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238A -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238A
KR20220001238A KR1020200079346A KR20200079346A KR20220001238A KR 20220001238 A KR20220001238 A KR 20220001238A KR 1020200079346 A KR1020200079346 A KR 1020200079346A KR 20200079346 A KR20200079346 A KR 20200079346A KR 20220001238 A KR20220001238 A KR 2022000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andle
protrusion
locking mean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2677B1 (en
Inventor
김희본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677B1/en
Publication of KR2022000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low-shaped handle which is installed on the back of a head of a driver's seat or a passenger seat of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grip unit on a lower end of a hollow part; a fixing unit on one surface of an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to be coupled with a head neck of the vehicle; and a protrusion unit, which slantly directs toward the outside, on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handle.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head of the vehicle seat and provides convenience and health functions.

Description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좌석의 헤드 뒷부분에 설치되어 편의 및 건강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that is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head of a vehicle seat to provide convenience and health functions.

여기서는,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 it is written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and these do not necessarily mean known technology. .

일반적으로 차량의 보조 손잡이는 차량 주행 중, 탑승자가 신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 위쪽 트림에 부착된다. 즉, 차량 내부의 조수석 및 리어 시트의 측면 상부 적소에는 주행 중, 돌발적인 상황이나 급작스런 차량 조작시, 탑승자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손으로 잡아 지지하게 되는 보조 손잡이가 설치된다.In general, an auxiliary handle of a vehicle is to be held by a passenger in order to maintain body stability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and is attached to an upper trim of a side door of the vehicle. That is, an auxiliary handle that is held and supported by a hand so that the occupant can maintain a balance in an unexpected situation or sudden vehicle operation while driving is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on the side of the passenger seat and the rear seat inside the vehicle.

차량의 사이드 도어 위쪽 트림에 부착되는 루프 보조 손잡이를 잡기 위해서는 손을 창문 위로 들고 잡아야하고, 측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 잡아야하기 때문에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잡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grab the roof auxiliary handle attached to the upper trim of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one has to hold the hand above the window and hold it with one hand because it is attached to the s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의 헤드가 고정되는 넥 부분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handl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neck portion to which the head of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are fixed.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헤드 뒷부분에 설치되는 중공 형태를 갖는 손잡이이며, 중공 부분의 하단에 그립부가 구비되고, 중공 부분의 상단 일면에 차량의 헤드 넥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고, 손잡이 상단 일측에 경사를 가지며 외측으로 향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having a hollow shape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head of the driver's seat or passenger seat of a vehicle, a grip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 coupling to the head neck of the vehicl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It provides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a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a protrusion facing outward.

또한 상기 그립부는 고정식 돌기 및 착탈식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식 돌기는 상기 그립부에 구비되는 착탈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has a fixed protrusion and a removable protrusion, and the detachabl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awn in or drawn out at any one or more of the detachable positions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는 중공 부분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식 걸림수단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식 걸림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중공 부분 상단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식 걸림수단이 고정식 걸림수단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s provided with a fixed locking means provided on one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and a sliding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sliding locking means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locking means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llow part of the han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capable of this.

또한 상기 돌출부는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the length.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는 차량의 종류에 무관하게 한 쌍의 헤드 넥을 가지는 차량에는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손을 머리 위로 들지 않아도 편안한 위치에서 잡을 수 있고, 양 손으로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a vehicle having a pair of head necks irrespective of the type of vehicle, can be held in a comfortable position without raising hands above the head, and can be held with both hands Therefore, more stable support is possible.

또한 그립부에는 고정식 돌기 및 착탈식 돌기를 구비하여 원하는 부위를 지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ed protrusion and a removable protrusion to provide an effect of acupressure on a desired area.

또한 손잡이의 상단 일측에 경사를 가지며 외측으로 향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돌출부를 구비하여 가방이나 비닐봉투 등을 걸어놓을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has a slope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has a protrusion that can adjust the length toward the outsid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hanging a bag or a plastic ba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의 활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utilization state of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stated. Also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term comprise, comprises, comprising is meant to include the recited object, step or group of objects, and steps, and any other It is not used in the sense of excluding an object, step, or group of objects or groups of steps.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shall.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embodiments unless clearly indicated to the contrary. Any feature indicated as particularly preferred or advantageous may be combined with any other feature and features indicat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공 형태를 갖는 손잡이이며, 중공 부분의 하단에 그립부(100)가 구비되고, 중공 부분의 상단 일면에 차량의 헤드 넥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200)가 형성되고, 손잡이 상단 일측에 경사를 가지며 외측으로 향하는 돌출부(300)를 구비하여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헤드 뒷부분에 설치되어 편의 및 건강 기능을 제공한다.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having a hollow shape as shown in FIG. 1 , a grip part 1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art, and is coupled to the head neck of the vehicle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ollow part The fixing part 200 for being is formed, and it has an inclina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300 facing outward, as shown in FIG. to provide.

상기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는 중공 형태를 구비한다면 그 외측 테두리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예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돌출부(300)를 제외한 대체로 사각형인 형태일 수 있으나, 사다리꼴, 타원형 등 외측 테두리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If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has a hollow shape, the shape of the outer rim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t may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except for the protrusion 300, but the shape of the outer edge, such as a trapezoid or an oval, is not limited.

상기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의 형태(내측 테두리)는 하단에 구비되는 그립부(100)를 두 손으로 쥐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체로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고, 그 이외 부분의 내측 테두리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대체로 사각형인 형태일 수 있으나, 사다리꼴, 타원형, 삼각형 등 내측 테두리의 형태 또한 제한되지 않는다. The shape of the hollow part (inner edge) formed in the multi-purpose handle for the vehicle includes a generally flat part in order to facilitate gripping the grip part 100 provided at the bottom with both hands, and the shape of the inner edge of the other part is variously configured can be As show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inner edge, such as a trapezoid, an oval, or a triangle, is also not limited.

상기 그립부(100)는 중공 부분의 내측 테두리에 손가락들 사이의 굴곡 형태에 대응되는 굴곡 형상을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그립부에는 외측에 고정식 돌기(110) 및 착탈식 돌기(120)를 구비하여 원하는 부위를 지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grip part 100 can provide a more stable grip feeling by providing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hape between the fingers on the inner edge of the hollow part, and also has a fixed protrusion 110 and a removable protrusion 120 on the outside of the grip part. ) to provide the effect of acupressure on the desired area.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고정식 돌기(110)는 상기 착탈식 돌기(120)에 비하여 크기가 작은 돌기로서 위치가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착탈식 돌기(120)는 상기 고정식 돌기(110)에 비하여 크기가 큰 돌기로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상기 착탈식 돌기(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착탈되는 위치도 선택함으로써 맞춤형의 손 지압 효과를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fixed protrusion 110 is provided with a fixed position as a protrusion smaller in size than the removable protrusion 120 , and the removable protrusion 120 is larger in size than the fixed protrusion 110 . It is a large protrusion and can be drawn in and out. The removable protrusion 1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provides a customized hand pressure effect by selecting a detachable position.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착탈식 돌기(120)의 형태는 하나의 굴곡을 갖는 형태(122)이거나 하나 이상의 굴곡을 갖는 형태(121)일 수 있으며, 제공된 착탈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입되어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착탈 위치에서 인출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hape of the removable protrusion 120 may be a shape 122 having one curve or a shape 121 having one or more curves, and can be used by being drawn into any one or more of the provided detachable positions. , in some cases, it can be withdrawn from all attachment and detachment positions and used.

상기 고정부(200)는 차량의 헤드 넥에 결합되기 위해 손잡이의 중공 부분 상단 일면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공 부분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식 걸림수단(210)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식 걸림수단(220)을 구비하며, 이 때 상기 손잡이의 중공 부분 상단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식 걸림수단(220)이 고정식 걸림수단(210) 방향(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가이드레일(230)을 구비한다. The fixing par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of the handle to be coupled to the head neck of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a fixed locking means 210 provided on one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and a sliding locking means 2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are provided, and at this time, the sliding locking means ( 220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230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in the direction (or opposite direction) of the fixed engaging means 210 .

상기 고정식 걸림수단(210)은 한 쌍의 헤드 넥 중 어느 하나의 넥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식 걸림수단(220)은 상기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다른 하나의 넥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마다 한 쌍의 헤드 넥 사이의 간격이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차량의 종류에 무관하게 한 쌍의 헤드 넥을 가지는 차량에는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The fixed locking means 210 is fixed to one of the pair of head necks, and the sliding locking means 220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guide rail 230 and is fixed at the position of the other neck. make it possibl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ead necks is different for each vehicle,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in a vehicle having a pair of head necks irrespective of the type of vehicle.

상기 고정식 걸림수단(210) 및 슬라이딩식 걸림수단(220)의 형태는 헤드 넥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손잡이로부터 연장되어 적절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일측이 개방된 고리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fixed locking means 210 and the sliding locking means 220 may be freely used as long as they can be coupled to the head and neck. As shown in the drawing, it may be in the form of a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elasticity extending from the handle and including a ring with one side open.

상기 돌출부(300)는 손잡이 상단 일측에 경사를 가지며 외측으로 향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가방이나 비닐봉투 등을 걸어놓을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300)는 형태 및 개수에 제한되지 않으나 외측 상단으로 향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옆 끝단에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가방의 끝이나 비닐봉투의 손잡이를 걸 수 있도록 한다. The protrusion 300 has an inclina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is provided in a form facing outward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hanging a bag or a plastic bag. Although the shape and number of the protrusions 300 are not limite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a shape toward the top of the outer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by providing a pair of protrusions at both ends, the end of the bag or the handle of the plastic bag can be hung.

상기 돌출부(30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가방이나 비닐봉투를 걸 수 있다. 길이 변경을 위한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나 돌출부(300)가 손잡이에 분리 결합되며, 손잡이에 구비되는 홈을 구비하여 이 홈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돌출부(300) 끝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rotrusion 300 is provided so that the length can be changed as shown in FIG. The length is adjustable, so you can hang bags or plastic bags of various sizes. The structure for changing the length is not limited, but the protrusion 300 is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handle, an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protrusion 300 can be adjusted by having a groove provided in the handle to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는 손을 머리 위로 들지 않아도 편안한 위치에서 잡을 수 있고, 양 손으로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eld in a comfortable position without raising the hand above the head, and since it can be held with both hands, it provides the effect of more stable support.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exemplifi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헤드 뒷부분에 설치되는 중공 형태를 갖는 손잡이이며,
중공 부분의 하단에 그립부가 구비되고, 중공 부분의 상단 일면에 차량의 헤드 넥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고, 손잡이 상단 일측에 경사를 가지며 외측으로 향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는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
It is a handle having a hollow shape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head of the driver's seat or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A grip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low part, a fixing part for coupling to the head neck of the vehicle is provided on one upp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and a protrusion facing outward with an inclina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s provided,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the l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고정식 돌기 및 착탈식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식 돌기는 상기 그립부에 구비되는 착탈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 part has a fixed protrusion and a removable protrusion,
The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protrusion is drawn in or drawn out at any one or more of the detachable positions provided in the grip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중공 부분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식 걸림수단과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식 걸림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의 중공 부분 상단 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식 걸림수단이 고정식 걸림수단 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ed lock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and a sliding lock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llow part,
A multi-purpose han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type locking means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capable of horizontal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locking means on on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of the handle.
KR1020200079346A 2020-06-29 2020-06-29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KR102362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46A KR102362677B1 (en) 2020-06-29 2020-06-29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46A KR102362677B1 (en) 2020-06-29 2020-06-29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38A true KR20220001238A (en) 2022-01-05
KR102362677B1 KR102362677B1 (en) 2022-02-15

Family

ID=7934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46A KR102362677B1 (en) 2020-06-29 2020-06-29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67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816U (en) * 1993-12-21 1995-07-14 アラコ株式会社 Umbrella storage case for vehicle
KR970012865U (en) * 1995-09-15 1997-04-25 진병구 Car handle
JPH11151136A (en) * 1997-11-20 1999-06-08 Kojima Press Co Ltd Assist grip device for seat back
KR20110090370A (en) * 2010-02-03 2011-08-10 이형국 Magnet bracelet for irritating spots on the wrist for stop smoking and di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816U (en) * 1993-12-21 1995-07-14 アラコ株式会社 Umbrella storage case for vehicle
KR970012865U (en) * 1995-09-15 1997-04-25 진병구 Car handle
JPH11151136A (en) * 1997-11-20 1999-06-08 Kojima Press Co Ltd Assist grip device for seat back
KR20110090370A (en) * 2010-02-03 2011-08-10 이형국 Magnet bracelet for irritating spots on the wrist for stop smoking and di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677B1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026A (en) Motor vehicle tray
US5803325A (en) Multifunctional article rest between two front seats
US9266456B2 (en) Cup holder and vehicle door containing the same
US20140175134A1 (en) Flexible panel pitcher
KR102362677B1 (en) Multi-purpose handle for vehicle
EP2684768A1 (en) Accessory cross bar for a passenger carrier
JPH08127279A (en) Seat for automobile
US11364848B2 (en) Item holding structure
JP2001180343A (en) Center folding seat back
JP6018770B2 (en) Handle for plastic bottle
CN212488828U (en) Umbrella with cushion function
KR0136869Y1 (en) Foldable cupholder mounted in a door trim
JP3211749U (en) Portable bag and lap holder for portable bag
JP6297115B2 (en) Handle for plastic bottle
CN207644221U (en) A kind of compound type polyurethane automotive cushion
JP2779757B2 (en) Car
JPH11301356A (en) Cargo fixing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3809761B2 (en) Article holding device
US20140062110A1 (en) Car seat carrying device
KR20220001193U (en) Cup holder installed on car door
JPH0668968U (en) Tray
KR200144495Y1 (en) Cup Holder For Car Door
GB2376012A (en) Carrier bag handle arrangement
JP3079955U (en) Chair hanger
KR20210129763A (en) Car seat for keeping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