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443U -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 Google Patents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443U
KR20220001443U KR2020200004567U KR20200004567U KR20220001443U KR 20220001443 U KR20220001443 U KR 20220001443U KR 2020200004567 U KR2020200004567 U KR 2020200004567U KR 20200004567 U KR20200004567 U KR 20200004567U KR 20220001443 U KR20220001443 U KR 202200014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caring
sound
main body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144Y1 (ko
Inventor
김소윤
김성현
박해철
김원태
송정훈
송미선
최지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200004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4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측이 개구되고, 원형 기둥 형상의 깔대기 형태로 투명하게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놀이목과 먹이식판이 결합된 형태의 놀이구조물;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끼워지고,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환기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고, 본체에 일정 무게감을 주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소리를 좀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Sound Insect Care Kit for Psychological Healing}
본 고안은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리치유를 목적으로 소리곤충(왕귀뚜라미)을 돌보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소리곤충은 대게 자연에서 자유롭게 서식하고 있으며, 곤충의 아름다운 소리는 인위적인 소리가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소리이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안정적인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고 고령인들의 인지능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역사·문화적으로 곤충의 울음소리를 즐기며 마음을 달랬다는 기록이 있고(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왕귀뚜라미를 이용한 치유활동이 노년층에게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 있다(‘15년, 국립농업과학원).
하지만, 현대화가 급속하게 발전한 요즘은 시골에 가야만 곤충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 서는 듣기 어려우며, 어린이들이나 고령인들이 곤충이 있는 곳을 예측해 찾아가기도 어렵다. 따라서 녹음된 곤충의 소리를 듣거나 미디어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들을 수밖에 없어 가정에서도 언제든지 곤충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개인의 감수성에 따라 곤충의 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10041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한국 등록 실용 제20-0459578호 '멀티 사육키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 실시예들의 목적은 노년층에게 왕귀뚜라미의 울음소리는 옛날을 회상할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서 가치가 있어 왕귀뚜라미를 이용한 치유활동의 하나로 집안에서 왕귀뚜라미를 관찰하고 돌보기에 편리한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는 상측이 개구되고, 원형 기둥 형상의 깔대기 형태로 투명하게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놀이목과 먹이식판이 결합된 형태의 놀이구조물;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끼워지고,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환기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놀이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상기 고정부는 자석판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판은 상기 놀이구조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뚜껑 몸체; 상기 환기구멍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개폐수단의 회전량에 의하여 상기 환기구멍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단부가 잘린 원뿔이 뒤집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투명 유리,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줄 또는 고리를 걸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아크릴, 나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고, 본체에 일정 무게감을 주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소리를 좀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집안에 들여놓았을 때 집안의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부드럽고 세련된 둥근 형태로 디자인 하였고,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를 확장시켜 증폭시킬 수 있는 원형의 기둥형태로 구성하여, 소리 듣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는 노년층이 곤충의 소리를 듣기에 용이하도록 했으며, 특히 뚜껑부분에 형성된 개폐장치를 통하여 소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의 본체, 놀이 구조물 및 뚜껑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고안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고안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고안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역사·문화적으로 곤충의 울음소리를 즐기며 마음을 달랬다는 기록이 있고(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왕귀뚜라미를 이용한 치유활동이 노년층에게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음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 있다(2015년, 국립농업과학원).
또한, 노년층에게 왕귀뚜라미의 울음소리는 옛날을 회상할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서 가치가 있어 왕귀뚜라미를 이용한 치유활동의 하나로 집안에서 왕귀뚜라미를 관찰하고 돌보기에 편리한 전용 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의 본체, 놀이 구조물 및 뚜껑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는 심리치유를 목적으로 소리곤충(왕귀뚜라미)을 돌보기 위한 키트로서, 본체(10), 놀이구조물(30) 및 뚜껑(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측이 개구되고, 원형 기둥 형상의 깔대기 형태로 투명하게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본체(10)는 단부가 잘린 원뿔이 뒤집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는 원형기둥으로 깔대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모든 면이 투명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관찰에 용이하다.
상기 본체(1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아래부분에서 윗부분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귀뚜라미의 울음소리가 아래쪽에서 위쪽의 뚜껑(20)부분으로 확장되는 증폭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소리를 통한 치유효과 확대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놀이구조물(30)을 고정하는 고정부(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1)는 자석판이 구비되고, 자석판은 놀이구조물(30)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의 바닥면에 자석판을 부착하여, 놀이목+먹이식판(즉, 놀이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본체(10)에 일정 무게감을 주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투명 유리,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0)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줄 또는 고리를 걸 수 있는 걸이부(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 또는 돌기(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굴곡 또는 돌기 형태를 가짐으로써 소리가 굴곡, 반사되어 관찰소리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놀이구조물(30)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고, 놀이목과 먹이식판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물이다. 본 고안에서는 본체(10) 내부 놀이목과 먹이식판이 결합된 형태의 구조물을 넣어서, 왕귀뚜라미가 자유롭게 돌아다니거나 숨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돌보기시에 필요한 먹이와 간식(채소)을 공급하거나 분리하여 청소하기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본체(10)의 상측에 끼워지고,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환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20)은 뚜껑 몸체(21)와, 환기구멍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 개폐수단(23)과, 개폐수단(23)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수단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22)는 개폐수단(23)의 회전량에 의하여 환기구멍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환기구멍 부분을 가운데 손잡이부(22)를 이용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낮시간대에는 환기구멍으로 이용하다가 취침시간 대에 소리가 거슬리면 구멍을 닫아서 소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20)은 아크릴, 나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는 심리치유를 목적으로 소리곤충(왕귀뚜라미)을 돌보기 위한 키트로서, 집안에 들여놓았을 때 집안의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부드럽고 세련된 둥근 형태로 형성되고,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를 확장시켜 증폭시킬 수 있는 원형의 기둥형태로 구성하여, 소리 듣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는 노년층이 곤충의 소리를 듣기에 용이하도록 하며, 특히 뚜껑(20)에 소리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 수단(23)을 통하여 환경에 따라 소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의 각 구성별로 효과를 정리하자면, 본체(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단부가 잘린 원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귀뚜라미의 소리가 하측에서 상측의 뚜껑(20)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증폭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소리를 통한 치유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소리를 듣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노년층이 곤충의 소리를 듣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의 본체(10)는 모든 면이 투명하게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어 관찰에 용이하고, 자석판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물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고, 본체(10)에 일정 무게감을 주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의 놀이 구조물은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청소하기가 편리하고, 뚜껑(20)은 가운데 손잡이부(22)를 이용해 복수의 환기 구멍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낮 시간대에는 환기 구멍을 개방시킨 채로 이용하다가 취침 시간대에 소리가 거슬리면 환기 구멍을 닫음으로써 소리를 좀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는 부드럽고 세련된 원형 기둥 형태로 디자인되어 집안에 배치 시 거부감 없이 잘 어울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11: 고정부
20: 뚜껑 21: 뚜껑 몸체
22: 손잡이부 23: 개폐 수단
30: 놀이구조물

Claims (11)

  1. 상측이 개구되고, 원형 기둥 형상의 깔대기 형태로 투명하게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놀이목과 먹이식판이 결합된 형태의 놀이구조물;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끼워지고,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환기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놀이구조물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자석판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판은 상기 놀이구조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뚜껑 몸체;
    상기 환기구멍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과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개폐수단의 회전량에 의하여 상기 환기구멍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부가 잘린 원뿔이 뒤집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투명 유리,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줄 또는 고리를 걸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아크릴, 나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KR2020200004567U 2020-12-14 2020-12-14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KR200497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567U KR200497144Y1 (ko) 2020-12-14 2020-12-14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567U KR200497144Y1 (ko) 2020-12-14 2020-12-14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443U true KR20220001443U (ko) 2022-06-21
KR200497144Y1 KR200497144Y1 (ko) 2023-08-11

Family

ID=8221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567U KR200497144Y1 (ko) 2020-12-14 2020-12-14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4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15Y1 (ko) * 2004-03-27 2004-06-07 윤석록 생태학습용 교구
KR200459578Y1 (ko) 2009-09-18 2012-04-04 경기도 멀티 사육키트
KR20130000630U (ko) * 2011-07-18 2013-01-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선유 곤충 관찰 용기
KR20140079664A (ko) * 2012-12-18 2014-06-27 경기도 학습 체험용 곤충 대벌레 사육키트
KR20190032977A (ko) * 2017-09-20 2019-03-28 노승환 회전식 개폐 배수구 덮개
KR102010041B1 (ko)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15Y1 (ko) * 2004-03-27 2004-06-07 윤석록 생태학습용 교구
KR200459578Y1 (ko) 2009-09-18 2012-04-04 경기도 멀티 사육키트
KR20130000630U (ko) * 2011-07-18 2013-01-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선유 곤충 관찰 용기
KR20140079664A (ko) * 2012-12-18 2014-06-27 경기도 학습 체험용 곤충 대벌레 사육키트
KR20190032977A (ko) * 2017-09-20 2019-03-28 노승환 회전식 개폐 배수구 덮개
KR102010041B1 (ko)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144Y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kin Zetacism and sigmatism in Proto-Turkic
Avendaño et al. A new species of tapaculo (Rhinocryptidae: Scytalopus) from the Serranía de Perijá of Colombia and Venezuela
CN104872068B (zh) 一种黄胸蓟马室内养虫装置和饲养方法
KR20220001443U (ko) 심리치유용 소리곤충 돌보기 키트
Uchida et al. Music of Upland Minorities in Burma, Laos, and ailand
Mazaudon et al. Lost syllables and tone contour in Dzongkha (Bhutan)
KR102010041B1 (ko)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Brunetti Diptera
Reddy et al. Classical ragas: A new protein supplement in plants
Turner et al. Auditory powers of the Catocala moths; an experimental field study
Solak et al. A new record of Geopora cooperi f. cooperi from West Asia
Bird et al. Histologic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 zebrafish Weberian apparatus
Ræbild Improved management of fruit trees in West African parklands
CN208317986U (zh) 一种牧草盲蝽饲养装置
Book Mayhem
CN207911830U (zh) 盲蝽单头饲养装置
Griffith Animal kingdom
Budovskaja et al.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Čakavian dialect of Kali on the island of Ugljan
Vermander Wheat and religion
Rau Auditory perception in insec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ckroach
ATE494776T1 (de) Mehrzweckfallenelement, entsprechende fischfalle, herstellung und montage davon sowie fischverfahren dafür
Mbete et al. Ecolexicon of Kaghati Shape in Muna Speech Community
QiuMing English Translation of Animal words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from the Perspective of lexicology
KR20180124576A (ko) 유인 포집기능을 갖는 흰점박이 꽃무지 풍뎅이 성충의 우화 포집장치
CN105875388A (zh) 一种用于饲养稻飞虱的养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