 고정되어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roove, the content unit descends so that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and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the content unit By rotating the protrusion is fixed past the locking jaw,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may be coupled.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의 화장품이 소모되면, 상기 스페출러의 양단을 상기 삽입 홈들에 삽입하며, 상기 스페출러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기 내용기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홈부의 일단까지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홈부의 일단에 위치하면, 상기 스페출러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기 내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를 분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osmetic of the inner container is consumed, both ends of the sputterer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and the inner container is rotated so that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using the sputterer as a handle. ,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by using the spechuler as a handle to raise the inner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출러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putter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출러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페출러는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폭을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putterer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sputterer may have a width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출러는 폭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putterer may have a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출러가 연장된 방향에서, 상기 스페출러 중앙부의 폭은 타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ctacler extends,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ectacl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other regions.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출러는 양단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sputterer may gradually decrease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본 고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스페출러를 손잡이로 활용하여 내용기를 외용기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리필 용기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by using the spectula as a handle. Accordingly, it may be easy to replace the refill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스페출러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스페출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내부 캡 상에 스페출러가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스페출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스페출러가 삽입 홈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스페출러가 삽입 홈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삽입 홈에 결합된 스페출러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외용기에서 분리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삽입 홈에 결합된 스페출러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외용기에서 분리함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putterer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putterer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putterer is seated on the inner cap.
6A to 6D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specular.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putterer shown in FIGS. 1 to 5 and FIGS. 6A to 6D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8 is a side view of the sputtere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using a spechule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Figure 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by using a spechule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스페출러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스페출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내부 캡 상에 스페출러가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스페출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내부 캡 및 외부 캡이 생략된다. Figure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the refillable cosmetic shown in Figure 1 It is a cross-sectional view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pecular of the contain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pecular of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 and FIGS. 6A to 6D are plan view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sputterer. Meanwhile, in FIGS. 3 and 4 , the inner cap and the outer cap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100)는 외용기(200), 리필 용기(300), 스페출러(400) 및 외부 캡(5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5, and 6a to 6d,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ntainer 200, a refill container 300, a sputterer 400 and An outer cap 500 may be included.

외용기(200)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내용기 수용 공간(210)을 구비할 수 있다. 외용기(200)의 상단에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캡 결합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캡 결합부(220)의 외주면에는 외부 캡(500)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23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200 may include an inn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210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 cap coupling part 220 provided in a protruding shape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200 . A screw thread 230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outer cap 500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coupling part 220 .

내용기 수용 공간(210)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돌기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외용기(200)는 돌출부(240)를 통하여 리필 용기(300)의 내용기(310)와 결합할 수 있다. A protrusion 240 having a protrusion shape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210 . The outer contai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ontainer 310 of the refill container 300 through the protrusion 240 .

외용기(200)의 외관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용기(200)의 외관이 원기둥 형상을 가짐을 가짐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외용기(200)의 외관은 항아리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200 may have any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container 20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n example, but the outer container 2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jar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like.

리필 용기(300)는 외용기(200)의 내용기 수용 공간(210)에 수용될 수 있다. 리필 용기(300)는 내용기(310) 및 내부 캡(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fill container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210 of the outer container 200 . The refill container 300 may include an inner container 310 and an inner cap 320 .

내용기(310)는 합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기(3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내용기(310)가 합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용기(310)는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The inner container 3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inner group 3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inner container 3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nner container 310 may be made of glass or ceramic material,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내용기(310)는 내용기 수용 공간(210)에 삽입될 수 있다. 내용기(310)의 직경은 내용기 수용 공간(21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내용기(310)의 외주면은 내용기 수용 공간(210)의 내주면과 맞닿을 수 있다. The contents group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ents group accommodation space 210 . The diameter of the inner group 3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group receiving space 2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group 3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group receiving space (210).

내용기(310)가 내용기 수용 공간(210)에 삽입되었을 때, 내용기(310)의 바닥은 내용기 수용 공간(210)의 바닥에 맞닿거나, 내용기 수용 공간(210)의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용기(310)의 중심에는 상부가 오픈된 형상의 화장품 수용 공간(311)이 마련되고, 화장품 수용 공간(311)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When the contents group 310 is inserted into the contents group receiving space 210 , the bottom of the contents group 31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ntents group receiving space 210 , o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ents group receiving space 210 . state can be maintained. A cosmetic accommodating space 311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container 310 , and cosmetic contents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smetic accommodating space 311 .

내용기(310)의 외주면 일부에는 외용기(200)의 돌출부(240)와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결합 홈(313)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홈(313)은 내용기(310)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홈부(313A)와, 일단이 제1 홈부(313A)의 상단과 연결되고 내용기(3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홈부(313B)를 구비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10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shaped coupling groove 313 coupled to the protrusion 240 of the outer container 200 . The coupling groove 31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313A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313A extending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group 310,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313A and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group 310 A second groove portion 313B may be provided.

제2 홈부(313B)의 타단에는 돌출부(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15)이 마련될 수 있다.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3B, a locking protrusion 315 for preventing the protrusion 240 from being separated may be provided.

내용기(310)의 화장품 수용 공간(311)의 일부, 예를 들면, 화장품 수용 공간(311)의 내주면의 상단에 스페출러(4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317)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 홈(317)은 복수 개, 예를 들면, 2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되며, 삽입 홈(317)은 내주면 상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A part of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311 of the inner container 310, for example, an insertion groove 317 into which a part of the sputterer 400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311. can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17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wo. and the insertion groove 317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내부 캡(320)은 화장품 수용 공간(311)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캡(320)은 화장품 내용물이 내용기(31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덮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캡(320)은 화장품 수용 공간(311)의 오픈된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inner cap 320 may cover the cosmetic accommodation space 311 . Accordingly, the inner cap 320 may function as a cover to prevent the cosmetic content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ontainer 310 . Also, the inner cap 3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portion of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311 .

내부 캡(320)은 내용기(310) 상부의 오픈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321)와, 커버부(321)의 테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절곡되어 내용기(3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21) 및 안착부(325)의 높이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스페출러(400)가 안착될 수 있다. The inner cap 320 is a cover portion 321 that covers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10, and extends upward from the rim of the cover portion 321 and is bent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310 It may include a seating part 325 . The sputterer 400 may be seated in a space formed by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ver part 321 and the seating part 325 .

내부 캡(320)은 내용기(31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캡(320)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과 같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cap 3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container 310 . For example, the inner cap 32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리필 용기(300)가 내부 캡(320)을 구비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내부 캡(32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내부 캡(320)이 생략되는 경우, 외부 캡(500)이 내부 캡(320)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refill container 3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aving the inner cap 320, but the inner cap 320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When the inner cap 320 is omitted, the outer cap 500 may replace the role of the inner cap 320 .

스페출러(400)는 내용기(310)의 화장품 수용 공간(311)에 수용된 화장품을 덜어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스페출러(400)의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The specular 400 may be used for taking out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311 of the inner container 310 . The shape and size of the specular 400 may be variously changeable.

스페출러(40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출러(400)는 합성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다. 스페출러(400)의 양단은 서로 마주하는 삽입 홈(317)에 삽입될 수 있다. 스페출러(400)의 양단이 삽입 홈(317)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스페출러(400)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내용기(310)를 회전시키거나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용기(310) 내의 화장품이 소모되면, 스페출러(400)는 내용기(310)를 제거하기 위한 손잡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pecular 4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sputterer 40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Both ends of the sputterer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317 facing each other. When both ends of the speckuler 40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7 , the user may rotate or elevate the inner container 310 using the spechuler 400 as a handle. Accordingly, when the cosmetics in the inner container 310 are consumed, the specular 400 may be used as a handle for removing the inner container 310 .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출러(4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폭을 가질 수 있다. 6A to 6D , the sputterer 400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may have a width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출러(400)는 폭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출러(400)가 연장된 방향에서, 스페출러(400)는 중앙부의 폭이 타 영역의 폭보다 작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출러(400)가 연장된 방향에서, 스페출러(400)는 양단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 the specular 400 may have a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As shown in FIG. 6B ,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cularer 400 extends, the specular 4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other regions. As shown in FIGS. 6C and 6D ,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cular 400 is extended, the specular 4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외부 캡(500)은 평탄부(510) 및 측면부(520)를 가질 수 있다. The outer cap 500 may have a flat portion 510 and a side portion 520 .

평탄부(510)는 내용기의 상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캡(500) 및 내용기(310)가 결합한 상태에서, 내용기(310)의 상단 및 평탄부(510)의 하면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평탄부(510)의 하면은 내부 캡(320)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The flat portion 5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group. 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cap 500 and the inner group 310 are combined, the upper end of the inner group 3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5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5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p 3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측면부(520)의 내주면에는 캡 결합부(220)의 나사산(230)에 대응하는 나사홈(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되어, 외용기(200) 및 외부 캡(50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용기(200)의 캡 결합부(220)가 나사산(230)을 구비하고, 외부 캡(500)의 측면부(520)가 나사홈을 구비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외용기(200)의 캡 결합부(220)가 나사홈을 구비하고, 외부 캡(500)의 측면부(520)가 나사산(230)을 구비할 수도 있다. A screw groove (not shown in the drawing)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230 of the cap coupling part 22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art 520 so that the outer container 200 and the outer cap 500 can be coupled. have.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cap coupling portion 220 of the outer container 200 is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230, and the side portion 520 of the outer cap 500 is provided with a screw groove. it is not For example, the cap coupling portion 220 of the outer contain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groove, and the side portion 520 of the outer cap 500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230 .

상술한 바와 같은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기(310)의 화장품 수용 공간(311)에 수용된 화장품을 모두 사용하면, 화장품을 수용하고 있는 새로운 내용기(310)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100 as described above needs to be replaced with a new inner container 310 accommodating the cosmetics when all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311 of the inner container 310 are used.

하기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페출러(400)를 이용한 내용기(310)의 분리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a method of separating the content group 310 using the speculer 40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스페출러가 삽입 홈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스페출러가 삽입 홈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삽입 홈에 결합된 스페출러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외용기에서 분리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삽입 홈에 결합된 스페출러를 이용하여 내용기를 외용기에서 분리함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putterer shown in FIGS. 1 to 5 and FIGS. 6a to 6d is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sputtere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using the sputtere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from the outer container by using the spouter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side view for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내용기(310)에 수용된 화장품이 모두 소모되면, 스페출러(400)의 양단을 내용기(310)의 삽입 홈(317)에 삽입하여, 스페출러(400) 및 내용기(310)를 결합한다. 7 to 10, when all th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310 are consumed, both ends of the specular 40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7 of the inner container 310, the specular 400 And the content group 310 is combined.

스페출러(400)가 삽입 홈(3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페출러(400)를 손잡이로 하여 내용기(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specular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7 , the user may rotate the inner container 310 by using the specular 400 as a handle.

내용기(3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용기(200)의 돌출부(240)는 결합 홈(313)의 제2 홈부(313B)의 타단에 마련된 걸림턱(315)에서 이탈할 수 있다. 계속하여, 내용기(310)가 회전할 수 있으며, 돌출부(240)가 제2 홈부(313B)의 일단에 위치하면 내용기(31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When the inner container 31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protrusion 240 of the outer container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31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3B of the coupling groove 313 . Continuing, the content group 310 may be rotated, and when the protrusion 24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313B, the rotation of the content group 310 may be stopped.

돌출부(240)가 제2 홈부(313B)의 일단에 위치하여 내용기(310)의 회전이 정지되면, 사용자는 스페출러(400)를 손잡이로 하여, 내용기(3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내용기(310)가 상승하여 돌출부(240)가 결합 홈(313)의 제1 홈부(313A)에서 분리되면, 내용기(310)는 외용기(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 24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313B and the rotation of the content group 310 is stopped, the user can raise the content group 310 by using the sputterer 400 as a handle. When the inner container 310 rises and the protrusion 24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roove portion 313A of the coupling groove 313 , the inner container 310 may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200 .

내용기(310) 및 외용기(200)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화장품이 소모된 리필 용기(300)를 폐기하고, 화장품이 충진된 새로운 리필 용기(300)를 외용기(200)에 결합하여, 화장품을 리필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리필 용기(300)를 외용기(200)에 결합하는 방법은 상술한 내용기(310)를 외용기(200)에서 분리하는 방법과 반대의 순서일 수 있다. When the inner container 310 and the outer container 200 are separated, the user discards the refill container 300 in which the cosmetics are consumed, and combines the new refill container 300 filled with the cosmetics to the outer container 200, Cosmetics can be refilled. Here, the method of coupling the new refill container 300 to the outer container 200 may be in the reverse order to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310 from the outer container 200 described above.

우선, 사용자에 의해 화장품이 충진된 리필 용기(300)가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용기(200)의 돌출부(240)는 내용기(310)의 제1 홈부(313A)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First, the refill container 300 filled with cosmetics by the user may be prepared. Here, the protrusion 240 of the outer container 20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313A of the inner container 310 .

돌출부(240)가 제1 홈부(313A)의 하단에 위치하면, 돌출부(240)가 제1 홈부(313A)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내용기(310)가 하강할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 24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roove 313A, the content group 310 may descend so that the protrusion 240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313A.

돌출부(240)가 제1 홈부(313A)의 상단에 위치하면, 돌출부(240)가 제2 홈부(313B)의 걸림턱(315)을 지나 고정되도록 내용기(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돌출부(240)가 걸림턱(315)을 지나 고정되면, 내용기(310)의 회전이 정지되고, 내용기(310) 및 외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내용기(310) 및 외용기(200)가 결합되면, 리필 용기(300)의 교체가 완료될 수 있다. When the protrusion 240 is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313A, the protrusion 240 may rotate the inner container 310 so that it is fixed past the locking protrusion 315 of the second groove 313B. When the protrusion 240 is fixed past the clasp 315, the rotation of the inner container 310 is stopped, and the inner container 310 and the outer container 200 may be coupled. When the inner container 310 and the outer container 200 are combined, the replacement of the refill container 300 may be completed.

다만, 스페출러(400)를 내용기(310)의 삽입 홈(317)에 삽입하여 리필 용기(300) 및 외용기(200)를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화장품이 묻을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내용기(310) 및 내부 캡(320)이 결합된 상태로 리필 용기(300)를 하강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putterer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7 of the inner container 310 to combine the refill container 300 and the outer container 200, there is a risk that cosmetics may stick to the user's hand, so the user can lower and rotate the refill container 300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310 and the inner cap 320 are combined.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품이 소모되는 경우, 내용기(310)의 삽입 홈(317)에 스페출러(400)의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는 스페출러(400)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용기(310)를 외용기(2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smetic is consumed, both ends of the speculator 400 are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17 of the inner container 310 ,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pecular 400 as a handl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inner container 310 from the outer container 200 .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bove embodiments or combinations of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known techniques may be included as new embodiments. Of course.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200: 외용기
210: 내용기 수용 공간 220: 캡 결합부
230: 나사산 240: 돌출부
300: 리필 용기 310: 내용기
311: 화장품 수용 공간 313: 결합 홈
313A: 제1 홈부 313B: 제2 홈부
315: 걸림턱 317: 삽입 홈
320: 내부 캡 321: 커버부
325: 안착부 400: 스페출러
500: 외부 캡 510: 평탄부
520: 측면부
100: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200: external container
210: inner container accommodation space 220: cap coupling portion
230: thread 240: protrusion
300: refill container 310: content group
311: cosmetic receiving space 313: combining groove
313A: first groove portion 313B: second groove portion
315: jamming jaw 317: insertion groove
320: inner cap 321: cover portion
325: seating portion 400: special
500: outer cap 510: flat portion
520: side part

Claims (11)

상부가 개구된 내용기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외용기;
상기 내용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화장품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화장품 수용 공간의 내주면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 홈들을 구비하는 내용기; 및
양단이 상기 삽입 홈들 중 서로 마주하는 삽입 홈들에 삽입될 수 있는 스페출러를 포함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inn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inner container receiving space, having a cosmetic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smetic receiving space; and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a sputterer, both ends of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insertion groov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상기 내용기 수용 공간의 내주면의 일부에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는 외주면의 일부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요홈 형상의 결합 홈을 구비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vid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receiving space,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concave-shaped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protrus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내용기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홈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홈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groove is
a first groove extending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tent group;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cond groove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4. The method of claim 3,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jaw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rotrus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홈부의 하단에 위치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홈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용기가 하강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홈부의 상단에 위치하면, 상기 내용기가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을 지나 고정되어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가 결합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roove, the content group descends so that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groove, the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rotated and the protrusion is fixed past the locking jaw to combine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화장품이 소모되면, 상기 스페출러의 양단을 상기 삽입 홈들에 삽입하며,
상기 스페출러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기 내용기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홈부의 일단까지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홈부의 일단에 위치하면, 상기 스페출러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기 내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를 분리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cosmetics in the inner container are consumed, both ends of the sputterer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Rotating the content device so that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to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using the sputterer as a handle,
When the protrusion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econd groove,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for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by raising the inner container using the sputterer as a hand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출러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putterer is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출러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페출러는 연장된 방향에 수직한 폭을 가지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ecular has a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specular is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width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출러는 폭이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pecular is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having a uniform width.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출러가 연장된 방향에서, 상기 스페출러 중앙부의 폭은 타 영역의 폭보다 작은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ectacl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region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ctacle is extende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출러는 양단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pecular is a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that gradually decreases in width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KR2020210001316U 2021-04-26 2021-04-26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22000262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16U KR20220002628U (en) 2021-04-26 2021-04-26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16U KR20220002628U (en) 2021-04-26 2021-04-26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28U true KR20220002628U (en) 2022-11-02

Family

ID=8404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16U KR20220002628U (en) 2021-04-26 2021-04-26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62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763B2 (en) Powder cosmetic brush
US8132977B2 (en) Refill container for consumer products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US20110126851A1 (en) Cosmetics case
US8066019B2 (en) Cosmetic powder container with rotating dispensing mechanism
US10638824B2 (en) Cosmetics carry system
KR20120026209A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US20170202335A1 (en) Cosmetic container
US20200069028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moving sifter
CN112839545A (en) Container for cosmetic products comprising a hinged intermediate panel with closing means
KR20220002628U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0455996Y1 (en) A structure of cosmetic case for delivering fixed quantity of high viscosity contents
KR200497090Y1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US20100000568A1 (en) Measured cosmetic powder dispenser
CN105819089A (en) Bottle cap with cosmetic kit
US6375375B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cosmetic stick products
KR101896284B1 (en) Cosmetic container replaceable contents container
KR200319255Y1 (en) puff for a makeup
CN109475220A (en) Cosmetic package
KR101230989B1 (en) Cosmetics container
CN112046895A (en) Can replace post type jar
WO2007093974A1 (en) Condiment dispensers
KR200432011Y1 (en) A cosmetic case
KR200270332Y1 (en) a lipstic case
KR200338777Y1 (en) A cosmetic vessel having a cosmetic w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