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776A -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 Google Patents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776A
KR20220000776A KR1020200102047A KR20200102047A KR20220000776A KR 20220000776 A KR20220000776 A KR 20220000776A KR 1020200102047 A KR1020200102047 A KR 1020200102047A KR 20200102047 A KR20200102047 A KR 20200102047A KR 20220000776 A KR20220000776 A KR 20220000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over
opening
mask body
fac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이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상 filed Critical 이현상
Publication of KR2022000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07Headwear
    • B29L2031/4835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병 예방을 위해 비말(침 방울)을 차단하기 위한 수지(플라스틱 종류)재질의 호흡기(입코) 보호기기 및 청각 약자를 위한 의사소통 보조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마스크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캡 형상으로 코와 입이 닿지 않는 내부공간부가 형성되고, 귀에 거는 착용줄이 결합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앞면에 형성되어 호흡에 따른 공기가 입출력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정면을 가리고 좌우측면이 개방되게 라운드형으로 결합되는 개구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본체와, 개구부 및 개구부 커버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원활한 숨쉬기가 가능하면서도 정면으로의 비말 차단효과가 있고,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모양을 볼 수 있어서 청각장애자와의 술화 소통이 가능할 수 있고, 워터파크 및 해수욕장등의 물놀이용 마스크로 사용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A face mask for splash protection based on transparent plastic with a double cover}
본 발명은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면 마스크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마스크 본체 및 커버를 구성하고, 본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본체의 내외부에서 이중으로 커버에 의해 원호형으로 가리도록 이중 커버를 구성함으로써, 비말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마스크는 필터를 통한 외부의 오염된 감염물질을 차단하는 개념이다. 최근, 위생 환경 의식이 고조되고, 미세먼지나 황사등의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안면 마스크 착용이 실생활화되고 있다.
최근들어, 특히 COVID 19로 칭해지는 감염병에 대해 안면 마스크의 사용이 일상화되고,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권장하면서 대중교통이용시 또는 폐쇄 공간등에서는 안면 마스크의 착용이 의무화되고 있다. 이러한 감염병의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침방울이나 에어로졸화되어 배출 또는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안면 마스크로는,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055584호, "마스크'(2012. 05. 31. 공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안면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필터의 성능에 따라 KF80 ~ KF95와 같이 성능표시를 하게 되며, 성능이 좋을 수록 통기성이 떨어져 호흡이 원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직포에 항균 성능을 향상하는 섬유를 포함시킨 필터 시트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물세탁이 불가능하여 재사용이 어렵고, 워터파크나 해수욕장과 같은 물놀이시에는 마스크가 젖어서 착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입모양을 외부에서 알수 없어서 청각약자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다.
한편, 물에 젖지 않는 재질(예;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는 안면 마스크들도 알려져 있는데, 예컨데 조리사들이 착용한 안면 마스크는 단순히 하방으로의 비말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상방향으로 오픈된 상태로 입 가림막 정도의 마스크이다. 따라서 이러한 입가래개용 마스크는 비말 확산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안면 마스크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20-0079480호(2020. 07. 03일 공개) '무명 플라스틱 피스를 갖는 안면 마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안면 마스크는, 입모양을 외부에서 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것이므로 흡기와 배기를 위한 통기부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종래 투명 플라스틱 피스를 갖는 안면 마스크는, 배면과 측면이 얼굴과 이격된 상태로 착용되게 구성하여 공기의 흡기와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는 얼굴 양측면과 일부 구간의 배면이 오픈된 개구상태로서 코와 입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화되어 확산되는 비말을 차단하기 어렵다.
한편, 일반적으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안면 마스크는, 공기 흡기와 배기를 위하여 마스크본체에 흡배기 필터통을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흡배기 필터통을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탈부착구조와, 흡배기 필터통을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많이 높아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착용시 중량이 많이 나가게되어 장시간 착용에 불편함을 많이 기친다. 또한 필터통을 통과하는 흡배기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숨쉬기가 편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필터통을 탈부착하는 구조로서 필터통 자체가 물에 젖으면, 내부 필터가 젖으면서 흡기와 배기에 어려움이 커지고, 필터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물놀이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55584호, "마스크'(2012. 05. 31. 공개) '마스크' 한국공개특허 10-2020-0079480호(2020. 07. 03일 공개) '무명 플라스틱 피스를 갖는 안면 마스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안면 마스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 본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본체 내외측에서 커버를 이용해 원호형으로 개구부를 가리도록 구성함으로써, 비말이 직선적으로 확산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도 숨쉬기가 편하고, 물에 젖지 않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워터파크나 해수욕장등의 물놀이 용도에 적합하도록 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안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의 성형과 단순한 후처리 공정만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쉽고, 빠른 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안면 마스크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면 마스크는,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투명 플라스텍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절결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부와 내측부에서 상기 상하측 절결부에 각각 양단을 끼워 외측 및 내측으로 볼록하게 원호형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를 외측 및 내측에서 각각 가리도록 결합되는 외측 커버 및 내측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 절결부는, 외측의 커버를 결합하는 상하측의 제1절결부와, 상기 제1절결부 외측으로 형성되어 내측의 커버를 결합하는 상하측 제2절결부로 이단 형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커버는, PP 또는 PE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콧등과 양볼 및 턱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리브가 형성된 하단 테두리에서 상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몸통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면이 평면형의 앞면부를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코와 입이 닿지 않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캡타입 또는 컵타입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소정 사이즈의 면을 구비할 수 있는 영역을 외측으로 돌출시킨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면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좌우측면에 각각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면의 절결부를 통해 상기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필터를 삽입 장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활한 숨쉬기가 가능하며, 청각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안면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이 마스크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개구부가 커버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면서도 좌우측으로 개방되어 숨쉬기가 편리하고, 비말이 직선적으로 확산되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비말 차단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물에 젖지 않기 때문에 워터파크나 해수욕장등의 물놀이용 안면 마스크로 적합하며, 재사용시 쉽게 끓는물 소독만으로 소곡하여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면 마스크의 커버 분해 상태 및 배수구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면 마스크의 커버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중 커버 안면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커버 안면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 분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커버 안면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 결합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장착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에 장착하기 위한 필터의 제조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가 장착된 안면 마스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면 마스크 착용 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면 마스크의 커버 분리상태와 배수구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면 마스크의 커버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면 마스크는, 크게, 마스크 본체(10)와, 개구부(20) 및 커버(30)로 이루어지는 공기 흡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코와 입을 가리도록 안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마스크 본체(10)는 플렉시블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로 PP나 PET등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배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형성되어 호흡을 위한 공기 입출입 통로가 되는 개구부(20)와, 상기 개구부(20)의 상부를 라운드형으로 가리고 좌우측면이 개방되게 마스크 본체(10)에 설치되는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흡배기부는, 마스크 본체(10)의 앞면에 설치되되, 입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스크 본체(10)의 양측면 즉, 양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앞면과 양측면 3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공기 흡배기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개구부의 크기를 다르게 하거나, 필터를 포함하거나, 커버와 개구부와의 간격을 다르게 하거나 하여 숨쉬기에는 편하면서도 비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은, 마스크 본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대해 원호형을 이루어 이격되는 커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안면 마스크 제조 방법으로서, 마스크 본체를 이루는 소재의 시트를 진공 성형공정으로 마스크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본체에 개구부를 천공함과 아울러 개구부 상하측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개구부 형성 단계; 상기 상하측 절결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긴 길이이고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하측 절결부에 강제기움시키기 위한 기움부를 구비한 커버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커버의 양단 끼움부를 상기 상하측 절결부에 강제 끼움으로 결합하여 커버부가 원호형으로 개구부와 이격되게 조립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콧등과 양볼 및 턱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개방된 하단 테두리에서 상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몸통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면이 평면형의 앞면부(11)를 이루어 착용자의 코와 입이 닿지 않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캡타입 또는 컵타입 구성이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기 하단 테두리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리브부(12)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부드러운 접촉 및 밀착 접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어 마스크 착용줄을 결합하는 결합고리부(1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고리부(13)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두개의 고리구멍이 쌍을 이루어 본체의 양측에 각각의 쌍으로 형성되고, 마스크 착용줄을 두개의 고리구멍에 끼우고 길이를 조절하여 귀에 걸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착용줄은 상기 결합고리부(13)에 고정되어 귀에 걸수 있는 고무밴드나 착용줄, 끈 또는 결합고리부(13)에 양단이 고정되고 머리뒤로 돌려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고무밴드나, 끈, 착용줄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 착용줄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도면으로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기 흡배기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앞면부(11)의 하방부에 호흡이 편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크기의 개구부(20)가 형성된다. 개구부(20)의 크기는 성인용, 아동용, 대형, 중형, 소형 등등의 마스크 규격에 따라 대응되는 크기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20)의 상측과 하측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절결부(21)가 형성된다. 절결부(21)는 커버(30)의 양단을 강제 끼움으로 끼울수 있도록 절결시켜 형성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개구부(20)의 좌우폭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측 절결부(21) 사이의 간격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긴 길이로 이루어진 커버부(31)와, 상기 커버부(31)의 상하 양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결부(21)에 강제끼움이 가능한 좌우폭으로 양단부로 형성되는 끼움부(33)와, 상기 커버부(31)와 상기 양단 끼움부(33) 사이에 각각 상기 절결부(21)의 길이와 같은 좌우폭을 남기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요홈을 형성한 걸림홈(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30)는, 양단 끼움부(33)를 강제 끼움으로 절결부(21)에 끼워 걸림홈(32)이 절결부(21)에 일치되게 끼운다. 절결부(21)가 형성된 마스크 본체(10)와, 커버(30)의 재질은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결부(21)의 절결된 길이보다 조금 큰 폭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강제끼움이 가능해진다.
커버(30)의 좌우측 걸림홈(32) 사이의 간격이 절결부(21)의 절결된 길이와 같게 함으로써, 커버(30)의 끼움부(33)를 끼우게 되면, 커버몸체부(31)와 끼움부(33)의 폭이 절결부(21)의 절결 길이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커버(30)를 절결부(21)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커버 몸체부(31)의 상하길이가 상하측 절결부(21)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 몸체부(31)는 상부로 구브라져 원호형으로 라운드진다.
결국, 상기 커버 몸체부(31)는 개구부(20)에 대해서 상부로 원호형을 이루어 이격된다. 원호형으로 구브러진 커버 몸체부(31)와 마스크 몸체(10) 사이는 구브러진 원호에 대응하여 좌우측이 개방된다.
따라서, 공기가 커버(30)의 좌우측을 통과하여 개구부(20)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반대로 배출되는 공기는 개구부(20)를 통과하여 커버(30)에 부딪치면서 커버(30)의 좌우측으로 흘러나갈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나 에어로졸된 비말은 개구부(30)를 통과해 커버(30)의 내측면에 부딪힌 후 좌우측으로 흘러나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안면 마스크는, 비말의 직선적 비산은 차단하면서 측면방향으로 배출되며, 측면방향에서 유입된 공기가 개구부(30)를 통과하여 마스크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따라 비말은 앞으로 발산되지 않고 발산되는 힘을 잃은 상태로 측면으로 흘러나가게 되고,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도 한번 방향 전환을 해야 하므로 비말 차단 효과가 있다.
최근 들어 전세계를 팬더믹 상태로 만든 COVID 19 감염병은, 주로 비말을 통해 바이러스가 확산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비말을 차단하는 마스크 착용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는 완전 폐쇄형이거나 필터통과형이 아닌 단순 구조이면서도 비말이 직선적으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COVID 19 감염병 예방에 적합한 용도의 안면 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물에 젖지 않기 때문에 워터파크나 해수욕장등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일반 면이나 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는, 물에 젖으면 마스크를 통하는 호흡이 곤란하고, 아울러 물에 젖어 무게가 증가되어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에반해 본 발명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 안면 마스크는 물에 젖는 것과 상관없이 착용한 상태로 물놀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물놀이중에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항시 공기 흡배기부를 통해서 물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대부분 마스크의 하단 테두리와 턱과 볼사이의 간극으로 배출된다. 즉, 마스크 본체(10)가 안면에 완전 밀폐형으로 밀착될 수는 없는 것이고, 움직임등에 따라 마스크의 하단 테두리가 안면 접촉 부위와 떨어지면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거나 자세에 따라 유입된 물이 마스크내부에 고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앞면부(11)와 하면 사이의 모서리부에 내측으로 오목부가 소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고, 오목부 사이마다 마스크 몸체부 하면으로 배수공(1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공(15)을 형성하게 되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된 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수공(15)이 작은 구멍으로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오목부들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비말이 직선적으로 발산되거나 유입되지는 않는다. 즉,배수공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비말 차단 효과가 감소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측면에는 무늬를 이루기 위한 구조로서 각기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개의 오목라인부(16)가 더 형성된다. 이는 무늬를 형성함으로서 미적인 요소를 향상시켜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면 마스크는,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커버가 결합된 형태의 예시도인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는 내외측에서 각각 커버를 결합하여 이중 커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이중 커버 안면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플라스틱텍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에 형성된 개구부(20)와, 상기 개구부(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절결부(21)(22)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측부와 내측부에서 상기 상하측 절결부(21)(22)에 각각 양단을 끼워 외측 및 내측으로 볼록하게 원호형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20)를 외측 및 내측에서 각각 가리도록 결합되는 외측 커버(30) 및 내측커버(3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중 구조의 커버(30)(30a)를 설치한 경우, 마스크 본체(10)의 개구부(20)를 내측과 외측에서 도 3의 (나)와 같이 각각 원호형으로 커버(30)(30a)가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중으로 커버가 설치되므로 개구부(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직접 직선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커버의 양측 개방된 공간을 통과하여 개구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비말 차단효과가 월등히 상승될 수 있다.
한편, 상하측 절결부(21)(22)에 각각 외측 커버(30)와, 내측커버(30a)의 기움부들이 내외측에서 끼워져야 하므로, 내측 또는 외측 커버중 어느 하나는 끼움부 부근의 구브러짐이 심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장기 사용시 눌림등에 의해 탄성력을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도 3의 (다)와 같이 상하측 절결부(21)(22)를 각각 이단으로 형성한다. 즉, 외측의 커버(30)를 결합하는 상하측의 제1절결부(21)(22)와, 내측의 커버(30b)를 결합하는 이단 상하측 제2절결부(21a)(22a)를 더 형성하고, 외측 커버(30)는 제1절결부(21)(22)를 통해 결함하고, 내측 커버(30a)는 제2절결부(21a)(22a)를 통해 결합한다. 이경우 각 커버(30)(30a)의 양단 끼움부를 절결부에 끼웠을때 구브러짐이 부드러운 원호를 이루게 되므로 장기 사용 및 눌림등에 대해서도 탄성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중 커버의 구성은, 분리된 커버판을 사용하지 않고 마스크 본체에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된 커버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중 커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커버 안면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 분해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커버 안면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커버 결합 도면이다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앞면부(11)에 형성되는 개구부(20)와, 상기 개구부(20)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상측 및 하측 절결부(41a)(41b)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하면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선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부(33)를 마스크 본체(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상측 절결부(41a)를 통과시킨 후, 마스크 본체(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하측 절결부(41b)를 통과시켜 결합하여 테두리에서 상기 상측 절결부(41a)로 이어지는 내부커버부(54) 및 상기 상하측 절결부(41a)(41b)를 외부에서 원호형 커버로 연결하는 외부커버부(51)를 포함하는 일체형 커버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체형 커버판을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대해 원호형을 이루어 이격되는 커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안면 마스크 제조 방법으로서, 마스크 본체를 이루는 소재의 시트를 진공 성형공정으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하단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내측커버부와 외부 커버부 및 끼움부가 각각의 걸림홈부에 의해 구분되는 일체형 커버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본체에 개구부를 천공함과 아울러 개구부 상하측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개구부 형성 단계; 상기 일체형 커버판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부를 마스크 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상측 절결부를 통과시킨 후,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하측 절결부를 통과시켜 결합하여, 테두리에서 상기 상측 절결부로 이어지는 경사진 내부커버부 및 상기 상하측 절결부를 외부에서 원호형 커버로 연결하는 외부커버부를 형성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마스크 본체를 이루는 소재의 시트를 진공 성형공정으로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하단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내측커버부(54)와 외부 커버부(51) 및 끼움부(53)가 각각의 걸림홈부(52a)(52b)에 의해 구분되는 일체형 커버판(50)을 성형한다. 즉 한번의 진공성형 공정으로 마스크 본체와 일체형 커버판을 성형한다.
상기 일체형 커버판(50)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내측커버부(54)와 상기 외부 커버부(51) 사이에는 제1걸림홈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커버부(51)와 선단의 끼움부(53) 사이에는 제2걸림홈부(52b)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53)와 상기 제2걸림홈부(52b)는 상측 절결부(41a)를 통과하여야 하고, 상측 절결부(41a)에 제1걸림홈부(52a)가 일치되어 내측 커버부(54)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내측 커버부(54)는 테두리에서 제1절결부(41a)사이에 경사지게 결합된다.
상기 외측 커버부(51)는 제1절결부(41a)를 통과하여 제2절결부(42b)에 걸리고, 내측 커버부(54)는 제1절결부(41a)에 걸린다.. 이때 개구부(20)의 폭보다 외측 커버부(51)의 폭이 더 넓게 형성해야 하므로, 제1절결부(41a)의 길이는 제2절결부(41b)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즉, 제1절결부(41a)의 길이는 외측 커버부(51)의 폭과 같은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외측 커버부(51)의 상하길이는 제1절결부(41a)와 제2절결부(41b) 사이의 간격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원호형으로 구브러져 양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1에서와 같이 턱선 부분에 복수의 배출홀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물이 숩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커버판(50)을 형성한 구조는, 마스크 본체(10)를 진공 성형할때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의 공정으로 일체형 커버판까지 성형할 수 있어서 제조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일체형으로 연결된 것이므로 사용중 절결부에서 끝단이 빠지더라도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분실 우려가 없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0) 및 절결부(41a)(41b)가 형성되는 영역을 외측으로 돌출시킨 돌출부(40)를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즉, 마스크 본체(10)의 앞면부(11)에 돌출부(40)를 형성하고, 돌출부(40) 내에 개구부(20)와, 상하측 절결부(41a)(41b)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렇게 돌출부(40)를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면, 마스크 내측에서 볼때 앞면판에 오목부(=돌출부)가 더 형성되므로, 개구부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오목부의 경계에서 한번더 걸림현상이 생기므로 에어로졸화된 비말의 흐름에 방해를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는 필요에 따라서는 필터를 더 장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장착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안면 마스크에 장착하기 위한 필터의 제조 설명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가 장착된 안면 마스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 장착 안면 마스크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컵 타입으로 성형되어 안면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앞면부(11)에 외측으로 돌출면을 형성하는 돌출부(40)와, 상기 돌출부(40)내에 형성되는 개구부(20)와, 상기 개구부(20)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상하측 절결부(41a)(41b)와, 상기 상하측 절결부(41a)(41b)에 끝단의 끼움부가 끼워지고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20)와는 이격되어 원호형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40)의 양측면에 필터 삽입용 절결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절결부(42)에 삽입 설치되는 필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20)에 설치되는 커버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의 외측에서 끼우는 외측 커버(30)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다)와 같이 마스크 외측과 내측에서 끼우는 외측 커버(30) 및 내측 커버(30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과 같이 일체형 커버판(50)이 형성되고, 일체형 커버판(50)을 이용하여 내측 커버부(54) 및 외측 커버부(51)를 형성한 구조일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구부(20)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일정한 영역에 필터(50)를 장착할 수 있는 필터 장착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필터 장착 수단으로는 개구부(20)를 막도록 필터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개구부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에 대응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해 필터를 끼우는 방식이나, 필터의 모서리부분에 결합볼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개구부 주위에 상기 결합볼 또는 돌기가 끼워져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결합홀을 형성에 끼우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와같이 필터 결합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터 장착시에는 공기의 입출입이 방해를 받으므로 숨쉬기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크기를 크게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도면 설명에서는 편의상 크기를 크게 크위지 않은 형태를 그대로 제시하지만 앞면부(11)의 1/2 정도로 크게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전체 다 덮는 필터를 장착하며, 개구부의 앞뒤에서 원호형 커버를 설치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돌출부(40)를 형성하고, 돌출부(40)의 양측면에 필터 결합을 위한 절결부(42)를 형성하며, 절결부(42)를 통해 필터(60)를 끼우는 방식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는 상하측 절결부를 형성하여 커버를 라운드형으로 결합한 구조이므로, 양측면에서 필터(60)를 끼우는 방식을 제안 한 것이다.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 장착용 필터의 제조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마스크에 형성되는 개구부(20)를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1겹 이상 복수겹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부(61)와,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61)의 가장자리와 겹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여 열압착시키는 상하측 프레임(62a)(62b) 및 상기 상하측 프레임의 일측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게 필름을 접어서 열압착시키는 걸림부(64)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필터부(61)는 부직포와 같은 미세먼지 차단 부재와 항균 필터용 부재 등을 겹쳐서 복수겹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의 사이즈가 큰 경우는, 도 7의 (나)와 같이 중간중간에 앞뒤면에서 테두리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프레임(65)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필터(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0)가 형성된 영역을 돌출시킨 돌출부(40)의 양측면에 절결부(42)를 형성하고, 측면에서 절결부(42)를 통해 필터(60)를 끼워 넣어 장착한다. 이에 따라 필터(60)는 개구부(20)를 막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공기는 내외측 커버의 양측면 개방부분을 통해 필터를 통과하여 흡기되거나 배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투명 플라스틱 안면 마스크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리부에 착용줄을 연결하여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다. 투명 안면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면서도, 내측에서 코와 입이 마스크와 이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앞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외측부 또는 내외측부에 각각 원호형의 커버가 설치된다. 커버의 양측부가 개방되므로 이를 통해 개구부를 통과하여 공기가 흡기되거나 배기된다. 또한, 필터를 장착하는 경우 개구부에 필터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를 장착한 상태로 물놀이 하는 경우 필터가 젖어도 마스크 본체에 필터가 장착된 상태이므로 처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필터를 장착한 상태로도 물놀이용 안면 마스크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필터 장착시 호흡량이 줄 수 있으므로 물놀이시에는 필터를 분리한 상태로 사용하고, 물밖에서 근거리 대화나 실내 공간에서는 필터를 장착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필터를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서, 물놀이와 물밖에서 필터 장착여부를 손쉽게 선택하여 하용할 수 있어서 편리함으로 더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 본체
20 : 개구부
30 : 커버
40 : 돌출부
50 : 일체형 커버판
60 : 필터

Claims (4)

  1.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투명 플라스텍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절결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부와 내측부에서 상기 상하측 절결부에 각각 양단을 끼워 외측 및 내측으로 볼록하게 원호형으로 이격되어 상기 개구부를 외측 및 내측에서 각각 가리도록 결합되는 외측 커버 및 내측커버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절결부는,
    외측의 커버를 결합하는 상하측의 제1절결부와, 상기 제1절결부 외측으로 형성되어 내측의 커버를 결합하는 상하측 제2절결부로 이단 형성된
    안면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상기 커버는,
    PP 또는 PE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콧등과 양볼 및 턱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리브가 형성된 하단 테두리에서 상부로 좁아지는 형태로 몸통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면이 평면형의 앞면부를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코와 입이 닿지 않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캡타입 또는 컵타입 형상인
    안면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소정 사이즈의 면을 구비할 수 있는 영역을 외측으로 돌출시킨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면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의 좌우측면에 각각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면의 절결부를 통해 상기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필터를 삽입 장착한
    안면 마스크.
KR1020200102047A 2020-06-26 2020-08-13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KR20220000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8837 2020-06-26
KR1020200078837 2020-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76A true KR20220000776A (ko) 2022-01-04

Family

ID=7934259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035A KR20220000775A (ko) 2020-06-26 2020-08-13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00102052A KR20220000777A (ko) 2020-06-26 2020-08-13 일체형 커버판을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안면 마스크
KR1020200102068A KR20220000778A (ko) 2020-06-26 2020-08-13 필터 탈부착이 가능한 비말 차단용 투명 플라스틱 안면 마스크
KR1020200102047A KR20220000776A (ko) 2020-06-26 2020-08-13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035A KR20220000775A (ko) 2020-06-26 2020-08-13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00102052A KR20220000777A (ko) 2020-06-26 2020-08-13 일체형 커버판을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안면 마스크
KR1020200102068A KR20220000778A (ko) 2020-06-26 2020-08-13 필터 탈부착이 가능한 비말 차단용 투명 플라스틱 안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200007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584A (ko) 2009-08-07 2012-05-3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KR20200079480A (ko) 2017-09-01 2020-07-03 클리어마스크, 엘엘씨 투명 플라스틱 피스를 갖는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584A (ko) 2009-08-07 2012-05-3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마스크
KR20200079480A (ko) 2017-09-01 2020-07-03 클리어마스크, 엘엘씨 투명 플라스틱 피스를 갖는 안면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75A (ko) 2022-01-04
KR20220000777A (ko) 2022-01-04
KR20220000778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0485A1 (en) See-through mask
KR102079518B1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0821342B1 (ko) 마스크
KR101873120B1 (ko) 호흡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KR101634866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95123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KR101939485B1 (ko) 날숨배출부재가 장착되는 마스크
US20210352976A1 (en) Face mask
KR102273343B1 (ko)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마스크
KR101703408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2388276B1 (ko) 마스크
KR20220000776A (ko) 이중 커버를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재질의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KR20220025620A (ko) 통기량이 확대되는 투명 마스크 장치
KR200395267Y1 (ko) 레저용 마스크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CN111227343A (zh) 口罩
CN213215456U (zh) 一种具有快速拆卸功能的口罩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200485495Y1 (ko) 스포츠 마스크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100868543B1 (ko) 위생마스크
JP4608141B2 (ja) 乗車用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
KR102418619B1 (ko) 호흡보조장치
KR102540576B1 (ko)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CN110193150A (zh) 一种用于空气过滤的鼻罩