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77U -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 Google Patents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77U
KR20220001877U KR2020210000234U KR20210000234U KR20220001877U KR 20220001877 U KR20220001877 U KR 20220001877U KR 2020210000234 U KR2020210000234 U KR 2020210000234U KR 20210000234 U KR20210000234 U KR 20210000234U KR 20220001877 U KR20220001877 U KR 202200018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rotrusion
open gap
pi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안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현 filed Critical 안재현
Priority to KR2020210000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77U/en
Publication of KR20220001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7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02Simple pins
    • A44B9/04Ordinary pi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마스크에 특수한 형태의 뺏지핀 2개를 설치시켜 마스크 미착용 시 두 개의 뺏지핀끼리 결합하여 결합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마스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The taggin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of the mask by installing two tagging pins of a special shape on the mask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by combining the two tagging pins when the mask is not worn. .

Figure utm00015
Figure utm00015

Description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본 고안은 마스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 미착용 시 마스크의 본체부 내부의 오염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which physically blocks contamination inside the main body of the mask when the mask is not worn by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of the mask.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확산이 심각해진 요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는 일상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우리는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쓰고 있던 마스크를 불가피하게 잠시 벗어두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마스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스크의 걸이끈에 마스크용 스트랩을 결합하여 마스크용 스트랩을 목에 걸어두는 방식으로 마스크를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착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마스크 본체부의 내부가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된다. 이 경우 타인의 비말이나 음식물 또는 공기 중의 코로나 바이러스 등이 마스크 본체부의 내부를 쉽게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위와 같은 문제로 마스크 스트랩 착용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물론 스트랩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마스크를 벗어둘 때 우리는 밀폐된 보관용기에 넣어두기보다 식탁이나 의자 위에 그대로 올려두는 경우가 많아, 이 경우에도 스트랩 사용과 마찬가지로 마스크의 본체부 내부 오염이 문제된다.These days, when the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has become serious, masks have become a necessity in daily life to prevent the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In our daily life, there are times when we inevitably have to take off the mask we are wearing for a while. At this time,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the mask, the mask is often stored by combining the mask strap with the mask's hanger and hanging the mask strap around the neck.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side of the mask body may be easily contaminated by other people's droplets, food, or corona virus in the air.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s urging caution about wearing a mask strap due to the above issues. Of course, even when not using a strap, when we take off the mask, we often leave it on a table or chair rather than putting it in an airtight storage container. do.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0118776호(마스크를 접힌 상태로 유지해주는 자석이 구비된 마스크, 2020.10.16. 공개)는 마스크를 접었을 때 다시 펼쳐지지 않는 접힌 상태를 만들기 위해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 측부에 자석이 부착된 마스크인 것에 반해, 일회용 마스크에 상기 공개발명을 적용하면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비용이 높아져 마스크 구매자 입장에서 구매비용부담이 커지는 바, 본 고안은 이미 사용한 마스크로부터 제거 ·새로이 사용할 마스크에 재부착이 가능한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마스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 또한 상기 공개발명과 같은 자석을 이용하는 방법이 아닌 기능적 형상을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이유는, 마스크에 자석을 부착하게 되면 전화통화 시 마스크에 부착된 자석이 휴대전화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삼성에서 삼성 폰 케이스에 자석을 부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 약한 자석이라 할 지라도 가능한 휴대전화 주변에는 자석을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0-0118776 (Mask with a magnet that keeps the mask in a folded state, published on October 16, 2020) is a mask to create a folded state that does not unfold again when the mask is folded. In contrast to the mask with magnet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if the disclosed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isposable mask,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isposable mask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purchase cost burde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ask buyer. It relates to a badge pin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inside a mask that can be reattached to a new mask. In addition, the method for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of the mask also presents a method using a functional shape rather than a method using a magnet as in the disclosed invention. The reason is that when a magnet is attached to the mask, the magnet attached to the mask may adversely affect the mobile phone during a phone call. As can be seen from Samsung's recommendation not to attach a magnet to a Samsung phone case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martphone, it is important to keep the magnet away from the mobile phone as much as possible, even if it is a weak magnet.

한편, 한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053600000 (뺏지핀, 1997.02.22. 공고); 한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0883900000 (뺏지의핀, 1994.07.16 공고) 및;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2-0005216호(뺏지핀, 2012.07.17 공개)와 같은 핀들은, 단순히 뺏지를 옷 등에 고정시키는 것 이상의 기능이 없지만,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마스크 본체부 좌우 양 측부에 설치된 두 개의 본 고안의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끼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것이다. 즉, 간단히 설명하자면, 본 고안의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종래의 뺏지핀에 후크의 기능이 결합된 형태로, 후크(마스크 일측에 설치된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와 다른 후크(마스크 타측에 설치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끼리 서로 거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Korean Utility Model Gazette Registration No. 2001053600000 (Badjipin, 1997.02.22. Announcement); Korea Utility Model Gazette Registration No. 2000883900000 (Badge Pin, 1994.07.16 Announcement) and; Pins such as 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5216 (Tagji Pin, published on July 17, 2012) have no function beyond simply fixing the badge to clothes, but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folded state of the mask is added by allowing the two tags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body to be combined. That is, to put it simply,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the function of a hook is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tag pin, and the hook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sk) and the other hook (the other side of the mask) The second mask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installed on the

후크는, 물체를 거는 고리의 역할을 하는 머리부(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와 대응되는 구성)와, 후크의 머리부와 후크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연결하는 연결부(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구성)로 구분되어진다. 종래의 후크의 경우, 후크와 후크끼리 서로 거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후크의 기능은 연결부와 관계없이 머리부에만 존재한다.The hook is the head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ead of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cts as a hook for hanging objects, and the connecting part (this It is divided into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taggin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ook, in the case where the hook and the hooks are hung from each other,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hook exists only in the head part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part.

Figure utm00001
Figure utm00001

Figure utm00002
Figure utm00002

그래서 종래의 후크의 경우, 후크의 기능을 위해 후크의 머리부는 물음표 등과 같이 굽은 형태를 가지고, 이로 인해 일정한 두께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입체적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이 일정한 두께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 시 마스크 밀착력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 시 다시 불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발명의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2020-0115402호(보건마스크 별도 부착용 안전손가락잡이와 안전보관고리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 2020.10.07 공개)가 있다. 상기 발명은, 마스크 착용 시에는 상기 발명을 분리해뒀다가 마스크 미착용 시에만 마스크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마스크에 부착되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의 두께는 마스크의 밀착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공간을 요하지 않는 형상의 형태가 바람직한 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는 단순히 평평하고 납작한 형태로, 머리부의 두께는 본 고안의 기능과 관계가 없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단순한 'ㄱ'자 형태의 후크와 달리,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의 열린 틈으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크간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든다. 즉, 종래의 후크와 달리,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머리부 뿐만 아니라 돌출부도 후크간의 안정적 결합상태를 위해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는 특징이 있다. So,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hook, the head of the hook has a curved shape such as a question mark for the function of the hook, and thus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requiring a space of a certain thickness. However, when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requires a space of a certain thickness, there is a cumbersome inconvenience of having to be disadvantaged again when wearing the mask because it adversely affects the adhesion of the mask when wearing the mask. As an example of such an inconveni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2020-0115402 (a safety finger handle and a safety storage ring for separately attaching a health mas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shed on October 7, 2020).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invention when wearing a mask and installing it on the mask only when the mask is not worn. In order to eliminate this inconvenience, the thickness of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attached to the mask is preferably a shape that does not require a space of a certain thickness in order not to affect the adhesion of the mask. The part is simply flat and flat, and the thickness of the head is designed so that it has no relation to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a simple 'L'-shaped hook,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can enter through the open gap in the head of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By doing so, the bonding state between the hooks is made stable.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hook, the mask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not only the head but also the protrusion plays a certain role for a stable coupling state between the hooks.

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0118776호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20-0118776 문헌 2: 한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053600000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Gazette Registration No. 2001053600000 문헌 3: 한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0883900000Document 3: Korean Utility Model Gazette Registration No. 2000883900000 문헌 4: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2-0005216호Document 4: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5216 문헌 5: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2020-0115402호Document 5: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2020-0115402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스크를 벗어 식탁 등에 올려둘 때 또는 스트랩에 연결된 마스크를 벗어 목에 걸어놓은 상태를 유지할 때 마스크의 본체부 내부가 외부환경에 쉽게 노출됨으로써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점을 해결하여 마스크의 재사용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다만, 이를 해결하고자 할 때 다음의 6가지를 고려하고자 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mask is taken off and placed on a table, or when the mask connected to the strap is taken off and kept hanging on the neck, the inside of the mask body is easi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This is to improve the safety of reuse of the mask by solving this problem. However, when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following six points.

상기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을 창작할 때 고려했던 점은 다음과 같다.The points considered when cre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re as follows.

첫째, 마스크 자체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마스크 보관케이스 등과 같이 별도로 휴대가 필요한 방법은 불편하기 때문이다.First, the mask itself must solve this problem. This is becaus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it separately, such as a mask storage case.

둘째, 마스크 자체의 기능이 아닌 마스크에 설치할 수 있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의 기능에 따른 것이어야 한다. 마스크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함이다.Second, it should be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mask, not the function of the mask itself. This is to reduce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mask.

셋째, 자석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어야 한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하관에 부착되는 바, 마스크에 자석이 있을 경우 전화기를 귀에 대고 전화통화를 할 때 자석이 전화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삼성은 악세서리 업체에 배터리 소모, 네트워크 장애, 터치화면 오작동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이유로 삼성 스마트폰 케이스에 자석을 내장하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다.)Third, it must be a method that does not use magnets. This is because the mask is attached to the wearer's lower duct, and if the mask has a magnet, the magnet can adversely affect the phone when talking on the phone with the phone to the ear. It is recommended not to embed a magnet in the case of a Samsung smartphone as it may cause screen malfunction, etc.)

넷째, 착용감에 불편함을 주어서는 안 된다. 그 예로, 벨크로를 이용한 방식은 벨크로의 까칠한 면이 착용감에 불편함을 줄 수 있다.Fourth, it should not give discomfort to the wearer. For example, in the method using Velcro, the rough side of the Velcro may give discomfort to the wearer.

다섯째, 마스크 착용 시에도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을 마스크에 제거해야 되는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이 설치된 마스크를 착용할 시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이 마스크의 밀착력에 악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즉,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의 기능적 형상을 갖기 위해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에 일정한 두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면 안 된다. 일정한 두께가 필요한 입체적 형상이 요구되면, 마스크 측부 전체에 입체적 형상의 두께만큼을 더해주는 것이 아닌 이상, 아래의 그림과 같이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이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아래·위에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들뜨는 공간이 생긴다. Fifth, in order not to caus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even when wearing the mask, when wearing a mask with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installed,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must not adversely affect the adhesion of the mask. Can not be done. That is, in order to have a functional shape of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article, a certain thickness should not be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article. If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requires a certain thickness is required, unless the thickness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is added to the entire side of the mask,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the mask is placed below and above the mask from the wearer's face There will be an open space.

Figure utm00003
Figure utm00003

일정한 두께를 필요로 하는 입체적 형상으로는 스냅단추 등이 있다.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requires a certain thickness includes a snap button.

여섯째, 마스크 좌우 양 측부에 부착된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의 형태가 똑같아야 한다.Sixth, the shape of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must be the same.

Figure utm00004
Figure utm00004

스냅단추의 경우, 암수가 구분되어 있고, 바지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버클 또한 암수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①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이 여러개 뒤섞여 있을 경우 그 중에서 암수를 골라 찾아내야 하는 불편함, ② 둘 중 하나를 분실할 경우 분실한 형태를 구매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제작·판매자 입장에서는 암수 각각 1개씩 2가지를 생산하여야 한다는 비효율성이 있다.In the case of snap buttons, male and female are separated, and common buckles used for trousers, etc. are also male and female, so using this method is difficul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nconvenience of having to pick and find, ② If one of the two is los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rchase the lost form, and there is inefficiency in that the manufacturer/seller must produce two types, one for each male and female.

상기 본 과제를 해결하면서도 상기 여섯가지의 고려사항을 고려한 본 고안은, 종래의 뺏지핀의 머리부에 후크와 관련한 기능적 형상을 더한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이다. 뺏지는 뺏지캡과 뺏지핀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은 뺏지 중 뺏지핀을 개량한 것이다. 뺏지핀의 머리부에는 뺏지핀의 머리부의 가장자리가 함몰된 열린 틈을 가지고 있고, 열린 틈 안으로 동일한 다른 뺏지핀의 돌출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이 열린 틈의 너비와 깊이는 뺏지핀의 돌출부의 직경보다 넓고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x considerations while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a mask by adding a functional shape related to a hook to the head of a conventional tagging pin. The badge consists of a badge cap and a badge pin, and this invention is an improved badge pin among the badges. The head of the tag pin has an open gap in which the edge of the head of the tag pin is recessed,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same other tag pin can fit into the open gap. Simply put, the width and depth of this open gap 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ider and deep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을 이용하여 상기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본체부의 좌우 양 측부(본 명세서에서 마스크 본체부 측부 각각을 칭할 때 "마스크 일측", "마스크 타측") 내부에 뺏지핀의 머리부가 위치하도록 각 마스크 측부에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을 1개씩(본 명세서에서, 마스크 일측에 설치된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을 칭할 때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마스크 타측에 설치된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을 칭할 때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설치하여야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using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body (“mask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mask” when referring to each side of the mask body in this specification) inside On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n each mask side so that the head of the tag pin is located (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sk,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mask When referring to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must be installed.

아래 사진 및 그림과 같이, 마스크를 접은 경우 마스크 일측에 설치된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를 마스크 타측과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 사이에 넣어야 한다. 이때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의 열린 틈 안으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가 들어가야 한다. 이때 동시에, 마스크 타측에 설치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를 마스크 일측과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 사이에 넣고, 이때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의 열린 틈 안으로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를 넣는다.As shown in the photo and figure below, when the mask is folded, the head of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sk should be plac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mask and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hea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must enter into the open gap of the head of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At the same time, put the head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sk between one side of the mask and the head of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at this time, an open gap in the head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nsert the protrusion of the tagging pin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inside the first mask.

Figure utm00005
Figure utm00005

Figure utm00006
Figure utm00006

Figure utm00007
Figure utm00007

본래, 접혀진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부 재질의 약한 탄성으로 인해 다시 펼쳐지려고 하는데,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와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가 서로 부딪혀 이를 방해함으로써 마스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riginally, the folded mask is about to unfold again due to the weak elasticity of the material of the mask body. status will be maintained.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기재한 6가지 고려사항에 대해 아래와 같이 만족한다.The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six considerations described in the task to be solved as follows.

첫째, 마스크에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용품을 휴대할 필요없이 마스크 자체적으로 상기 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First, by being installed on the mask,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esent problem by the mask itself without the need to carry a separate article.

둘째, 본 고안은, 마스크에 대한 고안이 아닌 마스크에 설치하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품에 대한 고안으로, 마스크 제조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gn for a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product installed on a mask, not a design for a mask, and does not affect the mask manufacturing cost.

셋째,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간의 결합은 자석 형태의 결합이 아닌 뺏지핀의 머리부의 기능적 형상을 이용한 결합이다.Third, the coupling between the tag pins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upling using the functional shape of the head of the tag pin, not the coupling in the form of a magnet.

넷째, 착용자의 안면에 닿는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의 일면은 평평 ·매끈해도 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기능이 착용감에 필수적으로 불편함을 주는 것이 아니다.Fourth, since one side of the head of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ouches the wearer's face may be flat or smooth,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give discomfort to the wearer.

다섯째,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을 마스크에 설치하는 것으로 인해 마스크의 밀착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 두께는 기능적 형상과 관계가 없어 매우 얇아도 되며,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는 마스크 측부를 관통한 채로 설치되어 있어 아래 그림과 같이 관통공에 대해 돌출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Fifth,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dhesion of the mask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ask. The thickness of the head of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ery thin as it has no relation to the functional shape. Since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Figure utm00008
Figure utm00008

마스크 착용 시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는 마스크 본체부 측부에 완전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이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아래·위에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들뜨는 공간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When wearing a mask, the head of the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adhered to the side of the mask body. Therefore, there is hardly any space in which the mask is lifted from the wearer's face below and above the place where the ta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여섯째,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동일한 형태 2개를 마스크 좌우 양 측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Sixth, the taggin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ttaching two of the same typ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이하, 과제의 해결 수단 구성을 각 실시예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or each embodiment.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은,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옷 등에 관통공을 만들고 관통한 채 매달려있는 데에 역할을 하는 돌출부(2000)와, 상기 돌출부(2000)의 일측(2001)에 부착되며 돌출부(2000)로 인해 생긴 옷 등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판 형태의 머리부(1000)로 이루어진 뺏지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0)의 길이는 착용하는 마스크의 측부 두께, 상기 머리부(1000)의 두께 그리고 돌출부(2000)의 타측(2002)에 별도의 뺏지캡이 결합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의 합과 같거나 보다 길고; 상기 머리부(1000)에는 상기 머리부(1000)의 측면(1200)의 굴곡에 의해 함몰 형성된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00)와 평행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린 틈(1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2000, which plays a role in making and hanging through a through hole in clothes, etc., is attached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2000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clothes, etc. caused by the protrusion 2000 In the tag pin consisting of a head part 1000 in the form of a plat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000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ask to be worn, the thickness of the head 1000, and the length required for a separate badge cap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or longer than; An open gap 1100 is formed in the head 1000, which is recessed by the bending of the side 1200 of the head 1000; Another same protrusion 2000' of the tag pin parallel to the protrusion 2000 may enter into the open gap 1100 and penetrate the open gap 1100, and the same another that passes through the open gap 1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gap 1100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allows the protrusion 2000' of the tagging pin to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s formed.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옷 등에 관통공을 만들고 관통한 채 매달려있는 데에 역할을 하는 돌출부(2000)와, 상기 돌출부(2000)의 일측(2001)에 부착되며 돌출부(2000)로 인해 생긴 옷 등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판 형태의 머리부(1000)로 이루어진 뺏지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0)의 길이는 착용하는 마스크의 측부 두께, 상기 머리부(1000)의 두께 그리고 돌출부(2000)의 타측(2002)에 별도의 뺏지캡이 결합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의 합과 같거나 보다 길고; 상기 머리부(1000)에는 상기 머리부(1000)의 측면(1200)의 굴곡에 의해 함몰 형성된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00)와 평행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 상기 열린 틈(1100)에는 상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쉽게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해하는 걸림 돌기(12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2000, which plays a role in making and hanging through a through hole in clothes, etc., is attached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2000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clothes, etc. caused by the protrusion 2000 In the tag pin consisting of a head part 1000 in the form of a plat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000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ask to be worn, the thickness of the head 1000, and the length required for a separate badge cap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or longer than; An open gap 1100 is formed in the head 1000, which is recessed by the bending of the side 1200 of the head 1000; Another same protrusion 2000' of the tag pin parallel to the protrusion 2000 may enter into the open gap 1100 and penetrate the open gap 1100, and the same another that passes through the open gap 1100 The open gap 1100 of the size and shap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000' of the tagging pin can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s formed; In the open gap 1100, a locking protrusion 1200 that prevents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badge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from easily coming out of the open gap 1100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do.

본 고안이 달성코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마스크 내부가 서로 바라보도록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착용한 마스크를 벗어두어 보관할 때 마스크의 내부 오염을 물리적으로 막는 효과가 있다.The tagging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folded state so that the inside of the mask faces each other, thereby physically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when the mask is taken off and stored.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2개가 결합하기 전 모습.
도3은 도1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2개가 결합한 후 모습.
도4는 도1과는 다른, 본 고안의 또다른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2개가 결합하기 전 모습.
도7은 도5와는 다른, 본 고안의 또다른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before combining two badge pins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after combining two badge pins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from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5 before combining the two badge pins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from Figure 5;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resented only as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thereof. Wherever possible,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아 래 -- under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to 4, the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옷 등에 관통공을 만들고 관통한 채 매달려있는 데에 역할을 하는 돌출부(2000)와, 상기 돌출부(2000)의 일측(2001)에 부착되며 돌출부(2000)로 인해 생긴 옷 등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판 형태의 머리부(1000)로 이루어진 뺏지핀에 있어서;The protrusion 2000, which plays a role in making and hanging through a through hole in clothes, etc., is attached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2000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clothes, etc. caused by the protrusion 2000 In the tag pin consisting of a head part 1000 in the form of a plate;

상기 돌출부(2000)의 길이는 착용하는 마스크의 측부 두께, 상기 머리부(1000)의 두께 그리고 돌출부(2000)의 타측(2002)에 별도의 뺏지캡이 결합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의 합과 같거나 보다 길고;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000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ask to be worn, the thickness of the head 1000, and the length required for a separate badge cap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or longer than;

상기 머리부(1000)에는 상기 머리부(1000)의 측면(1200)의 굴곡에 의해 함몰 형성된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An open gap 1100 is formed in the head 1000, which is recessed by the bending of the side 1200 of the head 1000;

상기 돌출부(2000)와 평행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린 틈(1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same protrusion 2000 ′ of the tag pin parallel to the protrusion 2000 may enter the open gap 110 and penetrate the open gap 1100 , and the same another that passes through the open gap 110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gap 1100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allows the protrusion 2000' of the tagging pin to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s formed.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상기 돌출부(2000)는 마스크에 관통공을 만드는 역할과 관통공을 이용해 마스크에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이 매달려 있도록 관통공에 걸려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돌출부는, 마스크 측부와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 사이의 공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2000)의 일측(2001)에는 돌출부의 직경보다 큰 판 형태의 머리부(1000)가 부착되어 마스크를 관통한 상기 돌출부(2000)의 타측(2002)을 돌출부의 직경보다 큰 별도의 뺏지캡으로 잡아주면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이 돌출부의 일측방향으로도, 돌출부의 타측방향으로도 관통공으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된다. 상기 돌출부(2000)는 마스크 측부의 두께, 상기 머리부(1000)의 두께, 뺏지캡과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의 합보다 같거나 길어야 한다. 상기 머리부(1000)와 마스크 측부(마스크 일측) 사이의 공간에 반대편 마스크 측부(마스크 타측)에 설치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머리부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돌출부가 너무 길면, 돌출부가 비록 관통공에 대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고 하나, 마스크 착용할 때마다 뺏지핀을 신경써서 밀어 이동시켜 머리부를 마스크 측부에 붙여주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돌출부는 너무 길지 않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2000 serves to make a through hole in the mask and to hang on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mask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is hung on the mask using the through hole. In addition, the protrusion serves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mask side and the head of the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head 1000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is attached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2000, and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ask is removed from a separate strip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If you hold it with a cap, the badge pin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inside the mask cannot be pulled out from the through hole either in on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or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protrusion. The protrusion 2000 should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ask, the thickness of the head 1000, and the minimum length required for coupling with the badge cap. This is because the head of another badge pin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sk (the other side of the mask) must enter the space between the head 1000 and the side of the mask (one side of the mask). If the protrusion is too long, even though the protrusion can be moved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head must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ask by carefully pushing and moving the badge pin every time the mask is worn.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that is not long.

상기 돌출부(2000)의 타측(2002)에는 별도의 뺏지캡과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직경이 좁아진 구간(2003)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뺏지캡이 뺏지집게(보통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일 때의 경우에 유용한 것이며, 단순히 모자형태의 뺏지캡(보통 고무로 제작되는 것)의 경우에는 상기 직경이 좁은 구간(2003)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뺏지집게의 힘이 크면 이 경우 또한 직경이 좁은 구간(2003)은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직경이 좁은 구간(2003)을 만들 경우, 직경이 좁은 구간(2003)부터 돌출부의 일측(2001)까지의 거리는 '상기 머리부(100)의 두께 + 마스크 측부의 두께 + 뺏지캡과 뺏지핀의 결합 시 뺏지캡이 직경이 좁은 구간을 넘어 돌출부 일측으로 튀어나오는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may have a narrowed section 2003 in order to facilitate coupling with a separate badge cap. However, this is useful when the tagging cap is a tagging clamp (usually made of metal), and in the case of a simple hat-shaped tagging cap (usually made of rubber), the narrow section 2003 is required. don't In addition, if the force of the snatch clamp is large, in this case also the narrow section 2003 is not essential. When making the narrow-diameter section 2003, the distance from the narrow-diameter section 2003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is 'thickness of the head part 100 + the thickness of the mask side +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tagging cap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protrusion over a narrow section when combined is ' or more.

Figure utm00009
Figure utm00009

참고로, 돌출부의 타측(2002)은 도면과 같이 물체를 관통하기 쉽도록 족한 경우(2002)가 많다.(그렇지 않더라도 물체를 관통하는 데에 큰 무리는 없음.)For reference,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is often sufficient to easily penetrate the object as shown in the drawing (2002). (Even if not,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penetrating the object.)

상기 머리부(1000)는 마스크 착용 시 착용자의 안면에 닿기 때문에 인체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니켈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무니켈도금을 하거나, 금, 은, 써지컬스틸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부에 상표를 새길 경우, 안면에 닿는 머리부의 타면에 상표를 음각으로 새기면 화장품 등으로 인해 상표부분에 이물질이 끼일 수 있으므로, 돌출부가 붙은 머리부의 일면 쪽에 상표를 새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1000)는 마스크의 밀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하면 얇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d 10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an allergic reaction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touches the wearer's face when wearing the mask. Since nickel usually causes an allergic reaction, when manufacturing using a metal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nickel-free plating or to use a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or surgical steel. In the case of engraving a trademark on the head, if the trademark is engrav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that touches the face, foreign substances may be caught in the trademark part due to cosmetics, etc. The head 1000 is preferably made as thin as possible in order not to affect the adhesion of the mask.

상기 머리부(1000)에는 상기 머리부(1000)의 측면(1200)의 굴곡에 의해 함몰 형성된 열린 틈(1100)이 형성된다. 이 열린 틈(1100)은, 상기 머리부(1000)의 일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운 상태의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있어야 한다.An open gap 1100 that is depressed by bending of the side surface 1200 of the head 1000 is formed in the head 1000 . In this open gap 1100,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tag pin in a state of being perpendicular to one surface of the head 1000 enters into the open gap 1100 and penetrates the open gap 1100. It can be done, and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tag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must be of a size and shape that can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do.

상기 머리부(1000)에 열린 틈(1100)이 없는 경우, 상기 머리부(1000)를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이하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2000')와 마스크 타측 사이의 공간에 넣으면 아래의 그림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If there is no open gap 1100 in the head 1000, connect the head 1000 to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tag pin (hereinafter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and the other side of the mask. If you put it in the space in between, it will look like the picture below.

Figure utm00010
Figure utm00010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은 위 그림의 A방향과 B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는데, 상기 머리부(1000)에 열린 틈(1100)이 없는 경우 A방향으로의 흔들림은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에 의해 방해되지만, B방향으로 흔들림은 방해받지 않아 마스크에 조금의 충격이 있을 시 마스크 양측에 설치된 두 뺏지핀의 결합이 풀리면서 접혀진 마스크가 쉽게 벌어질 수 있다.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the same other tag pin) can swing in the A and B directions in the figure above. Although it is disturbed by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the shaking in the B direction is not disturbed, so that when there is a slight impact on the mask, the combination of the two tag pin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sk is released and the folded mask can be easily opened.

즉,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상기 돌출부(2000)와 평행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시키면,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의 중심을 넘어서는 상기 머리부(1000)의 부분(아래 그림의 네모 점선에 해당하는 부분)이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B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해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when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badge pin parallel to the protrusion 2000 enters into the open gap 110 and penetrates the open gap 1100, the same other badge pin The part of the head 1000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dotted square in the figure below) that exceeds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2000' of

Figure utm00011
Figure utm00011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한 상태의 경우 열린 틈의 입구(1110) 밖으로 돌출부(2000')가 일부 튀어나올 수 없는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상기 열린 틈(110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한다는 것은 돌출부(2000)가 B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해하는 깊이까지 깊숙히 들어갈만큼 열린 틈이 돌출부의 직경에 비해 길고 넓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When the protrusion 2000'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enters the open gap 1100 and penetrates the open gap 1100, the protrusion 2000' partially protrudes out of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t means a state in which it cannot come out, and entering into the open gap 1100 and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means that the open gap is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2000 enters deep to a depth that prevents the shaking in the B direction. It means that it is longer and wider than

Figure utm00012
Figure utm00012

열린 틈(1100)을 관통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열린 틈(1100)의 크기 및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The size of the open gap 1100 so that the protrusion 2000'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badge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can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And that the shape consists of,

Figure utm00013
Figure utm00013

반대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열린 틈의 입구(1100)로 들어가 열린 틈의 입구(1110) 밖으로 돌출부(2000')가 일부 튀어나오지 않을만큼 열린 틈 깊숙히 들어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두 뺏지핀이 결합할 때 두 뺏지핀의 돌출부가 서로 평행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가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의 열린 틈의 입구로, 제2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돌출부가 제1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의 머리부의 열린 틈의 입구로 삽입되는 결합방식이 가능함을 의미한다.Conversely, the protrusion 2000'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enters the inlet 1100 of the open gap, and the protrusion 2000' goes deep into the open gap so as not to partially protrude out of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means This is when the two tag pins are combined, the protrusion of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s of the two tag pins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is means that a coupling method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opening of the head of the first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tag pin is possible.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은, 도5 내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옷 등에 관통공을 만들고 관통한 채 매달려있는 데에 역할을 하는 돌출부(2000)와, 상기 돌출부(2000)의 일측(2001)에 부착되며 돌출부(2000)로 인해 생긴 옷 등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판 형태의 머리부(1000)로 이루어진 뺏지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0)의 길이는 착용하는 마스크의 측부 두께, 상기 머리부(1000)의 두께 그리고 돌출부(2000)의 타측(2002)에 별도의 뺏지캡이 결합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의 합과 같거나 보다 길고; 상기 머리부(1000)에는 상기 머리부(1000)의 측면(1200)의 굴곡에 의해 함몰 형성된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00)와 평행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 상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다시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해하는 걸림 돌기(12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2000, which plays a role in making and hanging through a through hole in clothes, etc., is attached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2000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clothes, etc. caused by the protrusion 2000 In the tag pin consisting of a head part 1000 in the form of a plat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000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ask to be worn, the thickness of the head 1000, and the length required for a separate badge cap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or longer than; An open gap 1100 is formed in the head 1000, which is recessed by the bending of the side 1200 of the head 1000; Another same protrusion 2000 ′ of the tag pin parallel to the protrusion 2000 may enter the open gap 110 and penetrate the open gap 1100 , and the same another that passes through the open gap 1100 . The open gap 1100 of the size and shap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000' of the tagging pin can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protrusion 1200 is formed to prevent the protrusion 2000 ′ of another tag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from coming out of the open gap 1100 again.

제2실시예의 구성 중 제1실시예에 대해 추가된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A configuration added to the first embodiment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에 대해 추가된 구성은 아래의 부분이다.The configuration added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following part.

"상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다시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해하는 걸림 돌기(1200)가 형성된 것"."A locking protrusion 1200 that prevents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badge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from coming out of the open gap 1100 again is formed".

이는 결합한 두 뺏지핀의 돌출부가 의도치 않게 마스크의 움직임으로 인해 열린 틈의 입구를 통해 열림 틈(1100)에서 빠져나오는 경우를 방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다시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서는 돌출부(2000')가 걸림 돌기(1200)를 지나 열린 틈(1100) 깊숙히 더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걸림 돌기(1200)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제2실시예를 제작할 경우, 걸림 돌기(1200)는 열린 틈의 입구(1110)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걸림 돌기의 경우, 도3, 도4의 경우랑 달리 아래의 그림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데, 아래의 그림과 같은 열린 틈 안으로 경사진 걸림 돌기의 장점은 돌출부(2000')가 열린 틈 안으로 삽입될 시 걸림 돌기(1200)의 경사를 따라 걸림 돌기(1200)를 지나 열린 틈(1100) 깊숙히 삽입되기 쉽다는 점, 깊숙히 삽입된 돌출부(2000')가 걸림 돌기(1200)의 경사로 인해 의도치 않게 마스크의 움직임으로 인해 열린 틈의 입구로 빠져나오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마스크를 착용하기 위해 본 고안의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이 결합된 상태를 의도적으로 풀려고 할 때 불편한 점이 있다.This is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s of the two tag pins that are combined unintentionally come out of the opening gap 1100 through the entrance of the open gap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sk. In order to prevent the protrusion 2000' of the same tag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from coming out of the open gap 1100 again, the protrusion 2000' passes the locking protrusion 1200 through the open gap ( 1100) The locking protrusion 1200 should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go deeper. Accordingly, when manufacturing the second embodiment, the locking protrusion 1200 will generally be formed at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n the case of the locking protrusion, unlike the case of FIGS. 3 and 4, it can be formed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The point that it is easy to be inserted deep into the open gap 1100 past the locking protrusion 1200 along the slope of the locking protrusion 1200, and the deeply inserted protrusion 2000' is unintentionally mask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200 There is a point that it is difficult to escape through the entrance of the open gap due to the movement of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when trying to intentionally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badge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wear a mask.

Figure utm00014
Figure utm00014

머리부의 열린 틈은,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머리부 여러 곳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1 내지 도7에서 머리부의 열린 틈들이 대칭 위치에 여러개 있는 것들을 제시했다. 즉, 머리부의 형태를 H 모양이나, + 모양 또는 '卍' 모양 등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of the head is preferably located in several places on the head for convenience of use. Therefore, in Figs. 1 to 7, there are presented a plurality of open gaps in the head in symmetrical position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hape of the head part into an H shape, a + shape, a '卍' shape, or the like.

참고로,Note that,

1000 : 머리부 2000, 2000' : 돌출부
1100 : 열린 틈 2001 : 돌출부의 일측
1110 : 열린 틈의 입구 2002 : 돌출부의 타측
1120 : 걸림 돌기 2003 : 돌출부의 결합부
(돌출부 직경이 좁아진 구간)
1000: head 2000, 2000': protrusion
1100: open gap 2001: one side of the protrusion
1110: the entrance of the open gap 2002: the other side of the protrusion
1120: locking projection 2003: coupling part of the protrusion
(section where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is narrowed)

Claims (2)

옷 등에 관통공을 만들고 관통한 채 매달려있는 데에 역할을 하는 돌출부(2000)와, 상기 돌출부(2000)의 일측(2001)에 부착되며 돌출부(2000)로 인해 생긴 옷 등의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판 형태의 머리부(1000)로 이루어진 뺏지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00)의 길이는 착용하는 마스크의 측부 두께, 상기 머리부(1000)의 두께 그리고 돌출부(2000)의 타측(2002)에 별도의 뺏지캡이 결합되기 위해 요구되는 길이의 합과 같거나 보다 길고;
상기 머리부(1000)에는 상기 머리부(1000)의 측면(1200)의 굴곡에 의해 함몰 형성된 열린 틈(110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00)와 평행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1100) 안으로 들어가 열린 틈(1100)을 관통할 수 있으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상기 열린 틈의 입구(1110)를 통해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린 틈(11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The protrusion 2000, which plays a role in making and hanging through the clothes, etc., and the protrusion 2000, is attached to one side 2001 of the protrusion 2000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lothes etc. caused by the protrusion 2000 In the tag pin consisting of a head part 1000 in the form of a plate;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000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ide of the mask worn, the thickness of the head 1000, and the length required for a separate badge cap to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2002 of the protrusion 2000, or longer than;
An open gap 1100 is formed in the head 1000, which is depressed by bending of the side surface 1200 of the head 1000;
Another same protrusion 2000 ′ of the tag pin parallel to the protrusion 2000 may enter the open gap 1100 and penetrate the open gap 1100 , and the same another that passes through the open gap 1100 . Mask internal contamination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gap 1100 having a size and shap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2000' of the tagging pin can come out of the open gap 1100 through the inlet 1110 of the open gap is formed take away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 틈(1100)에는 상기 열린 틈(1100)을 관통한 동일한 또다른 뺏지핀의 돌출부(2000')가 쉽게 열린 틈(1100)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해하는 걸림 돌기(12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내부오염 방지용 뺏지핀.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pen gap 1100, a locking protrusion 1200 that prevents the protrusion 2000' of another badge pin passing through the open gap 1100 from easily coming out of the open gap 1100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Badge pins to prevent contamination inside the mask.
KR2020210000234U 2021-01-24 2021-01-24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KR2022000187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34U KR20220001877U (en) 2021-01-24 2021-01-24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34U KR20220001877U (en) 2021-01-24 2021-01-24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77U true KR20220001877U (en) 2022-08-02

Family

ID=8280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34U KR20220001877U (en) 2021-01-24 2021-01-24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877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16U (en) 2011-01-07 2012-07-17 두승균 Pin for badge
KR20200118776A (en) 2020-09-28 2020-10-16 정철종 a mask with a built-in mag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216U (en) 2011-01-07 2012-07-17 두승균 Pin for badge
KR20200118776A (en) 2020-09-28 2020-10-16 정철종 a mask with a built-in mag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7003A1 (en) Universal belt and attachments
US6295703B1 (en) Device for attaching objects to fabric
US6035564A (en) Identification holder
US20080016730A1 (en) Clamshell badge/nametag holder
US20220039523A1 (en) Face mask carrying system
US20090026237A1 (en) Stethoscope Restraint
JP3230681U (en) Mask holder and mask set
KR20220001877U (en) Badge pin for preventing internal contamination of mask
KR200418285Y1 (en) Attachment device for name card magnet
US20200113247A1 (en) Shirt with mask
JP4904333B2 (en) Buckle with whistle
US20220379144A1 (en) Mask with Straw Hole and Plug
EP2785073A1 (en) Bluetooth listen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JP3229447U (en) Mask attachment
US20220007760A1 (en) Accessory attachment assemblies
TWM606983U (en) Hanging rope assembly for facial mask
TWI733613B (en) Hanging rope assembly for facial mask
WO2011100266A1 (en) Badge holding system
JP3069394U (en) Mobile device straps and their accessories and joints
JP3230234U (en) Mask holder
US20080028791A1 (en) Article of apparel
JP2007209529A (en) Clasp using magnet
JP3071545U (en) Name tag and clothes fixing structure, name tag and clothes used for this fixing structure
JP3228356U (en) Mask fastener
KR200246452Y1 (en) apparatus for fixing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