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20U - Interior partitions - Google Patents

Interior parti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20U
KR20220002020U KR2020210000441U KR20210000441U KR20220002020U KR 20220002020 U KR20220002020 U KR 20220002020U KR 2020210000441 U KR2020210000441 U KR 2020210000441U KR 20210000441 U KR20210000441 U KR 20210000441U KR 20220002020 U KR20220002020 U KR 20220002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lower base
base
upper base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김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영 filed Critical 김건영
Priority to KR2020210000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020U/en
Publication of KR20220002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2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04B2002/7492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구획을 위한 인테리어용 파티션을 제공하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분해 또한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파티션의 설치 시공의 용이성은 물론 설치 후의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천정면에 접하며 등간격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부베이스; 바닥면에 접하며 등간격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각 측면 사이에 게재되는 간격조절부; 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간을 연결하는 연결봉; 상기 하부베이스 하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 를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ior partition for an indoor partition, and is configured to be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to provide a partition structure for indoor interior that can double the interior effect after installation as well as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partition for, an upper bas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having an equal interval coupling portion; A lower bas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n equally spaced coupling portion; a gap adjusting unit disposed between each side of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 positio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s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base; It relates to a partition for indoor interior comprising a.

Description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Interior partitions}Partitions for interiors {Interior partitions}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바닥면과 천정면에 각각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간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등간격 형성하되, 상기 연결봉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미감을 향상시키고, 연결봉과 연결봉간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 간격유지부를 상기 베이스와 베이스간에 형성하여 구성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and in detail, to double the indoor interior effect, as well as to form a base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respectively, to partition the space as needed, and connect the bases Partition for indoor interior configured by forming connecting rods at equal intervals to improve the aesthetics by configuring the connecting rods in various shapes, and forming a gap maintaining part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rods and the connecting rods can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is about

파티션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인테리어 기구로서, 구획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에 일체로 부착되는 판넬을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이 단위체를 일렬로 연결하거나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로 공간을 분할한다.A partition is an interior device widely used to partitio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its purpose. Alternatively, the space is divided into a desired shape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m in a T-shape.

최근에는 칸막이 패널로 합판과 같은 목재나, 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칸막이 패널은 프레임 유닛을 이용하여 천장과 바닥면에 고정된다.Recently,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such as plywood, glass, and synthetic resin are used as partition panels. These various partition panels are fixed to the ceiling and floor using a frame unit.

종래의 파티션의 제조 방법은 우선 다양한 소재로 파티션의 틀을 만든 후, 내부 공간을 벌집모양의 허니콤재 등으로 채우고 양측면에 합판이나 철판을 붙여서 그 외피를 천이나 도색으로 마감하여 하나의 파티션 단위체가 완성된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partition, first, a frame of the partition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the inner space is filled with honeycomb-shaped honeycomb material, etc. is completed

그리고, 파티션 단위체끼리를 별도로 구비되는 공지의 다양한 조립 부품 등으로 연결시킨다.Then, the partition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various well-known assembly parts provided separately.

그러나, 종래의 파티션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이외에 파티션 단위체간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로 조립 부품을 필요로 하여 재료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었고, 그 연결 방법 또한 번거롭고 까다롭다. 그리고, 파티션의 조립 또는 연결이 일단 한번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외관을 변경하기 어려워 사무소 등의 분위기 전환을 위해서는 별도의 파티션을 조립하거나 기존의 파티션을 전면적으로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등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artition requires a separate assembly part for connecting the partition units in addition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skeleton, which increases the material cost, and the connection method is also cumbersome and difficult. In addition, once the partition is assembled or connected, it is difficult to change its appearance, so in order to change the atmosphere of the office, it is necessary to assemble a separate partition or completely replace the existing partition in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re were several problems.

특히, 종래의 파티션은 하나의 파티션 단위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판넬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티션 판재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 상승, 가공성 및 작업 능률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partition ha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and cost increas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to move the entire partition plate because the frame and the panel constituting one partition unit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이외에도, 실내에 설치되는 칸막이 패널은 바닥면만 고정되어, 일정 높이만큼 공간을 구분하는 사무실용 파티션과, 실내에 룸을 형성하기 위한 벽체형 칸막이로 나눌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anel installed indoors can be divided into an office partition that divides a space by a certain height by fixing only the floor surface, and a wall partition for forming a room in the room.

이 중, 상기 벽체형 칸막이는 칸막이 패널이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조립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칸막이 패널을 천정에 조립하는 상부 프레임 유닛과 상기 칸막이 패널을 바닥에 조립하는 하부 프레임 유닛을 포함한다.Of these, the wall-type partition divides a space by assembling a partition panel o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room, and includes an upper frame unit for assembling the partition panel to the ceiling and a lower frame unit for assembling the partition panel on the floor do.

그러므로, 상기 상부 프레임 유닛을 천정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유닛에 상기 칸막이 패널을 끼워 조립 한 후, 상기 칸막이 패널의 하단에 상기 하부 프레임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하부 프레임 유닛 가 바닥에 고정되어 칸막이 패널을 지지 및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Therefore, after the upper frame uni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partition panel is fitted to the upper frame unit, and the lower frame un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anel, the lower frame unit is fixed to the floor to form the partition panel. to be supported and fixed.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실내에 조립식 칸막이를 설치하는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 유닛과 하부 프레임 유닛 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칸막이 패널과 조립되기 때문에 작업공간 확보가 쉽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작업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어렵고, 상기 조립식 칸막이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 유닛 또는 하부 프레임 유닛이 평범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디자인 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refabricated partition in the room is difficul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ability and constructability of the operator is reduced, and the upper frame unit and the lower frame unit are integrally formed and assembled with the partition panel, so the work space It is not easy to secure, and thus it takes a lot of time to work, so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proceed with the work, and since the upper frame unit or lower frame unit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partition is made of a plain fram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ense of design is deteriorated.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등록 제 10-0794286 호나, 국내 특허등록 제 10-1473753 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실내 구획 후 이를 재배치하기 위하여 다시 분해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0794286,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473753, etc. have been disclosed,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workability is difficult when it has to be disassembled again to rearrange it after dividing the room. There are quite a few problems.

국내 특허등록 제 10-0794286 호 (공고일 2008년01월11일)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0794286 (Announcement date: January 11, 2008) 국내 특허등록 제 10-1473753 호 (공고일 2014년12월18일)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1473753 (Announced December 18, 2014)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실내 구획을 위한 인테리어용 파티션을 제공하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분해 또한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파티션의 설치 시공의 용이성은 물론 설치 후의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n interior partition for an indoor partition, and is configured to be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so that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partition and the interior effect after installation are doubl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tion structure for indoor interiors that can be us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천정면에 접하며 등간격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부베이스;an upper bas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having an equal interval coupling portion;

바닥면에 접하며 등간격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부베이스;A lower bas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n equally spaced coupling portion;

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각 측면 사이에 게재되는 간격조절부;a gap adjusting unit disposed between each side of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간을 연결하는 연결봉;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상기 하부베이스 하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a positio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s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base;

를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partition for indoor interior comprising a.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분해 또한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파티션의 설치 시공의 용이성은 물론 설치 후의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so that it can be expected to provide a partition structure for indoor interior that can double the effect of the interior after installation as well as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parti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적용되어 실시되는 일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서 도 1의 일형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도면에서 연결봉과 캡 및 하부베이스, 위치조절부의 구성들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도면에서 연결봉과 캡 및 상부베이스를 각각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의한 일실시 형태의 본 고안의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각 베이스를 측면 연결하며 연결봉의 간격이 균일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일형태의 간격조걸부가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분리도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applied and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form of Figure 1 is sepa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ing rod, the cap, the lower base, a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separated in the drawing of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od, the cap, and the upper base separated from the drawing of FIG. 2, respectively;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ype of gap jogging part is applied to connect each base to the side and to allow the spacing of the connecting rods to be uniformly applied;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fo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can have various form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mmon or dictionary It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and, of course,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designe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his own design in the best way,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possible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or existent.

또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듯이, 천정면에 접하는 상부베이스(100)와 바닥면에 접하는 하부베이스(200) 및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간을 연결하는 연결봉(400)과,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500)와, 상기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 각 측면 사이에 게재되는 간격조절부(3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base 100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 lower base 200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a connecting rod 400 connecting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to each other.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500 fo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lower base 200, and a space adjusting unit 300 disposed between each side of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먼저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성들은 번호만 달리하고 동일한 명칭으로 명명한다.First,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each component is named with the same name only with different numbers.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는 등간격으로 결합부(110,210)를 구성하게 된다.When thi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constitute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at equal intervals.

상기 결합부(110,210)는 상기한 연결봉(400)들의 상하단과 결합 지지되기 위한 구성이다.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supported wi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rods 400 .

이와 같은 결합부(110,210)는 중앙에 천공되는 결합공(111,211)의 외주연으로 원형태를 갖는 삽입홈(112,2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1,211) 하단에서 확관되는 형태의 위치조절결합공(213)이 형성된다. In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insertion grooves 112 and 212 having a circular shape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holes 111 and 211 punched in the center, and the coupling holes 111 and 211 are expan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hole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s. (213) is formed.

상기 삽입홈(112,212)은 후술하게 되는 연결봉(400)의 각 단부를 마감하는 캡(410)의 돌출부(420)가 삽입되기 위한 구성이다. The insertion grooves 112 and 212 are configured for insertion of the protrusion 420 of the cap 410 that closes each end of the connecting rod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위치조절결합공(213)으로는 위치조절부(500)가 결합되도록 하여, 천정면(1)과 바닥면(2)에 각각 대향되며 지지되는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 중, 바닥면(2)에 놓여지며 지지되는 하부베이스(200)의 위치조절결합공(113)측에 삽입 결합되어 나사 결합에 의해 위치조절부(500)를 좌우 회전시키며 하부베이스(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Among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that are supported while being opposed to the ceiling surface 1 and the floor surface 2, respectively, so that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500 is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coupling hole 213. ,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coupling hole 113 side of the lower base 200 tha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2 and is supported to rotate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500 left and right by screw coupling, and the height of the lower base 200 is lowered. configured to be adjustable.

상기 상부베이스(100)에서는 천정면(1)측에 위치조절부(500)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고안의 도면부호에서 상부베이스(100)의 위치조절결합공에 해당되는 구성의 도면부호는 생략한다. In the upper base 100, since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500 on the ceiling surface 1 sid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djusting coupling holes of the upper base 100 in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는 동일 형상의 구조를 갖게 되지만, 천정면(1)에 위치할 때와 바닥면(2)에 위치할 때, 위치조절결합공(213)이 구비될 수도 있고 구비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즉 하부베이스(200)에만 위치조절결합공(213)이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가 동일 구조와 형상을 갖도록 사출할 경우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have the same structure, but when positioned on the ceiling surface 1 and when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2, the position adjustment coupling hole 213 may be provided. It may or may not need to be provided. That is, the position adjustment coupling hole 213 may be provided only in the lower base 200 , but when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are inject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the workability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즉,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를 구별하여 천정면(1)에 접하는 상부베이스(100)와 바닥면(2)에 접하는 하부베이스(200)를 일일이 구별하며 작업하는 것은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생산성 또한 저하시키게 되므로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는 동일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되, 바닥면(2)에 접하는 하부베이스(200)의 위치조절결합공(213)을 통하여 전술한 위치조절부(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베이스(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That is, by distinguishing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to distinguish the upper base 100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1 and the lower base 20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 it is work efficiency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are injection-molded in the same shape, but through the position adjustment coupling hole 213 of the lower base 20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2 In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position adjusting unit 500 is coupled, the height of the lower base 200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부(110,210)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데, 각각의 베이스(100,200)와 베이스(100,200)간 측면으로 이어지며 파티션을 형성할 때, 각각의 베이스(100,200)와 베이스(100,200)에 형성된 결합부(110,210)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provided in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respectively,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at the same distance, respectively, between the respective bases 100 and 200 and the bases 100 and 200. When the partitions are formed, the intervals between the respective bases 100 and 200 and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formed on the bases 100 and 200 are not made uniformly.

하나의 단일화 된 각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에는 균등한 이격 간격으로 결합부(110,210)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부베이스(100)와 상부베이스(100)들이 각각 측면으로 이어지고 하부베이스(200)와 하부베이스(200)들이 각각 측면으로 이어지게 되면, 단일화되는 각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의 양측단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결합부(110,210)들은 등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좁은 이격 거리를 형성하게 된다.Each of the single united upper base 100 and lower base 200 is provided with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at equal intervals, but the upper base 100 and the upper base 100 are connected to the side, respectively, and the lower base When the 200 and the lower base 200 are connected to the side, respectively,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formed close to both ends of the unitized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do not maintain an equal distance. It creates a narrow separation distance.

즉, 상부베이스(100)와 상부베이스(100) 측면 또는 하부베이스(200)와 하부베이스(200) 측면이 서로 접할 때 양측단에 인접되는 결합부(110,210)간 이격 거리는 여타의 간격과 달리 좁은 거리에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pper base 100 and the upper base 100 side or the lower base 200 and the lower base 200 side contact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adjacent to both ends is narrow unlike other intervals. be on the street

따라서,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간격조절부(30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interval adjusting unit 300 as shown in FIG. 6 .

상기 간격조절부(300)는 도면에서 보듯이, 직사각형태를 이루며 양측면으로 각각 돌출삽입구(310)를 복수개 형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pacing adjusting unit 3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forms a plurality of protruding insertion holes 310 on both sides,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돌출삽입구(310)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상기 돌출삽입구(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홈(120,220)을 형성한다. In addition, coupling grooves 120 and 220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so that the protruding inserts 310 can be insert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protruding inserts 31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간격조절부(300)에 의해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부베이스(100)간과, 하부베이스(200)간을 상호 연결하면서도 연결봉(400)들의 고정 위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disposed along the side of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are interconnected by the spacing adjusting unit 300 configured in this way, and the fixed position spacing of the connecting rods 400 can be formed to be the same. .

한편 상기 연결봉(400)은 상부베이스(100)와 하부베이스(200)간을 연결하며 등간격 이격 배치되는 구성이다. Meanwhile, the connecting rod 400 connects between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and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이와 같은 연결봉(400)은 상하 양단부에 각각 일방이 개구되고 타방으로 돌출부(420)를 갖는 캡(410)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Such a connecting rod 400 is coupled using a cap 410 having an upper and lower both ends, one of which is opened, and a protrusion 420 at the other .

상기 돌출부(420)는 전술한 단부가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한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의 각 결합부(110,2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12,212)에 끼워지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The protrusion 420 has a shap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end is opened and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112 and 212 formed in the respective coupling portions 110 and 210 of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will do

상기 연결봉(400)은 원형태 뿐만 아니라, 사각, 육각 등 다양한 다각면체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e connecting rod 400 may have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a square, a hexagon, and the lik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아울러, 상기 연결봉(400)은 상하단의 각 캡(410)의 돌출부(420)가 상기한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의 각 삽입홈(112,21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봉(400)을 좌우로 일정각 회동 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400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420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aps 410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grooves 112 and 212 of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onnecting rod 400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즉, 연결봉(400)의 좌우 일정각 회동에 의해 다각형태의 연결봉(400)의 인테리어 효과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That is, the interior effect of the polygonal connecting rod 400 may be produced b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connecting rod 400 at a certain angle.

상기 캡(410)의 돌출부(420)가 상기 상부베이스(100) 및 하부베이스(200)의 각 삽입홈(112,2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3 및 도 5 의 각 베이스(100,200) 결합공(111,211)측으로 나사 등에 의해 상기 캡과 각 베이스(100,200)간을 연결하더라도, 일정 범위내에서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3 and 5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420 of the cap 410 i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sertion grooves 112 and 212 of the upper base 100 and the lower base 200, each of the bases 100 and 200 of FIGS. Even if the cap and each of the bases 100 and 200 are connected by a screw or the like, rotation within a certain range may be possible.

상기 위치조절부(500)는 상기 하부베이스(200) 하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The position adjusting unit 5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se 200 and is a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base 200 .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에 의해, 실내 공간을 자유롭게 공간 활용성을 위한 구획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설치 이후에도 필요에 따라 파티션의 설치 장소를 이동하여 실내 공간을 재구획하고자 할 경우 손쉽게 분리하여 새로운 구획을 위한 설치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The partition for indoor spa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kes it easy to divide the indoor space freely for space utilization, and even after installation, when you want to re-partition the indoor space by mov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artition as needed, it is easy to separate This makes it easier to install for a new compartment.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it will be obvious that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천정면 2; 바닥면 100; 상부베이스 110; 결합부 111; 결합공 112; 삽입홈 120; 결합홈 200; 하부베이스 210; 결합부 211; 결합공 212; 삽입홈 213; 위치조절결합공 220; 결합홈 300; 간격조절부 310; 돌출삽입구 400; 연결봉 410; 캡 420; 돌출부 500; 위치조절부One; ceiling plane 2; bottom surface 100; upper base 110; joint 111; coupling hole 112; insertion groove 120; coupling groove 200; lower base 210; coupling part 211; joiner 212; insertion groove 213; position adjustment joint 220; coupling groove 300; Spacing part 310; protrusion insert 400; connecting rod 410; cap 420; projection part 500; position control unit

Claims (5)

천정면에 접하며 등간격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부베이스;바닥면에 접하며 등간격 결합부를 구비하는 하부베이스;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의 각 측면 사이에 게재되는 간격조절부;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간을 연결하는 연결봉;상기 하부베이스 하단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An upper base in contact with a ceiling surface and having an equally spaced coupling portion; a lower base in contact with a floor surface and having an equally spaced coupling portion; a spacing adjus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each side of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A position adjust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as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base; Partition for interior includ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중앙에 천공되는 결합공의 외주연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 하단에서 확관되는 형태의 위치조절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upling hole punched in the center, the partition for interior interior comprising a position adjustment coupling hole in the form of an expansion tub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 및 상기 하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각 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이격시키며 상기 연결봉들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ase and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and the lower base is coupled between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lower base, the partition for indoor interior comprising a spacing adjusting portion for maintaining a uniform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rods.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각 양측면으로 각각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According to claim 1, Indoor interior partition comprising forming coupling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간격조절부 양측면으로 각각 돌출삽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파티션. According to claim 3, Indoor interior partition comprising forming a protruding insertion hole,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spacing adjusting unit.
KR2020210000441U 2021-02-09 2021-02-09 Interior partitions KR2022000202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41U KR20220002020U (en) 2021-02-09 2021-02-09 Interior part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41U KR20220002020U (en) 2021-02-09 2021-02-09 Interior part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20U true KR20220002020U (en) 2022-08-17

Family

ID=8306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41U KR20220002020U (en) 2021-02-09 2021-02-09 Interior parti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020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86B1 (en) 2007-10-18 2008-01-11 (주)혜덕 Sectional partition
KR101473753B1 (en) 2013-06-10 2014-12-18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Panel having Tension-cli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86B1 (en) 2007-10-18 2008-01-11 (주)혜덕 Sectional partition
KR101473753B1 (en) 2013-06-10 2014-12-18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Panel having Tension-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2048A (en) Longitudinal support post
KR100936593B1 (en)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KR200479589Y1 (en) Panel for partition and fabricated partition using thereof
KR100794286B1 (en) Sectional partition
US20180112397A1 (en) Modular structural panel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panels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794720B1 (en) Variable partition wall
KR200492408Y1 (en) Prefabricated partition
CA2666284C (en) Caisson ceiling system
KR20190050412A (en) Modular Archit1ect1ure And Const1ruct1ion Met1hod Using T1he Same
KR20220002020U (en) Interior partitions
AU2017351956B2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0465616Y1 (en) An assembling bookcase furniture extended to desk and bed
KR101901240B1 (en) A mold panel of assembly for building
KR20070080802A (en) Wall partition
KR101461409B1 (en) Ceiling closing assembly
KR102164638B1 (en) Modular unit using styrofoam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439457Y1 (en) Sectional partition
JP6482586B2 (en) Cover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cover wall unit
JP2002161622A (en) Fence
JPH0882033A (en) Partitioning device
EP3421679B1 (en) Gongpo assembly structure of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and temple
JP2006207340A (en) Panel built-up type partition
CN219836111U (en) building blocks
KR940003897Y1 (en) Decorating blick
KR20040058760A (en) Block Type Panel Free Height and 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