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204U -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 Google Patents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204U
KR20220002204U KR2020210000724U KR20210000724U KR20220002204U KR 20220002204 U KR20220002204 U KR 20220002204U KR 2020210000724 U KR2020210000724 U KR 2020210000724U KR 20210000724 U KR20210000724 U KR 20210000724U KR 20220002204 U KR20220002204 U KR 202200022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ousing
gas
conduit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택
Original Assignee
문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택 filed Critical 문영택
Priority to KR2020210000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204U/ko
Publication of KR20220002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2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23D14/40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fo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82Constructional details of valves,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의 저장용기에 고압으로 충전되는 가스에 대한 출구측의 압력값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일측에 결속되어 압축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제1관로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속되어 압축가스를 유출시키기 위한 제2관로와,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압력게이지와, 이 압력게이지의 가스 압력값을 특정하기 위한 압력설정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로는 저장용기의 선단부에 장착된 개폐밸브의 몸체 일측에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관로의 선단부에는 용접 토치로 연이어지는 호스가 아답터에 장착된 체결너트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압력설정유닛은 제1 및 제2관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저장용기로부터 용접 토치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Pressure regulator for oxygen welding machine}
본 고안은 통상의 산소 용접기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저장용기에 고압으로 충전되는 가스에 대한 출구측의 압력값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 용접기는 산소(O2)와 아세틸렌(C2H2)이나 수소, LPG 및 LNG 등의 가스가 혼합되는 과정에서 거의 2,600℃에 이르는 고열을 토치(Torch)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속을 용접하거나 혹은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 대개의 산소 용접기는 각각 별개로 구비된 산소용기와 가스용기를 호스를 통해 토치와 연결하여 혼합가스를 발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산소와 가스가 유입되는 용기에 압력조정기를 장착함으로써 가스 종류에 따른 출구측의 압력을 1.2kg/㎠ 이나 6kg/㎠ 등으로 셋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산소 용접이나 절단작업을 행하는 사용자가 초보인 경우 압력조정기(레귤레이터)의 조작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와 가스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많은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압력 조정기의 핸들을 풀어 산소 용기와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 밸브를 열고 조정기의 핸들을 서서히 돌려 원하는 압력을 맞추게 되는데, 대개의 사고 원인은 조정기에 핸들을 먼저 꼭 조인 다음에 그때서 산소 용기와 연결하고 밸브를 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조정기 내에서의 갑작스러운 압력 상승으로 인해 조정기 앞 뚜껑이 날아가고, 또 압력게이지의 유리파편이 튀면서 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조정기는 사용설명서에 명확히 명시되어 있는 대로 핸들을 풀어야 막히고 핸들을 조이면 열리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경험이 부족한 초보 작업자들은 통념상 핸들을 꼭 조여야 막히는 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은 오류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안전사고의 유발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가지 대응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등록실용 제0235082호(2001.06.08 등록) - 용접용 압력조절밸브. 등록실용 제0438894호(2008.03.03 등록) - 휴대용 산소 용접기. 공개특허 제2007-0057248호(2007.06.04 공개) - 압력조정기. 등록특허 제0914436호(2009.08.21 등록) - 압력 미세조정이 가능한 가스 레귤레이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력조정기의 출구값이 셋팅된 상태에서 핸들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초소형으로 제작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한번 셋팅해 두면 매번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별도의 조절기능을 갖춤으로써 초보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가스가 유통되는 압력조정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밀봉 구조를 개선하여 가스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일측에 결속되어 압축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제1관로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속되어 압축가스를 유출시키기 위한 제2관로와,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압력게이지와, 이 압력게이지의 가스 압력값을 특정하기 위한 압력설정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로는 저장용기의 선단부에 장착된 개폐밸브의 몸체 일측에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관로의 선단부에는 용접 토치로 연이어지는 호스가 아답터에 장착된 체결너트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압력설정유닛은 제1 및 제2관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저장용기로부터 용접 토치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설정유닛은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제1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유지되는 제1작동편과, O-링을 개재하여 조립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와, 이 고정볼트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2작동편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마감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마감캡은 육각너트가 구비된 소경부와 대경부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소경부 내에는 제2스프링 및 이 스프링의 양단부에 끼워져 유지되는 제1 및 제2압착편이 배치되고, 상기 대경부 내에는 O-링을 개재하여 고무판이 인접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일단 압력조정기의 출구값이 셋팅된 상태에서는 종전과 같이 핸들에 의한 개별 조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초보 작업자의 오류 조작에 의한 안전사고의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압력조정기 자체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조절기능을 갖춤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스가 유통되는 압력조정기의 내부 구성을 이중 밀봉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가스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조정기가 부설된 산소 용접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압력조정기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압력설정유닛의 내부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각 부품에 대한 분해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산소 용접기는 압축된 고압의 산소(O2)가 충전되어 있는 산소 저장용기(20A) 및 고압의 아세틸렌(C2H2)이 충전되어 있는 아세틸렌 저장용기(20B)를 구비하며, 이들 용기의 상단부 선단에는 개폐밸브(21a,21b)가 장착되어 가스의 공급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개폐밸브(21a,21b)의 몸체로부터 호스(22)를 개재하여 용접 토치(23) 측으로 각각 가스를 공급하게 되고, 이들 가스가 혼합되어 점화하는 과정에서 거의 2,600℃에 이르는 고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금속을 용접하거나 혹은 절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 토치(23)는 각각의 호스(22)를 통해 산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1유통관(24A) 및 아세틸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2유통관(24B)이 연결되며, 조절노브(25a,25b)들에 의해 공급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용접팁(26)에 불꽃이 점화되어 각종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가 충전되는 저장용기나 용접 토치의 경우,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구조를 채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저장용기(20A)나 아세틸렌 저장용기(20B)에 장착되는 압력조정기(30)는 하우징(35)과, 이 하우징(35)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압력게이지(40)와, 이 압력게이지(40)의 가스 압력값을 특정하기 위한 압력설정유닛(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5)에는 몸체 일측에 결속되어 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제1관로(36a) 및 가스를 유출시키기 위한 제2관로(36b)를 포함한 압력게이지(40)가 각각의 조립공(37a,37b)을 통해 연결되며, 제1관로(36a)의 선단부에는 체결너트(38a)가 장착되어 저장용기 측으로 결속됨과 동시에 제2관로(36b)의 선단부에는 너트(38b)를 갖는 아답터(39)가 장착되어 용접 토치(23) 측의 호스(22)와 결속된다.
이 아답터(39)에 연결되는 호스(22)의 끝단부 외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체결밴드 등을 이용하여 결속시킴으로써 가스가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압력게이지(40)는 최초 가스 종류에 따른 출구측의 압력을 1.2kg/㎠ 이나 6kg/㎠ 등으로 셋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매번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초보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압력게이지(40)의 전면을 제외한 둘레면과 후면부에는 금속재 케이싱(41)이 장착되어 부주의로 인해 압력게이지(4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압력설정유닛(45)은 하우징(35)의 제1 및 제2관로(36a,36b)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마감캡(46)이 장착되어 있으며, 가스 저장용기로부터 용접 토치(23)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가스가 유통되는 내부의 밀봉 구조를 통해 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압력설정유닛(45)은 하우징(35)의 전면부 내에 장착되는 제1스프링(48)과, 이 제1스프링(48)에 의해 탄력있게 유지되는 제1작동편(49A)과, 내경부의 선단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0)와, 이 고정볼트(50)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2작동편(49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작동편(49A,49B)에는 돌출봉(51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50)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52a) 내로 끼워져 유지되며, 상기 고정볼트(50)의 외주연에는 O-링(53)이 장착되어 내경부 사이의 틈새를 1차적으로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캡(46)은 소경부(54a)와 대경부(54b)로 이루어져 하우징(35)에 체결된다. 상기 소경부(54a) 내에는 제2스프링(55) 및 이 제2스프링(55)의 양단부에 끼워져 유지되는 제1 및 제2압착편(56A,56B)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54b)에는 O-링(57)을 포함한 고무판(58)이 연이어 배치됨으로써 하우징(35)과 마감캡(46B) 사이의 틈새를 2차적으로 밀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마감캡(46)의 일측 중앙부에는 육각너트(59)가 부설됨과 동시에 스티커(60)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산소 저장용기(20A) 및 아세틸렌 저장용기(20B)에 압력조정기(30)를 구성하는 하우징(35)의 제1관로(36a)를 장착하고, 제2관로(36b)에 호스(22)를 연결함으로써 용접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때 가스 종류에 따른 용접 토치(23)에 대한 출구측의 초기 압력값이 1.2kg/㎠ 이나 6kg/㎠ 등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저장용기로부터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압력조정기(30)를 이용하여 가스용기로부터의 유통 압력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감캡(46)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티커(60)를 떼어낸 후 렌치를 이용하여 육각너트(59)를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육각너트(5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마감캡(46) 내의 제1 및 제2압착편(56A,56B) 사이에 개재된 제2스프링(55)에 의해 탄력을 받음과 동시에 고무판(58)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작동편(49B)의 돌출봉(51a)이 하우징(35) 내의 고정볼트(50)에 형성된 통공(52a) 내로 진입하면서 제1작동편(49A)을 제1스프링(48)에 의해 탄력있게 밀어넣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5)의 제1 및 제2관로(36a,36b)에 대한 가스의 유통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육각너트(5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마감캡(46) 내의 제1 및 제2압착편(56A,56B) 사이에 개재된 제2스프링(55)에 의해 탄력을 받음과 동시에 고무판(58)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제2작동편(49B)의 돌출봉(51a)이 하우징(35) 내의 고정볼트(50)에 형성된 통공(52a) 내에서 후퇴하면서 제1작동편(49A)을 제1스프링(48)에 의해 탄력있게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5)의 제1 및 제2관로(36a,36b)에 대한 가스의 유통압력을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에 의하면, 일단 압력조정기의 출구값이 셋팅된 상태에서는 종전과 같이 핸들에 의한 개별 조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초보 작업자의 오류 조작에 의한 안전사고의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압력조정기 자체를 초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조절기능을 갖춤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스가 유통되는 압력조정기의 내부 구성을 이중 밀봉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가스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20A: 산소 저장용기 20B: 아세틸렌 저장용기
21a,21b: 개폐밸브 22: 호스
23: 용접 토치 24A: 제1유통관
24B: 제2유통관 25a,25b: 조절밸브
26: 용접팁 30: 압력조정기
35: 하우징 36a: 제1관로
36b: 제2관로 37a,37b: 조립공
38a,38b: 너트 39: 아답터
40: 압력게이지 41: 케이싱
45: 압력설정유닛 46: 마감캡
48: 제1스프링 49A: 제1작동편
49B: 제2작동편 50: 고정볼트
51a: 돌출봉 52a: 통공
52: O-링 54a: 소경부
54b: 대경부 55: 제2스프링
56A: 제1압착편 56B: 제2압착편
57: O-링 58: 고무판
59: 육각너트 60: 스티커

Claims (3)

  1. 하우징(35)과, 이 하우징의 일측에 결속되어 압축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제1관로(36a)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속되어 압축가스를 유출시키기 위한 제2관로(36b)와, 상기 제1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압력게이지(40)와, 이 압력게이지의 가스 압력값을 특정하기 위한 압력설정유닛(45)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로(36b)는 저장용기의 선단부에 장착된 개폐밸브의 몸체 일측에 체결너트(38a)를 이용하여 결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관로(36b)의 선단부에는 용접 토치(23)로 연이어지는 호스(22)가 아답터(39)에 장착된 체결너트(38b)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압력설정유닛(45)은 제1 및 제2관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저장용기로부터 용접 토치(23) 측으로 공급되는 가스 압력값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설정유닛(45)은 하우징(35) 내에 장착되는 제1스프링(48)과, 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유지되는 제1작동편(49A)과, O-링을 개재하여 조립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0)와, 이 고정볼트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2작동편(49B)과,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마감캡(46)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46)은 육각너트(59)가 구비된 소경부(54a)와 대경부(54b)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소경부 내에는 제2스프링(55) 및 이 스프링의 양단부에 끼워져 유지되는 제1 및 제2압착편(56A,56B)이 배치되고, 상기 대경부 내에는 O-링을 개재하여 고무판(58)이 인접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KR2020210000724U 2021-03-08 2021-03-08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KR202200022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724U KR20220002204U (ko) 2021-03-08 2021-03-08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724U KR20220002204U (ko) 2021-03-08 2021-03-08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204U true KR20220002204U (ko) 2022-09-15

Family

ID=8327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724U KR20220002204U (ko) 2021-03-08 2021-03-08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204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082B1 (ko) 1995-04-04 1999-12-15 우찌가사끼 이사오 접착제, 접착 필름 및 접착제-부착 금속박
KR100438894B1 (ko) 2001-12-28 2004-07-02 주식회사 케이티 Aal2 스위칭 장치에서 폐기 프레임의 판별 방법
KR20070057248A (ko) 2004-09-14 2007-06-04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압력조정기
KR100914436B1 (ko) 2009-03-24 2009-08-27 김병운 압력미세조정이 가능한 가스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082B1 (ko) 1995-04-04 1999-12-15 우찌가사끼 이사오 접착제, 접착 필름 및 접착제-부착 금속박
KR100438894B1 (ko) 2001-12-28 2004-07-02 주식회사 케이티 Aal2 스위칭 장치에서 폐기 프레임의 판별 방법
KR20070057248A (ko) 2004-09-14 2007-06-04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압력조정기
KR100914436B1 (ko) 2009-03-24 2009-08-27 김병운 압력미세조정이 가능한 가스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4018500A1 (en) Torch with integral flashback arrestors and check valves
CN105546168A (zh) 一种燃气自动安全阀
KR20220002204U (ko) 산소 용접기용 초소형 압력조정기
WO2021131917A1 (ja) 導通口と配管端部とを接続した接続構造、開閉バルブ装置及び封止部材の取外し方法
JPS6249512B2 (ko)
US8636028B2 (en) Refillable propane cylinder and valve assembly therefore
CN103470813B (zh) 混合阀
US20120168996A1 (en) Universal cutting torch and cutting torch head
CN205423972U (zh) 一种燃气自动安全阀
CN210107394U (zh) 一种割炬
KR101760436B1 (ko) 이동식 휴대용 용접기 세트
US3045694A (en) Manual valve for gas torches
SU150543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варки в защитных газах
US4398560A (en) Multiple shut-off valve
US9557747B2 (en) Gas flow regulator with multiple gas flow passages
KR200475332Y1 (ko) 점화장치 부착 가스절단기
KR101825156B1 (ko) 저녹스 버너의 조절식 가스버너
US1920965A (en) Blowpipe
US1237535A (en) Welding and cutting blowpipe.
US1095450A (en) Emergency unit.
KR200308461Y1 (ko) 산소절단기의 점화장치
KR20090081527A (ko) 커플러용 레버조립체
CN205764343U (zh) 一种用于狭长空间内作业的钢板切割枪
JP4972516B2 (ja) 圧力調整器
KR101572622B1 (ko) 가스용기 안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