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06U -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 Google Patents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06U
KR20220000806U KR2020220000823U KR20220000823U KR20220000806U KR 20220000806 U KR20220000806 U KR 20220000806U KR 2020220000823 U KR2020220000823 U KR 2020220000823U KR 20220000823 U KR20220000823 U KR 20220000823U KR 20220000806 U KR20220000806 U KR 20220000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nfectionery
lid
semi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8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식
Original Assignee
박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2020220000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806U/en
Publication of KR20220000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0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영구 컵과 같은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풍미 컵 뚜껑은: 반영구 컵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컵의 입구에 장착 가능한 다회용 뚜껑 본체;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컵에 담긴 음료의 열기로 과자를 데울 수 있도록 상기 과자의 배치가 가능한 과자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과자 홀은, 상기 반영구 컵에 담긴 음료의 열기를 외부로 발산하도록 상기 뚜껑 본체를 관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따뜻한 커피가 담긴 반영구 컵 등과 같은 다회용 컵의 뚜껑에 과자가 안정적으로 올려져 있는 상태로 커피와 과자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사람(사용자)이 대략 1 내지 5분의 시간 내에 커피의 증발 수분에 의해 데워지는 동시에 커피의 향을 머금은 따뜻한 과자를 취할 수 있고, 과자가 데워지는 시간동안 적당한 온도로 감온된 커피를 마실 수 있으므로 커피와 과자의 풍미를 함께 즐길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such as a semi-permanent cup. Flavor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use lid body mountable on the mouth of the cup so as to cover the mouth of the semi-permanent cup; and a confectionery hole formed in the lid body and capable of disposing the confectionery so that the confectionery can be heated with the hea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The confectionery hole passes through the lid body to radiate the hea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emi-permanent cup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ffee and sweets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sweets stably placed on the lid of a multi-use cup, such as a semi-permanent cup filled with warm coffee, and a person (user) who wants to drink coffee takes about 1 It is possible to take a warm snack that is heated by the evaporation of the coffee within a time of 5 minutes and at the same time retains the aroma of coffee, and you can drink coffee that has been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while the sweets are warming up, so you can enjoy the flavor of coffee and sweets together. can enjoy

Description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본 고안은 다회용 컵의 입구를 덮는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영구 컵 등과 같이 다회 사용 가능한 컵(다회용 컵)의 입구를 덮는데 사용되며, 다회용 컵에 담긴 커피나 차 등과 같은 음료의 열기로 과자를 데워서 따뜻하고 촉촉한 식감으로 과자와 음료의 풍미(Flavor)를 제공할 수 있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that covers the mouth of a multi-use cup, and more particularly, it is used to cover the mouth of a cup (reusable cup) that can be used multiple times, such as a semi-permanent cup, and includes coffee or tea in the multi-use cup. It relates to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apable of providing the flavor of sweets and beverages with a warm and moist texture by heating sweets with the heat of the same beverage.

일반적으로 커피 전문점 등과 같은 음료 매장에서는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담기 위한 1회용 컵(Disposable Cup)이 사용되고 있으며, 1회용 컵에는 컵의 상측을 커버하는 1회용 컵 뚜껑(cup lid)이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in beverage stores such as coffee shops, disposable cups for holding beverages such as coffee or tea are used, and a disposable cup lid tha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cup is applied. there is.

상기와 같은 1회용 컵의 뚜껑은, 커피 구매자가 이동 중에 음료가 출렁이면서 넘치거나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컵을 들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며, 사용자가 컵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음용구를 통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구조이다.The lid of the disposable cup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coffee purchaser from spilling or spilling while the beverage is sloshing while moving, allowing the cup to be moved safely and allowing the user to drink through the drinking port formed on the edge of the cup lid. It is a structure that can drink.

현대인에게 커피가 대중화됨에 따라, 소비자의 질적 수준과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산지의 원두를 다양한 방법으로 로스팅하여 산지별 커피에서 발생되는 고유의 향과 맛 즉 고유의 풍미를 제공하고 있다.As coffee becomes popular among modern people, coffee beans from various production areas are roasted in various ways in order to satisfy the quality level and needs of consumers, and the unique aroma and taste generated from coffee by production area, that is, unique flavor is provid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1회용 컵은 커피의 향을 제대로 향유하기 어렵고,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커피 매장 내에서 1회용 컵의 사용이 금지되는 추세이다.However, the disposable cups as described above are difficult to properly enjoy the aroma of coffee, and the use of disposable cups in coffee shops is prohibit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한편, 커피 매장 내에서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마시는 경우, 머그(Mug)라 불리는 다회용 컵에 담긴 음료가 매장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뜨거운 상태의 음료는 곧바로 섭취되는 경우 화상을 야기할 염려가 있으며, 뜨거운 커피는 쓴맛을 느끼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drinking beverages such as coffee or tea in a coffee shop, beverages in reusable cups called mugs are provided to store customers, but hot beverages may cause burns if consumed immediately. and hot coffee can make you feel bitter.

개인의 취향에 따라 뜨거운 음료에 미리 얼음을 넣어서 초기 온도를 낮춘 후에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음료가 빨리 식어서 제대로 된 풍미를 향유하기 어렵고, 고객에게 뜨거운 음료가 담긴 머그와 함께 과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나 차갑고 딱딱하게 굳은 과자의 식감을 꺼려하여 과자를 취식하지 않고 그대로 둠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고, 바쁜 생활에 익숙한 현대인이 따뜻한 음료 예를 들면 따뜻한 차나 커피 한잔의 여유와 휴식의 즐거움 및 타인과 나누는 대화의 기회를 제대로 즐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Depending on personal preference, there are cases where the drink is consumed after lowering the initial temperature by putting ice in the hot drink.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enjoy the proper flavor because the drink cools quickly. However, in some cases, food waste may be generated by leaving the sweets as they are without eating because they are reluctant to eat the texture of cold and hardened sweets. It is a situation in which they do not properly enjoy the leisure and enjoyment of rest, and the opportunity to have conversations with other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9592호, 2004년 11월 29일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69592, registered on November 29, 2004

본 고안은, 다회용 컵에 담긴 커피나 차 등과 같은 음료의 열기로 과자를 데워서 음료와 과자의 풍미(Flavor)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that can provide the beverage and the flavor of the snack together by heating the snack with the heat of the beverage, such as coffee or tea, contained in the multi-use cup. there is.

본 고안의 일 형태는: 반영구 컵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컵의 입구에 장착 가능한 뚜껑 본체;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컵에 담긴 음료의 열기로 과자를 데울 수 있도록 상기 과자의 배치가 가능한 과자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과자 홀은, 상기 반영구 컵에 담긴 음료의 열기를 외부로 발산하도록 상기 뚜껑 본체를 관통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을 제공한다.On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 body mountable to the mouth of the cup so as to cover the mouth of the semi-permanent cup; and a confectionery hole formed in the lid body and capable of disposing the confectionery so that the confectionery can be heated with the hea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The confectionery hole provide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penetrating the lid body to radiate the hea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emi-permanent cup to the outside.

상기 뚜껑 본체는; 목재와 세라믹재와 금속재와 합성수지재와 유리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는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하지 않는 구성 즉 강성(Rigidity)을 갖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lid body; It may have any one of wood, ceramic material, metal material,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glass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lid body may be implemented as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change shape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a configuration having rigidity.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는, 상기 반영구 컵의 입구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edge of the lid body may have a stepped shape to be seated on the inlet rim of the semi-permanent cup.

상기 뚜껑 본체는, 상기 반영구 컵의 입구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 본체와 상기 반영구 컵의 입구간 틈새를 메우기 위한 씰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lid body has a protrusion that is fitted into the inlet of the semi-permanent cup; A sealing member for filling a gap between the lid body and the inlet of the semi-permanent cup may be provided around the protrusion.

상기 과자 홀은, 호두과자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과자 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과자 홀은 상기 호두과자가 끼워지도록 호두과자의 윤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fectionery hole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rim of the confectionery hole so that the rim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s fitted. For example, the confectionery hole may have a contour shape of the walnut confectionery so that the walnut confectionery is inserted thereinto.

상기 과자 홀은,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단면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The confectionery hole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expands or contracts toward the top, or may have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상기 과자 홀은, 상기 뚜껑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에는 상기 과자 홀 이외에 다른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fectionery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the lid body may be additionally formed with other holes in addition to the confectionery hole.

상기 뚜껑 본체는, 상기 반영구 컵이 뒤집힌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상기 반영구 컵에서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반영구 컵에 비구속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 lid body may be non-constrainedly seated on the semi-permanent cup so that the semi-permanent cup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semi-permanent cup by its own weight in an inverted state.

상기 과자 홀에는 과자가 상기 뚜껑 본체에서 컵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막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A diaphragm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onfectionery hole to prevent confectionery from falling into the cup from the lid body.

본 고안에 따른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따뜻한 커피가 담긴 반영구 컵 등과 같은 다회용 컵의 뚜껑에 과자가 안정적으로 올려져서 커피와 과자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대략 1 내지 5분(分)의 시간 내에 커피의 증발 수분에 의해 데워지면서 커피의 향을 머금은 따뜻한 과자가 제공될 수 있고, 커피 구매자(사용자)가 과자가 데워지는 시간동안 적당한 온도로 감온된 커피를 마실 수 있으므로 커피와 과자의 풍미를 함께 즐길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weets can be stably placed on the lid of a multi-use cup such as a semi-permanent cup containing warm coffee, so that coffee and sweets can be provided together, and the Warm cookies with the aroma of coffee can be provided while being heated by the evaporation moisture, and coffee purchasers (users) can drink coffee that has been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while the cookies are warming up, so they can enjoy the flavor of coffee and sweets together. there is.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뜨거운 커피에서 발산되는 커피 향과 수분(증기)에 의해 과자가 데워지는 동안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 대화의 시간 즉 소통의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뜨거운 커피가 식는 동안 여유를 즐길 수 있고 생각을 정리하거나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과자가 데워지기를 기다리는 동안 커피의 온도가 마시기에 적당한 온도에 이를 수 있으므로 과자가 커피의 향과 수분을 취하는 동안 기다리는 잠깐의 여유 속에 뜨거운 커피로 인한 화상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have a time of conversation, that is, a time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while the sweets are heated by the coffee aroma and moisture (steam) emitted from the hot coffee, and relax while the hot coffee cools. You can enjoy, organize your thoughts, or have time to contemplate, and while waiting for the cookies to warm up, the coffee temperature can reach a suitable temperature for drinking, so you can enjoy the hot coffee in a short amount of time while waiting for the cookies to take in the aroma and moisture of the coffee. The risk of burns from coffee can be avoided.

셋째, 본 고안에 따르면, 컵 뚜껑에 형성된 호두과자 모양의 과자 홀에 호두과자가 끼워져서 뜨거운 커피와 함께 제공되면, 사용자는 짧은 시간 내에 촉촉하면서 온기를 갖는 호두과자를 커피와 함께 즐길 수 있으므로 식감과 풍미가 좋아지며, 1분 이상의 기다림에서 행복한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을 생성할 수 있고 진정한 커피 브레이크 타임을 제대로 즐길 수 있으며, 바쁜 현대인들이 느끼는 심리적 두려움 예를 들면 포모증후군으로부터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게 된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alnut cookie is inserted into a confectionery hole in the shape of a walnut confectionery formed in the cup lid and provided with hot coffee, the user can enjoy a moist and warm walnut confectionery with the coffee within a short time, so the texture The flavor and flavor are improved, you can create happy storytelling by waiting for more than 1 minute, you can enjoy a real coffee break, and you can get away from the psychological fears of busy modern people, for example, Fomo Syndrome, for a while. do.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풍미 컵 뚜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다회용 컵의 일 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에 과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컵 뚜껑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컵 뚜껑에 호두과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among the drawings: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lavor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cup lid shown in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up lid shown in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lid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n example of a multi-use cup;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ectionery is arranged on the lid of the cup shown in Figure 1;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top view of the cup lid shown in Fig.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lnut cookies are arranged on the cup lid shown in Figure 7;
1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1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과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할 때 이들을 상호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수를 정의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components when describing components with the same name, but do not define or limit the number of components.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 관계 즉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 connection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relationship, that is, a relationship that is indirectly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일 실시 예(이하 '제1 실시 예'라 칭함)가 설명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풍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중, 도 1은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다회용 컵의 일 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에 과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rst, an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Among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lavor cup l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3 is FIG. It is a bottom view of the cup lid shown in Fig.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cup lid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lid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n example of a multi-use cup, Fig. 6 is the cup shown in Fig. 1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cookies are placed on the li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풍미 컵 뚜껑(100)은, 뚜껑 본체(110)와 과자 홀(120)을 포함한다. 1 to 6 , the flavor cup li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 body 110 and a confectionery hole 120 .

상기 뚜껑 본체(110)는, 다회용 컵 예를 들면 머그(Mug)와 같은 반영구 컵(200)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컵(200)의 입구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과자 홀(120)는, 상기 뚜껑 본체(110)에 형성되며, 상기 컵(200)에 담긴 음료(10)의 열기로 과자를 데울 수 있도록 상기 과자(1)의 배치가 가능하다. The lid body 110 is mounted at the mouth of the cup 200 so as to cover the mouth of the semi-permanent cup 200 such as a multi-use cup, for example, a mug. In addition,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formed in the lid body 110 , and the confectionery 1 can be disposed so that the confectionery can be heated with the heat of the beverage 10 contained in the cup 200 .

다시 말해서, 상기 과자 홀(120)은, 상기 반영구 컵(200)에 담긴 뜨거운 커피나 차 등과 같은 음료(10)의 열기를 외부로 발산하도록 상기 뚜껑 본체(110)를 관통한다. 참고로, 환경부에서는 일회용 컵에 반대개념으로 다회용 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In other words, the confectionery hole 120 penetrates the lid body 110 to radiate the heat of the beverage 10 such as hot coffee or tea contained in the semi-permanent cup 200 to the outside. For referen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uses the term “reusable cup” as the opposite concept to disposable cup.

상기 뚜껑 본체(110)는, 목재(나무 재질)와 도자기 같은 세라믹재와 금속재와 합성수지재와 유리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110)는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하지 않는 구성 즉 강성(Rigidity)을 갖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회용 컵 뚜껑 즉 다수회 사용 가능한 컵 뚜껑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lid body 1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wood material) and ceramic materials such as ceramics, metal materials, synthetic resin materials, and glass materials. More specifically, the lid body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change shape by external force, that is, a configuration having rigidity,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ulti-use cup lid, that is, a cup lid that can be used multiple times.

예를 들면, 상기 뚜껑 본체(110)가 강성을 갖는 두께 구체적인 예로는 0.5cm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지거나, 강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목재나 세라믹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파손의 위험이나 화상의 위험을 감안할 때 목재와 같이 열전도율이 낮는 재료가 상기 뚜껑 본체(110)의 재료로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뚜껑 본체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합성수지재에는 실리콘 재질도 포함된다.For example, a specific example of the thickness of the lid body 110 having rigidity may be made of a thickness of 0.5 cm or more,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for example, wood or ceramic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damage or burns,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wood, may be applied as the material of the lid body 110 ,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lid body may include a handle. And the above-mentioned synthetic resin material also includes a silicone material.

상기 뚜껑 본체(110)의 가장자리는, 상기 반영구 컵(200)의 입구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뚜껑 본체(110)는 상기 반영구 컵(200)의 입구에 끼워지는 돌출부(11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11)의 테두리에 단차부(112)가 형성된다.The edge of the lid body 110 may have a stepped shape to be seated on the inlet edge of the semi-permanent cup 200 . More specifically, the lid body 110 has a protrusion 111 fitted into the inlet of the semi-permanent cup 200 . And a step portion 112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rotrusion 111 .

그리고 상기 돌출부(111)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 본체(110)와 상기 반영구 컵(200)의 입구간 틈새를 메우기 위한 씰링부재(130; Sealing Member) 즉 패킹부재(Packing Member)가 구비될 수 있다. And a sealing member 130 (a sealing member) for filling a gap between the inlet of the lid body 110 and the semi-permanent cup 200 may be provided around the protrusion 111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씰링부재(130)는 상기 돌출부(111)를 둘러싸는 환형 구조, 즉 링(Ring)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씰링부재(130)는 내열성과 표면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member 130 has an annular structure surrounding the protrusion 111 , that is, a r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surface elasticity, for example, a silicon material.

상기 뚜껑 본체(110)는, 상기 반영구 컵(200)이 뒤집힌 상태에서 컵 뚜껑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반영구 컵에서 자연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반영구 컵에 비구속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컵 뚜껑(100)이 1회용 컵 뚜껑처럼 컵의 입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반영구 컵의 입구에 얹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컵 뚜껑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The lid body 110 may be mounted on the semi-permanent cup non-constraint so as to be naturally detachable from the semi-permanent cup by the weight of the cup lid in a state in which the semi-permanent cup 200 is turned over. That is, the cup lid 100 is not firmly fixed to the mouth of the cup like a disposable cup lid, but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is placed on the entrance of the semi-permanent cup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cup lid.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과자 홀(120)의 테두리(121)는 원형 또는 타원형 등과 같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상이나 별 모양이나 각종 캐릭터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테두리 윤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컵 뚜껑에 배치된 과자가 미끄러지거나 구르지 않도록, 상기 과자 홀(120)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과자 홀(120)은 호두과자의 1/2 미만이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 보다 구체적으로는 둥근 호두과자의 1/4 내지 1/2 정도가 끼워질 수 있는 사이즈가 될 수 있다.The rim 121 of the confectionery hole 12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o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 rim outlin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 star shape, or various character shapes. And to prevent the confectionery disposed on the cup lid from sliding or rolling,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 example, the confectionery hole 120 may have a size that can fit less than 1/2 of a walnut cookie, more specifically, a size that can fit about 1/4 to 1/2 of a round walnut cookie.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과자 홀(120)은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이 1.5cm 내지 4cm, 특히 1.5cm 내지 3.5cm인 환형 구조나 다각형 예를 들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과자 홀(120)은, 상기 뚜껑 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나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뚜껑 본체(110)에는 상기 과자 홀(120) 이외에 다른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confectionery hole 12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tructure having a narrowest portion of 1.5 cm to 4 cm, particularly 1.5 cm to 3.5 cm, or a polygonal shape, for example, a squar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110 , but the lo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may be formed as

상기 과자 홀(120)이 둥근 모양의 과자 예를 들면 호두과자에 적합한 환형인 경우, 상기 호두과자의 외측 표면이 상기 과자 홀(120)의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면서 음료의 향과 증기가 새지 않고 호두과자에 집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11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nfectionery hole 120 has a round shape suitable for a round confectionary, for example, a walnut confectionery, the outer surface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m of the confectionery hole 120 as a whole, and the flavor and steam of the beverage do not leak and walnuts Can focus on sweets. And a step may be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id body 110 .

본 실시 예는 상시 오픈(Open)된 과자 홀을 갖는 컵 뚜껑으로서, 상술한 컵 뚜껑(100)이 커피 등과 같은 뜨거운 음료가 담긴 다회용 컵,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그(Mug)라고 불리는 반영구 컵(200)의 입구에 장착되고, 상기 컵 뚜껑의 과자 홀(120)에 과자 예를 들면 둥근 형상의 호두과자(1)가 배치되면,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사람(사용자)이 대략 1 내지 5분의 시간 내에 커피의 증발 수분에 의해 데워지면서 커피의 향을 머금은 따뜻하고 촉촉한 과자를 취할 수 있고, 호두과자가 데워지는 시간동안 적당한 온도로 감온된 커피를 마실 수 있으므로 커피와 과자의 풍미를 함께 즐길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a cup lid having a confectionery hole that is always open, and the above-described cup lid 100 is a multi-use cup containing a hot beverage such as coffee, more specifically, a semi-permanent cup called a mug ( 200), and when a confectionery, for example, a round walnut confectionery 1 is disposed in the confectionery hole 120 of the cup lid, a person (user) who wants to drink coffee takes approximately 1 to 5 minutes. You can enjoy warm and moist cookies with the aroma of coffee as it is heated by the evaporated moisture of the coffee within time, and you can drink coffee that has been cooled to a suitable temperature while the walnut cookies are warming up, so you can enjoy the flavor of coffee and sweets together. .

또한, 뜨거운 커피에서 발산되는 커피 향과 수분(증기)에 의해 호두과자(1)가 데워지는 동안 사람들간에 대화의 시간 즉 소통의 시간이 주어질 수 있으며, 혼자서 음료를 마시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뜨거운 커피가 식는 동안 심리적 안정과 여유를 즐길 수 있고 생각을 정리하거나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호두과자가 커피의 향과 수분을 흡수하는 동안 기다리면서 잠깐의 여유 시간을 가지는 결과 커피가 마시기에 적당한 온도에 이를 수 있으므로, 뜨거운 커피로 인한 화상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커피의 경우 통상 초기 온도가 약 97℃ 정도로 뜨겁게 제공되며, 약 75~76℃ 보다 구체적으로는 75.9℃ 정도의 온도에서 가장 맛있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고안은 커피가 감온되는 동안 커피의 열기로 호두과자를 데워서 커피와 호두과자의 풍미를 함께 즐길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호두과자 기계에 의해 즉석으로 제조된 호두과자의 온도는 대략 147℃ 정도로 매우 뜨거우므로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에 올려두고 감온되기를 기다려서 커피의 향을 머금은 호두과자를 즐길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walnut cookie 1 is heated by the coffee aroma and moisture (steam) emitted from the hot coffee, a time for conversation, that is, a time for communication, can be given between people, and even when drinking alone, the hot coffee You can enjoy psychological stability and leisure, organize your thoughts or have time to contemplate, and as a result of having a brief leisure time while waiting while the walnut cookie absorbs the aroma and moisture of the coffee, the coffee reaches a suitable temperature for drinking. Therefore, the risk of burns due to hot coffee can be avoided. In the case of coffee, the initial temperature is usually provided as hot as about 97 ° C, and it is known that the most delicious state is at a temperature of about 75 to 76 ° C, more specifically, about 75.9 ° C. Heat the walnut cookies so that you can enjoy the flavor of coffee and walnut cookies together. And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lnut cookie made instantly by the walnut cookie machine is very hot at about 147°C, you can put it on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ait for the temperature to be reduced to enjoy the walnut cookie with the aroma of coffee.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다른 실시 예(제2 실시 예)가 설명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중,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컵 뚜껑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컵 뚜껑에 호두과자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Next, another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of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Of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of the cup lid shown in FIG. 6 ,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lnut cookies are disposed on the cup lid shown in FIG. 7 .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컵 뚜껑(100A)은, 뚜껑 본체(110)와 과자 홀(120)을 포함한다. 7 to 10 , the cup lid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 body 110 and a confectionery hole 120 .

전술한 제1 실시 예(100)처럼, 본 실시 예의 뚜껑 본체(110)는, 다회용 컵 예를 들면 머그(Mug)와 같은 반영구 컵(200)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컵(200)의 입구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과자 홀(120)는, 상기 뚜껑 본체(110)에 형성되며, 상기 컵(200)에 담긴 음료(10)의 열기로 과자를 데울 수 있도록 상기 과자 예를 들면 상술한 호두과자(1)의 배치가 가능하다.Like the first embodiment 100 described above, the lid body 110 of this embodiment is a multi-use cup, for example, a semi-permanent cup 200 such as a mug (Mug) so as to cover the entrance of the cup 200 is mounted on And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formed in the lid body 110, and the confectionery, 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walnut confectionery 1, so that the confectionery can be heated with the heat of the beverage 10 contained in the cup 200. placement is possible.

상기 과자 홀(120)은, 호두과자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1a)가 끼워지도록, 상기 과자 홀의 테두리(121)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122)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과자 홀(120)은 상기 호두과자(1)가 끼워지도록 호두과자의 윤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fectionery hole 12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122 formed in the rim 121 of the confectionery hole so that the rim portion 1a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s fitted. For example, the confectionery hole 120 may have an outline shape of the walnut confectionery so that the walnut confectionery 1 is inserted thereinto.

상기 과자 홀의 테두리(121)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처럼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환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과자 홀(120)이 환형의 테두리(121)를 가지며, 상기 과자 홀의 테두리(121)에는 상기 과자 홀의 외곽 방향으로 요입된 복수의 홈(122)들 즉 테두리 홈(122)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122)들은 쌍(Pair)을 이루어서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과자 홀(120)의 구조 특히 상기 테두리 홈(122)을 제외한 컵 뚜껑의 나머지 다른 부분에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 설명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The rim 121 of the confectionery hol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nular or polygonal shapes such as a circle or an oval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nfectionery hole 120 has an annular rim 121, and the rim 121 of the confectionery hole has a plurality of grooves 122 reces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onfectionery hole, that is, the rim groove 122.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grooves 122 are form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nfectionery hole 120, particularl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other parts of the cup lid except for the edge groove 122,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에는 상기 과자 홀(120)에 한 쌍의 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나, 3개 이상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100B)처럼 4개의 홈(122)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pair of grooves 122 are formed in the confectionery hole 120, but three or more, for example, four grooves 122 may be formed as in the embodiment 100B shown in FIG. there is.

그리고 상술한 제1 실시 예(100)와 제2실시 예(100A)에서는 상기 과자 홀(120)의 단면이 일정한 형상이나,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100C)처럼 상기 과자 홀(120)의 단면이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거나,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100D)처럼 상기 과자 홀(120)이 상부로 갈수록 축소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And in the first embodiment 100 and the second embodiment 100A described abov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fectionery hole 120 has a constant shape, but as in the embodiment 100C shown in FIG. The cross-section may be expanded toward the top or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reduced toward the top as in the embodiment 100D shown in FIG. 13 .

특히,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100D)처럼 상기 과자 홀(120)의 단면이 상부로 갈수록 축소되는 경우 커피(10)의 열기와 향이 호두과자로 모이면서 전이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과자 홀(120)의 단면이 변하는 구조에도 상술한 테두리 홈(12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particular, as in the embodiment 100D shown in FIG. 13 ,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reduced toward the top, the heat and aroma of the coffee 10 may be transferred to the walnut confectionery while being collected. As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2 and 13 , it is natural that the above-described edge groove 122 may be formed eve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 of the confectionery hole 120 is changed.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 예들의 과자 홀(120)에는 과자가 상기 뚜껑 본체(110)에서 컵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막(1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100E)처럼 상기 과자 홀(120)에 끼워지는 포켓(Pocket) 타입의 격막(140)기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막(140)의 바닥에는 복수의 통기홀(141)들 즉 구멍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격막(140)의 둘레에도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두과자 보다 작은 크기의 과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과자 홀보다 작은 크기의 과자도 컵 뚜껑의 과자 홀(120)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 a diaphragm 140 for preventing confectionery from falling into the inside of the cup from the lid body 1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onfectionery hole 1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100E shown in FIG. 14 , a pocket-type diaphragm 140 to be fitted into the confectionery hole 12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140 ar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iaphragm 140 . Ventilation holes 141, that is, holes may be formed through. Of course, a ventilation hole may also be formed around the diaphragm 140 . Accordingly, confectionery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walnut confectionery, more specifically confectionery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confectionery hole, may also be arranged in the confectionery hole 120 of the cup lid.

상기 격막(140)은 상기 과자 홀(120)에 착탈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과자 홀(120)에 꽂혀서 장착될 수 있다. The diaphragm 140 is detachable from the confectionery hole 120 , and may be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fectionery hole 120 if necessary.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100F)처럼, 상기 뚜껑 본체(110)에는 복수의 과자 홀(120a)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과자들이 컵 뚜껑(100F)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에는 2개의 과자 홀이 형성된 컵 뚜껑(100F)가 예시되어 있으나 과자 홀의 수는 3개 이상도 가능하며, 과자 홀의 크기가 과자 홀의 수에 맞춰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과자 홀(120a)에도 상술한 격막(140)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단면 형상은 일정하거나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제2 실시 예에서 설명된 홈(122) 역시 본 실시 예의 과자 홀(120a)에 적용될 수 있다.And like the embodiment 100F shown in FIG. 15 , a plurality of confectionery holes 120a may be formed in the lid body 110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weets may be disposed on the cup lid (100F). Although the cup lid 100F in which two confectionery holes are formed is illustrated in FIG. 15 , the number of confectionery holes may be three or more, and the size of the confectionery hole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fectionery holes. The above-described diaphragm 140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snack hole 120a of this embodiment,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constant or may be expanded or reduced toward the top, and the groove 122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is also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applied to the confectionery hall 120a of the example.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호두과자처럼 둥근 형상의 과자가 과자 홀에 끼워져서 구르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뜨거운 커피의 향과 수분이 호두과자에 전이되어서 따뜻하고 촉촉한 식감을 주면서 커피 향의 풍미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confectionery having a round shape like a walnut confectionery can be inserted into the confectionery hole to maintain its position without rolling, and the aroma and moisture of hot coffee are transferred to the walnut confectionery, giving a warm and moist texture while realizing the flavor of coffee can b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recognized by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과자 10: 음료(커피)
100: 컵 뚜껑 110: 뚜껑 본체
111: 돌출부 112: 단차부
120: 과자 홀 121: 과자홀 테두리
122: 과자홀 테두리 홈 130: 씰링 부재
140: 격막 200: 다회용 컵(반영구 컵)
1: Sweets 10: Drinks (coffee)
100: cup lid 110: lid body
111: protrusion 112: step
120: confectionery hall 121: confectionery hall border
122: confectionery hole edge groove 130: sealing member
140: diaphragm 200: multi-use cup (semi-permanent cup)

Claims (8)

반영구 컵의 입구를 덮도록 상기 컵의 입구에 장착 가능한 뚜껑 본체; 그리고
상기 뚜껑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컵에 담긴 음료의 열기로 과자를 데울 수 있도록 상기 과자의 배치가 가능한 과자 홀을 포함하며;
상기 과자 홀은, 상기 반영구 컵에 담긴 음료의 열기를 외부로 발산하도록 상기 뚜껑 본체를 관통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a lid body mountable to the inlet of the cup so as to cover the inlet of the semi-permanent cup; And
a confectionery hole formed in the lid body and capable of disposing the confectionery so as to heat the confectionery with the hea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The confectionery hole i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that passes through the lid body to radiate the hea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emi-permanent cup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는; 목재와 세라믹재와 금속재와 합성수지재와 유리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body;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y one of wood, ceramic material, metal material,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glass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의 가장자리는, 상기 반영구 컵의 입구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단차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edge of the lid body i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epped shape to be seated on the inlet rim of the semi-permanent cu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는, 상기 반영구 컵의 입구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는 상기 뚜껑 본체와 상기 반영구 컵의 입구간 틈새를 메우기 위한 씰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id body has a protrusion that is fitted into the inlet of the semi-permanent cup;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member for filling a gap between the lid body and the inlet of the semi-permanent cup is provided around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자 홀은, 호두과자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과자 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The confectionery hole i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rim of the confectionery hole so that the rim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alnut confectionery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자 홀은,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The confectionery hole i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that expands or contracts toward the t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자 홀은, 상기 뚜껑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The confectionery hole i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는, 상기 반영구 컵이 뒤집힌 상태에서 상기 컵 뚜껑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반영구 컵에서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반영구 컵에 불구속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용 컵을 위한 풍미 컵 뚜껑.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body is a flavor cup lid for a multi-use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indefinitely to the semi-permanent cup so that the semi-permanent cup is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semi-permanent cup by the weight of the cup lid in a state in which the semi-permanent cup is turned over.
KR2020220000823U 2020-01-28 2022-04-04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KR2022000080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23U KR20220000806U (en) 2020-01-28 2022-04-04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45U KR20210001795U (en) 2020-01-28 2020-01-28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KR2020220000823U KR20220000806U (en) 2020-01-28 2022-04-04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45U Division KR20210001795U (en) 2020-01-28 2020-01-28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06U true KR20220000806U (en) 2022-04-12

Family

ID=773149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45U KR20210001795U (en) 2020-01-28 2020-01-28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KR2020220000823U KR20220000806U (en) 2020-01-28 2022-04-04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45U KR20210001795U (en) 2020-01-28 2020-01-28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1795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92Y1 (en) 2004-05-31 2004-12-09 권오현 cup of cap to include exhib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92Y1 (en) 2004-05-31 2004-12-09 권오현 cup of cap to include exhib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95U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42B2 (en) Aroma enhancing beverage containers and lids
US20180014674A1 (en) Assembled cup structure
WO2020248162A1 (en) Portable cup and cover structure thereof
Waters et al. Chez Panisse menu cookbook
KR20220000806U (en) Flavor Cup Lid For Multi-use Cup
JP2011136749A (en) Food vessel with lid
KR200488189Y1 (en) Double Cupfor Take-out
US20210113004A1 (en) Heat Retention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JP3154610U (en) Composite container
KR200389086Y1 (en) the duplex cup using from the fast food shop
LU83757A1 (en) SERVING PLATE
KR200251605Y1 (en) Vacuum bottle having a filter
KR200376667Y1 (en) Tea container for one time and tea goods thereby
KR20190003085U (en) Cup Cover for Takeout
US20070108071A1 (en) Food dispenser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
KR100632785B1 (en) Disposable teaware and tea products using the same
US20230018909A1 (en) Container Lid
KR20170002880U (en) Apparatus For Serving Refreshments
TWM620974U (en) Press-pull extraction type lining container
JP5229846B2 (en) How to cook cup food
KR20190111495A (en) A Paper Cup with Improved Function
KR20170021537A (en) Disposable cup having dryice
TWM645343U (en) Fragrance cup lid structure
TWM614174U (en) Beverage structure
Lust Jack Apple and Blanche C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