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94A -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 Google Patents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94A
KR20220001794A KR1020200080168A KR20200080168A KR20220001794A KR 20220001794 A KR20220001794 A KR 20220001794A KR 1020200080168 A KR1020200080168 A KR 1020200080168A KR 20200080168 A KR20200080168 A KR 20200080168A KR 20220001794 A KR20220001794 A KR 2022000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ell
cell unit
spi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7297B1 (en
Inventor
강준한
김해룡
Original Assignee
강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한 filed Critical 강준한
Priority to KR102020008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297B1/en
Publication of KR2022000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61H2201/1607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An embodiment can provide a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which includes: a body part; a pump part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an air cell part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expand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pump part. The air cell par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air cell parts which can be inflated and contracted independently by the air, and provide a pressure to the body part of a user where his/her spines are loc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part to adjust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pines and adjust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spin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part.

Description

척추 만곡 형성 및 견인 장치{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척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에서 척추를 견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요추 또는 경추의 만곡을 형성시키고 이를 유지한 채 견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action while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traction while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lumbar or cervical vertebrae.

사람은 보행하거나 앉아 있을 때 허리를 완전하게 직립하기보다는 약간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신체의 상태는 허리 및 등 쪽의 근육과 근막 그리고 각종 인대에 과다한 스트레칭을 유발하며 나아가 추간판(디스크)에 많은 압박을 가한다. 특히 좌식 생활이 많은 현대인은 하루 일상생활 중 8시간 이상은 좌식 생활을 하게 되는데, 앉아 있을 때 허리와 목에 받는 압박은 누워 있을 때보다 무려 8배 이상이라고 알려졌다. 따라서, 허리와 목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과도한 부하로 인해 척추 관절의 유연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요통 등을 빈번하게 유발한다. 이처럼 척추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각종 근골격계 질환 및 디스크 즉 추간판탈출증(디스크 질환)이나 퇴행성 디스크와 같은 질병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목이나 허리에 추간판탈출증이나 퇴행성 디스크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정도가 심각하면 수술 등과 같은 외과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그 증상이 미미한 경우 또는 질병의 예방의 차원에서 여러 물리적 치료 방법이 동원된다.People often maintain their back slightly bent rather than fully upright when walking or sitting. This state of the body causes excessive stretching of muscles, fascia, and various ligaments of the back and back, and further puts a lot of pressure on the intervertebral disc (disc). In particular, modern people, who have a sedentary lifestyle, spend more than 8 hours a day in a sedentary life. Accordingly, the flexibility of the vertebral joints is greatly reduced due to excessive load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back and neck, and low back pain is frequently caused. As the flexibility of the vertebral joints decreases, it naturall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various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diseases such as disc herniation (disc disease) or degenerative disc. In the case of a herniated disc or degenerative disc in the neck or back, if the severity is severe, it can be treated with surgical methods such as surgery, but if the symptoms are insignificant or to prevent disease, various physical treatment methods are mobilized. .

과거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여 물리적인 치료를 받는 방식에서 벗어나 가정에서도 손쉽게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73164호는 경추 견인치료기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57444호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로써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경추부를 견인하여 경추부의 질환을 개선 치료하는 경추 견인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이미 만곡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자의 경추 상태에 따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목디스크견인부는 머리에 압력을 제공하여 머리를 견인하는 것으로써 만곡된 척추의 견인 보다는 척추의 만곡 상태를 오히려 감소시키게 되어 치료 효과가 부정적인 한계가 있으며, 또한 척추와 디스크를 감싸고 있는 인대까지 인장 시켜 느슨하게 되어 척추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can easily perform physical treatment using a device at home, away from the method in which a patient visits a hospital and receives physical treatment, has been developed. In relation to th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173164 relates to a cervical spine traction treatment device,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7444 is a medical cervical spine traction device for normal curvature and relaxation of the cervical spine. It relates to a cervical spine traction therapy device that improves and treats diseases of the cervical spine by traction. Since it already maintains a curved state, it may cause discomfort depending on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condition, and the neck disc traction unit provides pressure to the head to pull the head, thereby reduc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rather than traction of the curved spine. There is a negative limitation in the therapeutic effect, and also the ligaments surrounding the spine and the disc are stretched and loosened, causing the side effect of destabilizing the spin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7316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173164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5744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7444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목과 허리를 견인할 때 경추와 요추의 만곡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척추 관절 주변의 인대를 직접적으로 당기지 않게 되어 척추의 불안정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척추를 견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체형이나 체중에 따라 그 형상이나 만곡의 정도가 변형 및 변화될 수 있는 경추,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keep the curvature of the cervical and lumbar spine when the user pulls the neck and back, so that the ligaments around the vertebral joint are not directly pulled, and the spine can be pulled without causing instability of the spi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cervical and lumbar vertebrae, in which the shape or degree of curvature can be deformed and changed according to a person's body type or weigh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의 만곡 상태의 감소 없이 척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traction of the spine without reduc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의 견인 및 만곡의 감소 시 선 척추 견인 해제 및 후 척추 만곡 감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that enables the release of pre-vertebral traction and reduction of posterior spinal curvature when traction and curvature of the spine are reduced.

실시예는, 바디부; 에어의 공급 및 배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에어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셀부는 상기 에어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1 및 제2 에어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에어셀부의 팽창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가 위치한 신체상에 압박을 제공하여 상기 척추의 만곡의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에어셀부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기 척추의 견인 정도를 조절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the body portion; a pump uni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an air cell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expand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wherein the air cell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air cell units that can be independently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air, Formation of spinal curvature to control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pine by providing pressure on the body where the user's spine is loc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unit and to adjust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spine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unit and a holding traction device.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디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어 중앙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셀부는 상기 안착홈에 형성된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body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a guide portion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a central region, and the air cell portion is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to form a curvature of the spine. and a holding traction device.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는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guide par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ser's neck region, the user's neck region may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 curvature of the spin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바디부에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further comprising a; a fixing belt for fixing the head of the user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ortion.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는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guide part is configur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user's waist, the user's waist can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 curvature of the spine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척추의 견인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moving means for enabling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traction of the spine; it can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further comprising.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척추가 위치한 신체상에 압박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길이 방향인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척추를 견인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air cell unit expands in an upward direction by expansion to provide pressure on the body where the spine is located, and the second air cell unit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er by the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lift the spine. A traction device may be provided to form and maintain a curvature of the spine.

다른 측면에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상기 에어셀부로 공급하기 위한 스포이드, 상기 스포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에어셀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1 에어관과 상기 제2 에어셀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2 에어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관 중 어느 하나로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를 포함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ump unit is a dropper for supplying air from the outside to the air cell unit, a first air tube connected to the dropper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air cell unit and a second air supplying air to the second air cell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inal curvatur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comprising an air inflow pat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ir to any one of the tube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척추가 위치한 신체상에 압박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길이 방향인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종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척추를 견인하고, 상기 제1 에어셀부는 상기 안착홈에 설치된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위치 이동시 상기 제1 에어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air cell unit expands in an upward direction by expansion to provide pressure on the body where the spine is located, and the second air cell unit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er by expansion to expand the second air cell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ull the spine, and the first air cell unit is fixedly installed in an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and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air cell units. 2 When the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is mov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spin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ir cell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추 또는 요추와 같은 척추의 만곡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를 견인시킴으로써 인대의 인장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탈출된 추간판(디스크)을 복원시킬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tore the prolapsed intervertebral disc (disk) without causing tension of the ligament by pulling it while maintaining the curved state of the spine, such as the cervical or lumbar sp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각종 디스크 질환에 따라 척추의 만곡 정도 및 견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척추 질환의 증상을 완화 및 치료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eviate and treat symptoms of various spinal diseases by adjusting the degree of curvature and traction of the spine according to various disc diseases that may appear in various ways for each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척추의 만곡을 정상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척추 견인을 진행함으로써 견인 축이 후관절에 존재하도록 하여 척추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기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by generating a mechanism in which the spacing between the vertebrae is widened by allowing the traction axis to exist in the facet joint by performing spinal tra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spine is maintained normal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육의 이완과 신경 압박의 감소를 통하여 관절의 강직도가 완화되면서 염증과 척추 주변의 통증을 줄일 수 있으며 혈류를 증가시키고 신경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flammation and pain around the spine, increase blood flow, and smooth nerve supply while relieving joint stiffness through relaxation of muscles and reduction of nerve compress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추와 요추의 만곡을 형성시켜 놓은 상태에서 견인을 유도함으로써 경추와 요추 견인의 효과가 견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척추의 만곡 감소와 상쇄되어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ducing tra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cervical and lumbar vertebrae is formed, the effect of cervical and lumbar traction is offset with the decrease in the curvature of the spine caused by traction,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poor treatment effect.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에어셀부의 구동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5b는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에어셀부의 구동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에어셀부의 팽창전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에어셀부 중 제1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에어셀부 중 제2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른 실시예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 에어셀부의 팽창시의 형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제2 에어셀부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일 구성요소인 펌프부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4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7은 제3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은 제3 및 제4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른 경추의 만곡 형성과 경추의 견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4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1은 제3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4 에어셀부가 제거된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또는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태 및 제4 에어셀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22에서의 a1, a2 또는 b1, b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1A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tate diagram of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2 to 4 are for explaining the cervical vertebrae curved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ir cell unit.
5A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a lumbar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state diagram of u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lumbar curvatur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6 to 8 are for explaining the lumbar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ir cell unit.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before the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unit among the air cell units.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a second air cell unit among the air cell units.
12 is for explaining a change in shape when the first and second air cell parts are expanded.
1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air cell unit.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mp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expansion of the fourth air cell unit, and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1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urvature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tra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hird and fourth air cells.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umbar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expansion of the fourth air cell unit, and 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or a lumbar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in which the fourth air cell part is removed for explaining the air cell position maintaining devic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and the rear portion of the fourth air cell unit.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1, a2, or b1, b2 of FIG. 22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Cervical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이하, 실시예에 따른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raction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 curvature of the sp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에어셀부의 구동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ure 1a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the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state diagram of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Figures 2 to 4 is to explain the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ir cell unit.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10)는 바디부(100), 펌프부(200), 에어셀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1A to 4 , the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00 , a pump part 200 , and an air cell part 300 .

바디부(1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is composed of a first body part 110 and a second body part 120, and thes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제1 바디부(11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 부위가 안정적으로 놓여 질 수 있도록 하며 이의 상부면은 다양한 형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ody part 110 allows the user's head to be stably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comfortably lying,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may have a curved surface of various shapes.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0)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부위가 삽입되는 후두부삽입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후두부삽입홈(19)은 제1 바디부(110)와 사용자의 머리의 고정력을 높여 제1 바디부(110)가 이동할 때 제1 바디부(110)의 이동 방향으로 머리가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occipital insertion groove 19 into which the user's occipital reg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lying comfortably. The occipital insertion groove 19 helps the head naturally mov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when the first body 110 moves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user's head. .

편안하게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와 접촉하는 제1 바디부(110)의 상부면은 사용자의 경추의 인장 또는 인장 해제 시 자연스럽게 머리 부위가 종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in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user lying comfortably may have a material that allows the head to natural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are tensioned or released.

제2 바디부(12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경추 및 어깨 부위가 안정적으로 놓여 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body part 120 allows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shoulder region to be stably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comfortably lying.

제2 바디부(12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중간 영역의 상부면이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면서 전체적으로 아치형, 반원통형 또는 U 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art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0 . The guide unit 130 may have an arcuate, semi-cylindrical, or U-shaped shape as a whole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region is bent downward.

가이드부(130)의 상부면 중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는 중앙 영역 상의 안착홈(131)은 사용자의 목 부위를 수용하며 가이드부(130)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를 자연스럽게 고정한다.The seating groove 131 on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unit 130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accommodates the user's neck, and the guide 13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ser's neck. is fixed naturally.

제1 바디부(110)에는 고정벨트(180)가 설치되고, 고정벨트(180)는 사용자의 머리 위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A fixing belt 180 is installed on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fixing belt 18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above the user's head.

고정벨트(180)는 경추의 만곡 형성 시 사용자의 머리가 함께 들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척추의 견인 시 사용자의 머리가 초기의 위치에서 이탈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추의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시 최상의 효과를 이뤄낼 수 있다.The fixing belt 180 prevents the user's head from being lifted together when the cervical spine is curved and prevents the user's head from moving away from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spine is traction, so the best effect when forming and maintaining the curve of the cervical spine can achieve

가이드부(130)의 안착홈(131)에는 에어셀부(300)가 설치되고, 에어셀부(300)는 펌프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또는 펌프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다.The air cell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131 of the guide unit 130 , and the air cell unit 300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200 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pump unit 200 . and shrinkage.

에어셀부(300)는 펌프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의 팽창 또는 종축 방향으로의 팽창할 수 있다. 즉, 에어셀부(300)는 두 가지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The air cell unit 300 may be expanded in an upward direction o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i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200 . That is, the air cell unit 300 may expand in at least one of two directions.

에어셀부(300)는 고무와 같은 팽창성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에어셀부(300)는 팽창된 상태에서 견인, 연신 또는 리프팅 표면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강성 또는 경도를 가져 최대 견인력이 생성된다.The air cell unit 300 may be made of an inflatable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 air cell unit 300 has sufficient rigidity or hardness to form a traction, elongation or lifting surface in an inflated state so that maximum traction force is generated.

안착홈(131)은 소정의 깊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셀부(300)의 상부 방향으로의 팽창 전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있는 상태에서 에어셀부(300)에 의한 사용자의 경추 압박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안착홈(131)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기 전에는 사용자의 경추 부위로 가해지는 압박이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131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In more detail, before the air cell unit 300 is expanded in the upper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lying comfortably, the pressure of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by the air cell unit 300 is not made to a depth of the seating groove 131 . Depth can be determin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is released before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사용자는 펌프부(200)의 조작을 통해 에어셀부(300)를 상부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 부위로 압박이 가해지고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서 경추의 만곡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The user may inflate the air cell unit 300 upw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200 . As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and the curvature state of the cervical spin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사용자는 자신이 편안하게 느끼는 정도로 에어셀부(300)를 상부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과 체중 그리고 목 부위의 만곡된 형상에 맞추어 에어셀부(300)의 팽창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user may inflate the air cell unit 300 upward to the extent that he or she feels comfortable. That is,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and weight and the curved shape of the neck.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경추 부위에 압박을 가하며 경추 부위를 상부 방향으로 리프팅시키면서 만곡을 형성하게 된다. 에어셀부(300)의 팽창이 유지되는 동안 경추는 만곡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30) 및 고정벨트(18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위는 고정되므로 경추의 만곡된 상태가 해지됨이 없이 유지될 수 있다.As the air cell par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it applies pressure to the cervical vertebrae and forms a curve while lifting the cervical vertebrae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the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is maintained, the cervical vertebrae may maintain a curved state. In addition, since the user's head and neck are fixed by the guide part 130 and the fixing belt 180, the curved state of the cervical spine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canceled.

다음으로 사용자는 펌프부(200)를 조작하여 에어셀부(300)를 종축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셀부(300)의 상부 방향으로의 팽창에 의해 사용자의 경추부위에 밀착된 에어셀부(300)가 다시 종축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에어셀부(300)와 사용자의 경추 부위의 마찰력에 의해서 경추 부위가 인장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130) 및 고정벨트(18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위는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상체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안정성이 유지된 상태로 경추의 견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Next, the user may operate the pump unit 200 to expand the air cell uni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air cell unit 300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expands aga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 upward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the cervical vertebrae are tension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ir cell unit 300 and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will become In addition, since the user's head and neck are fixed by the guide part 130 and the fixing belt 180, shaking of the user's upper body is minimized, so that the traction effect of the cervical vertebrae can appear while the stability is maintained.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Lumbar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이하, 실시예에 따른 척추 만곡 유지 및 견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요추 만곡 유지 및 견인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device for maintaining and tra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aintenance and traction of the lumbar spine.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에어셀부의 구동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ure 5a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the lumbar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state diagram of u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lumbar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Figures 6 to 8 is for explaining the lumbar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ir cell unit.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에 다른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in the previous embodiment other than the lumbar curve formation and maintenance traction will be omitted.

도 5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10)의 제1 바디부(11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골반부위가 안정적으로 놓여 질 수 있도록 하며 이의 상부면은 다양한 형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5A to 8 , the first body part 110 of the lumbar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ilizes the user's pelvi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comfortably lying.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may have a curved surface of various shapes.

편안하게 누워있는 사용자의 골반부위와 접촉하는 제1 바디부(110)의 상부면은 사용자의 요추의 인장 또는 인장 해제 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하체 부위와 함께 종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in contact with the user's pelvis, who is lying comfortably, has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so that it can natural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user's lower body when the user's lumbar spine is tensioned or released. material can have.

제2 바디부(120)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 및 둔부가 안정적으로 놓여 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body part 120 allows the user's waist and buttocks to be stably placed while the user is comfortably lying.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바디부(120)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둔부삽입홈(18)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a buttock insertion groove 18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part 120 to allow the user's buttocks to be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lying comfortably.

둔부삽입홈(18)은 사용자의 둔부와 제2 바디부(120)의 고정력을 높여 제2 바디부(120)가 이동할 때 사용자의 하체가 제2 바디부(120)의 이동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유도한다.The buttock insertion groove 18 increases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user's buttocks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so that when the second body part 120 moves, the user's lower body naturally move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art 120 . induce

제2 바디부(12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중간 영역의 상부면이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면서 전체적으로 아치형, 반원통형 또는 U 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art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0 . The guide unit 130 may have an arcuate, semi-cylindrical, or U-shaped shape as a whole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region is bent downward.

가이드부(130)의 상부면 중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는 중간 영역 상의 안착홈(131)은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수용하며 가이드부(130)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자연스럽게 고정한다.The seating groove 131 on the middle region bent in the lower direction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guide unit 130 accommodates the user's waist, and the guide unit 13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ser's waist. is fixed naturally.

제1 바디부(110)의 하단에는 이동수단(190)이 설치되고, 바디부(100)가 종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예시적으로, 이동수단(190)은 바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수단(190)은 소정의 거리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요추의 최대 인장 범위 내에서 바디부(100)가 이동할 수 있고, 요추의 최대 인장 범위를 벗어나 바디부(100)가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되도록 이동수단(190)은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 moving means 19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body part 100 smooth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llustratively, the moving means 190 may be configured as a wheel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moving means 19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detail, the moving means 190 is fix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so that the body part 100 can move within the maximum tensile range of the lumbar vertebrae, and the body part 100 cannot move outside the maximum tensile range of the lumbar vertebrae. It may be configured in a movable form.

가이드부(130)의 안착홈(131)에는 에어셀부(300)가 설치되고, 에어셀부(300)는 펌프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또는 펌프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서 팽창 및 수축할 수 있다.The air cell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131 of the guide unit 130 , and the air cell unit 300 is expanded by ai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200 or air discharged through the pump unit 200 . and shrinkage.

에어셀부(300)는 펌프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의 팽창 또는 종축 방향으로의 팽창할 수 있다. 즉, 에어셀부(300)는 두 가지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The air cell unit 300 may be expanded in an upward direction o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i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200 . That is, the air cell unit 300 may expand in at least one of two directions.

안착홈(131)은 소정의 깊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셀부(300)의 상부 방향으로의 팽창 전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있는 상태에서 에어셀부(300)에 의한 사용자의 요추 압박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안착홈(131)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기 전에는 사용자의 요추 부위로 가해지는 압박이 해제된 상태라 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131 may have a predetermined depth. In more detail, before the air cell unit 300 is expanded in the upward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comfortably lying down, the seat groove 131 has a depth such that the user's lumbar spine is not compressed by the air cell unit 300 . Depth can be determin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lumbar region is released before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사용자는 펌프부(200)의 조작을 통해 에어셀부(300)를 상부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 부위로 압박이 가해지고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서 요추의 만곡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The user may inflate the air cell unit 300 upw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mp unit 200 . As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pressure is applied to the user's lumbar region, and the curvature state of the lumbar spin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사용자는 자신이 편안하게 느끼는 정도로 에어셀부(300)를 상부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체형과 체중 그리고 허리 부위의 만곡된 형상에 맞추어 에어셀부(300)의 팽창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user may inflate the air cell unit 300 upward to the extent that he or she feels comfortable. That is,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and weight and the curved shape of the waist.

에어셀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요추 부위에 압박을 가하며 요추 부위를 상부 방향으로 리프팅시키면서 만곡을 형성하게 된다. 에어셀부(300)의 팽창이 유지되는 동안 요추는 만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30) 및 고정벨트(180)에 의해 사용자의 등과 골반부위는 고정되므로 요추의 만곡된 상태가 해제됨이 없이 유지될 수 있다.As the air cell unit 300 expands in the upward direction, it applies pressure to the lumbar region and forms a curve while lifting the lumbar region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the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is maintained, the lumbar spine may maintain a curved state. In addition, since the user's back and pelvis are fixed by the guide part 130 and the fixing belt 180, the curved state of the lumbar spine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released.

다음으로 사용자는 펌프부(200)를 조작하여 에어셀부(300)를 종축 방향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에어셀부(300)의 상부 방향으로의 팽창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밀착된 에어셀부(300)가 다시 종축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에어셀부(300)와 사용자의 요추 부위의 마찰력에 의해서 요추 부위가 인장되게 된다. 또한, 요추 부위의 인장에 따라 바디부(100)는 이동수단(190)에 의해 종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고, 가이드부(13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부위는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상체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안정성이 유지된 상태로 요추의 견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Next, the user may operate the pump unit 200 to expand the air cell uni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air cell unit 300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umbar region expands aga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 upward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the lumbar region is tension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ir cell unit 300 and the user's lumbar region. will becom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nsion of the lumbar region, the body part 100 can move natur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moving means 190 , and the user's waist part is fixed by the guide part 130 , so the shaking of the user's upper body is minimized. The traction effect of the lumbar spine can be seen while maintaining stability.

전술한 요추 및 경추의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을 위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스스로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척추 만곡을 유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경추 또는 요추 부위를 견인시키므로 척추간의 압력을 줄여주고, 디스크를 더욱 효과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척추의 견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대손상성 척추불안정성도 방지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바른 척추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e embodiment for traction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the above-mentioned lumbar and cervical vertebrae reduces the pressure between the vertebrae by pulling the cervical vertebrae or lumbar vertebrae in a state where the curvature of the spine is maintained at a level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on his/her own, It not only can restore the disc more effectively, but also prevents spinal instability caused by ligament damage caused by traction of the spine, and allows the user to have a correct spinal posture.

또한, 정상적인 척추의 경우 기본적인 만족을 형성하는데, 구체적으로 그 만곡의 형태로는 경추와 요추는 전만, 흉추는 후만을 이루고 있으며, 각 부위의 평균 각도는 경추의 전만은 30 내지 35도, 흉추는 40도 그리고 요추는 45도를 이룬다.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안착홈(131)으로 수용된 사용자의 목이나 사용자의 허리의 기본적인 척추의 만곡 상태를 초기에 보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의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고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라 척추의 만곡 정도를 서서히 늘릴 수 있도록 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ormal spine, basic satisfaction is formed. Specifically, the curvature of the cervical and lumbar spine is lordosis and the thoracic spine is kyphosis, and the average angle of each part is 30 to 35 degrees for cervical lordosis, and 30 to 35 degrees for thoracic vertebrae. 40 degrees and the lumbar spine makes 45 degrees. The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feel comfortable in the posture by initially preserving the curvature of the user's neck or the basic spine of the user's waist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131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lying comfortably, an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air cell part By allowing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pine to be gradually increased, the effect of treatment can be increased.

또한, 실시예는 척추의 만곡의 감소 상태에서의 척추 견인에 따라 견인의 축이 극돌기에 존재하게 됨에 따라 척추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오히려 좁아지면서 디스크를 압박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prevent the problem of compressing the disc while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ebrae is narrowed rather than widened as the axis of traction is present in the spinous process according to spinal traction in a reduced state of curvature of the spine.

또한, 실시예는 척추의 만곡이 감소된 상태에서 척추의 견인에 따라 목이나 허리가 평평해지면서 복압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척추 주변을 감싸는 모든 인대 조직들까지 당겨져서 느슨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prevents the problem that the abdominal pressure rises as the neck or waist is flattened according to the traction of the spine in a state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spine is reduced, and the problem of loosening by pulling up to all the ligamentous tissues surrounding the spine can be prevented

<에어셀부><Air cell part>

도 9는 에어셀부의 팽창전의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에어셀부 중 제1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에어셀부 중 제2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른 실시예에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제1 및 제2 에어셀부의 팽창시의 형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13은 제2 에어셀부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before the expansion of the air cell par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part of the air cell part,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part of the air cell part, 12 is for explaining a change in shape when the first and second air cell parts are expanded. And FIG. 13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air cell unit.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에어셀부(300)는 제1 및 제2 에어셀부(310, 3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에어셀부(310)는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서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에어셀부(310)의 팽창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의 만곡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9 to 13 , the air cell unit 3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ir cell units 310 and 320 . The first air cell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expand upward by the incoming air.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user's lumbar spin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unit 310 .

에어셀부(300)의 팽창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의 홍요근막 부위, 더 정확하게는 요추 2, 3번에 압박을 가하면서 요추에 만곡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air cell unit 300, it is possible to form a curve in the lumbar vertebrae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lumbosacral fascia region of the user's waist, more precisely, lumbar vertebrae 2 and 3.

제2 에어셀부(320)는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서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에어셀부(320)의 팽창 정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추의 견인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exp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incoming air.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user's lumbar spin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

제2 에어셀부(320)의 팽창에 따라 요추와 천골 부위 각각에 압박을 가하면서 요추 2/3번을 중심으로 종촉 방향으로 요추가 견인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while applying pressure to each of the lumbar vertebrae and the sacrum, the lumbar vertebrae may be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2/3 lumbar vertebrae.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에어셀부(320)는 제1 내지 제3 셀(321, 322, 3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셀(321, 322, 323)들은 서로 에어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셀(321)은 팽창함에 따라 요추 상부 부위(요추 1/2번)에 종축 압박을 가하게 되고, 제3 셀(323)은 팽창함에 다라 천골 부위에 종축 압박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셀(322)은 제1 에어셀부(3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셀(322)은 제1 및 제3 셀(321, 323) 간의 에어의 연통 경로를 제공할 뿐 유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하지 않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에어셀부(320)에 에어가 유입되더라도 제1 및 제3 셀(321, 323)만이 팽창을 하고 제2 셀(322)의 팽창 정도는 최소화됨으로써 제2 셀(322)의 팽창에 따른 요추의 만곡 정도가 더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may include first to third cells 321 , 322 , and 323 . The first to third cells 321 , 322 , and 32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ir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s the first cell 321 expands, longitudinal compression is applied to the upper lumbar vertebrae (lumbar vertebra 1/2), and as the third cell 323 expands, longitudinal compression is applied to the sacrum. In addition, the second cell 322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air cell unit 310 . In addition, the second cell 322 may have an elastic forc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expand by the introduced air while providing a communication path of air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ells 321 and 323 . Therefore, even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 only the first and third cells 321 and 323 expand, and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second cell 322 is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expansion of the second cell 322 .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lumbar spine is further increased.

<펌프부><Pump part>

도 14는 실시예의 일 구성요소인 펌프부의 개략도이다.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ump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펌프부(200)는 스포이드(210)와 스포이드(210)와 에어셀부(300)를 서로 연결하는 에어관(220) 그리고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pump unit 200 may include a dropper 210 , an air tube 220 connecting the dropper 210 and the air cell unit 300 to each other, and an air inflow path control unit 230 . .

에어관(220)은 내부에 두개의 독립된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에어관(220)은 제1 및 제2 에어관(221, 222)으로 구성되고 제1 에어관(211)은 에어를 제1 에어셀부(310)로 공급 또는 제1 에어셀부(310)로부터의 에어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에어관(212)은 에어를 제2 에어셀부(320)로 공급 또는 제2 에어셀부(320)로부터의 에어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ir tube 220 may be composed of two independent tubes therein. In detail, the air tube 22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air tubes 221 and 222 , and the first air tube 211 supplies air to the first air cell unit 310 or the first air cell unit 310 . ), and the second air tube 212 may supply air to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or perform a function of discharging air from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 have.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230)는 스포이드(210)와 제1 및 제2 에어관(211, 212)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및 에어셀부(300)로부터의 에어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ir inlet path control unit 23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dropper 210 and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211 and 212 and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cell unit 300 .

사용자는 스포이드(210)를 수회 펌핑하면서 에어셀부(300)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230)의 조작에 따라 스포이드(210)의 펌핑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에어를 제1 및 제2 에어관(211, 212) 중 어느 하나의 관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user may supply air to the air cell unit 300 while pumping the dropper 210 several times. At this time, the user may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tubes 211 and 212 according to the pumping of the dropper 2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inflow path control unit 230 . can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부(200)는 수동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방식이 아닌 전자적으로 에어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some exemplary embodiments, the pump unit 200 may be configured in a manner capable of electronically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rather than manually injecting air.

실시예는 제1 및 제2 에어셀부(310, 320)의 팽창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에어셀부(310)의 팽창을 통해 척추의 만곡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에어셀부(320)의 팽창으로 척추의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척추의 만곡과 척추의 견인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척추의 견인만이 이루어질 때와 같이 척추의 만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척추의 견인에 따른 복압 상승으로 인한 허리 통증 유발 문제 디스크의 압박 문제, 척추 주변의 모든 인대 조직들의 인장으로 인한 불안정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expa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air cell units 310 and 320 may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spine is maintain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unit 310 , the spine is traction by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 Therefore, when the curvature of the spine and the traction of the spine are made at the same time, or when only the traction of the spine is made, the problem of causing back pain due to the increase in abdominal pressure due to the traction of the spine in a state where the curve of the spine is not made sufficiently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stability problems due to tension of all ligamentous tissues around the spine.

한편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230)의 조작에 따라 에어셀부(300) 내부의 에어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에어셀부(320)의 내부의 에어가 먼저 배출된 후 제1 에어셀부(310)의 내부의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척추가 견인된 상태에서 척추의 만곡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척추의 만곡이 유지된 상태에서 척추의 견인이 해제되고 그 후 척추의 만곡이 해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inside the air cell unit 3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inflow path control unit 230 . At this time, after the air inside the second air cell unit 320 is discharged first, the air inside the first air cell unit 310 may be discharg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ine from being de-curved while the spine is being pull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curvature of the spine is maintained, the traction of the spine may be released, and then the curvature of the spine may be released.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제4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7은 제3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8은 제3 및 제4 에어셀부의 팽창에 따른 경추의 만곡 형성과 경추의 견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a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fourth air cell unit, 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and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n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작용 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조하면,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10)의 바디부(1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body portion 100 of the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 사이에는 제3 에어셀부(3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에어셀부(330)는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는 서로 점점 멀어지는 방향, 즉 종축 방향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 에어셀부(330)에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제3 에어셀부(330)는 수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종축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third air cell part 3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facing each other. The third air cell part 330 may be expanded by the incoming air, 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may move in a direction gradually away from each other,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cell unit 3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third air cell unit 330 may contract, 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body units 110 and 120 move closer to each other. , that is, they can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3 에어셀부(330)는 주름진 형성된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주름의 펴짐 또는 원 상태로의 복귀 상태에 따라서 제3 에어셀부(330)는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다.The third air cell unit 3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and the third air cell unit 330 may expand or contract according to the unfolding of the pleats or the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inflow or exhaust air. have.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에 의해 하나의 가이드부(130)를 형성하고, 가이드부(130) 상에는 안착홈(131)이 형성된다.One guide part 130 is formed by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 and a seating groove 131 is formed on the guide part 130 .

안착홈(131) 상에는 제4 에어셀부(340)가 설치된다.A fourth air cell unit 340 is installed on the seating groove 131 .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포이드의 펌핑을 수행하면 제4 에어셀부(340)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경추의 만곡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포이드의 펌핑을 통해 제3 에어셀부(330)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제3 에어셀부(330)가 팽창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4 에어셀부(330)의 형상은 유지되어 경추의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에서셀부(330)의 팽창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가 종축 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때 가이드부(130)로 인해 형성된 턱에 의해 제1 바디부(110) 상의 가이드부(130)에 의한 턱은 사용자의 목 윗부위를 제2 바디부(120) 상의 가이드부(130)에 의한 턱은 사용자의 승모근 부위 각각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경추 부위가 견인된다. 또한, 후두부삽입홈(19)과 고정벨트(180)는 사용자의 머리와 제1 바디부(110) 사이의 고정력을 높여 제1 바디부(110)의 이동시 사용자의 머리가 제1 바디부(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경추의 견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16 and 18 , when the user pumps the dropper, the fourth air cell unit 340 may expand to form a curvature of the user's cervical spine. And, as shown in FIGS. 17 and 18 , when the user injects air into the third air cell unit 330 through the pumping of the dropper, the third air cell unit 330 expands, 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body units (110,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fourth air cell unit 330 may be maintained to maintain a curved state of the cervical spine.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fourth cell part 330 , the first body part 110 is formed by the chin formed by the guide part 130 . ), the chin by the guide part 130 on the upper part of the user's neck, and the chin by the guide part 130 on the second body part 120 presses each of the user's trapezius muscles in opposite directions, while the cervical vertebrae are pulled do. In addition, the occipital insertion groove 19 and the fixing belt 180 increase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user's head and the first body part 110 so that when the first body part 110 moves, the user's head is moved to the first body part 110 .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ction effect of the cervical vertebrae by preventing it from departing.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제4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1은 제3 에어셀부의 팽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umbar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fourth air cell unit, and 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도 15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경추의 만곡을 형성하고 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하는 방식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만곡 형성, 유지 및 견인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cervical vertebrae described in FIGS. 15 to 18 and tra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while maintaining it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apparatus for forming, maintaining and traction of the lumbar vertebrae as shown in FIGS. 19 to 21 .

상세하게는, 제4 에어셀부(340)의 팽창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의 홍요근막 부위, 더 정확하게는 요추 2, 3번에 압박을 가하면서 요추에 만곡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에어셀부(330)는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서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 정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추의 견인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에 따라 가이드부(130)에 의해 바디부(100)에 형성된 턱은 허리를 중심으로 상체와 하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압박하면서 상체와 하체를 선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자연스럽게 만곡된 요추를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둔부삽입홈(18)은 사용자의 하체와 제2 바디부(120) 사이의 고정력을 높여 제2 바디부(120)의 이동시 사용자의 하체 부위 제2 바디부(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요추의 견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detail,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fourth air cell unit 340, it is possible to form a curve in the lumbar vertebrae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lumbosacral fascia of the user's lower back, more precisely, the second and third lumbar vertebrae. The third air cell unit 330 may be configured to exp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incoming air.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user's lumbar spin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330 . The chin formed on the body part 100 by the guide part 130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part 330 presses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opposite directions around the waist while mov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ine. It can traction the naturally curved lumbar spine. In addition, the buttock insertion groove 18 increases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user's lower body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to prevent the user's lower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part 120 when the second body part 120 is moved. This can increase the traction effect of the lumbar spine.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4 에어셀부가 제거된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또는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태 및 제4 에어셀부의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24는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22에서의 a1, a2 또는 b1, b2를 절단한 단면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or a lumbar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in which the fourth air cell unit is removed for explaining the air cell position maintaining devic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shows the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and the rear part of the fourth air cell unit, and FIG. 24 is a1, a2 or b1, b2 in FIG. 22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도 22 내지 도 24에서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경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요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22 to 24, in order to explain the device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air cell unit, the cervical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lumbar vertebrae curvature forming and maintaining traction device.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400)는 안착홈(13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22 to 24 , the air cell position maintaining device 4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ating groove 131 .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400)는 제1 종축바(410), 제2 종축바(420), 에어출력부(430),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 및 에어호스(450)로 구성될 수 있다.The air cell position maintaining device 400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bar 410 , a second vertical bar 420 , an air output unit 430 , a frictional force providing plate 440 , and an air hose 450 .

제1 종축바(410)와 제2 종축바(420)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는 에어출력부(430)가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longitudinal bar 4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bar 420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air output unit 4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m.

제1 종축바(410)는 제1 고정바(413)와 제1 고정바(413)의 일측에 체결된 제1-1 이동바(411), 제1 고정바(413)의 타측에 체결된 제1-2 이동바(4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bar 410 is the first fixed bar 413 and the 1-1 moving bar 411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irst fixed bar 413, the first fixed bar 413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ed bar 413. It may be composed of a 1-2 moving bar 412 .

제2 종축바(420)는 제2 고정바(423)와 제2 고정바(423)의 일측에 체결된 제2-1 이동바(421), 제2 고정바(423)의 타측에 체결된 제2-2 이동바(4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bar 420 is the second fixed bar 423 and the 2-1 moving bar 421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xed bar 423, the second fixed bar 423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ed bar 423 . It may be composed of a 2-2 moving bar 422 .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 각각은 내부가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제1-1 이동바(411)의 일측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고정바(413)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제1-2 이동바(412)의 일측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고정바(413)의 타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삽입 정도는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1 이동바(411)의 타측은 안착홈(131) 상에서의 제1 바디부(4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제1-2 이동바(412)의 타측은 안착홈(131) 상에서의 제2 바디부(41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a partial area of one side of the 1-1 moving bar 411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bar 413 , and at least a partial area of one side of the 1-2 moving bar 412 is a first fixing bar 413 . )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and the degree of their respective inser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part 330 .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1-1 moving bar 41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411 on the seating groove 131 , and the other side of the 1-2 moving bar 412 has a seating groove (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412 on the 131).

마찬가지로, 제2-1 이동바(421)의 일측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2 고정바(423)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고, 제2-2 이동바(422)의 일측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2 고정바(423)의 타측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삽입 정도는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1 이동바(421)의 타측은 안착홈(131) 상에서의 제1 바디부(4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제2-2 이동바(422)의 타측은 안착홈(131) 상에서의 제2 바디부(41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Similarly, at least a partial area of one side of the 2-1 moving bar 421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bar 423 , and at least a partial area of one side of the 2-2 moving bar 422 is a second fixing bar It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423, and the degree of their respective inser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part 330. .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2-1 moving bar 42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411 on the seating groove 131 , and the other side of the 2-2 moving bar 422 has a seating groove (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412 on the 131).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은 안착홈(131) 내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이들 하부면에는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가 설치되고,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와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은 서로 고정된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in the seating groove 131, and a frictional force providing plate 440 is installed on their lower surfaces,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are installed on their lower surfaces. )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ing plate 440 are fixed to each other.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의 하부면은 안착홈(13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홀(131a)을 통해 지면에 접촉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frictional force providing plate 44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rough the hole (131a)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ating groove (131).

제1 고정바(413)에는 에어출력부(430)가 설치된다. 에어출력부(430)는 에어호스수납부(431), 에어호스경로부(432) 그리고 에어호스인출부(4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호스경로부(432)의 일측은 제1 고정바(413)에 설치된다. 에어호스경로부(43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호스경로부(432)는 제1 고정바(413)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호스수납부(431)는 에어호스경로부(432)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호스수납부(431)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은 에어호스경로부(432), 제1 고정바(413) 그리고 제1-1 이동바(411)와 연통된다.An air output unit 430 is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bar 413 . The air output unit 430 may include an air hose receiving unit 431 , an air hose path unit 432 , and an air hose withdrawing unit 433 . One side of the air hose path part 432 is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bar 413 . The air hose path part 432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n some embodiments, the air hose path part 432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bar 413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431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hose path part 432 . Then, a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hose receiving portion 431 is formed. These holes communicate with the air hose path portion 432 , the first fixing bar 413 , and the 1-1 moving bar 411 .

에어호스(450)는 에어관(220, 도 14)에 연결되고 제1 바디부(110)의 내부를 통해 제1-1 이동바(411)에 삽입되고 제1 고정바(413)와 에어호스경로부(432) 그리고 에어호스수납부(431)를 통해 에어호스수납부(431) 상의 홀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The air hose 450 is connected to the air tube 220 ( FIG. 14 ) and is inserted into the 1-1 moving bar 411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part 110 , and the first fixed bar 413 and the air hose It may be withdrawn through a hole on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431 through the path part 432 and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431 .

에어호스수납부(431) 상에는 에어호스(450)의 일부가 에어호스수납부(431) 상에서 감겨진 상태에서 일부 영역이 감기거나 감김이 해제되어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감김 및 풀림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On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431, a winding and unwinding devic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air hose 450 is wound on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431, and a portion of the region is wound or unwound to be unwound. .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1 이동바(411)가 제1 고정부(413)로부터 인출될 때 에어호스수납부(431) 상의 에어호스(450)의 일부 영역은 풀리면서 제1-1 이동바(411)와 제1 고정부(413) 및 에어호스경로부(432)를 지나는 에어호스(450)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Illustratively, as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hen the 1-1 moving bar 411 is withdrawn from the first fixing part 413 , the air hose receiving part ( The length of the air hose 450 passing through the 1-1 moving bar 411 and the first fixing part 413 and the air hose path part 432 is extended while a portion of the air hose 450 on 431 is released. can be

반대로,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제1-1 이동바(411)가 제1 고정부(413) 상으로 삽입될 때 에어호스수납부(431) 상의 에어호스(450)의 일부 영역은 감기면서 제1-1 이동바(411)와 제1 고정부(413) 및 에어호스경로부(432)를 지나는 에어호스(450)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Conversely, as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when the 1-1 moving bar 411 is inserted onto the first fixing part 413, the air hose receiving part ( The length of the air hose 450 passing through the 1-1 moving bar 411 and the first fixing part 413 and the air hose path part 432 is reduced while a partial area of the air hose 450 on 431 is wound. can be

제4 에어셀(340)의 튜브((301)의 하부면에는 에어호스수납부 삽입홈(305)이 형성되고 제4 에어셀(340)이 안착홈(131) 상에 설치될 때 에어호스수납부(431)는 에어호스수납부 삽입홈(305)에 삽입되며, 에어호스수납부(431)를 통해 인출된 에어호스(450)는 에어호스수납부 삽입홈(305)에 형성된 에어호스(450) 연결부(304)에 결합된다. 그리고 튜브((301)의 하부면에는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의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에어셀고정부(302, 303)가 설치된다.An air hose accommodating part insertion groove 30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be 301 of the fourth air cell 340, and when the fourth air cell 340 is installed on the seating groove 131,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 431) is inserted into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insertion groove 305, and the air hose 450 drawn out through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431 is formed in the air hose accommodating part insertion groove 305. Air hose 450 connection part It is coupled to the 304.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be 301, there are first and second air cell fixing parts 302 and 303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is installed

제4 에어셀(340)는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에 고정 결합되고 에어호스(4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할 수 있다.The fourth air cell 34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and may be expanded by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hose 450 .

제4 에어셀(340)가 팽창시 제4 에어셀부(340)와 사용자의 목에 의해 사이의 압력에 의해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는 지면에 밀착하게 되어 강한 마찰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3 에어셀(330)이 팽창할 때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전술한 마찰력에 의해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의 위치는 고정되고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에 연결된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의 위치 또한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fourth air cell 340 is expanded, the frictional force providing plate 440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pressure between the fourth air cell 340 and the user's neck to provide a strong frictional force. And,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move when the third air cell 330 expands, the position of the friction force providing plate 440 is fixed by the above-described frictional force and the frictional force providing plate 440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connected to ) may also be fixed.

또한,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에 따라 제1 및 제2 바디부(110, 120)가 서로 이격될 때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자연스럽게 제1-1 이동바(411)가 제1 고정바(413)에서 인출되는 길이와 제2-1 이동바(421)가 제2 고정바(423)에서 인출되는 정도는 거의 동일할 수 있고, 제1-2 이동바(412)가 제1 고정바(413)에서 인출되는 길이와 제2-2 이동바(422)가 제2 고정바(423)에서 인출되는 정도는 거의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part 330 ,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are fixed, so naturally the first The length of the -1 moving bar 411 with which the first moving bar 411 is drawn out from the first fixed bar 413 and the degree of the 2-1 moving bar 421 withdrawn from the second fixed bar 42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first The length at which the -2 moving bar 412 is drawn out from the first fixed bar 413 and the extent to which the 2-2 moving bar 422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fixed bar 42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도 18을 더 참조하면, 제3 및 제4 에어셀부(330, 340)는 서로 독립적인 에어 튜브로써 각각의 팽창 또는 수축시 다른 에어셀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특히, 제4 에어셀부(340)는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400)에 고정 설치되므로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이나 수축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세하게, 제3 에어셀부(330)가 팽창할 때 전술한 제1 및 제2 고정바(413, 423)의 위치는 유지되고 이동바들(411, 421, 412, 422)만이 이동하게 되므로 제4 에어셀부(340)의 위치는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경추나 요추의 만곡 상태를 유지하고 만곡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3 에어셀부(330)의 팽창 시 구성들간의 고정 결합관계에 따라 제4 에어셀부(340)도 어느정도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는 경우, 제4 에어셀부(340)의 높이가 그만큼 낮아지게 되어 만곡이 해제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제3 에어셀부(330)와 제4 에어셀부(340)가 서로 독립적이로, 제3 에어셀부(330)의 위치는 고정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18 , the third and fourth air cell units 330 and 340 are air tubes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do not affect other air cell units during each expansion or contraction. In particular, since the fourth air cell unit 340 is fixedly installed to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400 , it is not affected by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330 . In detail, when the third air cell unit 330 expands,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s 413 and 423 are maintained and only the moving bars 411, 421, 412, and 422 move, so the fourth The position of the air cell unit 340 is fixed. Therefore,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or lumbar vertebrae are maintained in a curved state and the shape of the curved vertebrae is not deformed. In addition, when the fourth air cell unit 340 also expands to some ext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xed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when the third air cell unit 330 is expanded, the height of the fourth air cell unit 340 is lowered by that much. In the embodiment, the third air cell unit 330 and the fourth air cell unit 340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third air cell unit 330 is fixed, so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hav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pirit a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of.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척추 만곡 형성, 유지 및 견인 장치(10)
바디부(100)
펌프부(200)
에어셀부(300)
가이드부(130)
안착홈(131)
고정벨트(180)
이동수단(190)
제1 및 제2 에어셀부(310, 320)
제3 및 제4 에어셀부(330, 340)
튜브((301)
에어호스수납부 삽입홈(305)
스포이드(210)
에어관(220)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230)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400)
제1 종축바(410)
제1-1 이동바(411)
제1-2 이동바(412)
제1 고정바(413)
제2 종축바(420)
제2-1 이동바(421)
제2-2 이동바(422)
제2 고정바(423)
에어출력부(430)
에어호스수납부(431)
에어호스경로부(432)
에어호스인출부(433)
마찰력제공플레이트(440)
Spinal Curvature Formation, Maintenance and Traction Device (10)
body (100)
pump unit 200
Air cell unit (300)
guide unit 130
Seating groove (131)
Fixed Belt (180)
Moving means (190)
First and second air cell parts 310 and 320
Third and fourth air cell units 330 and 340
Tube((301)
Air hose receiving part insertion groove (305)
Eyedropper(210)
Air tube (220)
Air inlet path control unit 230
Air cell position maintaining device (400)
First vertical bar (410)
1-1 moving bar (411)
1-2 moving bar (412)
First fixing bar (413)
Second vertical bar (420)
2-1 moving bar (421)
2-2 moving bar (422)
Second fixing bar (423)
Air output unit (430)
Air hose storage (431)
Air hose path part (432)
Air hose outlet (433)
Friction providing plate (440)

Claims (9)

바디부;
에어의 공급 및 배출하는 펌프부; 및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에어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셀부는 상기 에어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1 및 제2 에어셀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에어셀부의 팽창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가 위치한 신체 상에 압박을 제공하여 상기 척추의 만곡의 정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에어셀부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기 척추의 견인 정도를 조절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body part;
a pump uni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and an air cell unit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expanding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pump unit.
The air cell uni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air cell units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the air,
Controlling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pine by providing pressure on the body where the user's spine is loc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unit and adjusting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spine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unit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어 중앙 영역에 안착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셀부는 상기 안착홈에 형성된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ody parts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a guide part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a central region,
The air cell part is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부위는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ar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ser's neck, and the user's neck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에 설치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fixing belt for fixing the user's head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는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ar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ser's waist, and the user's waist is accommodated in the seating groove.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척추의 견인에 따라 상기 바디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Moving mean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enabl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traction of the spine; further comprising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척추가 위치한 신체상에 압박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길이 방향인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척추를 견인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ir cell unit expands upward by expansion to provide pressure on the body where the spine is located,
The second air cell unit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er by expansion to pull the spine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상기 에어셀부로 공급하기 위한 스포이드, 상기 스포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에어셀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1 에어관과 상기 제2 에어셀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2 에어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관 중 어느 하나로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 유입 경로 조절부를 포함하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ump unit
A dropper for supplying air from the outside to the air cell unit, a first air tube connected to the dropper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air cell unit, and a second air tube supplying air to the second air cell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cells 2 Including an air inlet pat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ir to any one of the air tubes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척추가 위치한 신체상에 압박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에어셀부는 팽창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길이 방향인 종축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종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척추를 견인하고,
상기 제1 에어셀부는 상기 안착홈에 설치된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셀부 위치 유지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위치 이동시 상기 제1 에어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척추 만곡 형성 및 유지 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ir cell unit expands upward by expansion to provide pressure on the body where the spine is located,
The second air cell part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ser by expan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ull the spine,
The first air cell uni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The air cell unit position maintaining device is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air cell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units are moved.
Spinal curvature shaping and maintenance traction device.
KR1020200080168A 2020-06-30 2020-06-30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KR102417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168A KR102417297B1 (en) 2020-06-30 2020-06-30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168A KR102417297B1 (en) 2020-06-30 2020-06-30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94A true KR20220001794A (en) 2022-01-06
KR102417297B1 KR102417297B1 (en) 2022-07-06

Family

ID=7934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168A KR102417297B1 (en) 2020-06-30 2020-06-30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2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226A1 (en) * 2022-08-29 2024-03-07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Spine care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1479A (en) * 1993-09-13 1995-08-15 Glacier Cross, Inc. Cervical traction device
KR101173164B1 (en) 2012-02-03 2012-08-16 (주)아이웰니스 Cervical vertebrae tow and cure device
KR101561005B1 (en) * 2015-03-25 2015-10-15 양승철 Apparatus for air-press massage
KR20180057444A (en) 2016-11-22 2018-05-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edical Cervical Traction For Normal Curve And Release Of Cervical Spine
US20200094104A1 (en) * 2018-06-18 2020-03-26 Richard A. Graham Joint separator for body align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1479A (en) * 1993-09-13 1995-08-15 Glacier Cross, Inc. Cervical traction device
KR101173164B1 (en) 2012-02-03 2012-08-16 (주)아이웰니스 Cervical vertebrae tow and cure device
KR101561005B1 (en) * 2015-03-25 2015-10-15 양승철 Apparatus for air-press massage
KR20180057444A (en) 2016-11-22 2018-05-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edical Cervical Traction For Normal Curve And Release Of Cervical Spine
US20200094104A1 (en) * 2018-06-18 2020-03-26 Richard A. Graham Joint separator for body alignment
US11103743B2 (en) * 2018-06-18 2021-08-31 Richard A. Graham Joint separator for body align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6226A1 (en) * 2022-08-29 2024-03-07 江苏安惠医疗器械有限公司 Spine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297B1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8431C (en) A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as or sprain and strain
KR101155787B1 (en) Correction apparatus for pelvic and upper body
US8418293B2 (en) Travel pillow providing head and neck alignment during use
US11786779B2 (en) Joint separator for body alignment
US20090247917A1 (en) Massaging device
US200601612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irculation of cerebral-spinal fluid
AU763952B2 (en) Adjustable spinal brace
US6896662B2 (en) Method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KR101468845B1 (en) Apparatus for air-press massage
KR101865480B1 (en) Medical Cervical Traction For Normal Curve And Release Of Cervical Spine
KR102417297B1 (en) Spine Curve Retaining and Traction Device
KR101937835B1 (en) Apparatus for lumbar spinal and sacrum traction
US7048705B2 (en) Traction adjustable cervical collar for transferring weight of the head of a wearer from the cervical spine of the wearer to the shoulders of the wearer
KR102145778B1 (en) Traction device
US200100403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ture
KR200216138Y1 (en) Chair for correcting the spine
KR102506043B1 (en) Customizable Lumbar Retractor
KR100204717B1 (en) Medical appliance for remedy of discogenic hernia
JP2000210318A (en)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KR20020022310A (en) A spine correcting method of using the chair
KR20210108556A (en) a composite stretching apparatus that acts on the back, chest, and neck at the same time.
EP0959826A1 (en) Device for stationary and/or ambulant traction of the spinal column
KR20180097042A (en) Apparatus for cervical spine traction
JPH04200461A (en) Pelvis correcting apparatus
CN208770096U (en) Multifunctional comfortable de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