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136A -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136A
KR20220002136A KR1020210084322A KR20210084322A KR20220002136A KR 20220002136 A KR20220002136 A KR 20220002136A KR 1020210084322 A KR1020210084322 A KR 1020210084322A KR 20210084322 A KR20210084322 A KR 20210084322A KR 20220002136 A KR20220002136 A KR 2022000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atabase
node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센 후
쑤오주 리
쯔이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2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betwee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a front-end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65Ensuring data consistency and integ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08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 G06F11/1612Error detection by comparing the output signals of redundant hardware where the redundant component is persistent stor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58Data re-synchronization of a redundant component, or initial sync of replacement, additional or spare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5Improving data quality; Data cleansing, e.g. de-duplication, removing invalid entries or correcting typographical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를 개시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장면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방안은: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 하며; 복수개 노드 중 이상 노드가 존재할 경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같은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이상 노드를 교체하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생성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며;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업데이트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구조가 동일한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한 세트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만 필요하며 상기 방안을 사용하여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DATABASE-BASED MANAGEMENT METHOD, PLATFOR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술 분야, 특히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동일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제공자가 수십 개의 데이터베이스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데이터베이스 제품은 데이터베이스 제품의 일상적인 관리 작업과 고 가용성(high availability)을 실현하기 위한 관리 플랫폼이 필요하다. 각 데이터베이스 제품은 자체 관리 플랫폼 세트를 설계하고 구현하며, 서로 다른 클라우드 장면, 회사 내부,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장면에서 동일한 데이터베이스 제품 아키텍처가 동일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관리 플랫폼으로 데이터베이스 제품에 대한 관리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제품은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database cluster)일 수 있다.
상기 기존 기술의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제품 또는 같은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제품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클라우드 장면에서 일관되지 않은 아키텍처를 가지므로 연구 개발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유지하고 동일한 기능을 반복적으로 개발해야 하며, 운영 및 유지 관리는 아키텍처에 의해 발생하는 다른 운영 및 유지 관리 차이에 적응해야 한다. 동시에 관리 플랫폼 자체의 기술적 반복 및 아키텍처 혁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 방안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효율이 비교적 낮다.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그중 상기 방법은: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복수개 노드 중 이상 노드가 존재할 경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며;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노드 구축 요청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때, 이상 노드가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전송한 것이며;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며, 상기 플랫폼은: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복수개 노드 중 이상 노드가 존재할 경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같은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송수신 모듈;
또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한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수신 모듈;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일 양태에 따르면, 태스크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며, 상기 플랫폼은:
송수신 모듈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노드 구축 요청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때, 이상 노드가 발생하였다고 결정될 때 전송되며;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데 사용되는 구축 모듈;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이 기억되어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르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그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상 노드가 발생할 경우, 적시에 구축된 교체 이상 노드의 교체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계속 모니터링하도록 하는데 유리하며,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정상적으로 액세스하도록 보장한다. 본 출원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구조가 동일한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한 세트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만 필요하며 상기 방안을 사용하는 동시에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구조라도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의 질대와 혁신에 편리하다.
본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핵심 또는 중요한 특징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특징은 다음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는데 사용되며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시범적인 실시예를 기술하는 바,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에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 사항이 포함되며, 이러한 세부 사항을 단지 시범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하여 이하의 기술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조의 기술을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출원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1,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액세스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102, 복수개 노드에서 이상 노드가 발생하면,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전송하여 이상 노드 대신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교체 노드를 생성한다;
단계 S103,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서 반환된 구축된 교체 노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04,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데이터베이스가 어떤 구조에 있든 상관없이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대해 통합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따라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크기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할 때, 직접 액세스하지는 않지만 중간의 복수개 노드를 통해야만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액세스 가능하다. 이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각 노드의 정보는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관리 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액세스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은 주로 각 노드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며, 이상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대응되는 노드를 통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액세스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기능만 구현하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작업 수행이 필요함을 감지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작업 요청을 전송하고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모니터링 중일 때 복수개 노드에 이상 노드(abnormal node)가 있다고 판단되면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전송하여 이상 노드 대신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replacement node)를 생성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가 적시에 정확하게 업데이트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같은 기능의 교체 노드를 생성하여 일반 노드를 교체한 후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구축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제때에 반환하여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측에서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구축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교체 노드의 정보와 이상 노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후속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할 때 경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을 계속 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대한 관리를 설명한다. 이를 예로 본 실시예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대한 집중 관리를 구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만 있으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관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관리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액세스할 때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 하고; 복수개 노드에서 이상 노드가 발생하면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전송하여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이상 노드를 교체한다;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되는 구축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한다;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할 때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상 노드가 발생하면 구축된 이상 노드를 교체하기 위한 교체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적시에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액세스하는 복수개 노드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하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정상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구조가 동일한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한 세트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만 필요하며, 상기 방안을 사용하여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라도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의 반복 및 혁신에도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계 S101는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할 때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 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의 구축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안은 오프라인에서 이미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 정보를 배치한 장면에 해당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할 때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스토리지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중 액세스 포털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하는 포털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액세스 포털은 애플리케이션의 업무에 제공하는 하나의 VIP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서비스의 경우 보더 게이트웨이(Border Gateways;BGW), 또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DNS)일 수 있다;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경우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LB) 기기 또는 DNS가 될 수 있다.
하나의 액세스 포털 정보는 하나의 액세스 미들웨어(Proxy)의 집합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액세스 미들웨어의 집합에서 각각의 액세스 미들웨어 간의 관계는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P2P) 관계이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는 복수개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는 복수개 스토리지 노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토리지 노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일치하다. 그중 하나의 스토리지 노드는 마스터 노드이고 다른 스토리지 노드는 슬레이브 노드이다. 하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은 하나의 2 튜플(tuple) <nodes, nodes_relation>, 즉 스토리지 노드의 집합 및 스토리지 노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중 스토리지 노드 사이의 관계는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관계이다. 상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2 튜플 설명을 토폴로지(topology)라고 하며, 액세스 포털의 구성 파일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대해,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계정에 대한 권한 정보를 더 배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계정 이름 및 암호와 같은 계정 정보; 엔티티에 대한 권한 부여 정보 읽기, 쓰기와 같은 권한 정보; IP, BNS와 같은 화이트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이러한 권한 부여 정보는 관리 정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때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관리 정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한다.
이때 대응하게, 단계 S101는 구체적으로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면 오프라인에서 애플리케이션에게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 정보를 배치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 하는데 편리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기반으로 나아가 더욱 상세하게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소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S202,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도록 한다;
단계 S203,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복수개 노드와 상기 실시예는 같으며 대응하게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204,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는 여전히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의 장면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할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보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또한 관리만을 구현하고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등 작업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수신한 후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게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쉽게 구축하도록 하기 위해 태스크 관리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배치한 후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반환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과정의 모니터링 및 관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에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또는 스토리지 노드의 수를 가질 수 있다. 대응하게 단계 S202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전송할 때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또는 스토리지 노드의 수를 가져야, 태스크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이러한 수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에 이러한 수를 가지지 않았을 때 태스크 관리 플랫폼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게 기본 수의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향후 노드의 수 및 정보를 추가로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처리하고,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배치한 후,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과정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추가로 더욱 상세하게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소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1, 애플리케이션이 전송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신한다;
단계 S302,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에 기반하여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대응되는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S303,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된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단계 S304,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애플리케이션에게 반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04 및 단계 S305는 선후 순서의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항목에 대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어떠한 작업 처리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신하면 대응하게 대응되는 업무 수행 작업 요청을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전송하고 태스크 관리 플랫폼은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에 기반하여 업무 작업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업무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반환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업무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반환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은 애플리케이션의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에 대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애플리케이션의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 작업의 경우 추가로 업무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기록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가 항상 정확한지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수행 결과 특정 노드가 삭제되었거나 특정 노드가 추가되었거나 특정 노드가 수정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적시에 업데이트해야 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데 편리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처리하고 업무 관리 플랫폼 처리 후 업무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된 업무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얻으며 애플리케이션에 반환한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이 애플리케이션의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 작업에 관련 시 업무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기록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가 항상 정확하도록 하며 나아가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출원 제4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1,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한다; 노드 구축 요청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때 이상 노드가 있다고 결정될 때 전송한다;
단계 S402,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같은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이상 노드를 교체한다;
단계 S403,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구축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다. 본 실시예와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별점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측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고 본 실시예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측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며 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완전히 같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하고 여기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업무 작업을 처리하도록 지원하고 업무 작업의 수행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피드백하여 데이터 관리 플랫폼은 더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계 S402는 구체적으로 다음 적어도 한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 액세스 포털의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교체 액세스 포털을 구축하여 이상 액세스 포털을 교체한다;
액세스 포털을 구축할 경우, 이상 액세스 포털과 같은 유형의 액세스 포털을 구축해야 하며 이상 액세스 포털이 DSN인 경우, 생성된 교체 액세스 포털도 반드시 DSN이어야 생성된 교체 액세스 포털과 이상 액세스 포털은 같은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이상 액세스 포털을 교체할 수 있다.
(2)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 정보에 따라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 소속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에서 하나의 미들웨어를 선택하여 교체 미들웨어로 하여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를 교체한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의 액세스 포털은 하나의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에 대응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액세스 미들웨어는 상기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 중 하나, 두개 또는 복수개이다. 본 실시예에서 같은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 중 복수개 액세스 미들웨어의 기능은 비슷하므로 특정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이 이상임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상 미들웨어 소속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에서 하나를 더 획득하여 교체 미들웨어로 하여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를 교체한다.
(3)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정보에 따라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과 같은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재구성하여 교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으로 하여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교체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특정 스토리지 노드에 기록된다. 따라서 실제 장면에서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이상 확률이 적다.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이 이상인 경우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정보를 사용하여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과 같은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재구성하여 교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으로 할 수 있다.
(4)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마스터 노드 역할을 하는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인 경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획득하고 새로운 마스터 노드로 업그레이드하여 이상 마스터 노드를 교체하며; 및
(5)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슬레이브 노드 역할을 하는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인 경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재구성하여 이상 슬레이브 노드를 교체한다.
즉 교체 노드 구축 시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마스터 노드가 이상인 경우 상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슬레이브 노드를 마스터 노드로 업그레이드하여 마스터 노드를 교체한다. 슬레이브 노드가 이상이면 다른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재구성하여 이상 슬레이브 노드를 교체한다.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여 각각의 노드가 이상인 경우 같은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정상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나아가 더욱 상세하게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소개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1,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S502,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애플리케이션에 배치한다;
단계 S503,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단계 S502는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단계 S502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배치할 경우,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와 같은 각각의 노드의 수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제1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털, 제2 미리 설정된 수의 미들웨어, 제3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storage allocation)의 제4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노드를 배치할 수 있다. 즉, 그중 제1 미리 설정된 수, 제2 미리 설정된 수, 제3 미리 설정된 수 및 제4 미리 설정된 수는 모두 기본 수(Default quantity)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단계 S501에서 수신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서 전송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에도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의 스토리지 노드의 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단계 S502에서 배치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에 가지는 액세스 포털,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의 스토리지 노드의 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포털, 대응되는 수의 미들웨어,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의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노드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는 여전히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다. 본 실시예의 상기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의 구별점은: 상기 도 2에 나타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측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였고 본 실시예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측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완전히 같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배치한 후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데이터 관리 플랫폼이 더욱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 제6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기반으로 추가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더욱 상세하게 소개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1,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가지는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은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S602, 애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기반하여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행한다;
단계 S603,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수행 결과를 반환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는 여전히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다. 본 실시예와 상기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별점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측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고 본 실시예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측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와 완전히 같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생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 S502에서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수가 모두 적합하지 않을 경우 본 실시예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에 기반하여 향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은 상기 기술 방안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과 같은 태스크 수행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작업 완료 후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수행 결과를 반환하여 데이터 관리 플랫폼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 제7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을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은: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701);
복수개 노드에 이상 노드가 존재할 경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송수신 모듈(702);
송수신 모듈(702)은 또한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서 반환된 생성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듈(70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은 상기 모듈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의 원리 및 기술 효과를 구현하며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와 같으므로 상세한 내용은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략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은 상기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기반으로 추가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구축 모듈(704)을 더 포함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구축 모듈(704)은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구축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에서 모니터링 모듈(701)은 구체적으로: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에서:
송수신 모듈(702)은 또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송수신 모듈(702)은 또한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도록 한다;
송수신 모듈(702)은 또한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구축 모듈(704)은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에서 송수신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서 반환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를 수신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에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또는 스토리지 노드의 수를 가진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의 송수신 모듈(702)은 다음 단계에 더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에 기반하여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대응되는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을 전송한다;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반환된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에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반환한다.
추가로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의 업데이트 모듈(703)은: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 작업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에 관련될 경우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700)은 상기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에 기반한 구현 원리 및 기술 효과를 구현하며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와 같으므로 상세한 내용은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략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을 제공하며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은:
송수신 모듈(901), 데이터베이스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한다; 노드 구축 요청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때 이상 노드가 존재한다고 결정될 경우 전송한다;
구축 모듈(902),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같은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이상 노드를 교체한다;
송수신 모듈(901)은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생성된 교체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은 상기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에 기반한 구현 원리 및 기술 효과를 구현하며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와 같으므로 상세한 내용은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략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은 상기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기반으로 나아가 더욱 상세하게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에서 구축 모듈(902)은:
이상 액세스 포털의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교체 액세스 포털을 구축하여 이상 액세스 포털을 교체하는 단계;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의 정보에 따라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가 속하는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에서 하나의 액세스 미들웨어를 선택하여 교체 액세스 미들웨어로 하여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를 교체하는 단계;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정보에 따라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과 같은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재구성하여 교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으로 하여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교체하는 단계;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마스터 노드로서의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일 경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획득하여 새로운 마스터 노드로 업그레이드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마스터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및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슬레이브 노드로서의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일 경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재구성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슬레이브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에는 또한 배치 모듈(903)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901)은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배치 모듈(903)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송수신 모듈(901)은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배치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배치 모듈(903)은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에 사용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배치 모듈(903)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제1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털, 제2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미들웨어, 제3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 중 제4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노드에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에 가지고 있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의 스토리지 노드의 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포털,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미들웨어,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스토리지 배치 중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노드에 사용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에는 또한 수행 모듈(904)을 포함하며:
송수신 모듈(901)은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가지는 태스크 수행 작업요청을 수신하며; 태스크 수행 작업요청은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수행 모듈(904)은 애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기반하여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송수신 모듈(901)은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수행 결과를 반환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태스크 관리 플랫폼(900)은 상기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에 기반한 구현 원리 및 기술 효과를 구현하며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와 같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관련 방법 실시예의 기재를 참고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전자 기기를 구현하는 블럭도이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보조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대형 컴퓨터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나타낸다. 전자 기기는 또한 예를 들면 개인 디지털 처리기, 셀폰, 스마트 전화, 웨어러블 기기 및 기타 유사한 계산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낸 구성 요소, 이들의 연결과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거나 및/또는 요구하는 본 출원의 구현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및 각각의 구성 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당해 인터페이스는 고속 인터페이스 및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 요소는 서로 다른 버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공통 마더 보드에 설치되거나 또는 수요에 따라 기타 방식으로 설치된다. 프로세서 전자 기기 내에서 수행되는 명령에 대해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 내에 기억되어 외부 입력/출력 장치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기기) 상에 GUI(도면 유저 계면)의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방식에 있어서, 필요할 경우, 복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복수의 버스와 복수의 메모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기는 부분적인 필요한 조작 (예를 들면, 서버 어레이, 일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1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1101)의 예를 들었다.
메모리(1102)는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1102)는 일종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비 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 일시적 컴퓨터 수행 가능 프로그램 및 모듈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면, 도 7-도 10에 나타낸 관련 모듈)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1102) 내에 기억된 비 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의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바,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102)는 프로그램 기억 영역 및 데이터 기억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기억 영역은 운영 체제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앱을 기억할 수 있고, 데이터 기억 영역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전자 기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 일시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장치, 또는 기타 비 일시적 고체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1102)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01)에 대해 원격 설치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실시예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 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1103) 및 출력 장치(1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입력 장치(1103) 및 출력 장치(11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1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하는 예를 들었다.
입력 장치(1103)는 입력된 디지털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의 전자 기기의 유저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트랙 패드, 터치 패드, 포인팅 스틱, 하나 또는 복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볼, 조이스틱 등 유저 설정 및 기능 제어 관련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1104)는 디스플레이 기기, 보조 조명 장치(예를 들면 LED) 및 촉각 피드백 장치(예를 들면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 기기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및 등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방식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실시 방식은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전용 ASIC(전용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 형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시되고, 당해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 상에서 수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당해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일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기억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및 명령을 당해 기억 시스템, 당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당해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 프로그램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응용 또는 코드로도 불림)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을 포함하며, 또한 고급 과정 및/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를 이용하여 이러한 계산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와 같은 용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의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LD))에 제공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며, 기계 판독 가능 신호로서의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기계 판독 가능 신호”와 같은 용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신호를 의미한다.
유저와의 대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 상에서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 및 기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는 유저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CRT (음극선관) 또는 LCD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키보드와 포인팅 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트랙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유저는 당해 키보드 및 당해 포인팅 장치를 통해 입력을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유형의 장치는 또한 유저와의 대화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에 제공하는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감각 피드백 (예를 들면,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으며, 또한 임의의 형태(음향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을 포함함)를 통해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 및 기술을 백엔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계산 시스템 (예를 들면 데이터 서버), 또는 미들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계산 시스템 (예를 들면 응용 서버), 또는 프런트 엔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계산 시스템 (예를 들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유저 컴퓨터인 바, 유저는 당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당해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하는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 방식과 대화함), 또는 이러한 백엔드 구성 요소, 미들웨어 구성 요소, 또는 프런트 엔드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계산 시스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또한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대화를 수행한다. 해당되는 컴퓨터 상에서 운행되고, 또한 클라이언트 - 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그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상 노드가 발생할 경우 적시에 구축된 교체 이상 노드의 교체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계속 모니터링하도록 하는데 유리하며,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정상적으로 액세스하도록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구조가 동일한지 여부에 관계 없이 한 세트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만 필요하며, 상기 방안을 사용하는 동시에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라도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의 질대와 혁신에 편리하다.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을 협조하여 태스크 작업을 처리하고 태스크 작업의 수행 결과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피드백하여 데이터 관리 플랫폼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다양한 형태의 흐름을 이용하여 단계를 재정렬, 증가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출원에 기재된 각각의 단계는 병렬로 수행되거나 또는 차례로 수행되거나 또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이 개시하는 기술 방안이 원하는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본 명세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설계 요건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교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33)

  1.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database cluster)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 노드 중에 이상 노드(abnormal node)가 존재할 경우, 태스크 관리 플랫폼(task management platform)에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replacement node)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하는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fragmentation)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
    상기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구축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의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에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또는 스토리지 노드의 수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대응되는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반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 작업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에 관련될 경우,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수신한 단계의 후에: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0.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database management platform)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노드 구축 요청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때, 이상 노드가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전송한 것임-;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는:
    이상 액세스 포털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교체 액세스 포털을 구축하여 상기 이상 액세스 포털을 교체하는 단계;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의 정보에 따라 상기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가 속하는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에서 하나의 액세스 미들웨어를 선택하여 교체 액세스 미들웨어로 하여 상기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를 교체하는 단계;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과 같은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재구성하여 교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으로 하여 상기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교체하는 단계;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마스터 노드로서의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일 경우, 상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획득하여 새로운 마스터 노드로 업그레이드 하여 이상이 발생한 마스터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및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중 슬레이브 노드로서의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일 경우, 상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재구성하여 이상이 발생한 슬레이브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의 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제1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털, 제2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미들웨어, 제3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상기 스토리지 배치 중 제4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노드;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에 가지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상기 스토리지 배치 중 스토리지 노드의 수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포털,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미들웨어,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상기 스토리지 배치 중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가지는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기반하여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수행 결과를 반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16.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상기 복수개 노드 중에 이상 노드가 존재할 경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송수신 모듈; 및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 및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데 더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구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 것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미리 구축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구축 모듈은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는데 더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서비스 구축 요청에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또는 스토리지 노드의 수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전송된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에 기반하여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대응되는 태스크 수행 작업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태스크 관리 플랫폼이 반환한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를 반환하는,
    것에 더 사용되는 ,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 작업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노드에 관련될 경우,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데 더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
  25. 태스크 관리 플랫폼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이상 노드의 정보를 가지는 노드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 상기 노드 구축 요청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이 미리 구축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복수개 노드를 모니터링할 때 이상 노드가 있다고 결정될 때 전송하는 것임-;및
    상기 이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동일한 기능의 교체 노드를 구축하여 상기 이상 노드를 교체하는 구축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구축된 상기 교체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 모듈은:
    이상 액세스 포털의 정보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교체 액세스 포털을 구축하여 상기 이상 액세스 포털을 교체하는 단계;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의 정보에 따라 상기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가 속하는 액세스 미들웨어 집합에서 하나의 액세스 미들웨어를 선택하여 교체 액세스 미들웨어로 하여 상기 이상 액세스 미들웨어를 교체하는 단계;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과 같은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재구성하여 교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으로 하여 상기 이상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을 교체하는 단계;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마스터 노드로서의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일 경우, 상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획득하여 새로운 마스터 노드로 업그레이드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마스터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및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슬레이브 노드로서의 스토리지 노드가 이상일 경우 상기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에서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를 재구성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슬레이브 노드를 교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배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치 모듈은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상기 복수개 노드의 정보를 반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으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관리 정보를 구축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스토리지 노드에 사용되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제1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포털, 제2 미리 설정된 수의 액세스 미들웨어, 제3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상기 스토리지 배치중 제4 미리 설정된 수의 스토리지 노드에 사용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구축 요청에 가지고 있는 액세스 포털, 액세스 미들웨어,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상기 스토리지 배치의 스토리지 노드의 수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배치한,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액세스 시 통과하는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포털, 대응되는 수의 액세스 미들웨어,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프래그먼테이션 및 각각의 상기 스토리지 배치중 대응되는 수의 스토리지 노드에 사용되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30.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또한 수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의해 전송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를 가지는 태스크 수행 작업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태스크 수행 작업요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수행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에 기반하여 추가, 삭제, 검색 또는 수정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 플랫폼에 수행 결과를 반환하는데 사용되는,
    태스크 관리 플랫폼.
  3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된 메모리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이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
    전자 기기.
  32. 컴퓨터 명령이 기억되어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
    기록 매체.
  33.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
    프로그램.
KR1020210084322A 2020-06-30 2021-06-28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 KR202200021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18456.X 2020-06-30
CN202010618456.XA CN111858628A (zh) 2020-06-30 2020-06-30 基于数据库的管理方法、平台、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36A true KR20220002136A (ko) 2022-01-06

Family

ID=7298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322A KR20220002136A (ko) 2020-06-30 2021-06-28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9853B2 (ko)
EP (1) EP3933607A1 (ko)
JP (1) JP2022013831A (ko)
KR (1) KR20220002136A (ko)
CN (1) CN1118586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7780A (zh) * 2020-12-23 2021-03-19 平安银行股份有限公司 Redis集群的创建与管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3515499B (zh) * 2021-03-25 2023-04-28 中国雄安集团数字城市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库服务方法及系统
CN113347050B (zh) * 2021-08-04 2021-11-02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区块链节点退出节点集合的方法及装置
CN114697328A (zh) * 2022-03-25 2022-07-01 浪潮云信息技术股份公司 NiFi高可用集群模式的实现方法及系统
CN115499449A (zh) * 2022-07-28 2022-12-20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镜像加速系统、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55795A1 (en) 2000-05-02 2001-11-12 Sun Microsystems, Inc. Cluster configuration repository
US8055735B2 (en) * 2007-10-30 2011-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luster of networked nodes
JP2009110439A (ja) 2007-10-31 2009-05-21 Nec Corp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方法,プログラム
US7987152B1 (en) * 2008-10-03 2011-07-26 Gadir Omar M A Federation of clusters for enterprise data management
US8326800B2 (en) * 2011-03-18 2012-12-04 Microsoft Corporation Seamless upgrades 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JP5821471B2 (ja) 2011-09-28 2015-11-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セス監視方法、プロセス監視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9756128B2 (en) * 2013-04-17 2017-09-05 Apeiron Data Systems Switched direct attached shared storage architecture
US10310911B2 (en) 2014-03-14 2019-06-04 Google Llc Solver for cluster management system
US10834054B2 (en) 2015-05-27 2020-11-10 Ping Identi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PI routing and security
US10061841B2 (en) * 2015-10-21 2018-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st path traversal in a relational database-based graph structure
CN109144994B (zh) * 2017-06-19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索引更新方法、系统及相关装置
JP6939246B2 (ja) 2017-08-23 2021-09-22 富士通株式会社 処理分散プログラム、処理分散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10884876B2 (en) 2018-02-27 2021-01-05 Verita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database backup for repairless restore
CN110457307B (zh) * 2018-05-03 2023-10-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元数据管理系统、用户集群创建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1176172B2 (en) 2018-05-14 2021-11-16 Vmw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database failover in a master-replica replication configuration
US11182254B2 (en) 2019-07-31 2021-11-23 Rubrik, Inc. Streaming database backup using cluster live mounts
CN111104282B (zh) 2019-11-26 2024-01-16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节点处理方法和装置
CN111200532A (zh) * 2020-01-02 2020-05-26 广州虎牙科技有限公司 数据库集群节点主从切换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9853B2 (en) 2023-07-25
US20210406275A1 (en) 2021-12-30
JP2022013831A (ja) 2022-01-18
EP3933607A1 (en) 2022-01-05
CN111858628A (zh)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136A (ko)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관리 방법, 플랫폼, 전자 기기 및 기록매체
CN111327720B (zh) 一种网络地址转换方法、装置、网关设备及存储介质
US11089117B2 (en) Discovery of remote storage services and associated applications
US10454775B2 (en) Device and service discovery across multiple network types
JP742151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デプロイ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116735B2 (en) Service migration across cluster boundaries
US9596279B2 (en) Cloud-based streaming data receiver and persister
EP3828701B1 (en) Mini app processing method, server,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22536108A (ja) リモート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のワークフローへの統合
CN111666585A (zh) 子应用访问的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US11068327B1 (en) API manager
SG189890A1 (en) Routing traffic in an online service with high availability
EP3457668B1 (en) Clustering in unifi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ervices
WO2021232243A1 (zh) 集群管理方法、集群管理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2579353A (zh) 自动运维方法、装置及大数据平台
US10824588B2 (en) Remote document conversion and viewing systems and methods
US108195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discovery of services
US10963314B2 (en) Discovery and mapping of a platform-as-a-service environment
CN111835857B (zh) 用于访问数据的方法和装置
US20230246916A1 (en) Service map conversion with preserved historical information
US20210248139A1 (en) Data mining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00201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uster exploration in a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cmdb) platform
JP2024010659A (ja) コマンド検証による迅速なエラー検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