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10A -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10A
KR20220002010A KR1020200080650A KR20200080650A KR20220002010A KR 20220002010 A KR20220002010 A KR 20220002010A KR 1020200080650 A KR1020200080650 A KR 1020200080650A KR 20200080650 A KR20200080650 A KR 20200080650A KR 20220002010 A KR20220002010 A KR 20220002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code
cod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영
Original Assignee
오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영 filed Critical 오상영
Priority to KR102020008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010A/ko
Publication of KR2022000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을 상기 인증 서버에 등록 또는 보고하는 단계; 제1 단말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 인증 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제2 단말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한 인증 코드를 검증하고 인증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2 단말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dure in a digital authentic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multiple terminals connected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uthentication server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인증 절차 수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디지털 인증 절차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e-commerce)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시스템(digital system) 내지 디지털 환경(digital environment)에서 사용자나 온라인 거래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인증 절차(authentication process)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사용자가 PC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관련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 인증코드가 전송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한 인증코드를 상기 PC의 해당 정보창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인증코드 수신 여부를 계속하여 체크하여야 하고, 수신된 인증코드를 암기하거나 보면서 PC에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오입력에 따른 인증 절차 수행의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한 인증코드가 멀웨어(malware) 또는 해킹 수단 등에 의해 타단말로 포워딩(forwarding)되어 악용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어렵다.
관련하여, 최근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PC와 스마트폰을 페어링(pairing)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페어링을 통해 수신된 인증코드가 자동으로 PC에 입력되거나 상기 PC에 전달되어 직접 입력하여 오입력 불편을 해소하고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폰에 수신된 인증코드가 멀웨어 또는 해킹 수단 등에 의해 타단말로 포워딩되어 악용될 수 있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로 인해, 결국 중요한 과정의 하나인 인증 절차나 인증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이 훼손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절차 수행 이후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환경에서 인증 절차나 인증 시스템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페어링 등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를 통하여 수행되는 디지털 인증 절차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을 상기 인증 서버에 등록 또는 보고하는 단계; 제1 단말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 인증 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제2 단말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한 인증 코드를 검증하고 인증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2 단말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1 단말로 전송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암호화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인증코드를 전송 후,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코드가 정상적인 전달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로부터 각각 수신한 데이터를 비교 검증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된 인증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코드 복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 설치된 인증 코드 복호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인증 코드 암호화 수단을 통하여 암호화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암호화되고,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의 복호 키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다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 코드 입력 방법에 관한 제2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코드가 입력되도록 인증 코드 입력 수단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 코드의 추가 인증에 관한 제3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제3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인증 입력 수단을 출력하여 상기 인증 코드 입력 전 또는 입력 후에 추가 인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은 PC이고, 상기 제2 단말은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인증 서버에 인증 코드를 요청하는 제1 단말;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된 인증 코드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2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된 인증 절차를 검증하고 승인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등록 또는 보고하며, 상기 제2 단말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여 입력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페어링 등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를 통하여 수행되는 디지털 인증 절차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안정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인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단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페어링(pairing) 등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authentication server)를 통하여 수행되는 디지털 인증 절차(digital authentication procedure)의 신뢰성(credibility)을 확보하고 안정성(stability)을 제공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digital authentication service system)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의 핵심 구성요소만을 간략히 도시하고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말들, 즉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 및 인증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은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페어링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3G(gener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TM),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하여 현재 이미 구현 또는 상용화되었거나 추후 구현 내지 상용화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으로 서로 페어링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제1 단말(110)은, 인증 절차를 개시하고 인증코드 요청, 인증코드 입력 등 인증 절차를 직접 수행하고 승인받는 구성을 말한다.
반면, 제2 단말(120)은, 상기 제1 단말(110)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 단말(110)에서의 인증 절차 수행 과정을 지원하는 구성을 말한다. 일 예로, 상기 인증 절차 수행 과정을 지원한다고 함은, 제1 단말(110)을 대신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여 이를 페어링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110)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단말(110)은 PC, 노트북, TV 등 고정 단말을, 그리고 상기 제2 단말(120)은 스마트폰과 같이 이동 단말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의 페어링 방식은, 인증코드를 송수신하는 상기 제2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 사이의 통신 방식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단말(120)과 인증 서버(130)는 LTE 또는 5G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하며, 따라서 이는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 사이의 블루투스를 통한 페어링 방식과는 상이하다.
인증 서버(130)는, 상기 제1 단말(110)에 의해 요청된 인증 절차를 검증하고 승인하며, 그 과정에서 상기 제2 단말(120)로 상기 인증 절차를 위한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Hardware/Software)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서버(130)는,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processor) 등으로 명명되어 기술될 수도 있으나 그 명칭에 의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됨을 미리 밝혀 둔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증 서버(130)는,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서버(130)는, 상기 제1 단말(110) 또는/및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인증 절차 수행을 위하여 상호간에 페어링되었음을 미리 등록 또는 보고받을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10) 또는/및 제2 단말(120)은 그 페어링 방식, 즉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되었음을 등록 또는 보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상기 제1 단말(110) 또는/및 제2 단말(120)은 페어링된 단말들의 식별자 정보, 위치 정보, 소유자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상기 인증 서버(130)에 등록 또는 보고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1 단말(110) 또는/및 제2 단말(120)은 인증 절차 과정에서 상기 인증 서버(130)에 의한 최종 승인 전에 상기 페어링이 해제(release)되거나 기타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그에 대한 사실을 상기 인증 서버(130)로 보고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110)은,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인증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상, 인증 절차에 관여하는 단말은 2개만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 서버(130)과 제2 단말(120) 사이에 인증코드는, SMS, MMS 등의 형태로 송수신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2의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인증 절차에서, 공통적으로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되고, 상기 페어링 사실은 인증 서버(130)로 보고된다.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의 페어링은, 적어도 상기 제1 단말(110)에서 상기 인증 서버(130)로 인증코드 요청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의 페어링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페어링 기기로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이 상기 인증 서버(130)에 미리 등록 내지 보고된 경우, 상기 페어링은 상기 제2 단말(120)에서 상기 인증 서버(130)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1 단말(110)로 전달하기 전에 이루어져도 유효할 수 있다.
먼저, 도 2와 도 7을 참조하여,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말(110)에서 인증 서버(130)로 인증코드를 요청하면(S110), 상기 인증 서버(130)는 제2 단말(120)로 상기 제1 단말(110)에 의해 요청된 인증코드를 전송한다(S120).
상기 제2 단말(120)에서 상기 인증 서버(130)로부터 인증코드를 수신하면, 이를 페어링된 상기 제1 단말(110)로 전달하고(S130), 상기 제1 단말(110)은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입력창(210)에 입력한다(S140).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단말(110)은, 상기 입력한 인증 코드가 상기 인증 서버(130)에 미리 등록 또는 보고된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제1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130)로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보고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 코드 입력과 별개로 상기 제1 정보에 관한 신호를 상기 제1 단말(110)에서 생성하여 상기 인증 서버(130)로 보고하거나 상기 생성된 신호를 제2 단말(120)로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130)로 보고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에서 각각 상기 제1 정보에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각각 상기 인증 서버(130)로 보고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에, 각 구성 간에 상기 제1 정보에 관련된 신호 생성시에 정상적인 경우와 비정상적인 경우에 따른 데이터를 미리 정의하여 그에 따른 신호 생성 및 전송을 통하여 인증코드의 가공이나 변형 등을 상기 인증 서버(130)로 미리 알려 인증 절차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코드의 가공이나 변형 등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120)에서 1회 또는 복수회 타단말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하여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상 제2 단말(120)에서 인증코드를 1회 전송만으로 인증 절차 수행에 문제가 없으므로, 복수회 전송 이력이 있다면 이는 상기 가공 내지 변형이나 멀웨어 등에 의한 간섭을 예상할 수 있고, 이러한 인증 절차는 인증 서버(130)에 의해 승인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 서버(130)는 상기 제1 단말(110)에서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이를 검증하고 인증을 승인한다(S150).
다음으로,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각각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전술한 도 2의 설명을 원용 내지 준용하고,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말(110)은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데이터와 그를 복호하기 위한 키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120)로 리턴한다.
상기 제2 단말(120)은 상기 인증코드 전송 후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리턴된 데이터를 상기 인증 서버(130)로 전달한다.
상기 인증 서버(130)는 이렇게 전달된 제1 단말(110)의 암호화 데이터를 함께 제공된 복호 키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증한다. 즉, 상기 인증코드가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제1 단말(110)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음을 검증한다.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인증 서버(130)는 상기 제1 단말(110)에서 입력된 인증코드를 승인할 수 있다.
도 3과 달리, 도 4에서는, 제1 단말(110)에서 암호화 데이터와 복호 키 정보를 직접 인증 서버(130)로 전송한다.
한편, 이때, 제2 단말(120) 역시 인증 서버(130)로 상기 제1 단말(110)로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후, 인증 서버(130)에서 상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에 각각 수신한 제1 정보 관련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에서 입력된 인증코드에 대한 검증 및 인증 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110)은 예를 들어, 상기 인증 서버(130)로 인증코드를 요청한 이후에 만약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인증코드가 전달되지 않으면, 임의로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 기반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인증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증 서버(130)는 이 경우,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에 각각 수신되는 정보가 상이한 것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음,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이 아닌 제3 단말로 전달되는 등을 식별할 수 있어, 인증 승인을 보류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말(110)은 상기 인증 서버(130)로부터 인증코드 복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인증코드는 숫자나 문자와 같이 특별히 암호화되지 않아 별도의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가 없더라도 그대로 인증에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인증 서버(130)에서 상기 제2 단말(120)로 인증코드를 전송하는 경우에, 미리 암호화를 하여 복호 키를 가지고 있거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복호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에서만 복호하여 인증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인증코드 복호 프로그램은 1회성으로 매번 인증 과정에서 다운로드 및 설치하도록 하거나 인증 요청 전에 미리 다운로드 및 설치를 요청하고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증 서버(130)에서 제2 단말(120)로 요청된 인증코드를 전송하되, 상기 제1 단말(110)에 설치된 인증코드 복호 프로그램에 대응된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된 인증코드(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만 식별 가능한 코드 형태)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2 단말(120)은 이렇게 수신한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제1 단말(110)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단말(110)은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인증코드 복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호한 후에 인증에 이용한다. 이 경우에도 제1 단말(110)은 전술한 제1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직접 또는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상기 인증 서버(130)로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가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보고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이중 확인에 관한 것으로 혹여 제2 단말(120)에서 제1 단말(110)이 아닌 인증코드 복호 프로그램이 설치된 제3 단말로 전송된 경우에도 이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제1 단말(110)에 인증코드 복호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인증 서버(130)에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상기 제2 단말(120)로 전송함에 있어서, 암호화된 인증 코드와 그 복호를 위한 키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키 정보가 아니라 상기 인증코드를 암호화한 수단이나 방법에 관한 정보가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와 함께 상기 제2 단말(1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서버(120)는 상기 제2 단말(120)로 암호화된 인증 코드만을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를 복호하기 위한 키 정보를 다시 상기 제2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역시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하여 복호 키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인증 서버(130)에 수신되어야만 상기 인증 절차를 승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서버(130)는 인증코드를 제2 단말(120)로 전송할 때, 상기 제1 단말(110)에서 전송된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제어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단말(110)의 화면상에 인증코드 입력창이 제공되어 이를 통해 인증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인증코드가 인증 서버(130)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정보를 통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입력창이 아닌 다른 입력 방식을 요청하는 것이다. 상기 다른 입력 방식이라 함은 예를 들어, 패턴 입력 방식(610), QR 코드(620), 지문 입력 방식, 홍채 인식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입력창을 통한 인증코드 입력과 함께 추가 인증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인증코드가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고 추가로 인증 서버(130)에 의해 요구된 추가 인증 방식, 즉 패턴 입력 방식(610)(미리 등록), QR 코드(620), 지문 입력 방식(미리 등록), 홍채 인식 방식(미리 등록) 등이 이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입력 방식이나 추가 인증 정보는 입력된 인증코드 정보와 함께 인증 서버(130)로 리턴되어 전술한 제1 정보의 기능을 하거나 상기 제1 정보와 함께 추가 검증 수단이 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비록 도시되거나 구체적으로 설명되진 않았으나,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제1 단말(11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8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절차 수행과 관련된 필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도 8을 제1 단말(110)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제2 단말(1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8에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1 내지 7에서 기술한 내용을 참고하며, 여기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제1 단말(110)은 통신 인터페이스부(810), 수신부(820), 데이터 처리부(830), 디스플레이부(840), 제어부(850), 메모리(8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10)는 인증 서버(130) 및 제2 단말(120)과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수신부(820)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부(8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인증 코드 등)을 수신한다. 수신부(820)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필요한 데이터(인증 코드 등)만을 추출하여 데이터 처리부(830) 또는/및 제어부(85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830)는 수신부(82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 처리부(830)는 필요에 따라 포맷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변환할 수도 있고, 암호화된 데이터는 복호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부(840)는 데이터 처리부(83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화면을 통하여 출력한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에는 인증코드 입력창, 제2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850)는 제1 단말(110)의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제어부(850)는 인증 서버(130)와 제2 단말(120)과의 사이에서 인증 절차 수행에 관련된 모든 과정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860)는, 제1 단말(110)의 각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 수신하여 일시 저정하고 필요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860)는 비록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단말(110)의 내부 구성요소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메모리일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술한 인증코드 입력 등 인증 절차 과정에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블록체인(Block-chain) 등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들과 융합한 인증 수단 내지 인증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을 상기 인증 서버에 등록 또는 보고하는 단계;
    제1 단말에서 상기 인증 서버에 인증 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제2 단말에서 수신한 인증 코드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한 인증 코드를 검증하고 인증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 코드가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2 단말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상기 등록 또는 보고된 제1 단말로 전송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되면, 암호화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와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키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수신한 인증코드를 전송 후, 상기 제1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코드가 정상적인 전달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로부터 각각 수신한 데이터를 비교 검증하여 상기 인증코드가 상기 제2 단말에서 상기 제1 단말로 정상적으로 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단말에 의해 요청된 인증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코드 복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 설치된 인증 코드 복호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인증 코드 암호화 수단을 통하여 암호화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2 단말로 요청된 인증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암호화되고,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코드의 복호 키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다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 코드 입력 방법에 관한 제2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증 코드가 입력되도록 인증 코드 입력 수단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인증 코드의 추가 인증에 관한 제3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제3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인증 입력 수단을 출력하여 상기 인증 코드 입력 전 또는 입력 후에 추가 인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KR1020200080650A 2020-06-30 2020-06-30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02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50A KR20220002010A (ko) 2020-06-30 2020-06-30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650A KR20220002010A (ko) 2020-06-30 2020-06-30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10A true KR20220002010A (ko) 2022-01-06

Family

ID=7934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650A KR20220002010A (ko) 2020-06-30 2020-06-30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497A (ko) * 2022-08-04 2024-02-14 주식회사 바로컴퓨터 클라우드서버를 적용한 듀얼 컴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497A (ko) * 2022-08-04 2024-02-14 주식회사 바로컴퓨터 클라우드서버를 적용한 듀얼 컴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423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vice based custom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KR102375777B1 (ko) 온보드 단말기를 위한 지불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826704B2 (en) Blockchain key storage on SIM devices
US97625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ity focused authentication service
CN110299996B (zh) 认证方法、设备及系统
CN107241339B (zh) 身份验证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544365B2 (e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n authentication challenge
EP3454504B1 (en) Service provider certificate management
US8495383B2 (en) Method for the secure storing of program state data in an electronic device
CN105050081A (zh) 网络接入设备接入无线网络接入点的方法、装置和系统
WO20200815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wireless mobile device with iot device
EP36624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ransaction
CN113242224B (zh) 授权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28451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on
US116526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ut-of-band authenticity verification of mobile applications
US20240137221A1 (en) Implementation of one-touch login service
KR10165984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2채널 사용자 인증 방법
US113172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mmunication between a native application and an embedded hybrid component on an electronic device
CN104243452A (zh) 一种云计算访问控制方法及系统
KR20140126004A (ko) 인증 메시지 보안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인증 메시지 보안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20220002010A (ko) 근거리 무선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된 복수의 단말들과 인증 서버가 포함된 디지털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 수행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264069B (zh) 基于通用引导架构的认证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1502999B1 (ko) 일회성 비밀번호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96484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verification request to an identification module
KR102053993B1 (ko)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