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695U - Desk with AR beam projector - Google Patents
Desk with AR beam proj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1695U KR20220001695U KR2020200004926U KR20200004926U KR20220001695U KR 20220001695 U KR20220001695 U KR 20220001695U KR 2020200004926 U KR2020200004926 U KR 2020200004926U KR 20200004926 U KR20200004926 U KR 20200004926U KR 20220001695 U KR20220001695 U KR 2022000169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m projector
- desk
- insertion groove
- real object
- re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2—Tabl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domestic photographic projectors, e.g. tables with levell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7—Combinations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presentation, e.g. film, sl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상판의 상면에 프로젝션 영역을 형성하는 AR 빔 프로젝터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일정 정보가 인쇄된 실사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프로젝션 영역에 형성되어, 유아나 아이들도 실사물을 정확한 곳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on which an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which includes legs and a top plat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leg part. An insert is provided,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real object printed with certain informa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projection area, so that even infants or children can easily place the real object in an accurate pl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강 현실 영상을 프로젝션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인터랙션을 통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sk on which an AR beam projector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through interaction including a function of projec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is installed.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AR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 환경이다. AR (Augmented Reality) is one of virtual reality that combines the real world seen by the user and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s a single image. AR, a concept that complements the real world with the virtual world, uses a virtual environment created with computer graphics, but the main character is the real environment.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 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 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Computer graphics serv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al environment, and by overlapping the 3D virtual image on the actual image viewed by the user, blu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virtual screen.
가상현실은 자신(객체)과 배경, 환경 모두 현실이 아닌 가상의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반해, 증강현실(AR)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Whereas virtual reality uses virtual images rather than reality for both the self (object), the background, and the environment, 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hows a 3D virtual image overlaid on a real image or background as a single image.
또한, 증강현실은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하는데, 증강현실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서로 비슷한 듯 하지만 그 주체가 허상이냐 실상이냐에 따라 명확히 구분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격투 게임은 나를 대신하는 캐릭터가 가상의 공간에서 가상의 적과 대결하지만, 증강현실 격투 게임은 현실의 내가 현실의 공간에서 가상의 적과 대결을 벌이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증강현실이 가상현실에 비해 현실감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augmented reality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VR) seem similar to each other, but they are clearly differentia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is a virtual image or a real image. For example, in a virtual reality fighting game, a character that replaces me confronts a virtual enemy in a virtual space, but in an augmented reality fighting game, a real person competes with a virtual enemy in a real space. Therefore, augmented reality is characterized by superior realism compared to virtual reality.
이 밖에 가상현실은 영화나 영상 분야 등 특수 환경에서만 사용되지만, 증강현실은 현재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활용될 만큼 대중화된 상태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지도 검색, 위치 검색 등도 넓은 의미에서는 증강현실에 포함된다.In addition, virtual reality is used only in special environments such as movies and video fields, but augmented reality is now popular enough to be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For example, map search and location search through the Internet are also included in augmented reality in a broad sense.
한편, 유아나 어린이는 동화책을 보거나 퍼즐 맞추기를 하거나 블럭쌓기를 하며 성장한다. 이처럼 아동에게 동화책 또는 놀이기구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중요한 매체로, 동화책이나 퍼즐 또는 블럭은 아동의 정서, 상상력, 창의력 발달에 도움을 주면서 그 교육적인 내용을 통해 사회, 언어, 인지 발달 등에 고른 영향을 미친다.On the other hand, infants and children grow up reading storybooks, doing puzzles, or building blocks. As such, children's books or rides are an important medium that allows children to naturally acquire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Children's books, puzzles, or blocks help develop children's emotio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provide social, language, and cognitive skills through their educational contents. have an even effect on development.
특히, 성장 과정에서 책을 매개로 한 소통(책 읽기, 책 놀이, 독서대화 등)은 독서에 대한 친밀감을 키우고 독서습관을 기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독서량이 많은 아이는 학업 성적은 물론 사고력과 창의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유아 시장이 틈새시장에서 핵심(엔젤)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고, 이에 따라 모바일 키즈를 겨냥한 학습용 게임형 모바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소비시장이 성장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growth, communication through books (reading books, playing books, reading conversations, etc.)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intimacy with reading and developing reading habits. As it is known for its high creativity, the infant market is emerging from a niche market to a core (angel) market, and accordingly, the learning game-type mobile edutainment content consumption market targeting mobile kids is growing.
최근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정보를 결합한 증강현실 기반의 차세대 전자책의 일종인 디지로그 북(Digilog Book)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아날로그 정보가 인쇄된 종이 실사물을 손으로 만지고 느끼면서 자연마커를 통해 다양한 증강현실 기반의 멀티미디어 효과를 제공한다.Recently, Digilog Book technology, which is a kind of next-generation e-book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at combines analog and digital inform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This provides a variety of augmented reality-based multimedia effects through natural markers while touching and feeling the real paper with analog information printed on it.
또한, 사용자와의 손쉬운 인터랙션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흥미로운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정보를 결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그 중 프로젝션 방식으로 실사물 위에 디지털 정보를 그대로 투사하여 실사물 위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동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실사물을 보면서 실감 있는 부가 정보를 체험할 수 있어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it has interesting features that unfold the story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easy interaction with the user.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combine analog and digital information, but among them, digital information is projected onto a real object through a projection method to obtain the effect of operating various multimedia contents on a real object. Thi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level of immersion by being able to experience realistic additional information while watching the real thing.
그러나, 프로젝션 방식은 실사물을 프로젝션 영역에 정확히 위치시켜야만 실사물에 인쇄된 정보와 투사된 디지털 정보가 조화되어 실감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데, 유아나 아이들은 실사물을 프로젝션 영역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ojection method can provide realistic content by harmonizing the printed information with the projected digital information only when the real object is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projection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AR 프로젝션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를 투사하는 AR 빔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영역(투사 영역)에 아날로그 정보가 인쇄된 투사물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osition a projection on which analog information is printed in the projection area (projection area) of an AR beam projector that projects digital information using AR projection technolog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on which an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은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 프로젝션 영역을 형성하는 AR 빔 프로젝터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일정 정보가 인쇄된 실사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프로젝션 영역에 형성된다.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leg part and a top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eg part, the AR beam projector forming a projection area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A fixing part for set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is provided,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real object printed wit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projection area.
여기에서, 상기 삽입홈의 일측단에는 삽입홈과 연결되면서 삽입홈보다 더 깊은 누름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사물은 삽입홈에 삽입되었을 때 일측단이 상기 누름홈 위쪽에 위치한다.Here, a pressing groove deeper than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 and when the actual objec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ne end is located above the pressing groove.
그리고,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다수의 실사물이 저장되는 수납홀이 형성되되, 상기 실사물의 상측부분은 상기 수납홀 외부로 돌출된다.In addition, a receiving hole in which a plurality of actual objects are stor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ctual objec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hol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AR 빔 프로젝터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측방패널과, 상기 AR 빔 프로젝터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방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에는 상기 AR 빔 프로젝터를 향하는 쪽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패널은 상판 밑에서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한 후 체결되는 핸드스크류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side panel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AR beam projector, and a rear panel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AR beam projector;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toward the AR beam projector,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panel is fixed by a hand screw that is fastened after moving along the long hole under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측방패널에는 다수의 통기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pane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은 삽입홈에 실사물을 넣으면 실사물이 AR 빔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영역에 정확하게 위치되므로, 유아나 아이들도 실사물을 정확한 곳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when the real objec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real object is precisely positioned in the projection area of the AR beam projector, so infants and children can easily place the real object in the correct place.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또한, 삽입홈 내에 삽입되어 있던 실사물의 일측단을 누르면 일측단 부분이 누름홈 안쪽으로 들어가므로, 실사물의 나머지 부분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실사물을 삽입홈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real thing that has been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is pressed, the one end portion goes into the pressing groove, the remaining part of the real thing is lifted upward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al thing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장공을 따라 이동한 후 특정위치에서 후방패널과 체결되는 핸드스크류에 의해 후방패널의 위치가 설정되므로, AR 빔 프로젝터의 프로젝션 영역 거리에 따라 AR 빔 프로젝터의 위치를 앞뒤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rear panel is set by a hand screw that is fastened to the rear panel at a specific position after moving along the long hole, the position of the AR beam projector can be easily adjust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projection area of the AR beam projector. There is this.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을 보인 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에서 후방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의 삽입홈에서 탑커버를 빼내는 모습을 보인 도.1 to 3 are views showing a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panel on the desk where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을 보인 도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desk on which an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에서 후방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panel on 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의 삽입홈에서 탑커버를 빼내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In addi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고안에 의한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은 다리부(10)와, 상기 다리부(10)의 살단에 설치되는 상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상판(20)은 상면에 고정부(21)가 구비되고, 일정 깊이의 삽입홈(22)이 형성되며, 수납홀(23)이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부(21)는 상판(20)의 상면에 프로젝션 영역(투사영역)을 형성하는 AR 빔 프로젝터(B)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21)는 한 쌍의 측방패널(21a)과, 상기 측방패널(21a)의 후방 측면에 연결되는 후방패널(21b)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측방패널(21a)은 상판(20)의 상면 후방측에 설치되는 AR 빔 프로젝터(B)의 하단 양측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측방패널(21a)의 전방 끝부분에는 AR 빔 프로젝터가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전방패널(21c)이 설치된다.The
그리고, 측방패널(21a)에는 다수의 통기홀(21d)이 형성되어, AR 빔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AR 빔 프로젝터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사운드를 음질 저하 없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후방패널(21b)은 양단이 상기 측방패널(21a)에 볼팅되어 고정되고, AR 빔 프로젝터(B)의 하단 후면에 밀착된다.Both ends of the
따라서, 측방패널(21a)과 전방패널(21c)이 AR 빔 프로젝터(B)가 측방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고, 후방패널(21b)이 AR 빔 프로젝터(B)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AR 빔 프로젝터(B)의 설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된다.Therefore, the
한편, AR 빔 프로젝터(B)는 AR(Augmented Reality) 화면을 실사물(A)에 조사하여 실사물(A)에 디지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젝션 영역(Projection area)을 전방 일정거리 라인에서부터 형성하는데, 이 프로젝션 영역의 시작라인은 AR 빔 프로젝터(B)의 기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R beam projector (B) forms a projection area that provides digital information to the real object (A) by irradiating the AR (Augmented Reality) screen to the real object (A) from the front constant distance line, The starting line of the projection area may vary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AR beam projector (B).
이렇게 AR 빔 프로젝터(B)의 프로젝션 영역 시작 라인이 기종마다 다르기 때문에 AR 빔 프로젝터(B)의 설치위치를 앞뒤로 조금씩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에서는 AR 빔 프로젝터(B)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판(20)에 장공(24)을 형성하고, 이 장공(24) 내에서 이동하는 핸드스크류(25)를 후방패널(21b)과 체결하도록 하였다.Since the starting line of the projection area of the AR beam projector (B) is different for each model, it is necessary to slightly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R beam projector (B) back and forth. In the present invention, a
부연하면, 상기 장공(24)은 AR 빔 프로젝터(B)를 향하는 쪽, 즉 전후방향으로 길게 상판(20)에 형성되는데, 핸드스크류(25)가 상판(20) 밑에서 장공(24)을 따라 이동한 후 특정 위치에서 후방패널(21b)과 체결된다. 이렇게 후방패널(21b)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AR 빔 프로젝터(B)가 원하는 곳에 위치되면 핸드스크류(25)를 후방패널(21b)에 체결하여 후방패널(21b)의 위치를 고정시킨다.In other words, the
상기 삽입홈(22)은 문자나 그림과 같은 아날로그 정보가 인쇄된 보드나 종이와 같은 실사물(A)이 삽입되는 곳이다. 이러한 삽입홈(22)은 그 깊이가 실사물(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형성되어 실사물(A) 한 장이 삽입홈(22) 내에 삽입된다.The
그리고, 삽입홈(22)의 일측단에는 삽입홈(22)과 연결되면서 삽입홈(22)보다 더 깊은 누름홈(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사물(A)을 삽입홈(22)에 삽입하였을 때 실사물(A)의 일측단은 누름홈(22a) 위쪽에 위치된다. In addition, a
실사물(A)의 일측단이 누름홈(22a) 위쪽에 위치되므로, 실사물(A)의 일측단을 누름홈(22a) 안쪽으로 누르면 실사물(A)의 타측단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어 타측단을 잡고 삽입홈(22)에서 실사물(A)을 쉽게 빼낼 수 있다.Since one end of the real object (A) is located above the pressing groove (22a), when one end of the real object (A) is pressed in the pressing groove (22a), the other end of the real object (A) is lifted upward. It is possible to easily take out the actual object (A) from the insertion groove (22) by holding the other end.
그리고, AR 빔 프로젝터(B)를 사용하지 않아서 삽입홈(22)에 실사물(A)을 삽입하지 않을 때에는 삽입홈(22) 내에 탑커버(C)를 설치하여 삽입홈(22)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And, when the real object (A)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 because the AR beam projector (B) is not used, the top cover (C)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groove (22)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 the insertion groove (22). prevent entry
상기 수납홀(23)은 상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실사물(A)이 저장된다. 수납홀(23) 내에 실사물(A)이 꽂히면 실사물의 상부 일부분이 수납홀(23) 밖으로 돌출된다.The
한편, 상판(20)의 아래에는 다수의 서랍(30)이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상기 서랍(30)은 용도별로 분할되어 있다. 즉 도면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서랍에는 알파벳 블록을 저장하고, 그 오른쪽 옆에 있는 서랍에는 한글 블록을 저장하며, 다시 그 오른쪽 옆에 있는 서랍에는 숫자 블록을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오른쪽에 있는 서랍에는 실사물(A)을 저장한다. 이렇게 용도가 다른 각각의 서랍(30)이 상판(20)의 아래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그리고, 서랍(30)의 하부에는 다수의 실사물이 안착되는 거치대(40)가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거치대(40)는 실사물(A)을 수납하는 가장 오른쪽 서랍의 하측에 구비된다. 더불어 거치대(40)는 다수의 실사물(A)을 꽂아놓는 수납홀(23)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책상의 오른쪽 부분은 실사물(A)을 꽂아놓는 수납홀(23)과 실사물(A)을 수납하는 서랍 및 실사물(A)을 안착시키는 거치대(40)가 위아래로 형성되므로 실사물(A)의 정리를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10: 다리부 20: 상판
21: 고정부 21a: 측방패널
21b: 후방패널 21c: 전방패널
21d: 통기홀 22: 삽입홈
22a: 누름홈 23: 수납홀
24: 장공 25: 핸드스크류
30: 서랍 40: 거치대
A: 실사물 B: AR 빔 프로젝터
C: 탑커버10: leg 20: top plate
21: fixed
21b:
21d: ventilation hole 22: insertion groove
22a: press groove 23: storage hole
24: long hole 25: hand screw
30: drawer 40: cradle
A: Real thing B: AR beam projector
C: top cover
Claims (5)
상기 상판(20)의 상면에 프로젝션 영역을 형성하는 AR 빔 프로젝터(B)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고정부(21)가 구비되고, 일정 정보가 인쇄된 실사물(A)이 삽입되는 삽입홈(22)이 상기 프로젝션 영역에 형성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
In a desk comprising a leg unit (10) and a top plate (20)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eg unit (10),
A fixing part 21 for set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R beam projector B that forms a projection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is provided,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eal object A on which certain information is printed is inserted ( 22) a desk on which an AR beam projector formed in the projection area is installed.
상기 삽입홈(22)의 일측단에는 삽입홈(22)과 연결되면서 삽입홈(22)보다 더 깊은 누름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실사물(A)은 삽입홈(22)에 삽입되었을 때 일측단이 상기 누름홈(22a)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on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22 , a pressing groove 22a deeper than the insertion groove 22 is form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 22 , and the actual object 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 . When the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located above the pressing groove (22a).
상기 상판(20)의 상면에는 다수의 실사물(A)이 저장되는 수납홀(23)이 형성되되, 상기 실사물(A)의 상측부분은 상기 수납홀(A)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eiving hole 23 for storing a plurality of actual objects (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ctual object (A)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hole (A) The desk where the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상기 고정부(21)는 상기 AR 빔 프로젝터(B)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측방패널(21a)과, 상기 AR 빔 프로젝터(B)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방패널(21b)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20)에는 상기 AR 빔 프로젝터(B)를 향하는 쪽으로 길게 장공(24)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패널(21b)은 상판(20) 밑에서 상기 장공(24)을 따라 이동한 후 체결되는 핸드스크류(2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21 includes a side panel 21a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AR beam projector B, and a rear panel 21b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AR beam projector B,
A long hole 24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20 toward the AR beam projector B, and the rear panel 21b is a hand fastened after moving along the long hole 24 under the upper plate 20 The desk on which the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s position is fixed by a screw (25).
상기 측방패널(21a)에는 다수의 통기홀(21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빔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책상.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desk on which an AR beam projector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1d are formed in the side panel 21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4926U KR20220001695U (en) | 2020-12-30 | 2020-12-30 | Desk with AR beam proj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4926U KR20220001695U (en) | 2020-12-30 | 2020-12-30 | Desk with AR beam proj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695U true KR20220001695U (en) | 2022-07-07 |
Family
ID=8239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4926U KR20220001695U (en) | 2020-12-30 | 2020-12-30 | Desk with AR beam proj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1695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7766A (en) | 2019-05-31 | 2020-12-09 | 주식회사 에듀앤플레이 | Smart education systems and methods configured for changes in the market for infant institutions |
-
2020
- 2020-12-30 KR KR2020200004926U patent/KR20220001695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7766A (en) | 2019-05-31 | 2020-12-09 | 주식회사 에듀앤플레이 | Smart education systems and methods configured for changes in the market for infant institu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asson | Museum movies: The museum of modern art and the birth of art cinema | |
Meadows | Pause & effect: the art of interactive narrative | |
Schwebs | Affordances of an app: A reading of the fantastic flying books of Mr. Morris Lessmore | |
Bernal-Merino | The localisation of video games | |
Froschauer et al. | Art history concepts at play with ThIATRO | |
Bloom | Videogame Shakespeare: enskilling audiences through theater-making games. | |
Rall | Animation: From concepts and production | |
Partington | Game Literacy, Gaming Cultures and Media Education. | |
Čopič Pucihar et al. | Playing with the artworks: engaging with art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game | |
Revelle et al. | Electric agents: Combining collaborative mobile augmented reality and web-based video to reinvent interactive television | |
Schaefer | American Literature and Immediacy: Literary Innovation and the Emergence of Photography, Film, and Television | |
Séror | Plurilingualism in digital spaces | |
Watson et al. | Playing art historian: Teaching 20th century art through alternate reality gaming | |
Sargeant et al. | The storytelling machine: A playful participatory automated system featuring crowd-sourced story content | |
Burn | Poets, skaters and avatars: performance, identity and new media | |
Spiegel et al. | Exploring climate science in the metaverse: Interactive storytelling in immersive environments for deep learning and public engagement | |
KR20220001695U (en) | Desk with AR beam projector | |
Hong et al. | The application of multimedia and wireless technology in education | |
Freyermuth | From Analog to Digital Image Space: Toward a Historical Theory of Immersion | |
Bishop et al. | Box Office Poison: The Influence of Writers in Films on Writers (in Graduate Programs) | |
KR102457954B1 (en) |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costume replacement contents with AR beam project | |
Sciberras | Exploring video game subtitling: a local user-oriented reception study | |
Wojciechowski et al. | The Creative Remediation and Promotional Use of Photographic Modes in Digital Games | |
Willis | User authorship and creativity within interactivity | |
Rish | Students’ transmedia storytelling: building fantasy fiction storyworlds in videogame desig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