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31U -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 Google Patents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31U
KR20220002331U KR2020210003241U KR20210003241U KR20220002331U KR 20220002331 U KR20220002331 U KR 20220002331U KR 2020210003241 U KR2020210003241 U KR 2020210003241U KR 20210003241 U KR20210003241 U KR 20210003241U KR 20220002331 U KR20220002331 U KR 20220002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dule panel
guide path
depth
corn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 쭌난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쭌난방 filed Critical (주) 쭌난방
Priority to KR2020210003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331U/en
Publication of KR20220002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3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8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with heat sprea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식 난방구조에서 모듈패널에 난방용 배관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높낮이가 고르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도판과 바닥 마감재의 평활도를 유지하고 부분적인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식 바닥 난방구조에 있어서 슬라브층의 상단에 깔리는 모듈패널이 베이스판부의 상측으로 복수의 돌부가 돌출형성되어 돌부들 사이에 안내로를 구성하고, 안내로에 배관이 포설될 때 배관이 회전되는 코너구간에서 배관의 꺾임에 의하여 변형되어지는 변형율에 대응하게 배관이 삽입되는 깊이에 편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모듈패널에 배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면의 편차가 없이 편평하게 시공되어 방열판 및 바닥재의 들뜸이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코너구간의 삽입 깊이가 배관의 변형율에 대응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모듈패널의 돌부 상면과 배관의 상단이 수평을 이루면서 방열판과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후 들뜸이나 틈새에 의한 열손실 및 소음 등의 설치하자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maintain the smoothness of the conductive plate and floor finishing materials and prevent partial lifting by maintaining the upper and lower heights evenly while the heating piping is arranged on the module panel in the dry heating structure. In the module panel laid on the top of the slab lay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base plate to constitute a guide path between the protrusions, and when the pipe is installed in the guide path, the pipe is rotated in the corner section where the pipe is bent By having a deviation in the depth of pipe insertion corresponding to the strain rate that is deformed by the By mak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corner section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strain rate of the pipe, the pipe is stably supported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module panel and the upper end of the pipe are leveled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sink can be sufficiently secured. It is designed to prevent installation defects such as heat loss and noise due to lifting or gaps.

Description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 및 그 모듈패널을 이용한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Module panel for dry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본 고안은 건식 난방구조에서 난방용 호스를 배치하여 온수 바닥구조를 시공하는데 사용하는 모듈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패널에 난방용 배관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높낮이가 고르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도판과 바닥 마감재의 평활도를 유지하고 부분적인 들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 panel used to construct a hot water floor structure by arranging a heating hose in a dry hea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uctive plate and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smoothness of the floor finish and prevents partial lifting.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가구 등의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공동주택은 바닥난방을 위하여 난방용 배관이 매설되는 것으로, 크게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나뉜다.In general, in apartment houses or multi-family houses for the purpose of housing, heating pipes are buried for floor heating, and they are largely divided into wet construction methods and dry construction methods.

습식공법은 층간 골조공사에 의하여 축조되어 있는 기초바닥층에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온수가 공급되는 난방 배관(엑셀파이프)를 매립한 후 미장을 함으로써 바닥이 시공되는 것으로, 습식공법의 경우 진동에 대한 충격에 매우 취약하고 배관을 매립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포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체하중이 매우 높으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오래걸리고 겨울철 공사가 불가능하며 하자 발생시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the wet method, the floor is constructed by placing aerated concrete in the foundation floor layer constructed by inter-floor framing, and then plastering the heating pipe (Excel pipe) that supplies hot water while pouring it. It has a very high self-load because concrete has to be installed over a certain thickness in order to fill the pipes, and it takes a long time to build and impossible to work in winter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wait for hardening after pouring concre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is difficult when a defect occurs.

따라서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9-82742호(2009.07.31.), 등록특허 제10-1267516(2013.05.20.) 등에서는 난방배관용 모듈패널을 사용하여 보일러 배관을 포설할 수 있도록 한 건식 방식의 바닥 시공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improve thi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82742 (July 31, 2009), Patent Registration No. 10-1267516 (May 20, 2013), etc. A dry-type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has been proposed.

배관은 실내공간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며 지그재그로 반복되는 경로가 반복되게 포설하기 위하여 90°나 180°등 다양한 코너 각도로 선회되는데, 이렇게 코너를 선회할 경우 배관의 직경이 변형되면서 직경이 변형된다.Pipes are arrang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door space and are turned at various corner angles, such as 90° or 180°, in order to install the repeated zigzag path repeatedly. this is transformed

습식공법에서는 배관의 직경이 변형되더라도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배관을 매립하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건식공법에서는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고 평평한 방열판과 바닥재를 올려 시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평을 맞추기가 매우 까다롭다.In the wet method, even if the diameter of the pipe is deformed,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pipe is buried by pouring concrete on the top. is very difficult

즉, 건식공법에서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듈패널에 배관이 포설되는 깊이를 배관의 직경에 대응하게 형성하고, 그 상단에 방열판이 모듈패널의 상면에 완전히 맞닿을 수 있게 설계되는데, 시공상의 문제가 배관의 배관이 직선코스로 포설되는 부분은 배관이 정원(正圓)을 이루지만, 코너부분에서는 타원(楕圓)을 이루기 때문에 배관의 높낮이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방열판과 바닥재를 시공할 때 평활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들뜸과 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in the dry method, in order to minimize heat loss, the depth at which the pipe is laid on the module panel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pipe, and the heat sink at the top is designed so that it can complete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panel. In the part where the pipe is installed in a straight course, the pipe forms a square shape, but at the corner part, it forms an ellipse, so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moothness cannot be maintained during construction, and there is a problem of lifting and gaps.

또한, 시공 과정에서 틀어짐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듈패널의 상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방열판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상기와 같이 부분적인 들뜸으로 인하여 해당부위를 밟을 때마다 점착제가 붙었다가 떨어지는 소음이 발생하면서 하자발생요인이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istor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o enable quick and stable construction,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panel to fix the heat sink. It is a cause of defects as there is a noise of the adhesive sticking and falling.

또한, 기존 건식난방 모듈패널 위에 이렇게 시공을 하면 방열판 위에 있는 고정하중이나 유동하중이 배관에 직접 전달되면서 매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수 있어 배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중이 배관 뿐만 아니라 배관을 고정해주는 EPS로 구성되는 모듈패널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is construction is done on the existing dry heating module panel, the fixed or floating load on the heat sink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pipe, and exc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ipe, which may cause problems in the pipe. It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module panel composed of the EPS that holds it in place.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과정에서 배관의 코너부분을 가온, 가압하면서 평활도를 맞추어 주어야 하지만 작업이 너무 번거롭고,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습식공법의 건조효율을 기대하기 어렵고 양생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건식공법이 선호되는데, 기온이 낮을수록 배관의 경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관의 유연성이 떨어지므로 높낮이 편차에 따른 복원작업에 더욱 어려움이 있으며, 결국 건식공법에서의 하자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moothness while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corner of the pipe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but the work is too cumbersome. The method is preferred, but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harder the pipe is, so the flexibility of the pipe is lowered, so it is more difficult to restore work according to the height devi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becomes a defect factor in the dry metho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식공법으로 포설되는 난방 배관이 모듈패널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패널과 모듈패널에 장착된 배관의 상면에 방열판과 바닥판이 수평으로 긴밀하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들뜸이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 및 그 모듈패널을 이용한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events the deviation from occurring as the heating pipe installed by the dry method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panel, and the heat sin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pe mounted on the module pane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odule panel for a dry heating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lifting or cracks from occurring by ensuring that the floor plate is horizontally and closely constructed, and a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또한, 상기 모듈패널에 장착된 배관으로부터 방열판 및 바닥재로 전달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eat loss transferred from the pipe mounted on the module panel to the heat sink and the flooring material and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건물 바닥면의 슬라브층 상부에 일정한 면적을 갖는 모듈패널을 사방으로 연결되게 시공하고, 모듈패널에는 난방을 위한 배관을 포설한 상태에서 방열판과 바닥재를 적층시공하여 건식 바닥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공구조에 있어서, 모듈패널은 일정면적을 구성하는 베이스판부의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복수의 돌부를 구성하여 그 돌부들 사이에 배관이 포설될 수 있게 안내로를 구성하며, 상기 안내로는 서로 직교하게 배열되는 제1안내로와 제2안내로 및 배관이 선회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코너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구간은 배관의 선회반경에 따른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배관의 포설 깊이가 제1안내로 또는 제2안내로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함으로써 배관을 포설할 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배관이 더 깊이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모듈패널에 배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면의 편차가 없이 편평하게 시공되어 방열판 및 바닥재의 들뜸이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onstruct a module panel having a certain area on top of the slab layer on the floor surface of a building to be connected in all directions, and a heat sink and flooring material in a state where piping for heating is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In a construction structure that allows dry floor heating to be achieved by laminated construction, the module panel constitut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a certain area, and guides the piping to be installed between the protrusions. constituting a furnace, wherein the guide path includes a first guide path and a second guide path that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and a corner section in which a direction change is made while the pipe is turned, and the corner section is dependent on the strain according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pipe. Correspondingly, the pipe installation depth is formed to be relatively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uide path or the second guide path, so that the pipe is inserted deeper in the part where the direction change is made when the pipe is installed, resulting in the pipe being inserted into the module panel It is installed flat without any deviation of the top surface in the finished state, so that the heat sink and flooring do not float or create gaps.

또한, 배관이 수평방향으로 U자형 선회가 이루어지는 코너구간에서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된 제1안내로 또는 제2안내로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바닥에 내입부를 형성하고, 그 내입부는 배관이 회전되는 구간에서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코너구간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중앙부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관의 형상 변형율에 대응하게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면서 모듈패널의 돌부 상면과 배관의 상단이 수평을 이루면서 방열판과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epth from the part where the rotation starts to the part where the rotation ends in the corner section where the U-shaped turning of the pipe is ma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latively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uide path or the second guide path where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An inner inlet is formed on the floor, and the inner inlet is inclined to form the deepest center of the rotation start and end portions of the corner section to correspond to the strain rate in the section where the pipe is rotated, so that the depth corresponds to the shape strain rate of the pipe. is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module panel and the upper end of the pipe are leveled,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sink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본 고안의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 및 그 모듈패널을 이용한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에 의하면, 난방을 위한 배관이 모듈패널에 포설된 상태에서 방열판이 들뜨거나 시공된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배관과 방열판이 온전하게 밀착되므로 배관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판 전체로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난방효율을 향상시키고 바닥 난방시 열기가 바닥 전체로 고르게 분산된다.According to the module panel for a dry he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there is no gap between the heat sink and the heat sink in the state where the heating pipe is laid on the module panel, and there is no gap between the pipe and the heat sink. As this is tightly adhere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ipe is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entire heat sink, and the heating efficiency is improved while minimizing heat loss, and the heat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floor during floor heating.

또한, 시공하는 과정에서 방열판의 정위치 시공을 위하여 점착제를 사용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들썩거림에 의한 소음 등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ork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by using an adhesive for in-place construction of the heat sink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defects such as noise due to rattling do not occur even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또한, 하중을 바닥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켜 모듈패널(100)의 돌부가 파손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부분침하가 발생하거나 배관이나 방열판, 바닥재 등을 포함하는 바닥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floor to prevent the protrusions of the module panel 100 from being damaged or broken, and partial settlement occurs by stably supporting the floor, or the floor structure including pipes, heat sinks, and flooring is damaged.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또한, 내하중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모듈패널의 구조변경 없이 간단한 금형구조로 모듈패널의 성형,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공수나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espite the improved load-bearing and durability structure, the module panel can be molded and produced with a simple mold structur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module panel. There is a phosphorus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모듈패널의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도 1의 모듈패널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모듈패널을 이용한 바닥난방 시공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모듈패널의 돌부와 안내로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모듈패널에 배관이 포설된 상태도
도 6은 도 5의 코너구간에서의 배관 포설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관이 모듈패널에 포설되는 선회구조를 나타낸 설치도
도 8은 본 고안의 코너구간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패널의 외관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도 8의 코너구간에서의 배관 포설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모듈패널이 적용된 바닥 시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odul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odule panel of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loor heating construction using the modul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guide path of the modul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pipe is installed on the modul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pe laying structure in the corner section of FIG.
7 is an installation view showing a turning structure in which th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module panel;
8 is an external view of a module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corner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ipe installation structure in the corner section of FIG. 8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construction structure to which the module panel of FIG. 8 is applied;

본 고안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since it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게(또는 두껍게) 표현하거나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components are expressed in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in simplified term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should not be construed as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면,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unles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그 모듈패널이 적용된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시공 예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건물 바닥면에 슬라브층(C)을 구비하고, 슬라브층(C)의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가지며 사방으로 연결 설치되는 모듈패널(100)을 시공하고, 모듈패널에는 난방을 위한 배관(200)을 포설하며, 모듈패널(100)에 배관(200)이 포설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배관의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방열판(300)과 마감을 위한 바닥재(40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시공하는 것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dule panel for a dry he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struction exemplary view showing a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to which the module panel is applied. According to the drawing, a slab layer ( C) is provided, and a module panel 10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connected in all directions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layer (C), and a pipe 200 for heating is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and the module panel 100 )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200 is laid, the heat sink 300 for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pipe to the upper end and the floor material 400 for the finish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constructed.

본 고안의 모듈패널(100)의 특징은 건식공법으로 제작되는 난방배관의 포설구조에서 배관(200)을 포설할 때 코너부분에서 배관의 압축과 인장응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하는데 그 변형율에 대응하여 모듈패널의 깊이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배관이 포설되는 형상에 대응하여 직선구간과 선회구간에서 배관(200)이 삽입되는 깊이를 달리하여 배관이 포설된 상태에서 상단의 평활도를 향상시켜 방열판(300)과 바닥재(400)의 적층 시공에 의한 하자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ature of the module pa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pipe 20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eating pipe manufactured by the dry method,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compression and tensile stress of the pipe at the corner part. By setting the depth of the module panel differently, the depth at which the pipe 200 is inserted in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turning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pipe is laid is varied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upper end in the state where the pipe is installed, and the heat sink 300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defects due to the lamination of the flooring 400 .

상기 모듈패널(100)은 슬라브층(C)의 상면에서 일정면적을 갖고 사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모듈패널(100)이 사방으로 연결될 때 그 모서리 부분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그 재질은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 등의 합성수지 발포단열재나 무기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단열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module panel 100 has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layer (C) and is installed in all directions, and when the module panel 100 is connected in all directions, its corners are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are connect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material may be a synthetic resin foam insulation material such as styrofoam or urethane foam, or an insulation material molded using an inorganic material.

모듈패널(100)의 구조는 사방으로 연결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일정면적을 가지는 베이스판부(120)가 구비되고, 그 베이스판부(120)의 상부에 복수의 돌부(140)가 형성되어 돌부(140)들의 사이에 배관(200)을 포설하기 위한 안내로(160)가 형성되어 배관(200)이 안내로(160)에 매립되어 직선과 곡선으로 포설된다.The structure of the module panel 100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portion 12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connection construction is made in all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portion 120 to form the protrusions 140 . A guide path 160 for installing the pipe 200 is formed between them, so that the pipe 200 is embedded in the guide path 160 and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모듈패널(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부(120)의 상부에 돌부(140)와 안내로(160)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배관(200)의 포설 경로를 안내하고, 배관(200)을 모듈패널(100)의 안내로(160)에 삽입하여 포설한 상태에서 방열판(300)이 안착되는 모듈패널(100)의 상면과 배관(200)의 상부가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module pa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140 and the guide path 160 are repeatedly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part 120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panel 100 on which the heat sink 300 is seated in a state of guiding the installation path of the pipe 200 by having it, and inserting the pipe 200 into the guide path 160 of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pipe 200 so that a step difference does not occur.

즉, 상기 안내로(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게 배열되는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4)가 구성되어 배관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포설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난방 바닥은 배관이 지그재그로 일정한 간격으로 포설될 때 시공되는 현장의 구석에서는 배관(200)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포설되는데, 배관(200)이 포설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안내로(160)에 코너구간(166)을 마련하여 배관이 선회되면서 포설되게 한 것이다.That is, the guide path 160 includes a first guide path 162 and a second guide path 164 that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 so that the pipe can b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s there will be, the heated floor is installed while the direction change of the pipe 200 is made at the corner of the construction site when the pipe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a zigzag manner. A corner section 166 is provided in the furnace 160 so that the pipe is installed while turning.

이때, 배관(200)이 직선으로 포설되는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와 코너구간(166)의 깊이를 달리함으로써 모듈패널(100)에 배관(200)을 포설한 상태에서 높이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ipe 200 is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100 by varying the depth of the first guide path 162 or the second guide path 164 and the corner section 166 in which the pipe 200 is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Make sure that there is no height deviation in the state.

그리고 상기 안내로(160) 중 제1,2안내로(162,164)의 이격된 폭(W)과 내입된 깊이(H)는 배관(200)의 직경(D)과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배관(200)을 포설한 상태에서 경로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2안내로(162,164)의 폭(W)과 깊이(H)를 배관(200)의 직경(D)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모듈패널의 재질적 특성과 마찰력에 의한 강제 끼움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면서도 배관(200)이 모듈패널(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W and the inner depth 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ths 162 and 164 of the guide path 16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D of the pipe 200, thereby forming the pipe 200. It is possible to fix the path in a state where the By forming i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without arbitrarily moving while the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panel 100 while being easily assembled by forced fitting b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frictional force of the module panel.

그리고 상기 배관(200)의 포설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코너구간(166)은 배관의 선회반경에 따른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배관의 포설 깊이가 제1안내로 또는 제2안내로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된다.And in the corner section 166 in which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ipe 200 is changed, the pipe installation depth is relatively deeper than that of the first guide path or the second guide path to correspond to the strain according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pipe. do.

즉, 상기 안내로(160)를 형성하기 위해서 돌부(140)가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난방배관이 포설되는 폭을 설정하기 위한 메인돌부(142)와, 메인돌부(142)의 사이에서 배관의 경로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보조돌부(144)가 이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돌부(142)와 보조돌부(144)들 사이에 배관이 안착될 수 있는 평평한 요홈 형태의 안내로(160)가 구성된다.That is, in order to form the guide path 160, the protrusion 14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pipe can be fixed. The main protrusion 142 for the purpose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44 for guiding so that the path of the pipe does not deviate between the main protrusion 142 is double formed, and between the main protrusion 142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44 . A guide path 160 in the form of a flat groove in which the pipe can be seated is configured.

따라서 배관(200)이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에 직선으로 포설되며, 코너구간(166)에서는 배관(200)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에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된 상태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관을 선회시키거나 또는 인접한 안내로로 수평방향으로 U자형으로 선회되면서 배관을 지그재그로 포설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ipe 200 is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on the first guide path 162 or the second guide path 164 , and in the corner section 166 , the direction of the pipe 200 is changed while the first guide path 162 . 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on the second guide path 164 , the pipe may be rotated in a right angle direction or the pipe may be installed in a zigzag while turning in a U-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n adjacent guide path.

이때, U자형 선회가 이루어지는 코너구간(166)의 깊이(H2)는 배관이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배관(200)이 직선으로 포설되어지는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의 깊이(H)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도록 바닥에 내입부(168)를 형성하여 배관이 삽입되는 깊이를 달리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pth H2 of the corner section 166 in which the U-shaped turning is made has a depth from the part where the pipe starts to rotate to the part where the rotation ends. Alternatively, the inner inlet 168 may be formed in the bottom to be formed relatively deeper than the depth H of the second guide path 164 to vary the depth into which the pipe is inserted.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구간(166)의 내입부(168)를 단차지게 더 내입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배관(200)을 포설할 때 코너구간(166)에서 배관(200)의 직경이 타원형으로 변형되면서 상,하 높낮이가 정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더라도 그 길어진 편차를 수용하여 배관(200)이 포설된 상태의 상면 높낮이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고 편평하게 포설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 the diameter of the pipe 200 in the corner section 166 when the pipe 200 is installed by forming the inner part 168 of the corner section 166 into a structure that is more stepped in. As this oval shape is deformed, even if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re relatively longer than the garden, the lengthened deviation can be accommodated and the pipe 200 can be installed flat without any deviation i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ed state.

이때, 상기 돌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럭비공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돌부(142)가 가로, 세로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메인돌부(142)의 이격된 공간에 안내로(160)가 구성되는 것으로, 메인돌부(142)들 간의 사이에는 보조돌부(144)가 배관(200)의 경로를 안내하면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기능을 위하여 상향돌출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 the protrusion 140 has a main protrusion 142 in the shape of a rugby ball cross-section repeatedly form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provide a guide path 160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main protrusion 142 . ) is configured, and between the main protrusions 142 , the auxiliary protrusions 144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or a supporting function for supporting the load while guiding the path of the pipe 200 .

이때, 상기 메인돌부(142)의 테두리에는 배관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접촉되어 배관이 포설되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메인돌부(142)의 외곽 둘레가 정원(正員)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관을 선회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포설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dge of the main protrusion 14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to guide the pipe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set the section to be rotated in various ways and install it.

그리고 보조돌부(144)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고 배관을 일자로 포설할 경우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배관을 선회시키는 경우 선회반경이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배관이 포설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안내된다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44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improve straightness when laying the pipe in a straight line, and naturally guide the turning radius when turning the pipe. Guided to be more firmly fixed

따라서 모듈패널(100)에 배관(200)이 포설된 상태에서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되는 직선구간은 물론 선회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돌부(142)와 보조돌부(144)의 상단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일치되게 시공되어짐으로써 방열판(300)을 올려 시공할 때 틈이 발생하거나 들뜸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층 시공이 이루어지며, 모듈패널(100)과 방열판(300) 간에 점착제를 도포하면 더욱 긴밀하게 점착이 이루어지므로 시공의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건식 난방 구조에서 모듈패널(100)과 방열판(300)이 장기간 점착력을 유지하고 생활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점착제가 점착 또는 탈리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시공후 하자발생의 우려가 없다.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pipe 200 is installed on the module panel 100, the upper ends of the main protrusion 142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44 are all at the same height, including the turning section as well as the straight section where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Since the construction is consistent, when the heat sink 300 is raised and installed, there is no gap or lifting, and the lamination construction is stably performed. As this is done, not only does this provid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but also, in the dry heating structure,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heat sink 300 maintain adhesive strength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even if a living load occurs, the noise generated as the adhesive sticking or detaching does not occur at all. There is no risk of defects occurring after construction.

또한, 상기 코너구간(166)에 형성된 내입부(168)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200)이 회전되는 구간에서 배관(200)의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코너구간(166)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 사이의 중앙부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중앙으로 깊이가 점차 깊어지고 중앙에서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배관(200)의 변형율에 대응하게 경사진 구조로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면서 모듈패널(100)의 돌부(140)의 상면과 배관(200)의 상단이 수평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inlet 168 formed in the corner section 166 is formed in the corner section 166 to correspond to the strain rate of the pipe 200 in the section in which the pipe 200 is rotated as shown in FIGS. 8 to 10 . The depth of the central part between the starting part and the ending part is formed to be the deepest, and it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ep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starting part to the center and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part where the rotation ends, It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40 of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pipe 200 are horizontal while being formed in a inclined structure with different depths to correspond to the strain rate of the pipe 200 .

따라서 배관(200)이 모듈패널(100)의 안내로(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관(200)의 하부면 전체가 안내로(160) 바닥에 온전히 지지되면서도 모듈패널(100)과 배관(200)의 상부가 평활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관(200)을 통하여 보일러 등에서 온수가 유입되면 온수가 배관(200)을 경유하면서 방열판(300) 전체로 열을 전단하고, 열손실을 방지하고 방열판(300)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바닥 전체의 난방이 이루어지면서 바닥 전체를 골고루 따뜻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while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pipe 200 is fully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guide path 160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th 160 of the module panel 100,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pipe 200 ) maintains the smoothness of the upper part, so when hot water flows in from a boiler, etc. through the pipe 200, the hot water passes through the pipe 200 and shears heat to the entire heat sink 300, preventing heat loss, and the heat sink 300. By efficiently transferring the heat transferred to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배관(200)의 하부가 모듈패널(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하중이 바닥재(400)와 방열판(300)을 통하여 하부 모듈패널(100)로 전달될 때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모듈패널(100)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part of the pipe 200 is stably supported by the module panel 100 as described above,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when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lower module panel 100 through the flooring 400 and the heat sink 300 .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module panel 100

한편, 상기 배관(200)은 10~15mm의 외경을 가지고 1.5~2mm의 두께를 가지는 PE소재의 파이프형태의 관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모듈패널(100)에 배관(200)이 포설되는 간격은 100~150mm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pe 200 has an outer diameter of 10 to 15 mm and uses a pipe-shaped pipe made of P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1.5 to 2 mm. Silver can be formed in 100 to 150 mm.

즉, 배관(200)이 코너구간(166)을 따라서 평행하게 역방향으로 선회되는 코너구간의 내경이 100~150mm이 되도록 돌부(140)를 형성하고,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2)의 이격된 폭과 내입된 깊이는 배관(20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10~15mm로 형성하며, 코너구간(166)의 내입부(168) 중앙의 최고깊이는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2)보다 0.5~2mm 더 깊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배관(200)이 모듈패널(100)의 안내로(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관(200)의 하부면 전체가 안내로(160) 바닥에 온전히 지지되면서도 모듈패널(100)과 배관(200)의 상부가 평활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140 is form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corner section in which the pipe 2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parallel along the corner section 166 is 100 to 150 mm, and the first guide path 162 and the second guide path The spaced width and the inner depth of 162 are formed to be 10 to 15 mm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200, and the maximum depth of the center of the inner mouth 168 of the corner section 166 is the first guide path 162 ) and the second guide path 162 to be formed 0.5 to 2 mm deeper than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pipe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th 160 of the module panel 100 is the guide path. (16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moothness of the upper part of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pipe 200 while being fully supported on the floor.

이때, 배관(200)의 포설 간격이 100mm에 미달할 경우 너무 촘촘하게 시공되기 때문에 배관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서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하고 작업공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우며 경제성이 떨어지며, 150mm를 초과하는 경우 바닥 난방을 위한 열전도율이 떨어지고 신속한 난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바닥을 균일하게 난방할 수 없고 난방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pipe 200 is less than 100 mm, the length of the pipe is too long because it is too densely constructed, unnecessary waste occurs, and the work man-hour is increased, so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economical is lowered, and when it exceeds 150 mm The thermal conductivity for floor heating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quick heating effect, and the floor cannot be heated uniformly, and the heat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그리고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2)의 이격된 폭과 내입된 깊이는 배관(20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10~1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배관(200)의 크기는 수압에 대한 안정성과 배관 포설에 대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두께인 1.5~1.8mm로 하고 외경이 12mm인 파이프 형태의 난방 배관을 사용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2안내로(162,164)의 폭과 깊이를 12mm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코너구간(166)의 내입부(168) 중앙의 최고깊이를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2)보다 1mm 더 깊은 13mm로 형성함으로써 배관(200)이 선회되는 부분에서 상,하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nd the spaced apart width and the inner depth of the first guide path 162 and the second guide path 162 may be formed to 10 ~ 15mm to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200, the most preferable of the pipe 200. The size is 1.5 to 1.8 mm, which is the thickness to secure water pressure stability and workability for pipe laying, and a pipe-type heating pipe with an outer diameter of 12 mm is used. ) in the case of forming the width and depth of 12 mm, the maximum depth of the center of the inner mouth 168 of the corner section 166 is formed to be 13 mm deeper than the first guide path 162 and the second guide path 162 by 1 mm.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rtical deviation from occurring in the portion where the pipe 200 is rotated.

한편, 상기 모듈패널(100)과 배관(200)의 상부에 시공되는 방열판(300)은 배관이 설치된 위에 올려져 배관을 덮어주는 역할을 하면서 열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이때, 상기 방열판(30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판, 도금철판이나 석회와 같은 무기질 소재나 축열기능을 위하여 세라믹이나 석분을 포함하여 열 보존율이 우수하도록 제작한 방열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sink 300 installed on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pipe 200 is placed on top of the pipe installed and serves to cover the pipe and spread the heat evenly. At this time, the heat sink 300 may use an aluminum plate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a plated iron plate or lime, or a heat dissipation board manufactured to have an excellent heat preservation rate including ceramic or stone powder for a heat storage function.

이때, 방열보드는 폴리소재로 이루어지는 결합재 20~30중량부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에 유익하면서도 축열기능을 갖는 세라믹이나 석분 70~80중량부로 구성하여 경도가 우수하게 하면서도 열전도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dissipation board is composed of 20 to 30 parts by weight of a binder made of poly material and 70 to 80 parts by weight of ceramic or stone powder that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y emitting far infrared rays or negative ions and has a heat storage function. can do.

따라서 배관(200)에 온수가 순환하면서 발생한 열이 방열판(300)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배관의 하부측으로는 모듈패널(100)에 의하여 열이 하부측으로 빠져나가는 열손실을 방지함으로써 바닥난방 시간이 오래 지속되게 할 수 있다.Therefore, heat generated while hot water circulates in the pipe 200 is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300, and the module panel 100 prevents heat loss from escaping to the lower side by the module panel 100 to the lower side of the pipe, thereby reducing the floor heating time. can make it last longer.

100: 모듈패널
120: 베이스부
140: 돌부 142: 메인돌부 144: 보조돌부
160: 안내로 162: 제1안내로 164: 제2안내로
166: 코너구간 168: 내입부
200: 배관
300: 방열판
400: 바닥재
100: module panel
120: base part
140: stone portion 142: main stone portion 144: auxiliary stone portion
160: guide-ro 162: first guide-ro 164: second guide-ro
166: Corner section 168: Inside entrance
200: piping
300: heat sink
400: flooring

Claims (2)

건물 바닥면의 슬라브층(C) 상부에 일정면적을 가지며 사방으로 연결 설치되는 모듈패널(100)과, 상기 모듈패널(100)에 포설되는 난방을 위한 배관(200)과, 상기 모듈패널(100)에 배관(200)이 포설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순차적으로 마감되는 방열판(300) 및 바닥재(400)로 시공되는 건식 바닥난방 구조에 사용되는 모듈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모듈패널(100)은 베이스판부(120)과, 베이스판부(120)의 상부측으로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부(140)가 형성되고, 돌부(140)들간의 사이에는 배관(200)을 포설할 수 있도록 이격된 공간으로 구성되는 안내로(160)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160)는 서로 직교하게 배열되는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4) 및 배관이 선회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코너구간(16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듈패널(100)은 합성수지 발포단열재나 무기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단열재로 구성되되, 상기 안내로(160) 중 제1,2안내로(162,164)의 이격된 폭(W)과 내입된 깊이(H)는 배관(200)의 직경(D)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모듈패널의 재질적 특성과 마찰력에 의한 강제 끼움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면서도 배관(200)이 모듈패널(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코너구간(166)은 배관의 선회반경에 따른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에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된 상태에서 인접한 안내로로 수평방향으로 U자형 선회가 이루어지는 코너구간(166)에서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된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바닥에 내입부(168)가 형성되고,
상기 내입부(168)는 배관이 회전되는 구간에서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코너구간(166)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사이의 중앙부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중앙으로 깊이가 점차 깊어지고 중앙에서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관(200)의 변형율에 대응하게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면서 모듈패널(100)의 돌부(140)의 상면과 배관(200)의 상단이 수평을 이루면서 배관(200)의 상단에 마감되는 방열판(300)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모듈패널(100)은 배관(200)이 코너구간(166)을 따라서 평행하게 역방향으로 선회되는 코너구간의 내경이 100~150mm이 되도록 돌부(140)가 형성되고,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2)의 이격된 폭과 내입된 깊이는 10~15mm로 형성되며, 코너구간(166)의 내입부(168) 중앙의 최고깊이는 제1안내로(162)와 제2안내로(162)보다 0.5~2mm 더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난방구조용 모듈패널.
A module panel 10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lab layer (C) upp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and connected in all directions, a pipe 200 for heating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module panel 100 In the module panel 100 used in the dry floor heating structure constructed with the heat sink 300 and the flooring 400, which are sequentially finished on the top of the pip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200 is installed in the
The module panel 100 includes a base plate part 12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part 120 , and a pipe 200 between the protrusions 140 . A guide path 160 is formed that is spaced apart so as to install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rner section 166 that changes direction while turning,
The module panel 100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foam insulation material or an insulation molded using an inorganic material, and the width W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ssages 162 and 164 of the guide passage 160 and the embedded depth ( H)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D) of the pipe 200 and is assembled simply by forcible fitting b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frictional force of the module panel, while the pipe 200 moves arbitrarily while the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panel 1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without
The corner section 166 is an adjacent guide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on the first guide path 162 or the second guide path 164 to correspond to the strain according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pipe, and is horizontally U-shaped. In the corner section 166 where the turning is made, the depth from the part starting the rotation to the part ending the rotation is relatively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uide path 162 or the second guide path 164 in which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An inner inlet 168 is formed in the bottom,
The inner inlet 168 has the deepest central portion between the starting and ending portions of the corner section 166 to correspond to the strain in the section in which the pipe is rotated, the depth from the starting portion to the center.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40 of the module panel 100 and the pipe 200 are inclined so that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and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nd of the rotation, and the depth is formed differently to correspond to the strain rate of the pipe 200.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tact area with the heat sink 300 finished at the top of the pipe 200 while the upper end of the
The module panel 100 has a protrusion 140 form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corner section in which the pipe 2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parallel along the corner section 166 is 100 to 150 mm, and a first guide path 162 . The width and the inner depth of the second guide path 162 are 10 to 15 mm, and the maximum depth of the center of the inner entrance 168 of the corner section 166 is the first guide path 162 and the second guide path 162 . A module panel for a dry hea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0.5 to 2 mm deeper than the guide path (162).
건물 바닥면의 슬라브층(C) 상부에 일정면적을 갖고 사방으로 연결되는 모듈패널(100)이 시공되고, 모듈패널에는 난방 배관(200)이 포설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방열판(300)과 바닥재(400)를 적층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듈패널(100)은 바닥면(1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복수의 돌부(140)가 배열되어 안내로(160)를 구성하되, 안내로(160)는 메인돌부(142)와 보조돌부(144)에 의하여 서로 교차하게 구성되는 제1안내로(162) 및 제2안내로(164), 그리고 배관을 선회시키기 위한 코너구간(166)이 형성되어 안내로(160)의 폭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관(200)이 안내로(160)에 매립되어 직선과 곡선으로 포설되고,
상기 모듈패널(100)은 합성수지 발포단열재나 무기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단열재로 구성되되, 상기 안내로(160) 중 제1,2안내로(162,164)의 이격된 폭(W)과 내입된 깊이(H)는 배관(200)의 직경(D)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모듈패널의 재질적 특성과 마찰력에 의한 강제 끼움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면서도 배관(200)이 모듈패널(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코너구간(166)은 배관의 선회반경에 따른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에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된 상태에서 인접한 안내로로 수평방향으로 U자형 선회가 이루어지는 코너구간(166)에서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배관이 직선으로 포설된 제1안내로(162) 또는 제2안내로(164)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깊게 바닥에 내입부(168)가 형성되고,
상기 내입부(168)는 배관이 회전되는 구간에서 변형율에 대응하도록 코너구간(166)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 사이의 중앙부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되, 회전을 시작하는 부분부터 중앙으로 깊이가 점차 깊어지고 중앙에서 회전을 끝내는 부분까지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관(200)의 변형율에 대응하게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면서 상기 모듈패널(100)에 배관(200)이 포설된 상태에서 모듈패널(100)의 돌부(140)의 상면과 배관(200)의 상단이 수평을 이루면서 방열판(300)과 바닥재(400)를 순차적으로 적층 시공하여 배관포설에 따른 방열판의 들뜸이나 틈 발생을 방지하고 열전도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바닥난방 시공구조.
A module panel 100 having a certain area and connected in all directions is constructed on the top of the slab layer (C)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heat sink 300 and the flooring material are installed on the module panel in a state where the heating pipe 200 is installed. In the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in which construction is made by laminating 400,
The module panel 100 has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2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are arranged to constitute a guide path 160, but the guide path 160 includes the main protrusion 142 and the auxiliary. The first guide path 162 and the second guide path 164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by the protrusions 144 , and a corner section 166 for turning the pip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guide path 160 . A pipe 200 having a diameter of
The module panel 100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foam insulation material or an insulation molded using an inorganic material, and the width W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ssages 162 and 164 of the guide passage 160 and the embedded depth ( H)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D) of the pipe 200 and is assembled simply by forcible fitting b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frictional force of the module panel, while the pipe 200 moves arbitrarily while the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panel 1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without
The corner section 166 is an adjacent guide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on the first guide path 162 or the second guide path 164 to correspond to the strain according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pipe, and is horizontally U-shaped. In the corner section 166 where the turning is made, the depth from the part starting the rotation to the part ending the rotation is relatively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uide path 162 or the second guide path 164 in which the pipe is laid in a straight line. An inner inlet 168 is formed in the bottom,
The inner inlet 168 has the deepest central portion between the starting and ending portions of the corner section 166 to correspond to the strain in the section in which the pipe is rotated, the depth from the starting portion to the center. is gradually deepened and is inclined so that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nd of the rotation, so that the depth is formed differently to correspond to the strain rate of the pipe 200. In the state where the pipe 200 is installed in the module panel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40 of the panel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pipe 200 are horizontally stacked and the heat sink 300 and the floor material 400 are sequentially laminated to prevent the heat sink from lifting or the occurrence of a gap due to the pipe installation.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heat conduction efficiency.
KR2020210003241U 2021-03-22 2021-10-26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KR2022000233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41U KR20220002331U (en) 2021-03-22 2021-10-26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877 2021-03-22
KR2020210003241U KR20220002331U (en) 2021-03-22 2021-10-26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877 Division 2021-03-22 2021-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31U true KR20220002331U (en) 2022-09-29

Family

ID=8344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41U KR20220002331U (en) 2021-03-22 2021-10-26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331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26B1 (en) * 2023-12-18 2024-04-08 주식회사 엠플렉스 Insulation module that allows pipe insertion for dry hea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26B1 (en) * 2023-12-18 2024-04-08 주식회사 엠플렉스 Insulation module that allows pipe insertion for dry he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84714A1 (en) Modular component for floor heating
KR102313097B1 (en) Hypocaust heating flo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40037701A (en) Heat transfer panel for heating prefabricated
KR20220002331U (en) Module panel for dry floor heating structure and dry floor heating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module panel
KR20210077605A (en) Metal Plate with Concave and Convex Surface and Floor Heating System Using It
KR20220031828A (en) Dry heating panel structure for noise reduc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20080004185U (en) Prefabrication Type Floor Heating
TWI725922B (en) Floor rack
KR20170073377A (en) Dry Ondol panel for heating room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102171145B1 (en) Prefabricated dry heating panel
KR101764160B1 (en) Prefabrication Type ondol panel
KR10165412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ondol flooring of building and apartment house
KR200472878Y1 (en) Panel for building
KR20140063172A (en) Floor heating system
KR102159836B1 (en) Modular panel for heating piping with dry ondol floor
KR200351874Y1 (en) A fabricated hot-water heating system.
KR102274980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dry heating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s
KR100627127B1 (en) Haeting install davice for boiler
KR20190002389U (en) Prefabricated panels for dry heating
KR10076633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dry hot water ondool
JP4957955B2 (en) Seismic Isolated Building Construction Act
KR100634983B1 (en) Assembly type Ondo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17429A (en) dry heat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mbossing aluminum sheet
KR101315124B1 (en) Heating panel for fabrication
KR200404329Y1 (en) Fabrication adiabatic panel for Korean-floor h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